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정서 및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성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부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의 정책적 도입을 통해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활성화와 왕따, 괴롭힘, 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지만, 여학생의 활동 참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정서적으로 가장 예민하고 감수성이 풍부한 시기인 여중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는 학교폭력 근절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고, 즐겁고 활기찬 학교생활을 영위해 나가는 데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정서 및 학교폭력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에 소재하는 중학교에 다니는 여중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9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써 인구통계학적 특성 4문항, 주관적 건강상태 6문항, 정서 14문항, 학교폭력태도 13문항 등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고, 현장 방문을 통해 질문지를 배부하고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토록 한 다음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조사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위한 Cronbach’s 계수 산출, 차이 검정을 위한 t-test, 일원변량분석,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사후검정을 위한 Scheffe-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에서 처리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분석 및 논의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가 학년별에 따라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 학교폭력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 요인은 ‘2학년’이, ‘정서’의 ‘부정 정서’ 요인은 ‘3학년’이, 그리고 ‘학교폭력태도’의 ‘가해 및 피해자 태도’와 ‘소극적 대처 태도’ 요인에서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나 집단별로 통계적 차이(p<.05)를 보였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가 학교 유형별에 따라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 학교폭력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 요인과 ‘정서’의 ‘긍정 정서’ 요인에서는 ‘여자중학교’가,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질병상태’ 요인과 ‘정서’의 ‘부정 정서’ 요인에서는 ‘남·여 공학’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폭력태도’에서는 ‘남·여 공학’이 ‘여자중학교’에 비해 ‘허용적 태도’, ‘가해 및 피해자 인식 태도’, ‘소극적 대처 태도’ 요인 모두 높게 나타나 집단별로 통계적 차이(p<.05)를 보였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가 참여 횟수별에 따라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 학교폭력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 요인은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높았고, ‘학교폭력태도’에서는 ‘허용적 태도’와 ‘가해 및 피해자 인식 태도’ 요인에서 대회 참여가 적을수록 높게 나타나 ‘정서’ 요인을 제외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학교폭력 태도’ 요인에서 집단별로 통계적 차이(p<.05)를 보였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가 참여 대회 유형별에 따라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 학교폭력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정서’의 ‘긍정 정서’ 요인에서 ‘전국대회’ 참여가 가장 높았고, ‘학교폭력태도’에서는 ‘허용적 태도’ 요인과 ‘가해 및 피해자 인식 태도’요인 그리고 ‘소극적 대처 태도’ 요인에서 ‘교내대회’ 참여가 높게 나타나 집단별로 통계적 차이(p<.05)를 보였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정서’, ‘학교폭력태도’ 요인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 요인과 ‘정서’의 ‘긍정 정서’ 요인에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여섯째,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 요인은 ‘정서’의 ‘부정 정서’ 요인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질병상태’ 요인은 ‘정서’의 ‘부정 정서’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 요인은 ‘정서’의 ‘긍정 정서’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질병상태’ 요인은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여중생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지각된 건강상태’ 요인은 ‘학교폭력태도’의 ‘허용적 태도’, ‘가해 및 피해자 인식 태도’, ‘소극적 대처 태도’ 요인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질병상태’ 요인은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 차이 연구

        조은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유형(피해경험, 가해경험, 가․피해경험, 무경험)에 따라 학교폭력 상황에서 학교폭력의 심각성, 처리방식, 벌의 필요성 및 적절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는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따라 학교폭력의 심각성 판단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부모는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따라 학교폭력의 처리방식 판단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부모는 자녀의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따라 벌의 필요성 및 적절성 판단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853명의 학부모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재 학교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관계적 폭력에 관한 가상의 상황을 제시한 시나리오 방식으로 제작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18에서 빈도분석, 기술통계, 아노바 분석 및 사후검증(Scheffe, Dunnett T3), 비모수통계(Kruskal- Wallis), 카이제곱을 이용한 독립성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경험유형별로 학교폭력 상황의 심각성, 처리 방식, 벌의 필요성 및 적절성에서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피해학생 학부모가 가해학생 학부모, 가․피해학생 학부모, 무경험 학부모에 비해 학교폭력 상황을 더 심각하며 벌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벌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 피해학생 학부모와 가해학생 학부모의 인식 차이가 많이 났다. 특히 피해학생 학부모, 가․피해학생 학부모, 무경험 학부모가 적절하다고 인식한 사회봉사활동, 특별교육이수를 가해학생 학부모는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실제 초등학교 학교폭력 해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학부모 상담, 교사 연수 및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한 점이다. 또한 시나리오를 통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실제적인 장면에서 학부모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점이다. 이와 같은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제작된 학교폭력 질문지는 초등학교가 아닌 중고등학교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학교폭력 상황에 대해 더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고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대한 문항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보완할 필요가 있겠다.

