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인1나무 환경미술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홍기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1인1나무 환경미술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한 집단의 전후 환경소양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4년 4월 1주부터 4월 4주까지 약 4주에 걸쳐 국어, 통합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환경미술교육 활용 수업안을 12차시분 작성하여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에는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하지 않고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환경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통제집단설계법을 이용하였다. 환경소양 측정도구는 윤주영(2010)이 개발한 환경소양 측정문항을 연구자가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SPSS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05와 0.1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학습자의 다양한 생각의 변화와 구체적 행동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용분석, 행동관찰, 면담의 방법을 통해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에 대한 환경미술교육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환경소양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결과 지식 영역에서 사전검사 결과보다 사후검사결과 점수가 높았다. 셋째, 내용 분석, 행동 관찰, 면담 등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환경을 소중히 여기고 환경보호 활동에 앞장서는 태도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활용하고 앞으로 후속 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환경소양의 지식영역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는 문항이 있었고, 정성적인 분석에서도 자연에 관심을 갖고 환경보호에 참여하는 등 환경미술교육의 가능성을 보았으므로 좀 더 심층적인 환경미술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한 수업이 환경소양을 기르는 데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다른 학년이나 학교에 확대 실시하여 보다 많은 학습현장에서 이 방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셋째, 연구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학생이 쉽게 만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공간이 필요하므로 학교 숲을 좀 더 많은 학교에 조성하거나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자연친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적․제도적 장치 등이 보완되어야 한다. 주요어 : 1인1나무, 학교 숲, 환경미술, 환경미술교육, 환경소양 * 본 논문은 2014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學校 環境美術에 대한 硏究 : 초·중등학교 실태조사와 대안 프로그램

        정윤자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20세기 후반기의 미술사조에서 환경미술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생태 위기적 환경 의식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학교 미술교육에서 강조하려고 하는 것은 최근의 추세이다. 그러나 환경의 개념 및 환경미술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나 교육지침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또한 현장을 담당하는교사나 학생들에게 널리 공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혼란과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학교 환경에 비미술적이며 비교육적인 환경물의 설치가 산재하여 있는 것이 오늘의 학교현장 실태이며 현실이기도 하다. 널리 학교의 환경교육 활동은 민주적 인간 형성을 돕고자 하며 위기의 환경문제를 몸소 체험하고 환경보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나 가치, 태도를 습득해 나가는 활동이다. 나아가 환경교육을 미술과 접목하여 살펴보면 학내외의 공간에 외적 설치물 등이 학생들의 성격형성과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크게 끼친다는 점에서 올바른 환경미술의 학습은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환경미술에 대한 역사적 사례를 살펴보면 서양은 고대 희랍, 로마의 도시국가라는 원형적 구조의 연장에서 도시 공간 속에서 시민들과 공유할 수 있는 온갖 공공미술-건축, 조형물을 창조함으로써 도시의 경관을 살리려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근대 도시가 산업 형태의 구조물로 바뀜에 따라 생태적 환경의 위기를 느끼게 되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시민의 생활공간, 혹은 자연공간과 친숙한 새로운 환경미술의 운동을 전개하고 교육의 학습프로그램으로 널리 확대시키고 있다. 한편 한국미술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 일체감을 추구한 유,불교의 문화, 풍수지리설을 반영하였던 전통 속에서 한국적 환경미술의 발상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이 같은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쾌적한 환경의 형성과 창조는 우리의 환경미술이 추구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그러나 근대산업화의 추진 속에 한국의 도시의 발달은 이 같은 환경미술을 외면하였으며 학교 교육에서 소홀히 하였던 것은 그간의 교육 과정이 여실히 말해준다. 오늘날 학교 환경미술은 주위 환경과 친화적이지 못한 모습이 많이 보이고 소수의 몇 작품조차 관리가 소홀하여 학교 환경을 오히려 저하시키고 있는데 그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학교 환경미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와 대안적 수업 안을 찾고자 한 것 본 논문 연구의 요지이다. 본 연구는 환경미술의 필요성 및 기능을 살펴보고 전남에 있는 146개 중·고등학교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전남 미술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환경미술에 대한 인지도 파악의 설문조사를 사용하였고, 실제로 현장을 방문하여 학교 환경물에 대한 실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교 환경미술에 대한 매우 빈약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교 환경물로 설치된 갖가지 조소상, 벽화, 기념물 등은 교육적 목적으로 만들어졌음에도 비교육적이며 비미술적인 것들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정서교육과 심미적 배양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무감각과 무관심한 방치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학교 환경미술에 대한 새로운 수업연구 바람과 실제로 학교 공간에서의 환경미술 설치가 절실하다. 본 연구는 실제로 봉황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환경미술 수업을 진행한 체험을 바탕으로 하나의 방법적 대안을 제시하여 일선교사의 참고로 삼게 하였다. 그리고 학교의 환경 개선과 환경미술의 확산을 위한 제반 문제의 해결을 강조하고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감, 교육장, 학교장은 학교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학교 환경미술 조성에 따르는 예산 지원을 추진하고 미술교사는 작품가치가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 둘째 환경미술 수업은 개인활동 보다 협동학습을 장려하여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민주시민의 자질을 기르도록 한다. 셋째 농촌 학교 운동장이나 정원에 놓여진 상품화되고 규격화된 기념비적인 조소상은 빨리 제거하고 자연과 친화적이고 일치감과 쾌적감을 주는 학생들과 교사의 공동작품으로 바뀌어져야 한다. 