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선체 종횡부재 연결부의 피로강도 평가를 위한 구조응력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김정환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피로 파괴란 구조물 요소에서 그 요소에 정적 하중 보다는 오히려 항복 응력 보다 낮은 범위 응력의 반복 하중에 의해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특히,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은 화물등에 의한 정적 하중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파랑에 의해서 항상 피로 파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 같은 대형 용접 구조물의 피로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에 각 부재는 예상되는 최대 하중 뿐만 아니라 그 구조물의 유효 사용 기간 중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따른 피로 파괴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피로 설계에 있어서 사용되는 피로강도 산정법으로는 공칭응력에 의한 방식(Nominal stress approach)과 핫스팟응력(Hot spot stress approach)에 의한 방식이 있다. 공칭응력에 의한 방법의 경우 기존에 분류된 S-N선도를 복잡한 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우며 핫스팟응력에 의한 방법은 유한 요소 해석 시 사용되는 요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그 결과 값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 역학적 평형조건을 바탕으로 요소크기에 둔감한 구조응력 기법(Structural stress approach)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응력 기법을 이용한 피로강도 평가에 있어서 실제 피로실험에 의한 검증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피로에 취약한 부분으로 알려진 종횡부재 연결부(Longi-web connection)에 대해 일련의 피로실험을 실시하고 구조응력 방법에 의해 계산된 피로수명 추정치와 실제 시험에 의한 피로수명을 비교•검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정확한 피로강도 평가 기법이 확립되고 그로 인해 선박 구조물의 피로설계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강교의 피로평가 시스템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박진우 한국해양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Achieve survival life of target construction and fatigue investigation through system development that can execute fatigue estimation of steel bridge by link of technology for development of element technology that can achieve quantitative and objective preservation administration techniques construction and efficient preservation administration system construction in this research. Wish to utilize this to basic data to preservation administration precedence decision based on survival life of target construction to foundation and enhance safety and durability, preservation administration's efficiency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teel bridge. Official business year's number analyzes domestic data for steel bridge synthesis because old bridge is judged that reasonable repair reinforcement countermeasure establishment need because can know that span effective span is weak on announcement because is short mostly as result that investigate domestic steel bridge fatigue special quality and executed strict data analysis because enforcing spot measure about representative bridge. Enforce by system that conduct fatigue safety estimation of bridge that is using in common actuality and the result analyzing result and comparison with fatigue safety Assessment program(FSAP) that is developed in Japan court university and validity of these system together examine .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유지관리 기법 구축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 체계구축을 수행할 수 있는 요소기술의 개발을 위한 기술의 일환으로 강교의 피로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대상 구조물의 잔존수명 및 피로조사를 수행한다. 이것을 기초로 대상구조물의 잔존수명에 기초한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에의 기본적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여 강교의 안전성 및 내구성, 유지관리측면에서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하고자 한다. 국내 강철도교 피로특성을 조사한 결과 공용년수가 오래된 교량은 지간이 대부분 짧아 피로에 취약함을 알 수 있어 합리적인 보수보강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강철도교에 대한 국내자료를 종합 분석하고 대표적인 교량에 대해 현장계측을 실시하여 엄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량의 실측데이터와 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비교 분석하여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각 교량의 영향면을 이용하여 실제 열차하중이 강철도 교량의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제 공용중인 교량의 피로안전성 평가를 본 시스템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일본 법정대학교에서 개발된 피로안전성평가 프로그램(Fatigue Safety Assessment Program, FSAP)과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본 시스템의 활용성과 타당성을 함께 검토하였다.

