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적 : 국내 음주운전의 법적 기준은 1930년대 30명의 스웨덴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던 위드마크의 혈중 알코올 제거율(β) 연구결과에 기초한 것이었다. 하지만 서양인과 유전적으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국인의 경우 다른 기준이 필요했을 것이지만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서양과 다른 혈중 알코올 제거율(β)의 새로운 국내 기준을 제안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시간, 알코올 섭취량 등에 기초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제거율(β)을 분석하였다. 방법 : 일간지, 생활정보지, 충주지역의 홈페이지 모집공고를 통해서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그들은 연구에 등록되기 전 전화를 통한 1차 선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신체검사, 혈액검사 등을 포함한 의학적 검사와 정신과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최종 101명의 남성과 9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가자들은 kg당 0.35mg∙mL-1 및 0.70 mg∙mL-1 의 30% 소주를 섭취하고 15, 30, 45, 60, 90, 120, 180 그리고 240분 총 8회 혈액채취 후 효소법을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제거율(β)을 분석하였다. 결과 : 평균 시간당 알코올 제거율(β)은 0.0136±0.0053%, 최저 수치는 0.001%, 최고 수치는 0.03%이다. 남성의 제거율(β)은 0.013%이고 여성의 제거율(β)은 0.0143%이지만 남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Kg당 0.70 mg∙mL-1 섭취한 대상자가 0.30 mg∙mL-1 섭취한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제거율(β)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혈중 알코올 제거율(β)은 서양의 0.015%(15mg/100ml) 보다 다소 낮은 0.0136%(13mg/100ml)이다. 이는 동양인과 서양인의 유전학적 이유로 알코올 분해효소 차이 등을 고려하면 매우 합당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많은 수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만큼 국내 어느 연구보다 통계적 유의성과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향후 유전학적 연구를 통하여 혈중 알코올 제거율(β)의 새로운 국내 기준에 대한 논의를 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Objective : Korean legal standards of driving under intoxication is based on the Widmark’s alcohol elimination rate(β) derived from the results with 30 Swedish people in 1930s. Though Koreans are different from western people, large-scale Korean study is rare on blood alcohol elimination rate(β) because of ethics such as genetic trait. So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suggest new Korean standards and to analyz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BAC) and elimination rate(β). Method : We recruited the subjects through daily newspapers, local offline Craigslists and websites in Chungju city. We did screening test on the phone, medical & psychiatric examination and blood sampling. Finally we studied 101 men and 91 women. The participants randomly drank 0.35 or 0.70 mg∙mL-1∙kg-1 alcohol(30vol% Soju) within 15 minutes and th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eight times(15, 30, 45, 60, 90, 120, 180 and 240min) via indwelling catheters and were analyzed using an enzymatic method. Result : The average alcohol elimination rate(β) per hour was 0.0136±0.0053% (minimally 0.001% and maximally 0.03%) while the rate(β) was 0.0130 in men and 0.0143 in women. The participants who drank 0.70 mg∙mL-1∙kg-1 alcohol showed higher rate(β) than the others. Conclusion : The blood alcohol elimination rate(β) was 0.0136%(13mg/100ml) in this study which was lower than the value of 0.015%(15mg/100ml) that is currently used in the West. This has been valid result considering alcohol dehydrogenase by genetic differences between the asians and westerns. Ou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wider representation have been secured by the large scale Korean study.
한국인의 혈중 지질 이상에 따른 보건의식행태 및 식생활 비교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하여 질병의 양상이 변화되어 순환기 질환이 중요한 사망원인들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런 순환기 질환의 발생은 혈중지질이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혈중지질이상의 유발은 다양한 요인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혈중 지질 이상에 따른 보건의식행태 및 음식군, 식품군, 영양소 섭취량 등의 식이요인을 파악하고 식품과 영양소 섭취를 평가하여 혈중 지질 이상의 예방과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30세 이상 성인으로 혈중 지질 이상에 따라 혈중 지질 이상이 없는 그룹, 혈중 지질 이상이 1개 있는 그룹, 혈중 지질 이상이 2개 이상 있는 그룹으로 분류하여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경제수준별, 거주지별로 신체계측치, 생화학적 측정치, 보건의식행태, 식이섭취상태를 살펴보았다. 성별은 남과 여로, 연령은 30~39세, 40~49세, 50~64세, 65세이상의 4개 그룹, 교육 수준은 무학, 초등학교 졸, 중학교 졸, 고등학교 졸, 전문대 졸 이상으로 5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경제수준은 상, 중, 하로 구분 하였고 거주지 형태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등 3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음식, 식품, 영양소의 섭취량은 1인 1일당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9,1)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2.0)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분포를 보면 혈중 지질 이상이 없는 그룹은 성별은 여자에서, 연령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높은 비율을 보였고, 혈중 지질 이상이 있는 그룹은 성별은 남자에서,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은 낮을수록 높은 비율을 보였다 (p<0.001). 체중, BMI, WHR은 혈중 지질 이상이 늘어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1). 이완기 혈압, 수축기 혈압, 공복시 혈당은 혈중 지질 이상이 2개 이상 있는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현재 흡연을 매일 하는 경우, 자주 음주하는 경우와 평균 음주량이 높은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경우에서 혈중 지질 이상이 있는 그룹이 혈중 지질 이상이 없는 그룹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p<0.05). 1일 음식군별 섭취량은 혈중 지질 이상이 있는 그룹에서 밥류, 국 및 탕류와 김치류의 섭취량이 많았고(p<0.05), 혈중 지질 이상이 없는 그룹에서는 빵 및 과자류, 생채 무침류와 과일류에서 섭취량이 많았다(p<0.05). 