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과화행 교육 연구

        김소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화용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화행에 대한 연구도 늘고 있다. 그 중 사과화행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다양한 경우에서 예기치 못하게 사과할 상황을 만나게 되었을 때 사과 발화자와 사과 수용자 사이에 부정적인 인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법 능력이 필요함은 물론이고 상황과 맥락에 맞는 적합한 발화를 할 수 있는 화용 능력이 요구된다. 모국어 화자와 다른 환경에서 자라온 학습자는 모국어 화자처럼 상황에 맞게 화행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사과화행에 있어서 양국 간의 언어 구조적, 문화적 요인에서 오는 차이를 인식하고, 중국인 학습자가 실제 의사소통에 있어 사과 표현을 좀 더 자연스럽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동시에 의례성과 공손성이 내재된 한국어 사과 표현에 대하여 중국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밝힌다. 한국 드라마 4편과 중국 드라마 3편에서 출현한 사과화행의 양상과 사과 표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양국의 드라마에 나타난 사과화행과 의례성을 띤 사과 표현의 차이점 가운데 중국인 모어 화자가 알아야 할 부분은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과화행의 전략을 사용하는 데는 한국에서는 직접적인 사과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한다. 둘째, 화자가 청자에게 무엇인가를 요청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상대방에게 겸양의 의미를 나타내며 요청을 뜻하는 표지가 사용되지만, 한국에서는 사과 표현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셋째, 화자가 청자의 요청을 거절하는 상황에서 상대방의 체면을 고려하여, 사과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어쩔 수 없이 거절하는 것이더라도 거절의 이유만 밝히는 것보다 사과 표현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한국의 정서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다. 넷째, 공손한 대답의 의미로 사과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중국에는 거의 없으므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점을 인지하지 못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에서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경우 상대방은 당황스럽거나, 화자가 예의가 없다고 오해할 수 있다. 특히 직장, 학교 등에서 맺은 공적인 인간관계에서 적절한 사과화행과 사과 표현을 사용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과 표현을 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한국인은 어떤 전략을 사용하여 사과화행을 발화하는지, 사과 표현의 의례적 용법은 어떠한지 중국인 학습자가 이해한다면 더욱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재한 중남미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화행 사용 양상에 대한 질적 연구

        오은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재한 중남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유형이 요청·거절 화행 사용 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심층 면접이 이루어졌으며 심층 면접의 내용에 기초하여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화행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문화적응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화행 이론과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바탕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연구참여자에 대한 정보, 자료수집 방법, 윤리적 고려, 연구자의 선(先)이해, 자료 분석방법에 대해 진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연구참여자별로 문화적응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화행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문화적응 유형은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되었는데 먼저 Barry (2001)의 척도를 활용하여 양적인 값을 구하였고, 둘째로는 심층 면접에서 응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적응 유형에 해당하는 응답을 분류하여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 C의 문화적응 유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연구참여자들의 문화적응 유형은 값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해 개인이 인식하고 있는 문화적응 유형과 인식 기저에 깔린 실제 문화적응 유형이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화행 사용 양상 역시 연구참여자 마다 개별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에게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하였다. 첫째, 문화적응 유형은 화행 사용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공적인 발화를 위해서는 문화적응 유형보다는 개인의 의사소통능력 중 사회언어적 능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양적 연구 중심의 화행 연구에서 벗어나 질적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 문화적응 유형은 개인의 화행 사용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여기에 선행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중남미 유학생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중남미 유학생의 화용적 특성에 대해 다루었다는 점도 의미를 지닌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화행 사용 양상에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단순히 문화적응 유형만을 가지고 한국어 숙달도를 양적으로 살펴보았던 것에 많은 시사점을 주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은 먼저 연구참여자의 적은 수로 인하여 일반화가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수많은 화행 가운데에서 요청·거절 화행만을 살펴보았으며 그 안에서도 대학 생활과 관련한 상황에 대한 분석만이 이루어져 아쉬움이 남는다. 이와 관련한 한계점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to analytically examine effects of the acculturation patterns of the students from Latin America studying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of using speech acts in rejecting requests in particular.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pattern of speech acts depending on the type of acculturation was analyz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Chapter 2 examines relevant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acculturation, the theory of speech act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respectively, thereby coming up with a theoretical basis required for this study. Chapter 3 where a qualitative study methodology for this study was explained, in which information on the study participants, data gathering methods, ethical consideration, previous understanding of the author and the method of analyzing data were described. Chapter 4 analyzes the type of acculturation participant by participant, and examines the ways speech acts are used as a result. The type of acculturation was analyzed on the two levels. First, a quantitative value was found, making use of the Barry’s (2001) yardstick. Second, respons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acculturation were divided and frequencies were measured, based on the responses.