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품질 언어자원 구축을 위한 말뭉치 품질 관리 방안 연구 : 세종말뭉치 문어 자료를 중심으로

        곽용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고품질 말뭉치 구축을 위한 품질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로써, 기존의 말뭉치 오류 처리를 품질 관리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말뭉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말뭉치의 품질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관리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Brown 말뭉치의 등장과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말뭉치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국내외에서 말뭉치의 품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러나 지속적인 말뭉치의 오류 정제에도 불구하고, 말뭉치의 품질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말뭉치 데이터에 데이터 품질관리를 적용하고, 말뭉치의 구축 목적과 설계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 값(value), 구조(scheme), 절차(process)를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품질 검사를 통한 데이터 상태 및 현황 정보, 변경 절차를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말뭉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2장에서는 산업 제조 분야의 품질관리, 소프트웨어 분야의 품질관리, 데이터베이스ㄹ 분야의 품질관리 발전 과정과 품질의 정의, 관리 대상, 기법 등을 살펴보고, 오류의 정제와 품질관리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데이터 품질관리 지침, 품질 진단 절차 및 기법을 검토하여 말뭉치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본 요건을 선정하였다.3장에서는 말뭉치 데이터의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유형별로 구분한 뒤, 세종말뭉치를 중심으로 데이터별 특징과 주요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품질관리 대상과 품질 기준, 품질 검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선정하였다.4장에서는 세종말뭉치에 대한 오류 분석과 정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오류의 유형과 사례를 살펴보고, 말뭉치의 품질 관리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오류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원시 말뭉치와 분석 말뭉치, 관련 지침간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말뭉치 데이터의 무결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또한, 말뭉치 품질관리 모델에 적용될 말뭉치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 교정 절차를 도출하고, 설계 정보에 의한 데이터 접근 방안, 말뭉치 무결성 원리를 이용한 반복적 품질관리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말뭉치 품질관리 모델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말뭉치 품질관리 체계를 확립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오류를 발견하고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오류를 지속적으로 잔존시키는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제안한 말뭉치 데이터 구조와 특성, 품질관리 모델을 수용하는 말뭉치 관리 시스템(Corpus Management System)을 소개하였다. 말뭉치 관리 시스템(CMS)는 메타데이터(서지정보)와 말뭉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말뭉치를 통제하며, 표본 변환(표본 파일을 CMS에 적재하는 것), 열람(원문 보기), 색인/검색, 오류관리, 말뭉치 설계 등을 지원한다.6장에서는 3장, 4장에서 도출한 말뭉치 품질 관리 모델과 체계에 따라, 세종 형태 분석 말뭉치에 포함되지 않은 원시 표본으로 구성된 말뭉치의 품질 관리를 수행하였다. 구성된 말뭉치는 말뭉치 관리 시스템(CMS)에 적재하고, 품질 검사, 오류 현황과 사례 분석, 원인과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 추가된 약 4500만 어절이 세종 형태 분석 말뭉치와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이상의 논의를 통해, 제안한 말뭉치 품질 관리 방안이 구축 목적과 설계 요구 사항에 기반하여 체계적으로 오류를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방법은 구축된 말뭉치의 품질 개선 뿐만 아니라, 말뭉치의 규모 확장, 신규 말뭉치의 구축, 부가정보의 확대에 활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고품질의 언어 자원 구축과 활용, 규모 확대를 위해서는 본격적인 품질관리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건설품질관리 시스템의 실무적용시 도출된 문제점에 의한 성능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 “D”건설사 품질관리 시스템을 중심으로

        강현진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most companies are trying to do their best to upgrade quality and minimize construction risks by eliminating inefficient activities in construction. Especially, quality management on construction work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 in construction business. While quality management system was applied to construction the field, information for quality management was performed unsystematically. The owners of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interested in new and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practical applications. Effective improvement of IT(information technology) has brought the change of quality management method from the end of 1990's. Each construction company hereby has utilized various quality management systems to achieve the improved competitions on quality.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reviews on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currently applied to current construction company is investigated and studied to find problems and causes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Findings and suggestions one listed as following : First, there has been insufficient practical applications on the curr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System improvement can be achieved for accomplishing with reducing the occurrence of the overlapped work and minimizing the omission of items on management. Second, 67% of interviewees thought that technical changes on the system was required. Since the curr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has only developed to focus on monitoring function, it is limited to develop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refore, system applications having the function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need to provide the improved menus and the associated information for achieving overall quality management works. Third, there is a connecting problem