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融機關 派生金融商品去來 危險에 대한 內部統制 方案에 관한 硏究

        손태일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derivatives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risk of an exchange rate, interest and the fluctuation of shares in price and be used as a way of raising the returns in banking facilities But in case that it is miss used from the characteristic of business, owing to the spreading effect is large, the appropriate preparation is necessary. The reasons of financial accident related with the derivatives that occurred at past and now are the holding of one-sided excessive risk limit, the mistake of portfolio administration, insufficient examination about the contents of derivatives insufficient explanation to the consumer, and supervisor's inability. In order to eliminate these risks effectively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 and each of national financial supervisory organizations present a lot of advice. And in case of our country, the Bank Inspection Board of the Bank of Korea and each of banking facilities prepare various regulations and programs of internal control. But owing to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business, the external competent institutions can not supervise everything. Therefore, the business agency of derivatives itself have to prepare a radical . internal control system and risk administrating system for operations of goods. The internal control system related with the derivatives of the banking facilities has to be prepared to be verified that the recognition of risk, analysis and administration process are proceeding normally and in accordance with the dealing · settlement · supervisory task are operated in seperate, information system that the risk is derived and presisely is being built and administration process of confirmation and contrast is obeyed in regulations. Also they develope the risk valuation model and evaluate the trade position of derivatives and have to make assurance doubly sure at risk administration though the measured market risk with the simulation. In addition to this, recruitment of employee who takes charge of derivatives, adequate compensation for achievement, security program for employee, and observation program for employee in order to prevent the accident must be established. The activation of inspection in department which is maybe the most efficient way to prevent the accident. Because, an early discovery of the accident in department can minimize the scale of accident and the establishment of well-timed confront program is easy. In the inspection department, business inspecting which is related with the derivatives must be accomplished by skillful inspector at the same business and also the real-time inspecting by the on-line system will be the positive control program. The occurrence of financial accident in banking business is mainly begun from intentional accident by employee and lack of system, but it is necessary to plan the minimization of accident scale through the adequate control means as a program of early discovery. And, although the best system was prepared, the consciousness of employ to carry out this is important. For this, the programs such as the conversation system between employee, harmonious human relation, preferential treatment in salary about the employee that takes charge of derivatives must be prepared.

      • 파생금융상품거래의 위험관리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충도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Recently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are facing increasing risks due to the easing of regulations and trends of globalization. As the financial market in every country is equalized, the world financial market is accelerating global integration, securitization and the trend of bloc formation. Therefore, Korean finance company are required to adjust to international financial environment. Business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of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doing their beat to develop financial engineering and derivates which can be useful to risk Management and profit increase in the same factor under a keen competition. Since derivatives exchange can be made possible by a small amount of warranty money alone, in contrast to the investment money, with the leverage effect being to high and settlements being made through the fluctuating balance. Financial derivatives may become an effective means in managing variable risk related to interest and exchange rates and product price and find etc.