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입시 홍보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종실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저출산 고령화의 사회변화는 대학 입학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가져오면서 2000년대 이후 모든 대학이 학생유치에 대학의 사활을 걸고 있다. 환경변화와 함께 모든 대학은 우수한 학생의 유치를 위하여 교육 수요자 중심의 경영마인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홍보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홍보활동의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의 홍보가 홍보의 대상, 시기, 매체 및 내용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를 충주지역 소재 2개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학 홍보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7점 척도에서 평균 3.56으로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의할 경우 아직은 대학의 홍보활동이 타깃 화된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인 홍보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한 것은 성적, 등록금, 학과로 응답하고 있다. 특히 국립대학은 등록금이 중요한 선택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학 선택시기로는 전체적으로 정시모집기간에 가장 많이 선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은 주로 본인의 의사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어서 부모님을 들고 있다. 홍보의 시기별 만족도는 정시모집의 만족도가 수시 모집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 만족도는 최근의 입학생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상별로는 수시보다는 정시 입시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전체적으로 여학생 및 지역 출신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응답하고 있다. 홍보매체와 관련하여서는 인터넷 매체의 영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응답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홍보만족도는 매체나 시기, 대상보다는 홍보의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정보 만족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면에서 홍보에 의하여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의 홍보는 수요자 맞춤형 홍보, 홍보시기의 적절한 선택, 타깃화된 대상에 따른 홍보, 인터넷 매체의 체계적인 활용 및 입시생이 요구하는 정보의 제공, 차별화된 홍보 전략 등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Due to recent social change (supply-demand imbalance in college admissions) caused by low-birth and aging phenomenon, almost all colleges in Korea have devoted all their energy to attracting more students. In order to secure smart students as many as possible, Korean universities have promoted various advertisements based on student-centered management philosophy. This paper has aimed to investigat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se advertising activities. To find out how college advertisements change depending on the target, time, media and content of advertisement,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against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Chungju. According to the analysis, students’ satisfaction on universities’ advertisement stayed at as low as 3.56 in average in 7 scale. In other words, universities’ advertising activities have not been systematic. When asked what is the most important in choosing university, students answered grade, tuition and department(major). In national universities, especially, tui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ime of application for admission to the college, students preferred regular admission to irregular admission. In selecting department(major), students’ opinion was the most critical, followed by parents’ thought. In terms of students’ satisfaction on universities’ advertisement by time of application for admission, regular admission was slightly higher than irregular admission. The satisfaction on universities’ advertisement was lower among new students than among senior students. In general, women and local students were relatively less satisfied with universities’ advertising activities. In terms of advertising media, the Internet was the most influential. In general, students’ satisfaction on universities’ advertisement was high when the content was satisfying while the advertising the media, time and target of advertisement were less influential. Therefore, it appears that it is important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tent of the advertisement. In sum, this paper has proposed that in terms of college advertising activities to attract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o target students on a right time using the Internet with distinctive strategy.

      • 교육청의 교육정책 홍보실태 분석과 효과적 홍보방안 탐색 : 대구광역시교육청 사례를 대상으로

