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디어 파사드의 촉각적 미학

        김은지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1919

        현대도시에 전대미문의 건축형태인 미디어 파사드가 등장한지 십여 년의 시간이 흘렀다. 초기에는 단일 건축물로 랜드마크적 속성을 가졌으나, 짧은 시간동안 미디어 파사드는 도시 중심부에서 외부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제 현대도시에서 미디어를 입은 건축형태를 배제하고는 동시대의 도시에 대해 논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에 진행된 연구들은 미디어 파사드를 특정 연구 분야-기술, 건축, 조명, 미디어-에서만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거나, 과거의 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19세기의 이론으로 21세기 매체와 도시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모순이 발생하며, 새로운 통합적 관점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논문은 그간의 미디어 파사드 연구가 담아내지 못했던 ‘도시’라는 틀에서, 간과되었던 ‘인문학적 관점’에서 연구할 것이다. 또한, 현대도시의 현란한 표층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며, 기저에 흐르는 심층적 속성을 고루 읽어내는 것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현대도시의 속성을 분석하기 위해, 표층과 심층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대상을 분리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표층적 분석은 이미지의 홍수로 범람하는 현대도시의 가시적 특성을 대상으로 하며, 심층적 분석은 가시적 이미지의 후면에 숨겨진 도시의 속성과 가치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이를 분석하는 핵심적인 키워드는 촉각성이다. 표층분석에 있어서는 발터벤야민의 고전적 매체연구에서 시작한다. 과거 영상매체의 시각적 촉각성이 현대에 이르러 미디어 파사드와 도시에 적용되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일차적 감각의 경험에 대한 결과는, 19세기 영상매체의 ‘충격’과 대도시 파리의 체험적 속성은 오늘날 일상이 되었으며, 도시경험의 작은죽음을 맞이했다. 또한 도시 외부에서 미디어 파사드를 통한 새로운 가능성은 시간과 공간의 경험이 확장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도시 내부에서 외부로의 확장이 아니라, 중세인들이 그토록 두려워했던 악마적 밤을 극복했다는 것이다. 기능적 극복을 넘어 중세의 화톳불과 같은 유희적 극복이 미디어 파사드에 이르러 도시에 구현되었다는 것이다. 미디어 파사드의 가능성은 한발 더 나아가 기존의 공공미술이나 건축과는 다르게 스펙터클의 틈으로 솟아오른다. 기존 스펙터클들과의 차이점은 공공영역에 새로운 의미를 불어넣는 가능성을 가진다. 나아가 도시 외부에서 공동체 경험으로 기능하게 된다. 기존의 공동체 경험은 일시적이고 단면적인 목표를 가지며, 촉발적 성향을 띈 공동체였다면, 미디어 파사드의 공동체 경험은 예술을 소재로 하여, 공통의 심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도시의 공동체 경험에 새로운 가능성을 함의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2011년 가톨릭 800주년을 맞이하여 프랑스에서 선보인 미디어 파사드 작품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프랑스 여러 지역에서 네트워크 형식으로 선보인 이 작품들은 아티스트 그룹인 스케르조가 작업했으며, 특별히 레임스(Reims)지역의 샤르트르 대성당의 파사드에서 펼쳐진 <색채의 꿈>이 주요 작품이다. 이 작품을 통해 미디어 파사드가 도시 외부에 공공미술로 기능하는 것과 새로운 공동체 경험에 대해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심층분석에서 본 논문은 현대도시와 정반대의 가치를 내포하는 중세도시를 일종의 ‘가설적인 상’으로 놓고 비교할 것이다. 인류가 가지는 장소는 기원에서부터 성과 속을 분리한 채로, 그 속성을 내포하고 있다. 중세도시는 성과 속이 분리된 채로 고딕대성당을 통해 성스러움의 절대성과 도시의 수렴성을 설명한다. 현대도시는 세속화를 통해 성과 속의 분리가 해체되었으며, 미디어 파사드와 현대도시가 발산성을 증명한다. 중세도시와 현대도시를 비교분석하며 전환되는 가치들은 성스러움에서 세속으로의 이행, 수직에서 수평으로의 이동, 수렴에서 발산으로의 전환이다. 이는 앞서 표층분석에서 활용된 촉각성과 다른 은유로의 촉각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인간은 수평으로의 열망을 추구한다. 이 수평의 가치는 자유와 평등을 의미한다. 과거 고딕대성당과 중세도시는 성스러운 제의적 아우라를 가진다. 이것은 가깝지만 먼 일회적 만남을 의미한다. 그러나 미디어 파사드에 이르러 이러한 아우라는 사라졌으며, 세속도시에서의 미디어 파사드는 멀지만 가까운 것이다. 가깝다는 것은 ‘안다’는 것과 동의어이다. 또한, 만져진다는 것이다. 만져진다는 것은 촉각적이다. 이것은 은유로의 촉각성을 의미한다. 미디어 파사다가 존재하는 현대도시는 수평으로의 열망이 퍼져있는 촉각도시이다. 이 논의는 현대도시의 사유에 있어 과거의 이론을 넘고, 현재의 인식의 틀을 재조명하는데 있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中?玄幻小?的本土化?究 : 以玄幻武?小??中心

