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항만보안 업무 개선에 관한 연구

        안지현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우리나라는 코로나-19로 경제적, 사회적, 국제적 관계에서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우리나라의 경기침체의 위험과 함께 소득의 양극화를 가중 시키며 경제의 불균형을 가져왔다. 과거부터 저출산, 독거노인, 고독사 등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찾아온 코로나-19는 사회적 문제들을 더욱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경기침체 중에도 4차산업, 빅데이터, 언택트, 자동화 등은 상대적으로 더욱 발전하는 기회가 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국제적 교류나 물류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항만운영에도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그 동안 세계경제는 미중무역전쟁으로 원활하지 못하였고 코로나-19 팬덱믹 이후 세계 각국의 경제 성장은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제적 물류의 통로인 국제항만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며 기존의 잘못된 관행과 새로운 업무 창출 및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항만의 보안을 담당하는 회사들도 예외일 수 없다. 본 연구는 항만보안 업무에 관한 연구로 항만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항만을 운영하는 회사 그리고 항만과 관련한 법률들을 연구하고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항만보안 업무의 공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여 코로나-19 이후 항만보안 업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제항만의 보안에 가장 중요한 법률인‘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약칭:국제선박항만보안법)을 2009년 4월 1일 공포하고 시행 하였다. 이 법은 시행 이후 지금까지 수시로 개정 되었으며 현재는 항만보안업무에 주요 법률로 항만의 보안과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는 법률이다. 그러나‘국제항해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이 생길 당시 이전의 기존 항만보안과 관련한 법률을 정리하지 못하였고 이는 약 17개 부처에서 약 17개 법률에 의하여 항만의 보안업무와 관련한 중복업무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고 북으로는 북한이 있어 사람이나 물류가 타국으로 가기위해서는 바다의 배와 하늘의 비행기를 타는 2가지 방법뿐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항만은 국가의 중요한 시설이고 그 중요성 만큼 관리의 주체도 다양하다. 그리고 국내 경제와 항만은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반면 법률이나 제도는 그에 따라 가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 이전에도 다양한 연구자들이 비슷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항만의 보안업무 개선 사례로 첫째,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연구 하였으며 둘째, 기존의 전통적 보안업무와 코로나-19 이후 비전통적 보안업무의 융합에 관한 연구이다. 셋째, 항만보안업무의 독립성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넷째, 기존 여러 법률의 통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인력운영의 효율성은 현재 우리나라의 국제항만에 근무하는 보안요원들이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으로 나누어져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임금이나 근로조건 면에서 차별이 있으며 특히, 특수경비원은 발전소, 기타공공기관의 관사를 관리하는 업무와 달리 항만보안 업무는 법적으로 업무범위 이상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기존의 전통적, 물리적 보안과 새로운 비전통적보안의 융합이다. 항만 내 보안사고로 기존의 전통적보안의 테러, 밀수입, 밀입국, 재해예방 등의 업무를 말하며 비전통적보안으로는 바이오테러, 사이버테러, 다수의 인원에게 행하여지는 보안위해 행위 등이 포함된다. 현재의 보안업무는 전통적 보안업무 위주이다. 셋째, 항만보안 업무의 독립성으로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확산된 감천항의 외국인 선원 코로나-19 감염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이후로도 반복되어 국내 감염자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각 기관들 간의 중복된 업무로 전담기관의 부재가 그 원인이라 하겠다. 항만보안과 관련한 업무는 해양수산부산하기관, 항만공사자회사, 경찰청관할, 해양경찰청관할 등의 중복업무에서 벗으나 언젠가는 항만보안 업무를 전담하는 전문기관으로 통합이 필요한 시점이다. 끝으로 시사점은 항만자동화, 스마트항만 등 항만의 자동화에 따른 세계 어디에서나 PC, 모바일 등으로 자동화 항만장비에 대한 해킹테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항만보안을 위한 정보통신의 보안까지 그 영역을 확장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 빅데이터, 생체인식 등을 통한 항만보안의 자동화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국제항만 하역업무는 항만자동화를 통해 스마트항만으로 발전을 하고 있지만 항만보안과 관련한 부분은 4차산업으로 전환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 여러 법률의 통합은 현재 약 17개 부처, 약 17개 법률로 나누어져 있는 항만보안 관련 법률의 통합이 시급하다. 밀입국 사건 하나만 보아도 세관, 법무부, 경찰, 해양경찰, 지역방위군 등 밀입국 사건에 대해 모두 관련이 있는 기관이다. 이는 좋은 일은 다 본인들 관할이라고 하는 것이고, 안 좋은 일은 다 본인들의 관할이 아니라고 하는 명분이 된다. 그리고 기관들 간 중복업무로 인한 문제점들도 많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 논문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제항만의 보안 업무에 대하여 발전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Currently, Korea is facing many changes in economic, social and international relations due to COVID-19. COVID-19 has caused economic imbalances, adding to the polarization of income along with the risk of a recession in Korea. COVID-19, which has come at a time when people have social problems such as low birthrate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lonely deaths, has contributed to further social problems. Even during this economic recession, the fourth industry, big data, untact, automation, etc.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 relatively further. The Covid-19 pandemic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tional exchanges and logistics flows, which directly affected port operations. In the meantime, the global economy has not been smooth due to the U.S.-China trade war, and economic growth in each country has been negative since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ports, the conduit of international logistics, also faced various changes with the Covid-19 pandemic, raising the need for existing practices and creating and improving new tasks. The move is no exception for companies in charge of port security. This study was a study of port security work, to study port employees, companies that operate ports, and laws related to ports, systematically analyze problems, and to improve port security work after COVID-19. The International Seaports and Port Facilities Ac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law for the security of international ports, was promulgated and enforced on 1 April 2009. The Act has been revised frequently since its implementation and is now a major law in port security affairs, contributing to the security and development of ports. However, at the time of the International Sailing Vessels and Port Facilities Act, the previous port security laws were not compiled, which led to the overlapping of the port security operations in about 17 ministries. Korea has three sides of the sea and North Korea, so there are only two ways for people or logistics to go to other countries: a ship in the sea and an airplane in the sky. In that sense, ports are an important facility for the country and as important as they are, there are various management entities. And while the domestic economy and ports are growing tremendously, laws and institutions have shown limitations that cannot go accordingly. In this regard, various researchers conducted similar studies before this study. This study studies the efficiency of personnel operations as an example of improving security operations in ports, and secondly,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with non-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after COVID-19. Third, in-depth research on the independence of port security operations and fourth,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aws was conducted. First, the efficiency of manpower management is that security guards working at Korea's international ports are divided into security guards and security guards, but discriminate in terms of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fusion of traditional and physical security and new non-traditional security. Security incidents in ports refer to traditional security such as terrorism, smuggling, smuggling, and disaster prevention. Non-traditional security includes bio-terrorism, cyber-terrorism, and security hazards to a large number of people. Current security operations are focused on traditional security operations. Third, due to the independence of port security work, the infection of foreign sailors at Gamcheon Port, which has recently spread in the face of the Covid-19 pandemic, has become a major social problem. What is more problematic, however, is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 repeat of cases since then. This is a duplicate work between each agency, and the absence of a dedicated agency is the cause. The work related to port security is removed from overlapping tasks such a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ubsidiaries of the Port Corporation,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Coast Guard, but one da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into a specialized agency dedicated to port security. Finally, the implication is that hacking attacks on automated anti-tank costs are possible anywhere in the world with PCs and mobile devices due to port automation and smart port automation. This suggests the need to expand its scope to the secur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or port security. In addition, international port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are developing into smart ports through port automation in connection with the automation of port securit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big data and biometric recognition. And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aws is urgent to integrate port security laws, which are currently divided into about 17 ministries and about 17 laws. They say that the smuggling case alone is all related to smuggling cases such as customs, justice, police, maritime police, and local defense forces. This is a justification for saying that all the good things are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all the bad things are not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there are many problems caused by overlapping work between institutions. As such, this research paper researched and presented development plans for security operations in international port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research in various fields.