1일 식품군별 섭취량은 혈중 지질 이상이 있는 그룹에서 채소류의 섭취량이 많았고(p<0.05), 혈중 지질 이상이 없는 그룹에서는 과일류의 섭취량이 많았다(p<0.05). 영양소별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힘들었고,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에서 여자는 혈중 지질 이상이 없는 그룹에서 혈중 지질 이상이 있는 그룹보다 섭취량이 많았다. 혈중 지질 이상이 있는 그룹이 혈중 지질 이상이 없는 그룹과 비교하여 식사 형태와 식사의 질이 상대적으로 부실하였고, 연령은 높아질수록, 교육수준은 낮아질수록, 경제수준은 낮아질수록 그리고 농촌지역에 사는 사람일수록 전반적으로 식사 형태와 질이 부실하였다. 결론적으로 혈중지질이상은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의 보건의식행태, 음식, 식품, 영양소 섭취량 등의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같은 요인이라도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경제수준별, 거주지 등이 다르면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혈중 지질 이상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계속적으로 관찰되어 적절한 영양교육과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In Korea there are advancements of living standards. And diets are westernized. The patterns of disease also, transformed. Th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became major cause of death. Occurrence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which is caused by diverse factors. Hence, this research has purposes of analysing dietary factors, such as dish intake, food intake, nutrient intake, and health habit with respect to dyslipidemia using the data of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evaluating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which could be utilized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dyslipidemia. Data was classified and selected as three groups by the number of dyslipidemia from 0 to over 2 according to dyslipidemia for the adults of over 30.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iochemical measurements, health habits, and dietary intakes were analysed by sex,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groups, and into four age groups, 30~39years, 40~49years, 50~64years, over 65years. The levels of education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Uneducated,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iate. The level of economic status was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The residential area was divided into metropolitan, urban and rural. Consumption of dish, food, and nutrient is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1) an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2.0)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out dyslipidemia shows higher percentage of the women, lower age, and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the group with dyslipidemia, in contrast, exhibited higher proportion of the men, higher age, and lower educational level (p<0.001). Weight, BMI, WHR become higher significantly as number of dyslipidemia increased (p<0.01). The higher diastolic pressure, systolic pressure and FBS than normal show a higher rate for the group of dyslipidemia of over two (p<0.05). For smoking, frequent drinking, the higher amount of drinking, and considerable stress, the group with dyslipidemia shows higher rate than the group without dyslipidemia (p<0.05). In dish intake people with dyslipidemia consume higher levels of rice dish, soup, kimchi, while without dyslipidemia consume higher levels of bread and snacks, salad, fruits (p<0.05). In food intake people with dyslipidemia consume higher levels of vegetables, while without dyslipidemia consume higher levels of fruits (p<0.05). Since the consumption of nutrient intak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t is hard to conclude the overall tendency; however, for women without dyslipidemia, most nutrient are ingested more than those for women with dyslipidemia. People with dyslipidemia had a worse quality dietary intake than those without dyslipidemia. And generally people with higher age, lower educational level, lower economic status and rural residence had worse quality dietary patter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diverse factors of dietary intake and health habit such as smoking, drinking, stress influence dyslipidemia. Even for the same factors, by the difference of sex,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influence differently. Therefore, appropriate nutrition education and countermeasure should be executed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dyslipidemia.
혈중 중금속 농도 및 관련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2010) 자료를 이용
김은경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혈중 중금속농도(납, 수은, 카드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 10세 이상의 혈중 중금속 농도 측정자 2,3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영양조사,검진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상태,식품 섭취 빈도,식이패턴,지역에 따른 혈중 납,수은,카드뮴 농도차이와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혈중 납,수은 농도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중 카드뮴농도는 남성에 비해 여성의 혈중 카드뮴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중 납,수은,카드뮴 농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교육수준이 높을수록,블루컬러 종사자군에서, BMI가 25이상일때, 현재흡연자, 한달에 1회이상 음주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001). 반면, 동, 읍면의 차이와 소득수준 증가함에 따라 혈중 중금속(납,수은,카드뮴) 농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697) 시도별로 분류해 보았을 경우, 각 시도별로 혈중 중금속 수준(납, 수은, 카드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1). 