        양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19

        ‘Xuanhuan’ novels began in 1990s as a kind of burgeoning new novel and the word‘fantasy’ was first used by Hongkong writer Huangyi. His novels encompassed the ideology of Chinese metaphysics, as well as the creative part surpassing traditional theme. Some scholars claimed that “Fantasy novel is a brand new novel type which combines metaphysics, science and literature.” However, fantasy novels were influenced by western fantasy since 2000, which led to some character changes. Its themes, characters and stories were all mimicking western fantasy novels. And it was read by public via internet and developed rapidly. The ‘Xuanhuan’ novel in this paper refers to that established on the thought imagination, which narrates the figure and affair with peculiar ability. Its original body mainly contains Chinese and western myth, legend, folktale, etc., and blends various unrestrained unusual but wonderful thinking. Its background usually builds on incomplete rationality or unpredicted world structure. Its content concludes a lot of magic, gods and spirits, foresight, super power, etc. The amount of theme, subject and division also increases spectacularly and becomes complicating since it is uncontrolled written. Among the complex and varied categories, the authentic themes are western main-stream fantasy, sword and sorcery fantasy, ancient myth fantasy, impracticable history fantasy, superficial fiction fantasy, metropolis fantasy, magical power fantasy, and spirit world fantasy. These types of works are the most various, and also get the highest attention and good reputation. Although the fantasy novel was influenced by many western myth, legends and outside science fiction novels in the earlier stage, its developing process had formed Chinese localized fantasy gradually, and combined Chinese ancient myth, history, and Kungfu literature which had the most localized features of China. The Kungfu novel was combined with Chinese traditional literature as a kind of Chinese localized fantasy novel. This kind of ‘Xuanhuan Wuxia’ novels combined the science fiction, emprise spirit, fantasy style, gods and spirits culture, and game pattern. It added the Chinese localized fairy story, historical background and emprise pattern to describe the fantastic experience of the main actors. It is a kind of all times and all place blending as well as literature blending, and is a kind of new fantastic type influenced by the main Chinese literature pattern. However, the academic community relatively pays not enough attention on it comparing with its popularity, and even shows indifferent attitude. Especially, the related research on the localization of fantasy novels is nearly blank. The so-called ‘localization’ can be simply explained as the adaptable process of something in one place to of the other place. Explained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it is a kind of literary genre which formed by the exotic literature combined with national tradition and realistic environment after entering China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Its own literature is not influenced and reflects the lo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rocess of interaction. The localization of literature keeps to the inherent nature of literature, and highlights the literature nature during the composing process. It has objective expression and cognition to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real life by correct method. It assimilates the source from the aspect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history and artistic style, etc., and has the authentic national features and conform to national traits. This paper analyzed the ‘Xuanhuan Wuxia’ novels as localized branching of fantasy novel. The localization features and importance of ‘Xuanhuan Wuxia’ novels were highlighted by the narration and analysis on their localization background, localization features, and multimedia interaction, etc. This paper analyzed the localization features focused on their theme trait, content trait, and language trait via the actual works and examples. Its literal features and potentials can be highlighted via the analysis to its localization. And, its type, feature and range, as well as its developing possibility can be verified. Moreover, this paper can attribute the research of literary circle on this kind of ‘Xuanhuan Wuxia’ novels, which can make it have more literariness and literary value. 중국 현환소설(玄幻小說)은 새로운 소설 장르로서 1990년대에 처음 시도되었다. ‘현환'이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한 홍콩의 유명 작가 황이(黃易)는 '현환' 개념을 현학(玄學)사상을 가진 환상(幻想)적 장르로 표현하였다. 현재 현환소설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일반적으로 현상(玄想)、과학、문학을 포함한 새로운 장르소설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이른바 ‘기환(奇幻)’이라 불리는 판타지 장르와 어느 정도 중첩되는 성격과 범주를 지닌다. 중국의 현환소설은 당시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떨쳤던 서양 판타지 장르의 영향을 받았지만,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전파되고 수용되면서 매우 빠르게 다양화되었으며, 소재와 주제, 종류뿐 아니라 그 문학적인 성격 역시 상당 정도 중국화되었다. 본 논문은 중국 ‘현환소설'을 동서 문화권의 신화, 전설, 민담에 기반하여 상상을 서사화한 판타지 소설 가운데서도 특히 중국을 비롯한 동양 문화의 요소를 본격적으로 수용한 장르문학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들 작품에는 예측 불가능한 세계를 배경으로 삼는 동양적 형상과 서사적 상상이 매우 자유롭게 펼쳐지며, 이를 토대로 마법, 신괴(神怪), 선지자, 초능력자 등 초자연적이고 비논리적인 인물과 사건이 대거 등장한다. 주류(主流) 현환소설은 서양주류의 검과 마법뿐 아니라 동서양의 신화, 가공(架空)의 역사를 제재로 삼아 전개되는데, 대체로 수진선협(修眞仙俠), 도시, 지괴(志怪), 이계(異界) 등의 유형으로 나뉜다. 주류 현환소설 유형의 대부분은 중국 고대 신화, 역사 및 가장 중국 본토화된 특색을 가진 무협문학 등 중국 전통문화와 결합하였는데, 이 가운데서도 중국의 전통문화와 융합되어 창작되면서 점차 본토화된 현환소설의 장르가 바로 현환무협소설이다. 현환무협소설은 공상과학적 특징, 무협의 정신, 환상적 분위기, 신괴 문화, 게임 모델 등을 융합한 뒤 중국의 신화 및 역사 배경, 무협 모델 등 요소를 더해 주인공의 기이한 경험을 쓴 환상소설이다. 이는 과거와 현재, 서양과 동양, 문학 장르를 융합한 것으로, 중국 문화의 영향 하에 만들어진 판타지 소설의 새로운 하위 장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로 대중들 사이에 유행한 ‘현환'에 대해 학술계는 충분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심지어 냉담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특히 현환소설의 본토화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문학의 관점에서 ‘본토화’는 외국의 문학장르가 중국에 유입된 뒤 문학적인 성질 자체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채 중국의 민족전통,현실환경과 융합해 본토화된 개성을 지닌 문학 장르를 형성한 것을 가리킨다. 문학의 본토화는 유입된 문학 본연의 고유한 성질을 부각시키는 한편으로 본토의 문학 및 문화적 특성을 반영해 특정한 방식으로 해당 문화의 전통과 현실 사회의 생활 형태를 객관적으로 인식해 반영하고 표현한 것이다. 현환무협소설은 중국의 전통문화, 역사와 예술성격 등 방면의 정수(精髓)를 받아들이면서 보다 순연한 민족 특색을 갖추고 민족적 성격에 부합된 작품을 창작한 것이라 하겠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주로 현환소설의 본토화된 갈래인 현환무협소설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중국의 현환무협소설의 본토화 배경과 본토화 특징, 다양한 매체와의 관련 등에 대한 서술 및 분석을 통해 중국무협소설의 본토화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그 중요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현환무협소설의 본토화 특징은 소재의 특징, 내용적 특징, 언어 등 세 가지 방면에서 분석된 작품의 사례를 통해 살펴 볼 것이다. 이에 본고는 문학적 관점에서 현환무협소설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장르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장르적, 성격과 그 범주의 확정 및 발전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 3·1운동 이후 현순의 독립운동과 사상적 변화 (1919~1922)