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searching ways of activating financial derivatives in parts of business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by making a theoretical review of the goods as very important to risk management. To foster futures markets successfully, any sanctions and interferences should not be given except supervision for ensuring the soundness and transparence of the markets. From a long-term view, financial derivatives should be transacted until a sufficient number of experts of such products are cultivated. It is vary important to be reluctant to make a resolute investment in employing such exports. The market of financial derivatives can be settled into an advanced capital market only after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rearranged suitably. Without this move, the market would be accompanied by increased legal risk as obstacles to transactional activation. Any possible application of local ambiguous laws and regulations to international transactions is already emerging a risk element of financial transactions. Therefore, it is urgent to modify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dealing with financial derivates on Korean currency basis, especially at over-the-counter markets. Any institutions which may provoke speculative transactions should be modified. It should be careful that the pace of financial derivatives development do not exceed that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sane factor. Especially, it is requested to enact standard ways with which futures contracts made at over-the-counter markets can be evaluated on market price basis. In doing so, we can expect that conflicts over futures transactions are reduces and the transparence of such transactions increased. It is needed to have a wide recognition that the market of financial derivatives is that of risk management. In this nation, currently, most of the business managers misunderstand concepts of loss and profit in relation to risk hedge transactions. They also tend so attribute such losses and the loss of opportunity profits to financial workers and negatively recognize hedge transactions as speculations. To improve these situations, the top management, whether belonging to financial institutions or others, should establish guidelines and procedures for the control of financial derivatives, make clear persons in responsibility for risk management, determine the limit of rick allowance and build up procedures for internal control and risk repor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unctions for monitoring the market of financial derivatives. Supervising authorities should be a coordinator among different financial institutions to prepare for an increase by derivatives in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markets and against any possible financial troubles. For such supervisors, it is better to authorize their basic functions to be performed by financial institutions themselves on self-regulation basis, avoiding interference with financial markets and instead making the markets more effective. They also should develop standard ways of collecting statistical data about goods transacted at over-the-counter markets, whose information have never statistically collected or Processed. So far we hare discussed ways of developing the market of financial derivatives more effectively. Considering lessons from a recent serious of carte problems including legal actions involving JP Morgan and SK Securities in relation to foreign offshore funds, financial authorities and institutions of this nation should take risk management measures such as arranging systems to monitor and supervise foreign transactions, introducing a cross-check system based on discrimination between financial dealers and managers and implementing position circulation. Further local businesses should make various efforts to stand on desirable principles of operation again, not sticking to short-time profits and accomplishments any longer.

      •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과세제도 연구

        원영일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1970년대 이후 국제금융시장의 변화로 인하여 거래 규모가 확대되어온 파생금융상품시장은 1996년 주가선물시장 및 한국선물거래소의 개장으로 파생금융상품시장이 양적·질적으로 커다란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파생금융상품시장의 성장에 따라 기업회계기준에서는 1999년 파생상품에 대한 회계처리 기준이 제정되어 명확한 회계처리 지침이 되고 있다 그러나 거래목적과 거래형태 그리고 손익의 발생까지 기존의 금융상품과는 달리 새로운 성격을 가지고 있는 파생상품의 등장은 기존의 전통적인 조세체계 내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과세제도는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열거주의에 의한 소득세제의 한계로 파생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규정이 미비 되어 과세 소득에서 제외되는 소득이 발생하게 되고 이자·배당소득에 대하여만 소득구분을 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종합과세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행하며, 파생금융상품의 손익에 대하여 권리의무 확정주의에 따라 인식하므로 시장 참여자로 하여금 손익의 인식을 이연시키고 조세회피 할 유인을 제공하게 된다. 위험회피 목적과 순수매매목적에 대한 구분 없이 획일적으로 처리하므로 기업회계기준과의 괴리가 발생하며 경제적 실질을 반영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생금융상품과 거래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중 과세대상으로 하는 이자소득·배당소득 외에 유형별 포괄주의로 사업소득·양도소득으로 구분하여 과세소득에 포함시켜 종합과세 대상과 분리과세대상 및 분류과세 대상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고,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선물·옵션에 대하여는 시가기준을 선택하고 장외 거래되는 선도거래와 관련한 평가는 결제기준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순수매매목적과 위험회피 목적의 거래 손익에 대하여 성격에 따른 과세규정을 마련하여 기업회계기준을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식현물에 대하여 과세하도록 세법을 개정하여 파생금융상품거래로 인한 양도소득에 대하여도 과세하여야 조세의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rivatives market is expanding rapidly due to an internationalization.