        권정수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시민들의 의식수준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교육정책에의 참여도 상당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맞추어 다양하고 적극적인 소통과 방법으로 교육홍보활동을 해 나가야 하는 현 시점에서 현재의 교육정책 홍보활동을 보다 더 체계적인 접근방식으로 개선해 나가기 위해, 지금까지의 교육정책 홍보활동과 보도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정책 홍보활동에 대한 자료로 활용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홍보효과를 극대화 시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정책 홍보라고 하는 것이 과거에는 주로 일방향으로 알려주거나 통보해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양한 언론의 출현과 다양한 의견 표출 방법이 넘쳐나고, 각종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더 이상 과거의 홍보방법으로는 교육정책 목적을 실현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정책에 대한 정확하고 사실적인 부분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리고 의견을 듣는 등 쌍방향 소통을 통한 교육정책홍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쌍방향 소통에 의해 교육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홍보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주요 교육정책에 대해서는 계획 수립 초기부터 언론과 지역사회, 학부모와 시민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홈페이지 및 SNS(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텔레그램톡 등)를 통한 교육정책 홍보와 다양한 시민 의견을 청취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정책을 수립하여 시행되기까지의 과정마다 필요시 반드시 주민공청회나 대언론 설명회를 개최하여 추진 과정이나 추진 상 문제점에 대하여 소통하고, 교육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중에도 현재의 상황과 시행상의 문제점 등에 대해 사실 그대로를 알릴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정책고객의 마음을 그대로 담고, 정책고객으로 하여금 소통의 만족을 느낄 수 있게 하고, 자신이 존중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등 정책을 시행하는 의도를 투명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보도자료 작성에도 언어의 공공디자인을 적용하고, 홍보물에는 시각적인 공공디자인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책홍보자료에는 언어와 시각, 심리적인 공공디자인을 적용시킬 때 정책고객의 마음을 훨씬 더 잘 움직일 수 있고, 상호 소통과 이해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며, 비로소 모두가 행복한 대구교육정책 실현과 함께 「대한민국 교육수도 대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警察機關 報道資料의 新聞揭載率 提高 方案에 관한 硏究 : 경찰청, 서울지방경찰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박화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경찰기관이 과거 권위주의 시절의 잔영으로 남아있는 대 국민 부정적 이미지를 조기에 불식시키고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는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배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경찰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경찰기관 보도자료의 신문 게재율을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 되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경찰기관의 대 언론 홍보활동 실태는 1999년부터 시작된 경찰내부 의식개혁 프로그램인 “경찰대개혁 100일 작전”을 수행하면서 언론을 활용한 정책여론 수렴 및 평가 등을 통해 “언론은 경찰이 일한 만큼 인정받을 수 있는 홍보매체다”는 분위기가 확산되어 종전의 언론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변화되고 있었다. 따라서 폐쇄적이고 일방향성이 강했던 과거의 홍보패러다임이 개방적이고 쌍방향적인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었고 경찰내부인의 언론기고는 물론 시민단체 등 오피니언 리더그룹의 경찰관련 언론기고가 늘어나는 등 대 언론 홍보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아울러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홍보 교육을 강화하고 있어 홍보활동에 대한 인프라 구축에도 관심을 두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경찰기관의 보도자료 생산 및 배포 현황과 중앙 일간지 게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경찰청과 서울지방경찰청의 보도자료를 실증적으로 연구한 결과, 양 기관은 1일 평균 1.1건의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있었고 주로 범죄수사와 예방, 교통과 관련된 내용의 보도자료를 많이 양산하고 있었다. 이것은 경찰기관이 본연의 기능인 범죄진압과 예방에 홍보활동의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제면에서 양 기관의 보도자료는 중복되는 면이 있었으나 정책기획부서인 경찰청 보도자료는 주로 경찰시책 또는 조직관리와 관련된 주제가 주류를 이룬 반면 서울지방경찰청 보도자료는 유해업소 단속결과 등 현장 집행적인 내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형식적인 면에서 기사와 같은 형식을 선호하고 있었고 1내지 2매 분량으로 간결하게 작성하는 경향이 있으나 중요범죄사건, 정책관련 보도자료의 경우, 상대적으로 분량이 많은 6매 이상인 경우가 많았다. 분량이 많을 경우 기자들의 취재편의를 위해 내용요약을 관행으로 하고 있었으며 시각적 소구효과가 큰 사진 등 보조자료의 첨부율은 빈약하였다. 기관홍보를 의식하여 지나친 홍보성 문구의 삽입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보도자료가 3개 중앙 일간지에 게재된 비율은 전체 보도자료의 19.0%로 높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게재빈도가 높은 경우로는 경찰청 보도자료가 서울지방경찰청 보도자료보다 3배 가까이 높게 게재되었고 내용요약을 한 경우, 작성형식상 내부 행정보고서 형식을 취한 경우도 게재율이 높게 나타났다, 보도일자를 출입 기자실과 조정하는 경우, 경찰시책 주제, 사진 등 시각적 소구 활용에 따른 게재율은 높게 나타났으나 이 세 가지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기사형식에 의한 작성, 홍보성 문구의 사용은 신문게재 빈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번째 연구문제의 결론은 보도자료의 내용과 형식상 특성이 신문 게재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 3개 중앙 일간지는 경찰기관의 보도자료를 대부분 스트레이트형 기사로 보도하였고 중립적인 사실보도가 많았으며 기사제목과 내용은 보도 자료의 그것과 의미가 동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반면 보도자료가 의도 하는 홍보방향과는 반대로 보도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신문기사의 빈도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출입기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네 번째 연구문제인 경찰기관 보도자료의 신문 게재율 제고를 위한 방안은 첫째 보도자료에 대한 경찰기관 구성원들의 인식전환, 둘째 경찰기관별 보도자료 주제의 차별화, 셋째 내용요약문의 첨부 확행, 넷째 작성형식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말고 사안별로 상세하고 정확하게 작성할 것, 다섯째 현행 보도업무에 대한 메커니즘의 개선, 여섯째 출입기자실과 탄력적이고 실질적인 협조관계 구축, 일곱째 보도자료 주제의 기사가치 제고, 여덟째 보도자료 양식의 형식적 통일성 도모와 불필요한 홍보성 문구사용 지양, 아홉째 부서장의 보도자료에 대한 브리핑 및 추가설명의 상례화, 그 외 통신사의 활용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제시된 보도자료의 신문 게재율 제고 방안의 실효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경찰관 개개인이 법 집행 과정에서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친절성, 청렴성, 공정성을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Active public relations(PR) is essential in the context of the police's recent efforts to break their former negative images and establish more trustworthy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olice's PR to the press, (2) the present condition of placement rates of the press releases in the newspapers, and (3)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lacement rate, and (4)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or this study, the press releases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two police authorities; National Police Agency(NPA) and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SMPA), and three major daily newspapers; Chosun Ilbo, Donga Ilbo, and JungAng Ilbo are used for analysis from Jan 1st to May 31th in 2002.