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 분석 기반 해외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연구 : 파라과이 INAES 한국어교육학과를 중심으로

        김장식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11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curriculum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in Paraguay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to be preceded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in the established language curriculum are not suitable as the ones to be analyzed for development of the overseas 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aimed at foste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ly,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to be analyzed when cultiva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set up to be applied to the improvement in curriculum after an in-depth analysis. To be concret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and problems were drawn. After then, a requirement analysis targeting the learners and teacher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present a curriculum development plan reflecting this. The content of this study summarized by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1 identifi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the base of discussion. Precedent studies on oversea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of studies on the existing oversea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limited to the current status without a specific set-up of the factors for environmental analysis.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e and procedure of curriculum was considered as the basis for discussion on curriculum improvement, and the discussion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was reviewed. In addition, factors for the environmental analysis necessary for the curriculum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stablished. Chapter 3 analyzed the environment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in Paraguay by factor with the environmental analysis factors established in Chapter 2.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currently in progress was examined in detail, and the local polici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and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in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dividing the environments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Chapter 4, the needs of the learners and teacher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NAES were investigat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The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56 learners and 12 professors. Additionally, a total of 54 learners and professo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bout the necessity of subjects required to acquire the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s license. The teachers were limited to those who teach Korean in the country or have experience in teaching the language. The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general items and research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 The research on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panish-speaking learners’ perception on Korean language and their perception on other languages.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ir responses regarding Korean language classes, circumstances,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demonstrated that the learners,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aguay currently required a new curriculum. The results drawn from this were fed and applied into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Chapter 5. Based on the earlier studies, a plan for improvement in the curriculum was presented in Chapter 5. Specific content was proposed focusing on education objectiv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arrangement of educational content, and outline of subjects. It was set with the purpose of nurturing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expertise in the language and abilities to have as a language teacher, with the principle of curriculum design as a comprehensive technique, versatility, practicality, and clarity. Next, the purpose and objective of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of IANES were concretely established,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es and INAES curriculum. This study precisely inform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aguay in Latin America, which had not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is Spanish-speaking country and figured out its problems, and established the environmental analysis factors that had not been closely considered in the existing overseas departments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will serve as a standard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training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designed a curriculum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a focus on improving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es and applied it to the actual overseas 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 표현과 이해 기능을 중심으로

        장가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2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osely examine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Instituto Superior de Educación, the ISE, and to develop a new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which reflects the needs of its students and the real state of Korean education in Paraguay. Chapter 1 discusses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designed to “cultivate” new teachers rather than to “re-educate” existing teachers in Korea, as well as the curriculum of other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Chapter 2 investigates some related theories for discussion and reviews reference works used to prepare the standard curriculum in Paraguay. These references could potentially help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s used both in Paraguay and abroad. Chapter 3 examines Korean academia in general in Paraguay