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contain this phenomenon by applying taxation to the market stops at the profit or loss on foreign exchange from product trading. there is no other regulation being applied at the moment Derivatives have become on essential means for compan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survive in the world economy with ever-increasing uncertainty. The trades of derivativ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twenty years. But there are many tax issues related to these transactions that are difficult to address with traditional tax system as the derivative transaction has different generation method of generating profit and loss from the traditional transactions. In regard to the those problems described above, this article points out the problems of pending tax system connected with the derivatives and propose the reasonable tax system. The income which occurs from the derivatives will be classified Interest incomeㆍDividend incomeㆍ Business incomeㆍCapital gains and in order to correspond in the progressive tax rates, it will be classified the synthesis taxation object and the classification taxation object clearly, Current price standards should be selected about Futures and Options which is transacted from the KRX and the evaluation which relates with a Forwards should be adapted the evaluation method of settlement standards Also it will be prepared the taxation regulation in character about profit And loss which occurs from the derivatives It is required to be repaired the Tax law, in order to impose a tax in the capital gains which are occurred with the derivatives

      • 파생금융상품 거래세 도입과 과세에 관한 연구

        배승미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파생금융상품에 거래세 과세에 대한 찬반 논의는 이미 수 십년 동안 이어져 오고 있으나, 2008년도 파생상품시장의 과도한 성장으로 인한 국제금융위기 초래로 인하여 금융시장 안정화 및 투기심리 축소를 위한 정책수단의 하나로 G20을 중심으로 논의가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별 금융경제상황이 달라 합의에 이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는 유럽 재정위기로 이어져 논의가 가열되면서 EU는 2013년 1월 11개 회원국의 금융 거래세 도입을 숭인 하였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는 2012년 세법 개정안에 KOSPI200선물‧옵션에 대해 3년간 유예 후 거래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발표하였으나 자본시장 위축을 우려한 금융업계 등의 반대로 찬반논의가 과열중이다. 현재 세계 주요국가들 모두 소득세나 거래세로 과세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자본시장 육성을 명분으로 모두 비과세하고 있으며 이에, 급성장한 우리나라 파생상품시장에 대한 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포괄적인 자본이득세가 아닌 현재 쟁점사항인 파생상품 거래세 부과 논의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파생금융시장에 거래세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찬반 쟁점사항과 최근 국내외 시장규모 및 동향 등을 살펴보고 거래세를 부과한 국가들의 해외사례, 경험적 논거 및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금융시장의 제반 이론 및 시장상황, 파생금융상품의 특성 등에부합한 점을 감안, 금융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균형 있는 과세 목적의 달성을 통해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장단점 및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거래세 부과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면 첫째, 이미 여러 종류의 금융 거래세를 많은 나라에서 부과하고 있고 둘째, 우리나라 증권거래소가 KOSPI200선물‧옵션에 대해 배타적인 권리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급격히 거래규모가 위축되거나 거래의 해외 유출을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며 셋째, 파생상품의 전면적인 비과세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부동산양도소득 등 다른 소득과의 과세형평성을 저해하는 측면이 있다고 할 것이다. 당초 헤지 목적이었던 파생상품 시장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커지면서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 파생상품시장이 다른 나라에 비해 지나칠 정도로 투기적 활동이 크고 시장규모 또한 세계적 수준으로 급성장하였다. 최근 유럽의 재정위기와 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 미국이 3차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하고 일본과 유럽 중앙은행들의 저금리정책으로 인플레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경제가 안정적인 개도국과 우리나라 등으로 국제 투자 자본들이 유입되고 있고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이러한 국제 투자 자본들의 급격한 유출입은 국내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파생상품 구조가 점점 복잡 다양화 하고 있어 특정국가의 금융환경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고 그 규모 또한 매우 크다는 점에서 규제 시스템을 단기간 안에 구축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파생상품 거래세 부과가 파생상품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고 글로벌 규제 환경 속에서 독자적인 시행 등의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EU, IMF 등의 금융 거래세에 대한 평가가 국제적으로도 우호적인 환경으로 바뀌었고 2013년도 G20재무회담에서도 글로벌 공조화 여론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서 최근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성숙도 및 파생금융상품 시장 규모등도 수용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가운데 파생상품 거래세 부과 방안은 투기과열현상 축소, 조세회피 방지, 새로운 재정 세입 확보 등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인 대안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派生金融商品의 公正價額과 헤지會計에 관한 硏究