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ncerning the police's PR to the press, it appeared that the police's viewpoint to the press greatly changed to the positive as a result of the police reformation program propelled from 1999. Now the police put the press to active use as a means of collecting opinions when formulating the policies and evaluating their activities. The positive recognition that 'the press provides a chance to get acknowledgement of the people as much as the police efforts.’, has spread among the policemen. With the paradigm of PR changing from closed and one-sided to open and mutual, the police's PR is being activated. And the contributions about police affairs written by the opinion leaders as well as insider policemen has been increased. Also, the education for PR program has been fortified and now the police show their interest in building up the infrastructures for PR. (2)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placement rate of the press releases, releases from NPA and SMPA were analysed. The average releases produced and distributed by NPA and SMPA are 1.1 per day. And the contents were mainly about crime prevention, criminal investigation and traffic, which were main tasks of the police.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tasks, the releases of NPA had more importance on the police polices and organization management, while those of SMPA more on the results of law enforcement. Relating to the forms of the public releases, most of them were news report form and their lengths were short; 1 or 2 sheets. However, such releases as policies and critical crime cases were relatively long; more than 6 sheets. When the amount of the releases were much, there were summaries on the preface for the convenience of the reporters'coverage, but there were few annexes such as pictures. And it was found that too many catch-phrases were customarily used on the releases. (3)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lacement rate, three main daily newpapers -Chosun Ilbo, Donga Ilbo, and JungAng Ilbo-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placement rates were not high - about 19.0%. And the rate of NPA releases was about three times more than that of SMPA. Concerning the influencing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ummaries on the preface increased the rate. But the news-form press releases and customarily used catch-phrases didn't have any effect on it. Also, the coordination with reporters for the placement date, the information supply about the police policies, and the presentation of visual materials such as pictures tended to increase the rat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So, it was concluded that the contents and the particular forms of the releases only influence the placement rate in special case By the way, most of the news carried on the newspapers were straight-type news focusing the facts in the neutral stand. So high dependence on the press releases appeared when reporters carried their news items about the police affair. However, when the directions of reporters' coverage were different from the intentions of the press releases in particular cases, it sometimes brought about counter results. (4) Finally, through the interviews with 2 newsmen accredited to the police authorities and the results above, 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lacement rate of the police press releases: ① Turnabout of the policemen's thought to the press releases. ② Contents differentiation of the press relea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lice authorities. ③ Attaching summaries at the preface of the press releases. ④Breaking the stereotyped writing of the press release and creating press releases correctly an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cases. ⑤Improving the mechanism of the police official report. ⑥ Building up practical 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the newsmen accredited to the police authorities. ⑦ Unifying the forms of press releases and reducing the use of unnecessary catch-phrases. ⑧ Improving the news value by establishing the customs of the person in charge briefing the press releases and additional explanation. ⑨Making active use of the news agencies. However, to achieve these strategies, more efforts to build up the clean, fair and kind police images are practiced simultaneously.