between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ther systems(EDMS). Functional improvement has been needed for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work by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ther related system in consequence of interlocking system formation. Fourth, well-designed and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for training quality managers are needed. Fifth, many technical system, errors occurred in operating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is implemented on intranet. In or den to minimize damages caused by system errors, technical improvements of the system is sequined. In this research, a survey to personnels working in qual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was conducted. The survey addressed many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accomplishing the appropriate applications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more studies and efforts need to be pursued. 건설 시장의 개방에 따른 국제 경쟁 체제를 맞이하면서 각 건설사에서는 건설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부실공사를 방지하여 품질의 고급화, 시공오류의 최소화를 목표로 실현 방안 구현에 따른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는 공사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건설공사의 품질관리 활동에서 요구되는 정보가 문헌 등에 산만하게 분산되어 있거나 중복 기술되어 있어 실제 사용하기에 매우 비효율적이고 정보관리 체계가 수립되지 않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이 미흡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정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건설공사는 과거의 이러한 품질관리의 소홀에 따른 문제를 인식하여 체계적이며 정량화된 새로운 품질관리 방법의 연구 및 실제사례 적용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IT(Information Technology)업계의 혁신적인 발전은 품질관리 방법의 변화를 주도하게 되었으며 이에 각 건설사 마다 다양한 품질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강화된 품질 경쟁력을 획득하게 되었고 이는 곧 기업의 경쟁력으로 보편화 되었다. 따라서 건설 산업에서 품질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보편화됨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어왔다. 이에 과거의 건설품질관리의 문제점 개선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의 품질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실무에 적용중인 품질관리시스템의 동향분석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로는 종합건설사를 중심으로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축현황을 파악하여 분석된 동향분석 자료는 본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품질관리의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한 현재 각건설사에서 사용 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의 비교·분석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실무에 적용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문제점 도출을 연구 목표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D”건설사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연구 모델로 선정하였으며, “D”건설사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분석 후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품질관리시스템의 실무적용시 도출된 문제점과 이에 대한 성능개선 방향을 조사 하였으며, 연구를 통한 품질관리 시스템의 실무적용시 문제점 및 성능개선 방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품질관리 업무 수행에 있어 품질관리 시스템의 활용도는 시스템 도입시 예측된 기대치 보다 상당히 낮은 실정이다. 이에 현장 품질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즉, 통합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품질관리 활동에 있어 분산된 업무처리 방식과 기능적으로 제한된 품질관리 시스템을 개선하여 중복 업무의 발생량을 줄이고 품질관리활동 내용이 누락 되는 경우를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품질관리 시스템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종합적 요소를 갖춘 시스템으로의 성능개선에 방향을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품질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개선에 대한 발전 방향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7%가 Quality Management System으로 기능적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현재 사용 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은 그 기능이 모니터링 수준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이는 품질관리 활동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품질시험기준, 품질시험방법, KS(Korea Standards)규격정보, 각종 시방서, 측정검사에 대한 표준 양식, 각종 법령, 실시간 주요자재 수불현황 등에 관련한 기본 정보 제공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각종 중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효과적인 정보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으로의 성능개선에 방향을 두어야 할 것이다. 셋째, 타 시스템(예를 들면 전자문서관리 시스템)과 자동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는 기능적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품질관리 시스템에서 작성된 업무의 일부만이 타 시스템으로 연동되고 있으며, 반면에 타 시스템에서 작성된 업무는 품질관리시스템으로 연동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한 번의 입력으로 그 정보가 연동된 두 시스템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시스템에 따로 입력이 필요한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품질관리 시스템과 타 시스템간의 연계성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개선 할 수 있다. 넷째, 품질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사 차원에서의 품질관리인력확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사용 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은 비교적 간단한 수준의 시스템으로 운영교육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교육보다는 매뉴얼, 동영상 자료 등으로 간접적인 교육만으로도 가능하다. 하지만 품질 담당자는 단순히 품질관리 시스템만을 기술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 품질관리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 하여야 함으로 품질관리 시스템의 운영교육에 앞서 품질관리활동에 적합한 정기적인 이론 및 실무교육이 선행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품질관리 시스템의 에러로 인한 업무 손실에 대한 방지 대책으로 안정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현재 운영 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은 사내 인트라넷 내에서 보안 접속이 이루어진 후 각 단계별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 시스템의 사용 시 보안접속 및 각 단계별 이동시 시스템 상에 잦은 에러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내에서의 품질관리 활동 사항 입력 후 전자 결재 과정에서 에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 중인 PC시스템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다른 업무에도 차질을 주고 있다. 