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type of all the study participants’ acculturation turned out to vary with the exception of that of the participant C’s. Such comparative analyses indicate that the type of acculturation an individual perceives and the actual cultural type underlying the perception could vary. While the pattern of speech acts used depending on cultural type was also analyzed individually study participant by study participant. The findings from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 First, the type of accultur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use of speech acts. Second, for successful utterances, sociolinguistic capability of the individual concerned out of communication competences has significant effects rather than the type of accultu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a qualitative research, breaking away from existing studies with a focus on quantitative study, and that it clarified that accultur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peech act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study selected students from Latin America, seldom invited as study participants before, and addressed pragmatic features of the students from Latin America. Above all, the study conveys several implications concerning previous study practices that examined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a quantitative manner in terms of the type of acculturation alone by clarifying that the pattern of an individual’s pattern of using speech acts is affected by a variety of socio-cultural factors. This study has its limit attendant upon a qualitative study on the other hand. First, the study has its limit in that it is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findings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Besides, the study examined the speech act of refusal to requests alone out of numerous speech acts, and that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situation related with a university campus life alone, to the regret of the researcher. It is hoped with expectation that such limits could be complemented by further studies.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요청 화행 연구 : 한·중 예능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왕옥영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请求言语行为是我们日常对话中不可避免的一种语言行为。请求言语行为研究也一直是语用学领域的热门话题。因为韩国,中国同属东亚文化圈,并且都受到儒学文化的影响,所以,文化有很多相通之处。随着韩,中两国之间的交流日益增加,两国的留学生,以及跨国婚姻家庭也随之增多。但是韩国人与中国人的思维模式,民俗习惯有很大的不同。因此,在跨文化语言交流中,特别是进行请求言语行为时,不恰当的表达方式很容易发生误会及词不达意的情形。本文为了避免这种情况,使韩国语学习者及中国语学习者可以更加了解两国母语者的言语习惯,因而对两国请求言语行为策略的使用进行了对比研究。 关于请求言语行为的先行研究当中,大多数以问卷调查,教材分析,以及电视剧剧本分析为研究材料。而本文是以更贴近现实生活,更加口语化的综艺节目-<爸爸去哪儿?>中出现的请求对话为研究材料,对韩,中请求策略的使用进行了研究。 第二章阐明了两国的请求言语行为的概念和请求言语行为的基本构造的同时,以两国前人研究当中对请求策略的分类标准为基础,整理出了两国代表性的请求策略及表达方式。 第三章本文根据年龄,社会权利,社会距离等社会因素对请求策略使用的影响,设定了六个请求场景,对综艺节目-<爸爸去哪儿?>中出现的对话进行了整理分类,并且统计了各请求策略的使用频率。对各场景中,请求策略的使用特征进行了总结说明。 第四章将两国母语者的各请求策略使用频率进行了对比。并对各场景中,两国母语者对请求策略使用的相同点和不同点进行了归纳说明。 通过以上研究,本文希望可以对韩,中文学习者在提高外语口语方面,以及韩语,中国语教学方面提供帮助。但是由于以<爸爸去哪儿?>为研究材料,所以限定了对话者的关系,没能涉及到师生关系,公司上司与职员的关系等其他社会关系。因此,希望以后的研究者可以在这方面加以研究。 关键词: 请求言语行为 综艺节目 社会因素 请求策略 使用频率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화행 전략 연구

        응웬 티 응옥 란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by contrast-analyzing the patterns of use of Refusal Speech Acts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examine the use of refusal strategies by Vietnamese learners using this as the basi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so as to find a more effective refusal speech act education-learning method for Vietnamese learners. Although the demands and goals for learning Korean in language education are gradually diversifying, natural communication skills like that of a native speakers are the ultimate goal of most learners, and it is the role of researchers and teachers to help them in an effective way. Therefore, in this study, to enhance the speaking skill of korean language, a method on pragmatic education is used and among them, ‘refusal’, which has a high probability of pragmatic error is selected and studied. In particular, if you look at the studies of Refusal Speech Acts targeting Vietnamese learners, it is not only quantitatively insufficient, but also in terms of content, the main discussion point is biased toward comparing Korea-Vietnamese refusal strateg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that helps educationally in improving the learners' ability to use the speech acts of refusal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lack of proficiency in Vietnamese learners when compared to native Koreans in using Korean language refusal strategies and ultimately find answers to “Why is teaching-learning of refusal speech acts a requiremen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and “How should the content of refusal speech acts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be improved?”. It also aim to provide the basic opinion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explored by examining existing studies and understanding the flow of discussion on refusal speech acts in general.