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고혈압제 처치유무에 따른 고혈압환자 마취관리시 혈압 및 맥박수의 변화

        박승우 경북대학교 1990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혈압 환자 22예중 수술전에 고혈압 치료를 받은 11예와 치료를 받지 않은 11예를 무작위 선정하여 마취 및 수술 중 혈압변동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술전 마취관리를 위해 고혈압을 치료 받은 예와 치료를 받지 않은 예를 비교하여 볼 때 수술중 혈압변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군에서 모두 마취직전의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은 병실혈압에 비해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고 삽관 직후에는 혈압 및 맥박수가 병실의 혈압과 맥박수에 비해 현저한 상승을 나타냈다 (p<0.05). 술중의 수축기혈압은 양군에서 병실 수축기혈압과 차이가 없었으나 이완기혈압은 처치된 군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 술중의 맥박수는 비처치된 군에서 상승을 나타냈다. 회복시에는 양군의 이완기혈압, 맥박수가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관찰결과로 미루어 보아 수술전에 항 고혈압 치료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고혈압으로 인한 혈관의 병변은 이미 존재하므로 수술로 인한 자극이 주어졌을 때 혈압의 증가는 양군 모두 비슷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creases yearly, and this imposes many anesthetic problems during surgery. The etiology of essential hypertension is unknown, but it affects primarily the brain, heart and kidney. The main causes of mortality due to hypertension are cerebrovascular accident, congestive heart failure, myocardial infarction and uremia. For the better anesthetic managements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clearly the pathophysiologic changes and hemodynamic patterns of hypertension. Because of the controversy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preoperative treatment of hypertension, this article will evaluate this controversy. The patients with hypertens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consisting of 11 patients, who receiv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in the preoperative period and the other group, consisting of 11 patients, who had not receiv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for the control of high blood pressure preoperatively. Changes of arterial blood pressure during anesthesia were analyzed, and data were compared between tow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tient who receiv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for preoperative anesthetic management showed the same arterial blood pressure fluctuation during general anesthesia, compared to the patients who had not receiv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p <0.05). In the treated gorup, th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hanges during preinduction and intuba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ward's values, but didn't show significant increase during operation and recovery. In the nontreated group, the results showed similar changes as in the treated gorup. It may be suggested from the above observation that the preoperative control of hypertension dose not affect the changes of blood pressure in perioperative period.

