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트폴리오 기법에 의한 전원구성비의 적정성 연구

        김상갑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 에너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국문 요약 우리나라의 전원개발계획은 매 2년마다 개정되는데 전기위원회의 주도로 발전사업자의 신규 건설허가 신청을 받는 형태로 진행된다. 그런데 정부의 입장에서는 전국적 규모의 전원개발과 연료별 전원구성 비율 등에 대한 일정한 범위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겠으나 개별 발전사업자 특히 2001년 분리 독립한 발전자회사의 경우에는 과거 분리 독립 전 한국전력이 갖고 있던 에너지 공급안정성에 대한 고려 등이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이 현실이며 대부분의 자회사들이 석탄과 가스의 수급가능성과 장래의 가격 변동성 리스크 등에 대한 회사 자체적인 검토가 미흡한 상태에서 신규투자 결정과 투자신청 그리고 그 후속조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설령 신규 전원구성에 대한 자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발전원가가 낮다거나 부지확보가 용이한 발전원을 관행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거칠 뿐이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발전원 간의 조합에 의한 포트폴리오 효과에 유의하여 전략적 포트폴리오 대안을 찾는 노력은 아직 생소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마르코비츠의 포트폴리오 투자이론을 장래 전력투자의 연료별 적정 포트폴리오 구성을 검토하는 데 활용하여 장기적으로 개별 발전회사 또는 발전사업자들이 연료리스크를 가급적 회피하면서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경영전략을 도출하는데 활용 가능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발전자회사 중 석탄발전소와 가스복합발전소의 구성비가 비슷하고 근래 수년간 생산과 수익에서 상대적으로 건실한 발전을 시현하여 온 한국남부발전을 선택하여 동사의 과거 8년간의 경영실적을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고 여러 각도로 비교하여 바람직한 결론을 도출코자하였다. 자료는 주로 남부발전의 내부 결산자료 등 공인된 자료를 중심으로 하되 연도별로 부정형의 변동성이 있거나 제한된 기간의 일시적 변화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은 가급적 배제하고 과거 8년간의 대체적 추세와 평균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유의하였다. 또한 검토 대상인 8년의 기간 동안 과거 어느 때 보다 연료의 수급과 가격의 변동성이 큰 시기를 겪음으로써 비록 제한된 기간의 분석이지만 향후 발전사업이 겪어야 할 문제를 수렴하는데 좋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기본 자료의 분석결과 석탄화력발전은 원가 측면에서의 위험 즉, 비용/위험 측면에서는 가스복합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반면 수익/위험 측면에서는 가스복합이 더 안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원가 측면에서 유리한 발전원이 수익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결과를 창출하는 것이 정상적이며 바람직하지만 연구 결과와 같이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는 것은 그만큼 현재 우리나라의 전력시장 구조가 왜곡되어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국가적 견지에서는 저렴한 에너지의 공급이라는 관점에서 가급적 석탄화력을 많이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으나 반면에 개별 발전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수익의 안정성 측면에서 가스복합을 선호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신규 발전소 투자신청을 접수할 때 거의 모든 민간 발전사업자들이 가스 복합을 선호하여 집중적으로 신청하는 배경을 설명하는 여러 요인 중 중요한 한 가지 원인이라 하겠다. 석탄과 가스복합의 비교우위에 대한 다양한 검토를 위하여 장래 배출가스 거래제가 실시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배출가스의 20%를 감축하거나 배출권을 거래하는 조건으로 비교 검토하였고 아울러 현재 불완전 경쟁시장 상태에 놓인 전력산업이 장차 완전 자유화로 진전될 경우를 예상하여 석탄과 가스복합에 차별이 없는 SMP 적용을 가정한 비교우위 분석도 실시하였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석탄의 비용/위험 비교우위와 가스복합의 수익/위험 비교우위가 변동되지 아니한 바, 먼저 석탄의 비용/위험 비교우위는 국제적으로 석탄의 매장량이 풍부하고 가격이 다른 종류의 에너지 대비 저렴한 데 기인한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LNG 가스가 환경친화적인 고급 에너지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과 아울러 현행 가스공사를 통한 가스공급 가격의 왜곡으로 외국 발전사에 비해 비싼 연료를 쓸 수밖에 없는 현실이 그 원인으로 파악된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가스 도입시장의 점진적인 자유화가 진지하게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더 이상의 추가적 검토는 유보하였다. 한편 가스복합의 수익/위험 비교우위는 상당기간 동안 석탄발전에 대한 BLMP 제도와 가스복합에 대한 SMP 제도로 차등화된 가격정책이 적용된데 그 주된 요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왜곡을 시정한다는 의미에서 보정계수를 차등 적용하여 석탄화력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현행 가격 결정제도는 일면적 타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석탄화력에 대하여 배출가스거래제 적용에 따른 비용을 감안하더라도 가스복합과의 비교우위에서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사

      •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과정 지향적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이경태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943

        제7차 교육 과정의 시행을 앞두고 영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으로 수행 평가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능력을 자기 주도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하고 우리나라의 대규모 학급에서 개별화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평가에 활용하여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태도, 전략 사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실험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습자이며 15주간 실험집단에게는 포트폴리오 평가에 필요한 자료들을 나누어준 후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이 평가법을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 후 두 집단의 학습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에게는 면담을 추가로 실시하고 포트폴리오 자료와 쓰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 이전·이후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와 실험 집단의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은 1차 포트폴리오 평가보다 4차 포트폴리오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하였고, 구성, 완성, 적절성, 자기 반성 등의 4가지 포트폴리오 평가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하였다. 이것은 실험 이후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실험 집단이 영어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인 것과 일치하며 실험기간의 수업에 성실히 참여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할 경우 학습자의 태도와 수업 참여도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을 하였다. 쓰기 능력 평가 결과를 평가 영역별로 살펴 보면 실험집단의 상위그룹은 실험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문법을 제외한 내용, 조직, 담화, 철자 및 맞춤법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차이를 보이며 유의한 향상을 하였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하위그룹은 조직과 문법 영역외에는 통제집단과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이것은 통제집단의 하위 그룹 역시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큰 폭의 향상을 하여 실험집단의 향상폭과 차이가 줄었기 때문이다. 