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과정 지향적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이경태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7차 교육 과정의 시행을 앞두고 영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으로 수행 평가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능력을 자기 주도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하고 우리나라의 대규모 학급에서 개별화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평가에 활용하여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태도, 전략 사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실험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습자이며 15주간 실험집단에게는 포트폴리오 평가에 필요한 자료들을 나누어준 후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이 평가법을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 후 두 집단의 학습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에게는 면담을 추가로 실시하고 포트폴리오 자료와 쓰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 이전·이후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와 실험 집단의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은 1차 포트폴리오 평가보다 4차 포트폴리오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하였고, 구성, 완성, 적절성, 자기 반성 등의 4가지 포트폴리오 평가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하였다. 이것은 실험 이후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실험 집단이 영어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인 것과 일치하며 실험기간의 수업에 성실히 참여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할 경우 학습자의 태도와 수업 참여도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을 하였다. 쓰기 능력 평가 결과를 평가 영역별로 살펴 보면 실험집단의 상위그룹은 실험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문법을 제외한 내용, 조직, 담화, 철자 및 맞춤법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차이를 보이며 유의한 향상을 하였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하위그룹은 조직과 문법 영역외에는 통제집단과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이것은 통제집단의 하위 그룹 역시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큰 폭의 향상을 하여 실험집단의 향상폭과 차이가 줄었기 때문이다. 상·하위 그룹 모두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쓰기 능력에서 향상을 보인 것은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 즉 역류효과(washback)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포트폴리오 평가와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 결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교사가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수집된 학습 자료를 수동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에게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 과제를 완성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총체적인 면을 평가할 수 있는 능동적인 기능까지 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 쓰기를 포함한 다른 기능의 지도 및 평가에도 활용할 경우 학습자의 지속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고 학습에서의 역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넷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쓰기에 대한 태도, 쓰기 전략 사용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쓰기 평가 결과 역시 과정 지향적 쓰기 지도의 전 과정을 성실히 수행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과제 수행, 과제 길이, 내용, 조직, 글을 읽는 독자에 대한 배려,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에 큰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들에 근거하여 연구자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평가의 영향이 큰 우리 나라 상황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는 영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포트폴리오를 통한 교사와 학생간의 개별적인 대화를 통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진정한 교수-학습 현장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가 원활하게 현장에 시행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평가 척도, 적절한 포트폴리오 자료 등의 마련이 필요하고 포트폴리오를 업무 증가로만 보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실험대상과 영어 능력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큰 향상을 보였던 쓰기 능력의 평가 척도, 포트폴리오를 통한 쓰기 지도 방법, 쓰기 자료 등에 대한 지속적인 현장 연구가 필요하다. One of the merits of portfolio assessment is to have students hold themselves responsible for their learning by assessing the degree of their own advance. Portfolio assessment makes it possible to teach students individually how to communicate, even in a big class.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in English.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classified into upper and lower levels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15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took part in classroom activities with portfolio materials such as goal cards, writing strategy checklists, evaluating logs and a cover of portfolio, but the control groups didn't use these materials. Another materials, classroom activities, tasks and classes were applied to both groups in the same way. After the 15-week long experiment, the students in both groups were surveyed and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dditionally interviewed. Also, the portfolio materials and writing materials of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nalyzed.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before and after experiment for writing ability and the analysis of students' portfolio are as follows: First, both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s were improved in the fourth portfolio assessment more significantly than in the first one.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 completion, felicity and self-examination. This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survey that shows the experimental groups' positive attitude on English and writing, which means they have done their best for the experi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s in after-writing ability tests, and the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The upp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produced higher scores in contents, organization, texts, spelling and orthography, except gramma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However,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didn't show any difference except grammar and organization. This results from the great improvement of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s, reducing the difference from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ason why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writing ability more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s is that portfolio assess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This is called washback effect. Third, both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ortfolio assessment and writing ability improvement. This indicates that portfoli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ower level students, as well as the upper level ones, and it should be used for teaching both level students.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expressed their opinions that using writing strategy and portfolio assessment are useful and meaningful.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s, especially the upper level students, expressed a negative effect, which proves washback effect. Fifth, the students showed great improvement in setting learning goals and in doing self-assessment as learning with portfolio assessment had proceeded. In addition, they improved themselves significantly in performing the tasks, organizing the length and structure, considering readers and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through the process-oriented writing. Portfolio assessment should be supplemented with standardized criteria with high validity to be applied to real English classrooms in Korea.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other students' language ability.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writing and evaluating criteria should be prepared through portfolio assessmen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train language teachers in implementing portfolio assessment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English classroom.