식품섭취빈도에 따른 혈중 중금속 농도차이를 보면 대부분의 식품군에서 섭취빈도가 증가할수록 혈중 중금속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가지의 식이패턴이 추출되었다. 혈중납농도는 식이패턴 factor1, factor2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factor5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수은농도와 카드뮴농도는 납농도처럼 factor1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factor5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factor2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혈중 카드뮴 농도도 factor4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양소별과 식이섭취빈도의 요인과의 관련성 상관분석을 해본결과 대부분이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혈중 중금속 농도의 차이를 보면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이 특별시 및 광역시 보다 그외 지역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연령, 성별, 음주, 흡연, 체질량지수, 교육수준, 직업을 독립변수로 한 분석에서는(Model 1) 체질량지수를 제외한 변수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지역변수를 추가한 분석에서는(Model 2) 체질량 지수와 지역 변수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앞서 분석한 식품군 섭취 패턴에 따른 요인분석한 결과 변수를 추가한 분석에서는(Model 3) 체질량 지수와 지역, 식이패턴에 따른 요인분석 변수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종합해볼 때 연령, 성별, 음주, 흡연, 교육수준, 직업에 따라 혈중 중금속 농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지역,식품섭취빈도와 패턴에 따른 영향은 미비하였으나 미국, 독일 등의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 인구의 혈중 중금속 농도가 높은 만큼 추후에는 유의하게 나온 요인을 바탕으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식 전 혈중 soluble CD30 농도와 이식 후 변화양상이 이식신 급성거부반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이식 전 혈중 soluble CD30 농도는 이식 전 수여자의 면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유용한 표지자가 될 수 있다. 이식 전 혈중 soluble CD30농도가 증가할수록 이식신 생존율이 낮을 수 있으며, 급성거부반응의 발생율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혈중 soluble CD30농도를 이식 전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혈중 soluble CD30농도와 급성거부반응의 발생여부, 이식신의 기능 그리고 이식신의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2006년 3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 신장 이식을 받은 환자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soluble CD30농도의 측정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을 이용하여, 이식 전 1일, 이식 후 1일, 3일, 그리고 14일에 측정하였다. 대상 환자는 이식 후 2년까지 추적관찰을 하였으며, 이식신의 소실은 관찰기간 중 환자가 사망하였거나 다시 투석을 시작한 경우 이식신의 소실로 정의하였다. 이식 전 혈중 soluble CD30농도의 평균은 89.3 ± 50.7 U/ml이었다. 이식 후 혈중 soluble CD30의 1일, 3일, 14일의 농도는 각각 40.0 ± 32.0, 21.3 ± 21.8 그리고 10.1 ± 12.7 U/ml였다. 이식 후 혈중soluble CD30농도의 감소 속도는 이식 전의 환자 상태, 인간조직적합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 일치 정도, 이식신의 기능 감소, 급성 거부반응과 관련 없이 일정하였다. 또한 혈중 soluble CD30농도가 높았던 환자군에서는 이식 후 혈중soluble CD30농도의 감소 속도가 이식 전 낮았던 군에 비해 빨랐으며, 이식 전 혈중soluble CD30 농도에 대한 이식 후 14일이 지난 후 혈중soluble CD30 농도의 비율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식 전 혈중soluble CD30 농도는 이식 후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빈도, 이식신의 기능 감소, 이식신의 생존율등과 관련이 없었다. 이식 전 혈중soluble CD30농도는 이식 후 신장의 거부반응이나 기능 및 생존율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이는 이식 전 혈중soluble CD30농도는 이식 직후의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이식신의 장기적인 예후를 예측하는데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도시거주자의 혈중 카드뮴 농도와 간 및 신장 기능과의 상관성 연구
김호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환경중의 카드뮴(Cd) 노출은 인체 내에서의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유독성의 물질이며, 직업상의 노출이 없는 인구집단에서도 직·간접적으로 노출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카드뮴의 인체 노출은 비흡연자의 경우 음용수와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농작물과 같은 음식류가 주요원인이며, 흡연이 카드뮴의 노출을 가중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도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혈중 카드뮴의 농도 분포를 파악하고, 간 및 신장기능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과의 상관성연구로 연구대상자들의 간 및 신장기능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의 임상검사 및 혈중 카드뮴분석을 위한 채혈은 2001년 2월/8월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시료들은 2001년 5월/10월 각각 분석을 실시하였다. 136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임상검사 및 채혈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흡연유무 및 일일 흡연량 등의 기본조사를 실시하였고, 식습관에 관한 설문도 함께 실시하였다. 혈중 카드뮴의 정량분석은 흑연로 원자흡수분광광도계(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 GF-AAS, Varian GTA-96, Australia)에 자동시료주입기를(auto-sampler)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지스틱(logistic regression)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 혈중 카드뮴의 분포는 전체 평균 1.43㎍/ℓ(불검출 ∼ 17.24㎍/ℓ)이었고 대수-정규분포(log-normal distribution)를 보였다. WHO(2001)에서 제시한 혈중 카드뮴 권고치인 5㎍/ℓ를 초과하는 대상자수는 38명(26.8%), 5㎍/ℓ 이하범위내의 대상자수는 88명(61.9%)이며, 검출한계이하인 대상자수는 16명(11.3%)의 분포를 나타냈다. 