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대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최재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learning presence who have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n learning satisfaction after COVID-19, and to verify in afore mentioned variables: The mediated effect of learning flow and the moderated effect of interaction. The following questions delineate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First, how does learning presence(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of an adult learner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does learning flow have a mediat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of an adult learner and learning satisfaction? Third, does interaction have a contro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of an adult learner and learning flow? Samples for verifying research question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who have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fter covid-19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Data from total of 273 survey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statistical techniques of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whereas emotional presenc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the direct effect on all sub-variables(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of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of all sub-variables of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flow was also significant. Therefore, learning flow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Third, inter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controll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variables(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of learning presence and the indirect effects of the learning flow.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learner needs to be aware and consciously focused on what they are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and their sense of belonging to the group, as well as their emo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must foster a technological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perceive a sense of learning presence. Instructors should enhance digital teaching competency and, prepare for faithful education, and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to learners, and guide learning activities to create academic atmosphere in which learners can recognize learning presence and engage themselves in learning. In addition, Instructors should necessary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learner is in a situation where interaction is possible, and to compose the learning environment where appropriate interaction takes place. In order for adult learners in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who have faced the inevitable transition to the online lifelong education due to COVID-19 to learn smoothly and to enhance learning effects, a sense of learning presence and interaction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affect learning immers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adult learner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oper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not only tor the learning presence to be perceived by the learner but also for the interaction to take place. 이 연구는 COVID-19 발병(2020년 1월) 이후 비대면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 경로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은 조절효과를 보이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수도권 지역의 평생교육기관에서 COVID-19 발병 이후 비대면 온라인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최종적으로 27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실재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학습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은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학습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이 학습몰입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학습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 간 학습몰입의 간접효과에 대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학습자는 온라인 학습에서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그룹에 속해 같이 학습하는 느낌이 드는지, 학습 과정 중 발생하는 감정은 어떠한지 계속해서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집중할 필요가 있다. 교육기관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실재감을 지각할 수 있는 기술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교수자는 디지털 교수역량을 높이고, 충실한 교육을 준비하며, 학습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습자가 학습실재감을 인지하여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수업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아울러, 학습자가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황에 있는지 주의를 기울이고, 적절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학습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평생학습 시대에 COVID-19로 온라인 평생교육으로의 불가피한 전환을 맞이한 성인학습자가 원활한 학습을 하고 학습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학습환경에서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실재감과 학습환경 내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 개인이 지각하는 학습실재감 뿐 아니라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운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미용전공대학생의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윤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ubmitted by: Kang Yoon-jin Advisor: Jeon Hyun-jin Recently in college education, classes are being conducted by uploading recorded class videos such as YouTube or the school portal site or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s like ZOOM in contrast to face-to-face methods of the past due to the government’s social distancing and quarantine guidelines resulting from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bstantiate the impact of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who are taking online class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cause-effect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enrolled at a four-year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ho recently took online classes, and they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 us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ere the respondent enters responses manually.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March 30, 2021 on 30 college students currently majoring in cosmetics at a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2 to April 30 of 2021.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20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that were incomplete or had insincere answer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o use a total of 305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SPSS for Windows 21.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test was performed for follow-up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participation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he four factors of class activity expression of opinion, class passion, continuing participation level, and class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as a single aspect.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p<.05,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levels. Secon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participation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while the learning achievement aspect was categorized into the two factors of learning knowledge ability attitude and self-control learning.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p<.01,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levels. Thir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achievement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irst, the learning achievement aspect was categorized.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as a single aspect.