상·하위 그룹 모두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쓰기 능력에서 향상을 보인 것은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 즉 역류효과(washback)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포트폴리오 평가와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 결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교사가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수집된 학습 자료를 수동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에게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 과제를 완성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총체적인 면을 평가할 수 있는 능동적인 기능까지 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 쓰기를 포함한 다른 기능의 지도 및 평가에도 활용할 경우 학습자의 지속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고 학습에서의 역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넷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쓰기에 대한 태도, 쓰기 전략 사용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쓰기 평가 결과 역시 과정 지향적 쓰기 지도의 전 과정을 성실히 수행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과제 수행, 과제 길이, 내용, 조직, 글을 읽는 독자에 대한 배려,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에 큰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들에 근거하여 연구자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평가의 영향이 큰 우리 나라 상황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는 영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포트폴리오를 통한 교사와 학생간의 개별적인 대화를 통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진정한 교수-학습 현장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가 원활하게 현장에 시행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평가 척도, 적절한 포트폴리오 자료 등의 마련이 필요하고 포트폴리오를 업무 증가로만 보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실험대상과 영어 능력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큰 향상을 보였던 쓰기 능력의 평가 척도, 포트폴리오를 통한 쓰기 지도 방법, 쓰기 자료 등에 대한 지속적인 현장 연구가 필요하다. One of the merits of portfolio assessment is to have students hold themselves responsible for their learning by assessing the degree of their own advance. Portfolio assessment makes it possible to teach students individually how to communicate, even in a big class.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in English.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classified into upper and lower levels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15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took part in classroom activities with portfolio materials such as goal cards, writing strategy checklists, evaluating logs and a cover of portfolio, but the control groups didn't use these materials. Another materials, classroom activities, tasks and classes were applied to both groups in the same way. After the 15-week long experiment, the students in both groups were surveyed and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dditionally interviewed. Also, the portfolio materials and writing materials of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nalyzed.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before and after experiment for writing ability and the analysis of students' portfolio are as follows: First, both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s were improved in the fourth portfolio assessment more significantly than in the first one.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 completion, felicity and self-examination. This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survey that shows the experimental groups' positive attitude on English and writing, which means they have done their best for the experi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s in after-writing ability tests, and the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The upp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produced higher scores in contents, organization, texts, spelling and orthography, except gramma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However,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didn't show any difference except grammar and organization. This results from the great improvement of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s, reducing the difference from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ason why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writing ability more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s is that portfolio assess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This is called washback effect. Third, both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ortfolio assessment and writing ability improvement. This indicates that portfoli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ower level students, as well as the upper level ones, and it should be used for teaching both level students.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expressed their opinions that using writing strategy and portfolio assessment are useful and meaningful.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s, especially the upper level students, expressed a negative effect, which proves washback effect. Fifth, the students showed great improvement in setting learning goals and in doing self-assessment as learning with portfolio assessment had proceeded. In addition, they improved themselves significantly in performing the tasks, organizing the length and structure, considering readers and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through the process-oriented writing. Portfolio assessment should be supplemented with standardized criteria with high validity to be applied to real English classrooms in Korea.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other students' language ability.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writing and evaluating criteria should be prepared through portfolio assessmen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train language teachers in implementing portfolio assessment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English classroom.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효율적인 초등 영어 읽기 지도 방안