안정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을 위해서는 시스템 접근 방법의 단순화와 업데이트된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품질관리 시스템의 에러로 인한 업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무에서 운영 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의 사례 분석과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품질관리 시스템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사용 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성능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품질관리 시스템의 실무 도입 후 각 건설사에서는 도입된 품질관리 시스템의 운영상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찾아 개선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 중인 품질관리 시스템의 역할이 품질관리의 전반적 업무를 수행하기에는 기능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현 품질관리 시스템의 실무적용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된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실무적용을 이루어 품질관리 업무의 효율화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 품질관리활동 정착을 위한 인적자원관리활동 : A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기옥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정보화․세계화는 기업을 무한경쟁으로 이끌었으며 가격경쟁은 물론 품질경쟁의 중요성을 부각시켰으며 기업들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중소 제조기업은 재무적․인적 자원이 대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악하기 때문에 품질관리활동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도입․운영하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한경쟁시대에서 중소제조업체이 성공적으로 품질관리활동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품질관리활동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검토하였는데 그 주요 내용으로는 품질관리(분임조)활동의 정의 및 우리나라 도입현황 등에 대하여 살펴보였으며 품질관리활동을 도입하는 절차 및 이 과정에서의 유의사항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품질관리활동을 성공적으로 도입․운영하기 위하여 목표관리(MBO) 관점에서도 연구․검토할 사항들을 점검하였다. 한편 품질관리활동을 도입한 중소제조업체인 A 기업(자동차부품 생산)을 대상으로 품질관리활동의 도입과정을 사례분석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A 기업에서는 CEO가 품질관리활동의 필요성에 대하여 자각하고 중간관리자와 협력적 관계를 통하여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그 결과 재무적 성과를 얻었다. 둘째, 품질관리활동에 필수적인 불량발생원인 및 그에 따른 비용분석과 개선기법 등에 대한 교육훈련을 실시하여 직원 스스로 문제를 도출하고 이의 해법을 강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주었다. 셋째, 직원 스스로가 적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와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품질관리활동을 설계하여 직원의 자율적인 활동을 유도하였다. 단, 본 연구는 지방의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사례연구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첫째, CEO의 품질관리활동에 대한 확고하고 강력한 추진의지가 필요하다. 둘째,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직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기법 및 통계기법 등을 습득하도록 교육훈련을 강화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원 스스로 적절한 목표설정 및 평가 그리고 인센티브의 제공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시사하고 있다.

      • 군 시설공사의 품질관리 현황 연구

        김정민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가발전의 선진화에 따라 군 시설공사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2004년 이후 활성화되고 있는 병영시설 개선공사 등 군 시설공사가 규모가 커지면서 공사 관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하는 군 시설공사의 품질관리 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군 현장 실무자들을 통항 설문조사로 제시하고 그에 따른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품질관리 조직과 교육, 품질관리 기준과 도구, 품질관리 공통사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군 시설 공사 주체의 품질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형식적인 조직편성 및 교육실시, 만족도가 떨어지는 지침서, 시공 및 감독부대의 독립성 확보제한 및 잦은 설계변경, 사용부대의 무리한 요구사항 등이 군 시설공사 품질관리에 제한사항을 도출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군 시설공사 품질관리에 대한 조직 재편성과 교육의 활성화, 시공부대 및 공사감독관의 독립성 확보, 품질관리의 아웃소싱 추진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군 시설공사의 품질관리를 개선하고 나아가 양질의 시설물을 생산하여 군 방위력 증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in the nation, equipment construction of the army is being grown so fast. expanding the scope of equipment construction of the army such as improvement in a bar-rack life activated on and after 2004, there are many interests in the supervision of the construction. In this studies, problems about quality control of developing equipment construction will be showed as the survey which is fulfilled by field servicers, and then improvement facts for problems will be presented. The survey includes questions which are a formation and an education of quality control, a standard and equipment of quality control. Here are general ideas about problems in the below. Conventional organization of formation and formal education, a guide which is can not be satisfied with quality control, lacking of self-reliance for a construction work and a supervising military unit, frequent changes in design drawings, burdensome requirements coming from military units that use the facility are the biggest problems that restrict the quality control for the equipment construction of the army. making better these problems, revitalization of the education, reorganization of formation, ensuring self-reliance for working construction units and supervisors are the good ideas. Through the studies, these good ideas will help for quality control of the equipment construction, and furthermore, these help reinforcement of defence capacity of the army producting good quality equipments and facilities.

