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양생물 서식지외 보전기관(Ex-situ)의 운영 고도화 방안 연구

        이범석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Earth's oceans, home to an incredibly diverse array of marine life, sustain over 20,000 species and provide significant benefits to humanity. South Korea has been collecting food resources from the sea for almost 3,000 years, starting from around 3,000 years BC. and it currently ranks as world's largest consumers of seafood. However, with the increasing impact of human activities, marine ecosystems and habitats are increasingly threatened, leading to the extinction of some species. To address the threat of marine life extinction, countries worldwide have established conservation facilities in an artificial space outside its natural habitats to undertake conservation efforts in artificial environments. South Korea has been also operating 13 marine life Ex-situ institution since 2023.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polic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rine life Ex-situ institution. For this, the limitations of such facilitie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from three aspects: public awareness, budget allocation, and the current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Subsequently,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2 experts in marine life conservation facilities, including 8 field experts. Based on the diverse analytical results, the study aimed to propose development strategies for marine life Ex-situ institution. The current limitations of marine life Ex-situ institution in South Korea include, first, a lack of public awareness and recogni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53 respondents to analyze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85.7% of respondents recognized a decline in marine species diversity. However, only 28.5%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existence of conservation facilities beyond natural habitats for marine life. The necessity of such facilities was supported by 77.7% of respondents, and the majority, 95.6% of respondents, believed that a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was required for their operation. The second limitation is the imbalance in budget allocation when compared to the value estimation research of marine life and Ex-situ institution. In previous studies, the estimated value of a single marine species reached hundreds of billion KRW. and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which estimated the value of Ex-situ institution at 894 billion KRW, there has been an imbalance in South Korea's current budget support for these facilities. The cumulative budget execution amount has not exceeded 10 billion KRW since the inception of support programs. The third limitation of marine life Ex-situ institutions in South Korea pertained to legal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The designation and expansion of marine protected species or marine protected areas posed a challenge, as they often became performance indicators for government agencies or failed to align with the effectiveness of actual marine life conservation. Private organizations might exploit these agencies for improving their corporate image or select high-profile conservation targets for external recognition, raising concerns about their conservation impact.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conducted among experts for the development of marine life Ex-situ institution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olicy formulation, regulatory improvement related to marine life conservation facilities beyond natural habita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ignificance. This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marine life conservation Ex-situ institution, R&D investment, and the expansion of waterfront areas to enhance public awarenes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rom the general public and the advice from experts, various policy recommendations have been proposed to enhance public awareness,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s, promotion, organizing competitions, and expanding waterfront areas. To make budget allocation a reality, case studies of the valuation of marine life conservation facilities beyond natural habitats, based on similar organizations, have been present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marine life conservation facilities, proposing appropriate budget allocations. Lastly, recommendations have been made for the scope of the legislative project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arine life Ex-situ institutions, including organization and staffing considerations.