넷째 학교 환경미술 자료개발은 학교별 특성을 지녀야 하며 지속적이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환경미술이라는 교육을 통하여 학생의 자율성을 신장하게 되며 지역적 특성을 살려 새로운 환경 문화를 바꾸는데 기여할 것이며 사회 문화에도 적응이 빠르고 삶을 즐겁게 살 수 있는 힘을 배우게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time that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art rise and was spread in the late 20C's trend of art is related with ecologic critical environmental awarness threatiening mankind's existence and it is a recent trend to impress this in the school art education. But it is an actual econdition and reality of school site that anti-artic and anti-deucational environmental modeling's installation is scattered by various disorder and bad recognition around school environment, because reference is not fixed and not belongs widely to the teacher who charge the working site and students. School's enviromental education activity is to help democratic heman formation and to experience personally critic environmetal problem and is as activity to learn a right attitude value and recognition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Further more in looking around environmental education grafting on art, it is very important to take a right environmental learning on that point that external facilities in the inner and outer school space have an huge effect on students' personality form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the examination of historic case about environmental art the west has a long tradition that they created all public art-architecture statues to make the urban secnery alive capable for belong to the citizen in the central urban space in the conception of being an extension to the circle structure of metropolitan state of Rome. ancient Greece. And according to modern city has changed into industrial shaped structures they felt critic of ecologic envirnonment as an alternative proposal for this movement of newly environment art well acquainted with life space of urban citizen and natural space is spread out and it is expanded for an learning program in the education. Meanwhile Lorea art in the tradition reflecting the theory of division based on topography culture of Confuncianism and Buddhism which pursued and en bloc and harmony between natural and human being, can seek a conception of Korean environmental art and in the relationship of natural as like this formation and creation of pleasant environment is an subject which our enviromental art want to grasp. But Korean urban development in the propilsion of modern industrialization averted her eye from this environmental art and that they has been distant toward school education can look out with a glance into the education process for those period. Today's school environmental art doesn't match at all with the surroundings and are not intimated with around environment. And a few of works in a small number deteriorate rather than school environment with a lack of handling. Thus it is this study's point that the actual condition to fall down with school environment should be grasped and after analyze the problem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and seeking an alternative learning method should grope for. This study looks around the needs and function of environmental art with the subject of 146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rt teacher in Chunnam, presents reserch for Chunnan art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environmental art they feel and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about school environmental facilities is exhibited with actual visiting in work site. At the result understanding about school environment art was confirmed with much scanty and that various carving statues mural paintings and memorial facilities were only made up for anti-educational and anti-artistic things regardless of being made by educational purpose were analyzed to be an obstacle in emotional educatio and aesthetic point of culture. New learning study conjunction about school environmental art and actually environmental art installation is urgent to get out of insensibility and indifferent leaving alone. This study with the background of actual experience on which environmental art learning was held by Bongwhang high school's students presents an alternative proposal and makes a reference for the front teacher. And follows are proposed to impress the solution of whole problem for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art and school's environmental improvement. First superintendent of educational affairs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schoolmaster should promote an estimate support accompanied to make school environmental art to be harmonized with school surroundings and art teacher should carry out learning program which has some value of work. Second Environmental learning should envourage more co-operative learning than personal activity enhance community recognition and to culture quality of democratic citizen. Third the monumental staues as like located in reral school's play ground and gardens, merchandised and standardized should be removed to replace the co-work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work which gives us feeling of homogeneity delightfulness and natural affinity. Forth The data development about school environmental art should be continuous and retains the peculiarity according to the school In the result it could be said that through the education named environmental art student's autonomy could be extended and local distinction alive will contribute to the change of new school culture, adapation to socio-culture will be fast and the power to live with joy in life will be achieved.