        박상범 중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on Hyunsoon who played multifarious parts as a methodist church minister in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and Korean Commison to America and Europr. Hyunsoon was of the parentage of ChunRyung-hyun who was famous for an official interpreter. The parentage of ChunRyung-hyun was in the forefront of receiving modern culture, belonging to middle class in Seoul. For this ancestral peculiarity, Hyunsoon was able to learn English at Educational Park of a government English school, and went to Japan for study. During the years of study in Japan, Hyunsoon was converted to Christianity, and returning from study abroad, left for Hawaii to work as an interpreter in a plantation there. After returning to Chosun with this experience, Hyunsoon received an ordination and got down to the pastoral duties. The Christianity he recognized was 'the religion of competency and action'. Hyunsoon hoped that Christianity would enable the Korean people to be competent and recover national rights. So, Hyunsoon strived to concentrate on educational activities in Sunday school of church, Paejae school, Sang-dong youth school, etc. It was at the point of time to plan the 3·1 movement that Hyunsoon got well-know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e had a just cause of being a minister, whereby he could escape from the superintendence of Japanese imperialism. Then, as a correspondent, he went to Shanghai with Independence Declaration to tell about the Samil movement, because he was good at speaking a foreign language. While planning to establish a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Hyunsoon took the office of a foreign deputy manager and got to participate in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his office of a foreign deputy manager he worked as Seung-man Lee's correspondent, and had conflict with Chang-ho Ann's group. Hyunsoon moved to Korean Commison to America and Europr, and continued the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There, he got in discord with Jae-peel Seo, Han-kyung Jung, etc., for the leadership in Korean Commison to America and Europr. He campaign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legation, but Jae-peel Seo, Han-kyung Jung, and Seung-man Lee's group in the United States opposed to it, and he was forced to give it up. Eventually, he left for Hawaii, and after a short stay there, went to Shanghai again. Hyunsoon, who failed to establish a legation in the United States, returned to Shanghai and tried to grope for a new direc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is was the very independence movement using socialism. He participated in 'the First Conress of the Toilers of the Far East', and said that a union with Russia would bring out Chosun's independence. There are 4 general reasons why Hyunsoon could accept socialism. The first is the process of Hyunsoon's growing up. The second is the context that Hyunsoon should break away from the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and find a new direc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third is the new alternative of Russian socialism which was widely spreaded in Shanghai. The fourth is the influence of Chang-sik Choi, Heon-young Park whom he had a personal acquaintance with. Hyunsoon thought that Chosun's independence should be fulfilled through the values of 'equality' and 'revolution'. That is, Hyunsoon, who could accept Christianity whereby he became competent for Chosun's independence, could also accept the socialistic values of 'equality' and 'revolution' for it. Hyunsoon argued that the Christian gospel would make it possible to overcome the vices and inequality of materialism and have competency to achieve Chosun's independence. And he dreamed that the socialistic values of 'equality' and 'revolution' would lead to the independence through the people's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Consequently, he belie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priately unite Christianity with socialism for Chosun's independence. In this regard, Hyunsoon can be considered as a Christian socialist. Hyunsoon left for Hawaii after the First Conress of the Toilers of the Far East, and got well-known as a Korean leader doing the pastoral duties there until 1937. After retiring from the pastoral duties, he played as 'a Christian socialist' an active part in socialistic groups, and strived for the independence. 본 연구는 감리교 목사로서 상해임시정부와 구미위원부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던 현순에 관한연구이다. 현순은 역관으로 유명한 천령현씨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천령현씨 가문은 서울의 중인계급으로 근대문화수용의 선두주자였다. 이런 가문의 특성 상 현순은 관립영어학교인 육영공원에서 영어를 배웠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기도 하였다. 현순은 일본 유학시절 기독교로 개종을 하였고, 유학해서 돌아오자마자 하와이 농장 통역관으로 떠나게 된다. 이때 경험으로 현순은 조선으로 돌아와 목사 안수를 받고 본격적인 목회 활동을 시작한다. 현순이 인식하고 있었던 기독교는 ‘실력의 종교’, ‘실천의 종교’였다. 현순은 기독교를 통해 우리 민족이 실력을 키워 국권을 회복하기 희망했다. 그래서 현순은 교회 주일학교, 배재학교, 상동청년학원 등에서 활발한 교육활동에 매진했다. 이런 현순이 독립운동에서 이름을 나타내게 된 것은 3·1운동이 계획되는 시점이었다. 현순은 감리교를 대표하는 목사로 성장하고 있었다. 그는 목사로 일제의 감시를 피할 명분이 있었고, 외국어를 잘한다는 이유로 상해로 3·1운동을 알리는 통신원으로 가게 되고,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상해로 가게 된다. 현순은 상해에서 임시정부 수립을 계획하면서 외무차장을 맡는 등 외교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현순은 외무차장으로 있으면서 이승만의 통신원의 역할을 하면서 안창호 계열과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현순은 구미위원부로 옮겨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외교독립운동을 계속 하게 된다. 현순은 그곳에서 서재필, 정한경 등과 구미위원부의 주도권을 가지고 갈등을 일으키게 된다. 현순은 공사관설립운동을 하지만 서재필, 정한경, 그리고 미국내 이승만 계열의 반대로 무산된다. 현순은 결국 하와이로 떠나게 되었고, 하와이에서도 오래있지 못하고 다시 상해로 가게 된다. 미국에서 공사관설립의 실패로 현순은 새로운 독립운동으로의 모색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사회주의를 이용한 독립운동이었다. 현순은 ‘극동민족대회’에 참여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러시아와의 단결이 조선의 독립을 가져올 것이라 하였다. 현순이 사회주의를 받아드릴 수 있었던 이유는 크게 4가지 정도 있다. 첫째, 현순의 성장과정, 둘째, 현순의 외교독립운동에서 벗어나 새로운 독립운동으로 모색을 해야하는 상황, 셋째, 상해에 널리 퍼져있었던 러시아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대안, 넷째,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던 최창식, 박헌영 등의 영향이다. 현순은 ‘평등’, ‘혁명’의 가치로 조선의 독립을 이룩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즉 조선의 독립을 위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기독교를 받아드렸고, 또한 조선의 독립을 위해 사회주의의 가치인 ‘평등’, ‘혁명’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현순은 기독교의 복음으로 물질문명의 폐단과 불평등을 극복하고, 실력을 쌓아 독립을 이룩해야한다고 했다. 그리고 사회주의에서 말하는 ‘평등’과 ‘혁명’의 가치로 민중해방을 통한 독립을 꿈꿨다. 결국 기독교와 사회주의 두 사상을 적절히 혼합하면서 조선의 독립을 위해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결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현순을 ‘기독교사회주의자’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현순은 ‘극동민족대회’ 이후 하와이로 떠나게 되고 1937년까지 목회활동을 하면서 하와이 한인 지도자로 떠오른다. 그는 목사 은퇴 이후 ‘기독교사회주의자’로서 사회주의 계열의 단체에서 많은 활동을 하고, 독립을 위해 힘을 쓴다.