      • 본태성고혈압 군인의 사회심리학적 요인과 고혈압관련 생활양식 및 복약이행과의 관계

        김혜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의 상호작용 모델’을 바탕으로 본태성고혈압 군인의 사회심리학적 요인과 고혈압관련 생활양식 및 복약 이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10개 군병원 및 의무실 내과 외래에서 본태성고혈압을 진단받고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군인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9년 10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6주간 실시하였고 202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2와 STATA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태성고혈압 군인의 연령은 평균 47.15±6.46세이고 기혼이 191명(94.6%), 가족과 동거가 174명(86.4%)으로 나타났다. 직업적 특성으로 계급은 부사관이 99명(49.3%)로 가장 많았고 복무기간은 평균 24.92±6.76년, 사무·행정 위주의 업무형태가 154명(81.5%), 업무로 인해 귀가하지 못한 일수는 한 달 평균 3.14일로 나타났다. 2. 고혈압 유병기간은 평균 4.88±4.18년, 항고혈압제 복용기간은 평균 3.79±3.51년이었다.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대상자는 56명(28.0%)이고 음주는 보통 소주 1병 이상을 마시는 대상자가 109명(54.0%)로 나타났으며 평균 BMI는 26.03± 2.43이었다. 3. 자기효능감은 85점 만점에 평균 67.47±8.18점이고 건강관련 목표설정은 98명(48.5%)이 건강관련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지각된 건강상태는 평균 3.07±.89점이고 지각된 심각성은 44점 만점에 평균 27.07±4.80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100점 만점에 평균 37.35±10.06점으로 영역별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조직체계’, ‘관계갈등’,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직무불안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진과의 관계는 35점 만점에 평균 27.79±3.83점으로 영역별 ‘건강정보’, ‘전문·기술적 능력’ ‘전반적인 만족도’ ‘정서적 지지’, ‘의사결정 통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고혈압관련 생활양식은 92점 만점에 평균 63.39±8.85점이고 영역별 ‘병원방문 약속 이행’, ‘자기감시’, ‘스트레스 관리’, ‘식이조절’, ‘운동’, ‘기호식품 제한’, ‘정보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복약 이행은 72명(37.1%)이 이행으로 나타났고 구체적 불이행 사유에는 ‘혈압약 복용 깜빡 잊음’이 91명(46.9%)으로 가장 많았다. 5. 고혈압관련 생활양식은 연령(p=.004), 복무기간(p=.007), 항고혈압제 복용기간(p=.036), 동반질환 유무(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r=.208, p=.003), 지각된 건강상태(r=.273, p>.001), 의료진과의 관계(r=.211, p=.003), 직무스트레스(r=-.148, p=.035)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복약 이행은 복무기간(p=.046), 업무형태(p=.006), 고혈압 유병기간(p=.005), 항고혈압제 복용기간(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료진과의 관계(r=.182, p=.011), 건강관련 목표설정 유무(r=-.149, p=.037)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7. 고혈압관련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 동반질환 유무, 의료진과의 관계, 연령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의료진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설명력은 15.5%였다. 8. 복약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혈압 유병기간과 의료진과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고혈압 유병기간이 1∼5년의 대상자보다 11년 이상인 대상자가 6.305배 복약 이행할 확률이 높았고 의료진과의 관계가 1점 좋아질수록 1.145배 복약 이행할 확률이 높았다. 음주량과 BMI가 높은 것은 고혈압 군인의 절주 및 체중조절이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하고 복약 이행율이 37.1%로 치료에 기본이 되는 규칙적인 혈압약 복용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f. 또한, 의료진과 대상자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고혈압관련 생활양식 및 복약 이행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고혈압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경계성고혈압자의 안정 시 및 동적 운동 시 혈관내피세포기능과 심혈관 반응

        이준수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Endothelial function in prehypertensive during dynamic handgrip exercise Lee, Jun-soo Major in Sports Medicine·Science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Nho, Ho-Sung,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dothelial function of prehypertensive during dynamic exercis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o impair the endothelial function in perhypertensive compared to nomortensive during dynamic handgrip exercise. Eleven healthy prehypertension (24 ± 2 yrs) and ten healthy normotensive (25 ± 2 y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performed dynamic handgrip exercise in one contraction per second at 30% of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for three minutes. Vascular (blood vessel diameter, blood flow) and cardiac response (stroke volume, heart rate and cardiac output) were measured at rest and during exercise. Flow mediated dilation (FMD) was decrease significantly in perhypertensive less than normotensive (p<0.05) at rest, and vasodilation of perhypertensive was reduced significantly less than normotensive during exercise (p<0.05). All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rest and during exercise between per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dothelial function is impaired in prehypertensive compared to in normotensive. 초 록 경계성고혈압자의 안정 시 및 동적 운동 시 혈관내피세포기능과 심혈관 반응 이 준 수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 의·과학 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성고혈압자와 정상혈압자를 대상으로 Doppler Ultrasound와 Physio flow를 통한 혈관내피세포기능과 심혈관 반응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경계성고혈압자가 정상혈압자에 비해 안정 시 FMD(flow-mediated dilation)검사와 핸드그립을 이용한 동적 운동을 통한 혈관내피세포기능이 정상혈압자와 비교하였을 때 혈관내피세포기능이 저하 될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정상혈압자 10명, 경계성고혈압자 11명으로 20대 남학생으로 선정하였다. 동적 운동은 최대 악력의 30%로 초당 1회 수축하며 총 3분간 실시한다. 운동 중 혈관의 변화와 심혈관 반응을 지속적으로 살펴보았다. 경계성고혈압자와 정상혈압자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혈관내피세포기능을 평가하는 FMD(%)는 경계성고혈압자가 정상혈압자보다 유의하게 덜 증가하였다(p<.05). 동적 운동 시 경계성고혈압자가 정상혈압자보다 혈관이완이 유의하게 덜 증가하였다(p<.05). 안정 시, 운동 시 심혈관 반응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성고혈압자는 정상혈압자에 비해 혈관내피세포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심혈관계의 변화량이 많이 일어나는 운동 형태에서 경계성고혈압자의 혈관내피세포기능과 혈압 상승에 대한 기전에 대하여 검증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본태성 고혈압 쥐(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에서 비쑥의 혈압 상승 억제 효과