        金次同 군산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korea, there has been a great increase in the danger of price fluctuation such as the exchange rates and interest rates, as a result acceleration of deregulation related to foreign and financial market by an open economy and advance of internationalization Especially, an increase of capital inflow and outflow and the free-exchange rate system according to a foreign exchange and the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have expanded volatility with Korean currency rates. With financial liberalization including gradual interests liberalization as well as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currency, an increase in interests volatility while increasing the function of the price of domestic interest rates. An increase in supply and demand, the risk hedge will be more in demand according to fluctuations of exchange rates and interest rates. Financial Derivatives are financial instrument to hedge the risk of a primary trade. They can be a very useful way to control risk for financial institutions or companies but they can be a burden to business. However it's the real condition that in Korea the trade and study are not enough compared with the need due to the complexity of instruments, a lack of public notice about an official price and hedge activities. A basic rule of Financial derivatives is to reflect net income and loss to judge of derivatives by their official price. We need the reasonable and objective standard of an official price to apply the basic rule. Nowadays Korea is backward in financial market compared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In consequence, the present state of Korea is short of the standard of an official price. The shortage of the standard of the official price has impeded the comparative opportunity of how to manage financial derivatives and abused make-up accounting. This means it may have a tremendous influence on accounts. That was not the only problem with the standard of financial derivatives. The difference of the management will solv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 and advanced techniques after this. Especially,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financial derivatives consistently based on an international account standard. And we have established financial derivatives as an introduction of evaluation system round the official price tha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This is the basic plan of giving high level account information because evaluation regular of accounting standard is consistent in an international account standard. However compan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have to do derivative instruments and hedging activities to surviv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perly manage and inform honestly the danger according to trade in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respects. Although there are a lot of advantages when Korean compan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hedge derivatives and deal with accounting about them, derivative instruments does not execute actively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is difficult for transactions person to risk hedg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risk management and derivative instruments. Second, we think that we need mathematical theories and the computer systems to trade derivative instruments because it is hard to understand and is complicated with derivatives. This understanding is limiting the activation of hedge trade. Third, because of weakness of domestic operating foundation for derivative instruments, experts who have the experience about trade are not enough. And the system is insufficient to analyze the trend of the financial market both at home and abroad and give information about the prospects for the economy market to customers.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financial market and the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 this is the time point to understand the role as a supplier of derivatives of financial institutions, we need experts in order to change the management's recognition of risk control, and to satisfy the hedge demand of companies. Last,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in that it is written by documents without verification by experiment. Also, even though new research keeps being published additional accounting details in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 and American accounting standard,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everything because of the time and space limit. Therefore these factors pointed out Korean derivatives should be reflected on the next research, and we need enough trade and studies about this area to show an official price and hedge accounts of the present derivative instruments.

