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년 이후 학교평가의 특성 및 학교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연구

        김정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14년 민선6기 교육감 선거에 학교혁신, 학교민주주의를 강조한 교육감들이 다수 당선되면서 17개 시도교육청 중 과반수 이상의 교육청이 학교평가의 방법을 외부평가에서 학교자체평가로 전환하는 변화가 있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학교평가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 시․도교육청별로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하여, 2015~2017년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의 특성을 찾고, 학교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이후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둘째, 학교평가에 대해 교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각 시‧도교육청에서 제시한 학교평가 기본 계획 및 학교평가 안내서를 통해서 학교평가의 목적, 평가 주체, 평가 대상, 평가 주기, 평가대상기간, 평가 내용, 평가 방법, 평가 결과 활용 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충청권(대전, 세종, 충북, 충남)의 초‧중‧고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 중 하나인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학교평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이후의 학교평가는 목적면에서 학교 자체의 성과를 평가하기 보다는 학교교육의 질 개선 및 책무성 제고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2015년 이후의 학교평가는 평가주체면에서 외부가 주체가 되기보다 학교자체가 주도하는 경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셋째, 2015년 이후의 학교평가는 초‧중‧고‧특수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주로 1년 주기로 당해 학년도의 교육활동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그 해의 학교교육활동에 대해 평가하고 개선하여 차년도 학교교육과정 계획 수립에 반영하고,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를 비롯하여 지역사회에 학교교육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2015년 이후의 학교평가의 내용으로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을 다루었고, 몇 개의 시‧도교육청은 그 시‧도의 교육정책을 포함하였으며, 충청북도교육청의 경우 평가영역을 민주적인 학교문화 조성,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시스템 구축,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 학교교육 만족도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2015년 이후의 학교평가는 평가 방법면에서 교육청에서 일률적으로 제시하는 공통지표 보다 단위학교의 자율 및 선택권을 늘리는 선택지표, 자율지표 선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정량평가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나 정성평가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써 각 시‧도교육청이 학교의 자율책임경영제를 뒷받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2015년 이후의 학교평가는 평가 결과 활용면에서 대부분의 교육청이 학교평가결과를 학교교육 개선을 위한 자료로 차년도 학교교육과정 계획 수립 시 반영하도록 하였고, 소수의 교육청이 우수학교 기관 표창 및 성과급과 연계를 하였다. 또한 충청권의 초‧중‧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한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평가에 대한 개인의 인식, 동료 교원의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 학교평가 체제 및 방안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모두 직위, 경력, 학교평가 경험, 학교평가 업무 담당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저경력교사, 일반교사들의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이 낮아 학교평가가 의미 있도록 하는 조치, 예를 들면 그들의 역량 제고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가 민주적‧자율적으로 운영되고, 교직원들의 민주적인 토론 문화가 잘 형성된 학교의 교원일수록 학교평가에 대한 개인의 인식, 동료교원들의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 학교평가체제 및 방안에 대해 높은 수치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평가의 목적, 방법, 결과 활용에 있어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학교평가의 방향은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실현을 위해 학교의 운영 뿐 만 아니라 평가에 있어서도 자율성을 갖도록 하되, 활동의 평가에 따른 책무성을 강화할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평가는 학생들의 성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즉, 학교 교육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수업을 강조하는 학교평가, 학생들의 성장 중심 평가를 강조하는 학교평가, 학생들이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게하는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는 학교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평가는 학교교육활동 뿐만 아니라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 시스템구축에도 무게를 실어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즉, 학생들의 성장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위한 과정중심의 평가와 더불어 그러한 교육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밑받침하는 민주적인 학교문화 조성,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평가에 대한 객관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원들의 학교평가에 대한 전문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수의 시‧도교육청이 학교자체평가로 전환되면서 평가결과가 좋게 나오도록 평가지표를 구성하거나 평가를 형식적으로 실시하는 등 학교평가의 목적에 어긋난 평가를 실시하는 학교가 있음도 주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평가가 자체적으로 이루어져도 그 결과가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도록 교원들의 학교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저경력 교사에게 학교평가에 대한 목적 및 방법, 평가 결과 활용 방법 등에 대한 역량을 제고하도록 연수 등의 지원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교사들 스스로 신뢰할 수 있는 학교자체평가가 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민주적인 학교문화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학교가 민주적‧자율적으로 운영되고 교직원 간 민주적인 토론문화가 잘 형성되며, 학생들의 자치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하고, 교원들이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貿易技術障壁 除法을 위한 適合成評價體系의 問題點과 發展方向에 관한 연구

        송태호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artificial trade barriers such as tariff, quotas, etc., are restricted among the members in WTO, Korea which substantially depends on the free trade for economic development, should identify which trade barrier is prohibited and allowed to and take actions to diminish unnecessary trade friction and support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domestic industry. It is the fact that each country try to protect indoor industry with extension of Non-tariff measures besides tariff barriers as others get superior price competence to domestic products because of continuous tariff reduc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companies have difficulties of Non-tariff barriers. The importance of technical barriers which give direct burden to companies on complicated procedure, different technical regulation, strict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 began to extend internationally since 1970s. The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is recommended to eliminate technical barriers through introducing internationally unified conformity assessment system. MRA is to recognize different standard and references if they play the identical role despite of the difference of each country's system. These MRA have advantages saving time and cost for exporting goods. We can save the cost and the expense for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 and regulation on export goods and get easy access advantage to the export market, and internally get the improvement of welfare for the people through regulation reform. We should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domestic conformity assessment organizations to construct the basis for MRA, try to harmoniz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to express our opinion to international standards.