혈중 카드뮴 농도분류별(B-cd〈2.5, 2.5≤B-cd〈5, 5≤B-cd〈10, 10≤ B-cd)로 각 기능변수들을 살펴본 결과 간기능 변수 중 T-protein과 GOT 항목이 혈중 카드뮴농도가 높은 그룹에 비례해서 두 변수들의 수치도 유의성 있게 상승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Albumin, GPT, γ-GTP의 수치도 혈중 카드뮴농도가 높은 그룹에 비례해서 상승함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T.bilirubin과 ALP의 변수들은 역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신장기능의 변수인 BUN과 Creatinine의 두 항목도 혈중 카드뮴농도가 높은 그룹에 비례해서 상승하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간 및 신장기능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T-Protein은 혈중 카드뮴, Albumin은 연령, GOT는 혈중카드뮴이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PT의 경우 혈중 카드뮴, 성별, 생선류, 흡연습관, γ-GTP는 혈중 카드뮴, 성별, 흡연습관, ALP는 성별, 혈중 카드뮴이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에 의한 간 및 신장기능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찾을수는 없었고, 환경 중 카드뮴의 노출변수들에 의한 간접적인 영향으로, 식습관 중 간기능의 검사항목별 그룹에서는 두 그룹 모두 생선류를 주로 섭취하는 경우에 간질환에 걸릴 확률이 각각 3, 2.5배로 나타나 식습관 중 생선류에 의한 영향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기능에서는 흡연그룹이 비흡연그룹에 비해 신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3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간기능 검사별 그룹에서 흡연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혈중 카드뮴과 흡연의 교호작용(interaction)을 본 변수에서는 두그룹 모두 혈중 카드뮴이 WHO-일반인 권고치 5㎍/ℓ를 초과하지 않고, 흡연을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그렇지 않은 그룹이 간질환에 걸릴 확률이 각각 12, 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혈중 카드뮴 및 흡연의 각각의 변수에서는 간기능에 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혈중 카드뮴과 흡연의 교호작용에 의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카드뮴의 반감기는 10-30년으로 직접적인 카드뮴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그 과정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일반인의 혈중 카드뮴 농도 분포 조사의 한 과정이며, 총 연구대상자 중 일반인 권고치를 초과하는 대상자에 대하여 노출에 기여하는 영향 요인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Exposure to Cadmium(Cd) from the environmen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because of its long biological half-time and well-known toxicities to humans. For the general population, the main sources of exposure to cd are foodstuffs such as crops grown on polluted soil and contaminated drinking water. Tobacco smoking is an additional source of cd.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ⅰ)to describe the distribution of Blood-Cd(B-Cd) concentrations in the population from Korea which was not occupationally exposed; and (ⅱ)to detect any effects of the exposure on liver and kidney functions of the peop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February and August 2001. The number of subjects in adult men and women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in practice, 136 men and women volunteered to offer blood samples. The questionnaire investigated factors, i.e. sex, age, smoking habit, alcohol habit, diet habit etc. Analysis for Cd was carried out with a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GF-AAS, Varian GTA-96, Australia) and by the standard addition method. The samples, standard solution, and a matrix modifier were automatically injected with an auto-sampler. The parameters were assumed to distribute log-normally and geometric means(GM)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s(GSD) were calculated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regression was performed by using SAS package. In B-Cd concentration, total GM 1.43㎍/ℓ. The distribution of B-Cd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skewed and did not fit a normal distribution for either the whole study population. Association of liver and kidney function parameters with cd in blood as classified into four dose groups in terms of B-Cd of B-cd〈2.5, 2.5≤B-cd〈5, 5≤B-cd〈10, 10≤B-cd, followed by ANOVA to detect possible dose possible dose-dependent increases in the parameters. T-protein and GOT showed significant(p<0.05). Albumin, GPT, γ-GTP showed a small yet difference, but not significant(p>0.05). The multiple regression between liver function paramet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calculated as follows; T-Protein=7.473*B-Cd+0.032(r^(2)=0.12,p=0.04), Albumin=4.911*age-0.240(r^(2)=0.12, N.S), GOT=22.109*B-Cd+0.850(r^(2)=0.11, N.S), GPT=31.061*B-Cd+0.779*sex-8.615*fishes+9.080*smoke+10.275(r^(2)=0.27,p=0.001), γ-GTP=35.559*B-Cd+1.126*sex-18.872*smoke+12.297(r^(2)=0.27,p=0.001), ALP=165.87 *sex-29.669*B-Cd+26.444(r^(2)=0.12, N.S) In the present stud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of the cd with the occurrence of renal tubular dysfunction at the level of urban population. Such a study has not appeared effect of direct. Urban population exposure of cadmium was mainly by diet(fishes etc), smoke and B-Cd*smoke indirect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number of subjects are shown to be far below the limits recommended by WHO-Environmental Health criteria(2001). Further study is in progress to confirm the observation on the expanded scale among koreans.
Quercetin 경구투여가 방사선 조사 마우스의 면역활성과 혈중 단백질 및 지질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강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Irradiation has been widely used as therapeutic methods of various disease. Irradiation may inhibit the growth of cancer cells, but may damage normal cells, thereby induce the inflammation. quercetin is a member of an extensive class polyphenolic flavonoid compounds that is widely distributed mainly as glycosides in components of the daily diet such as onions, apples, berries, tea and red wine. Quercetin is a flavones that has been shown to possess entire accidence competence and may also reduce inflammatory molecul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emopreventive efficacy of quercetin on Modulation of Immunocompetence and Nutritional status which are used as biomarkers in irradiation-induced inflammation. In vitro experiment, the mice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examined by MTT assay.