      • 派生金融商品의 會計處理에 관한 硏究

        김진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파생금융상품 거래는 인식ㆍ측정ㆍ평가의 문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경제적 실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회계처리 자체가 난해할 뿐만 아니라, 재무제표상에 내재가치를 적정하게 공시하는 측면에서도 논리적인 일관성을 갖추기가 어렵다. 이러한 회계처리 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주요 선진국에서는 파생금융상품 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면, 특히 1990년대 들어 금융기법의 다양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및 유럽통화통합의 진전 등에 대폭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IMF관리체제 이후 외환 및 자본거래가 자유화되고 자유변동환율제가 도입됨에 따라, 환율 및 금리 변동의 불확실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금융환경의 복잡화는 1998.12.11. 기업회계기준의 개정과 1999.6.29. 파생상품 등의 회계처리에 관한 해석의 정비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정 부분 반영되었으나, 파생금융삼품 거래에 관한 일관성있는 회계제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행 기업회계기준 또한 상당 부분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파생금융상품의 회계처리에 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제회계기준과 우리나라의 기업회계기준을 비교하고자 한다. 국제회계기준은 공개초안 제40호, 제48호, 제62호를 참조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기업회계기준 제70조와 기업회계기준 등에 관한 해석 53-7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비교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기업회계기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첫째, 포괄적 ㆍ선언적 의미만을 강조하고 있고 구체적인 지침이 부족하다. 둘째, 위험회피거래와 매매목적 거래의 구분기준이 모호하다. 셋째, 공정가액 평가원칙을 명문화하고 있으나, 공정가액 산출근거나 산출사례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공정가액평가와 관련하여 ‘합리적 공정시가’의 산정기준이 없으며, 중요성의 근거에 의한 공정가액평가 비경제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넷째, 파생금융상품의 종류 등을 열거하고 이에 대한 개념 정의를 명시하고 있으나, 그 대상의 범위 및 평가지침 등에 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다. 다섯째, 기간손익에 대한 구분의 기준으로서 당기 성과에 포함되어야 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여섯째, 재무제표의 본문에 공시되는 정보가 빈약하며, 파생금융삼품이 부외로 처리된 경우 이를 적발할 수 있는 내부통제적 회계처리 방식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일곱째, 파생금융상품의 시간가치와 위험요소를 분리하여 공시하도록 하는 규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고, 위험요소를 공시하도록 하는 규정이 미흡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파생금융상품의 회계처리기준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파생금융상품 거래를 재무제표에 인식할 것인지의 여부와 인식한다면 어떠한 요건에 의해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그 가치를 평가할 것인지를 정형화된 모델로서 정립해야 한다. 둘째, 이자율ㆍ원금ㆍ위험요소를 고려하여 매매목적 기래와 위험회피거래의 구분기준을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하며, 공정시가에 대한 산정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파생금융상품을 포괄할 수 있는 처리규정을 정비해야 하고, 중요성의 기준을 도입하여 회계처리의 단순화와 세분화를 선택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손익인식에 있어서 당기의 업적평가에 포함해야 할 부분과 특별손익으로 평가해야 할 부분을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파생금융상품의 수량에 관한 정보의 공시가 강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파생금융상품의 질적 공시 내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일곱째, 파생금융상품 거래에 따른 기업의 위험노출도에 대한 공시가 강화되어야 한다. 여덟째, 파생금융상품의 본문에 기재되는 정보의 내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회계처리기준은 선진국에서도 완벽하게 정립된 기준이 부족한 실정이며, 개별 국가간의 이해관계로 말미암아 국제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이 정착되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회계처리기준도 이러한 국제적인 금융환경의 변화와 실정에 부합되도록 계속적인 보완 및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派生金融商品의 會計 및 課稅方案에 관한 硏究 : 옵션去來를 中心으로