        박경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혈압 상승 억제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식품 소재를 발굴하고자, 우리나라 서남해안에 자생하고 있는 염생식물들을 대상으로 혈압상승조절인자인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저해 활성을 평가한 후 비쑥을 고혈압 예방 효과를 갖는 유용식물로 선정하였다. 비쑥(Artemisia scoparia Waldst.& kit.)은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니고 있는 염생식물로 monoterpene hydrocarbons, oxygenated monoterpenes, sesquiterpene hydrocarbons, oxygenated sesquiterpines, aromatic compounds, aliphatic compounds 등의 다양한 정유성분들이 동정되었으며 항산화 활성, 세포염증반응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져 있다. 하지만 염생식물 중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 함초에 비해 비쑥을 포함한 다른 염생식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비쑥을 고압열수추출한 비쑥추출물과 농산물 중 혈압 강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마늘을 이용한 비쑥마늘혼합추출물 2% (w/w)을 자발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는 본태성 고혈압 쥐를 대상으로 6주 동안 식이 시킨 후 혈압 상승 억제 효과를 구명해 보았다. 그 결과 대조군의 경우 식이기간동안 지속적으로 혈압이 상승한 반면 AS 와 ASG를 섭취한 식이군은 식이시작 3주째부터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의 상승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후의 식이기간 동안에도 대조군에 비해 혈압 상승효과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비쑥과 비쑥마늘혼합추출물 식이군들의 혈장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은 ACE 활성을 보였으며 Na 함량도 낮게 조사되었다. 이는 혈중 ACE 활성을 낮추거나 저해시킴으로써 혈압상승인자인 angiotensin II의 생성과 aldosterone의 분비를 낮추어 혈압 상승을 억제 시키고 그로인해 Na 재흡수를 줄여주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신장 및 근육조직에서 근육이완을 조절하는 myosin light chain phosphatase (MLCP)를 저해하여 혈관긴장도를 높이는 혈압상승유발인자 RhoA의 발현량은 낮추고 혈관이완물질을 유도시켜 혈압을 낮추는 VEGF의 발현량은 증가시켜 혈압 상승을 억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산화스트레스 관련 인자들을 조사한 결과, 혈중 지질과산화물(MDA) 함량과 간에서 단백질산화물(PCOs)의 함량은 낮추고 간의 glutathione (GSH) 함량은 증가시켜 산화스트레스를 줄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장 및 근육조직에서 염증유발인자인 NF-κB p65 의 발현량을 낮추고 혈중에서 낮은 TNF-α 함량을 나타내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염증반응을 낮춰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비쑥추출물과 비쑥과 마늘을 혼합한 비쑥마늘혼합추출물은 혈압 강하 효과와 체내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을 줄여줄 수 있는 유용식품소재로써의 활용과 함께 이를 응용한 새로운 식품의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 Halophytes, which are grown in a saline environment such as sea coastal sand, salt marshes, and tidal flats, are seen as a potentially useful crop and food source. Because halophytes are exposed to salt-triggered oxidative stress, these plants may synthesize and accumulate various secondary metabolites including phenolics and flavonoids with multiple biochemical defenses such as the maintenance of ion homeostasis and protection of cell functions in response to saline stress. Such compounds may act as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to prevent various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cancer, and aging induced by excessive oxidative stress in human. In our preliminary study, 23 halophytes growing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were evaluated by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ssay. Artemisia scoparia Waldst (AS) exhibited higher ACE inhibitory activity than other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S and AS with garlic (ASG) on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were evaluated. The rats were fed the diets containing 2% (w/w) AS and ASG (AS+garlic) pressurized water extracts for 6 weeks. After 3 weeks of AS and ASG diets, AS and ASG groups showed apparently lower systolic blood pressure level than CON group (p < 0.05). Significantly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in ASG and AS groups were also observed in 3 and 4 weeks, respectively (p < 0.05). AS and ASG groups had lower blood ACE activity and Na+ content compared to CON group. Higher expression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lower ras homology gene family member A (RhoA) in kidney and skeletal muscle were observed in AS and ASG groups than in CON group. AS and ASG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ipid oxidation in plasma and protein carbonyl content (PCOs) in liver than CON group. In addition, AS and ASG groups showed higher glutathione content in liver, lower NF-κB p65 expression level in skeletal muscle, and lower blood TNF-α level than CON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 and ASG diets reduce blood pressure possibly by reducing ACE activity, enhancement of VEGF expression and suppression of RhoA expression with reduction of oxidative stress. Therefore, AS can be viewed as a potentially health-promoting vegetable and food source, due to the reduction of blood pressure.