      •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기업 홍보 전략에 관한 연구 : 삼성전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매체 환경이 하루가 다르게 급변함에 각 매체의 특성에 맞는 홍보활동 역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홍보에 있어서도 새로운 환경에 맞는 방향으로 그 전략을 모색해 나가야 할 때인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디지털화에 따른 멀티미디어 환경이 성숙되어감에 따라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인터넷의 위상과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홍보활동에 웹사이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네가지의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에 의해 기업의 홍보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웹사이트가 기업의 홍보 도구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둘째, 웹사이트를 활용한 기업의 홍보전략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떤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가? 셋째, 기업의 웹사이트를 통한 홍보의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넷째, 기업의 웹사이트 홍보는 운영과 효과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삼성전자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사례연구와 설문조사, 그리고 포커스 그룹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매체 특성에 따른 컨텐츠의 내용 및 활용도, 사이트의 일관성, 웹사이트를 통한 고객과의 상호작용 등의 3가지 측면을 통해 홍보 전략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조사들의 분석결과, 삼성전자는 어느 정도 새로운 매체로서의 인터넷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효과적인 홍보수단으로서 활용을 잘 하고, 사이트의 전체적인 IA나 네비게이션 구조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설계를 통해 사이트를 운영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와 사례들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삼성전자를 포함한 국내 기업들의 인터넷을 통한 홍보 활동에 있어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방향과 전략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사용자를 배려해 정보에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그들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아무리 새로운 정보를 자주 업데이트 한다 하더라고 아무 필요에도 없는 정보일 경우는 이미 정보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 둘째, 항상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인터넷을 통한 홍보에 있어서 새롭고 시의 적절한 컨텐츠의 업데이트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웹사이트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항상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충성고객 확보를 위한 마케팅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인터넷이 그 영역을 점차 상업적인 부분으로 확대시켜나가게 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작은 제품이라도 많은 소비자들이 상품의 존재가치를 알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홍보전략은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이 없다. 넷째, 사용자와 인터렉티브 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해야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되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지속적인 접속 유도를 통해 나아가서는 해당 기업과 기업의 브랜드에까지 로열티를 갖게하는 것이야말로 기업의 사이트 운영에 있어 궁극적인 목표일 것이다. With this rapid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the public relations ar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us, we have to adjust the PR strategies to the this new environment.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analyz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nd to see the ways to utilize the website in the corporate PR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re addressed. First, how does the Internet change the corporate PR activities and how is the website used as the means of PR tools? Second, what specific forms of Internet PR strategies are used by corporate and how dose it mak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Third, what is the effects of corporate PR strategies using Internet? Fourth, what is the problem of Internet PR in the aspect of PR effects and website opera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a case study, user survey and focus group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amsung Electronics website. In addition, three aspects of the PR strategies including the substances and the degrees in application of conten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consistency of website and the interaction with customers were refe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amsung Electronics is well awa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s a new media and is making an efficient use of it as a means of PR tools. Based on the above finding, desirable direction and strategies of PR activities are suggested for Samsung Electronics and other companies. First, website should always provide new information. The timely update of new conten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Internet PR activities. Second, website should provide an easy access for customers to information they need. Frequent updates with new information that is not needed by customers are worthless. Information to satisfy and encourage the needs of customers is essential. Third, marketing supports should complement the Internet PR activities to secure and keep loyal customers. Fourth, website should be structured to allow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users. Creating consumer loyalty to the corporate brands would be the ultimate goal of the corporate PR through Internet.

      • 지방교육자치단체 정책홍보 효과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교육청 홍보역량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이경훈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지방자치와 더불어 공공기관의 정책홍보가 매우 중요함에도 선행연구 부족으로 공공기관의 홍보역량을 제고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선행연구의 측정지표를 공공기관의 특수성에 맞게 4대 정책홍보역량체계로 재구조화하여 홍보조직역량을 진단하고, 정책홍보효과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사례연구로 대구광역시교육청의 12여년의 언론보도현황을 중심으로 홍보역량을 진단하고, 전국 시·도교육청 홍보담당관에게 홍보역량 실태를 파악하는 실증조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가연구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공공기관의 정책홍보역량을 높이는 구체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기관은 홍보조직, 인력, 예산체계가 기본적으로 확보되기에 홍보전략 운용이 홍보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공기관의 홍보전략 전문가 육성, 정책홍보역량체계의 제도적 보완, 행정학개론의 한 분야로 언론행정을 도입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 地方化時代에 附合된 軍弘報方案에 關한 硏究 : 地域住民과 관련된 軍弘報를 中心으로