and ISE, and identifies the deficiencies in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lack the skills or have difficulties articulating an idea verbally in the Korean language. In additnion students are requesting more classes in conversation and Korean culture, and better instructor preparation courses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Chapter 4 introduces a new curriculum for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at IS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ed in chapters 2 and 3. The last chapter, chapter 5, summarizes previous chapters and identifies areas requiring further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illumination of the dire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sub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Educational Programs in foreign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nd to initialize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n studies. I hope these Korean Educational Programs will become common in all university language departments, like China, Japan, U.S., other countries, and that they will actively develop better programs.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표현과 이해 기능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면밀히 분석해보고 해외 대학 한국어교육학과 재학생들의 요구와 현지 실정이 반영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1장에서는 국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과 외국어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폈다. 2장에서는 논의의 진행을 위한 이론과 파라과이의 현지 사정에 부합하고, 더 나아가 해외 대학에 개설될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의 표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참고할만한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파라과이 전반과 ISE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피고, 한국어교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국어 표현 기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회화 및 문화 수업의 확충, 교육 실습 과목의 개선을 원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파라과이 실정에 따른 ISE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된 적이 거의 없는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 한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 활기를 띠고, 더 많은 해외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언어-문화 통합교육 기반 전통문화교육 내용 구성 연구 : -해외귀국 초등학생 대상 한국어교육에서의 전통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위미희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27

        국문요약 언어-문화 통합교육 기반 전통문화교육 내용 구성 연구 -해외귀국 초등학생 대상 한국어교육에서의 전통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위 미 희 한국어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해외귀국 초등학생 대상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전통문화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로는 사회구성원의 행동양식과 언어사용의 맥락을 이해하는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언어교육에서 문화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늘고 있다.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외국인과 한국인, 그 경계라 할 수 있는-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찾기 과정이 필요한-제3의 대상인 해외귀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문화교육에 관한 독립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고에서는 전통문화교육으로 연구범위를 좁혀 해외귀국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에 있던 문화에 대한 요구 조사 중에서도 전통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여러 항목으로 범주화하여 각각의 필요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분석하여 해외귀국 초등학생의 교육 주체인 그들의 학부모와 교사 모두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전통문화교육 내용 범주별 요구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다음으로 해외귀국 초등학생들이 해외 체류 기간 동안 공유하지 못한, 한국의 학생들에게 행해지는 전통문화교육 내용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전통문화 관련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이는 전통문화교육 내용 구성의 재료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이를 언어교육 장면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기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전통문화 관련 내용을 제시한 양상을 분석하는 과정을 더하였다. 이는 언어-문화 통합교육에 기반을 두어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과정이며 구성 원리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이기도 하다. 전통문화교육 내용 구성의 실제에서는 목표를 설정하고 범주별로 소재들을 구성하였고 KSL 교재의 교수요목을 활용하여 이에 전통문화교육 내용을 배치하여 재구성해보았다.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 연구가 다양한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들의 한국어와 전통문화 통합교육의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 동형화 및 탈동형화 이론을 통한 해외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정책 차용 과정과 특징 분석 연구 -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김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2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orrow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olicies through isomorphization and decoupling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in which oversea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policies are localized in Vietnam and to clarify the cause for policy change in the process through the theory of isomorphization and decoupling by DiMaggio & Powell (1983), Meyer & Rowan (1977) and Christine Oliver (1991).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major actors surround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t helped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cause for borrow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the operation of Sejong Institute under different purpose of major actors in both countri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borrow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Sejong Institutes in Vietnam? Second, what are the borrow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terms of the isomorphization theory? Third, what are the borrow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terms of the decoupling theory? This study found that the decision process in policy transfer and borrowing of Sejong Institutes in Vietnam led to the chan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Korean government intended to implement “Framework Act on National Language ” providing offici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ejong Institutes worldwide. Yet, the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has changed in the process of being delivered to Vietnam due to changes in the operating entity managing Sejong Institute, the Vietnames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and