      •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장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그들의 심리적 고통을 예측하는 변인이라고 보고, 완벽주의의 부적응적 측면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심리적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고통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이 자료에 적합한지 검증하고, 나아가 상담 전략 수립에 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고통 간에는 직접적인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 2.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정서표현 양가성에 선행하여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고통과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할 것인가?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생 535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정서표현 양가성, 심리적 고통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421명의 설문 결과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변인들의 기술통계량 확인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를 산출하였으며, 변인들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인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정서표현 양가성, 심리적 고통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랩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개별 간접효과 검증을 위하여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심리적 고통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심리적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정서표현 양가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고통 간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완벽주의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인지적 변인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많아 정서경험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자들의 정서 표현과 관련된 내적 과정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상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이들의 심리적 고통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적 성향으로 인한 것은 아닌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의 고등학생들이 겉으로 정서의 표현이 적다고 할지라도 이들의 정서에 대한 탐색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의 고등학생을 상담할 때,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한 안전한 상담관계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온전히 수용받는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습관적이고 지속적으로 억제해 왔던 감정을 자각하고 이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정서표현 양가성의 수준을 낮춰준다면 이들의 심리적 고통이 완화되면서 기존에 많이 이루어졌던 완벽주의 감소를 위한 인지치료적 접근의 효과성이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perfectionism as one strong predictor to psychological distress, and attempted to clarify the process by which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the maladaptive dimension of perfectionism, have an influence on psychological di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possibl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Research Question 2. Does fear of negative concer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Research Question 3. Do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reced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reby sequentially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ose research questions, 535 students who belong to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Undependable responds out of these were excluded, and the results of 421 were used for analyz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For check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of the variables studied in the research,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e kurtosis, and the skewnes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 amo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which was included in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adopted. In addition, bootstrapping procedures were appli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each indirect effect. The findings for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distress. Seco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but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n not significant.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refor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se research results shed light on the internal process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on of evaluative-concerns-perfectionist, whereas advanced studies on perfectionism mostly focused on cognitive variables and the studies about emotional experiences of perfectionists were relatively little. And these research results also provide following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First, when counseling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psychological distress, counselor should consider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s a cause of psychological distress. Second, even though evaluative-concerns-perfectionistic high school students do not reveal their emotions, counselor should not miss the possibility of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ir inner side. Third, when counseling evaluative-concerns-perfectionistic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psychological distress, counselor should try to build a saf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these clients based on counselor??s supportive and acceptable attitude. In that relationship, evaluative-concerns-perfectionists can experience full acceptance and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their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an decrease. And then, counselor should help them to become aware of their emotions and to express emotions appropriately because they have supressed their emotions consistently. If they perceive that emotion expression is natural,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decrease. These interventions can be useful to alleviate psychological distress of evaluative-concerns-perfectionistic high school students, and can raise effectiveness of cognitive therapy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decrease of perfectionism.