      • 초등학교 3학년 음악교과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법 적용에 관한 연구

        안숙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교육평가 분야에서는 단순한 지식습득의 여부에만 관심을 갖던 결과중심적인 전통적인 평가방식이 분석력, 종합력, 창의성 등과 같은 고등정신 능력이나 학습의 과정을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오고 있다. 이에 학교교육에서는 학습의 결과는 물론 그 과정까지의 평가해 낼 수 있는 총체적인 평가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초등교육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열린교육, 새물결 교육 등의 교육개혁 운동 중 평가 분야에서는 새로운 평가법인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나 포트폴리오 평가(Portfolio Assessment)가 주요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수행평가의 여러 방법 중 대표적 평가 기법으로서 포트폴리오를 근거로 학생을 평가한다. 포트폴리오란 일정 기간 동안 구체적인 목적을 갖고 학습에 대한 기록과 증거물을 수집한 것이다. 즉 포트폴리오 평가법은 포트폴리오에 의거해서 학생의 학습과정에서의 진전 및 발전, 성취도 등을 평가한다. 그러나 한국교육계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법은 아직 그 이론을 소개하는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경험적 가능성과 교육적 효과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검증되어 일반적으로 실용화된 상태는 아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교육현장에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은 새로운 평가법을 교육현장에서 구체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포트폴리오 평가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초로 초등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특히 포트폴리오를 적용할 교과내용은 창의성 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음악교과를 내용으로 하였다. 그리고, 현재 연구자가 지도하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기 분량의 학습내용에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포트폴리오 평가도구의 구체적 예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차적인 교수학습 및 평가프로그램 개발하여, 실제 음악수업에 적용한 후 수정을 거쳐 최종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일차 프로그램은 제6차 초등학교 음악교과의 교과과정,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에 관한 조사 및 포트폴리오 평가법에 관한 이론을 기초로 한 학기 수업 일정에 맞추어 개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 개발된 교수·학습 및 평가프로그램은 내용 및 방법상의 부적절한 면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 본인이 연구대상에게 실제 음악수업 시간에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에게 적용하여 발견한 프로그램 초안의 부족한 면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개발한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결과로서 그 내용을 포트폴리오 평가법의 개발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즉 포트폴리오의 목적 및 목표 선정, 학습내용 및 평가내용의 설계, 구체적 평가도구의 개발, 평가결과의 기록 및 활용방안의 세부적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수업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 및 운영의 예는 <부록1>에 제시된 한 학기 동안의 차시별 수업지도안에 근거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여 본 결과 포트폴리오 평가를 학교 상황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때에 포트폴리오 평가는 평가의 개혁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들에게 자기학습에 대한 평가 및 통찰을 하게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유발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및 협동하는 기술 배양하는 등의 긍정적 교육 효과를 산출할 수 있게 하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포트폴리오 평가법을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rtfolio assessment program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in music for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music classes. The procedure of this program development was as follows: (1) A preliminary program for portfolio assessment was designed for the third grade classes of "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ntent of the Sixth Curriculum of Music for Elementary Schools, result from the survey of the students' musical experience and the theories about portfolio assessment. (2) The preliminary program for portfolio assessment was applied to the third grade music classes at "E" elementary school. This was implemented in order to find errors or difficulties which might occur when it would be applied in music classes. (3) The final portfolio assessment program was completed by amending the preliminary program through the results of the second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main body of this dissertation, as follows; (1) setting goals and objectives for developing the portfolio assessment program, (2) devising contents of portfolio assessment and evaluation and developing assessment tools, (3) planning evaluation results from the portfolio, and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In addition, specific learning objects and lesson plans were included in appendix 1 to show how to implement and operate them in music classes. This study found certain conclusion from developing portfolio assessment. Using the portfolio will allow teachers to improve their instruction through integrating teaching and evaluation simultaneously. It also provides a chance to practise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such as individual learning, group learning, interaction learning. Portfolio assessment allows student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learning by various types of interaction, as betwee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t also stimulates more reflective thinking so that they might be active in their learning process. Further research on the portfolio assessment program in various subjects fo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by teachers and experts of evaluation.