      • 집단모래상자놀이가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집단모래상자놀이가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폭력피해 청소년 2학년생이다. 선정 방법은 학교폭력피해 경험 후 우울증상을 보여 담임교사가 의뢰한 청소년들 중에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검사와 K-DACL(Depression Adjective Check List - Korean version)에서 임상적 소견을 보이는 청소년 3명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가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는가,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가 매 회기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우울정서를 변화시키는가, 셋째, 집단모래상자놀이가 매 회기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언어표현을 변화시키는가이다. 집단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은 BDI 우울척도의 하위요인으로 선정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영역을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한 회기 50분, 주 2회, 사전·사후 평가를 포함한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우울 감소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에 자기보고식 BDI 우울척도에서 측정된 점수를 비교하였고, 매 회기 우울정서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K-DACL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를 실시하여 우울정서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언어표현 변화과정은 프로그램 진행 상황을 녹화하고 우울언어 지표 관찰 기준에 따라 매 회기를 측정,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는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켰다.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는 매 회기 우울한 정서를 감소시켰다. 셋째, 집단모래상자놀이를 진행하는 동안 부정적인 언어표현은 감소하고 긍정적인 언어표현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소수사례연구로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은 있으나 집단모래상자놀이가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sand tray play on the adolescents' depression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The research object was the adolescents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the second grade) who were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in D city. As to the selection method, this study was to select three adolescents who showed the clinical features as a score of 17 or above from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test and as scores of 21 for mail and 19 for female from K-DACL(Depression Adjective Check List - Korean version) among the adolescents who were requested by the class teacher because of their depressive symptoms after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oes the group sand tray play decrease the adolescents' depression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Second, does the group sand tray play change the depressive emotion for the adolescents' depression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within its session? Third, does it change the language expression for the adolescents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within its session?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group sand tray play program based on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domains selected as sub-factors of BDI depression scale. The program was held for total 10 sessions, for 50 minutes a session and twice a week including the pre·post evaluation. As to the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decrease of the adolescents' depression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this study was to compared with the scores measured by the self-reported BDI depression scale beforehand and afterward. To measure the changes of depressive emotion every session,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hanges of depressive emotion by executing the depressive adjective checklist of self-reported K-DACL. In addition, the change process of language expression for the adolescents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recorded the going-on and did measurement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by sess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observing the depressive language index.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group sand tray play decreased the adolescents' depression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Second, the group sand tray play decreased the depressive emotions each session. Third, negative language expression decreased and positive language expression increased during the progress of group sand tray play. This study has limitations to the generalization as case study with small sample size, but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as the group sand tray play affects the decrease of the adolescents' depression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 참여적 음악 학습 활동 기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심지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폭력과 관련된 이야기를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요즘, 본 연구자는 학교폭력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음악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학급의 모든 구성원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참여적 음악 학습 활동 기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따로 시간을 내지 않고 음악 수업 시간이나 학급 운영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 이론 및 학습자 중심 수업을 고찰하고, 학교폭력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인성 교육 요소 및 도덕 교과 주요 가치·덕목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 음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차례대로 ‘장단으로 자기소개 하기’, ‘참 좋은 말’, ‘악곡을 듣고 느낀 점 공유하기’, ‘돌림노래로 함께 어울리기’, ‘한 마음으로 리듬 전달하기’, ‘장구로 즉흥 표현하기’, ‘함께하는 생활 난타’ 총 10차시의 수업과 ‘음악 선물하기’라는 1개의 학급 운영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경기도 M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학생 소감, 학생관찰일지 및 교사 수업일지를 통해 수업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즐겁고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참여적 음악 학습 활동이 이루어졌다. 또한 프로그램 시작 전에 비해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흥미 및 관심도 높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따로 시간을 내지 않고 음악 수업 시간과 아침 조회 시간 등을 이용하여 다른 수업 시수에 지장 없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앞으로 학생들의 특성을 더 이해하고 프로그램이 표현 영역뿐 아니라 감상과 생활화 영역의 활용할 필요성, 학교폭력 예방과 관련된 융합연구들에 기반하여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및 재발 방지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지역 학교폭력 가해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임종선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grasp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and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 being used at school,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ose programs in the position of wrongdoing students, and aimed at finding the suggestions to guide them effective way. In relation with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executed comparison analysis metho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o look into the effect of those programs that wrongdoing students had experienced. The research object was 10 students in Middle School who had been educated and led from the independent body for protection and measure of school violence from March in 2012 to July in 2014, and carried out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used semi-structured questions focusing on this object, and execu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0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and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 from July to October in 2014.