      • 환경미술교육 프로젝트학습에 관한 연구 : 점토성형 활동을 중심으로

        이영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환경과 미술은 현대예술의 변화와 함께 실내공간에서 벗어나 실외공간으로 확대 또는 자연생태 공간과의 친화성, 도시 문화예술 공간과의 심미적 활동에 서로 영향을 끼치며 미래의 지속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환경미술은 예술성과 대중성, 실용성, 심미성 등을 담아내고 있기에 대중들로 하여금 미적 감수성, 창조성, 정서성을 배우고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인간과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 협동, 봉사하는 태도를 함양하는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환경미술교육은 유아 및 청소년기의 인격 및 성격 형성과 지적 발달에도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하기에 ‘학습 대상의 특별함을 고려한 교육’으로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즉 대상 집단의 성격과 환경 또는 각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사항 등을 설문자료를 기초로 하여 학습에 반영하게 되었다. 이러한 학습자의 사회적 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였기에 환경미술교육 프로젝트 학습의 의의는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환경미술교육 영역이 간 학문적인 영역이기에 환경미술교육 프로젝트 학습은 개인 또는 집단의 사회적, 교육 및 예술적인 영역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하기에 점토성형 활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미술교육 프로젝트 학습은 자연과의 공존, 공영, 상생의 의미를 재해석하며 자연이 주는 물질적 또는 정신적인 풍요와 가치의 결과물로 바꾸는 일련의 예술교육에 대한 시도이기도 하다. 이러한 간 학문적인 영역의 내용을 환경교육과 환경미술 교육적 측면으로 접목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라는 작은 사회 환경적 영역에 포괄하고 있는 학교 생태연못과 숲을 학습장소로 활용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소성은 프로젝트 학습의 중요한 학습자원이며, 장소를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학습 환경을 발굴하는 것 또한 교사로서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못과 숲을 중심으로 학교의 생태환경을 알아보고 환경미술 작품의 구상, 제작, 설치를 하는 과정들은 통해 학생들의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결과 보고서와 설문 조사를 통해 확인 할 수가 있었다. 학교 숲과 연못은 우주를 대변하는 작은 생태계로서 베오그라드 헌장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 가치, 태도, 헌신, 기능, 참여적인 내용을 모두 수행 할 수 있는 환경적 여건을 모두 가추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과 미술의 간학문적인 연계성과 학교 연못과 숲의 장소성 그리고 점토라는 재료의 특수성을 절묘하게 결합하여 프로젝트 학습을 실행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환경미술교육 프로젝트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선행 사례로서 그 가치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메타버스 플랫폼 젭(ZEP)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환경미술교육 방안

        박민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society of the 18th century and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20th century, we are currently liv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here digital technologies connect various fields. Moreover, amidst the ongoing knowledge revolution, we are progressing into another dimens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However, this development, on the one hand, is accelerat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indiscriminate development on Earth. In response, schools are making multifaceted efforts to cultivate students' abilities to cope with future situations, and in art education, continuous research and curriculum revisions reflect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viewed at the current juncture of switch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acks content on environmental art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research for developing digital competence is also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ways to enhanc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the environment continuously throughout the program and thereby fostering ecological sensitivity.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the new digital environment highlighted in the digital age and develop digital competence through the use of metaverse during classes. To achieve this, the program was designed for students to create and appreciate environmental art using digital representation tool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metaverse platform, ZEP.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outlined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he study, presenting the content,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Chapter II provided a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metaverse and environmental art education related to the topic of the paper, discussing its values and directions in education. In Chapter III,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analyzed, focusing on its background and emphases, and the value of environmental art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was discussed by examining the current textbook content o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Chapter IV, a high school-level environmental art program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ZEP,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current textbooks, has been developed. The program comprises seven sessions, including environmental experiences through the metaverse, artistic expression using digital tools, and appreciation of metaverse environmental art exhibition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program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points. First, it can enhance the digital competence of students. It helps students adapt to the metaverse environment and cultivate abilities to contribute to creating future culture. Second, it can cultivate ecological sensitivity, perceiving the environment aesthetically. Students will be able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between art and the environment, allowing for the assessment of their values. Third, the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can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rough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This study has propose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a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In the advancing digital era, the metaverse is anticipated to expand, requiring more extensive research to integrate education further. Furthermore, continuous attention to the global environment is crucial to preserve the changing natural environment. We look forward to an in-depth discussion on effectiv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which both the process and results are consistent with environmental art. 18세기 산업화 사회와 20세기 정보화 사회를 거쳐 현재 우리는 다양한 분야와 디지털 기술이 연결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고 있다. 