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醫學의 發展過程과 社會寄與度에 關한 硏究

        송경섭 慶山大學校 1995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oriental medicin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urrent condition of oriental medicine in Korea by investigating current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nd to make some sugge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Oriental medicine in Korea started to develop under King Sejong's medical education policy. It continued to develop for about 300 years and established its original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dependently of the Chinese medicine. 2. Afterwards, it went through the period of stagnation during the Japanese reign for about 50 years. During this period the health care system in Korea was influenced by Japanese health care system along with the knowledge of western medicine. 3. Oriental medical care system in Korea had not been modernized until the legislation of national health care law in 1951. Since then, oriental medicine has developed to a remarkable degree. Recently, greater interest has focused on oriental medicine, which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in Korea. In order to prepare for opening of the medical market and for establishing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we have to improve the methods of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the quality of herb drugs and need to plan a new national health care policy in whic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Fundamental solutions to the tasks presented abov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 Firstly, Korean society is becoming aged now and the cases of chronic diseases are increasing remarkably, which induces greater demands of health care than before.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a health care delivery system model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oriental medicine which was proved to treat the chronic diseases effectively. Secondly, since Koreans tend to want a specialized medical care, the current health care delivery system should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society. Health care policy should be adapted to establish the primary health care and the emergency care system, Various health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concerning adolescence, drug, and sex, and oriental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be utilized fully at public health care institut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make better application of the resources of oriental medicine in Korea. We have to urge early modernization of oriental medicine through curriculum exchange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the introduction of modern technology and of medical examination system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Therefore, radical reformation of health care policy should be encouraged. Fourthly, well-balanced development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should