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범패를 이용한 실시간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음악 제작 연구 : 멀티미디어음악 작품 <Aruna>를 중심으로

        강신애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4026

        Bumpae is a kind of Buddhist music when monks perform ancestral rites for Buddha. Bumpae includes dancing,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s. The songs of Bumpae have a unique feature which uses vowels to connect each letter of scriptures. So, the vowels have taken the largest part of the songs of Bumpae. In this study, a song ‘Bokcheongge’ is selec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feature of Bumpae and has developed a sound effector and a video system for it. The sound effector produces sound which has the same vocality of original sound by using real-time formant analysis and resynthesis technique. So, this effector can give different effects such as delay effectors used for vocals which cannot be naturally produced. Next, the video system has been made for implying meaning of the lyrics of Bumpae. Sound visua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used. All colors and shapes used have been selected based on buddhistic world view. The pitch and amplitude variation affects the shape, size, and color of objects in the system. Combination of the sound effector and video system can create a synergy effect while making a new impression to the audience.

      • (The) study of English diphthongs production in rated L2 speech corpus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박서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석사

        RANK : 494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English diphthong pronunciation based on diphthong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phthong accuracy and proficiency levels.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diphthong production acros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 total of 148 speech files, without proficiency level information, were evaluated by two native English speakers and one bilingual Korean evaluator to assess pronunciation accuracy. The accuracy of diphthong pronunciation was compared by diphthong types and by proficiency level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curacy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s was examined. F1 and F2 values, which are acoustic measures related to vowel quality, were measured at five equidistant temporal intervals throughout the entire duration of the diphthong using Praat for acoustic analysis. The articulatory movements of learners during diphthong production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acros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The findings revealed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demonstrated higher accuracy in the pronunciation of the diphthongs [aɪ], [ɔɪ], and [aʊ], in that order. The fronting diphthongs [aɪ] and [ɔɪ] showed higher average accuracy compared to the retracting diphthong [aʊ]. Pronunciation accuracy varied across proficiency levels, with advanced learners exhibiting the highest accuracy, followed by intermediate and novice learners. The difference in accuracy between advanced and novice learn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diphthong pronunciation accuracy and proficiency levels. Acoustic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ticulatory characteristics across proficiency levels for all three diphthong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ntermediate and novice learners. Advanced learners displayed distinct patterns, such as higher F1 values for [aɪ], higher F1 and F2 values for [aʊ], and lower F2 values for [ɔɪ], particularly after the third measurement point. This suggests that advanced learners emphasized the articulatory position closer to the onset of the diphthongs rather than the offset.Furthermore, the advanced group consistently exhibite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onset and offset points for all diphthongs, and as fluency level incr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onset and offset decreased. Additionally, advanced learners maintained a relatively consistent F2 value for the two [a] sounds in [aɪ] and [aʊ], regardless of the offset, while intermediate and novice learners tended to move the onset articulation point closer to the offset. 본 연구는 유창성 등급이 평가된 음성 코퍼스(Genie Speech Corpus)를 활용하여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이중모음 [aɪ], [aʊ], [ɔɪ] 발음 정확도와 유창성 등급별 발음 정확도를 밝히고, 유창성 등급별 발화 양상 차이를 음향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중모음 발음 정확도 평가를 위해, 유창성 등급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148개 음성 파일에 대해 2명의 원어민과 1명의 한국인 이중 언어 구사자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음향적 분석을 위해, 음성 분석 프로그램 프라트(Praat)를 활용해 F1, F2 값을 5개 지점에서 측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포먼트 궤적 그래프와 모음 차트에 시각화 하여 나타낸 후, 유창성 등급별로 조음 동작과 관련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발음 평가 분석 결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이중모음별 발음 정확도는 [aɪ] > [ɔɪ] > [aʊ]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세 이중모음 중 전향 이중모음의 발음 정확도가 후향 이중모음의 발음 정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창성 등급별 발음 정확도는 고급(advanced) > 중급(intermediate) > 초급(novic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고급 학습자와 초급 학습자 간의 차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또한 이중모음 발음 정확도와 유창성 등급 간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F1, F2 값을 바탕으로 한 음향 분석 결과, 세 이중모음 모두 유창성 등급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초급과 중급 학습자 간의 차이는 어떠한 이중모음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고급 학습자들은 타 그룹에 비해 [aɪ]의 경우 더 높은 F1 값이, [aʊ]의 경우 더 높은 F1과 F2 값이, 그리고 [ɔɪ]의 경우 더 낮은 F2 값이 세 번째 측정 지점 이후에 나타나, 이중모음의 종료 점(offset)보다 시작점(onset)에 가까운 조음 위치에 더 오래 머물러 있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급 학습자 집단은 모든 이중모음에서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의 거리가 중급, 초급 학습자와 비교하여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이중모음 [aɪ]와 [aʊ]의 경우, 유창성 수준이 높아질수록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고급 학습자들은 이중모음 [aɪ]와 [aʊ]의 시작점에서 두 [a]의 F2 값을 종료점과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일관되게 유지했으나, 중급과 초급 학습자들은 시작 부분의 조음 위치가 종료점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