또한 계속되는 지식 혁명을 거치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또 다른 차원의 발전 진행 과정 속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이 한편으론 지구 환경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대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미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미술교육에서도 꾸준한 연구와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현재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바라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고등학생 수준에서의 환경미술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며, 디지털 역량 개발을 위한 연구 또한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 수준의 환경미술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환경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생태 감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디지털 시대에서 주목하고 있는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은 메타버스 플랫폼 젭의 학습 환경에서 디지털 표현 도구를 활용하여 환경 조형 작품을 제작하고 감상하는 활동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은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Ⅱ장은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메타버스와 환경미술교육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고 그 가치와 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Ⅲ장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개정배경 및 강조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현행 교과서가 담고 있는 환경미술교육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환경미술의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과서의 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지식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젭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환경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7차시로 구성되며 활동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환경 체험,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작품 표현, 메타버스 환경미술 전시 감상 활동의 3단계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며, 메타버스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여 미래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둘째, 환경을 미적으로 인식하는 생태 감수성을 기를 수 있으며 미술과 환경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며 그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셋째,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며 자기 평가 및 동료평가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발전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메타버스는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어 교육과 연계한 더욱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변화하는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지구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과정과 결과가 모두 환경미술과 부합하는 효과적인 환경미술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 노부오 세키네(Nobuo Sekine)의 作品世界 硏究 : 環境美術(環境彫刻) 作品을 中心으로

        배수관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역사이래 예술은 꾸준히 인간의 삶과 직접적인 상관관계 속에서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동양의 전통사상인 '자연관'과 서양 신과학의 공통된 뉴 패러다임인 '전일적 세계관(全一的世界觀)에 대한 관심으로 물질문명에 대한 반성과 자연중심주의의 경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미술도 예외는 아니다. 상호의존성과 상생을 강조하는 새로운 사상적 시대 흐름과 함께, 삶과 별개로 취급되어온 예술에 대한 회의가 대두되면서 인간과 환경을 합일된 공간으로 인식하는 환경미술(environmental art)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총체적인 예술'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환경미술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사무 노구찌(Isamu Noguchi), 대니 카라반(Dani Karavan)등의 환경미술가들 중에서 노부오 세키네 (Nobuo Sekine)의 환경 미술을 사례로 설정하여 고찰하였다. 자연현상에 대한 남다른 감동을 느끼며 어린 시절을 보낸 세키네는 현대 미술의 전위적인 활동들이 활발히 진행될 무렵 대학에서 위상기하학과 동양의 신비주의에 관심을 가지며 예술에 대한 열정을 보인다. 특히 선(禪)사상과 도가의 노장(老莊)사상은 그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1968년 대학원 유화과를 졸업하자마자 세키네는 입체적인 회화작품을 출품한 공모전에서 조각부문 콩쿨상을 수상하여 조각가의 길로 접어들었고, 몇 달 뒤 모노파(mono-ha)의 계기가 되었던 <위상-대지(位相-大地)>라는 작품으로, 이론정립자인 화가 이우환과 함께 모노파의 중심인물로 미술계에 두각을 나타낸다. 1970년 제35회 베니스 비엔날레에 일본대표로 참가하였으며 예술작품이 사회적 환경과 일체화 된 유럽의 문화에 충격을 받고 작업에 대한 원초적 고민을 안고 귀국한다.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의지를 다지며 모든 사물은 하나로 통한다는 칠학적 사고로 회화, 조각뿐 아니라 환경미술도에 큰 관심을 보이며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모든 사물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전일적 세계관(全一的 世界觀)을 바탕으로 삶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예술적 의지를 삶속에서 실천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그만의 작품세계가 자연스럽게 도출되었다. 오브제가 놓이는 공간 주변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역사, 문화 등의 환경적 제 요소들을 분석하는 세키네의 환경미술을 통해 총체적인 환경미술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세키네의 작품세계를 크게 회화, 조각 그리고 환경미술로 나눌 수 있다. 환경미술은 다시 오브제적 모뉴먼트(object monument)와 시스템적 설치(systematic installation)로 세분되어지는데, 시스템적 설치는 조각이 오브제에서 더 나아가 환경속으로 합일화(the process of unity)되어가는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는 개념이다. 인간을 위한 사회적 활동이라는 대 전제 아래, 조각의 예술적 순수성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와 상호보완적인 협력을 통해 상생(相生)의 우주순환원리(cosmos)에 부응하는 철학적 작품세계를 펼쳐가야 할 것이다. Since history, art has constantly repeated its development in direct correlation with human life. It is flowing into the tendencies of the reflection on material civilization and naturalism with the concern about the view of nature, the Oriental traditional idea, and the world view with the whole mind, a new paradigm common in the Occidental new science, and even fine art is not an exception to it. With new age flow of ideas stressing interdependency and the superstition of deciding on the unity between men and women, environmental art recognizing man and environment as united space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while the skepticism about art which has been treated apart from life comes to the front. In order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art surfacing as an alternative for 'general art' in modern art, I set up as an example the environmental art of nobuo Sekine among environmental artists of Isamu Noguchi, Dani Karavan and so on and investigated it. Sekine spending his childhood feeling extraordinary impression for natural phenomena shows his passion for art while concerned with topology and Oriental mysticism in his college around at the time when avant-garde activities of modern art would be actively progressed. In particular, the idea of Zen and Taoist Taoism became the bases of his ideas. As soon as he graduated in the department of oil painting from a graduate school in 1968, Sekine set in the way of a sculptor by being awarded concours prize in the department of sculpture in the exhibition of works collected publicly in which he submitted cubic works of painting, and he cuts a conspicuous figure in fine art circles as a central figure of mono-ha with Painter Uhwan Lee, one who establishes a theory, with the work of <Phase-the Earth> which became the motive for mono-ha some months later. In 1970, he attended the 35th Venice Biennale as a Japanese representative and goes home with the primitive agony for his working, shocked by European culture in which works of art have been identified with social environment. Strengthening the will for the social role of art, he is spreading vigorous activities, showing his great concern not only with painting and sculpture but with environmental art with the thought that all things lead to one. He is practicing flexible thought and artistic will for life in his life based on the world view with the whole mind that all things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as the result, his own world of work has been naturally derived. You will be abl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general environmental art through the environmental art of Sekine who analyzes all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history, natural objects and culture b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with surroundings of the space in which object is laid. His world of work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ainting, sculpture and environmental art, and the third is again subdivided into object monument and systematic installation, and the latter is the concept of being recognized as one living body in which sculpture is being united into object, further, environment. Under the major premise of social activity for man, based on the artistic purity of sculpture, he will have to spread philosophical world of work corresponding to the principle of cosmically circulating superstition of deciding on the unity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complementary cooperation with related fields.