be made by changing government policy. Especially all oriental medical academics themselves have to try to modernize orienatal medicine in the era of nationwide health insurance. However, this change can not be done without interdisciplinary cowork and broad understanding among the health related fields like medicine and pharmacy. Government tries to modernize oriental medicine by buildi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Oriental Medicine and the National Oriental Medical Hospital. Fortunately, now government is planning a long term project for well-balanced development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Above all increasing cases of chronic diseases caused by aged population in Korea, demand greater concern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 한의학이 도입된 정밀의료 제도에 관한 연구

        선우경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정밀의료는 개인의 유전적 요소, 환경, 식·생활 습관 등을 고려하여 맞춤의료를 제공하는 의학적 방법론이다. 개인의 유전정보뿐만 아니라 환경, 식·생활 습관 등 후성유전적 정보까지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줄이고 개인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세대 맞춤의료로 여겨지고 있다. 정밀의료는 맞춤의료라는 개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구상으로, 개개인의 선천적·후천적 특성을 반영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 특정 질병, 특정 치료 등에 따라 각 개인을 소집단(sub-population)으로 분류하여 질병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도출하여 낸다는 점에서 기존의 의학이나 맞춤의료와는 구분된다. 이러한 정밀의료가 실현된다면 질병 연구의 발전과 국민 건강 향상에 이바지하게 되어 삶의 질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다. 정밀의료를 연구하는 데 핵심은 대규모 코호트를 구축하는 것이다. 정밀의료는 개인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류한 것에서 질병에 대한 지식을 이끌어 내서 질병을 진단·치료·예방하는 의료서비스이므로 개인의 다양한 정보를 담은 자료를 많이 모을수록 더 정밀한 질병 관련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그렇기에 전 세계의 많은 나라가 국가 차원에서 대규모의 정보를 장기간에 걸쳐 수집하여 그 정보를 바탕으로 질병을 진단·예방·치료하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도입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한의학적 관점을 반영한 정밀의료 모델로 발전하게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고자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한다. 첫째, 정밀의료의 정책 동향에 대하여 정밀의료 코호트 연구에서 전통의학 정보를 수집하는지를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국제적인 관점에서 전통의학에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는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전통의학 정책을 통하여 알아보고, 미국과 한국에서 전통의학의 의미와 범주를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정밀의료와 한의학의 상호 유사성에 기반하여 정밀의료 연구를 재정립할 정당성을 입증하고자 정밀의료의 관점에서 한의학 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넷째, 정밀의료 연구에 한의학을 도입하는 것을 법·제도적으로 밑받침할 기반을 마련하고자 중국, 일본, 한국의 의사 및 한의사와 관련한 면허 및 의료행위에 관한 법률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밀의료 연구에 한의학을 도입하고자 우리나라 정밀의료 연구에 한의학을 포함할 필요성을 확인하고, 우리나라에 제도적으로 한의학을 도입한 정밀의료 모델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정밀의료의 정책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의 정밀의료 코호트 연구인 All of Us에서는 보완대체의학의 일환으로서 전통의학 자료를 수집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시행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의 희귀질환자 모집 시범 사업에서는 양의학적 정보만을 수집하고 있다. 