      • 血壓과 心搏動에 대한 經穴刺戟 및 皮膚 分節 刺戟 效果의 比較硏究

        李光淵 慶熙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체표에 가한 체성 자극은 자율신경계를 통해 혈압과 심박수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본 실험은 운동으로 항진된 평균 혈압(mmHg)과 심박수(beats/min.)에대해 체표상의 相異한 經穴과 皮膚分節에 가한 자극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은 6명의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운동 前, 後에 百會, 合谷, 足三里, 委中 및 T4, T10상의 지점에 指壓, 手鍼, 電鍼(50Hz) 자극을 가하면서 혈압과 심박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운동량은 running machine 상에서 10km/hr의 속도로 10분간 운동을 하게함으로써 정량화 하였으며, 대조군은 운동후 아무런 자극을 가하지 않은채 안정상태에서 혈압과 심박수가 변화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할 때 자극 부위와 자극 유형에 상관없이 혈압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심박수는 대조군에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운동전 T10에 指壓을 가한 경우와 운동후 百會, T10에 指壓을 가했을 때 그리고, 운동후에 百會, 合谷, 委中에 전침을 가한 경우에 유의성 있는 심박수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指壓, 手鍼, 電鍼 자극이 심박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혈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유의성 있는 심박수의 감소 효과를 발현하는 자극 부위가 특이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임으로써 자극부위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효과는 체성자극이 교감신경 억제보다는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의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유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It has been postulated that sensory stimulation affects the cardiovascular activity via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imulation on different sites of the body on MBP(mean blood pressure) and HR(heart rate). Six healthy men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and after 10 min. exercise on a running machine of 10km/hr, acupressure, plain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50Hz) stimulation was practiced on GV20, LI4, ST36, BL40 and non-acupoints on T4 and T10 respectively for 20 min. and in a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The changes of MBP and HR after exercise have been observed for 20 min. at 5 minute intervals. Compared with contro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research of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regardless of methods nor sites of stimulation. But there were trends of reduction in the heart rates in all experimental groups. Especially, in the group of acupressure on T10 before exercise, GV20, T10 after exercise and electroacupuncture on GV20, LI4, BL40 after exercis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heart rates. From the present experiment, it is concluded that somatic stimulation has effect on the heart rates but not on the blood pressures, and the presence of effective sites on the decreases of heart rates suggest that this effect may depend on sites of stimulation.