      • 환경미술교육의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미술교육 종사자의 딜레마 연구

        이성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술교과는 교과 내에서 환경을 다룸으로써 환경을 애호하는 지식, 가치관, 태도를 함양하기에 적합한 과목이면서도 물리적인 재료와 매체를 통한 물성 탐구와 조형 활동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환경을 파괴하는 양가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환경을 위해 실천하는 행동이 오히려 환경을 파괴하는 현상을 리바운드 현상이라고 한다.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부족한 인식은 환경미술교육의 목적을 흐리고 결과물만을 추구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환경문제 극복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태도를 심어줄 우려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다. 미술교육이 환경교육으로서 올바른 인식과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토대로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리바운드 현상을 최소화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제 Ⅰ장에서 상세히 검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이론적 접근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교육의 연계성을 탐색하고, 환경미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미술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리바운드 현상의 정의를 토대로 미술계에서 일어나는 리바운드 현상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개념을 명확히 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환경미술교육에서 리바운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인 대안을 살펴보았다. 교육 분야와 미술계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환경미술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미술과 교육과정이 학교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미술교과서가 학교 미술교육의 주된 교재인 점에 근거하여 교과서에 수록된 환경미술교육 단원의 활동 내용을 분석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교과서에서 다루는 환경미술교육 활동에서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유의 사항 및 평가관점을 제시하는 것이 학생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속가능발전 태도를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환경미술교육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미술교육 종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인식과 경험, 내면의 사고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Ⅵ장에서는 위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술교과는 표현 과정에서 매체를 사용하는 특성이 있어 리바운드 현상을 완전히 극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환경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바꿀 수 있다면 그것으로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둘째, 리바운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수업 사례를 공유하며 미술교육 종사자가 자신의 수업을 보완·발전시킬 수 있도록 소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미술교육 종사자와 예비 미술교육 종사자는 리바운드 현상을 미리 예상하고 고민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이나 연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넷째, 미술교과서는 미술수업의 주된 교재로서 환경미술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안내와 정보를 수록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는 환경미술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바운드현상에 대해 고민하는 모든 교육 종사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미술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 실천적인 의미를 지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art subject is suitable for cultivating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that love the environment by dealing with the environment within the subject, but it also shows the ambivalent aspect of destroying the environment in that physical properties and formative activities are conducted through physical materials and media. The rebound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which actions taken for the environment actually destroy the environment.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 rebound phenomenon can obscure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nd cause a purpose displacement phenomenon that only pursues results.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planting wrong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overcom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learners. As a result, this will be an obstacle to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for art education to convey the right perception and value as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minimize it based on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rebound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to realize the valu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minimizing the rebound phenomenon that appears in environmental art cla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reviewed in detail in Chapter I. Chapter Ⅱ. The link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xplored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art was examin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art. Finally,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rebound phenomenon, the concept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rebound phenomenon occurring in the art world. Chapter Ⅲ. Practical alternatives that can minimize the rebound phenomenon i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ere examined. Specific ca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 art world were examined, and measures that could be applied to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ere explored. Chapter Ⅳ. In that the art curriculum presents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schools,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art textbooks are the main textbooks for school art education, the activities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units contained in textbooks were analyz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presenting precautions and evaluation perspectives on the rebound phenomenon i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ctivities covered in art textbooks will help students develop a correct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an attitude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Chapter V. Through interviews with art education workers who have experience i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their perceptions, experiences, and inner thoughts of the rebound phenomenon were analyzed. Chapter Ⅵ.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erived based on research were presented. First, art subjects are almost impossible to completely overcome the rebound phenomenon because they use media in the expression process, but they have educational value if they can change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rough environmental art education. Second, a place for communi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art education workers can supplement and develop their classes by sharing class cases to overcome the rebound phenomenon. Third, art education workers and prospective art education worker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anticipate and consider the rebound phenomenon in advance. Fourth, art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include guidance and information on rebound phenomena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s the main textbook for art class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all educational workers who are concerned about the rebound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environmental art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art education will help to have a practical meaning 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키네틱 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교육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혜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류는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 인류는 전 지구적 환경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환경과의 연결성을 상실하였다. 최근 이러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환경 보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자 환경미술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활발히 실시되고 있다. 환경미술교육은 학습자에게 인간과 환경의 속성, 관계에 대한 인지적 지식과 함께 자연환경을 미적으로 체험하면서 감수성과 책임감을 습득하도록 한다. 