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the study recorded the interview and wrote nonverbal behaviors and reactions about the questions in the each sheet of questionnaires under the agreement of this research participants. In relation with the collected date, the study copied 51 A4-size pages of the recorded interview, and constantly used comparison analysis method. Research results came down to 8 categories and 71 subcategories about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s and looking for suggestions of school violence. In brief,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effec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study, research participants could not remember in whole or in part of those because of a lot of joke and chat in the distracted atmosphere during the period of leading them in the right path. Also, there was no noticeable effect for the participants having remorse and repentance in the process of school violence issue and after finishing the issu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isplayed between operating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ism about the aspect of school violence recurrence program. It would rather join that program with their parents than research participants themselv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ir parents was improved. The study shows securing sufficient expertise of operating organization and expanding the programs with parents are needed. Thirdly, there needs to settle the minor school violence issue out of court, take the form of active intervention from teachers and school, secure school bullies’ right to speak at the independent body for protection and measure of school violence, do a thorough examination , pay severe penalty, and expand school violence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 with parents.

      •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기봉 대구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chool violence behavior,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school violence behavior in detail,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between the factors. Based on the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effectiv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on juvenile school violence behavior and basic data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In this study total 718 high school students in Deagu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uvenile school violence behavior showed high incidence rate and school violence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s of gender, father's academic career, and school record. Especially, the fact that many students have experienced violence behavior in the schools means that the schools are not the places contributing to students' socialization and self-actualization but the places learning school violence behavior. Thus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are very necessary in the level of school system because the schools are no more safe places.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violence behavior and the related factors following types of school violence behavior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Especially, system factors highly affecting school violence behavior appeared in the order of school system factor, individual system factor, community system factor, and family system factor. From the level of subordinate factors, it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degree of friends' delinquency, aggression, the experience of violence in the home, the attitude on violence use, the contact with mass media related to violence, and the teacher's attitude on violence. Also, the factor most highly affecting physical violence and blackmail was the experience of violence in the home, and the factor most highly affecting psychological and verbal abuse was the degree of friends' delinquency.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school violence behavior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programs from the viewpoint of ecosystem such as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system. Third, interactional characteristics among factors adding an weight on school violence behavior and by the type of the violence behavior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is, school violence behavior was caused more by such interactions as individual system × family system, individual system × community system, individual system × school system, individual system × community system, family system × school system, family system × community system, and school system × community system. Also, the factors alone related to school violence behavior affected school violence behavior.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caused much more physical abuse, psychological abuse, verbal abuse, bullying, and blackmai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ormulated complex access programs to resolve school violence behavior. School violence behavior which an weight is added by interactional characteristics of factors will be reduced by intervention into the factor to be more easily intervened. Hence,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systems must be closely connected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behavior. Moreover, it is necessary to make full use of the school social worker in school system. Then more professional service can be provided to resolve school violence problems. Overall with the above results, it is explored in this study that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family system and environment system strengthens or weakens the school violence behavior although the school violence behavior stems from the individual or family factor. Thus, the intervention plan on school violence behavior should not simply focus on individual and family system. Also, the cooperative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government must be firmly built in order to cope with the school violence behavior.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on school violence behavior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 by introducing school social welfare system.