      •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공동주택관리품질에 관한 연구 : AHP 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관리품질 중요도 산정을 중심으로

        이준희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Approximately 70% of Koreans live in multi-family housings, namely apartments. It is because apartments are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t facilities; provide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privacy for individual households, and residents do not have burden of managing the apartment.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in 2009 and joined the global trend to reduce the carbon footprint and also established the <Green Building Construction Support Act> in the architecture industry to promote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buildings with high energy efficiency and green modeling. Furthermore, the demand for apartments for investment is decreasing due to the diminishing population arising from low birth rate, increase of housing supply and economic slowdown. Hence, the supply increase rate of multi-family housings is gradually declining after peaking in 2002. Such economic environment change surrounding apartments is changing the preference of apartments to smaller-sized and highly efficient apartments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of aged apartments with the decline of new apartments supply. Meanwhile, although apartments are very convenient and allow residents to have a completely separate space from other residents, this restricts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culture, and such individualistic thinking of residents caused mostly indifference of the management of apartments. Such indifference also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occurrence of various problems including corruptions by representatives of the resident committee and the superintendent’s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HP on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midst such economic environment background surrounding apartments, and present a measure to enhance the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ere classified in three-step hierarchy structure comprised of large, medium, and small categories;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related to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as analyzed. The large category was analyzed by maintenance cost adequacy, energy efficiency, operation transparency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adequacy. As a resul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large category, operation transparency (0.435) was assess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maintenance cost adequacy (0.223), maintenance management adequacy (0.223), and energy efficiency (0.119).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medium category for management fee adequacy, management fee for common area adequacy (0.463) was assess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long term repair reserve adequacy (0.279), and individual usage fees adequacy (0.258). In the medium category for the operation transparenc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ransparency of the management fee accounting (0.426) was assess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importance at administration authority transparency (0.315), and representatives of resident meetings transparency (0.259).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medium category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dequacy, defect repair (0.433)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cility management (0.355) and long-term repair program (0.212) We have calculated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medium category and the small category and derived the absolute importance by aggregating the result. In the absolute importance, building’s annual energy usage amount (0.119) in the energy efficiency item ranked no. 1, followed by management fee for common area adequacy compared with similar complexes (0.103), transparency of management fee for common area (0.068), long term repair reserve adequacy compared with similar complexes (0.062), and individual usage unit fee per unit area adequacy compared with similar complexes (0.058) The policy proposal related to the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based on the economic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s and AHP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nnual energy usage amount of the building in the energy efficiency area was deriv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affect the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Therefore, we have proposed to first implement a ‘green modeling’ for aged multi-family housing, and have proposed to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by promoting the remodeling of aged multi-family housings by introducing an accrual rate reserve floor system to accumulate a sufficient long term repair reserve and newly starting a long term repair reserve insurance. Second, the management fee for common area adequacy was der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management fee adequacy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 for residents to easily compare the management fee such as the management fee for common area and long term repair reserve with other similar complex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et-up a similar complex standard and unify the management fee imposed area as ratio of area for exclusive use. Furthermore, tenants that account for a considerable number of entire residents must participate in the resident representative committee to induce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residents. Third, the accounting of the management fee, in particular the accounting transparency for the management fee for common area wa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operation transparency area. As a