system change, inflow of external financial resources, learners' needs, and competition with other local institutions. This study also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transfer and borrowing in the Sejong Institutes in Vietnam. While endeavoring to prioritize the rules of the Sejong Institute Foundation in their operation, however, the Sejong Institutes in Vietnam sought to readjust towards flexible operation through the consultation with the Foundation when in conflicting environment against the local policy system in Vietnam. In addition, they showed an important feature of imitation particularly in exploring learners’ needs in curriculum through the information sharing in the network of Sejong Institutes in Vietnam. Adopting the DiMaggio & Powell (1983)'s isomorphization theory in investigating the borrowing process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t was found first that that the bilateral policy and system resulted in compulsory isomorphization in the operation of Sejong Institute. Whil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Sejong Institute Foundation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eginning of establishment, the education policy of local government in Vietnam became to be prioritized as the period and know-how accumula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ejong Institute. Second, isomorphization were found in the process that the best practice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ferenced or imitated in the operation of Sejong Institute. Within the same country, imitation and reference were commonly found in selecting themes and available facilities for cultural programs while the same was achieved in the process of referring to best practices in other countries through events hosted by the Sejong Institute Foundation. Third, normative isomorphization was found in the process of referring the expertise of local instructors. While acknowledging the role of the dispatched Korean language instructors from Korea, the local instructors who can understand and comply with the socio-cultural context as well as local laws and policy systems in Vietnam were pivotal in the operation of Institutes, and sharing of such expertise was an important factor of the isomorphization. The decoupling theory of Meyer & Rowan (1977) and Christine Oliver (1991) provided in analyzing the borrowing process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hat firstly the local policies and operating syste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Vietnam are the main factors for decoupling. When polic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in conflict, Sejong Institute prioritized the compliance with higher norms and legislation in Vietnam, which resulted in coordination and decoupling of existing policies and regulation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ly, a different form of decoupling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actors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Sejong Institute. Thirdly, the process of reflecting learners’ demand was also a major factor of decoupling. In the case of Vietnam, the proportion of learn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beyond the mere curiosity on Korean culture around the Korean Wave were higher than other countries in that the request of new programs led to the decoupling of policies. Fourthly, decoupling was found in the process of brand integration. Despite the superficial conformity that all Sejong Institutes in Vietnam appears to comply with the policy decision of brand integration, differences in the density of operation for the Korean Cultural Center and the Korean Education Center were evident due to the different management ministries supervises each affiliate entities. The isomorphization and decoupling in the policy borrowing found in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provider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cooperative public diplomatic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process of policy coordination based on localization and mutual culturalism.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consumers, the administrators and learners of the Sejong Institute were provided with the opportunities of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olicy coordin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with ownership. Thir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as able to be resulted from quality education that was derived from the localization and improved learners' satisfaction through continuous mutual interactions between policy providers and consumers in education. 본 연구는 동형화 및 탈동형화 이론을 통한 해외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정책 차용 과정 및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정책이 베트남에서 현지화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그 과정에서 정책이 변형되는 이유를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는 DiMaggio&Powell(1983)의 동형화 이론적 개념을 적용하였다. Meyer&Rowan(1977)가 탈동형화의 현상에 대해 개념적 정의, 탈동형화를 보다 순기능의 관점에서 분석한 Cristin Oliver(1991)의 연구를 통해 베트남 세종학당의 동형화 및 탈동형화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 정책 전이와 차용 결정 과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해외 한국어 교육 정책의 효율적 시행을 위하여 「국어기본법」에 의거하여 전 세계 어느 학당을 방문하여도 고품질의 표준 교육과정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 해외 한국어 교육 정책은 세종학당을 관리하는 운영 주체의 변화, 베트남 정부의 교육 정책 및 제도의 변화, 후원 등 외부 재원 유입, 학습자의 요구, 인근 지역 타 기관과의 경쟁과 같은 매우 다양한 이유 등으로 베트남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정책이 변형되는 양상을 보였다. 두 번째 연구 결과는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 정책 전이와 차용 특징에 관한 것이다.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의 운영자들은 세종학당재단 규정을 최우선으로 이행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베트남 현지 제도와 상충 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재단과의 협의를 통해 유연한 운영 방향으로 재조정 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이러한 협의 과정에 앞서서 세종학당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타 기관 사례를 참고하거나, 모방하는 특징도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학습자들이 원하는 교육과정에 대해서 세종학당 간 정보 공유 및 모방의 사례가 가장 두드러지는 점이었다. 세 번째 연구결과는 DiMaggio&Powell(1983)의 동형화 이론에 따른 베트남 한국어 교육 정책 차용 과정과 특징에 관한 것이다. 베트남 세종학당 동형화 특징은 크게 3가지이다. 첫 번째 양국정책과 제도는 세종학당 운영에 강제적 동형화의 요인이 되었다. 