        이준봉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새로운 형태의 금융거래인 파생금융상품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과세이연을 통한 조세회피 등 과세상 문제는 손익의 귀속시기 및 소득의 원천등에 대하여 적절히 규정하는 방법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첫째로 다양한 금융상품 또는 유사계약 중 파생상품과 파생상품이 아닌 것을 명확히 구분하고 향후 새로이 개발될 파생상품에도 적용될 수 있는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정의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로 시가기준평가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파생금융상품의 거래에 대한 시가기준에 의한 과세손익의 계산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로 시가기준에 의하여 계상하여야 할 손익의 산출방법으로는 기말에 있어서 미결제의 파생금융상품거래에 대하여는 기말에서 그 결제가 된 것으로 보아 그 손익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로 순수매매목적의 거래인 경우 파생상품 거래손익의 인식을 시가기준으로 전환하여 과세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섯째로 현금흐름위험회피의 경우에는 위험회피대상자산등 손실액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파생금융상품거래등을 행하는 경우 기업회계기준상 당기손익인식부분은 당해 사업년도의 익금으로 처리하여야 하며 자본조정에 계상되는 부분은 익금으로 인식하여서는 않될 것이며 이를 손익계산서상 이익으로 회계처리하였다면 익금불산입의 세무조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그 처분은 '기타'로 함이 타당할 것이다. 여섯째로 공정가액 위험회피회계의 경우는 위험회피수단인 파생상품의 평가손익 및 특정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평가손익은 전액을 해당 회계연도에 익금 또는 손금으로 산입하도록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로는 개인 및 비영리법인에 대하여는 과세형평성의 문제가 제기될 소지가 높기 때문에 자본이득에 관한 종합과세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단기적으로 거래 상품별 예규를 마련하여 혼란을 막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자본 이득이 여타 금융소득과 마찬가지로 종합과세되는 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여덟째로는 부당행위계산부인 및 증여의제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 아홉째로는 선물거래세의 도입 및 교육세의 폐지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열째로는 지점 또는 고정사업장이 없는 비거주자가 국내에서 파생금융상품 거래로부터 획득한 소득에 대해서는 원천과세하지 않는 것이 국제적 관행이므로 이러한 관행에 맞게 파생금융상품 거래 손익을 국내원천소득으로 보지 않는 입장을 파생금융상품 일반에 대하여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 파생금융상품의 위험관리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파생금융상품 담당자를 중심으로

        김숭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현업에서 파생금융상품을 운용하는 딜러들을 대상으로 파생 금융상품의 위험관리 방안을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파생금융상품의 위험 관리방안에 대한 이론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파생금융상품과 위험관리를 연관시켜 금융기관은 파생금융상품을 어떻게 취급·관리해야 하는지를 파생금융상품을 운용하는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각적인 실증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파생금융상품은 국제금융시장에서 확고한 대세가 되었으며 향후 국내 금융시장의 개방이 확대되고 금융기관의 자율성이 크게 신장되면 국내의 파생금융상품 활용도는 매우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에서 파생금융상품 거래를 통해 거액의 손실을 본 금융기관들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파생금융상품을 잘못 관리하게 되면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손실은 해당 기관 뿐 아니라 타금융기관과 금융시장 전체에 불안을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생금융상품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여 그 이용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나 파생금융상품이 갖는 잠재적 위험에 대한 충분한 대비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파생금융상품의 위험관리방안을 강구하는 연구가 필수적 요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금융기관의 파생금융상품 거래실태를 알아보는 한편 이들 기관의 위험관리체제 구축 정도를 해당기관의 위험관리 실태와 딜러 개인의 경력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소속기관에 대한 파생금융상품의 거래실태를 살펴보면 파생금융상품 거래시 한도액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파생금융상품 거래실적에 대한 성과급은 없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기관에 BIS의 파생금융상품 위험관리지침과 같은 내부지침이 있었으나 이러한 위험관리지침에 대하여 조사대상자들은 보통 정도로 탐독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파생금융상품 거래 경력은 2년 이하가 많았으며 파생 금융상품의 거래빈도는 주 6회 이상이 많았고, 현재 소속기관내의 직위는 대리가 많았다. 소속기관의 파생금융상품 거래 종류는 선물환과 선물옵션, 스왑이 많았다. 셋째, 조사대상자가 소속된 기관의 파생금융상품 위험관리 실태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면 소속기관의 위험관리 정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나 파생금융상품 위험관리에 대한 필요성은 무척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파생금융상품 거래시 소속기관내에 한도액이 정해져 있고 거래 실적에 대한 성과급제도가 있으며 거래에 대한 평가를 하는 기관이 그렇지 않은 기관에 비하여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위험관리수준이 높았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파생금융상품 위험관리제도에 대한 요구도는 보통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거래 경력에 따른 파생금융상품 위험관리제도에 대한 요구도는 소속기관내 근무기간에 있어서는 근무기간이 10년 이상인 집단이 9년 이하인 집단에 비하여, 학력이 국내 대학원 이상인 집단이 외국 MBA 과정을 이수한 집단에 비하여 파생금융상품 위험관리제도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파생금융상품을 운용하고 있는 국내 금융기관의 대다수는 파생금융상품 위험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았으며 