      •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산항 신항을 중심으로

        배정준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927

        21세기 정보 기술의 시대에 접어들며 조직은 정보 체계의 흐름과 변화에 맞추어 기존의 업무 처리 방식을 개선하는데 정보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기업은 정보시스템으로 경쟁 우위 확보가 가능하고, 공공 부문은 국민의 공공복리 증진 및 행정 서비스 이용의 용이성 확보가 가능하여 정보시스템 구축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정보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사용자의 직무 과정, 작업 절차 및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업무성과가 저하되고 조직의 재원에 손실이 발생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정보시스템을 운용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는 정보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구축되어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정보시스템을 다루는 사용자의 만족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설계된 DeLone과 McLean(1992)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오고 있다. 항만 산업의 정보시스템으로 터미널 운영 시스템이 있다. 터미널 운영 시스템은 오늘날 항만을 운영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와 관련하여 터미널 운영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는 높은 초기 투자 금액, 자동화로 인한 기존 항만 근로자들의 일자리 실직 및 직무 전환 문제 등 현실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 무엇보다 완전 자동화 항만을 구축하는 것은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현재 해운 · 항만 · 내륙 간 관련 주체들의 모든 정보를 일시에 연계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현재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은 반자동화 수준으로 운영 중에 있다. 즉, 컨테이너터미널의 장치장과 게이트 영역 등 일부 영역에서 ARMGC와 자동화 게이트 시스템 등의 자동화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자동화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완전 자동화를 전제로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으며, 자동화 항만을 구축하기 전의 당위성이나 자동화 시스템이 항만에 도입된 이후의 실효성 및 효과성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반자동화 수준으로 운용 중인 자동화 시스템의 효과성 분석을 목적으로 DeLone과 McLean(1992)이 제시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범위는 해당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는 부산항 신항의 5개 컨테이너터미널로 하고, 해당 시스템을 통해 터미널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관련 종사자들을 설문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부산항 신항의 특성을 바탕으로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의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요인 등의 3가지 독립변수가 사용자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사용자의 만족도가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웹기반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176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및 연구 대상과 관련이 없는 22부를 제외한 154부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최종 선정된 154부를 토대로 SPSS, AMOS 등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상관 분석 및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의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 모두 사용자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항만 산업의 정보시스템 품질요인을 인지하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업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독립변수 간 상대적 영향력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의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및 서비스 품질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들에게 ‘의도된 의미를 일치되게 전달할 수 있는 정도’가 관련 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의사결정의 경영진들은 향후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 운영에 있어 서비스 품질 향상에 각별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서비스 품질요인의 영향에 대한 순위는 다른 품질요인에 비해 크진 않지만, 세 가지 품질요인 모두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 만족도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산항 신항의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반자동화 수준으로 운용 중인 자동화 시스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항만 산업에서의 정보시스템 구축의 효과성을 연구함으로써 학문과 실무에 모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래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전략에 유효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