      •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자기 주도적 영어 읽기 능력 신장 방안

        이미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자기 주도적 영어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해 독해 전략 수업 모형을 계획하여 그에 따른 독해 전략 과제지를 구안, 교실 수업에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가진다. 첫째, 독해 전략 과제지에 포트폴리오 평가 채점기준을 적용시켜 수행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전략 중심의 자기 주도적 독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지 확인한다. 둘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독해 전략 수업이 기존의 교사 중심 수업과 비교하여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 지를 연구한다. 셋째,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효율적인 독해 수업 모형을 연구 발전시키고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독해 과제를 개발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 지역 G중학교 3학년 독해 진단고사 성적이 비슷한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연구반과 비교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 실험 기간은 2004년 3월 8일터 5월 15일 까지 10주간이다. 실험 기간 중, 학교 일정과 교과 진도에 따라서 영어 교과서의 읽기 부분을 Lesson 당 네 시간씩 나누어 총 16 시간 동안 지도하였다. 비교반에게는 기존의 독해 수업 방식을 적용하였다. 즉, 독해 전의 간단한 사전 활동으로 어휘의 의미를 학습하고, 독해 후 활동으로는 교과서 질문에 답하기 활동 위주로 하였다. 연구반은 독해 전략을 적용하여 만든 독해 전략 과제지를 제공하여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활동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면서, 자신의 과제지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과제의 수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업 중, 학생 활동시간에 돌아보면서 일차적으로 점검표에 확인한다. 그리고 매 단원이 끝나면 과제지를 모아둔 포트폴리오와 점검표를 제출하게 하여 채점 기준에 의해 전체적으로 평가하였다. 사전·사후의 설문 조사 결과 분석에 의하면, 비교반에 비해 연구반의 독해 이해도,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과 독해 전략의 활용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포트폴리오의 필요성과 공정성 등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전·사후 독해 진단고사에서 연구반과 비교반의 차이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앞으로 남은 과제로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상. 하 수준별 독해 전략 과제를 연구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학습자의 독해 능력이 더 효과적으로 향상되리라 본다. 또한 포트폴리오 평가를 기술적, 효율적으로 잘 환용할 수 있다면 독해 수업의 활성화에 더욱 기여하리라 본다. 그러나 학생들의 독해에서 단어는 여전히 장애물이며, 내용이해에서 비중을 크게 차지하므로 이에 대한 고찰도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In order to enhance the self-directed reading comprehension(RC) abilities which involve positiv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ers(3rd grad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 classwork model was designed on reading strategies(RS) and corresponding RS assignment paper using certain reading strategies was devised so as to proceed with classwork. Secondly, scoring criteria for portfolio assessment were applied to RS assignment paper that visibly reveals the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 of each student for the sake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sampling, two 3rd-grade classes of G Middle School in Busan were adopted as Class A(experimental group) and Class 8(control group), both of which had earned equivalent achievement in a diagnostic test of RC. In this study, experimental period was ten weeks ranging from March 8 to May 15, 2004. During the period, both classes were instructed in RC sections of English textbook over 4 hours per lesson(4 hrs × 4 lessons = total 16 hours) according to schooling schedules and curricular progress. Class B was instructed in English reading by conventional classwork style; students learned the meaning of each vocabulary as a simple warm-up before reading. After reading, they were asked mainly to answer the questions in textbook. On the other hand, Class A used an RS assignment paper and every student was asked to join a series of phased reading activities(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and record necessary remarks on the assignment pap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level for each assignment, teachers began with signing checklists, while walking around the class during students' activities in classwork. After completing each lesson, they were asked to submit their portfolio with RS assignment papers and the associated checklists, which were evaluated overall by portfolio assessment criteria devis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Class A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level of RC,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than Class B. Moreover, Class B showed better application of personalized RS, which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students' self-directed RC abilities. This result also shows that portfolio assess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eference of portfolio. In future studies, it is recommended that a variety of customized RS assignments based on the learning level of each student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which will help improve learners' RC abilities more effectively. Moreover, the good technical use of portfolio assessment will possibly contribute to promoting RC classwork. Yet vocabularies are still big obstacles against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so follow-up studies will have to address the considerations about it.