      • 국가관할권이원지역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규율 : UN해양법협약 원칙의 확장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서진웅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2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Use and Guiding Principle of Marine Living Resources of Areas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ABNJ) focused on the Law of the Sea. The concept of the ABNJ is not internationally agreed yet. Nevertheless, there is no objection that the ABNJ covers the High Seas and the Area under the normative system of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on the whole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re are various understanding of scholars and states to the concept of the ABNJ and the guiding principle as multi-layered spectrum. These differences in stances regarding the ABNJ are basically due to the fact that the UNCLOS divides area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into two categories: the High Seas and the Area; and it stipulates duality of the scope and guiding principle of each part. There are confrontations between the position placing an emphasis on the regime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High Seas and the stance based on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guiding principles is at the extremes of the gap. The confrontations to the ABNJ has bega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rea regime under the UNCLOS. And the demand for the extension of the principle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 which is accepted as a guiding principle of the Area regime, to the whole ABNJ is at the core of this issue. Not so clear, however, is the concept of the principle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is accept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enefit sharing in the Area regime, however, as a concept that included free access regime when discussed in FAO about plant genetic resources. The concept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 is proposed as an antithesis to the traditional law principle; Even the concept is ambiguous and its legal contents are not stipulated except the use of mineral resources and the benefit sharing derived from miner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under the rules of the UNCLOS, the Area is part of the High Seas as a geographical concept, and the Area regime acts as a special regime for mineral resources in the Area; on the other hand, it is reasonable that the High Seas regime should be understood as a general regime in the area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of the UNCLOS. Accordingly,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ABNJ covering the entire area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should be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High Seas. In other words, current UNCLOS does not have a vacuum about the ABNJ, but there is only a regulatory limitation that does not stip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eas regime and the Area regim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use of marine living resources would be comparable to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UNCLOS an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and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BD; however,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are not fundamentally equal in the legal nature to those applicabl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ABNJ. The framework of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are fundamentally based on territorial sovereignty and regulates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in accordance with mutually agreed terms between the providing state and the using state; whereas, there are inherent differences of the ABNJ in the way that jurisdiction is not authorized in a particular country. For this reason, the institutional system of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can be a reference when framework of the ABNJ is regulated; however, it should not be acceptable the specific legal basis or mandatory basis contained in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As a result, the institutional basis of the rules regarding the use of marine living resources should be set as a model of the UNCLOS. So, it should include the direct regulating provisions to marine living resources including marine genetic resources, and clearly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eas regime and the Area regime;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succeed progressively to the UNCLOS, without prejudice to the provisions of the UNCLOS. The ABNJ regime should be regulated under the normative system of the UNCLOS, but to guarantee its effectiveness, a new system should be drafted in such a way that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an participate. Compromise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is indispensable for thi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oposes the following as a result. Firstly, ABNJ regime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High Seas in accordance with the UNCLOS. Secondly, developing countries should not hamper the free access to limited conservative level of marine genetic resources. Thirdly, developed countries should ensure a certain level of benefit sharing that can contribute to access and capacity-building of marine genetic resources as a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The success or failure in introducing new ABNJ regime depends on whether the new regime is being adopted in a way that is open to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oth countries can participate or not.