그다음으로 전통의학의 국제 전략과 국가 별 이해를 고찰해 보면, WHO에서는 각국 전통의학의 표준화와 과학화를 위하여 꾸준히 노력하여 왔고, WHO에서 개발한 국제질병분류인 ICD-11에는 전통의학이 포함되어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이 부분적으로 통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국의 백악관 보완대체의학 정책위원회(White House Commission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olicy, WHCCAMP)와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그리고 대한한의사협회에서 정의한 전통의학의 개념을 비교해보면, 그 개념이 정확하지 않아서 일대일로 항목을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미국은 보완대체의학 관련 치료법을 최대한 보완대체의학의 범위에 포함하고자 한 반면에, 한국은 전체 한의학에서 활용하는 치료법 중에서 일반 한방의료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법만을 한의학의 범위에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정밀의료와 관련한 한의학의 병인론과 진단·치료 방법론을 고찰해 보면, 한의학에서는 이미 유전적 그리고 후성유전적 정보를 수집하고, 사상체질 분류법을 이용하여 사람을 체질에 따라 분류하며, 변증논치에 따라 맞춤의료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정밀의료 사업에 한의학을 도입하기 위하여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의 전통의학 관련 법률을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중국과 일본을 살펴본 결과, 의료가 전통의료와 서양의료로 나누어져 있지만 의료행위의 영역을 구분하지 않으며, 면허의 종류와 관계없이 한 명의 의료 인력이 전통의료행위와 서양의료행위를 모두 할 수 있어, 전통의학을 연구하는 데 과학적으로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가 배타적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한의사는 한방의료행위만 할 수 있으며, 양의사는 양방의료행위만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정밀의료 연구에 한의학을 포함하여 한의학적 자료를 수집하여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는 공공기관에 한방 건강보험 급여를 포함하여 수십 년간 축적한 국민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있는데, 이러한 자료를 양의학적 데이터와 같이 수집한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의료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는 이미 국정 과제를 포함하여 한의학과 양의학이 협진 또는 융합의 형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에는 한방의료기관과 양방의료기관이 병존하고 있어, 국민은 동일 질환에 대하여 한방의료기관과 양방의료기관에서 모두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양의학적 정보만을 수집한다면, 정보의 편향성을 초래할 수 있다. 넷째, 점점 더 많은 국가가 보완대체의학으로서 한의학을 치료에 사용하고 있어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한의학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더 정확한 한의학적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정밀의료 연구에 한의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에 우리나라의 의료법제를 변화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두 가지 법제 개선 방안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먼저 현행 의료법에 새로운 장을 신설하는 방안이다. 즉, 기본적인 의료법 체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료법 안에 제6장을 신설하여, 정밀의료 연구에 한정하여 한의사와 양의사가 면허와 관계없이 정밀의료 연구를 진행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볼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독립적인 정밀의료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안이 있다. 다시 말해, 정밀의료 연구에 한정하여 의료인의 의료행위를 개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韓東錫의 生涯에 관한 硏究