둘째, 파생금융상품의 위험관리를 위해서는 거래포지션의 한도관리를 비롯한 내부통제제도의 보완과 거래담당자인 딜러에 대한 교육확대 및 투자 등이 선행되어야 하고 국내의 파생금융상품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거래제한의 폐지, 선물 거래소 개장 및 활성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my thesis I undertake a practical study analysing the risk management policies which govern the marketing of derivatives. I focus primarily on the risk management policies currently affecting dealers in derivatives. There are many theories about the risk management of derivatives, however, in this study, practical analyses are per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on professionals who deal in derivatives,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banks manage and deal with the related risks. Derivatives have been mainstreamed into the international banking markets, and the degree of their activity will rise in domestic markets as domestic banks undergo deregulation and begin operating under their own control. As may be easily guessed from the history of the banking industry, wrongful management of derivatives causes great loss which could affect not only the erring banks but also other segments of the banking system and the whole financial system.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prepare for the potential risks of the derivatives as well as focusing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derivatives. Thus it is indispensable to determine the current ways of risk management 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prove these facts, this study looks into the derivatives transactions of domestic banking institutions and investigates their risk management status based on legal and in-house policies. It also links these policies to the factor of individual dealers' careers. A summary of the Study First, as for the individual institutions' policies governing transactions, generally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regarding the transaction amount and dealers do not receive bonuses based on their transaction volume. Most banks have their own policies, such as the risk management rules of BIS, but those responsible pay moderate attention to the enforcement of the policies. Second, the careers of the dealers last an average of less than two years, and, as for the transaction frequency, six deals per week is the average. Most dealers who buy and sell derivatives hold the positions of assistant managers at their banks. As for the type of the derivatives transactions, forward exchanges, forward options and swaps are most prevalent. Third, the level of the risk management in banks marketing derivatives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se institutions realize the need for further risk management. Fourth, when dealing in derivatives, the level of risk management is higher at banks which have transaction limitations, bonus systems, and evaluation of the derivatives market as compared to those which do not have these same factors. Fifth, the degree of banks' need for risk management in the derivatives market is slightly above the average. And the degree of banks' need for risk management is higher for the dealers who have careers over ten years and graduated from a domestic graduate school as compared to those who have careers less than nine years and have MBA degrees from foreign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an make out the followings; First, the need for risk management policies in the derivatives market is desperate. Second, abolishing the transaction limitations and opening a futures exchange are needed to activate the transactions of derivatives. As for risk management of the derivatives market, limitations imposed by management, proper educating and investment training for dealers are all prerequisites.