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education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p<.001).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had an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levels. Fourth, upon identifying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learning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mediating learning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it was verifie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indirec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p<.01, p<.001).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class activity expression of opinion, class passion, continuing participation, and class confidence per sub-factor of learning participation used learning knowledge ability attitude and self-control learning per sub-factor of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at was partially mediated. Fifth, it was found that learning participation rate, learning achievement rate, and learning satisfaction rate of online education had partial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detail, learning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1), online class impact for continuing academics (p<.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and learning achieve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01), recognition level of online classes (p<.01), online class preference status of theory textbooks (p<.05), impact of online class for continuing academics (p<.0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p<.001), recognition level of online classes (p<.001), preferred classes for online classes (p<.05), online class preference status of practical textbooks (p<.05), impact of online class for continuing academics (p<.001), intent to retake class (p<.001), and need for video classes (p<.001). Through such results, it was evident that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ntact-free classes at universities because of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are impact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by verifying that each independent variable had greater direct impact compared to indirec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it was empirically proven that there is no cause-effect relations for learning achievement on the path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learning satisfaction. 논문개요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강 윤 진 지 도 교 수 : 전 현 진 최근 대학 교육에서는 COVID-19로 인해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지침에 따라 기존의 대면 방식에서 유튜브(Youtube)와 학교 포털사이트 등에 녹화된 강의 영상을 올리거나 ZOOM과 같은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각 변인들 간 인과관계가 존재하는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최근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미용전공 대학생을 편의 추출 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직접 응답에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예비조사는 현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 중인 미용전공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2일~3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2021년 4월 12일~4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20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무성의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05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for windows 21.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설정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정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참여도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수업활동의사표현, 수업열정, 지속참여도, 수업자신감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01). 이는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참여도 차원을 분류한 결과, 4요인으로 분류 되었으며, 학습성취도의 차원은 학습지식능력태도, 자기조절학습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1, p<.001). 이는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학습성취도의 차원을 분류한 결과, 2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온라인교육의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온라인교육 학습참여도는 학습성취도를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학습참여도와 학습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1, p<.001). 즉 학습참여도의 하위요인별 수업활동의사표현, 수업열정, 지속참여도, 수업자신감이 학습성취도의 하위요인별 학습지식능력태도, 자기조절학습을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학습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참여도는 학년(p<.01),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습성취도는 학년(p<.001), 온라인수업 인지정도(p<.01), 이론 교과서 온라인 수업 선호상태(p<.05),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가 파악되었으며, 학습만족도는 학년(p<.001), 온라인수업 인지정도(p<.001), 온라인 수업 시 선호 교과목(p<.05), 실기 교과서 온라인 수업 선호상태(p<.05), 학업지속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영향(p<.001), 재수강의향(p<.001), 동영상강의 필요성(p<.001)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COVID-19로 인해 대학에서 비대면수업으로 온라인교육에 대한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학습참여도가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학습만족도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이 간접적인 영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독립변인들인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가 종속변인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경로에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 중국 MOOC에서 학습자-교수자간 및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푸카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learning has become a popular teaching method specifically that anyone can learn anytime and anywhere beyond time and space, and learners can easily search for learning materials through e-learning platforms to access appropriate ones. In particular, MOOC is drawing much attention forto this new open education method as it can acquire quality knowledge and take various classes through interac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learner-to-instructor and learner-to-learner interac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hinese University MOOC, and to present implications in designing and operating e-learning in Chinese University MOOC.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hat promote interaction and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the instructor had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actively Chinese University MOOC users interact with professors, the higher the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level for the subjects they have. Second, inter-learner interactions had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actively Chinese University MOOC users interact with fellow learners, the higher the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level for the subjects they have. Thir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had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more actively learners interact with their instructors, the higher learners' achievement. Fourt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hinese University MOOC had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more actively interaction occurs between learners, the higher the learners' achievement. The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in Chinese University MOOC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hus, it is important to respond quickly to learners' questions, present sufficient materials supplement to lectures, monitor learning activities such as tasks, discussions and projects, and provide feedbac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structors to conduct these activities frequently and quickly. Seco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Chinese University MOOC had positively affected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herefore, Chinese Universities MOOC should provid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more frequently, such as tasks, discussions, and projects that caus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t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se activities, as well as to establish a compensation system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ird, this study may have limitations in that it measured academic performance in a self-report manner. However, since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perceived achievements and real-world performance, subsequent studies need to utilize learners' real-world performance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er-to-professor and learner interactions on academic performance.