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육의 활성도와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신균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48

        These findings suggest that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can be used to improve lower limb muscle activity, gait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In conclude, these treadmill gradient training helped improving function of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Muscles weakness of stroke produces limitation for functional disability, especially weakness of lower extremities, loss of ability to walk is main reason. Also, there is reported that strength of knee extensor, ankle extensor, and hip flexor in all joints of lower extremities have high regard with walking ability of hemiplegic stro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readmill gradient training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subject were consisted of 32 patients with strok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 which were control group(0° treadmill training(n=10)) and experimental group(5° treadmill training (n=10) and 10° treadmill training(n=12)). Three groups received treadmill gradient training for 30 minutes a time while 3 times per week for 6 week in addition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ait was measured 10m walking velocity, timed up and go. 10m walking velocity and timed up and go were used to measure gait speed. Balance was measured Berg balance scale(BBS) and Balance performance monitor(BPM).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EMG on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menius for muscle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rectus femoris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activity of rectus femoris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activity of rectus femoris among 3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p<.05). 2.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biceps femoris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activity of rectus femoris was significant in the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activity of biceps femoris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3.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was significant in the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among 3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p<.05). 4.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gastrocnemius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activity of gastrocnemius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activity of gastrocnemius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5. In comparison of the 10m walking test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10m walking test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the 10m walking test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6.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TUG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TUG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UG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7.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BBS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BBS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BBS among 3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5). 8.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BPM SA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BPM SA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BPM SA among 3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p<.05). 9.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BPM SP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BPM SP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BPM SP among 3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p<.05). 10. In comparison of activity of BPM MV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BPM MV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BPM MV among 3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5°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and 10° treadmill gait training group can be used to improve lower limb muscle activity, gait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 In conclude, these treadmill gradient training helped improving function of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뇌졸중 환자의 근력 약화는 기능적 능력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며 특히 하지 근육의 약화는 보행능력을 저하시키는 주 요소가 된다. 또한 무릎 신 근력, 발목 신 근력, 그리고 둔부의 굴 근력과 같이 하지의 모든 관절의 근력들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 마비 환자들의 보행능력과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는 뇌출혈 및 뇌 경색으로 인해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대구 서구에 위치한 J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 본 연구의 필요조건을 충족하는 편 마비 뇌졸중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그룹 배정을 하여 대조군인 트레드밀 0°훈련 군 10명과 실험군인 트레드밀 5°훈련 군 10명, 트레드밀 10°훈련 군 12명으로 나누었고 각 군은 기본적인 운동치료를 매일 받았으며 각각의 훈련을 30분씩 주 3회 6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각 훈련 전, 후에서 근전 도를 이용해 하지의 넙 다리 곧은 근, 넙 다리 두 갈래 근, 앞 정강 근, 장딴지 근의 근 활성 도와 보행에 대해 10m walking velocity와 Timed up and go test, 균형에 대해 Berg 균형척도, BPM 검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넙 다리 곧은 근의 활성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사후 검정에서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2.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의 넙 다리 두 갈래 근의 활성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대조 군의 넙 다리 두 갈래 근의 활성 도는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의 앞 정강 근의 활성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대조 군의 앞 정강 근의 활성 도는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사후 검정에서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4.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장딴지 근의 활성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5.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10m 보행 검사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6.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TUG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7.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Berg 균형척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사후 검정에서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대조군,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8.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BPM 동요면적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사후 검정에서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9. 5° 트레드밀 보행훈련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BPM 동요거리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사후 검정에서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10.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그리고 대조 군의 BPM 최대동요속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 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사후 검정에서 5°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 10° 트레드밀 보행훈련 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따라서 5° 트레드밀 보행훈련과 10°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육의 활성화와 균형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으며, 이러한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 증진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 윈드서퍼의 플레이닝 시 풋스트랩 위치와 경기력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비교분석 연구

