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내현적자기애의 매개효과

        김기남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 내현적자기애, 사회불안의 관계 를 알아보고,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자기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 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 현적자기애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충청, 경상, 전라, 제주 지역의 4년제 및 2년제에 재학중인 대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차적 으로 각 지역에 대학생들과 가까운 조사자를 모집하여 대학생들이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고, 2차적으로 대학교를 선정하여 직접 찾아가서 설문지를 돌 리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표집한 기간은 2015년 9월 2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평가염려완벽주의 측정을 위해서 Hewitt와 Flett 다차원적인 완벽주의 척도를 한기연(1993)이 번안하고, Frost 등의 다차원적인 완벽주의 척 도를 정승진(1999)이 번안한 부적응적인 문항으로 함께 사용한 펑가염려완벽주의 척도(총 28문항, 5점 Likert), 김향숙(2001)의 번안한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와 사 회공포 척도로 구성된 사회불안 척도(총 39문항, 5점 Likert), 그리고 정남운 (2002) 번안한 내현적자기애 척도(총 45문항, 5점 Likert)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18,0에 의해 빈도 분석, 상관 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완벽주의와 내현적자기애,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모든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평가염려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내현적자기애가 높아지고, 평가염려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높아진다. 또한 내현적자기애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높아진다. 둘째,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자기애는 완전매 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완벽주의 하위요인(실수에 대한 염려, 수행에 대한 의심, 사회부 과적 완벽주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자기애는 모두 완전매개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정적인 방향 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완전매개하여 사회불안 을 높아지는 것으로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 과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를 통해 사회불안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상담 및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as well 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fluence tha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has on social anxiety. The present study pos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 problem 1. In the effects tha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in university students has on social anxiety, does covert narcissism have a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er targeted 351 stud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Chungchung, Gyongsang, Cholla, and Jeju. First, the researcher recruited assistants residing in areas close to the universities to conduct a survey. Second, the researcher selected universities and visited them so he could hand out the questionnaires. The research was undertaken from September 21, 2015 to November 20, 2015. The measurement tools utilized for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were: 1)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Scale (28-item Likert-type Scale), which is the combination of Hewitt & Flet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adapted by Gi Yeon Han (1993) and 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adapted by Seung Jin Jung (1999), 2) Social Anxiety Scale (45-item Likert-type Scale), which constitute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dapted by Hyang Sook Kim (2001) and Social Fear Scale adapted by Nam Un Jung (2002). After SPSS 18.0 for Windows was utilized for analyses of frequency, correlation, and mediation effects, Sobel Test was implemen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can be summed up: First, all the variables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tatic correlations. In other words, as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is higher, covert narcissism becomes stronger and social anxiety goes up. In addition, covert narcissism is proportionate to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effects tha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has on social anxiety, covert narcissism was proven to have a complete mediation effect. Third,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the effects sub-factors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have on social anxiety (concerns about mistakes, doubts towards performance,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overt narcissism was proven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all variables. The research suggests tha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in university students has a static and direct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in which covert narcissism has a complete medi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er hopes that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utilized as base data for counseling and therapy offered to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social anxiety wreaked by covert narcissism.

      •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매개효과 :

        정현주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주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401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각 변인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구조적관계를 살펴보았다.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끼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검증하였다. 최종 모형으로는 주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쟁모형3이 채택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평가염려완벽주의는 자기자비와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을 경유하여 사회불안으로 이르는 경로에서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박아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정서인식명확성이 두 변인을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불안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정서인식명확성, 사회불안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3) 대학생의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정서인식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4)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는 ‘평가염려완벽주의 척도(Dunkley, Blankstein, Halsall, Williams & Winkworth, 2000: 정승진, 1990: 한기연 1993)’, ‘사회불안 척도(Mattick, Clarke, 1998: 김향숙, 2001)’, ‘특질 상위 기분 척도(Salovey, Mayer, Goldman, Turvey & Palfai, 1995: 이수정, 이훈구, 1997)’ 중 ‘정서인식명확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가 이뤄졌고,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시행되었으며, 최종 397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이상의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빈도 분석, Cronbach’s α 신뢰도 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 또한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한 Sobel test를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불안 수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의 관계에서 평가염려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회불안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세 변인 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정서인식명확성은 사회불안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취업준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정금주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P, S, G, D시 등의 지역에 소재한 취업준비생 325명을 대상으로 8월 11일부터 8월 25일까지 2주간에 걸쳐 평가염려 완벽주의, 취업불안, 사회비교 경향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3)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를 분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취업준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취업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비교 경향성을 매개로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로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순차적 매개하여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또한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구체적인 경로를 발견하고,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상담치료 과정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the mediated effect of inappropriat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evaluation perfectionism and job insecurity of job seekers. The research subjects surveyed 325 job seekers located in areas such as P, S, G, and D for two weeks from August 11 to August 25 on the assessment perfectionism, job insecurity,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and strategies for inappropriat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using SPSS 21.0, and the path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model proposed by Hayes (2013) to confirm the mediated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evaluation perfectionism of job seekers, the tendency of social comparison, and the strategy of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al adjustment are correlated with job insecurity. Second, it was found that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does not affect job insecurity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Third,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has been shown to affect job insecurity through inappropriat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Fourth,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has been shown to influence job insecurity by mediating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maladjusted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sequenti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looked at the roles and functions of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on job insecurit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pecific path to the impact of evaluation-related perfectionism on job insecurity through sequential mediated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that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and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unseling treatment process. Finally, the suggestion and significance of the limitations and subsequent studie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초심상담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과 경험 회피의 이중매개효과