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refusal speech act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was revealed, and the corresponding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were described. Chapter 2 summarizes the two dimensions of politeness theory and refusal speech act theor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ts up a framework for refusal speech act analysi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olite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the Korean refusal speech act and that refusal strategies can be subdivided into direct refusal, indirect refusal, and additional strategies. And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refusal speech acts prepared here will be a guideline for further survey and analysis of textbooks. Chapter 3 a survey was conducted concerning to when performing the speech acts of refusals. Specifically, the study subjects were set to 30 students in each group of native Korean speakers and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limited to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Discourse Appropriateness Intuition Test’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36 items consisting of induced dialogue behaviors and social variables were constructed and contrast-analyzed in order to closely examine the subjects’ refusal speech acts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regardless of the situation,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not able to speak naturally compared to native Koreans, and in many cases they give an impression of disgracing the other person through refusal speech. Chapter 4 dealt with the analysis of textbooks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s of Korean refusal speech acts in Vietn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urvey, the problems of the teaching-learning content of refusal speech act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revealed, and furthermore, the direction of effective refusal speech act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was suggested. Specifically, this paper intend to suggest a refusal strategy, the composition of a unit about refusal, and the suggestion of the refusal speech act in education direction. Finally, Chapter 5 concludes the study by summariz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nd suggesting follow-up tasks. This study is a part of refusal speech act education centered on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has been lacking thus far,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took the first step in examining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refusal speech act through textbooks. It is suggested that we continue to consider expanding to learners for various academic purposes to prepare a specific instructional model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사용 양상을 대조·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거절화행의 특징을 탐색하고 이를 근거로 삼아 베트남인 학습자의 거절 전략 사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나아가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더욱 효과적인 거절화행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교재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교육에서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와 목적이 점차 다양화되어 가고 있지만 모어 화자와 같은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능력은 대부분 학습자의 최상의 목표이며, 이것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돕는 것이 연구자와 교사들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좀 더 자연스러운 한국어 말하기를 위한 방법으로 화용 교육, 그 중에서도 화용적 오류 가능성이 높은‘거절’을 선택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거절화행의 연구들을 보면 수량적 측면에서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 측면에서도 주된 논의거리는 한-베 거절전략을 비교하는 데에 편향되어 있고 학습자를 위한 거절화행 사용 능력 신장을 교육적으로 도와주는 논의를 찾기 힘든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가 한국어 거절 전략 사용에 있어 한국인에 비해 구사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탐색하고자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왜 거절화행 교수·학습이 요구되는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화행 교육 내용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으며, 본고의 시사점을 통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화용 교육의 기틀을 잡아가는 데에 필요한 기초적 견해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 전반적으로 거절화행에 대한 논의의 흐름을 파악함으로써 본고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거절화행의 필요성을 밝히고, 이에 해당하는 연구의 절차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공손 이론과 거절화행 이론의 두 가지 차원에 대해 정리하고 거절화행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하여 공손성은 한국어 거절화행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거절전략을 직접 거절, 간접 거절, 부가 전략으로 세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마련한 거절화행 분석의 틀은 이후의 조사와 교재를 분석하는 데에 지침이 될 것이다. 제3장에서는 거절화행 실현 양상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사 대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각 집단 30명씩으로 설정하고 학문 목적 학습자로 한정시켰다. 조사 방법으로는‘담화 인식 적절성 조사’를 이용하며, 피실험자의 거절화행 전략을 면밀히 고찰하기 위하여 유도화행과 사회적 변인으로 이루어진 문항 36개를 구성하여 대조·분석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상황을 막론하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인에 비해 자연스럽게 구사하지 못한 점들이 발견되고 거절 발화 속에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하게 하는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제4장에서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거절화행 교육 내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재 분석을 다루었다. 앞서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재에서 제시된 거절화행 교수·학습 내용의 문제점을 밝히고 나아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거절화행 교육의 방향을 시사하였다. 구체적으로 거절 전략 제시, 거절에 관한 단원 구성, 거절화행 교육 방향의 등을 제안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고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을 정리하고 후속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미흡했던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거절화행 교육의 일환이며, 교재를 통한 베트남의 한국어 거절화행 교수·학습 내용을 살펴보는 데 첫 걸음을 밟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양한 학문 목적 학습자로 확장되어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마련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다는 것은 향후 연구를 통해 계속 고민해 가자고 한다.