이러한 교육은 환경 파괴로 인해 전 지구적 재난이 닥친 현시점에서 의미 있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도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와 같은 교육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을 주요소로 하는 키네틱 아트를 활용하여 중학생 대상으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키네틱 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교육의 의의와 가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바람의 힘, 물의 흐름, 중력과 같은 환경의 근본적 동력은 움직임을 통해 직관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환경의 성질과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키네틱 아트는 작품의 전체 혹은 일부분이 움직이는 것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손쉽게 이끌 수 있고 정지된 오브제보다 더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깊은 호소력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키네틱 아트는 3차원 덩어리에 시간의 개념을 결합한 조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는 환경을 표현할 수 있는 적합한 소재이다. 환경미술은 환경의 정의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뉜다. 이러한 환경미술의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작품 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환경미술의 주제와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연구를 통해 환경과 키네틱 아트를 결합한 수업 사례와 작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수업 사례로는 경기학교예술창작소의 ‘환경미술 프로젝트’가 있었다. 이 수업에서는 자연환경에서 체험한 움직임, 질감 등을 모빌로 만들어 표현하는 수업을 하였다. 다음으로, 트레셋의 ‘멸종위기 동물 로봇 만들기’가 있었다. 이 수업은 테오 얀센의 기계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이미 멸종된 호랑이의 움직임을 재현하는 로봇 만들기를 목표로 하였다. 대표 작품으로는 키네틱 아티스트 조병철의 환경 파괴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담아낸 키네틱 작업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은 선행연구를 참고하고 응용하여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구성되며 체험, 표현, 감상 영역별로 고르게 분배하였다. 환경과 나의 관계를 생각하며 잊힌 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환경 속 움직임을 관찰하여 자연환경의 근본 속성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그다음, 키네틱 아트로 이러한 움직임을 구현할 방안을 생각해보고 조별로 작업을 시행한다. 평가는 교사의 실기평가,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실시하여 반영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수업 사례를 참고하여 움직임과 환경이라는 주제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학생들에게 전달하였고 키네틱 작가들이 동력을 활용하여 환경적 메시지를 드러낸 과정을 관찰하여 자기 작품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프로그램은 현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미적 감수성과 창의·융합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수업을 통해 환경 보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고 일상에서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깨닫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환경미술 및 다양한 분야와 예술 영역이 창의적으로 융합되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Advanced technologies have undoubtedly brought convenience to our lives, but they have also led to unintended consequences, includ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a growing disconnection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In response, there has been an increased awarenes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oupled with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need for more proactiv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schools.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llows learners to develop sensitivity and responsibility while experiencing natural environments aesthetically. It also provides cognitive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the face of global environmental degradation, this type of education becomes crucial and meaningful.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school curricula to address these environmental nee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by utilizing kinetic art and specifically design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is program can be conceptualized as follows: Firstly, kinetic art can intuitively express the fundamental forces of the environment, such as the power of wind, the flow of water, and gravity. By incorporating movement, learners can effectively understan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kinetic art, which involves moving artwork, has a greater potential to capture learners' interest and convey messages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stationary objects. Its dynamic nature brings deeper appeal and engagements. Lastly, kinetic art is well-suited for representing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over time. By combining the concept of time with three-dimensional sculptures, it offers a unique way to express the evolving nature of the environment. The environment can be conceptualiz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and programs are designed to help students freely choose subjects from these different categories. They are also guided in making 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environmental art and kinetic art.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works and lessons that combine environmental and kinetic elements : The Gyeonggi School Art Creation Studio conducted a lesson in which students created mobiles that expressed the movements and textures experienced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Second, in Tresart's "Making Endangered Animal Robots," students used Theo Jansen's machine mechanisms to replicate the movements of endangered tigers into the robot form. Additionally, kinetic artist Cho Byung-chul has presented kinetic works that hold social and political meanings with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is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six sessions, equally divided into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rea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how individuals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allowing them to restore forgotten connections and observe the environment to understand its fundamental properties. Participants then explore ways to incorporate these experiences into kinetic art and collaborate on group projects. Peer evaluation, as well as self-evaluation, is conducted and reflected upon during the evaluation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derived from this study delivered methods and ideas to students to connect the topics of movement and environment by referring to existing class cases. In addition, kinetic artists have been observing the process of unveiling environmental messages and applying them in their work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students will develop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nd creative and integrative abilities by experiencing and express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kinetic ar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emerge with a more desirable attitude toward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preciousn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in their daily lives. Lastly,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students with diverse experiences and knowledge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environmental art and various other art fields.

      • 美術 敎育과 環境彫刻 藝術의 敎育的 接近

        이은래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개성, 자율성, 다양성, 대중성울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에 따라 현대 환경 미술 작품들의 양상 역시 변화되어 왔다. 이 같은 변화의 양상들은 환경 조형물에서도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환경조각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문헌연구 중심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환경조각을 통한 미술 교육의 의의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현대의 도시 공간은 인간 활동의 중심지이고 환경조각은 인간이 활동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인간과 정서적, 심리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발달하여 왔다. 오늘날의 환경조각이 인간이 공유할 수 있는 미적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조형요소들의 조화, 균형, 질서가 이루어져야 하며 여기에 건축과 조각의 역할이 크다고 하겠다. 그리스 시대 장식적이고 기념비적인 기능에 지나지 않았던 조각이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 점차 건축에서 독립되어 발전해 오다가 오늘날에는 다시 서로 조화로운 결합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여왔다. 