measure to prevent a cursory implementation of the mandatory external audit system, we have proposed the change of the accounting period of the management fee for common area and securing of an appropriate audit commission fee by setting up an allowance for the external audit. Fourth, the defect 우리 국민의 약 70%는 공동주택, 특히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아파트는 다양한 생활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직접 관리해야 하는 부담이 없고, 개별 세대의 프라이버시 보호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지난 2009년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제정하면서 국제적인 탄소감축 추세에 동참하기로 하였으며, 건축물 분야에서도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을 제정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건축물의 신축, 그린리모델링의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출생률 저하에 따른 인구 감소, 주택 보급률의 증가, 경기 침체 등으로 아파트에 대한 투자 수요가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공동주택 공급 증가율은 2002년을 정점으로 점차 둔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아파트를 둘러싼 경제환경의 변화는 아파트에 대한 선호 트렌드를 소형화, 고효율화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신축 아파트의 공급이 줄어듦에 따라 노후 아파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아파트는 편리성이 높은 반면 세대 간 단절 효과가 크기 때문에 공동체 문화 형성에 한계를 보여 왔으며, 이러한 입주민들의 개인주의 성향으로 인하여 아파트 관리에 대해서도 대부분 무관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입주민들의 무관심은 입주자대표회의 및 관리사무소장이 아파트 관리를 둘러싼 부정 등 각종 문제점을 일으키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아파트를 둘러싼 경제환경 속에서 공동주택관리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AHP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공동주택관리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관리품질에 미치는 요인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항목의 3단계 계층구조로 구분하고, 공동주택관리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공동주택관리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대분류 항목은 관리비 적정성, 에너지 효율성, 운영 투명성, 유지관리 적정성으로서 분석결과, 대분류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는 운영 투명성(0.43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관리비 적정성(0.223), 유지관리 적정성(0.223), 에너지 효율성(0.119)의 순으로 중요도가 산정되었다. 관리비 적정성의 중분류 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는 공용관리비 적정성(0.463), 장기수선충당금 적정성(0.279), 개별사용료 적정성(0.258) 순으로 나타났다. 운영 투명성의 중분류 항목은 관리주체 투명성(0.315), 입주자대표회의 투명성(0.259), 관리비회계 투명성(0.426)으로서, 관리비회계 투명성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유지관리 적정성 분야의 중분류 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는 하자보수(0.433), 시설관리(0.355), 장기수선계획(0.2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분류 및 세분류 간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고 이를 종합하여 절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였으며, 절대적 중요도는 에너지 효율성 분야의 건축물의 연간 에너지 사용량(0.119)이 1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사단지 대비 공용관리비 부과 적정성(0.103), 공용관리비 회계 투명성(0.068), 유사단지 대비 장기수선충당금 적립요율 적정성(0.062),유사단지 대비 개별사용료 면적당 단가적정성(0.058) 순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의 경제환경과 AHP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공동주택관리품질과 관련된 정책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 효율성 분야의 건축물 연간 에너지 사용량은 전체 요인 중 공동주택관리품질에 가장 영향이 큰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노후 공동주택의 경우 ‘그린리모델링’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충분한 장기수선충당금의 적립을 위한 적립율 하한제의 도입, 장기수선충당보험의 신설 등을 도입하여 노후 공동주택에 대한 리모델링을 촉진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관리비 적정성 분야에서는 공용관리비 적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입주민들이 유사단지와 공용관리비, 장기수선충당금 등 관리비를 손쉽게 비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유사단지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비 부과면적을 전용면적으로 통일하여야 한다. 또한, 입주민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입주민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임차인이 입주자대표회의에 참여해야 한다. 셋째, 운영 투명성 분야에서는 관리비회계, 특히 공용관리비 회계 투명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의무화된 외부감사 제도의 형식적 운영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주택 관리비의 회계기간 변경, 외부감사충당금 설정을 통한 적정한 감사수수료의 확보를 제안하였다. 넷째, 유지관리 적정성 분야에서는 하자보수 적정성이 관리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주체의 적극적인 하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준공 후에도 건설주체의 정기적(5년 또는 10년)인 하자점검 및 보수의무를 제도화하고, 선제적 하자보수 실적이 뛰어난 건설업체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업주체 스스로 하자관련 정보를 각 동별 게시판 등을 통하여 공개함으로써 입주민들의 민원을 적극적으로 해소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입주민들의 자발적

      • 우리나라 照明業界의 品質管理 實態에 관한 硏究 : 白熱電球 製造業體를 中心으로

        차성훈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8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quality control of the lighting business firms in our country. I have adopte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for the method of examination and the oral Interview was conducted for 6 bueiness firms, and the questionaire was used for all the member firme (25 in number) of the Korea Lighting Industry Corporation. As a reault of the exmina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24% of them have been activity performing the quality control ; 60 % inactivily : and 16% only superficially The problems pointed out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Lack of recognition and concern for quality control on the part of the top manager. 2. Lack of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3. □□□ of positive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s of quality control and of the participation of all employees. 4. Necessity of officiant education in quality control 5. Use of simple technique of the quality control 6. Lack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of each section. 7. Lack of financial support from the company for the activities of each section. 8. Negligence of the company specification. 9. And deterioratin of the quality of raw mateials.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the lighting business firms in our county should, overcome this difficult situation by means of improvement of quality, effectiveand officient management, and systematic quality control, and at the same time, that the government agencies concerned, should guide all firms with new information so that they may perform the quality control wholly.

