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ML과 SVG에 기반한 전자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감승철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자해도(ENC: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란 기존의 종이해도에 표현된 모든 정보들을 특정한 표준형식에 따라 표현된 디지털 해도를 말한다. 전자해도에 표현된 해안선, 등심선, 수심, 항로표지, 위험물, 항로 등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모든 정보는 국제수로기구(IH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의 표준 규격인 S-57에 따라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해도는 국제 공인 전자해도 표시시스템(ECDIS: Electronic Chart Display Information System)[1]을 사용하여 종이해도와 동일하게 선박항해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전자해도 데이터는 전자해도표시시스템이나 항해용 전자참고도(ERCS: Electronic Reference Chart System)와 같은 특수한 표시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 즉, 전자해도 데이터는 특정 시스템에서만 해석이 가능한 형태로서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해석이 불가능하며, 다양한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이 어렵고, 전용 브라우저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은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전용 장비나 전용 브라우저 없이도 전자해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현재 다양한 종류의지리 정보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지만, 육상 지도에만 국한되어 있어 전자해도 정보의 제공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이러한 지리 정보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독자적인 데이터 형식으로 지리데이터를 구축하고, 검색된 결과를 이미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이런 형태의 서비스는 지리 데이터의 공유가 어렵고, 이미지를 통한 지도 출력은 해상도에 따른 정보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OGC(OpenGIS Consortium)는 범용의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지리 정보 표현 양식인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을 제안하였고, W3C(World Wide Web Consortium)는 그래픽에 대한 논리적인 구조를 기술하고 비트맵의 단점을 극복할 대안으로 벡터 기반의 그래픽 표준인 SVG(Scalable Vector Graphics)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 정보 교환 표준인 GML을 이용해 전자해도 데이터를 표현하고, 표현된 전자해도를 인터넷을 통해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을제안한다. GML로 표현된 전자해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전자해도의 관리와 사용자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였고, 사용자의 검색조건에 따라 검색된 GML 전자해도를 SVG로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GML 문서를 SVG로 변환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XSL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를 이용하여 변환한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S-57 전자해도 표준, GML 지리 정보 표준, SVG 벡터 그래픽 표준, 그리고 XSLT 문서 변환에 대하여 살펴본다. 3장에서는 제안한 시스템을 데이터베이스 저장 모듈, 사용자 질의 처리 모듈, GML 문서 생성 모듈, SVG 문서 생성 모듈, SVG 문서 표현 모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4장에서는 제안한 시스템의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고, GML 전자해도가 SVG로 변환되어 웹 브라우저로 출력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5장에서는 결론과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 논의한다. With increasing Internet capability and evolving network services, geographical information is widely used in various systems, including marine and coast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lthough marine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has been applied to the ship navigations successfully, there may be some drawbacks such that it can be used only through some specialized system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keep compatibility to interchange geographical data among systems because specific data formats are usually us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GC published GML standard based on XML to represent geographical information efficiently, and W3C proposed vector graphic standard called SVG. In this thesis, we developed a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management system based on GML and SVG. It can provide services of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through web browsers like Internet Explorer.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four steps. In the first step,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GML and then stored in a database. Secondly, GML document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user query on the web. In the third step, the retrieved GML document is translated into SVG document using XSLT, and finally, the SVG document is browsed on the web browser. The proposed system was developed on the quite general standards so that it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while the existing systems are mainly used for specific purpose like navigation of ships. Also, it can efficiently manage and retrieve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by virtue of database, and further can overcome drawback of raster graphics by using vector graphics of SVG.

      • 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을 중심으로

        염건이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많은 NGO단체에서 해외자원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한국국제협력단의 해외봉사단과 같이 대규모 인원과 정기적인 파견을 실시하는 곳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정부의 국제협력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한국국제협력단에서 주력사업으로 실시되고 있는 해외봉사단사업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기에 더욱 많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자원봉사활동에 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고 부족한 실정에서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단 관련연구는 전무하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단(KOV) 귀국자를 대상으로 해외자원봉사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국국제협력단을 비롯한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관련한 정확한 정보가 미흡하고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많은 해외자원봉사활동 관심자들이 정보부족으로 인해 봉사활동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 이에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해외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프로그램별 활동을 조사하고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해외자원봉사활동 관심자들이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은 크게 정부의 국제협력사업, 일반기관 및 NGO단체, 선교단체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총 15개 기관의 18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프로그램별 특징 및 파견규모, 파견지역, 지원자격조건 등 해외자원봉사활동 관심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외자원봉사프로그램의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배경요인, 환경적 배경요인, 대인관계요인의 3가지 변수를 독립변수로 구분하였고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개인적 배경요인, 환경적 배경요인, 대인관계요인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을 가지고 진행하였으며 해외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용외국어, 현지 업무와 봉사단원과의 적절성, 현지 업무의 인식도, 한국국제협력단과의 관계,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기타 관련인과의 관계 등이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연구가설에 일부 지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해외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범람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정보로 구성된 자료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해외자원봉사활동 통합모집센터나 해외자원봉사에 관한 모음자료가 발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많은 단체에서 봉사활동자를 모집시 봉사자에게 비용을 전가하는 것은 해외자원봉사활동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자원봉사활동은 봉사자들의 이타심에 호소하기보다는 연구결과에 드러났듯이 봉사자의 해외자원봉사 활동경험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각 단체의 프로그램 예산이 증액되어 봉사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국제공용어 구사능력의 향상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그만큼 봉사단원이 국제공용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에 해외봉사단에서는 현지 언어교육 뿐 아니라 지속적인 국제공용어 교육을 진행하여 봉사단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결과에 드러났듯이 해외봉사단원의 현지담당업무와 봉사단원이 기대했던 업무에서 괴리가 발생할 경우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는 현저히 떨어진다. 이에 해외자원봉사활동 파견시에는 봉사단원의 욕구에 맞는 파견기관과 업무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오랜 기간 해외현지에서 거주하므로 해외봉사단원의 국내 가족 및 친지와의 지속적인 교류는 해외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유의한 결과를 미치므로 한국국제협력단에서는 해외봉사단원과 국내거주 친지들과의 교류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classified and conducted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Oversea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KOICA 1.