        오형숙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를 초등학교 5학년 영어 읽기에 투입해 봄으로써 포트폴리오가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 적용 후에 인지적인 영역의 평가를 통하여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를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하여 실시 전후에 아동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참여도의 비교를 통하여 그 효율성을 분석한다. 셋째, 학습 과정 중에 만들어진 자료를 질적 분석하여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소재 G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70명을 대상으로 5개월(9월-2월)동안 실시하였다. 비교반은 기존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고, 실험반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교사 평가가 이루어지는 포트폴리오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사와 영어 읽기 능력 평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변화 정도를 교사의 관찰과 면접, 학습 일지를 통한 정성적 분석을 중심으로 정량적 분석과 병행하여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를 초등학교 5학년 영어 읽기에 적용했을 때 아동의 읽기 능력에 대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7.47, p<.01). 사전 평가에서 읽기 능력이 비슷한 두 반을 선택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실험반은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반은 교과서에 기초한 수업을 실시한 결과, 실험반의 읽기 능력이 낱말 읽기, 문장 읽기 모두에 있어서 비교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통한 읽기 학습이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긍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영어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참여 태도, 흥미도 영역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면, 참여태도는 사전/사후간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자신감과 읽기에 대한 흥미도는 포트폴리오를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한 경우 적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읽기 능력 평가에서 점수가 낮은 아동 12명을 표집하여 학습 과정 평가를 분석한 결과 이들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기초가 부족하여 단어를 읽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읽기에 대한 이해 수준이 낮은 아동들에게는 단순한 낱말 읽기보다는 다른 아동들과 협동하면서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상호 작용적 학습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읽기 능력과 태도에 대한 교사의 관찰평가와 아동의 자기평가간의 상관관계, 아동의 자기평가와 아동의 상호평가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통한 읽기 수업은 아동들의 읽기 능력에 대한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동들에게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참여 태도와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동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실시되는 7차 교육과정의 영어학습에서도 영어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은 아동들을 위한 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rtfolio on English reading achievement and learners'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First, determine the effect of portfolio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reading competence. Second, determine the effect of portfolio on the interest degree of students. Third, qualitative analyzing materials made through portfolio learning and recognizing any effect of portfolio. For this study lessons were planned and practiced for five months in two classes of fif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Jeollabukdo. One class focused on the existing textbook, and the other class had the class-work adopting the portfolio.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 pre and post test was given to the students about the affective domain and the reading competence. To ascertain changes in students,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interview, learning logs and student self-assessment was used. On the basis of these resources, it was describ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Portfolio was applied to fif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practice,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cla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F=7.47, p<.01). In the test done before the experiment, two classes whos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levels are similar were selected; one of the classes was decid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one became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class-work adopting the Portfolio, and the control group had the class-work based on the existing textbook. The results told that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level of experimental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most parts such as word-reading and sentence-reading. All of those results prov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practice applying the Portfolio evaluation method was effective for students' improving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Second, the examination of changes shown in the areas of students'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ir interest degrees told that their participation attitude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However, with respect to interest rates toward self-confidence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average value of the group who applied Portfolio rose more than that of the group who didn't apply the metho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Third, 12 students were sampled, who had a low score in a questionnaire survey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their studying process was analyzed, because it was thought that most students don't have a sufficient basis of English ability, so that they had much difficulty in reading words. In case of students whos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s low, a significant activity of finding out, attaching studying materials and helping with one another rather than a simple activity of reading words was necessar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observational evaluation and students' self-evaluation towar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attitude,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lf-evaluation and students' mutual evaluation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These study results told that reading comprehension class applying Portfolio was effective students' increasing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that the class-work of Portfolio surely provides the motivation making students increase their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ng attitude in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also, it is expected that other current English classes following the 7the National Curriculum will consider the Portfolio evaluation method for students whos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level is low.