      • 중등학교 영어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6

        최근 전 세계적으로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개혁 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며 이러한 교육개혁은 교육평가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교육평가의 패러다임이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 에서 ‘학습 향상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및 ‘학습 과정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로 변화하면서 교육 현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인식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자유학기제와 성취평가제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본격적인 도입에 따라 교수·학습과 평가가 통합된 활동으로서 학생평가의 의미를 이해하고 보다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평가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학생 참여 및 과정 중심 평가가 강조되면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학생평가 활동에 있어서 교사의 실천적 역량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맥락에서, 실제 학생평가 활동을 반영한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 중등학교 영어교사의 실천적 학생평가 전문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국내·외 다양한 문헌 연구 분석 및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중등학교 영어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평가척도, 학생평가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및 전문가 평정을 위한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단기간의 일회성 평가가 아닌 한 학기 동안의 교사의 실제적인(authentic) 학생평가 활동을 반영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수집된‘학생평가 포트폴리오’를 평가 자료로 활용하였다. 3인의 전문가 집단이 개발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학생평가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평가 실시 후 연구 참여 교사 및 전문가 평가자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의 적합도에 관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및 적합도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영어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평가척도는‘평가계획’,‘평가도구 개발’,‘평가 실행’,‘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평가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5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5개의 세부적인 평가 기준을 포함하였다. 하위 영역별로 학생평가 전문성의 평균 점수를 비교해보면,‘평가도구 개발’영역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과‘평가에 대한 태도 및 인식’영역의 평균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세부 평가 기준별로 살펴보면,‘평가의 실제성’항목의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평가 참여’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항목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교육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25개의 세부 평가 기준은 해당 학생평가 포트폴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평가 전문성의 다섯 가지 구성 요인을 평가하기에 적절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전검사 이론을 활용하여 평가 문항의 내적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하위 영역별로 Cronbach 계수가 .56~ .78이었으며, 전체적으로 .88을 나타냈다. 또한, 전문가 3인의 평정 결과 간의 상관계수는 .84~.98로 나타나 높은 수준의 채점자간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하여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G 계수는 0.8743.이며 D 계수는 0.7961으로 각각 0.8과 0.7 이상으로 적정한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도구의 적합도에 관한 개방형 설문조사 분석 결과, 학생평가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평가는 교사들에게 자신의 학생평가 활동 전반에 대한 성찰과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며,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다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평가 포트폴리오의 데이터 수집상의 어려움이나 주어진 포트폴리오 자료만을 활용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평가해야 하는 점은 이 평가도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는 학생평가 포트폴리오의 데이터 수집이나 평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부 한계점을 보완한다면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평가도구가 교사의 실천적인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사 교육 및 교사 연수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자 수의 제한으로 인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거나 평가도구의 적합도 측면에서 일부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학생평가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생평가 전문성 평가도구는 기존의 평가 관련 교사 연수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안으로 교사의 실천적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7學年(中1) 器樂領域에서 Portfolio 評價 適用에 관한 硏究 : 단소학습을 중심으로