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could fall into 'league of their own' and it could be fragmented the order of the Law of the sea again, if it is adopted in an favorable manner for either developed or developing countries. 본고는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규율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본고의 대상인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은 그 의미에 관하여 국제적으로 합의된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국제법 전체 영역 중 UN해양법협약의 규범적 체제 하에서는 공해와 심해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음에는 이론이 없다. 그러나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개념 내지 규율원칙에 대한 학자들의 이해와 각국의 입장은 다층적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관한 입장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UN해양법협약이 국가관할권 한계 밖의 지역을 공해와 심해저로 양분하여 각 지역의 물적 범위와 적용원칙을 이원적으로 규정한 점에서 기인한다. 공해자유원칙에 입각한 레짐을 강조하는 입장과 인류공동유산원칙에 입각한 레짐을 강조하는 입장 간의 대립이 존재하며, 두 적용원칙 간의 이질성은 그 간격을 극복할 수 없을 만큼 양극단에 있다.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대한 입장차이는 심해저레짐의 도입 이후 시작되었으며, 심해저레짐의 규율원칙으로 받아들여지는 인류공동유산원칙의 국가관할권 한계 밖 전체 지역으로의 확장 요구가 이 문제의 핵심이다. 그러나 인류공동유산원칙이 무엇인가에 관하여서도 모호성이 남아있다. 인류공동유산은 심해저레짐에서는 이익공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지만, FAO에서 식물유전자원에 관하여 논의될 당시에는 자유접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였다. 인류공동유산개념은 전통적인 법원칙에 대한 안티테제로 제안된 개념으로서, 그 개념조차 모호한 상태에 있으며, 그 법적 내용도 광물자원의 이용과 이를 통한 이익의 배분을 제외하고는 규정되어 있지 못하다. 이와 함께, UN해양법협약의 규율체계 하에서 심해저는 지리적 개념으로서 공해의 일부이며, 심해저레짐은 심해저지역의 광물자원에 대한 특별레짐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반면에 UN해양법협약의 국가관할권 한계 밖 지역에 있어서 공해레짐이 일반레짐으로 이해되어야 함이 타당하다. 이에 따라서 국가관할권 한계 밖의 전체 지역을 포괄하는 국가관할권이원지역 레짐의 규율원칙은 공해자유원칙이어야 한다. 즉 현행 UN해양법협약 상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관한 공백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다만, 명문의 규정으로 심해저레짐과 공해레짐 간의 관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규정상의 한계일 뿐이다. 해양생물자원의 이용에 관한 규율의 제도적 체계는 이와 유사한 물적 범위를 규율하고 있는 UN해양법협약의 제도적 체계와 생물다양성협약 및 동 협약의 의정서인 유전자원 이용에 관한 나고야의정서 상의 제도적 체계가 비교검토 가능한 현행 레짐에 해당한다. 그러나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는 본질적으로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적용 가능한 체제와 그 기초가 동등하지 않다. 생물다양성협약의 체제는 기본적으로 영토주의에 기초하고 있으며, 유전자원에의 접근 및 이의 이익공유를 유전자원의 제공국과 이용국 양국 간의 상호 합의된 조건에 따르도록 규율하는 체제이다. 반면에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은 특정국가에 관할권이 인정되지 않는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제도적 체계 규정 시 생물다양성협약의 체제는 참고대상이 될 수는 있으나, 이 체제에 포함된 특유의 법적 기초 내지 권리․의무적 기초는 그대로 수용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해양생물자원의 이용에 관한 규율의 제도적 기초는 UN해양법협약을 모범으로 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UN해양법협약 상의 규율원칙을 계승하되, 명시적인 규정이 불충분한 해양유전자원을 포함하는 해양생물자원의 직접적 규율규정을 포함하여야 하며, 공해레짐과 심해저레짐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정하여야 하며, UN해양법협약의 제 규정들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UN해양법협약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야 한다.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규율체제는 UN해양법협약의 규범적 체제 하에서 규정화 되어야 하지만,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모두 참여 가능한 방식으로 새로운 체제가 초안되어야 그 실효성이 담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서는 개발도상국가들과 선진국들의 타협이 필수불가결하다. 따라서 본고는 결과적으로 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은 UN해양법협약의 체제에 따라서 공해자유원칙에 입각하여야 한다. 둘째, 개발도상국가들은 해양유전자원에 대한 보전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된 자유로운 접근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셋째, 선진국들은 개발도상국가들의 필요에 대한 배려의 측면으로서, 개발도상국의 해양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사용능력을 배양에 기여할 수 있는 일정수준의 이익공유의 보장을 포함하여야 한다. 새로운 국가관할권이원지역체제의 도입의 성패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모두 참여가능한 방식으로 새로운 체제가 도입되느냐에 달려 있다.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중 어느 일방 집단에 유리한 방식으로 도입되는 경우에는 일방만의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할 수 있으며, 또다시 해양법 전반의 질서를 파편화할 뿐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 공해상 해양극한미생물유래 대사 추출물의 항암·항바이러스 활성 연구

        박보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6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해양은 매우 다양한 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가장 큰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해양은 저온, 고압, 고염분, 빛의 부재, 빈영양 등 생존에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극한(extreme) 환경에 속하는데 그중에서도 해양 미생물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방어와 경쟁을 통해 독특한 대사경로를 가지며 이에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대량배양과 재생이 가능하여 산업적으로 유망하며 새로운 기능성 물질을 발굴할 수 있는 잠재성도 매우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기능성 중 인류가 극복하지 못한 난제라 불리는 암과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항바이러스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공해상 미생물 대사 추출물을 제작하여 항암과 항바이러스 활성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서태평양 공해상의 해저산을 중심으로 170 균주를 확보하였으며 그 중 항암용으로 100개, 항바이러스용으로 92개의 배양체 대사 추출물을 제작하여 활성을 확인하였을 때 항암 활성을 보이는 균주는 2종으로 전체 추출물 중 약 2%가 활성을 나타냈으며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균주는 27종으로 확인되어 전체 추출물 중 약 29%가 활성을 나타냈다.