      • 6시그마를 이용한 국가통계 품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외 품질관리 비교 및 새로운 대안제안을 중심으로

        이경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가통계의 활용도와 그 범위가 늘어나면서 통계품질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가통계 수요자들도 더 이상 정확하고 신속하기만한 통계에 만족하지 않으며, 이용자의 적합성까지 고려한 통계품질관리를 원하고 있다. 현재 각 나라들은 대부분 분산된 기관들에서 생산하는 통계들의 일관된 품질체계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통계의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 나은 통계품질을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통계품질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우리나라와 비슷한 규모와 환경을 가진 나라들과 통계 선진국(OECD기준), 국가통계를 다루는 일부 세계기구들의 통계생산 및 품질관리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해 보았다. 또한 각 국가와 여러 기관에서 작성되는 다양한 국가통계의 활용 및 비교가 용이하도록 통계품질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6시그마 DMAIC(기존 품질관리체계 개선에 초점을 맞춘)을 이용한 통계품질관리 방법론을 제안 하였다. 우선 6시그마의 기본적인 내용과 DMAIC-15Step을 소개한 다음, 국가통계품질관리를 단계별로 접목시켜 보았다. 각 단계에서는 다양한 6시그마의 도구와 기법들이 중복되지 않고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적절하게 활용되었다. 그리고 국가통계품질의 6가지 핵심요소(정확성, 시의성/정시성, 관련성, 접근성/명확성, 비교성, 일관성)를 고려한 프로세스를 만들어 통계품질을 개선 및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최근 관련연구 중에서 공통점이 많은 GSBPM방법론을 소개하고 6시그마를 이용한 방법론과 비교하였다. With both the utilization and range of national statistics on the increase, the importance of quality management for statistics is emphasized. The issue relates to the notion that accurate and prompt national statistics are less than accurate given the personal requirements of those who receive them.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quality management of statistic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aspect of user relevance. At the time of this study, every country is faced with the situation that statistics made by decentralized authorities should be arranged for providing a consistent system of quality.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at a detailed and systematic quality control should be enacted in place to recognize the above-mentioned importance of national statistics and to ensure a better quality of statistics for consumer purposes. This study responds to this by examining the statistical produc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quality management of countries with similar size and environment and developed countries in statistics(OECD standards) and some global organizations dealing with national statistics, A comparison of such was made against those of South Korea. Furthermore, in order to make easier the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various national statistics written by each country and multiple institutions,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need for a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quality of statistics, and suggests the methodology for the quality control of statistics through the use of 6Sigma DMAIC(focused on improving the existing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introduced the basic contents of 6Sigma and DMAIC-15Step ,and then grafted the management of national statistics in phases. At each step, tools and techniques of various 6sigma were used appropriately, without duplication and maintaining consistency. It is the intention of this paper to account for the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statistical quality, and developing such process based on key elements of the six kinds of quality of national statistics. Further to that, as reflected upon recent related research, this paper introduced the GSBPM methodology which has much in common and compared it with methodology using 6sigma.