      • 가토 혈압에 대한 분죽엽 추출물의 효과

        나유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죽엽은 화본과 식물인 분죽(Phyllostachys nigra), 조릿대, 신의대 등의 잎이다. 죽엽은 예로부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해열, 진해, 비출혈, 불면, 토혈, 중풍 또는 열로 인하여 소변을 못 보는 증상이나 갈증이 있을 때 민간요법으로 응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죽엽의 약리학적 기능에 대해 과학적인 실험을 통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죽엽의 여러 약리작용 중에서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고, 분죽엽 추출물의 혈압강하 효과의 기전을 추구해 보았다. 분죽엽 추출물 투여 15분전에 atropine, yohimbine, dl-propranolol 등의 길항제를 이정맥내 주사하거나, 일부 실험에서는 경부 위치에서 양측 미주신경간을 절단하는 vagotomy를 실시한 후, 분죽엽 추출물을 투여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다. 1. 분죽엽 추출물 (3-60 mg/kg, IV)은 용량의존적인 혈압강하를 일으켰다. 2. Atropine (2 mg/kg 및 3 mg/kg, IV)은 분죽엽 추출물의 혈압강하 효과를 차단하지 못하였다. 3. 분죽엽 추출물의 혈압강하 효과는 양측 경부 위치에서 실시한 vagotomy에 의해서도 차단되지 않았다. 4. 분죽엽 추출물의 혈압강하 효과는 yohimbine (2 mg/kg, IV)에 의해 차단되지 않았다. 5. 분죽엽 추출물의 혈압강하 효과는 dl-propranolo (300 ㎍/kg, IV)에 의해 차단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분죽엽 물추출물은 3-60 mg/kg, 용량에서 토끼의 혈압을 용량의존적으로 강하시켰다. 분죽엽 추출물에 의해 유발된 혈압강하는 무스카린 수용체의 흥분이나 미주신경의 흥분, 교감신경계의 흥분과는 관련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분죽엽 추출물은 부교감신경이나 교감신경의 흥분이외의 또 다른 기전에 의해 혈압강하를 일으키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Bamboo leaves are leaves of Phyllostachys nigra, Sara coreana Nakai, Sasamorphapurpurascens Nakai, etc, in Gramineae. Bamboo leaves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s an antipyretics, antitussive, diuretics, etc, in Korea, China and Japan. Bamboo leaves have been widely used to treat palsy, dry-mouth, nasal bleeding, insomnia, hematoemesis, and so on in the oriental medicine.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bamboo leaves in experimental animal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 of bamboo leaves on blood pressure in rabbits. The water extract of bamboo leaves (BLE) was injected into a lateral ear vein at dose levels of 3, 10, 30, 40, 50 and 60 mg/kg body weigh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some antagonists (atropine, yohimbine and dl-propranolol) and vagotomy on bamboo leaf extracts-induced hypotension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ac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LE at does of 3-60 mg/kg produced a fall of the blood pressure in dose-dependent manner in rabbits. 2. The hypotensive effect induced by BLE was not inhibited by atropine pretreatment. 3. The hypotensive effect induced by BLE was not affected in the vagotomized rabbits. 4. The hypotensive effect induced by BLE was not inhibited by yohimbine pretreatment. 5. The hypotensive effect induced by BLE was not inhibited by dl-propranolol pretreatment. Taken together, it is concluded that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BLE resulted in a does- dependent hypotension in rabbits and that the hypotensive effect of BLE was not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stimulation of muscarinic receptors, vagus nerve and sympathetic nerve in the rabbi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hypotensive effect of BLE resulted from the mechanisms in another ways not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 비 침습적 혈압 측정 시스템 구현

        노영아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신체의 건강 상태를 알기 위한 기본적인 값,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침습적 (Invasive)인 방법과 비침습적 (Non-invasive)인 방법이 있는데, 침습적인 방법에 의한 혈압측정의 경우 정확한 값을 얻는 반면에 그 사용법이 복잡하고 환자에게 불편하므로 중환자의 경우를 제 외한 경우 대부분 비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혈압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혈압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커프(Cuff))의 압력을 제 어,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혈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구 성하였다. 통신방식으로는 개발된 시스템의 모든 기능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의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사용된 통신방식은 비동기 직렬 통신 방식(RS-232)인 패킷 방식을 사용하였고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를 이용한 자동 또는 급속 배기 방법을 이용하여 커프의 압력을 감압(Deflation) 하였다. 혈압측정 알고리즘은 기본적인 오실로메트릭 방법과 최대 진폭 알고리즘 (Maximum Amplitude Algorithm)을 사용하였다. 최대진폭 알고리즘에서는 측정된 오실레이션(Oscillation)중 최고의 진폭을 가지는 오실레이션 값은 오차의 원인이 되 는 연령이나 체중, 팔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오실레이션의 값에 획일적인 비율을 적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요인 들에 대한 가변적인 특정 비율(Characteristic Ratio)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최고혈압 (Systolic Blood Pressure), 최저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 평균혈압(Mean Blood Pressure)의 값을 구하는 연구를 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혈압계를 이용하여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품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 휴대용 혈압측정 시스템의 설계