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진균 2종과 세균 5종을 선별하여 해당 배양액을 Amberlite Resin 특성에 따라 분획 추출하여 Raw 264.7 세포에서 독성을 확인한 결과, Aspergillus fructus (1138) 균주는 모든 분획 추출물의 50 µg/mL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Penicillium chrysogenumn (1152) 균주의 경우 모든 분획 추출물에서 낮은 농도부터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암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Aspergillus fructus (1138) 분획 추출물은 50 µg/mL 농도에서 인간 대장암 세포주 HCT-116과 인간 위암 세포주 AGS에 대해 약 50% 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해당 농도에서 두 가지 암세포주에 대해 Apoptosis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Aspergillus fructus (1138) 및 Penicillium chrysogenumn (1152) 균주의 분획 추출물을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직접사멸활성 실험 결과 XAD7HP 분획 추출물에서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를 완전히 사멸시켜 항암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 활성 또한 우수하게 나타났다. 추가로 진균 2종을 제외한 세균 5종의 분획 추출물에서는 Psychrobacter faecalis (6461), Psychrobacter glacincola (6462), Proteus terrae subsp. terrae (6463) 균주에서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나타났으며 균주별로 각자 다른 분획 추출물에서 활성이 나타나 해당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 Resin의 특성에 따라 추출되어 차이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공해상으로부터 분리된 다양한 해양극한미생물 배양 대사체 추출물이 높은 확률로 항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해양 미생물의 생리학적 잠재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정제, 동정, 구조가 밝혀진 효능 물질은 의학, 제약 및 바이오 분야에서의 활용 및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예상된다. Covering more than 70% of the Earth's surface, the oceans provide the largest habitat for a great diversity of life. However, the ocean is an extreme environment that is relatively unsuitable for survival, such as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high salinity, lack of light, and poor nutrition. Among them, marine microorganisms have unique metabolic pathways through defense and competition to survive in this environment, and can produce various bioactive substances. In addition, they are industrially promising because they can be cultured and re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and the potential for discovering new functional substances is very high.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tabolic extracts of microorganisms from the high seas were prepared and checked for anti-cancer and antiviral activities, as cancer, which is said to be a difficult problem that mankind has not overcome, and the need for antiviral research due to the recent COVID-19 outbreak have emerged. In this study, 170 strains of microorganisms were collected from the seabed in the high seas of the western Pacific Ocean, of which 100 strains for anti-cancer and 92 strains for antiviral activities were prepared and their activities were confirmed, and 2 strains with anti-cancer activity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about 2% of the total extracts, and 27 strains with antiviral activity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about 29% of the total extracts. We selected two fungi and five bacteria that showed good efficacy and fractionated their cultures according to Amberlite Resin characteristics to check their cytoxicity in Raw 264.7 cells, and found that Aspergillus fructus (1138) strain showed no toxicity at a concentration of 50 µg/mL in all fractionated extracts, while Penicillium chrysogenumn (1152) strain showed cytotoxicity from lower concentrations in all fractionated extracts. To confirm the anti-cancer effect, cell viability was checked in cancer cells, and Aspergillus fructus (1138) fractionated extracts showed cell viability of about 50% or less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CT-116 and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AGS at a concentration of 50 µg/mL, and apoptosis was induced against both cancer cell lines at that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direct killing activity test of the fractionated extracts of Aspergillus fructus (1138) and Penicillium chrysogenumn (1152) strains against Influenza A viruses showed that the XAD7HP fractionated extract completely killed Influenza A viruses, demonstrating not only anticancer but also antiviral activity. In addition, the fractionated extracts of five bacteria except two fungi showed antiviral activity against Influenza A virus in strains of Psychrobacter faecalis (6461), Psychrobacter glacincola (6462), and Proteus terrae subsp. terrae (6463), and each strain showed activity in different fractionated extracts, confirming that the substances with such activity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hysiological potential of marine microorganisms by confirming that metabolomic extracts of various marine extremophile cultures isolated from the high seas possess anticancer and antiviral activities with high probability, and the active substances that are finally purified, identified, and structured through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have potential for utilization and industrial use in the medical, pharmaceutical, and bio fields.