        권경인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在先生辭世四十餘年後的今天, 先生的著作《宇宙變化的原理》一書依然成爲韓醫學學徒開啓宇宙神秘的指導書. 可惜的是人們對先生的了解幷不多, 世人諸多好奇, 因此本論文收集了先生的生涯與足跡, 欲與學界同仁共饗. 韓東錫先生於1911年陰曆6月5日寅時, 1968年陰曆6月5日謝歲, 享年58歲. 先生作爲淸州韓氏禮賓尹公派22世孫, 在咸鏡南道咸州郡下朝陽面出生. 系韓希椿和李氏之長子. 先生本名原爲韓國欽, 南越後易名韓東錫, 號斗庵, 東庵. 先生自幼功讀漢學, 1942年與夫人死別後開始學習韓醫. 先生身材高大, 聲音洪亮, 極具辯才. 在北韓時, 加入曺晩植先生領導的朝鮮民主黨, 曾任咸鏡南道組織局長之職, 朝鮮內戰時當過咸興民選警察局長, 在政治領域中也活躍一時. 此後南越, 在釜山進行診療的同時, 以講師身分在東洋醫學專門學院講課. 1953年, 參加第2屆韓醫師國家考試, 正式成爲韓醫師, 幷在釜山影島開設了仁溪韓醫院. 1956年再婚之後遷至漢城, 在仁寺洞開了韓東錫韓醫院. 與夫人李沃子共養育三子二女. 先生稟性嚴格縝密, 總以超人的精神熬夜讀書, 硏究學問. 如有疑點非得探明究竟不可, 絶不馬馬乎乎放過. 雖好爭論, 如發覺自己錯了, 就絶不固執己見. 在日常生活中先生勤儉節約, 不吝向病人施仁術, 切忌行醫致富的行爲. 先生一直渴求一位能引導自己探究眞理的良師, 讀了《黃帝內經》後斷定此書中便包含着自己所尋求的眞理, 尤其是書中的內經運氣篇他不知讀了多少遍. 正苦於難解其中奧妙而煩惱之際, 於偶然的機會遇到《易學原論》的作者韓長庚先生, 向其學習周易, 幷常出入鷄龍山國師峰, 功讀正易. 經此一番, 先生覺得茅塞頓開, 豁然開朗, 可以以全新的時角重新認識內經運氣篇. 此後便更愛不釋手, 全心耽讀內經. 1960年先生受聘在東洋醫科大學任敎, 幷在韓醫院或其他各種場所向韓醫大學生, 韓醫師及一般人講課. 他以內經運氣篇爲主, 講授周易和陰陽五行原理, 經過20餘年的刻苦努力, 揭示了周易和陰陽五行原理如何在韓醫學臨床上實際應用, 幷將此通過《宇宙變化的原理》《東醫壽世保元注釋》等著作向讀者介紹. 《宇宙變化的原理》一書共9章, 揭示了陰陽五行原理, 爲承前啓後的重要學術著作. 此書雖然文句深奧難解, 但在半世紀以來仍被無數的斯界同門及學習東洋哲學之徒廣爲傳讀. 《東醫壽世保元注釋》一書是重新注釋東武李濟馬先生所寫的《東醫壽世保元》, 特別收集補充了東武先生的自注, 幷加了先生本人以自己的邏輯重新解釋的注釋. 兩本書在邏輯上一脈相通, 如果後學者們經過努力理解了這兩本書的內容, 便可說是授得了先生的眞知灼見. 先生在刊物及學會誌上發表了不少文章. 發表的內容主要是反駁那些貶低韓醫師或鄙視韓醫學學術價値的文章, 以及宣傳韓醫學的優秀性. 從1964年10月至1966年2月期間, 在大韓韓醫學會誌上連載了黃帝內經講義, 五行的質量變化(東武的五行觀), 此外還發表了醫林落穗, 臨床秘話等. 先生在實際臨床上也注重以純韓醫學精神爲立脚點進行治療, 幷以陰陽五行的觀點解釋一切事物. 他不能容忍雖然學習陰陽五行, 在臨床上却與西醫適當妥協的一些韓醫師的作法, 幷對西醫師和藥師無視韓醫學的態度當面或者通過文章嚴格批評, 在韓醫學幷未形成氣候的60年代, 爲提高韓醫學的地位和自尊心作出了흔大的貢獻. 畢生硏究學問, 親身實踐救世濟民思想的韓東錫先生, 因罹患高血壓.喉頭癌而病臥多年, 天妬英才, 終於在1968年인뇌졸중불행살수인환. 先生的屍身葬於放鶴洞天主敎墓地. 1年後, 先生的弟子們立了一塊碑石以紀念先生之德性. 先生桃李遍天下, 弟子們至今活躍在各自的崗位, 以學問和仁術繼承先生之志. 先生的學術思想可以通過《宇宙變化的原理》中五行槪念的質量變化, 五行的變極, 對化作用, 土化作用, 寅申相火論, 金火交易論, 精神論, 本體論等, 管竅其極俱獨創性與革新性的理論. 至於這方面的課題本人欲後日再行硏究. 在先生辭世四十餘年後的今天, 先生的著作《宇宙變化的原理》一書依然成爲韓醫學學徒開啓宇宙神秘的指導書. 可惜的是人們對先生的了解幷不多, 世人諸多好奇, 因此本論文收集了先生的生涯與足跡, 欲與學界同仁共饗. 韓東錫先生於1911年陰曆6月5日寅時, 1968年陰曆6月5日謝歲, 享年58歲. 先生作爲淸州韓氏禮賓尹公派22世孫, 在咸鏡南道咸州郡下朝陽面出生. 系韓希椿和李氏之長子. 先生本名原爲韓國欽, 南越後易名韓東錫, 號斗庵, 東庵. 先生自幼功讀漢學, 1942年與夫人死別後開始學習韓醫. 先生身材高大, 聲音洪亮, 極具辯才. 在北韓時, 加入曺晩植先生領導的朝鮮民主黨, 曾任咸鏡南道組織局長之職, 朝鮮內戰時當過咸興民選警察局長, 在政治領域中也活躍一時. 此後南越, 在釜山進行診療的同時, 以講師身分在東洋醫學專門學院講課. 1953年, 參加第2屆韓醫師國家考試, 正式成爲韓醫師, 幷在釜山影島開設了仁溪韓醫院. 1956年再婚之後遷至漢城, 在仁寺洞開了韓東錫韓醫院. 與夫人李沃子共養育三子二女. 先生稟性嚴格縝密, 總以超人的精神熬夜讀書, 硏究學問. 如有疑點非得探明究竟不可, 絶不馬馬乎乎放過. 雖好爭論, 如發覺自己錯了, 就絶不固執己見. 在日常生活中先生勤儉節約, 不吝向病人施仁術, 切忌行醫致富的行爲. 先生一直渴求一位能引導自己探究眞理的良師, 讀了《黃帝內經》後斷定此書中便包含着自己所尋求的眞理, 尤其是書中的內經運氣篇他不知讀了多少遍. 正苦於難解其中奧妙而煩惱之際, 於偶然的機會遇到《易學原論》的作者韓長庚先生, 向其學習周易, 幷常出入鷄龍山國師峰, 功讀正易. 經此一番, 先生覺得茅塞頓開, 豁然開朗, 可以以全新的時角重新認識內經運氣篇. 此後便更愛不釋手, 全心耽讀內經. 1960年先生受聘在東洋醫科大學任敎, 幷在韓醫院或其他各種場所向韓醫大學生, 韓醫師及一般人講課. 他以內經運氣篇爲主, 講授周易和陰陽五行原理, 經過20餘年的刻苦努力, 揭示了周易和陰陽五行原理如何在韓醫學臨床上實際應用, 幷將此通過《宇宙變化的原理》《東醫壽世保元注釋》等著作向讀者介紹. 《宇宙變化的原理》一書共9章, 揭示了陰陽五行原理, 爲承前啓後的重要學術著作. 此書雖然文句深奧難解, 但在半世紀以來仍被無數的斯界同門及學習東洋哲學之徒廣爲傳讀. 《東醫壽世保元注釋》一書是重新注釋東武李濟馬先生所寫的《東醫壽世保元》, 特別收集補充了東武先生的自注, 幷加了先生本人以自己的邏輯重新解釋的注釋. 兩本書在邏輯上一脈相通, 如果後學者們經過努力理解了這兩本書的內容, 便可說是授得了先生的眞知灼見. 先生在刊物及學會誌上發表了不少文章. 發表的內容主要是反駁那些貶低韓醫師或鄙視韓醫學學術價値的文章, 以及宣傳韓醫學的優秀性. 從1964年10月至1966年2月期間, 在大韓韓醫學會誌上連載了黃帝內經講義, 五行的質量變化(東武的五行觀), 此外還發表了醫林落穗, 臨床秘話等. 先生在實際臨床上也注重以純韓醫學精神爲立脚點進行治療, 幷以陰陽五行的觀點解釋一切事物. 他不能容忍雖然學習陰陽五行, 在臨床上却與西醫適當妥協的一些韓醫師的作法, 幷對西醫師和藥師無視韓醫學的態度當面或者通過文章嚴格批評, 在韓醫學幷未形成氣候的60年代, 爲提高韓醫學的地位和自尊心作出了흔大的貢獻. 畢生硏究學問, 親身實踐救世濟民思想的韓東錫先生, 因罹患高血壓.喉頭癌而病臥多年, 天妬英才, 終於在1968年인뇌졸중불행살수인환. 先生的屍身葬於放鶴洞天主敎墓地. 1年後, 先生的弟子們立了一塊碑石以紀念先生之德性. 先生桃李遍天下, 弟子們至今活躍在各自的崗位, 以學問和仁術繼承先生之志. 先生的學術思想可以通過《宇宙變化的原理》中五行槪念的質量變化, 五行的變極, 對化作用, 土化作用, 寅申相火論, 金火交易論, 精神論, 本體論等, 管竅其極俱獨創性與革新性的理論. 至於這方面的課題本人欲後日再行硏究.