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The programs of oversea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have been increased constantly since 2000. The lack of correct information related to this program and previous research, however, cannot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y for th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This research contains actual conditions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that is being executed and investigates program activities to make it easier for volunteers to approach the informations about the activi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stitutions that dispatch the volunteering service organization regularly, not the ones that limit dispatching the service as a temporary thing such as college service group.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program is classified by three: the governmental international cooperation fledgling, general institution and NGO group, missionary work group. By investigating 18 programs of 15 serving institutions, serve the informations on program characteristic and dispatch scale, dispatch areas, supporter rhythm supplies, which are necessary to the volunteers, and purpose to help the develop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programs 2.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Many NGOs spread actual conditions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but there is no institution that do regular dispatch with large scale number of people like KOICA korea overseas volunteers. Specially, this volunteering service, which is main project of KOICA that is charge of Government's International Cooperation Achievement, needs a lot of time and expense, and it requires more research.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about foreign countries volunteerism activity, however, is insufficient and actually, previous research reports don't exist.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ervice activity by surveying KOICA's overseas volunteers. Divided 3 variable of investigation target person's private fact, environmental fact, personal relations fact by arg by leading person who influence in satisfaction. Divided satisfaction of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by dependent variable, this research h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If private truth, environmental truth,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are affirmative, it is going to affect affirmative satisfaction of volunteerism activity'. The research showed the partial support that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the relation of local business and the volunteer's skill, awareness of local business, relation with KOICA bundle, with colleague volunteer, and other affiliated people affect dependent variable significantly. With such result, can do following offer for actual conditions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and the satisfaction improvement. First, much informations about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are overflowing, but data that is based on systematic information are deficient. It is thought that data about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integration recruitment center of foreign countries volunteering should be drawn to prevent damage generated by wrong information. Also, imputing expense to volunteers when they enroll the service activity may be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in foreign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y development. As detected in the study, volunteers are the most part of the service activity. Rather than depend on servants' altruism, each organization's budget should be increased for volunteers to join more conveniently. Second, one of the satisfaction factors,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shows that many volunteers are very interested in the language. This result should affect the organizations to help volunteers learn not only local language but also international language constantly. Third, in case foreign countries service unit's local business is different from the work which volunteers expect, the satisfaction is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dispatching the foreign service activity, the organizations and the volunteers should be more careful to choose the right servants or the right activity. Finally, because inhabit in foreign countries for a long period, persistent interaction with korean overseas volunteers' domestic households and acquaintanc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To solve the problem KOICA should find out various ways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volunteers and their family.

      • 군 무기체계 운용유지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우동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Countries leading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ncluding Korea, are making innovative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manufacturing, power, medical care, aviation, logistics, and smart city construction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In particular, military power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Spain are using them for military purposes and are activating research and experiments to utilize the advantage of the technology. However, although research or applic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anufacturing, is active in Korea, there are no previous research or application for military purposes. The advantages of digital twin technology are expected to achieve innovative results when used to develop weapons systems and maintain operations of them. This study studi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digital twin technology for maintaining the operation of the naval weapon system among various fields that can be used for military purposes. First, prior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trend, technology characteristics, operational maintenance characteristics of the naval weapon system, and TOE and UTAUT theory for setting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search model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workers of the unit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operation of the naval weapon system,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R programming 3.3.1,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5 out of 19 hypotheses were adopted, and 4 were rejecte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win technology, accuracy and reliability affect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relative advantages affect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ffort expectations, so it is judged to be a factor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echnology usage. Among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naval innovation and economic feasibility had an effect on social impact, and security had an effect on social impact and promotion conditions. In particular, cost-effectiveness and security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digital twin technology does not conflict with military usage. Damage control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ocial impact, and institutional support had an effect on social impact and promotion conditions. Damage control is a factor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to maintain the operation of warships, and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must be supported to use the technolog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of work and the experience in maintenance work,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sympathize with the necessity of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This is a study related to the use of digital twin technology for military purposes, and it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a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the Navy, which is willing to actively introduce new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national defense operations if comprehensive study is performed in the areas where digital twin technology can be specifically used, such as naval weapon systems and power support systems, or the fiel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rmy and air force. 