      • 朝鮮 顯宗의 治病기록에 대한 醫史學적 연구 : 禮訟論爭이 顯宗 疾病에 미친 영향

        이상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919

        In oriental medicine, literature research is a very important method. The investigation of medical records is the main part of literature research, because treatment procedures are described in the medical records. We reviewe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Seungjeongwonilgi』 to investigate the King Hyeonjong’s medical archives. The treatment records of King Hyeonjong were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Seungjeongwonilgi』. We referred to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throug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to thoroughly observe the King Hyeonjong’s medical archives. We categorized the medical records from 『Seungjeongwonilgi』 into several groups. Symptoms were categorized as external contraction, both external and internal damage, internal damage, and external medicine. Treatment was divided into herbal medicine, external application, douche, herbal tea, liquor, diet, acupuncture, moxibustion, and bath. We counted the number of pathologies in the early, middle, and latter stage. The categorizations of symptoms and treatments belong to the external division, whereas the categorizations of the stages belong to the internal division. King Hyeonjong began to suffer from infection, after King Hyojong’s death and King Hyeonjong’s ascendance to the throne. He continued to suffer various eye diseases, fever, dermal disorders, and abscess. After coronation, 1st Yesongnonjaeng was the reason of hwa-byung. During his reign, there were many natural disasters and infectious diseases in the country, and they were stressful for him. In the year he died, his immunity had weakened because of 2nd Yesongnonjaeng. The phlegm-fire in the early stage of his illness was the fundamental cause; the dampness-heat in the middle stage and the deficiency of original qi in the latter stage made his condition worse. King Hyeonjong died from abscess, followed by a shock, at the age of 34.

      • 고대 중국에서 현(賢) 관념의 형성

        박진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고대 중국에서 현(賢) 개념의 의미 형성 과정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현에 대한 문자학적 분석과 문헌학적 분석을 실시하고, 개념의 변화를 춘추시대부터 전국시대에 걸쳐 일어난 사회 구조의 변화와 연결 지어 분석한다. 현은 성(聖)과 함께 뛰어난 인간 경지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현 개념은 춘추전국시대 사회적 변화를 거치며 주목받기 시작하였으며, 하나의 인간적 특성으로 형성되게 된다. 현은 지위를 두고 경쟁하는 상황에서 지위에 적합함을 가리기 위한 개념으로서 주목받았다. 현 개념의 형성은 춘추전국시대의 특정한 사회적 환경에서 언어 사용자들이 겪는 정치 사회적 변화 맥락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필자는 현이 후대 덕 중심의 해석과 달리 정치적 맥락에서 지위 정당화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현대의 현 개념 해석이 전국시대의 사상적 맥락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부분은 현에 대한 문자적 분석을 실시하고 그 어원을 탐구하여 핵심적인 초기 의미를 파악하는 데 집중한다. 현의 초기 의미는 비교에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이 주목받고 의미가 변화하게 춘추전국시대의 사회적 맥락을 점검한다. 두 번째 부분은 춘추시대 현의 의미 변화 양상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춘추시대의 세 문헌을 다룬다. 춘추시대 초기부터 중기로 넘어가며 현 개념이 인재의 적합성을 가리기 위한 정치적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며 춘추 말기로 이행하며 현의 의미가 능력의 뛰어남에서 덕성의 뛰어남으로 확대되었음을 󰡔좌전(左傳)󰡕과 󰡔국어(國語)󰡕를 통해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 아래에서 󰡔논어(論語)󰡕를 검토하며 현 개념이 다른 인간적 경지와 가지는 차별점을 부각하여 드러낸다. 세 번째 부분은 전국시대에 상현(尙賢) 사상이 대두되며 현 개념이 부상한 맥락을 다룬다. 봉건제의 사회 구속력이 약해지고 군주들의 권좌 다툼이 심화되며 권력 전환의 설명을 시도하는 선양론(禪讓論)과 방벌론(放伐論), 찬탈론(簒奪論)이 나타난다. 그리고 왕위 선양의 근거로 상현론이 제시되었으며, 현이 어떠한 특성인지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가 나타난다. 󰡔묵자(墨子)󰡕는 현의 특성을 겸애(兼愛)의 실천으로 달성 가능한 보편적 경지로 제시하며 만민의 겸애 실천을 독려한다. 󰡔맹자(孟子)󰡕는 현의 특성을 왕도정치의 이상에 걸맞은 도덕적 특성으로 설명하며 군주에게 왕도 정치 실천을 요구한다. 이들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제시하기 위한 도구로 현 개념을 재구성하여 사용한다. 필자는 이상의 논의를 거쳐 오늘날 중국 전통으로 제시되는 현 개념이 맹자에 이르러서 확인됨을 밝힌다. 이는 중국 전통으로 제시된 현이라는 인간상은 성과 달리 전국시대에 이르러 정치적 필요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은 하나의 고정된 전통적 인간상 및 특징이 아닌, 개념 사용자의 정치적 이상이 투영되는 개념으로 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ion of xian 賢 in early China. Xian is considered an ideal personality in Chinese thought (and especially Confucianism), but few scholars have investigated this concept in its earliest stages of development. Though commonly defined as “worthy” or “wise,” the earliest sources show that the concept of xian grew out of quantitative comparisons unrelated to virtues. This study is devoted to explaining how the conception of xian as a human personality was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excavated and transmitted texts from the Western Zhou period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By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Warring States period, xian wa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competition for social position in early China. Also, the conception of xian was intricately connected to the social status shift of the shi 士 and the rise of elevating the worthy (shangxian 尙賢) with the abdication (shanrang 禪讓) doctrine. Texts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reveal that the meaning of xian changed from the suitability for a social position to the excellence in virtue. And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show that there were competing views about the qualification of xian. Mozi’s focus on xian was to practice impartial care (jian'ai 兼愛) and Mengzi’s design was to cater to the way of the true king (wangdao 王道) theory. To sum up, this paper suggests that xian was not a singular concept in early China, contrary to most discussions of early Chinese xian. The so-called traditional meaning of xian was formed by the contention of idea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 흰 쥐의 뒷다리 현수 후 집중 체중부하 트레드밀 훈련과 전기자극이 골격근 특성에 미치는 효과