      • 재가 노인의 피로와 관련 요인

        정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피로는 노인이 흔히 호소하는 건강문제로 질환의 발병 및 악화와 관련되어 있다. 이는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은 노인의 삶의 질 감소와 의료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피로는 노화과정을 촉진하고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 노인의 피로 정도와 특성을 조사하고, 피로 악화 및 완화 요인을 통합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차자료분석연구로, 2015년 7월부터 9월까지 서울시내 1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피로(Fatigue severity scale, FSS), 우울(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 통증(Numeric rating scale, NRS), 신체활동(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elderly, K-PASE), 수면(Verran&synder-Halpern(VSH) Sleep Scale)을 설문지로 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2.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가 노인의 피로도는 3.46점으로 35.5%의 노인이 피로군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피로 관련요인에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한 결과 연령(p=.009), 소득수준(p=.003), 질환의 수(p<.001) 및 복용약물의 수(p<.001), 주관적 건강상태(p<.001)에 따라 노인의 피로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반면 성별, 교육 정도, BMI는 피로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피로 영향요인에 대해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p<.001), 우울할수록(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p<.001), 통증이 심할수록(p=.001),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서(p=.013) 피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노인의 피로와 관련된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 우울과 통증,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재가노인의 피로 감소를 위해 우울과 통증,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적절한 피로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Fatigue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experienced by elderly people. It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high prevalence of, and deterioration of chronic diseases which may lead to a decrease in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medical expenses for elderly people. In addition, fatigue is reported to promote aging process and increase mortality.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depression,, pain, physical activity, and sleep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fatigue. However, the related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tigue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are yet to be deter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fatigue of elderly peopl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atigue using an integrated approach. 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he raw data was collected from one of the welfare centers in Seoul from July to September, 2015, and the data of 200 elderly people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tigue (Fatigue severity scale, FSS), depression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 pain (Numeric Rating Scale, NRS), physical activity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Elderly, KPASE), and sleep (Verran & Synder-Halpern (VSH) Sleep Scale) were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Windows SPSS program (Version 22.0). As a result, the fatigue of elderly people was found to be 3.46, and 35.5% of them fell under the category of fatigue group. Fatigue was higher with such situations; older age (p=.009), lower income (p=.003), the higher number of diseases (p<.001), the higher number of medications (p<.001), and lower perceived health status (p<.001). On the other hand, gender, education,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found to be unrelated to fatigue.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s, (the explanatory power, 47.5%), fatigue increases with older age (p<.001), depression (p<.001), pain (p=.001), irregular exercise (p=.013), and lower perceived health status (p<.001). In conclusion, our study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pain,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were identified as manageable risk factors for fatigue alleviation of elderly people.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fatigue management programs for elderly people.

      • 치과 기공사의 피로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권효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작업시 발생하는 치과기공사의 피로자각증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치과기공사의 작업환경 만족도에 따라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치과기공사의 급여 만족도에 따라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치과기공사의 신체증상경험에 따라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 9월부터 한달간 대구 소재의 치과기공소를 방문하여 약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변량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증상경험이 피로자각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적요인이었으며 작업환경만족도가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부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일일근무시간이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정적 요인이었다. 그 다음으로 피로인지시기가 영향력이 큰 정적 요인이었고, 마지막 업무경력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즉 치과기공사들의 피로자각증상은 업무경력이 길수록, 작업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적게 나타나는 반면, 일일근무시간이 길수록, 피로인지시기가 근무 중일 때, 신체증상경험이 두드러질수록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체로 소장 및 고 년차의 숙련공 보다 저 년차의 치과기공사들이 많은 피로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작업환경과 처우 부분에 대해서도 개선점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모든 치과기공사들을 일반화 할 수는 없지만 치과기공사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작업환경의 문제점 등을 개선하는데 좀 더 구체화되어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tigue awareness symptom of dental technicians that occur during working. For the purpose, firs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echnician's work satisfaction on fatigue awareness symptom. Seco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echnician's salary satisfaction on fatigue awareness symptom. Thir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echnician's physical symptom experience on fatigue awareness symptom.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bout 300 people by visiting dental laboratories in Daegu for one month from September, 2017. As for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grasp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varianc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symptom experience was the positive factor that has the biggest effect on the fatigue awareness symptom,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the negative factor that has the next-to-biggest effect, and then daily work time was the positive factor that has the next-to-biggest effect. Next, fatigue perception period was the positive factor that has a big effect, and last work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The longer the work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lesser the fatigue awareness symptom of dental technicians, while the longer the daily work time, the more remarkable the physical symptom experience, and while on duty, the more remarkably the fatigue perception period was revealed. This indicates that the early careered dental technicians felt more fatigue than the chief or the multi-year skilled workers, and an improvements should be presented concern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better treatment. This study might be a good guide in more specifically raising the efficiency of dental technicians' work and improving the problem of working environment, though it can not generalize all the dental technicians.