한국을 비롯한 IT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 전력, 의료, 항공, 물류, 스마트 도시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미국, 스페인 등 군사 강대국들은 일부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 중이며, 기술이 가진 장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나 실험 등을 활성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제조업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나 적용이 활발하지만, 군사적인 용도로의 연구나 적용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디지털 트윈 기술이 가진 장점을 무기체계 개발이나 운용유지 등에 사용한다면 혁신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분야 중 해군 무기체계의 운용유지에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디지털 트윈 기술에 대한 개념, 동향, 기술 특성, 해군 무기체계의 운용유지 특성과 연구모형 설정을 위한 TOE, UTAUT 이론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해군 무기체계 운용유지와 관련된 부대의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3.0과 R programming 3.3.1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19개의 가설 중 15개가 채택되었으며, 4개는 기각되었다. 디지털 트윈 기술 특성 중 정확성과 신뢰성이 성과기대에, 상대적 이점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술사용을 계획할 때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로 판단된다. 조직 특성 중 해군 혁신성과 경제성이 사회적 영향에, 보안성이 사회적 영향과 촉진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대비 효과성과 보안성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군사용으로 사용하는 데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손상통제는 사회적 영향에, 제도적 지원은 사회적 영향과 촉진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통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군함의 운용유지에 사용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며,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근무 연수와 정비업무 경험 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는 없었으며, 디지털 트윈 기술 사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군사용으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이며,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의지를 가진 해군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해군 무기체계나 전력지원체계 등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야나 육·공군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종합적으로 연구한다면 국방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北極海 環境變化로 인한 韓國의 海洋安保政策 硏究

        강희승 韓國海洋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Arctic marine environment is changing from moment to momen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Arctic environment are changes in weather, oceanic conditions and the Arctic's own geographical features. Furthermore, widened human access to navigation within the Arctic Ocean has dras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ships and aircraft in the area, and this is expected to lead to a new era of exploration; it is said that the discovery of new shipping routes in the Arctic is of the same worth as the discoveries of Columbus. On the other hand, some say that the changes caused by human activities will not only provide benefit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disasters and calamities. There is no doubt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integral to the performance of policies relating to the Arctic area, which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for the last 10 years. Therefore,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following factors: ● Pending issues for drastic changes in the Arctic and solutions to these ● Settlement of territorial disputes between Arctic coastal states ●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iscovery of new maritime routes ● Role of the Arctic Council and its future tasks The Republic of Korea acquired a formal position as an observer at the 8th ministerial meeting of the Arctic Council held in Kiruna, Sweden in 2013. The Republic of Korea is considered to be poor in resources but it is, however, one of the most favoured nations in "trade". The potential of the Arctic, which may be examined following the discovery of new shipping routes has intrigued The Republic of Korea to turn its gaze on the trade situation within the Arctic area. Accordingly,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has attracted cooperation within its own ministries in order to push forward its Arctic policies and to incarnate challenging issues while doing so. Spelled out in the following paragraphs are the details of Arctic potential due to the discovery of the new maritime routes. Firstly, costs for international shipping are expected to downtrend sharply as the new shipping routes decrease shipping distances covered e.g. freight charge for international shipping are expected to be decreased by 25 per cent. Furthermore, the Arctic, owing to its inclement weather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has until now never been an easy place to explore. The situation is different at the present time, allowing the tremendous supply of natural resources which rests under the ice of the Arctic to become more accessible; a quarter of the undiscovered petroleum and other natural resources such as nickel, copper, iron ore are to be found within the rock strata of the Arctic. Such potentials of the region will fulfil a role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to the bullet points above, this report will also investigate Korea's maritime security policy and strategies for the changes in the Arctic, and consider the resolution of these by diagnosing the situations of other coastal states. Other suggestions of this report regard diverse aspects of Arctic changes illustrated above, including effective ways of providing airspace management, ratification of new Arctic treaties, the operation of naval power of countries in the Arctic Council. These will be followed by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bable role of the Korean Navy in the Arctic and national policies dealing with Arctic issues. Having said this, solutions to the four main topics of this report are outlined by four different terms: ●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Arctic management ● Governmental proposals of Arctic strategic development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 Identifying and promoting the role of an observer state in the Arctic Council ● Advance Arctic strategie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coastal states : the USA, Canada, Russia, etc. To begin with the first term,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that need to be treated internationally. For example, territorial disputes including the continental shelf and the demarcation of territorial waters should be handled peacefully under terms of UNCLOS, which will deter any drastic action from countries involved in such disputes. Terminating conflicts between such countries is eventually aimed at enhancing maritime security in the Arctic. Other elements of oceanic security issues comprise ensuring the safety of navigation in the Arctic area and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which a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new shipping routes. Concerning this discovery of new shipping lane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international military cooperative systems be launched with the support of the UN. In addition, free navigation has to be assured to every rightful country as it is strictly stated in the UNCLOS. Some countries, unsurprisingly, try to obtain exclusive possession of shipping routes and this cannot be overlooked. Every country related to the Arctic, regardless of distance, should legislate domestic laws on Arctic activities taking the peace of humanity into account. In addition, maritime observation systems capable of transmitting real-time maritime conditions, should be developed for those navigating in the region.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recommended to take the following action regarding Arctic issues. Firstly, government-led Scientific research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should be enhanced. The government has recently re-establishe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shown their intention to focus on the Arctic. The hot potato, however, is that their current level of scientific research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Arctic activities still remains low. There exist countless threats throughout the Arctic region and it is imperative that Korean naval power be strengthened in case of salvage and other rescue operations. Methods may include building icebreakers and the foundation of a military base in the Arctic. Establishing a consultative body for maritime policies would also help Korea play a role as an observer. Apart from the governmental dimension, supporting nongovernmental organisa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this would assist in constructing a national information exchange infrastructure. Furthermore, Korean officials promulgated a plan for processing integrated Arctic policies in 2013. For example, Korea is ambitious for transforming Busan into a 'hub' for shipping in North-east Asia. Details of this project include collaborating with Russia. In terms of the Arctic Council, coastal states expect observer state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their activities with financial resources and the sharing of scientific knowledge.