      • 유치원에서의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 연구

        황윤세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을 위해 평가 방법의 개발, 적용을 위한 교사교육 그리고 적용과정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에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1-1. 어떤 방식의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치원에서 효율적인가? 1-2.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에 대한 교사교육은 어떻게 실시되어야 하는가? 2.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현장 적용이 교수·학습과정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2-1.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은 교사의 교수·학습방법의 설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2-2.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2-3.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은 유아의 교사에 대한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유치원에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개발을 위해, 연구자는 문헌고찰을 근거로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안)을 작성하였으며, 적용의 과정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주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교육의 추세가 공교육울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립 유치원에서 두 곳에서 각 한 반씩 두 학급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 전, 연구자가 예비관찰 및 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여 학급의 분위기,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 상황 그리고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을 위한 교사교육은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기초에 관한 이론적인 부분, 1차·2차·3차 포트포리오 평가 방법이 적용되기 전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교사들은 현장 적용과정에서 문제점과 연구자가 교수·학습과정의 관찰을 통해 분석한 점을 교사들에게 피드백하는 방식ㄴ으로 진행되었다.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 과정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자료수집방법으로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서술관찰, 교사들의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상의 문제점과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교사면담(심층면담과 기존의 질문지를 활용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교수·학습과정 분석, 집중률 분석, 원인연쇄 분석, 사례분석과 같은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주로 적용하였으며, 교사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된 관찰 척도는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쌍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에서 포트폴리오 평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두 가지 측면이 요구된다. 첫째, 포트포리오 평가 방법의 개발, 둘째,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 자질을 갖춘 교사교육이다. 유치원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은 1단계: 포트폴리오 협의회 및 계획단계, 2단계: 교수·학습과정에서의 포트폴리오 수행 및 개발, 3단계: 포트폴리오를 위한 자료의 선정, 4단계: 포트폴리오 분석 5단계: 포트폴리오 평가의 활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실시된 교사교육은 실행중심을 강조하고 교직 전문성의 강조는 모든 과정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2.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현장 적용은 교수·학습과정에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첫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을 통해 교사는 유아의 교수·학습과정을 관찰하고 유아들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개입하는 교수-평가의 형태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유아들과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 관찰, 개입 그리고 다시 관찰을 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언어적 상호작용, 놀이 개입, 자료 제시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유아의 수준 높은 상호작용은 교수·학습과정에서 유아들의 집중률 분석을 통해 그 결과 뒷받침되었다. 셋째, 교사·유아의 관계는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 전·후를 살펴본 결과 교사와 유아와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는데, 즉 친밀한 관계를 유지, 갈등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적용을 통해 교사는 유아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므로 교사의 유아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유치원교육 현장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방법인 동시에 현재 널리 적용되고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심층분석하여 긍정적 효과를 제시함으로 교수·학습과정으로서의 교수-평가의 연계와 교사들의 현장 적용에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사료된다.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the actual scenes of childhood education and is now widely used. But the practical study of the use and effect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is not enough and, in particular, the study of how teachers apply the method is almost nonexistent. Accordingly, I am going to make a deep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way to apply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efficiently, the education of the teachers for that purpose and the procedure of application. Particularly, the results of this deep analyses have been used as important material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is to develop a new portfolio assessment method which can be applied in the educational scenes of kindergarten. Second, it is to develop and practice an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teachers so that they can apply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Third, it is to make a deep analysis of how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affect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problems established for this study objectiv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ive rating method in kindergarten? 1-1. What portfolio rating method is effective in kindergarten? 1-2. What is the way to educate the teachers for the efficient portfolio assessment method? 2. What is the effect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on teachers' plan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ways?