      • 말기 암환자에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 현황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윤해창 대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배경: 현대 완화의료는 시슬리 손더스 박사가 선도한 호스피스 운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는 다른 국가들보다 일찍 시작되었지만 최근에서야 틀을 갖추고 있다. 이전에 한국 정부는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있어서 한의학을 배제한 채 진행하였다. 그러다 2015년 제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여기에 암성 피로와 암성 식욕부진의 한의표준진료지침을 만드는 것이 포함되었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의 관점에서 침, 뜸, 한약을 포함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암관리법에 의한 말기환자를 대상으로 영국, 미국, 대만, 일본, 중국과 비교분석하였다. 논문은 2017년 2월까지 출판된 체계적 문헌고찰 가운데, 국외 데이터베이스 중 Pubmed, MEDLINE, ScienceDirect, CINAHL에서 찾았고 국내 데이터베이스 중 한의학연구원에서 운영하는 OASIS에서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완화의료와 침, 뜸 또는 한약으로 영어와 한글로 하였다. 서적과 보고서도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고 각 국의 보건복지부 및 산하 기관, 암 등록통계사업, 호스피스·완화의료협회 및 유관 학회의 홈페이지를 추가로 이용하였다. 검색 결과를 토대로 제목, 초록을 통해 선별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결과: 검색 결과 침, 뜸, 한약에 각각 19개, 3개, 15개의 논문이 선별되었으며 모든 부분에서 한국에서 발표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침은 181개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 10,682명의 환자, 뜸은 23개의 RCT, 1,861명의 환자, 한약은 27개의 RCT, 2,894명의 환자를 포함하였다. 먼저 침 치료는 구역구토와 불안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암성 피로와 백혈구감소증을 완화하는 데에도 좋았다. 둘째, 뜸 치료는 구역구토와 암성 피로, 백혈구감소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한약 투여는 삶의 질을 높이고 면역 체계의 수치를 향상시키는데 유익하였다. 그러나 이외 일부 증상에 대해서는 상충되는 결과가 있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은 부작용이 없거나 미미하였으며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만족한 결과가 나타났다. 최근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원과 관련 의료진이 증가 추세에 있으나 아직 호스피스·완화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 수에 비하면 그 수가 부족하다.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을 이용하는 말기 암환자 수도 늘어나고 있으며 환자의 진단 분류도 다양해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의료보험이 충분히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결론: 연구의 결과, 말기 암환자의 증상에 있어서 한의학적 완화치료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한의학은 완화의료에 있어서 적절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가 임종을 앞둔 환자들을 위하여 한의학을 더욱 발전시키는데 노력해야 하는 이유이다.

      • 한의학 이론을 적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

        김웅진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의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접목 가능한 요소를 도출하고, 한의학적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의학 이론에 기초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 정립과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한의학에서는 음양평형(항상성 유지)을 치료의 기조로 삼는다. 첫째, 한의학에서 진단 단계의 과정인 치유대상자 음양진단으로 산림치유대상자는 각자가 성향이 다르고 음양 상태도 다르므로 산림치유프로그램도 대상자의 상태에 맞도록 실시하는 것이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대상자의 음양 분류를 위한 진단이 필요하므로 음양분류 설문진단지를 조사하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간편화하고 5분위 음양 값으로 정량화 하였다. 둘째, 24절기의 음양 값 부여로 산림치유 활동은 상당 부분이 실외에서 실시되고 계절과 기후에 따라 대상자가 느끼는 온열감도 다르다.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한열에 따라 음양 값도 다르므로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량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 단위인 24절기의 기후인자를 태양에너지의 음양 값으로 도출하여 5분위 음양 값으로 정량화 하였다. 셋째, 한의학에서 처방 약재의 분류에 해당하는 숲에 있는 지형·환경별, 수목·임상별 산림치유인자와 단위 프로그램의 성질을 취상비류(取象比類)의 방법으로 음양을 분류하고 음양의 가분성(可分性)에 의거해 5분위 음양 값으로 정량화 하였다. 넷째, 이상은 대상자의 음양 값과 해당 절기의 음양 값을 합한 5분위의 음양 값(개인) 또는 해당 절기의 음양 5분위 값(단체)으로 대응하는 산림치유인자 및 단위 프로그램을 조합 적용하여 대상자를 음양평형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한의학적 음양평형 산림치유프로그램의 기본으로 하였다. 다섯째, 24절기에 적합한 약차에 대한 연구로 예로부터 병기(病機)를 다스리는 방법은 약보다는 음식으로 치료하는 식치(食治)가 상수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산림치유의 방법 중 하나로 산림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식이요법도 중요한 산림치유프로그램으로 실행되고 있다. 