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러닝 누구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가능할 수 있다는 특정으로 대중적인 교육방식이 되었고, 학습자들은 이러닝 플랫폼을 통해 학습 자료를 검색하여 원하는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MOOC는 상호작용을 통해 양질의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다양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개방형 교육 서비스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MOOC에서 학습자-교수자간 및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에 입각하여 중국대학MOOC에서 효과적인 이러닝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중요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교수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대학MOOC 사용자들이 교수자와 활발히 상호작용할수록 수강하는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대학MOOC 사용자들이 동료 학습자들과 활발히 상호작용할수록 수강하는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국대학MOOC에서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교수자와 활발히 상호작용할수록 학습자들의 성취도가 높아진다는 의미한다. 넷째, 중국대학MOOC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날수록 학습자들의 성취도가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연구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중국대학MOOC의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가 학습자의 질문에 신속하게 답하고, 강의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를 풍부하게 제시하며, 과제, 토론, 프로젝트 등의 학습활동을 모니터링하면서, 적절하게 개입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중국대학MOOC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가 이러한 활동을 빈번하고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국대학MOOC의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중국대학MOOC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과제, 토론, 프로젝트 등 다양한 학습활동을 보다 자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은 물론 적극적 참여에 대한 보상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self-report) 방식으로 학업성취도 변인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자기보고 평정 형태의 인지된 성취도 점수를 사용하고 있듯이, 학습자의 실제 성적 수집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학습자가 인지하는 실제 성적과 성취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실제 성적을 활용하여해 학습자-교수자 간 및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기술수업에서 IT지원학습과 정규 면대면 학습의 학습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김광묵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기술과목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SNS와 이클립(e-clip)을 활용한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학습자에게 수업만족도가 있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블렌디드러닝, 이클립, SNS의 학교교육 활용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변인들에 대한 문헌연구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블렌디드러닝에 대한 학습만족도 측정을 위한 연구의 틀(frame)로 학습형태 만족도, 학습내용 만족도 및 상호작용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또한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학습의 실험을 위해서, 실험집단을 전통적 수업방식(그룹1), SNS를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방식(그룹2),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방식(그룹3)으로 구분하였다. 중학교에서 학습하는 현행 기술교과목 중 일부단원에 대하여, 교수학습 설계 전략을 만들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 수업방식에 맞는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3주간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종료 후 연구의 틀에서 제시한 측정도구에 맞는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3개 실험집단 간 학습만족도 차이에 관한 t-검정을 하였으며, 전통적 학습 방식과 블렌디드학습 방식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법(ANOVA) 검정을 실시하였다. 전통적인 학습방법과 SNS를 활용한 블렌디드학습, 전통적인 학습방법과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블렌디드학습의 평균값 차이의 비교에서 학습자 그룹 간 학습만족도의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SNS만을 활용한 그룹의 학습만족도보다 SNS와 이클립을 활용한 그룹의 만족도의 평균값이 모든 요인에서 크게 나타났지만, 유의수준 5% 하에서는 두 개의 만족도 변인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학교 기술교육에 SNS, 이클립 등 다양한 기술지원(technology supported) 블렌디드학습이 활용될 경우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얻게 되었다.

      •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

        조광미 중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구조적인 관계를 알아보고 관계모형을 확인해 통합적인 관계규명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각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특성은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평생교육기관특성은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참여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는 경기북부 2개 시와 충청북도 2개 시에 위치한 평생교육 기관의 프로그램 에 참여중인 20세부터 69세까지의 성인여성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설문분석 연구대상자는 670명이었다. 조사대상자는 연령, 결혼유무, 자녀수,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가족생활 주기등을 고려하였다. 또한 평생교육 참여 실태의 특성을 지역, 1년 동안 참여회수, 참여한 프로그램영역, 평생교육 참여기간, 참여의 장애요인, 참여경로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Win 18.0 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실시하고 모델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은 최초 설정한 연구모형과 수정연구모형이 대체로 적합하였다. 둘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교육기관 경영이 인적·물적 자원관리, 프로그램관리, 적극적인 홍보 등의 기관 경영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이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평생교육기관특성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평생교육기관특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도 있고 간접효과도 있었다. 따라서 평생교욱기관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바로 미치는 것보다는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더 가져 올 때 학습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평생교육기관이 학습자들에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참여동기의 로드맵을 잘 만들어 주어야 학습만족도가 좋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 넷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참여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성인여성학습자는 본인 스스로 참여동기가 높아야 학습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직접적효과가 큰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확인한 결과 참여동기는 학습성과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만족도 또한 학습성과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여성학습자들은 교육에 참여하고자 할 때 가까운 곳에서 많은 프로그램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의 평생교육기관 운영 지원 및 배려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론을 토대로 향후 후속연구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적인 측면에서 각 변인별 다양한 하위영역을 더 반영이 필요하며, 둘째,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대상 측면에서 향후 다양한 지역별 성인여성학습자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대상이나 지역특성에 더 적합한 구체적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사이버대학교 졸업생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 사이버대학 뷰티학과를 중심으로