      • 금융기관의 파생금융상품 거래위험에 대한 내부통제방안

        나경옥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1980년대 이후 급속하게 성장해 온 파생금융상품 시장은 최근의 금융산업 발전에 큰 공헌을 해왔을 뿐 아니라 시장에서의 여러 가지 리스크를 회피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리스크의 관리 및 회피를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이러한 금융기법들이 리스크의 회피가 아닌 투기성 차익 획득의 목적으로 이용됨으로써, 최근에 와서는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리스크를 야기하는 위험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파생금융상품은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투자의 레버리지 효과가 매우 큰 것이 특징이므로, 적절한 통제와 관리의 범위를 벗어나는 과도한 거래는 거래당사자에게 회복이 불가능한 치명적 손실을 입힐 수 있다. 파생금융상품거래가 이처럼 리스크를 조장하는 방향으로 많이 이용되고, 이로 인해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했던 일반 기업 및 금융기관 등이 엄청난 손실을 입음으로 인해 금융시장 전체에 불안감이 조성되는 등 파생금융상품거래의 부작용이 커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국 정부는 파생금융상품거래와 관련된 규제·감독방안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금융선물을 비롯한 파생금융상품 전반에 걸쳐 규제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파생금융상품거래에 대한 법적 규제의 경제적 효과 자체가 의심될 뿐 아니라, 특히 장외파생금융상품의 경우에는 이를 규제할 방법이 현실적으로 없다. 최근의 파생금융상품 관련 사고를 계기로 파생금융상품의 거래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해야 한다는 논의가 확산되고는 있으나, 그러한 논의 또한 파생금융상품제도의 개선을 통한 육성을 골자로 하는 것으로, 파생금융상품거래에 대한 직접규제 또는 법적 제재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즉 파생금융상품 및 그 거래와 관련한 문제점은 파생금융상품 자체에서 이를 찾기보다는 이를 거래하는 당사자의 판단착오 또는 투기적 행위에서 찾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파생금융상품 관련 거래의 사고사례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의 사고는 적절한 내부통제시스템만 갖추어져 있었다면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즉 파생금융상품 자체가 위험한 것이라기보다는 그에 대한 인식부족과 투기적 거래목적, 잘못을 적발하는 내부통제시스템의 허점이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내부적으로는 파생금융상품을 취급하는 전문인력의 확보, 고객에 대한 충분한 설명, 거래 관련부서의 기능적 분화를 통한 상호견제, 위험관리시스템의 구축, 조직 차원의 리스크관리체계 구축 및 이러한 과제를 구조적으로 뒷받침하는 경영정보시스템의 수립에 의해, 외부적으로는 증거금률·수수료율·회계처리의 차별화, 시가회계를 통한 리스크의 공시, 상계제도의 개선, 자기자본비율의 규제, 딜러의 자격 제한, 인적담보의 이용 등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파생금융상품의 리스크는 상당부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금융시장에 있어 파생금융상품은 선택의 대상이 아니라 필수인 아이콘이 되었다. 따라서 리스크의 관리수단으로 개발된 파생금융상품이 오히려 리스크를 증폭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의 바탕 아래 제도 자체의 효용가치를 인정하면서, 맹목적인 규제의 강화가 아닌 제도의 부정적 측면을 줄여나가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Since the latter of 1980's international finance market environment have been rapidly changed in globalization, securitization and deregulation. and the change scale of exchange rate, interest rate and stock price were enlarged. so to hedge the financial risk financial derivatives is developed In the beginning of the 1970's. The financial derivatives market have been rapidly expanded all over the advanced countries. however, the derivatives transactions don't always bring affirmative result. It have the double edge of high risk and high profit at the same time and can either drive an enterprise to bankruptcy or play a role as an advance guard in controling risks defending on how the derivatives is used. Since 1980's there occured many accidents surrounding the financial derivatives transactions both abroad and at home, causing huge losses to the big financial institutions. and many big corporations and banks fell in financial crisis. Therefore, risk management and control of financial derivativ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es including BIS and the governments of many countries have been arranging countermeasures against these risks in recent years. As the financial environment changes, the economic individual as well as financial institutions will be more forced to get involved in financial derivatives market than before whether they want or not. Under this condition, the effectiveness and flexibility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participants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risks of financial derivatives and select the appropriate commodities for the required purpose. This paper is a study on internal countermeasures against transaction risks. To suggest internal countermeasures to manage the risks for financial institutions, this paper analyzed the functions and risks of financial derivatives, looked into the recent financial accidents caused by financial derivatives and the recent regulations of the advanced countries. To avoid the financial risks, some internal methods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① CEO's full understanding of financial derivatives, ② cultivating experts in the field, ③ mutual checking between trading office and back office, ④ establishment of proper internal risk management system.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