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set a business model for the Arctic so as to precede competing countries. The Korean peninsula is directly affected by the Siberian air mass and, therefore, the precise prediction of climate changes in the Arctic is necessary. Lastly,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s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as Korea's contribution to Arctic activities will mainly relate to exporting its competitive manpower resources. As discussed above, The Republic of Korea managed to obtain observer status in the Arctic Council in 2013 and experts argue that succeeding in the following policies would help Korea make its position secure. In the first place, observer countries including Korea should scrutinize progress when working groups of the Arctic Council aim to achieve common interests of humanity. If so, observer countrie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groups so that Arctic can be protected both environmentally and economically. To give an example of such activities, observer countries can become involved when members of the Arctic Council make deliberations on new treaties or agreements affecting the Arctic. Secondly, Korea should seek SLOC security as well as raise the quality of the Korean Navy's sea rescue capability, which may be achieved if there is collaboration with other states. The next policy is the improvement of governance between states an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tic region. As the Ocean does not belong specifically to certain people or organizations, thus, it is necessary for us all to work together to protect it. Denuclearization in the area could be the first thing to process. The last policy is to make the full use of the extension of mutual exchange between EU countries and North Asian countries. Although North Korea's policy of seclusion prevents Northern Asia from achieving faster growth, this connection between two different continents is expected to raise Korea's economic potential. Discussed from this point onward is the last topic: collaboration with other countries related to the Arctic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start with countries whose concern towards the Arctic is more intense than other countries, due to their geographical attributes, Russia is regarded to be the top-rated country for investment from the position of Korea since the two countri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esident Putin of Russia is now pushing forward a business in energy development throughout Eastern Siberia and the Far East. For instance, Russia currently concentrates on development of oceanic resources; crude oil, natural gas, mineral resources, fishery resources and so on, and they have also entered into a business i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new shipping routes. Probable areas where Russia and Korea can process a joint investment may include a newly-launched system of transporting crude oil from West Siberia using the ESPO oil pipeline, which a long-term project of cooperative resource exploitation in Eastern Siberia and the Far East. The same can apply to a port construction business, a mapping project for sea beds in the Barents Sea, Loften and Vesteralen areas, the establishment of Kirkenes airport and port, cooperation in research into an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for Arctic navigation,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nd conclusion of MOU with eminent universities. Canada is known to be a country whose political interest in the Arctic is very high and is a place with rich mineral resources. They have recently started the Mackinzie Gas Project whose objective is to construct a 1,200km length natural gas pipeline. If successfully processed, 1.2 billion cubic feet of gas will be distributed through the pipeline and the official start of sales is expected to be in 2018 when every legal and financial problem has been solved.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anada is necessary for the following policies. Firstly,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be able to help Russia build VTS and communication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n the Arctic, which are to be prepared for the new shipping routes. Additionally, the necessity for collaboration in port and resource development industries, development of high-tech vessels fit for polar expedition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pporting indigenous people cannot be overlooked. Alaska is renowned for rich resources buried in it; 10% of world coal reserves and a vast range of mineral and fishery resources from the Siberian Ocean take up to half of the total American fishery resources. Korea should refer to American's advanced knowledge of the Arctic and the reliability of their naval power, for example, in participation in the Arctic training program conducted from 2011 which would enhance the capability of the Korean Navy. Norway, located adjacent to the Arctic, implemented the High North policy since 2006 and contributed to Arctic management to a large extent. Korea would benefit from consultation with the Norwegian Barents 202 Education Program, which comprises Arctic knowledge of vast scope. In addition to Norway, Greenland, due to its geographical nature, is believed to hold 48 billion barrels of petroleum and natural gas with a number of other natural resources. Greenland is said to have competitive knowledge in digital mapping and geographic intelligence. Possible collaborative strategy between Korea and Greenland would establish an Arctic information intelligence centre, which would enhance Korea's understanding of Arctic and Greenland's business capability. In contrast to the countries discussed so far, illustrated below are non-Arctic countries (in terms of geography). To begin with China, seems to have a similar position to that of Korea, but is ready for the upcoming new shipping routes and their results, such as resource exploitation. Both countries may work together regarding these opportunities, while they will also be in competition. Japan, Korea's neighbouring country, is alleged to be the most prepared country for an imminent golden age of the Arctic. Their North Ocean program; ANSROP-2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JANSROP-GIS are the most competitive one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the Ministries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established JAMSTEC; Japan Agency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 to supervise and analyse the Arctic Ocean in real time. Korean research organizations should strengthen relationships with such Japanese scientific organizations in order not to be left behind. Non-Arctic EU countries include the United Kingdom, Spain, Germany, Netherlands, France, Poland, Italy, Belgium and others. Their common interest in these matters are concerned with the Arctic environment and energy preservation policies. Being a member country of 유엔해양법협약, they count themselves responsible for conformation to oceanic laws, international airspace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re is room for Korea and those countries to cooperate in a number of areas such as guarantee of the right to fish in international oceans,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the safety of navigation in international shipping routes, and the legislation of international law for Arctic activities, and other matters arising from the new discoveries.