        안덕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흰 쥐(생후 11∼12주, 암컷 Sprague-Dawley 종, 48마리)의 뒷다리를 2주 동안 현수시킨 후 2주 동안에 현수(10마리), 집중 체중부하 트레드밀 훈련(15분, 10마리; 이하 트레드밀), 전기자극(교류, 20 Hz, 각 15분, 9마리), 전기자극/집중 체중부하 트레드밀 훈련(교류, 20 Hz, 각 15분/15분, 9마리; 이하 전기자극/트레드밀)의 중재에 따라서 근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대조군 10마리), 근육별로 가장 적절한 근 위축의 치료법을 구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네 개의 종아리근(안쪽·가쪽 장딴지근, 가자미근, 얕은발가락굽힘근)의 단면적과 근 섬유 비율의 변화와, 장딴지근/얕은발가락굽힘근, 가자미근, 전체 종아리근의 등척성 강축 장력과 무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을 비교하기 위해서 크루스칼-왈리스 검정법을, 각 중재군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만-휘트니 검정법을 한 다음, 본훼로니 수정법을 사용하여 근육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중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 단면적은 현수 후 각 중재에서 네 개의 종아리근(안쪽·가쪽 장딴지근, 얕은발가락굽힘근, 가자미근)이 대조군보다 감소되었다(p<0.05). 현수군과 비교하여 트레드밀군은 얕은발가락굽힘근, 가쪽 장딴지근에서, 전기자극/트레드밀군은 가자미근에서 단면적이 증가되었다(p<0.05). 2. 백색근육섬유 비율은 현수 후 각 중재에서 네 개의 종아리근이 대조군보다 증가되었다(p<0.05). 현수군과 비교하여 트레드밀군은 가자미근, 가쪽 장딴지근에서, 전기자극/트레드밀군은 가자미근에서 감소되었고, 트레드밀군과 비교하여 전기자극/트레드밀군은 가자미근에서 백색근육섬유 비율이 감소되었다(p<0.05). 3. 등척성 강축 장력은 현수 후 각 중재에서 모든 대상 종아리근이 대조군보다 감소되었다(p<0.05). 현수군과 비교하여 트레드밀군, 전기자극군, 전기자극/트레드밀군의 장딴지근/얕은발가락굽힘근, 가자미근, 전체 종아리근에서 등척성 강축 장력이 증가되었다(p<0.05). 4. 근 무게는 현수 후 각 중재에서 모든 대상 종아리근이 대조군보다 감소되었다(p<0.05). 현수군과 비교하여 트레드밀군은 장딴지근/얕은발가락굽힘근, 전체 종아리근에서, 전기자극군은 가자미근에서, 전기자극/트레드밀군은 가자미근에서 근 무게가 증가되었다(p<0.05). 5. 중재 후 근육별로 가장 많은 근 특성의 회복을 보인 중재는 트레드밀군이었으며, 다음으로 전기자극/트레드밀군, 전기자극군 순 이었다. 또한 현수 후 가장 많은 근 특성의 감소가 나타난 근육은 가자미근이었으며, 중재 후 가장 많은 근 특성의 회복을 보인 근육은 전기자극/트레드밀군에서 가자미근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쥐의 뒷다리 현수 후 종아리근의 위축과 등척성 강축 장력에 감소가 있었으며, 트레드밀군, 전기자극/트레드밀군, 전기자극군 순으로 이러한 변화가 회복되었다. 무체중부하로 인한 근 변화의 회복에 뒷다리를 집중적 체중부하시키는 트레드밀 훈련, 또는 여기에 전기자극을 병행한 전기자극/트레드밀 훈련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 변화의 치료 시 전기자극의 강도별 영향과 집중적 체중부하의 기간에 따른 영향에 대하여 비교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ect of three interventions on the disuse atrophy of rat hindlimb after two weeks suspension. Forty-eight 11∼12 weeks old female Sprague-Dawley whit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intervention groups: 1) suspension only (S; n=10), 2) intensive weight bearing treadmill (IWBT; n=10), 3) electrical stimulation (ES; n=9), 4) 2)+3) (ES/IWBT; n=9). Another ten rats received no intervention or hindlimb suspension and served as controls (C). After the interventions, 1) the cross-sectional area (CSA), 2) the ratio of white muscle fiber composition (WMFC), 3) isometric tetanic tension (ITT), and 4) muscle weights (MWs) were measured from the four calf muscle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intervention groups, the CSAs of medial and lateral gastrocnemius (MG·LG), soleus (SOL), and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DS) decreas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C) group (p<0.05). The CSA increased in FDS and LG for the IWBT group, in SOL for the ES/IWBT group compared to the S only group (p<0.05). 2. The ratios of WMFC in MG, LG, SOL, and FDS increased compared to the C group for all interventions (p<0.05). The ratios of WMFC decreased in SOL and LG for the IWBT group, in SOL for the ES/IWBT group compared to the S only group, and decreased in SOL for the ES/IWBT group compared to the IWBT group (p<0.05). 3. The ITT in the MG, LG, SOL, and FDS decreased compared to the C group for all interventions (p<0.05). The ITT increased in MG·LG/FDS, SOL, and the whole calf muscles (WCMs) in the IWBT, ES and ES/IWBT groups compared to the S only group (p<0.05). 4. The MWs in MG·LG/FDS, SOL, WCMs decreased compared to the C group for all interventions (p<0.05). The MWs increased in MG·LG/FDS and WCMs for the IWBT group, in SOL for the ES group, and in SOL for the ES/IWBT group compared to the S only group (p<0.05). 5. In atrophied muscles, the IWBT group showed the best recovery and the ES/1WBT and ES groups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The most susceptible muscle to disuse atrophy was the SOL. But conversely, it showed the best recovery in the ES/IWBT group. After two weeks of hindlimb suspension, the calf muscles of rats atrophied and their isometric tension decreased. These changes were best reversed by hindlimb-focused treadmill activity. The next best results were achieved by electrical stimulation combined with the treadmill followed by only electrical stimul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ull weight bearing treadmill activit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lectrical stimulation are effective treatments for non-weight bearing induced muscle atrophy. Further study of the effect of different intensities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variations in the duration period of full weight bearing treadmill activity on disuse atrophy is recommended.