환경조각의 형성과정 속에서 우리나라는 불상, 토속적 Object가 있었으나 이는 상징적 대상으로의 접근이었고, 순수 예술적 의미는 적은 편이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 도시 공간의 환경물은 실질적인 예술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기보다는 한정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단일한 미술 경향을 띠던 과거의 환경물이기에 그러한 경향을 띠었던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현대의 미술 경향은 다양한 흐름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현대 미술은 다양한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세계적인 미술 경향으로, 오늘날의 주된 경향인 모더니즘과 대별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일면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개인적 밀실 속에서 개인의 비기로서 있었던 조각은 Public한 공간 속으로 해체되는 경향을 보이며, 다양한 가치들이 수렴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다시 말해, 잃어버린 시간과 장소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조각을 매체로 한 공동성을 창출해 나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현대의 환경 조각은 상징적 혹은 단일한 가치의 대좌에서 벗어나 환경에 뛰어들면서 현대 도시 공간 속에서 창조적인 미적 가치를 드러내는 시도들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은 우리나라에서 반영되고 있는 추세인데, 과거 비구상적 추상조각 탄생 이전의 상징적 교도적인 것으로서의 기념비적 조각이었다면, 오늘날의 환경조각은 과거의 환경조각과 비교할 때, 그것이 놓여있는 공간을 심미적으로 풍요롭게 하는데 그 주된 가치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조각은 인간이 정서적, 심리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시간적, 공간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바로 여기에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다양한 경향을 반영하고 있는 현대 환경조각은 다양한 시각과 창조적인 안목의 견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교육에 적절히 접목 반영하면 학생들에게 있어서 미적 정서의 함양은 물론이고, 창조적인 발상 및 성숙한 인격체로서의 성장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는 학생들이 현대의 환경조각을 통해 미적 가치를 함양하고, 함양된 안목을 통해 창조적인 표현활동 및 감상 활동을 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그리고 미술 교육에 있어 궁극적인 목표도 이와 일맥상통한다고 보면, 미술교육은 환경조각을 통한 교육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창조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환경조형물의 개념 파악을 시작으로, 크게, 공공미술로서의 환경조각, 환경미술로서의 환경조각,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의 환경조각에 대한 개념 정리를 하였다. 그 다음으로 환경조각의 이해를 통하여 환경조각의 기능 및 의의를 탐색하고, 환경조각의 조형적 요소에 대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환경조각을 크게 설립목적과 지각적 경험적 측면에 따라 분류하여 탐색보고, 현대의 환경미술과 현대조각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환경조각에 대한 이해와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까지 시대적 흐름과 무관하지 않은 환경조각의 양상과 흐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에 있어서의 그 방향과 대안 모색에 있어 도움이 되었다. 오늘날의 미술교육에 있어서, 환경조각의 교육적 접근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미적체험활동을 통한 접근, 표현활동을 통한 접근, 감상활동을 통한 접근이 그것이다. 우선, 학생들의 미적 체험에 관한 고찰하여 보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미적 감수성을 길러줌으로써 생활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게 함을 물론, 학생들이 주어지는 환경을 그저 살아야 하는 운명적 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자신이 환경을 친 자연적이고 친 인간적인 것으로 개선하고 가꿀 수 있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바라볼 수 있도록 의식의 깨우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는 시각 환경에 우선 관심을 갖고 그것들을 나름대로 읽고 판단하고 이해하고 분석하고 비평하고 개선해 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환경조각을 통한 교육은 가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박물관이나 책에서 찾는 미술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찾는 미술, 이것이 소양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보편교육으로서의 미술, 학교에서 추구해야 할 미술교육을 달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요컨대, 교육적 접근을 통한 환경조각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는 것은 첫째, 학생들이 이 교육적 가치를 함양하여 성숙한 인격을 갖출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둘째, 본 연구에서 수행한 환경조각의 발전과정과 양상에 대한 모색은 곧, 다양한 교육적 가치 발견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셋째, 환경조각의 교육적 가치 모색은 창조적이면서 발전적인 환경조각이 나타나게 하는 기반을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환경조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조각에 관한 교육적 접근을 수행하였다. In keeping with the trend of post modernism placing emphasis on individuality, autonomy, diversity, and popularity, aspects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art has been also changed. The aspects of this change can also be found in environmental sculptur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by conside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in art education focused on documentary study. Contemporary urban spaces are the center of human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been developed while forming close relationships with human beings in terms of emotion. In order for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to have aesthetic value human beings can share, harmony and balance of plastic elements should be attained. Actually finally, mentioned in study, architectures and sculptures has play a significant role. Sculptures were limited to decorative function in Greek period however today's sculptures show harmony and balance after sculptures have developed since the age of Renaissance. There were buddhist statues and native object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sculptures in Korea but it was limited to symbolic meaning and lacked purely artistic meaning. Environmental sculptures of urban areas in the early delivered limited message to citizens instead of providing artistic features citizens can share. The reason for the limited function of previous environmental sculptures was due to conventional unitary art trend. However, today's art thrend shows pluralistic image. Pluralistic trend in art is prevalent throughout the world and it reflects post modernism. This attempt is to active in Korea. Previous sculptures were limited to symbolic functions while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place emphasis on aesthetic effect on citizens.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the values human beings can share emotionally and for this reason,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approach for environmental sculptures.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reflecting diversity enables citizens to have diverse perspectives and creative thinking. If the merit of today's environmental sculptures is applied to education appropriately, it enables students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and aesthetic emotion and to grow as accomplished person. This goal can be attained by providing students with a lot of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inking, appreciate artwork and enhance eyes for aesthetic values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As the ultimate goal of art education coincides with the objective mentioned above, art education should be given by making good us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Hereupon, this study organized concepts -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environmental sculptures as public art, environmental sculptures as environmental art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from the viewpoint of post-modernism. Then,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examined by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plastic elements were examined focused on relevant documents and advance research. Then, the aspects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sculptures were examined by studying the trend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art and sculptures by classifying sculptures according to installation purposes. Examined the aspects and trend of sculptures from Greek age to modern times helped to find directions and solutions for educational approach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today's art education, educational approach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be classified the following three methods -approach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expression activities and appreciation activities. Leading students to appreciate aesthetic value enables them to enjoy art by enhancing aesthetic sensibility and to have active attitude toward life by awakening to themselv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addition, the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leading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visual environment and understand and appreciate it. Art education should be given by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njoy artworks in the daily life instead of textbooks or museums. Educational values by making good us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At first, it enables students to have mature personality by enhancing educational values. Secondly, consideration for aspec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onducted in this study can enhance the possibility of finding diverse educational values. At last, to seek the educational valu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can contribute to building the foundation to develop more outstanding and creative environmental sculptures. Educational approaches toward sculptures were conducted based o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culptures.