      •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학습을 위한 연역적 교수와 귀납적 교수 효과 비교

        성아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 of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 to increase Korean language learner's expressional and strategical competence in refusal speech act situation after instructing the learners in each method. The existing studies in speech act have supported the effect of explicit pedagogical methodology through experiments. In this study, based on those existing researches, we selected the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s that considering explicit instruction as the prerequisite. For detailed definition of the deductive and inductive condition, we applied the Decoo(1996)'s method in this study. We tried to answer four research questions throughout the study, and made hypotheses in terms of definition of the learners, refusal speech act competence and strategical aspect. The first question asked was weather the teaching regards of the refusal speech act exerts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confidence enhancement. For this ques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treatment group and the deductive treatment group would show more confidence in the refusal speech ac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inductive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And such confidence would last long, and the confidence toward the refusal speech act would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Second question was whether the appropriate improvement in learner's refusal speech act occur after teaching of the refusal strategy and expression. To measure the learners' competence in speech act, we evaluated writing and speaking separately, and analyzed how each group with different treatment reacts. For this ques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treatment group and the deductive treatment group would show more appropriate refusal writing and speaking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inductive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e third question was if the effect of such teaching in the refusal speech act would last longer after some time. And we hypothesized that the effect of learning in both writing and speaking would last long-term i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deductive treatment group would show longer effect than the inductive treatment group. The fourth question was about the treatment group's preferred strategy, which we hypothesized that each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the preferred strategy in general and in terms of the situation they encounter. To test our hypothesis, we divided 30 intermediate level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to deductive treatment group, inductiv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conducted the test for five weeks starting from the pilot test. As a result, both treatment groups show significant increase in confidence in the refusal speech a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and the confidence of two groups last long-term in significant level after the time pass. No difference is found in confidence level depending on the empathic and familiar relationship among the group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mprovement in learners' refusal speech act, the treatment groups show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writing and speak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t is indicated that both treatment have similar effect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refusal speech act learning. Analyzing the lasting effect of the teaching effect, decrease of score in inductive treatment group slightly deviates from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which indicates the treatment is slightly weaker in lasting the teaching effect. However, since such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was not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hat the lasting effect of teaching is similar between two treatment groups. The fact that two treatment group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the results related to speech act competence might be because that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treatment groups are included in the explicit instruction, and the similar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both group. Finally, to measure the preferred strategy, we analyzed the proportion of the preferred strategy among the groups. All three groups preferred the reason/evidence suggestion strategy before the treatment; however, after the treatment, the preferred strategy of the two treatment groups have changed into the apology strategy. In terms of the preferred strategy by each variable, the preferred strategy depending on the emphatic/familiar relationship do not show big difference. However, it was different in the differential power. When the power is not different or the counterpart is stronger than the speak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rategic difference in speech act. However, when the counterpart is weaker than the speaker, all groups preferred the apology strategy. Although, there are some variations in preferred strategy within group, in general, the preferred strategies are limited to the reason/evidence suggestion and the apology. This study wan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ing of speech 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speech act competence, based on the speech act related studies like those of Rose & Ng (2001), Takimoto (2008).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ductive and inductive treatment, two groups show similar teaching effect in general. There was almost no study in refusal speech a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or the application of the inductive and deductive approa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howing objective supports for the possibility of these two approaches in refusal speech act instruction. 