      • 전략환경영향평가 스코핑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평가준비서 작성을 중심으로

        형진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략환경영향평가제도의 절차 중 평가항목 및 범위·방법 등을 설정하는 ‘스코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국내와 유럽에서의 스코핑(Scoping)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국내 사례 연구를 통해 스코핑의 개념 및 중요성과 현 제도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스코핑의 취지에 부합하는 스코핑 요소를 반영하여 평가준비서 작성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전략환경영향평가로 제한하고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분석 및 체크리스트 기법을 통한 국내외 사례 비교분석을 사용하였다. 현행법에서 정하고 있는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의 스코핑 절차는 법 제11조 1항에 따라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기 전에 평가준비서를 작성하여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를 거쳐 대상지역, 토지이용구상안, 대안, 평가항목·범위·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다. 법 제11조 2항에서는 평가항목·범위·방법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평가준비서 작성방법을 환경부령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것을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고 있어 자칫 형식적인 절차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대상으로 한 스코핑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관해 심도 있게 논의된 바가 없고, 스코핑 준비단계인 평가준비서 작성 시 「환경영향평가서등 작성 등에 관한 규정」을 중심으로 평가준비서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작성규정 내에서도 계획에 잠재되어 있는 주요 환경문제의 식별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아 스코핑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스코핑 요소를 도출하여 평가준비서 작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첫째, 평가서 작성에 들이는 비용과 시간을 줄임으로써 평가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평가서의 질을 함양할 수 있으며 둘째,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평가준비서 심의의 역할 또한 가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 道路터널 狀態評價 適用性에 關한 硏究

        장기수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상태평가란 시설물의 외관을 조사하여 결함의 정도를 포함한 시설물에 대한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새로운 상태 평가방법은 변상별 중요도 및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라이닝을 평가하는 방법을 도입하고 추가적으로 터널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수 및 지반 등의 주변상태를 점수화 하여 최종적인 점수에 따라 종합등급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에 대하여 새로운 상태평가 기준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4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도로터널은 667개소로 고속국도가 274개소로 전체의 4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의 84% 이상이 1991년 이후에 축조되었으며, 이는 고속도로의 신설, 일반국도의 확장 및 신규 축조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전체터널의 대부분이 100~500m 와 500~1,000m 사이에 존재하고 있으며, 1,000m 이상의 장대터널은 전체터널 수의 13%이나 전체연장의 37%를 차지하고 있어 최근 건설되는 터널이 장대터널로 건설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로터널의 변상사례 및 상태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결과 콘크리트 라이닝의 변상은 크게 결함, 손상, 열화의 3가지로 구분되고 발생형태는 균열, 누수, 부등침하, 재료분리, 박리, 부식, 박락 등이다. 발생원인은 외적원인이 6.7%, 인위적인 원인이 93.3%로 라이닝의 시공불량에 의한 인위적인 원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상태평가는 각각의 조사항목에 대하여 따로 평가등급을 나누어 정의하고 있고 각각의 조사항목에 대하여 독립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각각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문가의 설문조사, 기존자료의 통계적 처리방법과 설계자, 유지관리자, 안전진단 전문가의 견해가 반영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의 상태평가 기준 고찰결과 국내의 정밀안전진단은 라이닝의 상태평가와 구조적 안전성 평가로 구분한 후 이들 평가목적에 적합한 조사항목과 평가등급을 선정해야 하며, 상태평가의 결과에 따라 구조적으로 이상이 예상되는 구간에 한정하여 변상의 진행성과 상세지질조사 등 터널의 구조적 안전성평가를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6년부터 2001년에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한 도로터널 중 무근콘크리트라이닝으로 시공된 재래식 및 NATM 터널 10개를 선정하여 새로운 상태평가 기준을 적용하였다. 시공이음부와 관계없이 하나의 span 길이를 10m ~40m로 하여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span 길이변화에 따른 결함지수의 변화는 최대 0.10이며, 터널연장이 짧고 결함이 특정 span에 집중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대표등급이 바뀔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같은 등급에 대하여 가장 높은 결함점수를 부여 할 경우와 비교하면 동일한 터널에 대하여 결함지수가 최대 0.08 까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이는 결함점수가 판정등급 경계에 있을 경우에는 영향을 미칠 수는 있어도 결함점수의 적용 과정에서 발생된 개인차가 등급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터널주변 상태에 대한 결함점수가 터널의 상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균열의 경우 발생형태나, 발생부위, 다른 손상의 동반 유무에 따라 전체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같은 폭의 균열이라도 영향 계수 등의 도입을 실시하여 중대한 결함으로 판단되는 아치부의 종방향 균열 및 단차에 대한 결함지수의 조정이 필요하다. Span 길이의 결정에 따라 터널 상태등급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하나의 span 길이를 일정하게 명시하여야 하며 적정한 span 길이는 분석결과 30m로 과거의 평가기준과도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It is generally stated that the state evaluation of construction facilities is to measure a step of the whole state included in the aging and defects in facilities. The newly suggested approach of state evaluation introduces the technique which gives a grade to assess the state of lining depending on the extent and importance of defects in facilities. Additionally, the drainage and ground condition was