다만, 설립 초반에는 한국 정부에서 제공하는 세종학당재단의 운영 제도가 중요하게 작용 하는데 비해, 세종학당 설립 후, 운영의 기간 및 노하우가 축적될수록 베트남 현지 정부의 교육 정책과 제도가 우선시 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두 번째, 타 세종학당의 모범 운영 사례를 직·간접적으로 참고하거나 적극적으로 모방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동형화 특징이 확인되었다. 같은 국가 내에서는 한국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주제(아이템) 및 가용 시설, 거점 세종학당을 활용한 모방 및 참고사례가 대표적으로 확인 되었다. 타 국가의 운영 사례 모방은 재단에서 주최한 행사 등을 통해 우수 모범 운영 사례를 참고하는 과정에서 동형화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는 전문가들의 전문성을 참고하는 규범적 동형화 특징이 발견되었다. 교육의 주요 주체인 교수자와 관련하여, 한국에서 파견되는 한국어 교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 베트남 현지 사회문화적 맥락 및 현지법과 제도를 잘 준수하고 이해할 수 있는 현지 전문가들의 규범이 중요시 되며, 이와 같은 전문성의 공유를 통해서도 동형화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네 번째 연구결과는 Meyer&Rowan(1977)과 Cristin Oliver(1991)의 탈동형화 이론에 따른 베트남 한국어 교육 정책 차용 과정과 특징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베트남 현지 정책과 교육기관 운영 제도는 탈동형화 현상을 발생시키는 주요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양 국가 정책의 상이한 지점에서 세종학당은 베트남 현지의 상위 규범 및 법제 준수를 우선시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기존의 정책 혹은 규정의 조정 및 탈동형화 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두 번째, 세종학당 운영에 관여하는 다양한 행위자 간의 협업 과정에서도 기존의 세종학당 운영방식과는 다른 형태의 탈동형화 현상이 발생하였다. 세 번째, 학습자 수요를 반영하는 과정도 탈동형화의 주요 특징으로도 분석되었다. 베트남의 경우 한류 등 한국문화 호기심을 넘어서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자의 학습자 비율이 높았는데, 이와 같은 요청은 새로운 정책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는, 브랜드 통합 과정에서의 탈동형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브랜드 통합이라는 정책 결정으로 외형적으로는 베트남 지역 세종학당 모두가 제도에 순응하는 것으로 보여지나, 실제로 한국문화원 및 한국교육원 등은 관리 부처가 상이함에 따라, 운영의 밀도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종학당별로는 거점형의 경우 세종학당재단이 운영기관이라는 점과 베트남 세종학당 관리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강제적 동형화의 특징이 가장 분명히 나타났다. 동시에 새로운 운영방식 도입으로 탈동형화 특징도 함께 확인 되었다. 일반형은 강제적, 모방적, 규범적 동형화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협업형은 다양한 운영기관과의 협업과정에서의 탈동형화의 특징이 나타났다. 문화원 및 교육원은 상위부처가 다르고, 독립적 운영방식의 특징으로 탈동형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동형화와 탈동형화 현상의 반복 속에서 나타나는 정책 차용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제공자 측면에서는 현지화와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정책 조정 과정에서 협력적 공공외교 정책 추진의 기회를 마련하였다. 둘째, 정책의 수요자 측면에서는 세종학당 운영자와 학습자에게 주인의식을 갖고 정책 조정 및 교육과정 개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만족도 향상과 현지화를 기반으로 양질의 교육 제공을 통해 교육의 효과성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 단기해외봉사활동 한국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 캄보디아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혜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develop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through the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Programs. 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rief history and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Chapter 2 generally describes the present situation of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and Korean education of Cambodia Universities. Chapter 3 shows the survey of the necessity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ambodia. Research producers and subjects on needs analysis are provided, then the written questionnaire are followed. On describing questionnaire, the procedure, content and analysis tool for the data are mentioned in detail. Chapter 4 analyzes the surve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through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The questionnaire analysis has several variables. It is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sex, grade, major, Korean teaching experience, a purpose of Korean study, ect.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differences of nees between groups are also described. Chapter 5 analyzes the statistic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ith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I suggest the new desired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Chapter 6 summarizes this study and the suggested new curriculum based on this analytic results, and provides with the limit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of a following study.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through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Programs. It can also contribute to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local educational situation.

      • 온라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바른한국어>의 해외대학 수업 적용사례 연구 : 태국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손미영 고려사이버대학교 융합정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26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온라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인 <바른한국어>를 태국의 S 대학교의 정규과정으로 도입하기 위한 시범 운영 사례를 평가한 연구이다. 이 운영 사례는 협력 사업으로써 한국의 ACU가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였고, K 사이버대학교가 <바른한국어> 콘텐츠와 온라인 화상교육 등 학습과정과 평가를 담당하였고, 태국의 S 대학교가 교과목 개설 및 학습 환경을 제공하였다. 2019년 1월 6일부터 4월 7일까지 3개월 동안 태국 S 대학교의 10명의 학습자들은 ACU LMS에서 <바른한국어> 콘텐츠를 수강하였고, 온라인 출석체크와 K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진행하는 4차의 온라인 화상교육과 2회의 과제제출을 통해서 학업 성취도를 평가받았다. 최종적으로 7명의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이 과정을 수료하였다. 이 사례의 평가를 위해 온라인 화상교육법, 설문지법, 참여관찰법, 인터뷰법의 네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온라인 화상교육 평가 결과에서는 태국과 한국의 시스템 차이가 있어 별도의 기술지원이 필요했지만 한국 교수자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75%수준이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화상교육과 같은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전·사후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학습자의 70%가 <바른한국어> 콘텐츠에 공부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전반적인 만족도가 80%로 높게 나타났다. 참여관찰 결과에서는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학습자들의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70%의 학습자들이 강의 수강 후 성취감을 느꼈다고 답하였다. 끝으로 인터뷰결과에서는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 온라인을 통해 학습자와 원활하게 소통하는 것의 중요성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학습자들이 원활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전준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교육의 구성요소인 교수영역, 학습영역, 관리영역으로 분석한 K 사이버대학교 <바른한국어>의 정규과정 도입에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영역에서는 충분한 사전 점검이 필요하다.