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on the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2-3. What is the effect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on the children' response to the teachers? In this study, on the one hand, the enthrographic method has been chiefly used, and materials concerned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effectiv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observed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the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the two kindergartens attached to a primary school administered by the Southern Office of Education in Taegu City. I have decided to study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a primary school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y are public institutions of education, second, the education of kindergarten is conducted more and more in public institutions, and third, the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s are a group appointed by the appointment examination. The particular reason of choosing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a primary school which is a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 is that the portfolio rating method is not adopted in many private kindergartens but the office of education has given the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a guide recommending them to adopt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and so the teachers in those institutions will be more helped. Both of the selected kindergartens have single classes of mixed age and the teachers have similarities in scholarly attainments, career records and age. I have observed the Green Class and the Yellow Class in advance and planned a portfolio assessment method applicable to kindergartens by studying the literature concerned and have found out problems in the course of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I have discussed the problems with the teachers and developed the final portfolio assessment metho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n this stud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I have collected materials by means of cultural descriptions such as deep consultations and descriptive consultations with the teachers, daily teaching plans and so on. I have also used as a means of measuring the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the method of STRS(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 developed by Prato(1988). I have conducted qualitative material analysis of the collected materials by way of the analysis of educational process, the concentration ratio during the lessons, an analysis of special examples and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o know the student teacher scale, I have used the way of quantitative statistics and conducted related tests. I have conducted a total of 25 times of observations to develop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5 times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10 times in the first application, 7 times in the second application and 3 times in the third application. I have analyzed the teaching process and concentration assessment by analyzing the final day's descriptive observations, and I have handled the teachers' observation scale by measuring two times before the application and after the final application. I hav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t portfolio assessment method in kindergartens is composed of: the first step: the portfolio conference and planning, the second step: the con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portfolio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third step: the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portfolio, the fourth step: the analysis of the portfolio, and the fifth step: the use of the portfolio assessment. This portfolio assessment method has 24 lower items under the higher 5 steps. In applying in the real scenes, the teachers must follow the higher 5 steps in the order , but in the lower 24 lower items, it is efficient for the teachers to have the flexibility of controlling the items, considering the activity characters in the classes and the situations. Second, the objective of the program to educate the teachers has been the practice, the emphasis of the distinctions of teaching and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in kindergartens. The program of educating the teachers has been conducted for 10 hours after hearing their demands. And the program has been carried out in the practical process of exchanging views on the problems obtained by my observations of the teachers' application and the feelings of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application. Thir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has been conducted in the teachers' teaching forms of the observation of the children' play situations, intervention, and observation. There has been the teachers' intervention in the form of the lingual interaction, the presentation of necessary materials and participating as partners. This has produced the form of teaching-learning ways uniting teaching and rating by sensitive and instant responses to the children' demands. The teacher and infant interac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and in quality and this has been proved by the children' activity concentration ratio and the teacher child relationship. The children' concentration ratio has increased more and more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and the teacher infant relationship has been maintained positively. I have found th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f .042(p<.05) in the Green Class and .027(p<.05) in the Yellow Class. Bu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two public kindergartens and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 But the study has shown considerable effects on the teacher child interaction and the concentration ratio. This shows tha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quantity and length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activity subjects and the teaching tools chosen by the children. This study has helped the teachers to understand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and has played a part in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teachers' measurement and execu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practical application. The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method has realized the superior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through the teachers' observations of the children' play activities. Teachers have been able to respond more sensitively and instantly to the children' responses. This has supplied the teachers with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the children' development and progress. I have concentrated on th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public kindergartens. I hope that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nd many studies of assessment programs interrelating teachers, children and homes will appear.