considered on the effect of the stability of tunnel to measure a grade of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ed a matter of improvement after going over an application on new standard of the state evaluation, which is applied for the road tunnel. The existing state evaluation had less connection among the investigation items because not only the assessed grade was made by its individual analysis in each item but also each grade of evaluation was defined only in each investigation item. Therefore, the current state evaluation process needs a further study which can reflect on the survey of experts, statistical process of previous data and opinions of designers, maintainers, and experienced safety inspectors. Based on the study of overseas standard of state evaluation, the precise safety diagnosis in domestic should be firstly classified with the state evaluation of lining and assessment of structural stability. Secondly, the grade of evaluation and investigation items should be chosen appropriately to cooperate with the purpose of evaluation. Thirdly, the area of structural instability in tunnel is chosen by results of state evaluation. Then, the additional considerations should be conducted in the movement of defects and detailed geological survey in selected area. New approach of state evaluation is applied for the 10 unlined concrete tunnel including the old-fashioned tunnel and the NATM one in road tunnels, which were completed from 1996 to 2001. It is analyzed that the maximum of fluctuation in defect factor is 0.10 depending on selection of span, which is range from 10m to 40m per one span regardless of construction joints. It is proved that the representative grade for a specific span, especially in short length and dense defects tunnel, can be changed by its fluctuant factor. It is estimated that the maximum range of defect factors is 0.08 for the same tunnel compared to the maximum values in the same grade were given. This fluctuation can affect on the defect grade specially in assessing grade close to boundary value, however it is analyzed that individual variations has a less effect on decision of grade. However, it is required that defect factors should adjust with influencing weight factor even in the same wide cracks to estimate critical defects such as longitudinal cracking in arch or oblique cracking because it can be shown different influence on the entire stability depending on type of shape, location of occurrence, and other nearby defects in crack. Consequently, it is conclude that the length of a span should be noticed in public to assess objec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30m for analyzed span is appropriate and accordant to the previous standard of evaluation.

      • 평가가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상명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육평가는 교육활동의 여러과정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분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평가는 아동들의 인지적인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어, 정의적 측면에는 거의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활동이 아동들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그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학습평가에 대한 아동들의 태도 학습평가가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평가가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평가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서울시내 초등학교 278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을 보지 않더라도 현재와 같이 열심히 공부하겠다는 반응이 높게 나왔으며, 주된 학습방법으로는 원리이해와 중요한 내용 외우기, 시험에 나올 듯한 내용 등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험에 실패했더라도 이를 극북하겠다는 자세가 돋보였으며, 평소 꾸준한 공부를 위해서 시험이 큰 의미가 없다는 반응이 나왔다. 셋째, 학부모들은 자녀의 실력보다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으며, 아동들은 시험으로 인한 심리불안, 중압감 등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원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앞으로의 평가는 서답형 및 체크리스트법과 관찰평가의 기회를 확대하여 정서침해요소를 줄여 나가야 하며, 평가 빈도는 교과의 성격, 평가의 목적, 아동의 능력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절되어야 하고, 평가 결과는 아동의 학습성취도 교정과 교사의 교수-학습지도 개선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사례분석을 통한 신의료기술평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치과분야 사례연구 중심으로