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학습기간의 보장과 온라인 교육의 특성상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집중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둘째, 학습영역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학습 독려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에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미디어 매체를 활용해야 한다. 셋째, 관리영역으로 게시판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국적 번역기를 활용하고, SNS 등을 이용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신속하게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온라인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을 대학의 정규과정으로 도입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데 있다. 그동안 다양한 온라인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를 대학의 정규과정으로 도입 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바른한국어>를 대학의 정규과정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교수· 학습·관리영역에 걸쳐 어떻게 보완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하여 혼합형 온라인 과정 구축의 필요성과 함께 온라인 화상교육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체계적으로 정규과정에서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온라인을 통한 새로운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극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 미국 거주 해외동포 학생을 대상으로

        양선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11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특히 극문학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극문학은 문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영역이다. 등장인물의 대화를 통해 언어적 상황을 재연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 안에 나타난 시·공간적 배경을 통하여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접해 보는 기회도 제공한다. 그리고 극문학의 특성을 살려 문학 작품을 직접 상연해 보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 활동이 가능하며 다른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 해외 한국어 교재의 문화 요소 분석 연구 : 'Integrated Korean' 시리즈를 중심으로

        심이랑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333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cultural elem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the cultural elements of a textbook produced abroad, and comparing these with the respective national standards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culture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emerged, research on the categorization and hierarchization of cultural elements in Korean textbooks and syllabuses has been conducted continuously since the early 2000s. The current trends in the analysis of cultural facto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cus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domestic textbooks. According to Kim, S. et al. (2015), since there are difficulties in using Korean textbooks made for the curriculum of domestic universities abroad, it is common to use both overseas published textbooks and domestic ones together. Therefore, it is relevant to analyze not only domestic published textbooks but also textbooks published abroad in order to study how to improve cultural education contents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alyzes the cultural elements of a textbook produced oversea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and proposes supplements to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 국외 정규학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11

        한국어교육은 학문의 출범 이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현재는 국외 대학기관을 넘어 국외 초·중·고등학교에서도 활발히 교수·학습된다. 한국어교육의 양정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교육과정의 개발은 필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추후 한국어교육이 국외 정규학교에서 제2 외국어로 채택되어 교수ㆍ학습될 때 활용할 수 있는 표준으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외에서 고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여러 층위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선정, Posner(2004)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박정아(2019)의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틀을 사용하여 교과 내용, 학습자, 환경, 교사를 중점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교육과정으로는 학습자와 환경을 규정하지 않아 모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가장 최상위의 교육과정인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국내 초ㆍ중ㆍ고등학생 대상의『한국어 교육과정』(KSL), 다문화 사회 호주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마지막으로는 『해외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이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수립시에 고려해야 할 점을 교과 내용, 학습자, 환경, 교사를 중점으로 제안하였다. 이어 제언한 요소들에 대하여 한국어교육을 국외에서 교수 혹은 학습해본 경험이 있는 인터뷰 대상자 다섯 명을 섭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고시된 국내외 여러 층위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는 점과 이를 기반으로 추후 한국어 교육과정 수립 시에 갖추어야 할 요소를 제시하고 타당성 입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grown rapidly since the launch of the study, and is now actively taught and learn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broad beyond foreign university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qualitative growth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curriculum is essenti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urriculum as a standard that can be used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dopted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in foreign school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Korean curriculums at various levels currently announced and used at home and abroad were selected, and the curriculums were analyzed using a curriculum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discussion of Posner(2004). The curriculum to be analyzed does not define learners and the environment, so it is the highest curriculum available in all fields,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The Korean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SL), the Korean Curriculum as a foreign language of multicultural society Australia and 『The Curriculum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the Koreanstandard curriculum, focusing on the subject content, learners, environment, and teachers. The suggested factors were then interviewed by five interviewees who has experience in teaching or learning Korean language abroad, and through this,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various levels at home and abroad, and based on this, it presents suggestions to be made when establish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