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was increased when quercetin were supplemented in all concentrations investigated(10, 25, 50, 150, 200, 300, 600, 1000μM). Ex vivo experiment, two kinds of concentrations (10, 40 mg/kg b.w) of quercetin in distilled water were orally administrated every other day from 2 weeks before to 30days after irradiation. And treated with and without the irradiation dose 15 Gy treatment. The animals were killed at 10days, 30days following irradiation. Splenocyte proliferation of quercetin with stimulation such as Con A and LPS was enhanced at concentration 10 or 40mg/kg b.w. supplementation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with irradiation treatment. The percent of CD4+ and CD8+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etween different concentration and treated with or without irradiation. The production capacity of cytokines (TNF-a, IL-6, IL-10) by mice irradiation-induced inflammation were used as indices for immune activity. The production of cytokines (IL-1β, TNF-a, IL-6) of irradiation treatment group wa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without irradiation treatment, After 30days, IL-1β, IL-6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quercetin 10, 40 mg/kg b.w with irradiation groups. The total protein, albumin of irradiat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without irradiation groups. After 30days, Serum triglyceride,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quercetin 10, 40 mg/kg b.w with irradiation groups. Concentrations of TBARs of irradiat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without irradiation groups. Although irradiation itself may cause the suppression of immune activity. The oral supplementation of quercetin showed possible protective effect against irradiation-induced inflammation in mi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quercetin could be beneficially used to recover the irradiation-induced decrement of cytokine production and nutritional status. 각종 과일이나 채소 등에 많이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인 quercetin은 항산화, 항염증 효과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러한 quercetin을 시료로 선정하여 quercetin 경구투여가 방사선 조사 마우스의 면역활성과 혈중 단백질 및 지질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Quercetin이 마우스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quercetin 경구투여가 방사선 조사 마우스의 면역활성과 혈중 단백질 및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quercetin을 배양액(10% FBS-RPMI medium 1640)으로 0, 10, 25, 50, 150, 200, 300, 600, 1000 μM의 농도로 희석하여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quercetin이 비장 증식능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300 uM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비장 증식능을 나타냈다. 위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quercetin의 경구투여가 복부 방사선 조사 마우스의 면역활성과 혈중 단백질 및 지질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Quercetin을 각 농도 (10 mg/kg. b.w, 40 mg/kg. b.w)로 2주간 0.2 ㎕씩 격일로 경구투여하고 방사선 조사(15 Gy)를 하여 마우스의 염증발생을 유도한 후, 30일 동안 0.2 ㎕씩 격일로 경구투여 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10일, 30일에 희생시켜 장기무게와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사이토카인 IL-1β, IL-6, TNF-α 분비량과 혈중 단백질 영양지표인 Total protein, Albumin과 혈중 지질 영양지표인 Triglyceride, Cholesterol 을 측정하였고, T 림프구 아형 세포비율을 분석하여 quercetin 경구투여가 방사선 조사로 염증발생을 유도한 마우스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그리고 염증반응의 지표로 TBARs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 후 단시간에 체중감소를 유도하였고, 5일이 지나면서 방사선 조사를 한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회복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비장세포 증식능 결과 방사선 조사 군에서 현저히 낮은 비장증식능을 나타내었으며 방사선 조사 30일 후에 quercetin 10 mg/kg. b.w 농도 투여시 유의적으로 높은 비장 증식능을 나타내었다. T 림프구 아형 분포 및 비율 측정 결과 CD4+/CD8+비율에서 CD8+의 영향으로 방사선 조사 10일 후에 방사선 조사를 한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IL-1β, IL-6, TNF-α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은 방사선 조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분비량을 보였으며, 방사선 조사 후 30일의 시간이 지남으로 사이토카인 분비량이 방사선 조사군에서 감소되었다. 특히 quercetin 10 mg/kg. b.w 농도 투여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quercetin 투여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혈중 단백질 지표결과 quercetin 투여가 방사선 조사로 인해 낮아진 Total protein 수치를 높여주는 경향을 보이고, 방사선 조사 30일 후에는 높아진 Triglyceride, Cholesterol 수치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방사선 조사 30일 후 방사선 조사와 quercetin 10mg/kg .b.w 투여군에서 Cholesterol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소장의 TBARs 함량을 통해 본 결과 방사선 조사 30일 후에 방사선 조사와 quercetin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과산화물의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quercetin 10mg/kg .b.w 투여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 본 연구의 실험결과 quercetin 경구투여로 인해 면역기능을 증진시키고 방사선 조사로 인한 염증 완화와 혈중 단백질 및 지질 영양상태를 증진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시의 투여농도와 기간에 따르는 변화가 다른 것은 투여농도와 기간에 따라 다양하게 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주의해야 됨을 주지시켜야 한다고 사료된다. 