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허혈성 뇌졸증 환자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치 (Plasma Homocysteine)와 MTHFR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에 대한 연구

        김상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은 근래에 뇌혈관질환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서 알려지고 있다. 호모시스테인은 혈관 내피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을 보이며 혈전을 유발시킨다. 혈장내 호모시스테인은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MTHFR)이라는 효소의 활성이 떨어지면서 호모시스테인의 메치오닌으로의 재메틸화 과정이 저해되어 증가된다. MTHFR 유전자의 돌연변이(677 codon에서의 cytosine의 thymine으로의 치환)가 MTHFR의 활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129명의 허혈성 뇌졸중 환자들과 157명의 연령 대비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방사효소법으로 총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측정하였다. MTHFR 단편은 Hinf1이라는 제한 효소를 이용한 PCR-RFLP 식으로 검사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MTHFR 유전자의 677 codon에서의 C→T 변이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소혈관 뇌경색군과 대혈관 뇌경색군, 그리고 다발성 뇌경색군과 단일 뇌경색군에서 각각 제한 유형을 분석하였다. 뇌경색 환자군의 혈중 호모시스테인치(10.38±6.44μ㏖/L)가 대조군의 혈중 호모시스테인치(8.00±2.40μ㏖/L)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MTHFR 유전자 변이는 뇌경색군에서 정상 (C/C) 31.0%, 이형접합성 변이 (C/T) 48.8%, 동형접합성 변이 (T/T) 20.2%와, 대조군에서는 정상 (C/C) 37.6%, 이형접합성 변이 (C/T) 49.0%, 동형접합성 변이 (T/T) 13.4%의 빈도를 보였다. 동형접합성 변이의 빈도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소혈관 뇌경색군(28.8%)과 다발성 뇌경색군(28.0%)에서, 대혈관 뇌경색군(8.9%)과 단일 뇌경색군(8.9%)과 각각 비교했을 때 동형접합성 다형성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증가된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치와 허혈성 뇌졸중 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으며, MTHFR 동형접합성 변이와 소혈관 및 다발성 뇌경색 간에도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 : Hyperhomocysteinemia has recently been known to b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cerebrovascular disease. It is cytotoxic and thrombophilic to vascular endothelium. Elevated plasma homocysteine levels can result from defective remethylation of homocysteine to methionine due to decreased activity of the enzyme,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MTHFR). A genetic aberration in the MTHFR gene (677 C to T substitution) has been shown to result in reduced MTHFR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among the prevalence of the MTHFR mutation, hyperhomocysteinemia, and subtypes of ischemic stroke. Methods : In 129 ischemic stroke patients and 157 age-matched normal control subjects, total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determined by using radioenzymatic method. A segment of the MTHFR was tested by PCR-RFLP technique with restriction enzyme, Hinf1. We determined the frequency of the 677 C to T mutation in the MTHFR gene in ischemic strok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he restriction pattern was analyzed in the subtypes of ischemic stroke. Results : Total plasma homocystein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schemic stroke patients(10.38±6.44μ㏖/L) compared with the controls(8.00±2.40μ㏖/L). The frequency of the three genotypes were as follows : normal(C/C), 31.0%; heterozygote(C/T), 48.8%; and homozygote(T/T), 20.2% in case group and (C/C), 37.6%; (C/T), 49.0%; (T/T), 13.4% in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in homozygote(T/T) genotype frequency. But we foun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MTHFR homozygote polymorphism in small-vessel disease(28.8%) and multiple infarction(28.0%) compared to large-vessel disease(8.9%) and single infarction(8.9%),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ncreasing plasma homocysteine and ischemic stroke. Our results suggest an association between TT MTHFR genotype and subtype of ischemic stroke including small-vessel and multiple infar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