      • 선체구조의 피로강도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김선용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일반적으로 피로해석에는 Stress-life approach와 Strain-life approach 그리고 Fracture mechanics approach의 세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Stress-life approach(S-N 방법)는 일반적으로 크랙의 발생과 성장이 구분되지 않는 총 수명을 나타내며 Strain-life approach(Crack initiation)는 단지 크랙의 발생에만 관계되는 방법이다. 그리고 Fracture mechanics approach(Crack growth)는 크랙이 발생했을 경우 크랙의 성장과 전파에 관계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DWT 3,100,000 ton 이중선각유조선의 선측종늑골에 대해서 피로수명평가를 하였다. 크랙발생수명과 크랙성장수명을 계산하여 총 수명을 예측하고 이를 S-N방법과 비교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한국선급의 피로강도평가지침에 의한 간이 피로해석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To investigate the fatigue life of structures, typically three methods are applied that are stress-life, strain-life, and fracture mechanics approaches. The stress-life approach with S-N curve is commonly applied to investigate the total fatigue life. However this method is limited to interpret accurately the crack initiation or propagation. The straln-life approach with crack initiation only concerns the initiation of crack. The fatigue mechanics approach can explain the fatigue life with consideration of crack initiation and its growth. The paper describes on the fatigue strength of a longitudinal web frame of a 310,000 DWT double hull tanker. The total life of the tanker is predicted by evaluation of crack initiation and its growth lives. The results are compared both with S-N method and the fatigue strength assessment rule developed by Korean Register of Shipping.

      • 혼합모드 하중에서 피로균열진전거동 특성의 평가

        우은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균열을 갖고 있는 구조물에 피로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손상허용설계를 위하여 피로균열진전거동 평가법을 기초로 한 피로균열수명의 평가가 필요하다. 실제 구조물에는 인장, 전단, 굽힘 및 비틀림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혼합모드 피로하중이 가해지고, 피로균열의 발생과 진전이 복잡한 양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혼합모드 피로하중을 받는 균열의 진전방향은 혼합모드의 정도에 따라 크게 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혼합모드 피로하중에서 균열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 균열이 진전할 때마다 새롭게 생성되는 균열 선단에서 균열의 진전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혼합모드 피로하중을 받는 균열의 진전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선형파괴역학을 기초로 한 응력확대계수 평가식, 피로균열진전 특성을 평가 할 수 있는 Paris식 그리고 균열진전경로 예측을 위한 MTS 기법(Maximum Tangential Stress Theory)을 도입하였다. 혼합모드 피로하중의 정도가 커짐에 따라 기존의 평가법으로는 균열진전경로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롭게 생성되는 균열 선단의 응력확대계수 산정을 위한 유한요소해석법(Finite Element Method)과 마이크로소프트 Excel을 이용한 균열진전경로 예측식을 결합한 FECTUM 기법(Finite Element Crack Tip Updating Method)을 CTS 시편(Compact Tensile Shear Specimen)에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아울러 개발한 기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SENB 시편(Single Edge Notch Bend Specimen)을 대상으로 한 편측 3점 굽힘(Eccentric Three Point Bending) 문제에 적용한 결과, 파단 될 때까지의 피로하중 반복수가 오차율 3% 미만으로 잘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 FECTUM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피로수명을 고려한 전방 서브프레임의 점용접 이음 위치최적설계

        전상훈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피로하중 하에 있는 박판 구조물의 피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설계기법들이 제시되어왔으나, 박판의 두께와 단면 형상이 설계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점용접으로 접합된 박판 구조물의 피로성능에 있어서 점용접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점용접에 대한 피로수명 예측과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설계가 이루어져야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피로하중 하에 있는 박판 구조물의 점용접 이음의 피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용접 이음의 위치최적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차체의 경우 다수의 점용접으로 접합되기 때문에 이러한 다수의 점용접 유한요소 모델링을 위해서 용접전용 유한요소를 사용하여 모델링 시간 및 해석 시간의 단축을 꽤하였으며, 점용접 피로해석 모듈을 사용하여 점용접 이음간의 상대적 피로수명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점용접의 상대적 피로수명을 통해, 무한피로수명을 나타내는 점용접의 제거와 짧은 피로수명을 나타내는 점용접의 위치최적설계를 실시하였다. 위치 최적설계에 있어 3수준계의 직교 배열표를 이용한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선정한 설계변수들에 대해 민감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적의 설계변수조합을 구함으로써 새로운 모델을 생성할 수 있었다. 점용접의 위치 최적설계기법을 실제 생산되고 있는 상용차량의 井자형 전방 서브프레임에 적용한 결과, 기존모델에 비해 점용접 수를 상당수 줄이면서 피로성능을 향상시킨 새로운 모델을 설계할 수 있었다.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spot welds under fatigue conditions must be determined in the early design stage of the vehicle structure development. Because of mass production, reduction of the number of spot welds without sacrificing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structure can mean a great saving in production cost. This paper addresses the optimiz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number and pitch of the spot welds of a vehicle structure under fatigue conditions. Pitch optimization is performed to enhance fatigue life of spot welds. The three-level orthogonal array is employed to evaluate the design sensitivity and the best combination of the design variables is obtained. The proposed optimal design method is applied to the sub-frame structure to demonstrate the validation showing that it can improve the fatigue life nearly 8 percent as that of the baseline design, while reducing the 20 percent of the number of spot welds as that of the baseline design.