향후 quercetin에 대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 및 질병이나 면역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을 위한 면역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운동 강도가 비만 대학생의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체지방 율 25% 이상 20대 비만남성에게서 운동 강도의 차이가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FOEI와 80% VO₂max에 해당하는 유 산소 운동을 적용한 후, 운동 전 안정 시는 물론 운동 직후, 회복기 30분, 1시간, 2시간에 채혈된 혈액에서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글루코스, 젖산 및 인슐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에서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강도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강도 모두 측정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안정 시에 비해 운동 직후는 물론 회복기 동안 비교적 낮은 수준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보였다. 둘째, MFOEI와 80% VO₂max 강도의 운동을 적용한 후,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는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 별 상호작용 효과와 강도 사이의 주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운동 직후부터 회복기 2시간까지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가 관찰되었다. 셋째, 운동 중과 회복기의 글루코스는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 운동 강도와 측정 시기별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특히, MFOEI 운동 및 회복기에는 글루코스 농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적 높은 80% VO₂max 강도의 운동 직후에는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보였다. 넷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강도와 측정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특히, MFOEI에서는 측정시기별 젖산 농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VO₂max 운동 강도에서는 운동 직후에 측정된 혈중 젖산 농도가 안정 시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회복기 동안 MFOEI 그룹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마지막으로 혈중 인슐린 농도는 MFOEI와 80% VO₂max에서 운동 강도와 측정 시점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운동 강도 사이의 주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강도 모두 측정 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운동 직후 측정된 인슐린 농도는 안정 시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고, 회복기 30분에 다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며, 회복기 2시간까지 지속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동일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운동에서 MFOEI와 80% VO₂max 강도 모두 운동 중은 물론 회복기 동안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와 유리지방산의 이용을 증가시켜 지방 산화에 유용한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80% VO₂max 강도에서는 일시적으로 증가된 혈중 글루코스와 젖산으로 인해 운동 중 지질대사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반해 MFOEI에서의 운동은 비교적 낮은 강도로 혈중 글루코스와 젖산의 변화 없이 체지방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운동 후 회복기 동안에도 고강도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인체의 지방 이용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운동 강도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of obese college students. Eight healthy obese men (23.5±5.2) participated in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MFOEI) (40-60% VO₂max, n=8) and high intensity (80% VO ₂max, n=8).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pre-exercise, post-exercise, 30, 60, 120min recovery after exercise, which were used to extract plsma for the assessments of triglyceride (TG), free fatty acid (FFA), glucose, lactic acid (LA), and insulin. The data were handled by 2x5 two-way repeated ANOVA and executed contrast test (simple and repeate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intensity and time in glucose and LA. In particular, the glucose and LA in 80% VO₂max trial were dramatically increas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comparison with them in MFOEI trial. Nonetheless, the TG and FFA levels in blood improved during recovery as well as post-exercise in both trial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MFOEI is more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blood lipids and their related factors than 80% VO₂max.
대학생의 영양소 섭취와 혈중 지질 및 혈중 중금속 농도의 비교 연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영양 섭취와 혈청지질 및 혈중 중금속 농도를 조사하고자 경기도 일부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 영양 섭취 상태, 일반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하고, 채혈을 통하여 혈중 중금속 농도와 혈청지질 및 SGOT, SGPT를 검사하여 SPSS를 통하여 X²-test, Student's t-test와 ANOVA test, Pearson의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남학생은 23~24세, 25세 이상이 32.6%씩으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21~22세가 45.9%로 가장 많았다. 운동을 한다고 답한 학생은 남학생은 55.8%, 여학생은 24.3%로 나타나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1). 음주를 한다고 답한 학생은 남학생 86.0%, 여학생 64.9%로 나타났다. 흡연을 한다고 답한 학생은 남학생 37.2%, 여학생은 0%로 남녀 간에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은 남학생이 175.72±5.78cm, 여학생이 160.21±4.24cm였고, 체중은 남학생이 73.33±11.99kg, 여학생이 52.36±6.93kg이었다. BMI는 남학생이 23.69±3.20, 여학생이 20.38±2.37으로 남녀 BMI가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남학생, 여학생 모두 44.2%, 70.3%로 정상체중에 가장 많이 속해있었다. 고혈압을 분류해 보았을 때, 남학생은 고혈압 전단계에 속하는 학생이 51.2%로 가장 많이 속해 있었고, 여학생은 정상이 78.4%로 가장 많이 속해 있었다. 남녀 혈압에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 (p<.001) 영양소 섭취 비율을 보았을 때, 70%보다 부족하게 섭취한 영양소는 남학생은 섬유소, 엽산 이었고, 여학생은 섬유소, 칼슘, 엽산이었다. 영양소 적정 섭취비(NAR)를 0.70 이하로 섭취하는 영양소가 남학생은 칼슘, 비타민 C, 엽산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칼슘, 철분, 비타민 A, 비타민C, 엽산으로 나타났다.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은 남학생이 0.79±0.17, 여학생이 0.71±0.17으로 남학생이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지 않았다. 