본 연구는 학습자의 화용 능력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거절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과 표현을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에 따라 교수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화행 교수 방법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명시적 교수 방법의 효과를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는데,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 기반하여 교수 처치 방법으로 명시성을 전제한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을 선정하였다. 연역과 귀납에 대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 Decoo(1996)을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4가지로,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 화행 수행 능력 측면, 전략 사용의 측면으로 나누어 연구 가설을 세웠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거절화행에 대한 교수가 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인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처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연역적 처치 집단이 귀납적 처치 집단보다 거절화행 수행에 자신감을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이러한 자신감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지속될 것이며 거절화행에 대한 자신감은 상황 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거절 전략과 표현에 대한 교수 처치 후 학습자의 화행 수행 능력이 적절하게 향상되었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학습자의 화행 수행 능력을 좀 더 세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평가 영역을 쓰기와 말하기로 나누었으며 처치 집단별로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 처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연역적 처치 집단이 귀납적 처치 집단보다 더 적절한 거절화행 쓰기와 말하기를 수행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거절화행 교수 효과가 시간이 경과하여도 지속될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처치 집단에서의 교수 효과가 쓰기와 말하기 모두에서 지속될 것이며, 연역적 처치 집단이 귀납적 처치 집단보다 교수 효과를 더 잘 유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네 번째 연구 문제는 처치 집단의 선호 전략에 관한 것으로 실험 집단에 따라 선호하는 전략이 있을 것이며 상황 변인별로도 다른 전략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중급 수준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을 연역적 처치 집단, 귀납적 처치 집단, 통제 집단으로 나누고 사전 시험을 시작으로 5주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우선 두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거절화행 수행에서 유의미하게 자신감 상승을 보였다. 처치 집단 간 점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하여도 두 집단의 자신감 상승은 유의미하게 지속되었다. 친소 관계에 따른 자신감의 정도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습자들의 화행 수행 능력 향상 여부를 살펴본 결과, 통제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처치 집단의 점수 향상이 쓰기와 말하기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두 처치 방법은 학습자의 거절화행 학습에서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교수 효과의 지속성 여부를 살펴보면, 연역적 처치 집단에 비해 귀납적 처치 집단의 말하기 평가 점수 하락이 유의 수준 0.05를 근소하게 벗어나 교수 효과가 다소 유지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처치 집단 간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교수 효과 지속성 역시 두 처치 집단이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화행 수행 능력과 관련한 대부분의 결과에서 두 처치 집단이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연역적 처치 집단과 귀납적 처치 집단이 모두 명시적 교수 방법에 포함되어 있으며 두 집단이 수행한 활동에 유사한 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호 전략 측정을 위해 실험 집단의 선호 전략 비율을 살펴본 결과 세 집단 모두 교수 처치 전에는 이유나 근거 제시 전략을 선호하였으나 교수 처치 후 두 처치 집단의 선호 전략이 사과하기로 바뀌었다. 변인별 선호 전략을 살펴본 결과, 친소 관계에 따른 선호 전략은 친소 여부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힘의 크기에 따라서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힘의 크기가 자신보다 크거나 동등할 때는 화행 실현에서 전략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힘의 크기가 자신보다 작은 경우에는 집단이나 교수 방법에 상관없이 모두 사과하기 전략을 선호하였다. 집단 내에서 선호 전략에 약간씩의 변화를 보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선호 전략이 이유나 근거 제시와 사과하기로 한정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Rose와 Ng(2001), Takimoto(2008)을 비롯한 화행 관련 실험 연구를 바탕으로 화행 교수가 학습자의 화용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역적 처치 방법과 귀납적 처치 방법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두 처치 집단은 비슷한 교수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거절화행과 관련된 실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화행 교수 효과 실험에 연역적 접근법과 귀납적 접근법 역시 적용되지 않았다. 거절화행 교수에 이러한 두 접근법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객관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한국인의 불평 화행 연구 : TV 토크쇼 및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곽소로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화행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 화행에 대한 연구, 특히 사과 화행, 요청 화행, 거절 화행, 부탁 화행 등의 연구는 많이 있는 반면에 불평 화행에 대한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 불평 화행은 다른 사람의 체면과 자존심에 관련되는 행위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잘 사용하지 못하면 청자와 화자 사이에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각 언어권마다 문화, 사고방식, 생활습관 등이 다르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이를 충분히 이해해야 된다. 불평 화행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은 한국어와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불평 화행의 양상 분석이나 불평 응답 화행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는 내용이다. 그 중에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구는 많이 찾을 수 있지만 다른 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불평 화행 연구는 별로 많지 않다. 또한, 선행 연구 중의 대부분은 불평 화행 양상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실제 생활에서 불평 화행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떤 대화 상황에서 사용하는지 등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별로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TV 토크쇼 및 예능 프로그램에 나타난 불평 화행의 실제를 분석·고찰함으로써 불평 화행의 특징을 찾아내고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불평 화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V 토크쇼 및 예능 프로그램에 나타난 불평 화행에 대해 화행의 전략, 적용하는 사회적 변인 등의 두 가지 방향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인의 불평 화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해 불평 화행에 대한 교육 제안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서론 부분은 한국인의 불평 화행에 대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내용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 화행의 정의와 불평 화행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불평 화행 정의는 선행 연구에 나타난 정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불평 화행에 대한 정의도 제시하였다. 불평 화행에 대한 분석은 불평 화행 전략과 사회적 변인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3장에서 분석 대상인 TV 프로그램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분석 방법도 제시한 다음에 선정된 8가지 프로그램에 나타난 불평 상황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 3장을 바탕으로 각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전략의 사용 빈도와 각 전략에 적용하는 사회적 지위와 친소 관계의 사용 빈도를 정리하고 한국인의 불평 화행의 사용 상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 불평 화행 교육에 대해 제안을 제시하고 앞에 연구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마무리하였다.