        백규주 東國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1세기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군의 홍보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이론적인 체계와 실제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여 기존의 민·군 관계의 변화요인과 양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아울러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지방화시대에 있어 군의 신뢰와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군 홍보활동 전략을 분석해 보았다. 군 홍보의 전략비교와 지역 주둔군의 홍보전략 사례연구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을 발전방향으로 고찰하기 위해 설정되었으며, 한국군 홍보전략과 선진 외국군의 홍보활동 전략으로 미국, 영국, 일본 군대의 홍보조직과 활동을 고찰하였고 상호 비교되는 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주둔군의 홍보전략 사례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보도사례를 제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지역 주둔군의 홍보전략을 모색하였으며, 지역주민과 관련된 미래지향적인 홍보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지역민의 알권리에 대한 인식변화를 정착시켜야 민·군 관계는 우호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기밀주의로 군의 성격을 대표하는 과거의 형태로는 지역주민 여론과 언론의 지지를 받을 수 없으며, 유사시를 대비하는 무장조직으로써의 원활한 군사작전을 보장받기 위해서도 지역주민에게 가능한 군사상황을 홍보하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군의 총체적인 홍보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의 군 홍보조직은 선진 외국군과 비교했을 때, 그 규모나 구조가 절대적으로 빈약한 조직으로써 지역주민의 지지기반 조성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정책 부서인 국방부, 육본에서의 체계적인 홍보업무 수행과는 달리 하급부대로 갈수록 대민홍보업무 수행은 전문성 결여와 홍보 조직의 비체계성으로 임무수행간 제한되는 요소가 많으므로 정책부서에서의 홍보업무 수행절차에 상응하는 조직으로 변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야전군 각 제대별 홍보업무 향상방안을 모색해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공세적인 홍보활동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최근 급속도로 그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비정부 기구를 활용한 군 홍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지방화시대에 부응하여 군 홍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동고동락한다는 인식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그러한 인식의 바탕위에서 군 홍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적절한 장병교육과 지역민의 알 권리를 인식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홍보제도의 개선과 적절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basic duty of the army is in ordinary time to prevent the war so that keep the land and protect the life and the wealth of the people when the war begins but when the war begins to win the war.. But in general the army execute not only the basic military duty but also various key and role in relation with the social factors in modern society. what we call the social role of the army is in contrast with the basic duty of the army that should control and execute the war. It means contribute to the demand of other part of the society by using the ability and the resources of the army for example national development, social stabilization, the increase of people's benefits, etc. Furthermore, after the start of people's government, doing its role, the army is trying to propel change and revolution to gain the credits of the people. We face the turning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of the time of localization in 90's. At this point the propaganda of the army is in issue to the local army which is in relation of local people. This review has a purpose of researching effective propaganda according to develpment of the relation of the army and society. After the research of the change factor in army-society relation, by inquiring the phenomenon and the work of military propaganda, we will show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military propaganda. Change-factor in society-army relation has three aspect, which are ideological aspect, institutional aspect, and functional aspect that require posi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The army stands as a part of society to develope the local society and should make a corporation with society and government. Now we face the situation that such a rapid change of the surroundings change the will of preservation of the peace that we need to recognize the value of existence of army again. So we do more positive propaganda than ever But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reveals the problems in comparison with the foreign developed army propaganda policy, such as, poverty of policy due to lack of recognition in propaganda, the weakness of organization, no system of organizing, the lack of inquiry and comprehension system, irrationality in use of media, lack of the target, lack of specialization, the loss of energy, the conflict with the pres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change of situation, the interest and willingness increase but the ground of the growth lacks in ability, negative prejudice in army from some people and the press remains. So we confront difficulties in both sides. So we need fundamental macro-sight answer to solve such a problem than partial approach. Now this review suggests the army propaganda policy in adjusting localization positively. First, we need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know of the people. In other words, the recognition of social power of the press, increasing the familarity between the army and the press, keeping good relation with the press matter. Second, we need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military propaganda That means by booming research ,organization of institution of confronting the press, opening the least department of inquiry and analysis in propaganda. We should strengthen the weakness in military propaganda policy. Third, for military troops in each class to improve the war of advetising, we should search for episode of advetising in correlation between high and low class military troops by which to attract of local citizen. In other words we should accomplish the advetising worthr of local people's support. Fourth, by using NGO, we need to ponder the problems of local society and try to solve the problem. Finally in time of local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the army may impose heavy burden on the army by expecting the increase of the role of the army and expectation of contribution to society in short-term-sight. But in long-term-sight the strengthening of the power of propaganda of the army to society and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 ca do good to both sides. If done effectively, it contributes to improve the statue of the army and the increase of credits of the army from people and furthermore it can contribute to strengthen of total preserving peace toward 21c reunion of Korea.