      • 품질관리감리 및 감사인 특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황문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품질관리감리 및 감사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감사보수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세 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회계법인의 품질관리제도에 대한 한국공인회계사회의 감리결과와 감사품질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 연구에서는 감사인의 특성 및 이들 특성으로부터 유추되는 위험에 대한 태도가 감사보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감사인의 재무적·비재무적 특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품질관리감리제도에 대한 첫 실증분석을 담고 있으며, 기존 연구에서 규모(Big N 대 non-Big)로만 구별하던 감사인의 특성을 규모 이외에도 명성, 수익성, 재무건전성, 감사집중도, 감사경험 등 다양하게 확장함으로써 감사보수 및 감사품질 결정요인 연구의 외연을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적 의미를 가진다. 세 가지 연구의 주요 분석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제 1 편)는 감사인 품질관리감리가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을 적정하게 평가하는지, 또한 품질관리감리에 따른 사후조치는 감사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공인회계사회의 품질관리감리를 수감한 30개 중·소형 회계법인과 Big 4(삼일, 삼정, 안진, 한영) 회계법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감사품질의 대용변수로는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 발생액의 질, 보수주의 정도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품질관리감리결과가 우수한 회계법인일수록 감사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품질관리제도를 잘 갖추고 있는 중·소형 회계법인은 Big 4에 못지않은 감사품질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품질이 회계법인의 전반적인 품질관리제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품질관리감리 수감 전·후의 감사품질은 유의한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품질관리감리의 사후조치가 강제성이 없는 개선권고에 그치고 있어 실질적인 감사품질의 향상을 이끌어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최근의 회계감독제도 변화흐름에 발맞추어 감사인 품질관리감리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한 첫 번째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향후 감독당국의 정책 의사결정에 유의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연구(제 2 편)는 감사인의 재무적&#8231;비재무적 특성이 감사보수 및 감사보수 결정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감사보수의 결정은 감사서비스의 공급자인 감사인의 의사결정사항으로 볼 수 있지만, 국내&#8231;외 선행연구는 대부분 감사서비스의 수요자인 피감사기업에 초점을 두고 그 결정요인을 분석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인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규모, 명성, 수익성, 재무건전성, 감사집중도, 구성원의 감사경험) 및 이들 특성으로부터 유추되는 위험선호행태에 따라 감사보수가 체계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가설로 설정하였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719기업-년도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사인의 규모가 크거나 명성이 높을수록 감사보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인의 수익성이 저조하거나 재무건전성이 취약할수록 감사보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사집중도가 높을수록 감사보수는 증가하는 반면 구성원의 감사경험은 감사보수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사인의 특성에 따른 감사보수 결정구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감사인의 규모가 클수록 감사업무의 크기와 위험요인에 대한 보수요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의 특성 및 이에 따른 위험회피성향에 따라 피감사기업의 특성이 감사보수에 반영되는 정도가 차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감사보수 결정에 있어 감사인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되며, 감사인의 규모 이외에 다양한 재무적·비재무적 특성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감사보수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감사보수 결정구조가 달라짐을 보여주는 결과는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감사인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연구(제 3 편)는 감사인의 재무적&#8231;비재무적 특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감사품질이 감사능력과 독립성이라는 감사인의 두 가지 속성에 의해 결정됨을 감안하면, 감사인의 규모와 명성, 수익성과 재무건전성, 감사전문성과 감사경험 등과 같은 구체적인 특성은 감사인의 감사능력이나 독립성과 직·간접적인 영향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감사품질의 형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감사인 특성변수를 다양하게 선별하여 이들 특성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121개 회계법인이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수행한 5,283건의 외부감사업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감사품질 대용변수로는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 발생액의 질, 회계오류 여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인의 규모가 클수록 피감사기업의 재무제표에 오류가 포함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성이 높은 감사인일수록 피감사기업의 발생액 질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매출액에서 감사업무의 비중이 많은 감사인일수록 전반적인 감사품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감사인은 모든 대용변수에서 낮은 수준의 감사품질을 보였으며, 구성원의 감사경험 또한 감사품질과는 음(-)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경험이 많을수록 경쟁이 심한 감사시장에서 독립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한편 회계법인을 Big 4와 non-Big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일부 특성변수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는데, 이는 비교적 동일한 감사품질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는 Big 4(또는 non-Big) 내에서도 감사인의 세부적인 특성에 따라서 감사품질이 차별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감사품질을 결정하는 주체는 감사인이라는 점에서 감사인의 특성과 감사품질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감사연구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주제이다. 본 연구는 감사인 규모(Big N 대 non-Big)에만 초점을 맞춰왔던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특성들과 감사품질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아울러 감사품질의 제고를 위해서는 회계법인의 수익구조나 재무구조가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는 본 연구결과는 회계감독기관이나 자본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