      • 죽순추출물의 항산화, 항균활성 검증 및 이를 적용한 one step 공정 W/O/W 다중에멀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성기욱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used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to demonstr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at is the basis of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applied this to one step process W/O/W multiple emulsion manufacturing technology to observ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special formulations. Measurement result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92% and 76% at the concentration of 100㎍/㎖ of ethanol extract and hot water extrac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99% and 63% scavenging activity at 100㎍/㎖ of ethanol extract and hot water extract,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when vitamin C of the same concentration showed 96% scavenging activity of DPPH and ABTS+. Therefore, it was observed that excellent antioxidative effect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antioxidative effect using Paper Disk Method, the clear zone of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Escherichia coli at the concentration of 10,000㎍/㎖ of 70% ethanol extract was 1.1, 1.0 and 1.0 cm, respectively, showing that it had antibacterial effect. Based on the biological active effects of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the formation range of multiple emulsions was experimented by preparing a ternary phase diagram to produce one step process W/O/W multiple emulsion containing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As a result of experiment though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three ingredients, water, oil and surfactant. It is observed that high W/O/W multiple emulsions are formed in the range of 40%~97%(w/w) of water, 2%~60% of oil (w/w) and 0.2%~3%(w/w) of surfactant. In the experiment, pseudo ternary phase diagram 1, water + thickener, oil, surfactant combination Multiple emulsion also water 40% ~ 96 Multiple emulsions of high W/O/W type with multiplicity in the range of% (w/w), oil 2% ~ 60% (w/w) and surfactant 0.2% ~ 3%(w/w), and it was found that the diagram was similar to the result of ternary phase diagram. In pseudo ternary phase diagram experiment 1 with addition of 1% of Nypa fruticans wurmb 70% ethanol extract to water, pseudo ternary phase diagram experiment 2 with water + thickener + Nypa fruticans wurmb extract. oil, It was confirmed that W/O/W multiple emulsion was formed . Based on the range of multiple emulsions, the most stable one step W/O/W multiple emulsion with Nypa fruticans wurmb 70%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and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was observed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ple emulsion was stable at a constant temperature, drastic temperature change, gradients of pH and viscosity without separation or discoloration,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which confirmed the stability of Nypa fruticans wurmb ethanol extract and multi-emulsion technology, which have been proved to have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one step process W/O/W multiple emulsion, which is a special formulation technology which is not commercialized in the pharmaceutical and cosmetics markets.

      • 군 여장교의 직무수행능력 및 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윤여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66년의 역사를 가진 대한민국해군은 2001년 처음 여성에게 문호를 개방하며 여장교를 모집하였으며, 2011년 현재 새로운 도약을 기대하고 있다. 10여년동안 여장교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해군이 처음 여장교를 모집하면서 기대했던 여장교 인력활용이 조직이 예상했던 대로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그 여장교들이 추후 최상위 관리자인 지휘관이 되기 위한 능력을 갖추어 가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조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 목적은 해군 여장교의 직무관련 능력 및 태도에 대한 남군의 인식을 파악하여 인력개발, 제도개선 및 정책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해군에서 여장교의 역할이 군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장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한지, 여장교에게는 남군과 다른 새로운 관리방식이 요구되는지 등의 의문점을 해소하여 여장교의 관리ㆍ운영 부분에 있어서 여장교가 군에서 남군과 동등한 기회를 보장받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인력ㆍ인사관리분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해군 여장교의 직무와 관련된 능력 및 태도를 실질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직무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규명하고, 여장교들의 근무태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적재적소 보직관리를 통해 인력활용 증진을 목적으로 연 iv 구하였다.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해군에 복무중인 남장교(대위, 영관장교 이상) 및 남군부사관(중사, 상사)으로 한정하였으며, 함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근무해야 하는 여장교 직무수행 능력 및 태도에 관한 실태파악이므로 그 직무의 특성 및 환경이 현저히 다른 간호장교는 제외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자료 및 보고서를 활용하여 직무수행능력 및 태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 및 개념과 각종 통계자료, 학술자료를 참고하고, 해군 남군의 인식조사를 위하여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의 처리는 신뢰도분석, 평균비교분석(t-test)을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에 의하여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은 선행연구의 모형과 인지능력의 14차원, 인성적특질 5가지를 참고하여 설정하였으며, 여군의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능력 및 태도요인으로 업무수행능력, 인간관계능력, 직업의식, 조직몰입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연구조사결과로 여장교가 남장교에 비해 군장교로서의 인식 및 자질, 군인으로서의 자질 및 군대에서의 원활한 직무수행능력 및 태도 전반적으로 다소 낮게 평가되었는데, 간명한 제시를 위해 인식 평균값이 [남장교>여장교], [남장교=여장교], [남장교<여장교]를 보여주는 문항들을 묶어 세부분으로 분리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야별로 여장교가 남장교에 비해 낮게 평가된 내용을 살펴보면 군장교로서의 인식 및 자질에 대한 문항으로 자기계발 계획이 뚜렷하다, 동성간의 동지의식이 강하다, 부서 업무 동참 의식이 강하다라는 항목에서 여장교는 남장교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군인으로서의 자질 분야에서는 신체적 적합성과 군인정신에 대한 평가, 위기대처능력, 업무 및 훈련수행능력, 성공을 위한 자기계발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특히 신체적 적합성과, 군인정신은 꽤 높은 수치로 낮게 평가되었다. 