      • 現代書刻作品의 유형분류에 의한 조형연구

        오남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919

        동양의 전통예술로 분류되던 서각이 전각, 현대서예, 조각의 영향으로 현대서각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영역을 구축하였으나, 조형성 연구의 당위성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즉, 서각에 결합된 양식에 의한 현대서각작품의 유형분류에 의한 조형연구를 고찰하여 본 것이다. 현대서각의 형성은 안광석(1955), 정기호(1968), 유장식(1985)의 개인전이 발표되면서 형성되었으나 현대서각3인전을 계기로 등장한 것으로 본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전각, 현대서예, 조각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전각에서는 전각3법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장법을 연구하여 보았다. 장법은 소밀, 경중, 읍양, 참치, 주백상간, 계격, 변연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현대서각 작가 4인의 작품을 분류 연구하여 보았다. 전각은 "방촌의 예술"이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치각의 한정된 면을 주로 한다. 그러나 서각은 공간구성에서 자유롭게 구성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뚜렷한 차이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작품의 경향도 전각적이면서 현대서예적인 면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각과 서각의 장법이 동일 할 수는 없지만 상관성을 갖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둘째, 서양과 일본을 거쳐서 한국의 현대서예는 1970년대에 등장하였다. 현대서예는 전통서예를 해체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하여 그 해체의 직접적인 원인과 양상을 추상표현주의 특징인 자동기술법과 넓은 의미에서 추상표현주의의 양식인 앵포르맬의 개념적 특징과 일본의 전위서예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보았다. 서양과 일본의 현대적 사상의 유입이 한국의 전통서예에 새로운 양식의 전개로 이어졌다. 현대서예적인 면에서 작가들의 작품과의 조형적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이것은 통일미를 중시하는 공예적인 전통서각이 서고작성에서, 조각에서, 채색에서 변화와 해체를 모색하는 현대서각으로 변화하는 모티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현대서각도 서양미술사조의 영향 속에서 잉태되어 추상표현주의 특징과 내용을 수용하며 현대서예적인 기법과 사상이 유입되어 전통서각의 토대 위에서 변천, 발전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조각에서는 부조의 특성과 헨리무어의 공간에 대한 조형관과 촉감적인 매스의 특성을 거부하는 선조각의 특성을 연구하여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현대서각작품과의 조형적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보았다. 대상이 다를 뿐 문자의 표현기법과 정적인 공간을 동적인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공간에 대한 상상력, 재료의 유사성 등에서 조각의 사상과 기법과 재료가 현대서각 초기부터 현대서각에 접목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결론에서는 현대서각은 몇가지 한정된 조형성과 기법을 벗어나 새로운 조형성, 새로운 기법들이 연구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조형정신성이 미래지향적이냐? 과거지향적이냐?로 현대서각가와 전통서각가로 구분되어야 한다.즉, 현재의 서각활동이 더 이상 다른 양상의 조형적인 발전이 없는 끝이고, 이데아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현대서각의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데 있다. 본 논문은 한국 현대서각의 유형분류에 의한 조형연구를 통해서 현대서각을 재조명하여 현대서각의 조형성을 창출(創出)하고, 재인식하고자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The letter engravings, which have been categorized as an oriental traditional art, established its region as a new genre, named modern calligraphy, by the influence of seal engraving, modern calligraphy and sculpture. B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caused to start this research. The formation of modern letter engravings were founded with individual exhibitions of Ahn Gwang-seok(1955), Jeong Gi-ho(1968), and Yu Jang-sik, but regular appearance was from the three persons' exhibition of modern letter engravings. As for the methodology, it was researched mainly on seal engraving, modern calligraphy and sculpture which gave direct influence. First, as for seal engraving, it was studied on composi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ree methods of seal engraving. As for composition, it was categorized and studied mainly on the works of four artists of modern letter engraving, by studying on thin/thick, light/heavy, eupyang, chamchi, jubaeksanggan, gyeogyeok and byeonyeon. As we can notice that seal engraving is "an art of squre chi", it is mainly on the limited side of a inch coner. But, it is also true that the letter engravings have clear difference in fact that it can be composed freely in spacial formation. The tendency of the works is sometimes revealed as compounded with factors of seal engraving and modern calligraphy. The composition of seal engraving and letter engraving can't same, but it was studied that they are relative. Second, Korean modern calligraphy appeared in 1970s, through the West and Japan. Modern calligraphy showed up as the aspect of dismantling of the traditional calligraphy. Therefore, the direct cause and aspects of the dismantling were studied mainly on avantgarde calligraphy of Japan and conceptional characters of Informel which is the style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the wide view point and automatic describing method which are the characters of abstract expressionism. Flow-in of modern ideology of Japan and the West was succeeded to the expansion of new style on traditional calligraphy of Korea.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traditional letter engravings of craft style which stress the beauty of unification became a motive which is changing to modern letter engravings which grasps change and dismantling in coloring in sculpture and calligraphy manuscript. It is understandable that Korean modern letter engravings, as well, were created in the influence of western art flow, accept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abstract expressionism, with the flow-in of ideology and methods of modern calligraphy to change and develop on the basis of traditional letter engravings. Third, for the sculpture, it was studied on the characters of line sculpture which denies the character of touch-feeling-mass as well as the view point of formation on the space of Henry Moore and the character of carved relief. On the basis of it, it was studied on the formative co-relationship with modern letter engraving works. It can be regarded that the material, technique, and ideology of the sculpture were adapted to modern letter engravings from the early stage of modern seal engravings on the view point of similarity of material and imagination of space which re-compose the stable space to movable space, as well as the expressing technique of letters, and only the object is different. In conclusion, modern letter engravings should be studied for new methods and new formation escaping from several limited formation and techniques. Artists between modern letter engravings and traditional letter engravings should be categorized by whether they are future-pursuing or past-pursuing.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modern letter engraving is possible only when we leave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modern letter engravings is the idea and the end without other development of formation. As for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an opportunity for re-recognition, creating formation of modern letter engraving, by re-studying modern letter engravings through the study on formation by categorizing Korean modern letter engravings.