      • 성인의 만성피로 모형 개발

        박미숙 梨花女子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7

        Chronic fatigue is a subjective-perceived state by which an individual experiences a decreased capacity to perform physical and mental work, excessive and persistent tiredness, and lack of energy. The prevalence rate of chronic fatigue range 5 to 15% of those visiting primary care facilities contrast to 1 to 10% in general populations. Chronic fatigue can negatively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and lead to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increase in the use of healthcare services, which result in the expansion of social costs. It can also cause financial, economic, and sociological problems of society. In spite of being an early sign or symptom of clinically important diseases and development of diseases, chronic fatigue has been restrictively studied on the correlations or relationships between fatigu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tegrate factors associated with fatigu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o develop a model for chronic fatigue in adults who complain the persisting symptom over 1 month in order to explain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 fatigue and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to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relief of chronic fatigu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as used a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in this study to test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for chronic fatigue. Exogenous variables in the model are the subjects backgrounds such as age, numbers of children, and marital status. Endogenous variables include depression, stress, sleep, exercise, drinking of alcohol, and chronic fatigue. The total number of measurable variables for the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s is 17. 14 hypothetiical paths were determined into. The subjects consist of 187 adults visited an fatigue clinic, and family practice and health promotion centers in seven hospital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including Revised Fatigue Scale (Chalder et al. 1993), Self-Rating Depression Scale(Zung 1965),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Stress Instrument(Frank and Zyzanski 1988), exercise, sleep, drinking of alcohol, smoking and diet pattern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Data were gathered from February 19, 2001 to April 5, 2001. SAS version 8.01, LISREL version 8.12a, and PRELIS version 2.30s for Windows Program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hypothetical model suggested did not show a proper fit with the empirical data (X2=311.39, df=105, p=0.00, GFI=0.90, AGFI=0.86, NFI=0.81, NNFI=0.82, RMR=0.10, PGFI=0.62). The model modified in this study fitted better with the data except X2 and RMR(X2=134.88, df=99, p=0.00, GFI=0.96, AGFI=0.94, NFI=0.92, NNFI=0.97, RMR=0.069, PGFI=0.62). New hypotheses emerged from the revised model were tested.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were as follows : Depression, stress, exercise had a significant influences on subjects chronic fatigue directly. Subjects backgrounds such as age, numbers of children, and marital status influenced only total effects withou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hronic fatigue. Stress, exercise, sleep, drinking of alcohol and backgrounds of subjects accounted for 88% of the variance of subjects chronic fatigue. Depression and str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leep and explained 27% of the variance of sleep. Also, de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exercise. Depression and stress explained 1% of the exercise variance. Backgrounds of subjects had a direct effect on stress and explained 2% of stress. In conclusion, depression, stress and exercise had a direct effects on subjects chronic fatigue. And depression and stress influenced directly on sleep. Depression also showed a direct effect on exercis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odification of depression and stress, and exercise could be essential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relief or prevention of chronic fatigue. When health professionals apply nursing interventions to treat chronic fatigue and to manage stress, they should consider the effects of clients background on chronic fatigue and stress. 