직무수행능력 및 태도 분야에서는 먼저 업무수행분야에서 전문지식과 경험, 업무추진력, 스트레스 하에서 업무처리능력, 인간관계분야에서는 조직관리 능력, 권한위임과 통제력, 직업의식 분야에서 군인으로서의 자긍심, 마지막으로 조직몰입문야에서 충성심, 복종심에서 남장교에 비해 여장교가 낮은 평가를 받았다. 남장교와 여장교간 인식차이가 거의 없는 문항으로는 군 장교의 인식 및 자질 부분에서 자기표현이 적극적이며, 업무추진이 치밀하고 꼼꼼하다, 인간관계 능력과 직업의식 분야에서의 근면성, 성실성, 적극성, 경쟁의식 문항이었다. 마지막으로 여장교가 남장교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문항 및 분석 결과로 여장교는 남장교에 비해 행정/사무능력, 병사 관리 및 상담, 의사소통능력, 조직 적응력, 그리고 우호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볼 때, 여장교의 군장교로서의 인식 및 자질, 군인으로서의 자질 및 직무수행능력 및 태도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가 남장교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지만 평균 점수가 대체적으로 3점(차이 없음/우수)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해군 조직 내에서 여장교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대가 오랜 세월동안 남성을 중심으로 유지되어온 남성중심의 조직문화이므로 남성이 보다 좋게 평가될 수밖에 없는 문화적 특성을 간과할 수 없으며, 이러한 결과는 오랜 시간 남성의 고유 영역으로 지켜온 남성중심적인 군 조직 문화 속에서 여장교들이 업무 자체보다도 남녀의 인식 차이로 인하여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임을 암시하여 주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가 여장교에 대한 인식이 점차 좋아지고 있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여장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고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해군 여장교가 리더로서 핵심 요건을 구비하고 직무수행능력 및 태도를 향상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여장교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직무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제도를 활성화 해야 한다. 둘째, 조직관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리더십 향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여장교의 경력 개발 및 진급제도를 개선함으로써 제도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안정적인 직무환경 조성을 위해 여장교의 모성보호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여장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인력활용 분야 및 인원을 확대해야 한다. 현재의 해군조직에서 여장교의 비율은 남장교에 비해 숫자상으로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본 조사 결과와 같이 여장교에 대한 남군의 인식 차이는 여장교와의 근무경험에 따라 남군의 개인 간의 경험차이가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으므로 해군조직에서 군장교로서의 이미지가 정착된 남장교에 비해 여장교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고정화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며 이는 해군 및 국가의 정책적 관리가 동반되어야만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군의 군수지원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대양군 건설과 원작전 보장을 중심으로

        김시정 한남대학교 국방전략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우리 해군의 대양해군 건설과 원해작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군의 현 군수지원체제에 각종 무기체계 발달과 현대전 양상 및 미래전 전망을 통해 예상되는 군수지원환경 변화를 반영토록 하고, 해군의 원해작전을 근접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군수지원 분야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 해군은 '90년대 후반부터 “대양해군 건설”의 기치를 들고 전략기동함대 건설과 원해작전 능력 확보를 위해 노력 중에 있으며, 최근 해적들의 선박 납치가 잦은 소말리아 해역에 해군 함정을 보내기로 정부가 방침을 정하는 등 해군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의 포클랜드전, 걸프전, 이라크전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연안 군수지원 개념에 머물러 있는 우리 해군이 대양해군 건설과 원해작전을 원활하게 수행하기에는 적시ㆍ적소ㆍ적량의 집중된 군수지원과 신속 정확한 현장 근접 정비지원 능력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제반 상황을 고려시 해군의 대양해군 건설 비전에 부합되고 원해에서의 장기 단독작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군수지원 분야의 적극적인 발전과 개선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우리 해군이 대양해군으로서 원해작전의 성공적 수행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군수지원체제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해상 기동군수지원능력을 확충해야 한다. 함대(함정)의 행동범위 확장, 작전지속일수 연장, 속력 증가 등을 가능케 하도록 우리 실정에 맞는 원해 기동군수지원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키고, 해ㆍ육상 기동군수 관련 조직의 보강과 더불어 기동군수 지원부대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입체적인 군수지원함(보급헬기 포함)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정비지원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근접정비 임무를 수행할 수리지원함을 확보하여 각종 수리부속과 정비에 소요되는 기본 장비를 탑재하고, 기동화ㆍ첨단화된 정비요원이 편승함으로써 원활한 근접 정비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송지원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군 자체적으로는 헬기 등 신속하고 입체적인 수송수단을 확보하여 수송능력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군 수송지원체제의 부족부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민간 수송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적시ㆍ적소 수송지원능력을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미국 및 제3국과의 국제 군수지원 협력체제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현 원해작전 군수지원체제의 미흡분야를 단기적으로 보충하고, 장기적으로는 우리 해군의 안정적인 활동(작전)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현대전 양상과 무기체계의 변화는 이를 뒷받침하고 지원하는 군수의 변화가 함께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우리 해군이 진정으로 변화와 개혁을 원한다면 그래서 대양해군 건설과 대양에서의 주도적인 작전을 원한다면, 위에서 언급한 군수지원 분야의 변화작업을 곧바로 시작해야할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대양해군 건설”의 기치는 말로써만 머물 것이고, 해군의 자주적인 단독 원해작전은 영원히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 繼續的 契約의 解止에 관한 硏究