      • 중국 직업교육에서의 <현대학도제>의 적용과 실제 : 중국 르자오직업기술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장영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국문초록 본 연구는 중국 직업교육에서의 ‘현대도제제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중국에서 전국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현대학도제’ 시범 전공단위의 발전 과정과 내부의 학사과정을 주목하였다. 중국 직업교육 맥락에서의 ‘도제제도’ 발전은 시기별로 크게 중화인민 공화국 건국 전과 건국 후로 나눌 수 있다. 건국 후에는 ‘학도훈련 (學徒培訓)’, ‘기공학교(技工學校)’, ‘반공반독교육실험(半工半讀教育實驗)’, ‘이원 화제도 참고 시기(雙元制借鑑時期)’, 그리고 오늘날에도 계속 시도 중에 있는 ‘학교 기업 협력(校企合作)’등 ‘도제제도’로 불리지 않는 다양한 형태가 등장하였다. 2014년 8월 25일에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가 발표한 <‘현대학도제’ 시범 프로그램에 관한 의견(關於開展現代學徒制試點工作的意見)>이라는 문서는 교육부의 주도하에 ‘현대학도제’ 시범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시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서 교육부 판공청은 2015년 8월 5일에 <제1차 ‘현대학도제’ 시범 단위 명단(首批現代學徒制試點單位名單)>을 확정하였다. 그 결과, 총 165개 ‘현대학도제’ 시범 단위가 당선되었다. 그리고, 국가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촉진시키는 시범 단위 뿐만 아니라 성(省)이나 자치구(自治區) 교육청도 각각 지역에서 현황에 알맞은 ‘현대학도제’ 시범 단위를 지정하고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국가 교육부가 선도하고 각 성(省) 이나 자치구(自治區) 교육청이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으로 ‘현대학도제’ 시범 프로그램을 촉진하는 국면이 형성되었다. 기존의 도제제도와 관련된 연구들은 직업교육 선진국들의 도제제도를 소개함으로써 도제제도의 국제 발전 추세를 알리거나 중국 본토의 제도 측면에서 현황과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들이 다수다. ‘현대도제제도’ 현장에 들어가 ‘현대학도제’ 시범 단위의 발전 과정과 그 안에서 이루어진 학사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를 고찰하는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제제도와 관련된 문헌들을 살펴보면서 ‘현대도제제도’를 실시하는 제일 작은 단위인 구체적인 ‘현대학도제’ 시범 전공 사례를 선정하여, 그 안에 있는 학습자, ‘현대학도제’ 시범 단위 관리자 겸 전공교사, 그리고 협력 입주기업 교사, 그리고 기업직원 등에 대해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제 3장에서는 선정한 연구사례에 대한 조사 배경, ‘현대도제제도’에 관한 탐색 과정, 운영 방식 등 위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 사례의 실제 상황을 설명함으로써 이후 분석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입학·학습·졸업의 시간적 순서대로 ‘현대도제제도’의 학사과정을 전면적으로 분석하였다. 선정한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중국 ‘현대도제제도’의 학사과정인 입학·학습·졸업 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 정규 교육과정 학습자인 ‘이론지향적 학습자’와 대비하여 ‘현대도제제도’ 학습자를 ‘실천지향적 학습자’로 명명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정규 교육과정과 다른 ‘현대도제제도’ 학습 양상을 드러낼 수 있었다.

      • 21현 가야금과 21현 고쟁의 연주법 비교연구 : -이성천과 허잔하오(何占豪)의 1990년대 독주곡을 중심으로-

        장위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현악기인 가야금과 고쟁의 21현 개량 악기의 연주법 특징을 비교연구한 것이다. 1990년대는 한국과 중국에서 창작음악이 활성화되는 시기이며 대표적 작곡가로는 한국의 이성천과 중국의 허잔하오가 있다. 두 작곡가는 21현 가야금과 21현 고쟁을 위한 독주곡을 활발하게 발표하였는데, 이들 독주곡을 중심으로 두 악기의 연주법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21현 가야금과 21현 고쟁의 유래와 구조, 그리고 조현법에 대하여 살펴본 이후, 이성천의 1990년대 21현 가야금 독주곡과 허잔하오의 1990년대 21현 고쟁 독주곡에서 나타난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악기의 연주법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21현 가야금과 21현 고쟁의 악기 개량은 연주환경의 변화에 따른 것인데 줄의 수 확장과 현의 재질 변화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음역 확장과 이에 따른 현대적인 연주법이 도입되었다. 이성천의 21현 가야금 독주곡과 허잔하오의 21현 고쟁 독주곡에서는 현대적인 연주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두 가지 이상의 혼합한 형태가 많이 나타났는데, 이성천의 독주곡에 비해 허잔하오의 독주곡에서는 그러한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1현 가야금과 21현 고쟁 독주곡에 등장하는 연주법의 비교를 통하여 양자 간의 일곱 가지의 유사 연주법과 세 가지의 상이 연주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두 악기의 연주법 특징을 비교하였다. 먼저 유사 연주법에는 ‘아르페지오 주법’, ‘양손 뜯는 주법’, ‘양손 합성음 주법’, ‘뜯는 주법과 합성음 주법의 혼합 형태’, ‘뜯는 주법과 글리산도 주법의 혼합 형태’, ‘트레몰로 주법과 뜯는 주법의 혼합 형태’, 그리고 ‘여러 주법의 혼합 형태’가 있다. 이들 주법은 각 악기별 차이점을 지니면서도 기법적인 유사성을 드러냈다. 그리고 21현 가야금과 고쟁 간의 상이 연주법은 세 종류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글리산도 주법’은 이성천 독주곡보다 허잔하오 독주곡에서는 더 넓은 음역대에서 자유롭게 사용되었다. 또한 글리산도 주법이 이성천 독주곡에서는 상행 선율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허잔하오 독주곡에서는 상행∙하행 선율을 활용하여 두 악기 간의 상이한 특징으로 비교해볼 수 있었다. 두 번째 ‘미끈꾸밈음 주법’은 상행하는 선율로 이루어지는데, 이성천 독주곡에서는 상행의 꾸밈음을 연주한 이후 본음을 뜯어서 연주하지만 허잔하오 독주곡에서는 상행의 꾸밈음 이후에 본음을 트레몰로 주법으로 연주한다. 세 번째 ‘트레몰로 주법’은 선율 진행에 있어서 특정한 음을 음향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두 악기는 연주방식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이성천 독주곡에서 나타나는 세 종류의 트레몰로 주법은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허잔하오 독주곡에서 트레몰로 주법은 반드시 다른 주법과 혼합한 형태로 등장한다. 이상과 같이 이성천의 21현 가야금 독주곡과 허잔하오의 21현 고쟁 독주곡에서 등장하는 연주법을 살펴본 결과, 전통주법과 함께 현대주법이 도입되었고 두 악기 간의 유사 연주법과 상이 연주법으로 나뉠 수 있었다. 두 악기 간의 유사 연주법은 한국과 중국 간의 문화적 공유성을 드러낼 수 있는 측면일 뿐만 아니라 두 국가의 21현 악기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측면이기도 한다. 반면 두 악기 간의 상이 연주법뿐만 아니라 유사 연주법 내(內) 두 악기 간의 차이점은 두 국가가 문화적 공유성 안에서 독자적인 음악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분자마커에 의한 현호색(玄胡索)의 감별 및 기원분석