      • 중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분야에서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이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7학년 과학과 지구과학 단원 수업에서 포트폴리오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와 포트폴리오 학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 광명시 K중학교 7학년 4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표집하여 7주간 전통수업과 포트폴리오 적용 학습 집단으로 나누어 이들 수업간의 효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사후 검사로는 학업 성취도 검사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와 실험 집단에게는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검사지를 투입하였다. 결과분석으로는 학업 성취도와 과학 정의적 영역에 대한 태도 변화에 대해 공분산 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과 단원 중 1단원 지구의 구조와 3단원 지각의 물질 단원에 대한 포트폴리오 수업을 적용한 결과, 포트폴리오 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 수업을 진행한 집단보다 학업 성취도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위 30%집단에서는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가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중위 집단과 하위 30%인 집단에서는 두 집단 사이의 성취도 검사의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이 상위 집단 보다 중·하위 집단에 더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둘째,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네 가지 소범주 중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범주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포트폴리오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갖기 때문에 과학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됨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포트폴리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도 사전 검사에서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가 매우 낮은 편이었으나, 포트폴리오 학습을 한 후에는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에 대한 인식에 있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습자들은 포트폴리오 학습이 일반 학습보다 흥미 있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게 한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을 학습에 적용 하여 과제를 수행하면 학업 성취도 면에서 전통 수업 집단 보다 효과적이었고, 상위 집단 보다는 하위 집단에서 포트폴리오 학습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은 전통 수업에서 소외 되었던 하위 학습 집단의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켰고, 교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학생들의 바람직한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후 포트폴리오 인식 검사에서도 포트폴리오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중학교 7학년 과학과 지구과학 분야에서 교수 학습과 평가를 통합하는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학업 성취도에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업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발전을 위해 포트폴리오 학습 방법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portfolio assessment program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education. The portfolio program aims to enhance the active learning and the reflective thinking, and at the same time to promote the ability for performance assessment in this field. This portfolio program is used into assessment study from March 3, 2002, to April 26, 2002 at Kyung-gi K-middle school 7th grade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One group is used into traditional instruction program, the other group is used into portfolio instruction program. The pretest of the scientific attitude and learning achievement was administered to both groups. The treatment was given for seven weeks for both groups. Instruments about scientific attitude and learning achievement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10.0 computer program. Results are analytically summarized as follows : 1. A portfolio assess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learning achievement (p<.05). The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learning achievement was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is program in particular was more effective to the below-average students who ranked the low thirty percent(p<.01). 2. The portfolio assessment program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p>.05). However, it had a significant effect in stu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for science class (p<.05). 3. The cognition tests for students on portfolio assessment showed affirmative reactions in instruction effectiveness and attitude of students.

      • 포트폴리오에서 先物의 效率性에 關한 實證硏究

        송병직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 KOSPI 200 주가지수선물거래를 시작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 선물로는 KOSPI 200 주가지수선물, KOSDAQ 50선물, 국채선물, 통화(미달러)선물이 있다. KOSPI 200 주가지수선물은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DAQ 50 선물, 국채선물, 통화(미달러)선물, CD선물, 금선물은 한국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 오늘날의 포트폴리오 이론에 의하면, 투자자들은 동일한 기대수익률 수준에서 최소의 위험을 가져다주는 포트폴리오를 선택하고자 한다. 즉, 투자자들은 하나 하나의 개별자산을 독립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자산을 결합하여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 경우에 각 개별자산은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성분자산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선물자산을 독자적인 자산으로서가 아니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성분자산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트폴리오에서 선물의 효율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우리나라의 미달러선물과 국채선물 자료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물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켰을 때와 포함시키지 않았을 때 효율적인 프론티어(efficient frontier)를 형성하는가에 대한 결과는 2가지로 나올 수 있다. 하나는 동일한 수익률 하에서 더 작은 위험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이고 또 다른 하나는 동일한 수익률 하에서 더 작은 위험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포트폴리오에서 선물의 효율성을 우리나라 미달러선물과 국채선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미달러선물 및 국채선물 모두 선물을 포함시키지 않았을 때와 선물을 포함시켰을 때를 비교시 더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형성한다라고 말할 수 없다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앞으로 선물이 많이 발전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종류도 미국처럼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따라서 앞으로는 선물을 독자적인 자산으로서 활용하기보다는 포트폴리오의 한 구성성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다. 