        류승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과 경험 회피의 이중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 경력이 3년 이하이면서 슈퍼비전 경험이 1번 이상 있는 성인 상담사 총 208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상담자 소진, 마음챙김, 경험 회피를 측정하는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분석 결과,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심리적 소진과 경험 회피와는 정적 상관을, 마음챙김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상담자 소진 간에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경험 회피는 각각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마음챙김과 경험 회피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상담자 소진과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으로 상담자 소진을 겪고 있는 초심상담자에 대한 개입에 있어 마음챙김과 경험 회피가 치료적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vice counselor’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To investigate it, a total of 208 adult counselor with less than 3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more than 1 supervision experience completed a online self-report survey measuring the level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sychological burnout, mindful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Based on th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mindful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mediated effects, respectivel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the dual-mediated effect of mindful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firmed that mindful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can be therapeutic factors in intervention with novice counselors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burnout due to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반추와 피로의 매개효과

        이혜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인지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반추와 피로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과 대학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원)생 320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반추, 피로, 인지적 유연성을 측정하고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상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반추, 피로와 유의한 정적상관, 인지적 유연성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반추는 피로와 유의한 정적상관, 인지적 유연성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피로는 인지적 유연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로, 중다회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반추와 피로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또한 반추는 피로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나 인지적 유연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피로는 인지적 유연성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주었다. 셋째로, 순차 매개효과 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반추와 피로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높은 사람들이 반추를 많이 하고 이것이 피로를 높여 인지적 유연성을 떨어뜨림을 시사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 있어서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의 필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and fatigue. To verify this hypothesis, 320 male and female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were measured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rumination, fatigue, cognitive flexi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umination and fatigu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flexibility. Rumin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tigu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flexibility. Fatigu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flexibility. Second,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had a positive effect on rumination and fatigue. Ru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atigue, but did not have a effect on cognitive flexibility. Fatigue had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flexibility. Third, as a result of sequential mediation effect analysis, rumination and fatigu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유경이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결정성의 영향력을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인 385명(남자 113명, 여자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초설문지 및 학업지연행동 척도, 평가염려 완벽주의척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결정성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하고 이중매개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이중매개모형이 자료에 적합하였다.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아지고, 높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자기결정성을 낮추었으며, 자기결정성이 낮아질수록 학업지연행동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elf-determination on relations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85 adults(113 male, 272 female) using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Korean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self-determination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dual mediation models were proposed, in which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elf-determination would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a du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w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elf-determination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nclus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엄시율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사후반추사고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대학(원)생 36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HMPS, FMPS),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단축형(IUS-12), 사후반추사고 척도(PER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 그리고 한국판 축약형 CES-D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후반추사고, 사회불안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존재하며,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변인들 간 상관은 유의했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사후반추사고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는 유의했다. 본 연구 결과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이 높을수록 사후반추사고를 많이 보이고, 사후반추사고가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role of post-event rumin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s well a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A total of 36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cal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12, Post-Event Rumination Scal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ocial Phobia Scale and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intolerance of uncertainty, post-event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After controlling for the depression, each variable was still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post-event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not only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but also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After controlling for the depression, mediation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was still significant.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직장인의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및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이중매개효과

        서지수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평가염려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가치절하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사회조사 전문기관인 M의 패널로 가입된 회원 중 만19세 이상의 국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척도, 평가염려완벽주의 척도, 부정적 및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긍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 절하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모든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는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염려완벽주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가치 절하의 순차적인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sough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nd positive social devaluation on the impact of perfectionism and evaluation concerns among office workers on social anxiety. To this end, 300 domestic office workers over the age of 19 who were panel members of M, an online social research agency, were surveyed on the social anxiety scale, evaluation concern and perfectionism scale,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scale, and positive social outcomes. It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survey consisting of a scale of devaluation.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research variables were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nd devalu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respectivel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nd positive social devalu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시험 불안의 관계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최현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시험 불안의 관계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나타내는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 척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척도, 시험 불안 척도가 포함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효과분석, 그리고 팬텀 변수를 사용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시험 불안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연속적으로 매개하는 경로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단순 매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그로 인한 수행 회피목표 지향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차례로 시험 불안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며, 특히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시험 불안을 예언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구체적인 매개 경로를 설정하고 검증함으로써 심리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 이는 대학생들의 시험 불안을 완화하는 데 있어 목표와 정서조절 차원의 치료적 개입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456 undergraduate particip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mpleted a battery of scales including th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cale,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the Emotion Regulation Style scale, and the Test Anxiet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primary variables in this study, and then the mediation model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lastl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Phantom variabl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In correlation analysis, the four variables includi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test anxie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in the SEM analysi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as significant. Also,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demonstrate empirically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ffect test anxiety sequentially, and suggest that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est anxiety.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process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ffects test anxiety.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goal orientation and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uffering from test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