영양소 질적 지수(INQ)는 남학생이 단백질(p<.001), 인, 철분(p<.01), 비타민 B1(p<.05)에서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알루미늄의 혈중 농도는 남학생이 9.12±2.11㎍/L, 여학생이 8.03±2.14㎍/L로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5), 흡연에 따른 혈중 알루미늄 농도는 비흡연자에서 8.46±1.94㎍/L, 흡연자에서 9.29±1.94㎍/L로 흡연자에서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은의 혈중농도는 남학생이 3.08±1.55㎍/L, 여학생이 2.64±1.49㎍/L로 평균값은 남학생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지 않았고, 흡연에 따른 혈중 수은 농도는 비흡연자에서 2.86±1.57㎍/L, 흡연자에서 2.93±1.39㎍/L로 흡연자에서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SGOT, SGPT는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고, LDL 콜레스테롤은 남학생이 경계치에 속하였고, 여학생은 정상치에 속하였다. H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모든 혈액지표에서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HDL 콜레스테롤만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여부에 따른 혈액 지표를 보았을 때, 중성지방(p<.001), LDL 콜레스테롤(p<.05)은 흡연자가 비흡연자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주 여부에 따른 혈액 지표를 보았을 때, 중성지방이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남녀 대학생은 신체적 특성, 혈청 지질, 혈중 알루미늄 농도에서 차이를 보였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성별에 따른 적절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nutritional intake, serum lipid and blood heavy metal level of college students. It examined their body measurement, nutrients intake and generals characteristics, and tested blood heavy metal level, serum lipid, SGOT, SGPT through blood gathering, and analyzed X²-test, Student's t-test, ANOVA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SPSS.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male students were 175.72±5.78cm and 69.6kg, respectively, and those of female students were 160.21±4.24cm and 52.36±6.93kg,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3.69±3.20kg/㎡ and 20.38±2.37kg/㎡, respectively, so it showed that there's ver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p<.001). About 44.2% of male and 70.3% of female students were normal range of BMI(18.5~23). The high blood pressur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ale students, the most belonged to the pre-step of high blood pressure as 51.2%, and in female students, the most belonged to the normal as 78.4%. It showed that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 of blood pressure between males and females (p<.001). The Nutrients below 70% of KDRIs were fiber and folate in male students and fiber, calcium and folate in female students. The nutrients below 0.70 of NAR were calcium, vitamin C and folate in male students, and calcium, iron, vitamin A, vitamin C and folate in female studnets. The MAR of male and female studnets were 0.79±0.17 and 0.71±0.17, respectively, so male students were high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Q of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in protein(p<.001), phosphorus iron(p<.01), vitamin B1(p<.05). The blood aluminium level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9.12±2.11㎍/L, and 8.03±2.14㎍/L, respectively, so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p<.05). And, the blood aluminium level of smoker were higher than that of nonsmok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blood mercury level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3.08±1.55㎍/L and 2.64±1.49㎍/L, respectively, so mean value was higher in ma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rcury level of smoker were also higher than that of nonsmoke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m belonged to the normal in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SGOT, SGPT. As for LDL cholesterol, males belonged to the boundary value and females to the normal value. In every blood indices excepting cholesterol, male students were higher and as for only HDL cholesterol,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e blood indices of smo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smokers in triglyceride(p<.001), LDL cholesterol(p<.05). The blood indices of drin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drinkers in triglyceride(p<.05). As the result,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had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properties, serum lipid, and blood aluminium level, so it's thought that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according to sex is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김진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본 연구는 1998년 11월에 실시되었던 「국민건강·영양조사」중 건강검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혈중지질 수준을 비교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13,421명중 ‘보건의식행태조사’와 ‘건강검진조사’를 받은 20세이상 성인 8,823명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담배를 가끔 피우거나 과거에 피웠다고 대답한 사람, 혈중지질이 조사되지 않았던 대상자를 제외한 6,877명(흡연자 2,421명, 비흡연자 4,456명)이었다.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의 일반적특성과 혈중지질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t-test,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유의성 검정은 P<0.05일 때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고,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흡연자 2,421명(35.2%)중 남자 2,168명(89.6%), 여자 253명(10.4%), 비흡연자 4,456명(64.8%)중 남자 600명(13.5%), 여자 3856명(86.5)이었다. 