        천사빈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7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windsurfing planing depending on the different position of footstrap and their skill level among windsurfers and to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windsurfers’ performance. Seven elite and 6 amateur windsurfers who had no neurological or musculoskeletal impairment in the past two years in lower extrem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scle activation of their tibialis anterior, peroneus longus, medial gastrocnemius, and biceps femoris in the front and rear legs were measured during the starboard and port tacks of windsurfing planing. All participants used two footstraps located in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tarsometatarsal joint in any order they wanted. The mean value of each muscle in 15s was calcul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elite and amateur windsurfers had no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front and rear legs depending on the planing directions regardless of positions of footstrap. Second, elite windsurfers had the higher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or peroneus longus compared to medial gastrocnemius or biceps femoris on the front leg during both starboard and port tacks. But, amateurs had no differences among the muscles in the low extremities. Third, tibialis anterior in elite windsurfer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in amateurs, but both medial gastrocnemius and biceps femoris in amateurs showed higher activation than in elites, regardless of different positions of footstrap and planing directions. Fourth, both elite and amateur windsurfers had no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front and rear legs depending on positions of footstrap regardless of the planing directions. These results can explain that amateur windsurfers used the larger muscles such as medial gastrocnemius and biceps femoris in the front leg for controlling their board and maintaining the balance on board, whereas elites used the tibialis anterior or peroneus longus more strongly compared to amateurs for maintaining board control with an ankle strategy. These information can help windsurfers and coaching to understand the motion for planning and improve windsurfing-related skills. 본 연구는 윈드서퍼를 대상으로 육상 기반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플레이닝 시 풋스트랩 위치와 경기력 및 범주 방향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기력 향상과 트레이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업팀 소속으로 활동 중인 건강한 엘리트 윈드서퍼 7명과 동호회 소속으로 활동 중인 건강한 아마추어 윈드서퍼 6명을 선정하여 사전 교육된 방법대로 발허리발가락관절과 발목발허리관절에서 풋스트랩을 사용하는 동안 스타보드와 포트 방향에 따라 앞정강이근, 긴종아리근, 안쪽장딴지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수집하였다. 모든 자료는 15초의 평균값을 산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 집단과 아마추어 집단의 풋스트랩 위치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차이는 범주 방향과 앞·뒷발 모두에서 발견하지 못하였다. 둘째, 엘리트 집단은 범주 방향과 풋스트랩 위치와 상관없이 앞발에서 앞정강이근 또는 긴종아리근의 근활성도가 안쪽장딴지근 또는 넙다리두갈래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마추어 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엘리트 집단은 범주 방향과 풋스트랩 위치와 상관없이 앞발에서 앞정강이근의 사용이 아마추어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마추어 집단은 범주 방향과 풋스트랩 위치와 상관없이 앞발의 안쪽장딴지근 또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 사용이 엘리트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엘리트 집단과 아마추어 집단의 범주 방향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차이는 풋스트랩 위치와 앞·뒷발 모두에서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엘리트 윈드서퍼는 앞발의 앞정강이근과 긴종아리근을 사용한 발목전략으로 보드조절하는 반면, 아마추어 윈드서퍼는 안쪽장딴지근과, 넙다리두갈래근 같은 상대적으로 큰 근육을 사용해 무릎과 엉덩전략으로 보드조절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풋스트랩을 사용하는 플레이닝 동작을 이해하고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스쿼트 동작의 다리 형태에 따른 역도선수들의 척추, 하지 근육의 활성도의 차이

        현대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6

        스쿼트 운동은 달리기, 점프, 들어올리기 동작에 있어 중요한 근육인 엉덩이, 대퇴, 몸통 근육을 단련시킬 뿐 아니라 상체의 근육을 함께 사용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근육발달을 위해 가장 대표적인 운동이다. 이 연구는 스쿼트 운동 시 다리의 스탠스 형태가 근육활성도 및 지면반력, 무릎통증의 자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K 체육대학교 역도선수 총 12명을 선정하여 1RM의 85%로 풀 스쿼트 운동을 0°(11자), 15°, 45° 각도의 다리 스탠스로 실시하였다. 변인을 산출하기 위하여 지면반력 분석기, 영상촬영장비, 무선근전도장비를 활용하였으며, 8개의 근육 (오른쪽 다리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대둔근,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좌·우측 척추 기립근)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각도별 근육활성도와 지면반력의 변인에 있어서 각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리의 스탠스 각도가 15°에서 풀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근육의 활성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지면반력 최대충격량 발휘의 시간의 기술통계 분석에서도 가장 짧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또한 무릎통증의 자각에 있어서도 다리의 각도가 15°에서 통증의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풀 스쿼트 운동 시 다리의 스탠스 각도를 15°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축구장 그라운드 형태에 따른 전진 사이드 스텝 시 하지의 근 활성도 분석