      • 특수처리입상비료를 이용한 다기능 포러스콘크리트의 해양생물 부착특성에 관한 연구

        손성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4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규모의 환경파괴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고도의 산업화와 공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연환경을 고려하기보다는 경제적 개발위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천연자원의 고갈 및 개발주변지역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또한, 연안해역에서의 무분별한 개발 및 남획으로 인한 오염으로 광대한 조장이 소실되어 수산자원의 감소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안해역에 인공어초를 이용한 조장조성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강재나 일반콘크리트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밀실한 내부구조와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해조류 및 패류의 착상과 서식이 곤란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자연을 배려한 환경친화형 콘크리트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환경친화형 콘크리트의 하나인 투수, 흡음, 수질정화 및 식생용도로의 다양한 이용이 가능한 포러스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는 체계적인 연구 및 현장적용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생태계복원용 소재로서 포러스콘크리트의 적용가능성 검증 및 현장적용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목표공극률, 골재입도 및 특수처리 입상비료의 혼입에 따른 포러스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과 해양생물의 부착 및 서식능력평가를 실시하였다. (1) 특수처리 입상비료의 파괴율 측정결과 투입방법에 있어서는 분할투입의 경우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코팅두께에 따른 파괴율에서는 코팅두께가 증가할수록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일정두께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용해율 측정결과 침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입상비료를 혼입한 포러스콘크리트의 영양분 용출특성에서도 침지기간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영양분의 용출을 나타내었다. (2) 포러스콘크리트의 공극률은 골재의 입도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상비료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공극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목표공극률에서 특수처리 입상비료의 혼입률 10%까지는 목표공극률에 근접한 공극률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혼입에 대해서는 급격한 공극률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3) 해양생태계 복원용 포러스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은 목표공극률 및 골재입도가 증가할수록 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처리 입상비료의 혼입에 따른 강도특성은 혼입률 20%까지는 Plain의 경우와 유사한 강도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혼입률에서는 강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국내 연안해역의 해양생태계 복원용 포러스콘크리트의 해양생물 부착특성은 공극률이 증가함에 따라 청각 등 해양생물의 부착 및 서식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해양식물의 경우 25.6∼30.9%이상의 성능향상을 나타내었으며 해양동물의 경우 9.1∼9.6%이상 향상되었다. Recently, environmental disruption has been progressing dramatically in the whole world, Korea is also destroying the ecosystem around development district and natural resources become exhausted through the onrush of industrialization. Also, extensive submarine forest was lost and fishery resources decreased more deeply because of indiscreet development and overfishing in the coast. To resolve these, an artificially encouraged enterprise of submarine forest using the artificial fishing reef in the coast is under way; however, implantation and inhabitation of macrophyte and shellfish are in difficulties by inner surface and smooth surface of the artificial fishing reef. With an alternative proposal, eco-friendly concrete which considered nature is in the limelight. Porous concrete, one of eco-friendly concretes, which is possible a various of use as water permeability, sound absorption, water purification, and vegetation is studied with activity, but needs a further study because it is still lack of well-organized research and an application of the field. Accordingly, the evaluation of target void ratio, grading of aggregat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using specially treated granular fertilizer, adhesion of marine organism, and inhabitation ability was conducted in order to offer a basic data for verification and an application of the field of porous concrete as a material for the use of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 in this study. (1) As a measurement result of destruction ratio of specially treated granular fertilizer, in the destruction ratio followed input methods, a separate charging is suited. In the destructive ratio followed a thickness of coating, as a thickness of coating increases, it shows a tendency to be more stabilized;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over a fixed thickness. Also, dissolution ratio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ntinuously as digesting time goes on and the amount of elution continuously increased as digesting time passes by in nourishing elution traits of porous concrete mixed granular fertilizer. (2) Void ratio of porous concrete indicated that the bigger grading of aggregate is, the bigger void ratio of porous concrete showed, and the more mixing ratio of granular fertilizer increases, the more void ratio decreases. Void ratio close to target void ratio showed until 10% of mixing ratio of specially treated granular fertilizer in all target void ratio, but indicated a rapid decrease more than 10%. (3) In properties of compressive strength of porous concrete for the use of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 compressive strength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arget void ratio and grading of aggregate increases. Strength properties followed mixing of specially treated granular fertilizer indicated similar strength in case of Plain until 20% of mixing ratio, but indicated a rapid decrease more than 20% of mixing ratio. (4) Adhesion properties of marine organism of porous concrete for the use of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 of the domestic coast indicated that adhesion of marine organism and inhabitation ability are more improved as void ratio increases. Adhesion properties indicated improvement in performance more than 25.6% to 30.9% in case of seaweed and more than 9.1% to 9.6% in case of marine creatures.