지금까지는 단순한 헤지대상인 현물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선물을 활용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으나, 미래에 선물의 발전과 더불어 포트폴리오의 한 구성성분으로서 선물을 이용하는 수준에 이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선물을 포함한 포트폴리오의 위험-수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이며 어떻게 하면 동일한 수익률 하에서 더 작은 위험을 가능하게 만들 수가 있는지 국제재무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내용이 될 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증기간이 짧은 점이다. 외국의 경우 약 25년간의 자료로 월별수익률을 사용한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약 2년간의 자료로 일별수익률을 사용하였다. 둘째, 경제환경 등 실증분석에 미칠 수 있는 외생변수를 고려하지 않았다. 셋째, 선물수익률을 구할 때 거래비용 등 다른 제반요소 등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통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즉 주식, 국채, 회사채, 선물 등의 수익률에 미치는 경제환경 등 외생변수를 고려할 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통계분석자료의 기간이 짧은 관계로 거기까지는 연구의 범위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 기간이 충분히 길면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OSPI 200 Stock Index Futures have begun since 1996. Now, KOSPI 200 Stock Index Futures, KOSDAQ 50 Index Futures, KTB Futures and US dollar Futures are actively traded in Korea. KOSPI 200 Stock Index Futures is traded in Korea Stock Exchange(KSE) and KOSDAQ 50 Index Futures, KTB Futures, US dollar Futures, CD Interest Rate Futures and Gold Futures in Korea Futures Exchange(KOFEX) According to portfolio theory, investors intend to select the portfolio which has the lowest risk in the same expected returns. That is, investors don't select individual assets independently but they put several assets together. In the case of that, every individual asset is not independent but comprised in portfolio.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whether investors can improve portfolio performance by using individual assets comprised in portfolio or not. This study provides the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of efficiency of futures in portfolios by using the data of US dollar Futures and KTB Futures. When including Futures in portfolios or not including Futures, the study can provide two results; One is that allocating funds to securities reduces portfolio risk without necessarily reducing expected return. The other is that it doesn't reduce portfolio risk. In the main section of the paper, we divided the test of efficiency of Futures in portfolios into two cases; US dollar Futures and KTB Futures in Korea. The result of empirical test is that when including Futures in Portfolios, we cannot improve portfolio performance much more than when not including.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he next. Future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very much and the number of Futures in Korea will be increased as many as that of Futures in America. Futures will play a role in a component of portfolio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concern about risk-return in portfolio including Futures will be increased and it is an important issue to an 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r how to reduce portfolio risk without necessariliy reducing expected return. Limits in this study are in the next. First, an actual proof period was too short. While the study in America used the data, the period of which is 25 years, this study used the data, the period of which is 2 years. Second, this study doesn't consider exogenous variables, such as expansive-versus-restrictive monetary policy periods, to affect the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Third, this study doesn't consider other factors such as transaction cost, when calculating Futures returns. The point to develop this study is in the next. That is, if this study considers exogenous variables, it is possible for different results to come into existence. Because of the short period, the exogenous variables are not involved in this study. But later, they may be involved in a new study to develop this study.

      • 포트폴리오 체제를 적용한 자연과 수업에서 소집단내의 상호작용 분석

        오영선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체제를 적용한 자연과 수업에서 소집단내 상호작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4학년 자연과 2개 단원 선정하여 포트폴리오 체제를 개발한 다음, 자연과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실 구성원의 상호작용 양상과 소집단내의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 개별 포트폴리오의 특성과 상호 작용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 체제를 적용한 자연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양상은 교사와 학급 전체집단 수준에서, 교사와 소집단 수준에서, 소집단내의 개별 학생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교사의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상호작용의 시기, 상호작용의 횟수, 상호작용의 지속시간, 타 집단과의 상호작용 및 횟수, 학생 개별행동 동의 양상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A반의 경우 교사는 수업과정에서 학습집단 조직을 전체집단→소집단→전체집단 등으로 필요에 따라 바꾸었으며, 교사의 발언이 많았고, 소집단 활동시 순회 방문 하며 학생의 활동을 점검하였다. 또한, 학생 개별 행동을 최소화하려고 지도하였기 때문에 학생의 개별 행동은 많이 보이지 않았다. 학습 토의 활동 후 학생들의 학습 성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틀을 향해 질문을 주었으며, 소집단간 비교·평가하였다. B반의 경우 교사는 비교적 통제되지 않은 방법으로 수엽과정을 이끌어 나갔으며 학습집단 조직의 변화를 주지도 않았다. 전체적으로 교사의 발언이 적었고; 소집단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생들의 발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소집단내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A반과 B반 언어적 상호작용의 횟수는 달랐으나, 공통적으로 학생 정보주기(SI), 학생유도(SE), 학생 반응(SR)유형의 순으로 언어가 활용되고 있었으며, 학생지시(SD), 학생평가(SU) 등의 유형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활용되고 있었다. 학생별로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많은 학생과 적은 학생의 서열이 존재하였으며 많게는 2배 이상의 차이가 났고, 어느 한 유형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전 영역에서 고르게 차이가 났다. 또한, 학생별로 선호하는 언어적 유형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학생 정보주기 (SI)영역이 많았고, 학생 평가(SU)에서 적었다. 수엽의 진행 과정에서도 학습안내, 학습 방법 안내, 실험활동, 포트폴리오 작성 활동, 전체 발표활동, 학습 정리 등 학습 활동에 따라서 상호작용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 포트폴리오를 평가한 결과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정도와 포트폴리오의 평가 등급과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반, B반 모두 포트폴리오 평가 등급이 중·상위권인 학생이 상호 작용의 참여율도 높았으며 하위권인 학생은 상호작용의 참여율이 낮은 학생이었다. 