        조일윤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계속적 계약의 法定解止權이 규정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서 현행민법상의 관련규정들을 분석·고찰하여 立法政策的으로 再考되어야 할 점 및 立法의 誤謬으로 인정되는 점을 지적하고, 계속적 계약의 法定解止權의 입법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계속적 계약이란 채무의 내용인 급부의 실현에 '시간적 계속성'을 가지는 계약을 말한다. 이러한 계속적 계약은 급부의 실현이 일시적으로 행하여지는 일시적 계약과 구별된다. '一時性'과 '繼續性'의 구별기준은 단순히 시간의 長短에 따라 일률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계약의 모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별된다. 계속적 계약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료인데, 일시적 계약과는 달리 解止權이 기능한다. 현행 민법상의 계약총칙에는 해지권에 관한 일반조항이 없고, 계속적 계약에 속하는 전형계약 속에 개별적으로 규정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한 개별적 규정만으로는 현대사회의 민사거래 관계를 적절하게 규율 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계속적 계약에서의 법정해지권의 발생에 관한 일반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계속적 계약의 법정해지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는 경우에 해지권의 발생원인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는 어려운 문제이다. 계속적 계약은 급부의 실현에 시간적 계속성을 가지므로 인하여, 당사자 상호간의 신뢰관계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신뢰관계가 파괴되면 당해 계약은 계속하게 어렵게 될 것이므로, 계속적 계약에서의 기본적인 해지원인은 이러한 신뢰관계가 파괴되는 등의 계약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로 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중대한 사유에 의한 해지는 즉시로 효과를 발생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신뢰가 파괴된 경우라면 계약을 계속하여 유지하게 하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단순한 채무불이행만으로는 계속적 계약의 해지사유가 되지 않으며, 그 경우는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최고를 하고 그 기간 내에 이행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重大한 事由가 발생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信賴關係의 破壞 등의 重大한 事由가 기본적인 계속적 계약의 해지사유가 된다고 한다면, 이에는 催告의 법리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解止通告의 법리가 적용되므로 催告도 필요하지 않다고 하여야 한다. 다만 채무자가 이후에 이행을 하더라도 당해 계약관계를 계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催告로서 계약위반을 重大한 事由로 하여 해지할 수 있다고 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계약관계에서의 이탈(離脫)은 채무불이행을 범한 채무자에 대한 제재로서가 아니라, 계약의 원만한 진행에 일정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채권자로 하여금 그 계약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하여 새로운 계약으로의 행동의 자유를 회복하게 하는 장치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계속적 계약의 해지권 행사에는 歸責事由는 필요하지 않는다. 다만 歸責事由는 손해배상청구의 요건으로 하면 충분하다고 하여야 한다. A continuing contract is defined as such a contract that is accompanied with "continuity of time" when the delivery which is the purpose of an obligation is satisfied. The continuing contract is different from non-continuing contract in that the delivery is satisfied in a lump. The criteria of difference between "non-discontinuity" and "continuity" is not determined simply depending on length of time, but determined by synthetically considering all factors in the relevant contrac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ttributes of the continuing contract is expiration, and the right to terminate before expiration ("RTBE") is vested in the contract, unlike the non-continuing contract. The general provisions of contract in the current Civil Law do not. have general terms for the "RTBE", but instead, the "RTBE" is individually provided in the typical continuing contracts. However, such individual provisions may not sufficiently govern civil transaction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create new provisions governing the RTBE in the continuing contract. It is difficult to describe causes of the RTBE, in the case of creating new provisions governing the RTBE in the continuing contract. Since the continuing contract accompanies the continuity of time in satisfying the delivery, faithful relationship between parties becomes a very important element. Because any breach of faithful relationship will hinder the continuance of the relevant contract, "substantial reason" to hinder the continuance of contract, i.e., to destroy the faithful relationship should become the primary cause of the RTBE. Also, any termination by a substantial reason should immediately become effective. If the faith between parties is destroyed, it is of no use to maintain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Nonetheless, simple default of obligation does not fall upon a cause of the RTBE. In this case, it is required to give a fin리 notification o( delivery with a proper period. It is assumed that when the relevant obligation is not fulfilled even after the proper period by notification, the substantial reason arises. In addition, when it is assumed that the substantial reason such as destruction of faithful relationship becomes the cause of the RTBE, it should be also assumed that the principle of notification to terminate the continuing contract, not that of notification will apply to this case. That is, there is even no need to notify. However, if it is available to continue the contract through performance of obligation by obliger, it may be said that notific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terminate the contract based on a substantial reason such as breach of contract. It is understood that discontinuance of contractual relationship is not simply punishment to the defaulted obliger, but serves as an instrument that enables the obligee to disengage from the bindings of the existing contract and resume the freedom of action through a new contract when a cause to hinder the smooth progress of contract occurs. In this regard, an attribution is not required for the exercise of the RTBE in the continuing contract, but it is enough to define an attribution as a reason of damages.