      • 해양생물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나노입자의 영향

        이병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에서 참굴 수정란, 식물플랑크톤, 알테미아 cyst 등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10종류의 나노입자들 중 대부분 AGZ020, P-25, Nano silver, Zeomic AJ10D 및 SnO 나노입자들이 해양생물에 비교적 큰 유해성을 보여주었다. AGZ020, P-25, Nano silver 및 Zeomic AJ10D의 나노입자가 유해성이 크게 나타난 것은 이들 나노입자에 함유되어 있는 은 이온의 영향으로, 은 이온이 가지는 항균작용에 의해 해양생물의 세포막 손상, 증식 및 부화를 억제하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Zeomic AJ10D 나노입자는 비교적 빠른 시간에 영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Zeolite계 성분으로 활성탄 보다 높은 흡착력을 가지고 있어 해양생물에 흡착되어 성장 및 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해양생물에 유해성으로 보인 또 다른 나노입자인 SnO 나노입자는 Sn에 산소를 결합시켜 만든 결합체로, 결합되어 있는 산소가 촉매작용에 의해 부분적으로 활성산소로 전환되고, 활성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In, Sb, Sn, Zn 및 Ag-TiO2의 나노입자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각 각 해양생물에 유해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AGZ020, P-25, Nano silver, Zeomic AJ10D 및 SnO 나노입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나노입자들은 현재 가전, 기능성 화장품, 반도체, 항균제 및 광촉매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이들이 연안환경으로 유입될 경우 해양생태계에 유해성을 줄 수 있기에, 나노입자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유해성 연구와 연안환경 유입에 대한 monitoring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A Nano particle is a small particle with at least one dimension less than 100nm. In order to know the biological effects of the ten nano particles on particles on fertilized egg of Crassostrea gigas, phytoplankton and Artemia sp. cyst. Development rate of control(free Nano particles) C. gigas to a particular larval stage(D-shape) was 78%. G. impudicum, H. triquetra, H. akashiwo, P. micans that used to experiment, control(free Nano particles) nano particle increased 6%, 37%, 27% and 17% individually compare to 0 time. Hatching rate of 82% was shown as a result of and a nano particle's making them add Artemia sp. cyst to the opposition ward which wasn't added. It's almost included Ag 2 % by 10 kinds of whole nano particle used for an experiment and is AGZ020, P-25, Nano silver and the Zeomic AJ10D nano particles used much as anti-fungus agent. Though the SnO nano particle which made oxygen combine showed a big harmful effect to a marine Organism relatively compared with nano particles and others of In, Sb, Sn, Zn and Ag-TiO2, this found out that a gap is great with a nano particles ingredient. Nano particle is currently use an area of intense scientific research, due to a wide variety of potential applications in biomedical, optical, and electronic fields. When these flow into the coastal society, it's possible to give a harmful effect of marine ecosystem, so a nano particle would have to execute monitoring to the exerted harmful effect study and the coastal environment inflow which about marine ecosystem continuously.

      • 자궁내막암 진행 억제에 효과적인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물질에 관한 연구

        김아련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자궁내막이란 배란 후 착상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성호르몬의 통제를 받아 그 두께를 유지하는데, 호르몬 불균형 등의 이유로 이곳에 암이 발병한 것을 ‘자궁내막암’이라고 한다. 이 질병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질병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 될 만큼 흔한 악성 종양이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를 통해 자궁내막암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폐경기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은 이 질병은 생활 환경과 식이 습관 등에 따라 발병률 차이가 있다. 이 질병은 비만을 원인으로 하는 호르몬 불균형 등 여러 가지 암 위험 요소들에 의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세포 신호 경로를 활성화하여 암 발생을 촉진하며, 에스트로겐 자극과 관련 있는 Type Ⅰ과 에스트로겐과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Type Ⅱ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자궁내막암 치료법은 호르몬 보충 요법, 수술적 치료, 항암 요법 등이 있지만 복합적인 원인으로 활성화된 세포 신호 경로에 대한 표적 치료와 같은 보다 효과적인 접근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약물이 사용되지만 그 부작용 때문에 자연 유래 천연 성분을 이용한 치료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선 상에서 최근 해양 생물 추출물이 질병 치료제로써 잠재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여러 기관의 연구 및 시장 동향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이 논문은 해양생물 추출 성분 ET-743, Fucoidan, Psammaplin A, Omega-3의 자궁내막암 진행 억제 작용 기전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해양생물 추출 성분 중 생체 내 작용 기전을 기반으로 Krill oil과 Echinoside A를 자궁내막암 진행 억제 및 치료 약제의 성분으로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