        김진영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919

        Corydalis Tuber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valuable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China and Japan. It is for the digestion and pain relief product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of the trnL-F region was proved to be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in the C. ternata and C. yanhusuo.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has been identified in C. yanhusuo, C. incisa and C. species. The specific PCR primers were designed from the SNP to distinguish the C. ternata, C. yanhusuo, C. incisa and C. species using multiplex PCR. The established multiplex- PCR method for the rapid detection of the C. ternata in a single reaction was determined to be effective for the identification of C. ternata and C. yanhusuo. Therefore, it would been effective method for the genetic identification of the Corydalis Tuber. Samples of Corydalis Tuber generated specific band of 162bp (C. ternata) and 385bp (C. yanhusuo). Likewise, other samples generated their specific bands of 854bp (C. incisa) and 681bp (C. species), respectively. Therefore, Corydalis Tuber and trnL-F adulterant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ith their specific primers. Here, it have been described a more reproducible and robust approach to the differentiation of C. ternata, C. yanhusuo, C. incisa and C. species, respectively, using SNP analysis. This method carries several advantages: First, they are sufficiently sensitive for identification with a very small amount of sample. Second, they can be applied to samples containing degraded DNA. Finally, DNA sequencing and comparison of the trnL-F region with the sequences stored in the NCBI database enable very reliable species identification. This method would be highly accurate, time saving and useful for numerous repeated tests of many medicinal commercial product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orydalis ternata and Corydalis yanhusuo. 한약재 현호색(Corydalis Tuber)은 들현호색(C. ternata) 및 연호색(C. yanhusuo)의 덩이줄기를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통, 소화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 예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이는 약재이다. 특히 흉부의 기를 행(行)하여 통증을 내리고 활혈산어(活血散瘀)하여 위장과 자궁에 맺힌 어혈을 풀어준다. 현재 우리나라는 대한민국약전의 9개정까지 한약재 현호색을 들현호색 C. ternata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덩이줄기로 규정하였으나 2013년 4월 10개정부터는 들현호색 C. ternata 또는 연호색 C. yanhusuo의 덩이줄기만을 현호색으로 규정하여 그 진품과 위품을 감별하기 위한 마커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 현호색 및 본초학연구실 등에서 사용하는 샘플과 식물체 등, 샘플 25개를 수집하여 DNA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분자 생물학 수준의 마커를 개발하고 그 기원을 확인하였다. 수집된 샘플들의 핵 DNA와 엽록체 DNA의 염기 서열을 각각 분석하여 계통을 분류한 결과, C. ternata, C. yanhusuo, C. incisa, 그 외 기타 동속 근연종의 네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네 개의 specific primer(CK, CC, CI, CL)를 제작하였다. 첫 번째 primer는 CK(5′-ACA ATT TTT CAT TCT TTT GGA-3')로서 대한민국약전 규정상 정품인 C. ternata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primer이며, 804-831번째 염기에 위치한다. 두 번째 primer는 대한민국약전 규정상 진품이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산이 대부분인 C. yanhusuo와 특이적으로 반응하기 위해 559-577번째 염기에 위치한 CC(5′-CAG CGG TTC CAT TCT AA(C)A-3')를 디자인하였는데, 18mer중 17번째 bp의 sequence C를 A로 mismatch하여 마커로서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였다. 세 번째 primer인 CI(5′-CGA AAA CAA GAA TCC ACC T-3')는 81-106번째 염기에 위치하며, 동속종 중 괴경을 가지지 않고 유전 분류학적으로도 거리가 먼 자주괴불주머니(C. incisa)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primer 인 CL(5′-CCT TCT TTT TTT ATT TTA TAT GA-3')은 265-287번째 염기에 위치하여 기타 동속 근연종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이러한 특이 프라이머들은 모두 forward primer로서 이와 짝이 되는 reverse primer로서는 universal primer인 trnLF-f(5′-ATT TGA ACT GGT GAC ACG AG-3')를 활용하였다. Multiplex PCR조건은 predenaturation을 95℃조건에서 5분간 시행하고, 두 번째 step으로서 denaturation 95℃, 30s; annealing 53℃, 30s; extension 72℃, 40s를 25 cycles 시행하고, 세 번째 step 으로서 reextension 72℃조건에서 7분간 진행하였다. 전기영동은 1% agarose gel을 사용하여 각각의 시료를 5 ㎕씩 로딩하고 50 v에서 10 분, 100 v에서 20 분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CK와 반응한 샘플은 162 bp의 size, CC와 반응한 샘플은 385 bp의 size, CI와 반응한 샘플은 854 bp의 size인 band, CL와 반응한 샘플은 681 bp의 size를 가진 band를 나타내었다. Specific primer와 multiplex PCR을 통해 전국 각지의 한약재 판매점에서 수집한 현호색 한약재 샘플을 테스트 한 결과, 총 18개의 유통되고 있는 한약재 중 원산지를 국산이라고 밝힌 한약재는 모두 C. ternata로 감별되었으며 원산지를 중국산으로 밝힌 한약재는 모두 C. yanhusuo로 감별되었다. 따라서, 수집된 샘플 중에서는 C. incisa 및 기타 동속 근연종과 같은 위품이 감별되지 않았다. 특이적인 것은 국산 한약재는 모두 C. ternata가, 중국산 한약재는 C. yanhusuo로 감별되어 두 국가의 기후적, 지리적 요건으로 자생하는 식물종의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약리 물질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두 종간 약효의 차이를 밝히는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