      • 국어 교과서 소재 <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똥의 의미 연구

        박미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지금까지 오랜 시간 동안 향유되어 왔던 옛이야기를 앞으로도 계속 즐기고 누리는 데에 이야기의 본질이 왜곡되거나 의도적으로 변형되는 점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부터 출발한다. 이에 따라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서 교수 학습이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속 옛이야기를 한 편 선정하여, 비교적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초기 채록본과 교과서 속 텍스트의 서사구조를 비교한다. 초기 채록본이 교과서에 수록되면서 어떻게 변형되었는가를 분석하고, 그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옛이야기를 교과서에 수록할 경우 바른 방향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이러한 목적과 연구 방향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출발한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텍스트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이 이야기에서 ‘똥’이라는 소재는 이야기 흐름에 큰 축을 이루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교과서에서는 이 소재가 통째로 삭제되었기 때문이다. ‘똥’이 갖고 있는 상징성을 배제한 채 오로지 소재의 부적합성에 기인한 삭제라 할 만하다. 논의 대상 자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교과서 수록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텍스트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마련된 기존의 모든 국어과 교과서에 실린 <해와 달이 된 오누이>로 한정하였다. 이에 따라 1954년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3년 현재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제작된 모든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를 발췌했다. 교과서에 수록된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대비할 초기 채록 텍스트는 1987년에서 1990년까지 발간된 『임석재 전집 한국구전설화』(전12권)에 수록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로 한정하였다. 단, 비슷한 제목이나 비슷한 내용이라 할지라도 변형이 너무 심한 텍스트는 본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텍스트 간의 비교 소재로는 오로지 ‘똥’으로만 한정시켰다. 국어 교과서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제6차 교육과정에 처음 수록되었고, 이후 현행 교육과정까지 지속적으로 실렸다. 하지만 교과서에는 이야기 전문이 실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수업 목표 도달을 위해 수업 도움 자료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2007개정 교육과정 2학년 1학기에 실린 자료와 2009개정 교육과정에 수록된 자료는 동일한 텍스트며, 2007개정 교육과정 2학년 2학기 『듣기․말하기』에 실린 내용은 인형극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네 가지 장면만 차용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결국 1차 교육과정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총 다섯 차례지만, 그 텍스트는 총 세 종[6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2007개정 교육과정(=2009개정 교육과정)]으로 한정된다. 『임석재 전집』총 12권 가운데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2권에 두 편, 5권ㆍ7권ㆍ9권ㆍ10권에 각 한 편씩 총 6편이 실려 있다. 제목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혹은 <해와 달이 된 남매>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2권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변형이 심해 논외로 하였다. 발췌한 이야기는 기호를 붙여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다. 이어 서사구조를 토대로 이야기로 재구성하였고, 이 서사구조를 일목요연하게 표로 나타내어 각 이야기 간의 차이를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그리고 공통된 서사구조를 토대로 이야기의 지향점에 초점을 두고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교과서에 수록된 세 종의 텍스트와 『임석재 전집』에 수록된 다섯 종의 텍스트에 동일하게 쓰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가 지향하는 서사구조의 핵심은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머니와 호랑이가 만날 필요도 없었고, 셋째 아이를 등장시켜 이야기를 복잡하게 만들 필요도 없었다. ‘나쁜 호랑이와 착한 오누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에 똥을 매개로 오누이와 호랑이가 지혜대결을 펼치는 장면도 필요가 없었다. 이런 상징적인 내용을 삭제함으로써 분량도 많이 줄이면서 단순하고 간결한 구도를 지향한 것이다. 교과서에서는 교육적 목적으로서 학생들에게 선을 권하고 악을 벌하는 것만 필요했을 뿐이기에 기본적인 뼈대만 남기고, 다양한 삽화(揷話)를 과감하게 삭제함으로써 교육적 목적에 부합하는 간결한 이야기로 재탄생했다고 할 만하다. 옛이야기가 담고 있는 본연의 의미보다는 교육적 목적을 위해 개작된 것이 교과서에서 지향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텍스트라 하겠다. 반면 『임석재 전집』에 수록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가 지향하는 서사구조는 아이들 스스로 호랑이와 맞서 위기를 모면하는 ‘아이들의 지혜’에 초점을 맞췄다. 어머니를 잡아먹은 호랑이의 정체를 알고 나무 위로 도망가서 하늘이 내려주는 동아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 버리는 무력한 겁쟁이 아이들이 아닌, 그 시절 가장 친숙했던 똥을 핑계 삼아 호랑이와 재치 대결을 하고 스스로의 힘으로 호랑이에게서 탈출하는 생동감 있고 생기 있는 아이들의 지혜를 빛나게 하였다. 이것이 『임석재 전집』에서 지향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