      • 도시 속 환경조각을 활용한 도시환경미술교육 방안 연구

        박혜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A convivial urban cultural environment enables people in the city to lead a happy and comfortable life, by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of nature and its beauty, and combining the functions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created by man with the aesthetic elements of environment design. The scopes of ornamental artworks inclining toward public arts range form sculptures to the whole fields of fine art, and are adopting some concepts form environment design. Any building object has its own roles as a complete structure in the city landscape. We may realize an aesthetic sense through various forms of artistic objects in the city such like signboards, overpasses, pedestrian roads, street lights, benches and road sign etc. A well-organized architectural environment helps people relieve their emotional disorder and psychological uneasiness, and eventually enhances the quality of city life with its visual and spiritual beauty. Human being would recognize information by his eyes. A man would see any image based on his experience. So,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be systematically trained form their childhood in order to have a correct view regarding the given environment. This study is launched from the object to awake our consciousness for the active behavior from the passive attitude regarding the given environment. After thinking an urban environment and studying the method to improve our environment, for a good education of the beauty and considering the public in preference to the private, I have led this study as followings; First, the method by experiencing the beauty I have carried on the lesson in which students would contact the public art near their school with their teacher, and the homework which students think their opinions and make reports regarding any public works of art acknowledged by their research through any reference after they looked around and took photographs. The discussion lesson has made a student understand that he has different idea from others and this understanding has made students recognize the general concept of the beauty and take an ability to criticize the public art. Second, the method by expressing Based on the activities of appreciation and experience with the subjects as like "decorating the beautiful park" the modeling has let a student acquire the real concept of space and the active and positive sense of the beauty and the modeling. Third, the method by appreciating The appreciation of reference has let a student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public works of art and an urban environment and consider a value and a condition of the public works of arts and a proper figure of an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discussion lesson. Other student's idea and representing ways on a city and an environment were shared regarding not only the portfolio about the process of work but also the art exhibition. The lessons as mentioned above were proceeded to critically estimate the public arts and an urban environment and to think a proper shape of city and the direction of the public art. It would take a long time for an urban environment to be changed and it is not easy for the fixed shape of city to be modified. And it is not proper that all shapes of city are managed by the experts and that any stories of inhabitants cannot be incorporated in city. It is the aim of the art lesson and one of the proper investments that students are grown as future leaders with abilities in order to carry into practice with a critical and unbiased view on the future public art and an urban environment. 쾌활한 도시문화환경은 자연의 원형을 가급적 보존하면서 그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공조형물들의 기능과 환경디자인의 측면을 겸비한 세심한 배려를 함으로써 도시에서 살고 있는 사람에게 참으로 행복한 삶을 누리게 할 수 있다. 공공예술을 지향하는 미술장식품 제도는 조각에만 국한한 것이 아니라 미술의 전 분야이며 환경디자인의 요소까지 확산하고 있다. 건축물 자체도 하나의 완결된 조형물로서의 역할을 하고 거리의 간판이나 구조물인 다리, 육교, 보도, 가로등, 의자, 표지 및 게시판 등도 조형적 요소로서 시민들에게 미의식을 제공해 준다. 환경조형물은 도시민들의 정서적, 심리적 불안을 불식시키고 도시환경을 시각적인 아름다움으로 더욱 향상시키며, 그 정신적 차원을 높여줌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인간은 정보의 대부분을 시각을 통해 받아들이며 어떤 이미지를 볼 때 대부분은 자신이 경험한 것을 토대로 본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어릴 때부터 주어지는 환경에 대해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환경을 환경답게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주어지는 환경을 그저 살아야하는 운명적 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자신이 환경을 친 자연적이고 친 인간적인 것으로 개선하고 가꿀 수도 있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바라볼 수 있도록 의식을 깨우는 것에서부터 출발했다. 학생들이 도시 환경에 대해 생각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을 개선해 볼 방법을 연구해 보고, 환경미술과 함께 도시의 미래를 생각해보는 수업을 통해 올바른 미적 교육과 나보다는 남을 생각하고 개인보다는 공공을 먼저 생각하도록 하고자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미적체험활동을 통한 미술교육 방안이다. 학교주변 공공장소인 공원을 교사와 함께 견학하는 수업의 형태와 공원에서 직접 체험한 것을 사진으로 찍고, 공원의 지도를 그려봄으로써 도시환경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토론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미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알게 되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미의 개념을 인식하게 되며, 환경미술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키울 수 있도록 했다. 둘째, 표현활동을 통한 미술교육 방안이다. ‘아름다운 공원 만들기’와 같은 주제를 가지고 학생들이 감상활동과 체험활동을 통해 생각해 두었던 것들을 바탕으로 조형물 모형을 제작해 봄으로써 현실적인 공간개념을 키우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미의식과 조형감각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감상활동을 통한 미술교육 방안이다. 참고자료 감상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환경조각과 도시환경에 대해 개념을 알아보고 사진자료나 토론 수업을 통하여 환경조각의 가치와 조건, 도시환경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였다. 작품 진행과정을 담은 포트폴리오와 자기작품평가서를 통해 도시와 환경에 대한 서로의 생각이나 표현방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개한 수업은 학생들이 환경조각과 도시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비판적 시각으로 보며 올바른 도시의 모습과 도시속의 환경조각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도시의 환경이 변화 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고 한번 이루어진 도시의 모습이 변화를 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리고 도시의 건설과 환경조성을 전문가에게 맡기고 정작 도시의 삶을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을 수 없다면 그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미래의 바람직한 도시환경에 대해 비판적인 안목과 바른 시각을 가지고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장래에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환경조각을 통해 도시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이 미술교육의 몫이며 미래를 위해 바람직한 투자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