남자에서 흡연자의 평균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186.3±36.8mg/dl, 중성지방 138.7±67.0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48.3±12.6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0.2±33.8mg/dl 였고 비흡연자는 총콜레스테롤 185.2±35.1mg/dl, 중성지방 126.6±62.2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47.2±11.8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2.6±32.1mg/dl이었다. 여자에서 흡연자의 평균혈중지질은 총콜레스테롤 198.8±40.1mg/dl, 중성지방 132.7±54.9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51.2±13.9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21.1±38.5mg/dl 였고 비흡연자는 총콜레스테롤 188.0±37.3mg/dl, 중성지방 110.7±56.1mg/d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51.7±12.5mg/d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114.1±33.0mg/dl 이었다. 둘째, 하루평균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10개피미만, 10-20개피미만, 20개피이상인 군으로 혈중지질 농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자는 20개피이상인 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농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비흡연군에 비해 10개피미만, 20개피미만, 20개피이상인 군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았고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셋째, 생애총흡연량에 따라 비흡연자, Q1(2,702갑미만), Q2(5,749갑미만), Q3(9,728갑미만), Q4(9,729갑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혈중지질 농도 평균의 차이를 남녀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남자는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고,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높았으며, 여자에서는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고, Q1,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중성지방농도가 높았으며, Q3, Q4군에서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농도가 비흡연군에 비해 낮았고, Q2, Q3, Q4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농도가 높았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넷째, 혈중지질에 대한 하루평균흡연량, 생애총흡연량, 연령, 교육정도, 수입, 음주여부, 운동여부, 스트레스정도, BMI, waist hip ratio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남녀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른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하루평균흡연량이 20개피 이상인 군과 생애총흡연량이 상위사분위수(>9,729갑)군에서 혈중지질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서 하루평균흡연량과 생애총흡연량이 혈중지질농도에 독립적인 관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rum lipids level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serum lipids level. This study is based on the health check-up data collected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Investigation Report」in 1998. From the total sample of 13,421, 8,823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took part in the 'Public Health Awareness Report' and 'Health Check-up', were chosen as the study sample. Furthermore, the sporadic smokers and ex-smokers were excluded. A total number 6,877 subjects were analyzed(2,421 smokers, 4,456 nonsmoker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ups(smokers and nonsmokers) differences of serum lipids level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fter adjusting, the effects of confoun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males were 186.3±36.8mg/dl, 138.7±67.0mg/dl, 48.3±12.6mg/dl and 110.2±33.8mg/dl for the smokers while they were 185.2±35.1mg/dl, 126.6±62.2mg/dl, 47.2±11.8mg/dl and 112.6±32.1mg/dl for the nonsmokers.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198.8±40.1mg/dl, 132.7±54.9mg/dl, 51.2±13.9mg/dl and 121.1±38.5mg/dl for the smokers while they were 188.0±37.3mg/dl, 110.7±56.1mg/dl, 51.7±12.5mg/dl and 114.1±33.0mg/dl for the nonsmokers. Second, based on the daily smoking quanti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onsmokers, light smokers(less than 10 cigarettes per day), moderate smokers(10-19 cigarettes per day), and heavy smokers(more than 20 cigarettes per day).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ales were higher in the heavy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higher in the light smokers, the moderate smokers and the heavy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P<0.05). Third, based on the life-long smoking quanti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nsmokers, Q1(from 1 pack to 2702 packs), Q2(from 2703 packs to 5749 packs), Q3(from 5750 packs to 9728 packs) and Q4(more than 9729 packs). The means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ales were higher in group Q3 and Q4 than nonsmokers.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higher in group Q2, Q3, Q4 than nonsmokers. Th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females were lower in group Q3 and Q4 than nonsmokers. 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gicant(P<0.05).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daily smoking quantity, and life-long smoking quantity on serum lipids level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age, education level, income, drinking pattern, exercise, levels of stress, BMI and waist hip ratio. Controlling other variables, heavy smokers and smokers in group Q4(more than 9729 packs) yielded a high concentration of serum lipids level. This study suggests that daily smoking quantity and life-long smoking quantity might be regard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erum lipid levels in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