        김유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69

        학생들이 학습하는 데 있어서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의 과정을 통하여 교육의 질과 효과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최근에 평가의 결과보다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의 음악적 발전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방법이 학교현장에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아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평가 방법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의하여 중학교 음악과에 대안평가의 방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포트폴리오 평가를 단소 학습에서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기악 영역에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성 'J'중학교 7학년(중1학년) 3개반 남학생 98명을 대상으로, 기악 영역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 중에서 단소 연주를 연구 과제로 선정하고 포트폴리오의 목적과 활동내용을 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악 학 습지도안을 재구성하고 기악학습지 등의 학생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수업과정 중에 제작한 결과물과 수업 비디오, 수업관 찰 일지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단소 학습에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함으로써 학생에 대한 개별 지도의 기회가 확대되어 수준별 학습에까지 이를 수 있었다. 단소의 연주자세와 주법, 소리, 시김새의 표현, 기습곡인 민요를 연주하기에 이르기까지 교사의 세심한 지도가 필요한 학습 내용이지만 평가의 주체자가 교사뿐만 아니라 자신 및 동료, 부모에게까지 확장되어 전체 수업을 따라 하기 힘들었던 학생들이 다양한 대상에게 평가를 받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 도움을 얻게 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 활동을 통해서 전통음악을 이해하고 단소로 연주하기 위해서는 정간보로 기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악보를 보고 기억할 수 있어야 하며, 연주하여야 한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학생들의 연주실력이 향상되고 점차로 정확하게 연주하게 되었다. 셋째, 포트폴리오 활동내용으로 학습지, 자기평가지, 연주 연습일지, 포트폴리오 목록, 평가 기준표, 연주테이프 제작하기, 모형악기의 제작과 연주, 기악 발표회 등은 단소 연주 능력에 발전을 가져왔다. 이를 바탕으로 모둠별 연주가 가능했으며 협동성과 서로를 아끼고 위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넷째, 기악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성취나 발전과정에 대해 반성적 사고를 하게 함으로써 자기학습에 대해 스스로 통찰하고 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즉 자기 평가지를 통하여 자신의 잘된 점과 고쳐야 할 점을 평가함으로써 자기 반성의 기회를 가지게 되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가지게 되었으며,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를 갖게되어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가 활발해졌다. 다섯째, 포트폴리오 평가를 계획하고 현장에 적용하면서 학생 성장의 관찰과 교사의 수업 방법 및 평가의 질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아 교사 자신이 교수(Teaching)에 대한 반성을 하여 학생의 개인차에 맞는 교수방법과 자료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개발하는 자기 성장의 기회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의해 볼 때 기악영역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는 그 적용이 가능하며 교사의 능력에 따라 현장 적용성과 활용도가 증가할 수 있는 펑가방법으로 생각되었다. Quality and effect of education must be examined through evalu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 properly. These days, a new evaluation method has been used at schools, which evaluate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music, rather than the results of evaluation. However, few studies of application at schools have been made. Therefore, more active studies on application of evaluation methods are needed. For this study, the Portfolio evaluation, which is representative among alternative evaluations in music department of middle school are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analysed to examin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Portfolio evaluation in the instrumental music area.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argets were 98 boy students of three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J' Middle School and they performed short bamboo flutes among necessary subjects in instrumental music area. And the purpose and activities of the Portfolio evaluation were decided. According to purpose and activities of the Portfolio evaluation were decided. According to on the program, teaching plans of instrumental music and students the Portfolio such as study booklets were made for classes. Results produced by students during class, observation note of the class and class video were analys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 First, through applying the Portfolio evaluation to learning of short bamboo flutes, opportunities of individual teaching for students are expanded, which leads to learning according to levels. To play bamboo flutes needs proper learning of good posture of players, the special technique of playing and sound making. In this case, peers, parents as well as teachers can be evaluators and during the class, even students who have poor technique of playing can have a personal help through a process of evaluation. Second, students recognised that proper record of a score is needed to understand traditional music and to play with small bamboo flutes through class activities using the Portfolios. Recognizing students should memorize a score and play, they improve the ability to perform flutes and play with precision. Third, activities of the Portfolio include study booklets, self-evaluation sheets, practice records, standard of evaluation, producing playing tapes,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model instruments and presentation of instrumental music, and it was demonstrated they bring an improvement in performance. Based on the activities, they can perform group by group and have attitudes to consider and esteem others. Fourth, through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evaluation method, students have retrospective attitudes in their achievements and development and examine their and evaluate their result of studying, which helps them achieve independent learning. That is, students evaluate what is wrong and good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ir own evaluation materials. So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learning, interested in traditional music and active in participation in classes. Finally, teachers make programs of the Portfolio evaluation and applied them to actual classes. And they are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evaluation. As a result, they can have opportunities to reflect their teaching and recognize that development of advanced materials are necessary.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mentioned, it is suggested that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evaluation to teaching of instrumental music is possible and dependant on ability of teachers, applicability to actual classes and utility can be improved.