따라서 24절기의 기후인자를 한의학적 병인(病因), 병기(病機)의 관점에서 육기(六氣)가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그 시기에 연관된 병증 및 건강 관계를 고찰하여, 각 절기에 사용할 수 있는 본초(本草)로 약차요법의 단위 프로그램 적용하여 산림치유의 궁극적인 목적인 인체 면역력 증강,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의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다섯 가지의 조합으로 구성한 한의학적 음양평형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개인 맞춤형 산림치유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음양 값과 해당 절기의 음양 값을 합한 음양 값에 대응하는 산림치유프로그램과 절기에 적합한 약차요법의 단위프로그램을 조합하여 대상자를 음양평형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며, 단체 일반형 산림치유프로그램은 개인 생리적 음양 상태는 다르지만 일괄 적용될 수 있는 해당 절기의 음양 값에 대응하는 산림치유프로그램과 절기에 적합한 약차요법의 단위프로그램을 조합하여 음양평형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전체적인 개요는 대상자와 24절기의 음양 값에 대응하는 산림치유인자 및 단위 프로그램으로 적용하는 것을 음양평형 산림치유프로그램의 메인(Main)으로 하고, 보조로 각 절기에 맞는 본초학적 약차요법을 추가하는 것을 매뉴얼화 된 한의학적 음양평형 산림치유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으며, 효과검정으로 개인 일회성 체험자군(n=130)과 단체 10회기 체험자군(n=12)으로 Pilot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 개인 일회성 체험자군과 단체 10회기 체험자군의 두뇌스트레스(EEG Stress-index)와 신체스트레스(PPG Stress-index) 모두에 유의한 스트레스 감소효과의 결과를 얻어 한의학적 음양평형 산림치유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부분적으로 입증하였다. 주요어 : 산림치유프로그램, 한의학, 음양평형, 24절기, 약차요법 This study tried to derive elements applicable to forest therapy programs through oriental medicine considerations and to establish theories for developing oriental medicine forest therapy programs. Therefore, based on the theory of oriental medicine, the theory was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a forest therapy program and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was set as follows. In oriental medicine, Yin-Yang equilibrium (preservation of homeostasis) is the basis of treatment. First, forest therapy participants have different inclinations and different states of Yin and Yang through the diagnosis of Yin and Yang of therapy participants, so implementing a forest therapy program tailored to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can increase the effect. Therefore, since a diagnosis for Yin-Yang classification of participants is necessary, the Yin-Yang classification questionnaires were investigated, simplified so that it could be applied in the field, and quantified by 5th quartile Yin-Yang value. Second, due to the value of Yin and Yang of the 24 solar terms, most of the forest therapy activities are conducted outdoors, and the thermal sensation felt by the participant varies according to the season and climate. Since the Yin and Yang valu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ea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season, quantification is necessary to apply it to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refore, the climate factors of the 24 solar terms, which are units of time flow, were derived as Yin-Yang values ​​of solar energy and quantified as Yin-Yang values ​​in the 5th quartile. Third, in oriental medicine, forest therapy factors by terrain, environment, tree, forest floor, and unit program in the forest, which are prescription medicines, are classified as Yin and Yang by method Chwisangbiryu and quantified as 5th quartile Yin and Yang values ​​based on divisibility of Yin and Yang. Fourth, the above described is a Yin-Yang equilibrium program, which restores the subject to a state of Yin-Yang balance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forest therapy factors and unit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Yin-Yang value of the 5th quartile, which is the sum of the Yin-Yang value of the subject and the Yin-Yang value of the corresponding season. This was the basis of the oriental medicine forest therapy program. Fifth, as a study on herbal tea therapy suitable for the 24 solar terms, the way to control mechanism of disease from ancient times is known as the best means, treatment with food treating with food rather than medicine. In addition, as one of the methods of forest healing, dietary therapy using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obtained from forests is also being implemented as an important forest therapy program. Therefore, considering the climate factors of the 24 solar term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medicine the cause of the disease and mechanism of disease, the negative effects of Six Qi(six climate factors) on the human body and the disease and health relationship related to that period are considered, and the unit program of herbal tea therapy is applied to herbal that can be used in each season. The ultimate purpose of healing, the human body's immunity enhancement, health promotion, and the possibility of disease prevention were studied. Finally, an oriental medicine fores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the above five. The personalized forest therapy program restores the subject to a state of Yin-Yang eqilibrium by combining a forest heal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Yin-Yang value of the