        손기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학지식과 과학기술은 현대 의료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왔고, 과거 치료 할 수 없는 불치병이 약만으로도 낫는 등 의학발전은 혁신적인 수명연장을 구현해 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전 국민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보장제도인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고령화와 만성질환화로 의료비 지출이 증가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국민의 특성과 요구수준에 맞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재원 지출규모의 증가는 중장기적으로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공급과정에서 만연되어 있는 불필요한 지출의 최소화와 의료비의 효율적 지출을 통해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제도적 성장이 필요하다. 우선, 새롭게 발전하는 의료기술에 대한 안전성·유효성에 대하여 충분히 검증을 하고 기존 의료기술에 비해 비용 효과적인지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 신의료기술평가제도는 의과학적으로 입증된 안전하고 유효한 의료기술로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고 신의료기술의 발전을 촉진한다는 기본 목표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7월 국민건강보험제도는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해 요양급여대상 여부 결정을 위한 절차의 하나로 학회 또는 관련 단체의 의견서 제출을 통하여 안전성·유효성을 평가 하였다. 하지만, 공정성·객관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2007년 4월 28일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객관적 근거에 기반한 신의료기술평가제도가 시행되었다. 신의료기술평가제도가 도입된 이후 2016년까지 총 신청건 중 치과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1.51%에 불과하며, 이는 의과분야 96.18%에 비하여 대단히 낮은 수준이다. 국내 치과 의료기술은 해외 유수 학회에서 발표되거나 SCI급 학술지에 게재되는 등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으나, 국내는 신의료기술평가제도로 인하여 임상현장 도입이 어려운 현실이다. 2007년부터 2018년 8월31일까지 치과분야 신의료기술평가 신청건은 42건이다. 신청건의 75%는 의료기기를 수반하며 치료재료 및 의료장비의 대부분이 2등급 의료기기이다. 새롭게 개발된 의료기술의 경우 임상적 근거부족으로 적합성 평가를 받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기존기술이 개선되며 사용방법이 변경된 의료기술 유형이 가장 높다. 신의료기술평가시 제출되는 관련문헌의 개수가 많고, 연구문헌의 질이 높을 경우 신의료기술로 적합한 평가를 기대 할 수 있지만, 치과분야의 경우 증례연구 방법이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 중 증례연구에 대한 문헌의 질 평가가 낮기 때문에 임상시험 설계시 충분한 연구표본수와 추적기간을 고려하여야 한다. 신의료기술로 평가받은 사례의 평균 환자 수는 90명이상, 추적기간은 60개월 이상이다. 앞으로 의료현장의 데이터를 잘 모으고 이를 객관화할 수 있는 정확한 근거마련 방향으로 접근을 하여야 한다. 임상적 근거가 부족한 치과분야의 경우 의료기기 임상시험 지원정책 활용방안도 모색하여야 한다. 국내 의료기기 제품의 과학적·임상적 근거를 창출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국내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임상시험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신의료기술로 인정되지 않은 조기기술·연구단계기술을 대상으로 하는 신개발 의료기기 시장진입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는 2016년도 고객소통제도개선팀을 신설하여 임상시험 계획서 자문서비스 및 문헌검색 지원서비스 등 신의료기술평가제도 접근이 용이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의료기술평가사업의 입지적 장점을 활용해 산업계와 의료계의 간극을 줄이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의료기술을 임상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성·유효성에대한 임상적인 근거가 충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신청인은 의료기술에 대한 문헌적 근거마련을 위한 임상시험 지원제도 및 보건의료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업무의 적극 활용 등 능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성취평가제 기반 과정중심 평가모형 개발

        장재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성취평가제를 기반으로 하는 과정중심평가의 모형을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성취평가제 기반 과정중심평가는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 평가를 일관성있게 통합하여 학생과 교사의 성장을 성취하는 과정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델파이 조사 방법,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이론적 근거와 방법론적 근거가 되는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내용과 형식을 추출하고 성취기준 과정중심 평가모형의 초안을 구안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평가모형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토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서 평가모형의 신뢰도와 구인 타당도를 최종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로부터 4개의 평가영역, 16개의 평가항목, 46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모형의 초안을 구안하였다. 평가모형 초안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 내용타당도와 합의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교수, 연구원, 교사, 장학사 등을 포함하는 내용전문가, 연수전문가, 평가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평가영역과 평가항목 그리고 평가지표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의 내용타당도와 합의도, 그리고 리커트 척도의 평점과 표준편차를 고려하여 타당성이 확보된 맥락분석과정, 설계개발과정, 수업평가실행, 산출평가과정의 4개 평가영역, 11개 평가항목, 27개 평가지표로 구성된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델파이로 개발된 ‘성취기반 과정중심 평가모형’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1차 요인분석 측정모형은 표준화 회귀계수가 평균 0.69, 구성개념신뢰도 0.90, 평균분산추출지수 0.61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나 모형 적합도 GFI=0.71, TLI=078, CFI=0.80으로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1차 요인분석 측정모형을 기각하고 이론적 배경에 따라서 ‘분석과 맥락’, ‘설계과 제작’, ‘루브릭과 피드백’, ‘교사주도와 학생주도’를 요인으로 하는 2차 요인분석 측정모형을 구성하여 이를 연구모형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모형 적합도 GFI=0.82, TLI=0.90, CFI=0.91로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2차 요인분석 측정모형의 수정지수를 반영하여 2차 요인분석 수정모형을 분석한 결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GFI=0.83, TLI=0.91, CFI=0.92였고 각각의 카이제곱값은 χ2(df=310)=553.03, χ2(df=309)=534.21로 자유도 1 차이에 카이제곱값의 차이는 18.82로 임계치 3.84를 초과하여 수정모형을 최종 평가모형으로 확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성취기반 과정중심 평가모형은 수업과 평가의 통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을 제공하고 학생과 교사의 성장을 가져오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 첫째, 맥락분석과정에서 학교의 행정적 재정적 상황과 수업과 평가가 놓인 맥락을 분석함으로서 교사로 하여금 수업과 평가의 외연을 넓히고 그 깊이를 더하게 한다. 둘째, 설계개발과정에서 개정 이원목적분류를 매개로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을 포괄하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과정에 일관성을 제공할 것이다. 개정 이원목적분류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의 지식내용과 교과역량을 체계적으로 재구성을 하는데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셋째, 수업평가실행은 교수학습과 평가의 통합기준을 제공한다. 루브릭의 적용과 피드백은 학생과 교사의 소통을 강화하여 교수학습과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강화할 것이다. 넷째, 산출평가과정은 교사의 자기성장과 학생의 자기주도성을 강화한다. 인지적 목표뿐만 아니라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자기주도적 평가는 교사와 학생의 내적 성장과 외적 발전을 유도할 것이다.