        이현빈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5년 이상 축구경험이 있는 S시 소재의 C대학교 부속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0대 고등학교 남자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축구장 그라운드의 형태(천연잔디, 인조잔디, 맨땅)에 따른 전진 사이드 스텝 시 하지 근육(전경골근, 가자미근, 내비복근, 외비복근, 비골근)의 활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근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EMG 장비를 사용하여 하지근육의 MVC와 그라운드 형태별 전진 사이드 스텝을 실시 근전도 값을 측정하였고, 측정한 자료에서 %MVIC 값을 구하였으며 분석변인을 그라운드 형태로 구분하여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이 있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분석은 Scheffe의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 결과, 가자미근과 단비골근에서 평균 근 활성도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인조잔디가 천연잔디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최대 근 활성도 값은 비골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인조잔디가 천연잔디보다 인조잔디가 맨땅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인조잔디가 천연잔디에 비해서 반발계수가 높기 때문에 인조잔디에서 하지의 근 활성도가 더 크게 나타난 것이다. 결과적으로 인조잔디에서 훈련 시 가자미근과 단비골근의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근력 트레이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has been aimed at 15 teenage students with more than 5years experience at playing football and studying at C High school in S city to analyse lower extremity muscles (Tibialis Anterior, Soleus, Medial Gastrocnemius, Lateral Gastrocnemius, Peroneus Brevis) activity which depends on the ground types (Natural Turf, Artificial Turf, Hard Ground) when doing forward side step.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this study has used EMG equipment to measure surface electromyography values by doing MVC of the lower extremity muscles and forward side stepping which depends on the ground types. With these values, I could get %MVIC values and then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o get to know the statistical discretion by dividing Analysis variable into ground types. Scheffe Post-mortem method has also been used for this project. In this project, I have found the average muscle activity valu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oleus and Peroneus Brevis. Furthermore, after testing the post-mortem, I could find that the artificial turf has got higher values than the natural turf and the hard ground. The maximum muscle activity values are statistically notable at Peroneus Brevis after the Post-mortem method.This is because the artificial turf has more restitution coefficient than the natural turf, so that the muscle activity of lower extremity is higher than others.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muscular strength training is necessary for protecting any of injuries of Soleus and Peroneus Brevis when training on the artificial turf.

      •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과 부하의 위치가 체간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박주형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0

        국문 초록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과 부하의 위치가 체간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과 부하의 위치가 체간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최소 1년 이상 스쿼트 운동을 수행한 숙련된 건강한 성인 남성 28명을 대상 으로 하이바 백스쿼트와 로우바 백스쿼트를 1회 최대 반복의 50%, 60%, 70% 부하에서 무작위 순서로 적용하였다. 실험 전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 넙다리 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배곧은근, 배가로근, 배바깥빗근, 척추세움근의 최대 수 의적 등척성 수축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3초간의 원심성 운동과 3초간의 구심 성 운동을 실시하여 각 근육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에 따른 근 활성도는 원심성 구간, 구심성 구간에서 모든 근육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5),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근 활성도가 높아짐을 나타냈다. 부하의 위치에 따른 근 활성도는 구심성 구 간의 배바깥빗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또한 하이바 백스쿼트는 로우바 백스쿼트에 비해 원심성, 구심성 구간에서 하 지근육의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로우바 백스쿼트는 하이바 백스쿼트 에 비해 원심성, 구심성 구간에서 체간근육의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 < 0.05). 따라서 하이바 백스쿼트는 로우바 백스쿼트에 비해 하지근육에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며, 특히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강화에 이점이 있다. 반면 로우바 백스쿼트는 하이바 백스쿼트에 비해 체간근육에 더 많은 힘을 필요 로 하며, 체간 안정성의 이점으로 더 무거운 부하를 드는데 효과적이다.