      • 학교폭력예방 및 근절에 대한 경찰의 대책 연구

        이민택 선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et of polices has been implemented in the government level since 1995 for the purpose of the prevention and extermination of school violence that becomes more serious. To that end, police have cooperated with government organizations or worked independently to formulate a variety of countermeasures. Despite many efforts, recent school violence turns more serious in the qualitative level. Precise surveys about actual condition of school violences are required to establish efficient measures for school violence for the sake of prevention and extermination of school violence. Victims' reports to police authority can lead to figuring out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violence. This paper covering surveys with 637 high or middle school students found 6.9% of all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s in the recent first year. However, only 0.3% of the reports was dealt with as official cases according to reports on juvenile cases of Cheonan police office. It is also found that most school violence develop into crime tacitly. Additionally, surveys conducted with 633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on awareness of various policies by police authority found that students had low awareness about polices such as students police group, police patrol in charge of schools, the center for learning, the center for keeping children safe, Purmi Opinion Box, except self-reports for school violence and classroo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crime.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center for learning and police patrol in charge of school, which scholars and researchers say are efficient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show low awareness. Therefore, we should carry out those policies through the promotion of the two systems in a more aggressive way. In particular, in the wake of continuous media reports on sexual violence in school that took place nationwide including Kyunggi province in the early of 2007, Prumi Opinion Box just aiming to put down media and show off to the public was indicated to be eliminated drastically. In this regard, this paper focuses on improving measures of preventing and exterminating school violence for the sake of nurturing healthy juveniles. As a result, this paper reaches significant conclusions. The center for learning should take on responsibility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ctual conditions of juvenile delinquents and violence-related groups, and police patrol in charge of schools should be used to execute police authority substantially,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enter for learning, in terms of taking advantage of the former and latter policies that are recognized as effective measures for prevention and extermination of school violence. Two policies should be kept to cooperate in a reciprocal and organic way. Moreover, the Self-report Period for School Violence that is ongoing aggressively should be implemented annually and substantial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crime should be give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ecturers teaching about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expanding police diversion policy(conditional dismiss with a caution). Students police group also needs to be carried out in all schools, not just certain schools to let students engage in education for danger of school violence and activitie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the early stage. Furthermore, in terms of managing the center for keeping children safe, cooperation between provincial governments and parents groups is required to lead to legislative process of this policy through interests and support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n top of it, CCTV should be expanded to more schools and buildings around schools. In doing so, monitoring CCTV and video patrol are needed in the Integration Control Center aimed to keep residents of Cheonan and Asan safe. In addition to it, the Control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to monitor CCTVs of each school in real time. These actions will help prevent school violence considerably. 점점 심각해져가는 학교폭력의 예방과 근절을 위하여 1995년경부터 범정부차원에서 여러 가지 정책을 실시하여왔다. 이에 따라 경찰에서도 정부기관과 연계 혹은 독자적으로 여러 가지 대책을 수립 시행해 오고 있으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학교 폭력은 과거보다 그 질적 수준에서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교폭력 실태는 그 피해 신고가 제대로 이루어질 때 비로소 파악이 가능하나 본 연구자는 천안·아산지역 중·고등학생 63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바 전체 응답 학생의 6.9%가 최근 1년간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있다고 응답 하였으나 천안경찰서 소년사건처리부를 살펴보면 전체학생의 0.3%가 학교폭력 피해자로 신고 되어 사건 처리되는 실정으로 대다수의 학교폭력행위가 암수범죄화 됨을 알 수 있다. 