      •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사화행 실행 양상 연구

        타바콜리 사하르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speech act of greeting is one of the basic cultures of a community and is closely related to 'politeness'. it reflect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d maintaining human relationships. Therefore, when learning other languages and cultures, it is necessary to compare one's native language and its own culture in order to make speech appropriate to the society and reach the final goal of smooth communic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ocial culture and use appropriate speech and strategies suitable for the language culture rather than relying on one's native language. This study examines the greeting speech behavior of Irania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this end, examines Korean and Iranian greeting speech behavior from a cross-cultural point of view, and explains the errors caused by the differences. Situations in which such errors may occur were found with two research tools, in-depth interview and drama analysis,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main research tool, Discourse Completion Task (DCT),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fering the speech act of greeting bye Iranian language and Iranian culture, inappropriate use of similar vocabulary or similar grammar, lack of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written and spoken language, inability to use expressions suitable for formal and informal situations, and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and using casual and honorific words were the reasons found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unable to use speech act of greeting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proper speech act of greeting was not learned or was not used even though it was learn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showed what kind of education is needed for Irania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ed some advises for improvement. The main questions of this paper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t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Iranian and Korean speech act of greetings. Second, it is to look at what errors Iranian Korean learners make in speech act of greeting and finally, what are the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m. The structur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1,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speech act of greeting was discussed. In Chapter 2, the definition and type classification of speech act of greeting were re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speech act theory and cross-cultural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speech act of greeting were summarized. Greeting is a cultural element that has been rooted in language life from an early age and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and culture in the most primitive way. In this chapter, we also looked at greetings from a conversational phases view. The conversation phase in which greetings occur was viewed as an initiation phase, an intermediate phase, and an end phase. Next, the 'politeness' theory related to the aspect of being polite was also explained. At this time, how politeness is revealed in Korean and persain language is also organized. In Chapter 3, the reas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ools were introduced. The main tool of this study is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ram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receded for tool design. This was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and to obtain more accurate results. This is because the preceding dram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are considered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In this chapter,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dramas 'My Father is Strange' and 'Rental House', which are the subject of analysis, and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were explain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These results well reflected the first point of this thesis, the difference in speech act of greetings between the two cultures. Next,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5 advanced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dram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situations with various elements of 'intimacy', 'social distance', and 'burden' were included in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In addition, the oral discourse completion test and the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 were designed and conducted separately, showing differences in face-to-face situation, telephone situation, and text (writing) situation. Anniversary greetings, congratulatory greetings, consolation greetings, formal greetings, first greetings, ceremonial greetings, gratitude greetings, and greetings while eating situations were examined. A discourse completion test was conducted with 25 Irania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s study subject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ir early 20s and had been studying Korean for 4-6 years. Studying abroad was the most common motive for studying Korean, followed by learning as a hobby.