      • 비영리기관의 PR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이현주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our modern society, PR(Public Relation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Now, PR becomes a means of survival not only for individuals but also for all kinds of organizations such as government, groups and institu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are not exceptional. Therefore, non-profit organizations are also forced to emerge from the passive PR activities. They should let the public well-aware of their activities and try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arget audience, Therefore both side should sustain the mutual benefit. In the past, the role of PR was limited to the activities for simply giving the information to the target audience, which leads to one way communication style. However, nowadays organizations should find the effective way to communication with their target audience. It is far beyond sending their message to the target audience. They have to try to give the information to the public and also receive the feed-back from them, which leads to two way communications style. This is called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Namely, the role of PR is to communicate and buil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and develop it continuously. With such a basic concept in min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on PR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 sector such as museums. One of the main PR activities in museums is the media publicity. However, it is much more important and should be considered what kinds of relationship the museums engage in the public and what kinds of program they perform.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of other organizations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at confronts the dynamic situation. In order to find how the public perceive the museu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for frequencies by using the SPSS WIN 11.0 statistical program. With this survey, the people's basic perception of the PR conducted by the museum could be confirmed. Museums are considered as institutions to serve the needs of society. Therefore the services of museums should adjust the changes of society and museums should reflect on their roles and find the new ways to satisfy the public. Recently, the PR environment of National Museum of Korea face the diverse situation and the museum is willing to improve PR techniques. Although effects are not well perceived, it seems to be much room for improvement of PR. To successful execution of PR activity, the National Museum of History should be reaware of the important role of PR and diversify their strategic PR tools. First, it is much more importan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museum.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ruit sufficient and qualified PR professionals and have a sufficient budget for PR activity. Third, it is also required to make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museum and the public. Fourth, with two-way communication, the museum shoul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he public and meet the needs of them. Therefore the museum should have the diverse programs to satisfy them. Fifth, it is also required to introduce the MPR(Marketing Public Relations) technique into the museums in order to sell their culture and give the recreation to the public. Sixth, it is almost mandatory that the museum should conduct a positive PR activity while the museum is closed to reopen the new museum. Seventh, the museum should encourag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museum programs so that they may be friendly members of the museum. Since the museum is a mirror connec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its survival would be insignificant without being related with the public. While few preceding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PR of non-profit organizations, this study discusses the conditions of our museums from a perspective of 'relationship principle'. I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 일간 신문의 병원홍보 보도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 A의료원 홍보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경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료계의 홍보활동은 홍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광고활동이 금지되어 있는 등 일반 기업체와 달리 많은 규제사항들이 있다. 이런 이유로 의료기관의 보도자료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그 중요성도 한층 더해가고 있다. 이런 시기적 필요성에 즈음하여 의료기관의 보도자료가 일간 신문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론적인 논의를 통해 PR 및 퍼블리시티의 개념과 병원 PR의 개념 및 현재 병원홍보의 현황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오늘날 병원PR이 얼만큼의 중요성을 갖게 되었는지와 그 대표적인 사례로써 현 의료계에서 홍보의 영향력으로 인해 급부상한 을지의료원을 들어설명했다.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A의료원의 보도자료 총 81건을 기준으로 각 보도자료가 15개 일간 신문에 어떻게 게재되었는지를 기사의 면, 기사의 크기, 게재일, 제목, 사진의 형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내용 분석했다. 단, 시기적으로 대상연도에서 의료계의 큰 분기점이 되었던 의약 분업사태가 발생한 때로 보도자료의 발행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객관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A의료원 보도자료는 총 81건으로 인물동정과 의료기술 내용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의료기술 내용은 인물동정 내용에 비해 자료의 발행수는 14건이나 적은 23건이었으나 그 게재 횟수에서는 4.7배로 인물 동정 내용보다 0.7배나 많이 게재되어 일간 신문에서 의료기술 내용의 자료에 매우 관심이 많으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도자료의 흥미도는 게재율에 가장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기사의 크기에도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의료원 보도자료의 대부분이 흥미도에서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며 흥미도는 대체로 발견이나 발명, 개인적 관심, 인간적 흥미 등을 포함하고 있다. 흥미도 1점과 흥미도 2-3점일 때 기사단의 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흥미도 1점일 경우 대부분 1단 크기로 게재된 데 비해 2-3점으로 갈수록 크게는 4-5단까지 게재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흥미도가 높을수록 15개 일간신문 대부분이 게재하고 있었다. 또한 의료기술 내용의 보도자료에서 의사의 지명도는 게재율에 영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도자료의 제목은 일간 신문에서 거의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의학관련 보도자료의 경우 내용에 있어서는 일부 가공되거나 수정되고 있지만 제목에서는 일간 신문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을 말해주고 있다. 각 보도자료의 내용별로 인물동정은 4-5월과 10월에 가장 많이 게재되고 있으며 의료기술의 경우에는 10월과 11월에 가장 많은 게재율을 나타냈다. 어느 특정시기와 관련되어 보도자료의 게재율이 달라지는 것은 근본적으로 발행 시기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인물동정의 경우 각종 임상학회 행사들이 치중되어 있는 시기로 파악된다. 