      • 중국어 말하기 수행평가의 운영 실태와 모형 연구

        송임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Current education of the Chinese language has been focused to elevate actual communication ability and let students talk basic matters when meeting the Chinese people. The communication ability has four of important area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etc. The existing multiple-choice item test (objective test) was focused on assessment of grammatical functions of reading and writing to be difficult to test students' actual communication skills. Fortunately, the 6th curriculum started to do performance assessment being new method to assess 'speaking' that was difficult to test before. Speaking test has become important by not only communication skills but also performance assessment. The Chinese language, however, has less number of researches on not only performance assessment but also speaking test to be much short of test models and standards for reference. The purpose was aimed at production of speaking test model enough to make use of 'the Chinese language I' of high schools at schools on-the-spo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investigate incumbent teachers and student and to find out that speaking performance assessment was of help to elevate students' competence of the Chinese language. The survey, however, had problems such as students' low interests, teachers' job burden, difficult acquisition of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and monotony of test methods, etc. Not only objective rating standards but also various kinds of test model development was urgently required to promote speaking test. To supplement problems that were found out at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paper selected learning subjects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speaking to set rating standards and to suggest not only various kinds of models but also objective rating standards. Ten of common contents of learning subject were selected based on not only the Chinese language curriculum but also five kinds of current textbooks. The rating standards referred to assessment standards of other foreign languages to divide it into three, that is to say, being fluent, correct pronunciation and vocabularies, and attitudes, etc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language. The speaking model adopted five of assessment methods, that is to say, interview methods, role play, discovery of limited information by conversation, describing while watching a diagram, and verbal report, etc: And, not only integrated rating standards but also analytical rating standards was suggested in accordance with each assessment method. The author hopes that the study would help improv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of speaking, and expects of approach to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Chinese language from various points of view in the future. 현재 중국어 교육은 학생들이 중국인을 만났을 때 기초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실제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의사소통능력은 말하기·듣기·읽기·쓰기 4가지 영역이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선택형(객관식)평가는 읽기·쓰기의 문법적 기능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학생들의 실제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다행히 6차 교육과정부터 새로운 평가 방법인 수행평가가 실시되어 기존에 평가가 어려웠던 ‘말하기’평가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의사소통능력 중시와 수행평가의 시행으로 말하기 평가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는 수행평가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말하기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적어 참고 할만한 평가 모형이나 기준이 매우 부족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고등학교 ‘중국어Ⅰ’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말하기 평가 모형 제작을 목표로 하였다. 현직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말하기 수행평가가 학생들의 중국어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의 관심 부족, 교사의 업무 부담, 평가의 객관성 확보의 어려움, 평가 방법의 단조로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통해 말하기 평가의 활성화를 위해서 객관성 있는 채점 기준과 다양한 평가 모형 개발이 시급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말하기 수행평가의 학습과제를 선정하고 채점 기준을 설정하여, 다양한 모형과 객관성 있는 채점 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학습 과제는 중국어 교육과정과 현행 교과서 5종을 바탕으로 공통 내용 10개를 선정하였다. 채점기준은 중국어의 특성을 살려 유창성, 발음과 어휘의 정확성, 태도 3가지로 나누었다. 말하기 모형은 면접 방법, 역할극,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 그림보고 묘사하기, 구두 보고 총 5개의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각의 평가 방법에 따라 통합적 채점기준과 분석적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다. 부족하나마 말하기 수행평가 방법 개선에 조금 이나마 기여하길 바라며, 향후 중국어 수행평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을 기대 한다.