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were self-taught or learners who attended King Sejong Institute. In Chapter 4, the spoken DCT and the written DCT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Iranian language, cultural interference, and factors that violate politeness. In addition, the factors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situatio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criteria. Pragmatic failure can appear as a difference in strategy use and express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ranian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similar vocabulary or similar grammar in Korean in inappropriate situations, or translate Iranian expressions into Korean. Examples include pragmatic failures such as 'congratulations', 'please', 'work hard/struggling', and 'you' ('축하하다', '제발', '수고하다/고생하다', '당신'). Also, they cannot use appropriate titles or distinguish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people do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polite speech and honorific speech. Unlike Koreans, the respondents expressed what they wanted to say in long sentences, found to be hard to understand. Other than that, I was able to see that Iranian expressions were directly translated into Korean using a translator. An example of this is using '천만에요' when you want to say 'khahesh mikonam'(please). When examining the element of 'burde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any pragmatic failures in face-to-face or phone situations (i.e. spoken DCT) where the burden is low, whereas in texting situations (i.e. written DCT), it is a factor that does not affect the speech act of greeting. Of course, pragmatic failure occurs because of the burden felt according to the good or bad situation. This is to pay more attention and speak when the pressure is high, recognizing that there is no opportunity to immediately correct your speech while continuing the conversation in a face-to-face or phone situation.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e burden is less in written conversation because there is an opportunity to correct while having enough time to write the text. Next, if you look at social distance and intimacy, you can find many such errors when there is no social distance between close friends and when there is social distance and no close relationship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n error caused by relying on the Iranian language and culture in a familiar and everyday situation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the two factors. Of course, this is also the case of situation which speech act of greeting was not learned in Korean.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pragmatic failure of Iranian Korean learners is largely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Iranian language and Iranian culture, the inappropriate use of similar grammar or vocabulary in Korean, and the inability to use what they have learned or because they have never learned what to say in those situations. Next, the education method was reviewed along with the analysis results, and improvement methods were presented. We looked at the way respondents studied Korean languag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Koreans they knew and were close t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greeting speech acts, it can be said that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is to explicitly teach them along with other expressions in appropriate subjects in the textbooks. In other words, it would be effective to teach greeting speech acts as supplementary activities suitable for teaching and learning topics by using them in various situations. Activities such as making interesting videos, showing scenes from dramas, and role-playing can be used as such auxiliary activities. In Chapter 5,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rehensively summariz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Since the TOPIK exam could not be held in Iran from 2020 due to corona, the diversity of research subjects remains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n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find a specific and efficient education plan along with improving these problems. 인사화행은 한 공동체의 기본적 문화이며 '공손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인사행위는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사회문화적 특징을 반영한다. 따라서 다른 언어문화를 학습할 때 그 사회에 맞는 발화를 하고 최종적인 목적인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달하기 위해서 자국어와 자국 문화와의 비교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그 사회문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자국어에 의존하기보다는 그 언어문화에 맞는 적절한 발화와 전략을 사용하게끔 한다. 