만성피로는 신체적, 정신적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의 감소와 과도하고 지속적인 피곤과 에너지 부족에 대한 주관적인 지각상태를 말한다. 이 증상은 일차 의료 기관을 방문하는 환자들 중 5-15% 정도에서, 일반 인구 집단의 1-10%에서 흔하게 호소되고 있다. 또한 피로는 정상적인 일상을 방해하거나 질적인 삶의 수준을 격하시키고, 업무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건강 간호 서비스의 이용과 사회적 비용의 증가라는 면에서 재정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로는 임상적인 면에서 중대한 질병의 초기 증상이거나 그 진행을 의미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만성피로와 영향 요인들에 대한 관련성이나 상관성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만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에서 1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피로를 설명하고 이의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피로의 영향 요인들을 종합하여 만성피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토대로 만성피로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정하는 공분산구조분석 연구이다. 연구에 포함된 이론 변수는 외생변수로 연령, 자녀수, 결혼상태와 같은 대상자 특성, 내생변수로 우울, 스트레스, 수면, 운동, 음주, 만성피로의 7개와 측정변수 17개로 구성하여 총 14개의 가설 경로를 설정하였다. 연구도구는 Chalder et al.(1993)의 수정된 피로 척도, Zung(1965)의 자가평가우울 척도, BEPSI 한국어 수정판(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Frank and Zyzanski 1988)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수면, 운동, 음주, 흡연, 식이 섭취 양상 및 대상자 특성에 대한 내용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편의추출로 1개의 피로크리닉과 7개의 건강검진센터 및 병원 외래를 방문하는 초진 환자 중 1개월 이상 지속적인 피로를 호소하는 성인 187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2001년 2월 19일부터 동년 4월 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SAS 8.01 version, LISREL 8.12a for Windows Program, PRELIS 2.30s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수집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설적 모형과 수정 모형의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 부합지수는 카이자승치 311.39(자유도=105, p=0.00), 원소간 평균차이 0.10, 기초부합치 0.90, 조정부합치 0.86, 비표준부합치 0.82, 표준부합치 0.81, 간명기초부합지수 0.62로 나타났으며, 세부적 지수에서 표준잔차, 추가지수, Q-Plot에서 가설적 모형의 수정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가설적 모형의 가설 검정 결과 14개의 가설 중 7개가 지지되었다. 만성피로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요인은 우울과 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자녀수, 결혼상태, 연령과 같은 대상자 특성은 만성피로에 직접적,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총 효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 스트레스, 수면, 운동, 음주 및 대상자 특성이 만성피로를 설명하는 정도는 99%였다. 우울은 수면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과 스트레스가 수면을 22% 설명하였다. 우울은 운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과 스트레스가 운동을 1% 설명하였다. 대상자 특성은 우울과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을 1%, 스트레스를 4% 설명하였다. 더 바람직한 모형을 찾기 위해 가설적 모형의 추가지수에 의하여 모형을 수정하였으며, 수정 모형의 전반적 지수로 카이자승치 134.88(자유도=99, p=0.00), 원소간 평균차이 0.069, 기초부합치 0.96, 조정부합치 0.94, 비표준부합치 0.97, 표준부합치 0.92, 간명기초부합지수 0.62로 나타나 카이자승치와 원소간 평균차이를 제외하면 모형의 적합도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 지수인 표준잔차, Q-Plot도 가설적 모형에 비해 향상되었다. 수정모형의 가설 검정 결과 14개의 가설 중 8개가 지지되었다. 만성피로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은 우울, 스트레스, 운동으로 확인되었고, 자녀수, 결혼상태, 연령과 같은 대상자 특성은 만성피로에 직접적, 간접적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총 효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 스트레스, 수면, 운동, 음주 및 대상자 특성이 만성피로를 설명하는 정도는 88%였다. 우울과 스트레스는 수면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수들에 의한 수면의 설명력은 27%였다. 우울은 운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과 스트레스가 운동을 1% 설명하였다. 대상자 특성은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를 2%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만성피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스트레스, 운동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스트레스는 수면에, 우울은 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우울과 스트레스의 관리를 통해 만성피로를 감소시키고, 적절한 수면을 유도하며, 우울을 완화시켜 규칙적인 운동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만성피로가 감소될 수 있도록 간호 중재를 모색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 결혼상태, 연령과 같은 대상자 특성은 스트레스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거나 만성피로에 직접, 간접 영향 관계가 파악되지는 않았지만 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의 관리와 만성피로를 간호중재 할 때는 자녀수, 결혼상태, 연령 같은 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