subject's Yin-Yang value plus the Yin-Yang value of the corresponding Solar Term and a unit program of herbal tea therapy suitable for the season. The general type forest healing program for each group is configured to achieve a state of Yin-Yang equilibrium by combining a forest therapy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Yin-Yang value of the season that can be collectively applied even though the individual's physiological Yin-Yang state is different and a unit program of medicinal tea therapy suitable for the season. In other words, the overall outline is that the main of the Yin-Yang equilibrium forest therapy program is suggested to apply forest healing factors and unit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Yin and Yang values ​​of the 24 solar terms and the subject. As an aid, the addition of herbal tea therapy for each season was suggested as a manualized oriental medicine forest healing program. To test the effect, a pilot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n individual one-time experience group (n=130) and a group 10-session experience group (n=12).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 significant stress reduction effect was obtained on both brain stress (EEG Stress-index) and physical stress (PPG Stress-index) of the individual one-time experience group and group 10 group experience group, and the effect of the oriental medicine Yin-Yang equilibrium forest therapy program has been partially proven. Key words : Forest Therapy Program, Oriental Medicine, Yin-Yang Equilibrium, The 24 Solar Terms, Herbal Tea Therapy

      • 온톨로지 기반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이현실 중앙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6

        최근 한의학 분야에서는 한의학 연구 기반을 조성하고 임상을 지원할 수 있는 한의학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실세계 지식 정보 모델 구현에 새로운 핵심 기반이 되고 있는 온톨로지를 응용하여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한의학 지식관리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요구되는 사항들이 온톨로지 합성의 추상적 개념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용어의 개념, 속성, 관계의 명확한 정의를 통해 더욱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실세계 개념 모델링 방식으로 한의학 처방지식 온톨로지를 개발하여 Protégé-2000을 기반으로 온톨로지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시스템을 응용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의 설계와 편집기를 만들어 지식의 추론이 가능한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온톨로지 합성은 견고한 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위해 논리적 측면과 물리적 측면의 개념합성에 대하여 고찰하여 새롭게 제시한 이론으로, 온톨로지의 개념 요소에 네임스페이스 개념을 도입하여 단위 온톨로지에 개념의 독립성을 보장하면서 온톨로지 개념 요소 사이의 계층 관계가 보존되는 실세계 모델링에 적합한 온톨로지 구축 방식이다. 여기에 한의학 처방지식을 적용하여 四診, 辨證, 論治, 方藥의 4개 영역에서 추출한 온톨로지를 합성하였고, 한의학 처방지식의 문서화를 위한 메타 데이터 언어인 KPML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위한 전용 문서 편집기인 Doctor-K를 구현하여 처방 지식베이스 구축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Protégé-2000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구현한 본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은 개념을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의 추가와 수정이 용이한, 유동적인 정보환경에 어울리는 이용자 중심의 지식관리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XML 기반의 RDF/RDFS와 온톨로지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차세대 인터넷 기술인 의미웹과의 연동이 가능하며, 한의학 처방분야에 공유될 수 있는 의미구조를 제공하여 상호운용이 가능한 지식 정보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축한 온톨로지의 RDF/RDFS 제공은 처방지식을 다시 모델링할 필요 없이 재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자원의 효율성을 높여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온톨로지의 합성 방법은 향후 대단위 온톨로지 구축의 연구에 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 易이 韓醫學의 形成에 끼친 影響

        오세창 慶山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79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Yok(易) on formation of Oriental medicine centering around theses connecting the Oriental medicine to Yok(易) recently shown in China, in order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Yok(易) in the Oriental medicin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ing,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Yok(易) are as follows with respect to its formation principle. 1) It seems that Yok(易) is the metaphysical system of natural phenomena by the relative distinction of Yin(陰) and Yang(陽) through making divination sign(卦) with 2 kinds of sticks and amulet(爻符), which actually expressed the natural view of ancient pure materialism. 