      • 완벽주의가 직무수행과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타인인정추구와 자기인정추구의 매개효과 및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황지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vide perfectionism into two different dimensions, examine each have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procrastin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and self. Two different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re adaptive personal standards and maladaptive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job performance and procrastination were moderated by cognitive flexibility. 541 employees(268 males, 278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and self as mediating variables, and job performance and procrastination as dependent variables, the overall fit indexes were good(χ = 500.26(df = 121, p < .001), χ/df = 4.13, CFI = .960, TLI =.949, RMSEA = .076, SRMR = .05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pursuit of self-approval, whereas it had a positive effect on procrastination and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pursuit of self-approval, whereas it had a negative effect on procrastination and the pursuit from others.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job performance and procrastination, and the pursuit of self-approval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but it was found to have no relationship with procrastinatio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to procrastination via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wa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path through job performance was also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unlike the hypothesis.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to job performance via the pursuit of self-approval was positively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n procrastination was non-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to be examined is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effect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n job performance and procrastination, and the effect of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on job performance and procrastination. The effect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n procrastination was found to be smaller in the condition of high cognitive flexibility than in the condition of low, and it was found that procrastination was less when cognitive flexibility was high. In the condition of high cognitive flexibility, there was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and job performance, a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and procrastination was weakened. Regardless of the moderating effects, cognitive flexi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a negative effect on procrastination. Keywords: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pursuit of approval from others, pursuit of self-approval, job performance, procrastination, cognitive flexibility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완벽주의를 적응적(개인기준) 및 부적응적인(평가염려) 2개의 다른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각이 직무수행과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타인인정추구와 자기인정추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직무수행과 지연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인지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직장인 541명(남 268명, 여 278)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개인기준 완벽주의를 독립변인으로, 타인인정추구와 자기인정추구를 매개변인으로, 직무수행과 지연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분석 결과, 전반적 부합지수는 양호한 부합도를 보였다(χ = 500.26(df = 121, p < .001), χ/df = 4.13, CFI = .960, TLI =.949, RMSEA = .076, SRMR = .059).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직무수행에 부적으로 지연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타인인정추구에 정적으로 자기인정추구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직무수행에 정적으로 지연행동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타인인정추구에 부적으로 자기인정추구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타인인정추구는 직무수행과 지연행동 모두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인정추구는 직무수행과 정적 관계를 보였으나 지연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매개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타인인정추구를 경유하여 지연행동으로 가는 매개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직무수행으로 가는 경로도 가설과 다르게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자기인정추구를 경유하여 직무수행으로 가는 매개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지연행동으로 가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직무수행과 지연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타인인정추구가 직무수행과 지연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인지적 유연성이 조절하는지에 대해 이루어졌다.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지연행동을 더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유연성이 높은 경우 타인인정추구와 직무수행 간의 정적 관계를 더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인정추구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높으면 지연행동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관계없이 인지적 유연성은 직무수행에 정적으로, 지연행동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평가염려 완벽주의, 개인기준 완벽주의, 타인인정추구, 자기인정추구, 직무수행, 지연행동, 인지적 유연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