이를 통해 일간 신문에서 의료기관의 보도자료를 시간적으로 지연하거나 2차 취재자료로 삼는 등의 가공 없이 대부분 그대로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의료원의 보도자료는 대부분 큰 수정이나 가공 없이 그대로 게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같은 아이템에 대해 여러 의료기관에서 자료를 동시 다발적으로 발행했을 경우에는 각 의료기관의 자료들이 매우 다양하게 재조합되고 변형되어 게재되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대상연도에 처음으로 제정된 "간의 날"과 같은 특정일에 게재된 기획기사의 경우에는 5단 크기로 한 면 전체에 거쳐 각 의료기관의 자료들을 재조합하여 게재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신뢰성과 객관성을 더욱 높게 유지하고 있었다. 한가지 더 특이할 만한 사실은 이런 기사에 첨부된 사진들 대부분이 일러스트 이미지를 이용한 형태의 그림이나 도표들이 다양한 형태로 기사의 1/2 혹은 1/3 수준까지 차지하고 있어 시각적 이미지의 새로운 소구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앞으로 이미지 소구력 부분에서 보도자료의 흥미성과 친밀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정일과 관련해 좀더 다양한 아이템들의 개발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의료기관의 보도자료가 앞으로 일간 신문을 통해 어떠한 방향으로 만들어지고 전달되어야 하는지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 연구를 토대로 좀 더 구체적인 보도자료 게재형태의 양상과 함께 그러한 양상을 보이는 원인까지 밝혀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present medical world, only press releases execute for public relations unlike general enterprises because there are a lot of restrictions on public relations like prohibition of advertisement. Therefore, press releases from medical institutions show a tendency to increase more and more, and their importance also increase more and more. At this moment, it may be meaningful to examine how press releases from medical institutions are utilized in daily newspapers. First of all, this study looked into the notion of PR and publicity, the notion of hospital PR, as well as the present condition of hospital publicity in detail with theoretical argument, and explained today`s importance of hospital PR and as a example, illustrated Ul-ji Medical Center which was leaped into fame by influence of public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maintaining objectivity when grasping the number of published press releases or the current of them because it was when the conflicts related to the separation of pharmacy and clinic, which was a turning point of the medical world, happened. This study analyzed how each press release inserted in 15 daily newspapers in the aspects of the page of the news, the size of the news, the insertion date, the form of the title, the form of the picture and the like, with a total 81 of press releases from A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00.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press releases from A medical center were a total 81 of cases; among these, type 'the figure movement' and 'the medical technique' occupied the most part of the whole. Especially, in case of type 'the medical technique', the number of published press releases was 22, 14 less than type 'the figure movement'. But frequency of press releases of them, so it revealed that daily newsp apers are really concerned about type 'the medical technique' and response sensitively about it.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s had various influence. It was verified that it influenced on the rate of insertion the most, and that it also affected the size of the news much. The most of the press releases from A medical center were in the very low level of interest, and it seems reasonable to think that the level is similar to the level of interest of most medical institutions in Seoul. The factors of interest include discovery, invention, personal concern, human interest etc., and the size of column of news changed largely between interest score of 1 and interest score of 2 to 3. In case of score of 1, most of the news were inserted as the size of one column, whereas the more interesting the news are to the score of 2 to 3, the bigger the size of the news become to 4 or 5 columns. In addition, when the score of interest was low, few number of daily newspapers responded whether inserted or not, but when interest of the news was high, most of 15 daily newspapers inserted the news. It was revealed that the public recognition of doctor who was the source of information of the press releases about the medical technique did not influenced on the frequency of press release, and the titles of the press releases were used in the daily newspapers almost same. It suggests that in case of the press releases related to medicine, their contents were partly made up or modified, but the dependance of the daily newspapers on the title was very high. Considered the type of each press release, 'the figure movement' was inserted the most in April, May and October, and 'the medical technique' showed the most rate of insertion in October and November. The fact that the insertion rate of the press releases changes related to specific time is basically connected to publication time, and in case of 'the figure movement' this is grasped the time when a variety of clinical academy take place. Thus, it was able to see that the daily newspaper accepted most of the press releases without making up like delaying or making it of second news material. Putting the results together, it appeared that the press releases from A medical center were inserted almost all without big modification or making up. However, when many medical institutions published the materials about same items at the same time, the press release from each institution were compounded and transformed very diversely. Especially, the project stories, published in specific day like 'the Liver Day' or the Eye Day,' were inserted by compounding the materials from each institution, covering the whole page as the size of 5 columns. This seemed to be to keep the level of confidence and objectivity higher. In the meantime, the photographies attached to these article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materials, and pictures or charts using the images of illustrations occupied a half or a third of the article. This showed a new appeal form of visual image. Moreover, this suggested it is needed to emphasize increasing interest and intimacy of the press releases and to develop various items related to specific days.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make alternative proposal about which way the press releases from the medical institutions are made to and delivered to through daily newspapers. On the basis of this study, further study about more specific aspects of inserting form of the press releases and the cause to show such aspects may be expected to practice.