2) Yok(易) was developed to mathematic eight divination signs(八卦) by drawing a conclusion from connection with thing on the basis of a concrete occurrence. And then when it was combined with Toe family(道家) the principle of change in the Yin(陰) and Yang(陽) became expatiated to consider it as the entity of key idea so that it had an effect on both expression of its own philosophic idea and formation of Chinese cultural idea. 3) Yok(易) was studied by the method centering around Sangsu(象數) in the Han(漢) era, respectively, and Uiri(義理) in the Wi(魏) and Jin(晋) eras. And then, it was done around Uih(義理) in the Song(宋) era while indicating the Sangsu(象數).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Yokhak(易學) were differentially shown. 2. The formation relation between the Oriental medicine and Yok(易) is mainly composed of two suggestions that they are differentially considered because there is difference in their application viewpoints, and that they are academically considered as same becaused their basic principles are same although their application viewpoints are different. However, generally, it is divided into the positive and negative suggestions rather than the relation with the Oriental medicine. Of them, the general standpoint is that the original foundation of Yok(易) and Oriental medicine is same although there is no a direct formative relation between them, so that they must be considered in a same category. Namely, the knowledge of Astronomy, mathematics, and physical geography based on the theory of Naekyong(內經) and Yokjon(易傳) after the Jin(秦) and Han(漢) eras is the key of the figure theory of Yin and Yang(陰陽數度之學), which resulted in possession of Yokhak(易學). Yokjon(易傳) explained Yokkyong(易經) by using the figure theory of Yin and Yang(陰陽數度之學), Naekyong(內經) made the medical experience logic by combining Ohaeng theory(五行說) with the figure theory of Yin and Yang(陰陽數度之學). Because there is difference in their sugges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ir methods for application, their own theoretical system was established by using the different conception between them. Even though Juyok(周易) did not act as a theoretical base in formation of Oriental medicine, their basic flow was same. 3.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Yok(易) and Oriental medicine, both formation of Uiyok(醫易) and medicine on Yok(易)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Uiyok(醫易) seems to be accomplished in the concrete condition of medical application because medicine(醫) and Yok(易) have the same method for applying the change of both time and space. 2) The concrete application of Uiyok(醫易) was that the medicine mainly resulted from Songyok(宋易), when Son Il-Kyu(孫一奎) and Cho Yang-Kuy(趙養萎) succeeded and developed this kind of academic style by explaining the medicine as Yok(易). And then, their greatest development was achieved by Jang Kyong-Ak(張景岳). In the Myong(明) and Chong(淸) eras, a number of medical scholars applied it to even basic theory and individual clinic fields. 4. The theory of formation of Oriental medicine based on Yok(易) is classified into Naekyong(內經) theory influenced by Juyok(周易) and the medical theory done by Songyok(宋易) after the Song(宋) era, according to the relations in both their formation and changing processes. Then, the formation frame in relations of Naekyong(內經) theory and Juyok(周易) as the base of philosophy in the Han(漢) era can be concluded as IlYin-IlYang-WiJi-Do(一陰一陽爲之道), DongJuk-YokByon(動卽易變), KyoKam-KiJae(交感旣濟), while the formation frame of medicine(醫) and Yok(易) in relations of medical theory after the Song(宋) era and Songyok(宋易) as Yokhak(易學) in the Song(宋) era can be done as TaeKuk-MyongMun(太極-命門), KamLee-SuHwa(坎離-水火), BuTae-SungKang(否泰-升降). 5. The effect of Yok(易) on the oriental medicine is based on Yinyang theorry(陰陽理論), Jongchae conception(整體觀) and Yinyang demonstration(陰陽辨證) which act as the base in formation of the Oriental medicine. Il-Yin(一陰) in Yok(易) is used as the basic frame for formation of the Oriental medicine by suggesting newly the theory of relations between Yin(陰) and Yang(陽)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l-Yin(一陰) is hided in the mid이e of E-yang(二陽) based on the principle hided in the disease occurrence and development in Yok(易), it is used as the application frame of the Oriental medicine formation by suggesting availability for treatment of change in phenomen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