        노동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혈압은 사람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의학적 파라메터 중 하나이며, 오실로메트릭 방법을 사용한 혈압측정 시스템은 팔 동맥에서 커프를 통해 나타나는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혈압수치를 비침습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장치이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실로메트릭 방식의 자동 혈압측정 시스템은 먼저 일정한 압력까지 빠르게 가압을 하고 나서 천천히 감압하는 과정에서 오실레이션 신호를 검출하여 혈압을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피 측정자에게 과도한 압력을 미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침습형 혈압측정방법의 위험성 및 불편성 등의 단점과 비침습형 혈압측정 시스템의 커프를 통한 과도한 압력이 유기되는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손목형 커프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혈압을 측정하는 손목형 혈압측정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혈압측정 시스템은 전원부와 압력을 가하는 공기주머니를 포함하는 커프, 신호검출부, 신호처리부, 무선 송·수신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은 혈압측정시 측정대상에게 주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무선 송·수신 방법을 사용하여 최대한 편안한 자세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혈압측정은 현재 자동 혈압측정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오실로메트릭 방법을 응용한 가압방식의 오실로메트릭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계단식 가압을 통한 각각의 압력에서 나타나는 오실레이션을 관찰하였고, 최대크기 오실레이션을 이용한 혈압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측정된 혈압값을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하며, 이 데이터는 추후 의료종사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계된 자동 혈압측정 시스템은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 혈압측정 시스템과의 수축기, 이완기 혈압과 심박동수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결정하기 위한 특성비율은 0.436과 0.671을 사용하였다. Blood pressure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arameters which reflects physical conditions medically, and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using oscillometric method is a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by measuring arterial pressure through a cuff. In general, commercial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calculate blood pressure by detecting oscillation signals while inflating cuff pressure rapidly then deflating slowly. That measurement method applies excessive pressure to the patient and also takes a long time. In this paper, we designed a wrist blood pressure system which measure blood pressure during the inflation in the wrist cuff. This system has advantages in safety and comfortableness compared to invasive measurement method and also makes up the excessive pressure inflation into cuff in non-invasive measurement method. The hardware system consists of a main power unit, a bladder in cuff unit, signal detection units, signal processing units,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unit and a data display unit. Our system can make patient comfortable during measurement because it us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We used inflation oscillometric method applied to conventional deflation oscillometric method, and we observed oscillation signals in each pressure level by stepping up inflation, then we determined blood pressure using MAA(Maximum Amplitude Algorithm). This system can save blood pressure values into flash memory, and then these saved data can be checked by medical doctors or nurses. We evaluated reliability of this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systolic,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ith other commercial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haracteristic ratio values used to determin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0.436 and 0.671respectively.

      • 혈압 rat 모델에서의 활동혈압 변동성의 증가와 안관류압의 저하가 망막과 시신경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creased Variability of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Decreased Ocular Perfusion Pressure on Retina and Optic Nerve in the Hypotensive Rat Model : 서홍