        임옥진 건양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s beauty major graduates on job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at mediate this, to improve job competency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s and work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performance. To conduct the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3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by selecting a beauty major graduate of K Cybe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and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Crombach a coefficient was checked to verify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question, and the basis for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mean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Statistics were conducted, an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a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Beauty at K Cyber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not only in self-efficacy, but also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ersonal factors,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are expected to actively act to achieve their goals, make more effort than those with low self-efficacy, and continue to work even if they have difficulties. Thir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not only job satisfaction but also job characteristic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ad a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among al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K Cyber University's beauty department graduate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n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important parameters.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ing graduates improves job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an important facilitating factor in enhancing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continuously providing training courses based on practical competency to target subjects, but also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that can maximize job-related self-efficacy tailored to adult learners as well as technolog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asures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lthough it was intended to help the cyber university’s graduates in hair and beauty industry find positive ways for their job performance, there wa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results of beauty-related graduates of all cyber universities in Korea. In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continuous and long-term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graduate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experts with various cyber universities as research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는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을 통한 직무능력 향상과 이에 따른 직무성과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전․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K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 13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문항의 내적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mbach a 계수를 확인하였으며, 응답자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평균에 대한 기초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와 직무성과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수행성취와 개인적 요인에서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목표성취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직무특성도 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병렬 매개 효과가 있었고 모든 변인들 간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직무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등의 변인들이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를 높이고, 자기효능감이나 직무만족이 현장에서의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촉진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들에게 실무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직무 만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성인학습자 맞춤형으로 직무관련 자기효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및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통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직무성과를 위한 긍정적인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나 연구 결과 모든 사이버대학의 뷰티 관련 졸업생의 결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지역별, 학교별, 전공별로 다양하게 접근하며,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 및 관찰 등의 다양한 조사 방법을 병행하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심화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재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a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mathematic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1. What are the correlations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mathematics? 2.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bility to understand, execute and reflect on problems)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mathematics? 3.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mathematics? A total of 62 6th grade boys and girls from 2 classes were selected for the object of the research. Four research tools were used: a learning achievement test and a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as pretest and a problem-solving ability test and a learning satisfaction test as posttest. The lesson group were lasted for total 12 hours(3 weeks, 4 hours per week) including regular and extracurricular class hou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methods using the SPSS 12.0: First, Cronbach α coefficient was used to obtain the reliability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the post tests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problem-understanding ability, problem-executing ability, problem-reflect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on the abilities to understand, execute and reflect on problems as well as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level. Especially,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problem-reflection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level. Second, a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meaningful influence on all of the 3 sub variables of the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understanding ability, problem-executing ability and problem- reflecting ability. The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had meaningful influence on only the problem-reflection ability. Such results signify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foster creative and critical thoughts and more flexible problem-solving ability. Third, both a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evious learning achievement had meaningful influence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which means that learning motivation, curiosity, and intellectual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solving problems and constructing knowledge by oneself with on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에 따라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해결력(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남·여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사전검사로서 학업성취도 검사와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사로는 사후 문제해결력 검사와 학습만족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 수업은 주 4시간씩 3주에 걸쳐 12시간동안 정규 수업 시간 및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 사후 문제해결력 검사, 학습만족도 검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사용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및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투입형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문제반성력, 학습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문제해결력의 세 가지 하위변인-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학업성취도는 문제반성력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와 보다 유연성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 둘 다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을 구성함으로써 학습흥미와 호기심이 높아지고, 학습의욕과 지적 만족감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한국어 교육의 학습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홍콩의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보경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교육은 급변하는 정보기술과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가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결합 형태인 블렌디드 러닝이다. 