또한, 포트폴리오의 구성 활동이 학생의 상호작용 활동뿐만 아니라 학생 개인의 표현력, 창의력, 성실한 태도 등 개인적인 성향이 복합적으로 관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적용된 포트폴리오체제 중 학생간에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설계한 부분에서는, 학생들이 의견을 나누고 절충하며 합일점을 찾고 함께 기록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학생들의 상호작용 유발에는 포트폴리오 체제의 전략적인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small-group interaction in two fourth-grade science classes were analyzed. After selecting 2 units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portfolio system was developed.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aspects of interaction in the members of the class, and the types of the interaction within small groups were investigate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s and main features of the personal portfolio of the students were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interaction displayed in the science class, which applied the portfolio system, was investigated in following divisions: the teacher and all of class members, the teacher and small groups, and the numbers of students within the small groups. First,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of the teachers, the time period, frequency, duration of the interaction, the interaction with other groups and inattentive behaviors of each student were displayed differently. In case of class A, the teacher had changed the study group to whole - > small - > whole groups according to the needs during the class, teacher had many utterances, and checked on the student activity by visiting them in rotation. Because the teacher instructed the students so that she can reduce inattentive behaviors of the students to the minimum, not much of the personal activities of the students had been displayed. In order to be aware of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after the class discussion, the teacher had given many questions to the students, and compared and evaluated each small groups. In case of class B, teacher lead the class in a rather unrestricted way and did not change the study groups. Overall, there were less utterances of the teacher and since the class was lead focusing on the small group activities, there were much opinions of the stude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inguistic interaction within the small group, the frequency of linguistic interaction of class A and B was different. However, the interaction type were being us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 student information(SI), student elicitation(SE), and student response(SR). The interaction. type of student direction(SD), student uptake(SU) and etc, were utilized in rather low proportions. In terms of students, there existed the rank between the students with high and low linguistic interaction. There were the difference of more than twice as much in maximum. The difference did not exist in a certain type but was. proven that it existed in overall areas. There was a linguistic type favored by the students. Overall, there were much interactions in student information(SI) and less in student uptake(SU). Different interaction types we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hase of a class such as study introduction, introduction on study method, experiment activity, portfolio activity, overall expression activity, study summarization, and etc during the clas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tudent portfolio, the level of interaction, however, overall, had some relationships with portfolio scores. Both in class A and B, the student with average or high level of portfolio score had higher rates of the participation in interactions. The students with low level of portfolio score had lower rate of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Also, it was proven that the activity of creating the portfolio was related to not only the student interaction but also personal tendencies, such as expression skills, creativeness, sincerity, and etc, in a complex manner. In the carefully designed part among the portfolio system applied in this research where students can interact with one another, the look of which the students exchange their opinions, negotiate, drive the conclusion and record the conclusion were observed and thus proved that strategic development of portfolio system is necessary in inducing the student interaction.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독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유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A reading portfolio reveals history of the enhancement of learning capability of an individual.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ading program by composing a reading portfolio in a way which would not degrade an essence of reading activities and rather promote. Moreover, this reading portfolio program has been designed to guides students how to write a reading portfolio in specific and to be applied at the school. The aforementioned argu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is study, literatures on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program are investigated beforehand. The investigation show tha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program consider a portfolio as one assessment method instead of a teaching tool for the enhancement of learning capability of student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is study has been constructed under the goal of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program in consideration of various methods of the composition of a reading portfolio and relevant arguments. The concept and meaning of a reading portfolio are studi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s and fundamentals of a reading portfolio are suggested for the conceptualization and composition of a reading portfolio.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a reading portfolio are categorized to be used as reference. Furthermore, a theatrical research is also suggested to support students for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portfolio data in a proper way. On the basis of these aforementioned theatrical background, specific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portfolio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