본 연구는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사화행 양상을 살피고 이를 위해 한국어와 이란어 인사화행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차이를 인한 오류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들을 심층 인터뷰와 드라마 분석의 두 가지 연구 도구로 발견하여 주 연구 도구인 담화완성과제(DCT)를 설계해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란어와 이란 문화의 간섭, 유사 어휘나 유사문법의 부적절한 사용, 문어와 구어 차이 인식 부족, 격식과 비격식 상황에 맞는 표현 사용하지 못함, 반말과 존댓말 구분과 사용을 어려워함 등의 이유로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가 상황에 적합한 인사화행을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적절한 인사화행을 배우지 못하거나 배웠는데도 활용하지 못한 것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가 필요한 인사화행 교육이 무엇인지를 밝히며 교육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논점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이란어와 한국어 인사화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가 인사화행에 있어서 범하는 오류는 무엇이고 마지막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자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인사화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인사화행의 정의와 유형 분류를 화행이론과 비교문화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인사화행의 특성들과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인사는 언어생활에 일찍부터 뿌리박힌 문화적 요소로서 그 언어문화의 특성을 가장 원초적으로 표상하는 것이며 원만한 관계가 유지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예를 갖추며 표현하는 말이다. 이 장에서 인사화행을 대화상에서도 바라보았다. 인사가 발생하는 대화 단계를 개시단계, 중간단계 그리고 마무리 단계로 보았다. 그다음으로 예의를 갖추는 측면과 관련된 '공손성' 이론도 설명하였다. 이때 한국어와 이란어에서 공손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도구의 선정 이유와 가지는 특성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주 도구는 담화완성시험이다. 도구 설계를 위해서 드라마 분석과 심층 인터뷰가 선행되었다. 이는 담화완성시험의 단점을 보완하며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였다. 선행된 드라마 분석과 심층 인터뷰는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 분석 대상인 드라마 '아버지가 이상해'와 'rental house'의 공통점과 선정 이유를 설명하고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논문의 첫 논점인 두 문화간 인사화행 차이를 잘 반영해주었다. 그다음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잘 아는 5명의 고급 학습자를 심층 인터뷰의 대상으로 삼고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드라마 분석과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친밀도', '사회적 거리', '부담'의 요소가 다양한 상황들을 담화완성시험에서 포함하였다. 그리고 인사화행은 대면 상황, 전화 상황 그리고 문자(글) 상황에서 차이를 보여서 구어 담화완성시험과 문어 담화완성시험을 따로 설계·실시하였다. 기념일 인사말, 축하 인사, 위로 인사, 정형적인 인사, 첫인사, 의례적 인사, 감사 인사, 식사 인사 등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25명의 이란인 중·고급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담화완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응답자 대부분은 20대 초반이었고 한국어를 4~6년 정도 공부하고 있었다. 한국어 공부 동기로는 유학이 가장 많이 나왔고 취미로 배우는 것이 그 뒤를 이었다. 많은 수의 응답자다 독학을 하거나 세종학당을 다닌 학습자들이었다. 4장에서는 이란어와 이란 문화 간섭, 공손성에 어기는 요인 등을 고려해서 구어 DCT와 문어 DCT를 분석하였다. 이외에 상황들을 설계할 때 고려한 요소들도 분석 기준에 포함하였다. 화용적 실패는 상황에 따라 전략 사용과 표현 차이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의 유사 어휘나 유사문법을 적합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하거나 이란어 표현을 그대로 한국어로 번역해서 사용한다. '축하하다', '제발', '수고하다/고생하다', '당신' 등의 어휘적 실패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호칭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구어와 문어를 구분해서 사용하지 못한다. 더불어 반말과 존댓말의 차이를 인식하지 않은 겨우도 많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과 달리 말하고 싶은 것을 긴 문장으로 표현하자 전해고 싶은 바를 이해하지 못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는 번역기를 사용해서 이란어 표현을 한국어로 직역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한 예로는 'khahesh mikonam'(please)를 말하고 싶을 때 '천만에요'를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부담감'이란 요소를 살펴보았을 때 오히려 부담감이 낮은 대면이나 전화 상황(즉 구어 DCT)에서는 화용적 실패가 많은 데 반면 문자 상황(즉 문어 DCT)에서는 부담감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소임을 볼 수 있다. 물론 상황이 좋고 나쁨에 따라 느끼는 부담감 때문에 화용적 실패가 발생한다. 이는 대면이나 전화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대화를 이어가며 수정할 기회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부담감이 높을 때 더 신경을 쓰고 말을 하는 것이다. 더불어 문자를 쓰는 데 충분한 시간을 가지면서 수정할 기회가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회적 거리와 친밀도를 살펴보면 사회적 거리가 없고 친한 사이 그리고 사회적 거리가 있고 친하지 않은 사이일 경우 그러한 오류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두 요소의 영향이라기보다는 익숙하고 일상적인 상황일 때 이란어와 이란 문화에 의존해서 발생한 오류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한국어를 학습할 때 배우지 못한 발화상황에서도 그렇다. 결론적으로는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러한 화용적 실패에는 이란어와 이란 문화의 간섭, 한국어의 유사문법이나 어휘의 부적절한 사용,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지 못하거나 배운 적이 없다는 원인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다음으로 분석결과와 함께 교육 방식을 살펴보았고 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응답자들이 공부하는 방식과 그들이 알고 친한 한국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인사화행의 특징과 다양성을 고려하면 이를 교과서의 적합한 주제 과목에서 다른 표현들과 함께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효율적인 교수·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인사화행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함으로써 이를 교수·학습 주제에 맞는 보조활동으로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한 보조활동으로는 흥미로운 동영상 만들기, 드라마 장면 보여주기, 역할극 등의 활동을 사용할 수 있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020년에서부터 코로나로 인해 이란에서 토픽 시험이 개최하지 못하기 때문에 연구 대상의 다양성이 본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보완과 함께 구체적이며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감사화행 연구 : 한·중 감사화행의 대조 분석을 중심으로

        류티엔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在日常生活中,人们为了相互间良好的沟通,会进行各式各样的言语行为。而我们在学习另一种语言的时候,不仅要学习该语言词面上表达的意思,更要深层理解该语言在实际语境中的实际意义。韩中历史上都是受儒教思想文化较深的国家,是感谢言语行为的表达上,是同中有异,异中有同的。在本文以韩中感谢言语行为的对比分析为中心,从类型,使用功能,使用形式及影响韩语言语行为使用的原因等方面,进行了中韩言语行为的对比分析研究。 第一章叙述了研究目的和必要性以及研究方法,并对已有的先行研究进行了分析。 第二章分析了韩语感谢言语行为的使用类型,使用功能以及使用形式。韩语感谢言语行为分为直接感谢言语行为与间接感谢言语行为。其中,直接感谢言语行为是用感谢用语直接表达感谢的行为,而间接感谢言语行为则分为原因理由式、质疑质责式、关心式、假设式、称赞式、约定和报答式、道歉式、主观感觉式、祝福式。以及这些感谢表现在各种语境中的使用形式。 第三章分析了中文感谢言语行为的使用类型,使用功能以及影响中文感谢语使用的原因。中文感谢言语行为也分为直接感谢言语行为和间接感谢言语行为。中文中间接感谢言语行为的类型有道歉式、称赞式、关心式、约定式、责备式五种。中文的感谢言语行为除了表达感谢还可以表示委婉地拒绝和讽刺。而影响中文感谢言语行为的原因则包括社会关系、受帮助的程度以及礼貌准则。 第四章,将韩中的感谢言语行为进行了集中的对比研究。韩中历史上都是受儒教文化影响较深的国家,因此在表达感谢时会有同中有异,异中有同的现象。例如,从亲近的亲人或朋友那里收到礼物时,在中文中主要使用的感谢表现是责备式,而在韩语中主要使用的是约定和报答式或责备式,并且韩语中有固定表达感谢的句式等。 通过本文对中韩言语行为的对比研究和分析得出韩中感谢言语行为的共同点和不同点,虽然有很多需要学习和需要提高之处但希望对韩国语学习和教学会有所帮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