      • 유아 사회생활 영역 평가 연구 : 포트폴리오 평가 모형

        민순영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69

        The study was designed to implement the portfolios assessment of child social life and to suggest means for implementing it in classroom. The portfolios assessment model was developed as follows: The first step was to consider the current methods of assessing child development and the assessment of social life. The second step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resent conditions and opinions of assessing the child social development. The third step was to develop the model of portfolios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focused on assessment of child social life. The fourth step wa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assessment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assessment was that teacher´s concern transmitted affective domain to cognitive domain. Second, a total of 132 kindergarten and child are center teachers -36 public school teachers and 61 private school teachers and 35 child care cente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situation and opinions regarding assessment of child social development. Even though most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executing the assessment, they neglect recording it and applying the results. Third, the model of portfolios assessment includes: standardized test, observations, event sampling, time sampling, anecdotal record, questionnaire, checklist, sociometry, interview, case study, rating scale etc. The model of portfolios assessment integrated all method of assessment. Fourth, the model of portfolios assessment was the application and reference of child social life. Studies of this model of portfolios assessment should be made continuously. The model of portfolios assessment is a tool teachers have available to them to directly and actively involve children in their own learning. The value of portfolios as assessment instruments is demonstrated as children reflect upo and analyze personal progress and development over time. Teachers who are concerned with child assessment must utilize this assessment model in a long-term, systematic manner and integrated education.

      • 수학과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방정식과 부등식 및 도형과 식을 중심으로

        이재열 安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model of portfolio assessments as a method of performance assessments and to verify its effects on achievement degre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or this study. 1. What is the suitable teaching-learning model for portfolio assessments? 2. What contents and types of assessment are included in portfolio assessments and how is it construct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types of assessment? 3. How is it done to develop questions and what is the criteria of marking? 4.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rtfolio assessments and achievement degree(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in a small class. For this study, a small class(19 boy students and 17 girl students) was selected and portfolio assessments were performed based on level-based affirmative test, assignment assessments, mind map, project, portfolio construction, and self -study, which were limited to equation and inequality, figure and expres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low-level group of the small class showed general progress in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portfolio assessments. 2. Portfolio assessments turned out to have effects on the students' disposition and attitude for learning,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perseverance, reflection and value, but little effect on flexibility. 3. Students were burdened with the portfolio assessments and showed positive attitude of the assessment justice, but they were a little dissatisfactory to giving equal scores to anybody in group assessments. 4. Through the portfolio assessments, the rate of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and their intention for accomplishing portfolio increased. 5. Especially, in the consolidating step of general unit, students showed a great deal of interest in mind map for learning concept and made a high accomplishment rate. 6. In the process of marking, the students showed lots of attention to the teacher's advice through error corrections and asked more questions. What needs to be done is that a lot of performance assignments should be developed, which have interesting process of performance and can stimulate the value of learning. In addition, many materials related to mathematics should be provided to the students. And also,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portfolio assess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large classes and consider personal differences in cooperative learning. Finally, it will be necessary to convert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s and to improve the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so that it may be installed in a truthful method to stimulate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and to give its pleasure rather than to rank the students or to use as a material of college admit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