      • 고객사와 홍보회사의 관계지속 결정요인 분석 :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권신일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우리나라의 홍보산업은 양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원에서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홍보를 해도 좋고 안해도 좋은 부수적인 활동이 아니라 기업 생존 차원에서 접근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며 홍보부문에 대한 아웃소싱도 늘어나고 있고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 또한 매우 다양해져 가고 있다. 특히 벤처기업의 경우 홍보부문 아웃소싱이야말로 기업의 사활이 달린 문제라 전문 홍보대행 회사들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홍보산업은 고객사, 홍보회사, 매체사 등 세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고객사와 홍보회사의 관계는 계약관계의 실제 주체들로서 전체 홍보산업의 발전에 주도적인 관계를 한다. 그러나 많은 수의 홍보회사는 짧은 경험과 영세성 등으로 인해 고객사의 기본적인 요구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거나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반면 대다수의 고객사들은 홍보대행 관계를 통해 강력한 효과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심지어 한두달 안에 가시적인 성과를 요구하기도 한다. 즉 고객사들의 요구는 늘어나고 있으나 양질의 서비스는 체계화하지 못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현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지 못한 홍보회사들은 대행계약 해지를 당하거나 종속적인 위치에서 대행관계를 연장하는데 급급해진다. 즉 상호 신뢰와 인정을 바탕으로 고객사와 홍보회사간의 협력적 관계가 조화를 이루어야 하지만 현실적인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장기간 동반 관계가 지속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요인들로 인해 고객사와 홍보회사가 효율적으로 만족하고 장기간 관계지속을 유지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적인 두 주체의 상호 관계 및 관계지속 요인을 실증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고객사와 홍보회사간 관계 지속 요인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실효성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서 두 주체의 바람직한 관계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광고산업 등 관련 연구에서 제시하는 관계지속요인들과 현장에서 제시하는 40여 가지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검증해 보고 현실에 바탕을 둔 분석을 해보았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홍보회사 자체의 관계지속 요인」으로는 홍보컨설팅 비용, 대행연장 횟수, 직원수, 외부의 좋은 평판, 고객사 실무진의 만족을 얻는 능력 등 5가지였고 그 다음 「고객사 내부적인 관계지속요인」은 고객사의 직원 수, 고객사의 자본금, 고객사의 월매출, 고객사의 연수, CEO 홍보마인드, 실무자의 홍보마인드, 홍보담당 부서 인원 등 7가지 였다. 끝으로 「고객사와 홍보회사와의 관계 부분」에서는 캠페인 이벤트 대행, 정책자문, 위기관리, 언론인 소개, 홍보 외 업무 협조, 고객사홍보담당자 외 다른 직원과도 많은 접촉, 홍보기획 빈도 등 7가지가 관계지속과 관련 있는 유의미한 요인들이었다. Recently Korean PR industry have much developed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 industries ,which take PR as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survival of business, have increased and the outsourcing in PR sector also have increased. The standard of service is getting diversified. In particular outsourcing on PR sector, in case of venture business, is really vital to the existence of the business. Then the professional PR firms tend to grow larger. At the same time clients and PR firms as the subjects of contracts play a main part in development of whole PR industries. But many PR firms do not satisfy the fundamental need of Clients or have systematic structure because of small scale and inexperience. While the greater part of client firms take great PR effect very naturally. They even call for visible outcomes within a few months. In short, Clients' demands have grown larger and larger, but the good services not offered systematically, then many problems have been occured. The PR firms that fails to overcome that reality encounter the cancellation of contracts or get hungry for the extending the contracts. The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clients and PR firms should harmonize on the basis of mutual trust and acknowledgment but, long -term partnerships are not continued due to the imbalance of power in real situation. Therefore the research, how the clients and PR firms satisfy effectively and maintain their long-term relationship,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maintain desirable relationships by studying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components for maintenance of relationship and analyzing and presen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hich is derived from the statistic analysis by inspecting 40 components for maintenance of the relationships with clients presented from the business groud and such related study on Ad busin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stly, PR firms own elements for the maintenance of contracts are cost for PR consulting, the number of extending business agencing, the number of personel, good reputation on markets and ability to gain clients' satisfaction. Secondly, clients own elements for the maintenance of contracts are the number of personel, capitals, monthly sales, trainings, Ceo's acknowledgment on PR, acknowledgment on PR of men of affair and the number of PR team personel. Lastly, the elem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s and PR firms are campaign agencing , policy-consulting, risk management, contacts with the press, cooperation on whole business, contacts with the clients' personel and frequency of PR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