        서홍융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effect of increased variability of the blood pressure (BP) and excessive reduction of the ocular perfusion pressure (OPP) which were induced artificially by interrupting the autoregulation by oral administration of over-dose of antihypertensive drug to the rat model on tissue responses in retina and optic nerve. Materials and Methods: Male Wistar rats (3-4 weeks old, 50–70 g) were used in this study. Over-dose of an antihypertensive drug (calcium channel blocker, amlodipine besylate, 0.4 mg/kg) was administered for achieving increased BP variability and excessive reduction of OPP. Group A, B, C and D were treated by oral administration of the antihypertensive drug for 3, 6, 9 and 12 weeks, respectively (n=6 at each group).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for tissue preparation at 15-16 weeks old (400-450 g), and age-matched vehicle treated rats (n = 6) were also included for the control group. Intraocular pressure (IOP) was checked at every week with a tonometer (Tono-Pen; Mentor O&O Inc., USA). Systolic and diastolic BPs were measured at every hour by the tail-cuff method (BP recorder 58500; Ugo Basile, Italy) for 24 hours at every week without anaesthetization. A fall of BP during the daytime (FD), weighted standard deviation (WSD), mean arterial pressure (MAP), OPP were calculated with these values. This study was examined Annexin V-positive retinal ganglion cells (RGCs) after intravitreal Annexin V injection and morphology and axonopathy of TUJ1–positive RGCs and anti-neufofilament-positive retinal nerve fibers in the hypotensive rat model. Axonopathy of optic nerve was examin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expression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s (GFAPs) and caspase-3 proteins was examined with western blot analysis. When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s, ANOVA test was use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Results: The IOPs of all experimental groups slightly decreased, but the re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antihypertensive drug, SBP and DBP decreased, the FD of SBP and DBP increased, and the increase of WSD in SBP and DBP was shown in all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MAP and OPP reduced by approximately 20% in group C and D and all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group C and D, the number of Annexin V-positive apoptotic RGCs is approximately 300% increase compared to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in normal control eyes. By elongating the period of antihypertensive application per oral administration, mean density of retinal nerve fiber bundles was decreased gradually, and significantly in group C and D. Segmentation of retinal nerve fibers was found in group D, and the finding was similar to “Wallerian-like degeneration”. In retinas of group C and D, RGC density was reduced by about 20-40% compared with the controls. According to increase of the period of oral antihypertensive drug, the total number of axons and local axon density in cross sections of optic nerves was decreased gradually, especially optic nerves of group C and D reduced by about 30-50% compared with the controls. The number of degenerating axon profiles in optic nerves of group B, C and D was increased 202%, 248% and 287% compared with the controls. Excessive reduction of OPP and increase of BP variability didn’t cause overexpression of GFAP, however Caspase-3 was found to be increased in group C and D. Conclusions: This study was designed our study to demonstrate how distal stressors such as deterioration of ambulatory BP and OPP could affect retinas and optic nerves in rats, and concluded that deterioration of BP variability and OPP induced degeneration of RGC axons and somas in retinas and axonopathy in optic nerves. Thus, alteration in the hemodynamic factors might b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glaucoma. 목적: 정상 rat에게 인위적으로 경구 혈압강하제를 과다 투여하여 자가조절을 방해하도록 하는 저혈압 rat 모델에서 활동혈압 변동성의 증가와 안관류압의 과도한 저하가 망막과 시신경의 조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Male Wistar rat (3-4주령, 50–70 g)를 대상으로, 활동혈압의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안관류압을 과도하게 낮추기 위하여 경구 혈압강하제(calcium channel blocker, amlodipine besylate)를 0.4 mg/kg로 과다 투여하였다. 그룹 A, B, C, D의 각각의 실험군은 마지막 3주, 6주, 9주, 12주 동안 경구 혈압강하제를 투여하였고, 각 실험군은 6마리의 rat이 포함되었다. 모든 실험군은 실험 조직을 만들기 위해 15-16주령 (400-450 g)에 희생되었고, 그 주수에 맞는 대조군으로 6마리의 rat을 사용하였다. 안압은 Tono-pen (Mentor O&O Inc., USA)을 이용하여 매주 24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은 the tail-cuff method (BP recorder 58500; Ugo Basile, Italy)를 이용하여 rat을 마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주 24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주간혈압하강, 활동혈압의 가중표준편차, 평균동맥압, 안관류압을 앞서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Annexin V를 유리체내로 주입 후 24시간이 지나 Annexin V에 염색된 retinal ganglion cell (RGC)를 살펴보고, TUJ1에 염색된 RGC와 항-neurofilament에 염색된 망막신경섬유의 형태와 axonopathy를 관찰하였다. 시신경의 조직학적 변화는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알아보았고,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s (GFAPs)과 Caspase-3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실험군의 비교를 위해 ANOVA test를 이용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P value는 0.05 미만으로 정하였다. 결과: 안압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모든 실험군의 혈압, 평균동맥압, 안관류압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활동혈압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주간혈압하강과 가중표준편차는 모든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룹 C와 D에서 Annexin V에 염색된 apoptotic RGC는 약 300% 증가하였다. 과도한 경구 혈압강하제의 사용기간이 늘어날수록 망막신경섬유다발의 밀도는 점점 감소하였고, 그룹 C와 D에서는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었다. 특히 그룹 D에서는 망막시신경섬유의 분절화가 나타나, “Wallerian-like degeneration”을 보였다. 시신경의 axon의 수와 밀도도 그룹 C와 D에서 약 30-50%의 감소를 보였고, degenerating axon profile의 수 또한 그룹 B, C, D에서 200% 이상의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났다. 과도한 안관류압의 감소와 활동혈압의 변동성 증가는 GFAP의 발현을 유도하지는 않았으나, Caspase-3 단백질이 그룹 C와 D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활동혈압 변동성의 증가와 과도한 안관류압의 저하가 정상 rat의 망막과 시신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혈역학적 변화로서 RGC의 axon과 soma의 변성이 초래되고 시신경의 axonopathy를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는 혈역학적 요인들이 녹내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