이어서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하여 경찰에서 실시 해왔던 여러 대책의 당사자인 중·고등학생들의 인지도를 633명 상대 설문조사를 실시한바 학교폭력자진신고제와 학교폭력예방 범죄예방교실운영을 제외하고 명예경찰소년단, 학교담당경찰관제, 배움터지킴이, 아동안전지킴이집, 피해신고를 위한 푸르미소리함 등은 낮은 인지도를 나타내며 특히 그동안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하여 실시해온 경찰대책 중 여러 학자 및 연구자들이 학교폭력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배움터지킴이와 학교전담경찰관제도도 낮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어 두 제도에 대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을 실시하여 활성화 시키고, 2007년 학기초 경기지역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중학생들의 학교내성폭력 사건이 다수 발생하여 언론에 연일 보도되자 언론무마용 및 전시성 대책인 푸르미소리함 제도 등은 과감히 정리해야 하는 등 건전 청소년 육성을 위한 경찰의 학교폭력예방과 근절 대책을 개선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경찰 정책 중 학교폭력예방효과가 크다고 나타난 배움터지킴이와 학교담당 경찰관 제도를 활용함에 있어 배움터지킴이는 학교현장에서 비행학생과 폭력서클의 실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맡고, 학교담당경찰관은 배움터지킴이를 통해 얻은 정보에 기초하여 실질적인경찰력을 행사하는 등 상호 유기적 협조 체제를 유지하고, 또한 현재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학교폭력 자진신고기간을 연중 운영하면서 경찰다이버전(선도조건부훈방)제도를 확대 실시하고, 범죄예방교실 강사의 자질을 향상하여 내실 있는 범죄예방교육을 실시하고, 명예경찰소년단활동을 일부학교가 아닌 전체학교로 확대 운영하면서 활성화시켜 조기에 학교폭력의 위험성에대한 교육과 학교폭력예방활동에 동참을 시키고, 아동안전지킴이집의 운영도 지방자치단체와 학부모단체와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중앙정부와 지자체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하면서 지킴이집 활동을 법제화 하고, 학교 주변 및 교내에 CCTV를 확충하여 학교주변 CCTV는 천안·아산 시민안전 통합관제센타에서 모니터링 및 화상순찰을 실시하고 각 학교 교내에 설치된 CCTV는 시·군 교육청 단위로 관제센타를 마련 실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하면서 관리한다면 학교폭력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학생의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연구

        정향기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피해 경험 중학생의 의사소통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들을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서 4개 집단(학교폭력 비경험 집단, 가해 경험집단, 피해 경험집단, 가해 및 피해 경험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4개 집단 간에 의사소통방식과 의사소통기술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소재한 2개의 중학교 16개 학급을 표집하여, 총 55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사례수는 541명으로 남학생이 249명, 여학생이 292명이었으며, 1학년이 92명, 2학년이 354명, 3학년이 95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허승희·최태진(2008)이 구성한 학교폭력실태 설문지, Satir의 이론에 따른 유희정(1999)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척도, 그리고 Bienvenu (1971)가 제작하고 정경자(1996)가 번안한 의사소통능력검사 등 3개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의사소통방식은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의 4개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의사소통기술 또한 표현의 명확성, 경청, 자기노출, 자아개념, 감정처리의 4개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성별(2) ×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집단(4)에 따른 의사소통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초이성형을 제외한 회유형, 비난형, 산만형 등 3개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에서 피해자 또는 가해 및 피해 동시 경험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일관되게 높은 평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에서 가해자 집단이 일관되게 피해자나 피해 및 가해 경험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집단에 비하여 낮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은 가해자 특성보다는 피해자의 의사소통 특성을 설명하는데 더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2) ×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집단(4)에 따른 의사소통기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차적으로 경청과 자기노출 2개의 하위척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집단에 따라서는 표현의 명확성을 제외한 경청, 자기노출, 자아개념, 감정처리 등 4개의 하위척도에서 주로 가해 및 피해 경험이 없는 집단과 가해 및 피해 경험을 동시에 가진 집단 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에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의 개선을 통해서 피해자 또는 가해 및 피해를 함께 겪는 학생들에 대한 개입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예상과는 달리 가해 및 피해자 집단이 개입되지 않은 집단보다 몇몇 하위척도들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에 의해 나타났을 수 도 있고, 발달 단계에 맞지 않은 성인용 검사의 사용으로 인한 왜곡일 수도 있지만, 대인관계 기술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자 유형 두 변수 사이에 매개하는 변수가 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w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objects were classified to four by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non intervene group, assailant group, victims group and concurrent group). And the mean difference of communication style and communication skill among the groups was verified. For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41 middle school students(249 boys, 292 girls). School Violence Inventory(Huh and Choi, 2008), Communication Style Scale(Yu, 1999)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ventory(Jung, 1996)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Communication style contains four dimensions of Placating, Blaming, Computing, Distracting and communication skill is consist of five dimensions adequate self-concept(self-concept), ability to be good listener(listening), skill of expressing, one’s thoughts and ideas clearly(expressing) and self-disclosure. The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n difference analysis for communication style by sex(2) × school violence engagement experience(4) group, victim group concurrent group revealed higher mean than other two groups at three communication style dimensions placating, blaming, distracting. Second, as a result of mean difference analysis for communication skill by sex(2) × school violence engagement experience(4) group, girls revealed higher mean than boys at listening and self-disclosure dimension. And in case of four sub-scales, listening, self-disclosure, self-concept and expressing, the mean of concurrent group was higher than non intervene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mount usage of un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was related to school violence engagement. But relation of communication skill to school violence engagement was not in accordance with common expectations.