      •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걷기 동작 재현

        임규채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71

        미래전쟁은 도시 시가전이 많이 발생하고 구조적, 공간적 제약에 의해 중대형 병기의 투입보다는 중무장한 병사들에 의한 각개전투에 의해서 작전이 수행되고 있다. 중무장한 병사는 행동이 제한되어 위치가 적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작전 지속능력이 떨어져 작전 임무수행에 많은 제한을 준다. 이러한 제한요소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전투수행을 위해서 인간의 능력과 로봇의 능력이 결합된 새로운 전투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어, 1960년부터 외골격 로봇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전투시스템의 장점은 전투원 각자가 높은 힘과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전투원이 움직이는데 최소한의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지속적인 전투수행으로 임무수행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되며, 외골격 로봇의 근간인 근전도 신호 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작의 기본인 걷기동작에 대해 형태별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블루터스칩을 활용하여 신호를 수집 분석하고, 수집된 신호를 활용 걸음 형태별 모습을 영상으로 재현하였다. 또, 임의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기존에 정령화된 DB값과 비교하여 걸음걸이 모양을 분석하였고, 임의의 근전도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걷기동작 모습을 영상으로 재현하였다. 또, 인간전투원의 발근육에 부착된 근전도 센서를 활용 신호를 수집하여 전투원의 걸음걸이 상태를 분석하여 작전 임무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 향후 인간 전투원에게 혈압, 심전도 등 신체정보 수집센서와 수집된 정보를 무선으로 통신하여 Data를 수집 분석 및 보안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EMG signals have been measured to classify Gait Pattern, the Bluetooth channels have been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signals, finally, Gait Pattern has been reproduced in animation. Furthermore, when arbitrary signals are gotten in to the program, the analyzed results compare to the predefined database, then actualize the arbitrary signals in animation. This study seems applicable and extensible to the battle field. Especially, human combatants putting a EMG sensor on leg muscles will be easily tracked, and monitored as they are fulfilling a mission by analyzing Gait Pattern of them. For the future study, the researches about the sensors collecting body conditions, such as blood pressure, an electrocardio-gram, etc., wireless communications which carries the data collected via the sensors, and the security of the communications should be followed.

      • 정상 성인의 시야 변화가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준혁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sual field on E.M.G of lower extremities during performance of arm reaching among healthy adults, and to compare differences of E.M.G of lower extremities between young and old adults according to visual fields of both eyes,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29 young persons in 20s and 19 elderly persons in 60s, totaling 48 pers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the muscle activation data of both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during the subject’s reaching performance for muscle activation of both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by using E.M.G. Data analysis used SPSS for Win Version 20.0 statistics program to conduc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visual fields and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visual fields and age. Results of this study significantly indicates the difference of left and right gastrocnemius muscle activation for both eyes, and, the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conditions during left and right side performance of reaching tasks in each 20s and 60s (p<.0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20s and 60s according to visual field conditions except left tibialis anterior muscle activation during left side performance of reaching. Left tibialis anterior muscle activation in 60s was higher than 20s during left side performance of reaching. We find out that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nondominant eye condition was higher than both eye and dominant eye conditions. And, tibialis anterior muscle activation in 60s was higher than 20s. We suggest that visual field conditions was the more effective factor for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improving balance, and, recommended as priority for evaluation of visual field cond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양측 눈, 우세 눈, 비우세 눈 등의 시야 변화가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하지 근활성도의 변화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건강한 성인 20대 29명과 60대 19명을 대상으로 양측 눈, 우세 눈, 비우세 눈의 시야 변화에 따른 팔 뻗기 과제수행 시 앞정강근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표면 근전도 분석 시스템과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시야 변화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차이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으며, 연령과 시야 변화의 관계는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대와 60대에서 양측 눈과 우세 눈, 비우세 눈 비교에 따라 왼쪽 팔 뻗기 과제수행 시 왼쪽 장딴지근, 오른쪽 팔 뻗기 시 오른쪽 장딴지근의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20대와 60대의 시야 변화와의 관계에서는 왼쪽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왼쪽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왼쪽 앞정강근의 근활성도가 60대가 20대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우세 눈 시야에서 자세조절을 위한 근활성도가 높았으며, 특히 나이가 많은 대상자 경우 자세조절을 위하여 앞정강근의 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균형을 위한 물리치료 중재 시 시야변화가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시야 변화에 대한 사전적 평가로 사용할 수 있을것이다.

      • 척추보조기 착용과 일어서기 운동전략이 지면반발력과 하지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균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spine orthosis and sit-to-stand motor strategies on ground reaction force (GRF)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Twenty healthy adult men participated, and subjects randomly performed sit-to-stand in three different conditions: momentum-transfer strategy (MTS); MTS with spine orthosis; and zero-momentum strategy (ZMS) with spine orthosis. Onset time, muscle activity, and GRF data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using forceplate and electromyograph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PC Ver. 13.0. One-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used as a post hoc test. A level of significance was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eak GRF and relative time to peak GRF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ree different condition (p>.05). (2) Onset time of four muscles in three different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5). (3) Tibialis anterior and rectus femoris muscle activity before hip-off and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and rectus fermoris muscle activity after hip-off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ree different condition (p<.05). A thesis wa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in physical therapy in February, 200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