블렌디드 러닝은 최근 교육 체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온라인의 장점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결합시켜 학습효과를 최대화 하고자 하는 전략적 교육 방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한국어 교육의 학습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습만족도 증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설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5가지 변인(주의력, 관련성, 효과성, 편리성, 교사)을 설정하여 학습만족도와 변인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가지고 학습 만족도 증대를 위한 블렌디드러닝의 설계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제1,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한국어 교육이 ‘학습효과 측정변인(주의력, 관련성, 효과성, 편리성, 교사)’에 얼마나 잘 부합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홍콩 소재 H대학기관’에서 제공하는 블렌디드 러닝은 학습 효과 측정변인에 잘 부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제 2,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한국어 교육에서 온라인 러닝, 오프라인 수업, 블렌디드 러닝의 학습만족도 및 상관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홍콩 소재 H대학기관’에서 제공하는 블렌디드 러닝은 학습만족도가 상당히 높게 확인되었으며 각 형태별 학습간에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문제3, 온라인 러닝의 학습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나이’, ‘학습기간’, ‘이용기기’, ‘효과성’, ‘주의력’, ‘편리성’, ‘블렌디드 러닝’ 등 7개의 영향 변인이 확인되었고, 이 중 학습 효과 측정변인은 ‘효과성’, ‘편리성’, ‘주의력’ 등이 확인되었다. 문제4, 오프라인 수업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학습기간’, ‘이용장소’, ‘이용시기’, ‘주의력’, ‘편리성’, ‘교사’, ‘블렌디드 러닝’등7개가 변인으로 확인되었고, 이 중 학습효과 측정변인은 ‘주의력’, ‘편리성’, ‘교사’로 확인되었다. 문제5, 블렌디드 러닝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도 살펴보았는데, ‘성별’, ‘학습기간’, ‘학습목적’, ‘이용빈도’, ‘총 이용시간’, ‘이용시기’, ‘효과성’, ‘주의력’, ‘온라인 러닝’, ‘오프라인 수업’ 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학습효과 측정변인은 ‘효과성’, ‘주의력’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온라인 학습만족도와 유사한 영향력으로 확인되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블렌디드 러닝에 양적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홍콩 소재 H대학기관’에서 실행되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한국어 교육은 학습효과 측정지표(주의력, 관련성, 효과성, 편리성, 교사)에 잘 부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만족도도 신뢰할 수 있는 수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효과성’과 ‘주의력’은 블렌디드 러닝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고, ‘온라인 러닝’, ‘오프라인 수업’, ‘블렌디드 러닝’ 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각 러닝 형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소 상이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만족도 극대화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한국어 교육의 설계 방안으로 첫째, 주의력 향상을 위한 설계 방안, 둘째, 효과성 증대를 위한 설계 방안, 셋째, 편의성 강화를 위한 설계 방안, 넷째, 교사의 역량 개발을 위한 설계 방안, 다섯째, 온•오프라인 수업 연계를 위한 설계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 기관에서 실제 실행되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평가와 그에 대한 학습만족도 분석에 대한 실증 연구로서,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맞는 연구이며, 이러한 실증적인 결과를 가지고 학습만족도 증대를 위한 교육 설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본다.

      •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

        방은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Among Adult Learners Modern society is the learning society.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learn anything they want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es. At the same time, They must be able to have the chance to educate themselv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Lifelong learning society is the inevitable social trend. Learning is co-existing as a right and as a duty in our society.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situation abov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gender, age, occupation, major, grade, and incom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s with the students of the Broadcast Communication University so as to measure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learning style.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is the followings: Firs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higher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ways was shown to the women than men, 40's in the age, and the first grade among the grades. Moreover, people who are in 30's and earn less than two million won as an incom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 The satisfaction of educators depend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gender, but relating to the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educator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atisfaction had little difference. Second,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 mode of adult learner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ors was getting higher as learners had propensity to experience concretely. In the 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method, environment, and facilities,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general. This research made the conclusion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was not suitable to explain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when researchers analyzed the impact of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on the whole parts of education. However, this conclusion does not mean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has little impact on the sub-region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has little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but adult learners have variable experiences, do the self-directed learning, hav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 to adjust to life. When we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the process of perceiving the education as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adult learners will form a unique learning style exchanging meaningful impacts on the environment. In other words, adult learners including the learners who have the experience and don't have it will form the unique style of learning experience, showing the personal gap. Therefore, learning style systematic is needed in order to accurately diagnose the learning mode of adult learners and to take advantage in the field. Furthermore, there is more room to detect the various parameters when the research is studied using the collection tools and analyzing methods. Keyword: Adult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Experience. 요약(국문초록)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 현대사회는 학습사회이다.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학습을 해야 하며, 동시에 지속적인 발달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의무로서의 학습과 권리로서의 학습이 공존하는 사회, 학습이 편재하는 사회인 평생학습사회는 이제 시대의 거스를 수 없는 추세가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해보고, 경험학습양식에 따라 학습만족도를 파악하여 성별, 연령별, 직업별, 전공별, 학년별, 수입별에 따른 학습만족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경험학습양식과 학습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 학습만족도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에서는 40대, 학년에서는 1학년이 교육내용과 방법에 대해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육환경과 교육시설에서는 30대와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의 집단의 만족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고 교육담당자 만족도에서는 성별을 제외한 모든 개인적 특성에 따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지만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에 따라서 학습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내용, 교육담당자 만족도 부문에 있어 경험학습 양식 중 구체적 경험의 성향이 높을수록 교육내용과 교육담당자에 대한 만족도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경험학습양식은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시설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 볼 때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 결과가 경험학습 양식이 교육만족도의 각 하위 영역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까지도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양식이 학습만족도에 유의하지 않다고는 하지만 성인학습자는 다양한 경험학습을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고, 내재적 동기를 갖고, 생활적응 및 생활 중심적이다.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감안하고 학습을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지각하고 처리하는 유형화된 과정이라고 본다면, 성인학습자는 각각 환경과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독특한 학습양식을 형성할 것이다. 즉, 형식과 무형식학습을 포함한 성인학습자의 경험학습은 개인차를 보이면서 각각의 학습양식을 형성할 것이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학습양식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학습양식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조사대상이나 수집도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한다면 좀 더 다양한 매개변인들이 탐색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 성인학습자, 경험학습양식, 학습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