      • 중학생의 학교사회자본과 학교폭력예방인식 및 학교폭력경험 간 관계

        홍정모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중학생이 학교 안에서 형성하는 학교사회자본과 학교폭력예방인식, 학교폭력경험이 사회인구학적 변수 및 학교 관련 변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성별, 학년, 경제수준)와 학교 관련 변수(성적, 학교만족, 친구관계)에 따른 학교사회자본(신뢰, 네트워크, 규범), 학교폭력예방인식, 학교폭력경험(가해경험, 피해경험)은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연구문제 2]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수(성별, 학년, 경제수준)와 학교 관련 변수(성적, 학교만족, 친구관계), 학교사회자본(신뢰, 네트워크, 규범), 학교폭력예방인식,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수(성별, 학년, 경제수준)와 학교 관련 변수(성적, 학교만족, 친구관계), 학교사회자본(신뢰, 네트워크, 규범), 학교폭력예방인식, 학교폭력 가해경험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양시 소재 중학교 3곳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47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Scheffe 검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기분석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수 및 학교 관련 변수에 따른 학교사회자본, 학교폭력예방인식, 학교폭력경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수인 성별에 따른 차이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학교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신뢰,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학교폭력예방인식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신뢰와 네트워크 영역에서는 1학년이 3학년보다 학교사회자본이 높게 나타났으나 규범영역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폭력예방인식도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잘산다’라고 응답한 집단이 ‘어렵다’,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관련 변수인 성적에 따른 차이는 학교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신뢰,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학교폭력예방인식 및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교성적이 ‘상위권’이라고 응답한 집단이 ‘하위권’이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학교사회자본의 모든 하위영역과 학교폭력예방인식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폭력 가해경험에서는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만족에 따른 차이는 학교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신뢰, 네트워크, 규범, 학교폭력예방인식 그리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교만족이 높은 집단일수록 학교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신뢰, 네트워크가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보통’과 ‘만족’으로 응답한 집단보다 규범영역이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예방인식에서는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학교에 ‘불만족’ 하다고 응답한 집단이 학교에 ‘만족’ 하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친구관계에 따른 차이는 학교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신뢰,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친구관계에 ‘잘 어울린다’라고 응답한 집단이 ‘어울리지 못한다’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학교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신뢰와 규범이 높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네트워크에서는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친구관계에 ‘어울리지 못한다’고 응답한 집단이 ‘잘 어울린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학교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신뢰,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즉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학교사회자본의 신뢰영역이 낮을수록, 남자가 여자보다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오직 학교폭력 가해경험만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나 가해경험이 많을수록 학교폭력 피해경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사회자본 구축의 필요성 등 학교폭력예방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chool social capital, school violence prevention awareness,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lated variab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experiences. For these purposes, a survey was implemented to 3 middle schools located in Goyang city and 473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9.0 for Windows and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study includ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school social capital, school violence prevention awareness, and school violen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The 'trust' area of school social capital differed by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level, schoo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The 'network' area of school social capital differed by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school satisfaction. The 'norms' area of school social capital differed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 schoo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wareness differed by grade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While the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differed by gender and economic level,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differed by schoo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Second,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followed by the 'trust' area of school social capital and gend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students who had more victimized experience, lower formed of trust in school social capital, male than females showed higher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Third, the result concerning the effects of variables o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showed that only the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may significantly predic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achieved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experiences. Also,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is valuable in a sense to provide basic resources in establishing school violence prevention countermeasures and necessary school social ca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