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NS콘텐츠특성과 소비가치가 웨딩상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우 창신대학교 특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Effects of SN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s on Wedding Product Purchase Intention Ji-U Park Dept.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Welfare Culture Cha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Mi-Ock, Woo) Necessities & Purpose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pply of smartphone, the consumption market is going through innovative changes, and the existing marketing market is also quickly changing to be digital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the digitalization, the wedding market that used to maintain the existing standardized wedding culture is also forming the subdivided & customized wedding culture suitable for customer individuality and consumption values.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ew marketing strategies of wedding market by researching the effects of SN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s on wedding product purchase intention. Content & Methods: From August 1, 2023 to September 20, 2023,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married & unmarried women in their 20s-40s who experienced wedding product content through SNS. After collecting total 280 questionnaires, this study analyzed them by using the SPSS27.0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ecked the Cronbach’s α value for verifying the reliability, conducte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for analyzing differences in SNS content characteristics, consumption values, and wedding product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ducted the Scheffé test as a post analysis, and also conducte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the highest percentage was shown in the subjects in their 30s(50.4%) for age, the unmarried(52.5%) for marital status, office workers(55.4%) for occupation, and 2-3million won(41.8%) for monthly average income. Second, in the actual status of using wedding products, the highest percentage was shown in the wedding hall for what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in wedding package, 2-3million won for wedding product(dress, hair, makeup) cost, Instagram for SNS the most connected, 1-2 hours for daily SNS use hours, information search for the purpose of using SNS, and experienced reviews for the information affecting the trust.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in SNS content characteristics, consumption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N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monthly average income. Fourth, in the effects of SNS content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the higher informativeness and playful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wedding product purchase intention. Fifth, in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the higher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conditional value had significant effects on wedding product purchase intention. Sixth, in the effects of SNS content characteristics on consumption values, the higher informativeness and playful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functional value, social value, epistemic value, and conditional value of consumption values. Among the SNS content characteristics, the interactivity and playful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otional value. Conclusions: The SNS content characteristics, consumption values had SNS콘텐츠특성과 소비가치가 웨딩상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 지 우 창신대학교 복지문화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지도교수 우미옥)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소비시장은 혁신 적인 변화를 겪으며 기존의 마케팅 시장도 디지털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웨딩 시장 또한 디지털에 따른 정보교류로 기존의 획일적인 결혼문화에서 고객의 개성과 소비가치에 맞춰 세분화된 맞춤형 웨딩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SNS콘텐츠특성 과 소비가치가 웨딩상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웨딩시장의 마케팅에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조사 기간은 2023년 8월 01일부터 2023년 9월 20일까지 SNS 를 통해 웨딩상품 콘텐츠를 접해 본 미혼, 기혼의 20대~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 를 총 280부를 수집하여 SPSS2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 적 특성에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확인하 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콘텐츠특성, 소비가치, 웨딩상품구매의도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며, 사후분석 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Pearson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연구결과 :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의 경우 30대가 50.4%, 결혼유무는 미혼이 52.5%, 직업은 직장인이 55.4%, 월평균소득은 200~300만원이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웨딩상품 이용실태는 웨딩 패키지 중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는 예식 장, 웨딩상품(드레스, 헤어, 메이크업)비용으로는 200~300만원, 많이 접속하는 SNS는 인스타그램, 일일 SNS 이용시간으로는 1~2시간, SNS 사용목적으로는 정보 검색, 신 뢰에 영향을 주는 정보는 경험후기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콘텐츠특성, 소비가치, 구매의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유무, 직업에 따른 차이에서는 SNS콘텐츠특성, 소비가치에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소득에는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콘텐츠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보성과 유희성이 높을수록 웨딩상품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적가치, 감정적가치, 상황적 가치가 높을수록 웨딩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SNS콘텐츠특성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보성과 유희성이 높을수 록 소비가치의 기능적가치, 사회적가치, 진귀적가치, 상황적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다고 나타났고, 감정적가치에서는 SNS콘텐츠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유희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SNS콘텐츠특성과 소비가치는 웨딩상품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웨딩상품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SNS를 통해 지속적으 로 신뢰성 있는 정보와 재미, 흥미를 자극하는 웨딩콘텐츠를 제작해 소비자들의 상호 작용을 활발하게 조성하고 구매의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 SNS콘텐츠특성, 소비가치, 웨딩상품구매의도

      •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흡수역량과 혁신의지를 중심으로

        박준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4차산업혁명시대란 디지털 혁명에 기반을 둔 물리적, 디지털, 생물학적 모든 공간이 초연결된 기술융합의 시대이다. 이러한 4차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면서 국가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은 기업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전략을 반드시 수립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내생적 능력으로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기에 외부의 전문가의 조력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컨설팅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바 중소기업의 경영컨설팅을 수행함에 있어 중소기업에게 효과적인 컨설팅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컨설팅서비스 품질 중 전문성을, 컨설턴트 역량 중 지식과 태도를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이라고 정의하고 기업의 흡수역량과 혁신의지를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경영컨설팅을 수진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한 임직원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수거된 142부 중 응답이 누락되어 불성실한 설문응답을 제거하여 최종 131부의 설문지를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총 8가지의 연구 가설을 세우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전문성은 기업의 흡수역량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지식은 기업의 흡수역량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태도는 기업의 흡수역량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전문성은 기업의 혁신의지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지식은 기업의 혁신의지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의 태도는 기업의 혁신의지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일곱째, 기업의 흡수역량은 경영성과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덟째, 기업의 혁신의지는 경영성과에 긍정적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의지와 흡수역량이 경영컨설팅서비스의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경영컨설팅 서비스특성 뿐 아니라 기업의 혁신의지와 흡수역량이 매우 중요한 요인 변수라는 것을 밝혀내어 실무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이론적, 실무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적은 수의 설문결과를 가지고 분석하여 결과를 전체로 확대하여 적용하기에 미흡할 수 있어 향후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영컨설팅서비스특성과 관련한 여러 변수를 추가적으로 확대 고려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비교연구 : 서울지역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황민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특정 분야의 인재 및 전문 직업인 양성을 목표로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진로교육이 본래의 목적을 상실한 채 주로 진학지도에만 치우쳐져 대다수 졸업생이 대학에 진학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산업체의 고졸 산업인력 수요 확보에 어려움이 야기되면서 특성화 고등학교의 정체성 확립에 대한 문제의 해결 방편으로 진학률이 높은 A, B특성화 고등학교와 취업률이 높은 C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실행하고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취업지도와 진학지도로 구분하여 구체적 사례들을 조사하고, 설문을 통해 각 학교별 학생들의 학교생활의 만족도 및 진로의식, 진로교육 요구조사를 비교 ·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언젠가 도래할 산업사회의 다변화에 기술 인력 수급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사회 발전에 필요한 다양한 산업인력구조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진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연구, 사례연구, 그리고 실증적인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이론적인 연구는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고, 사례연구는 A, B, C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업률과 진학률을 조사하고 개별학교의 취업률과 진학률을 이끌어낸 토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위학교에서 실행하고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취업지도와 진학지도로 구분하여 구체적 사례들을 조사하였고, 실증 연구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자료를 근거로 하여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하는 3개교의 특성화 고등학교 재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내용은 진학동기, 학교 만족도, 진로의식, 진로교육 현황, 진로교육의 개선점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의 도입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입학생을 선발할 때 중학교 내신 성적은 학생들이 일정한 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는 지를 판단 할 수 있는 자료로만 활용하고, 전체 성적보다는 특성화 분야와 관련된 교과의 성적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학생의 소질과 적성, 재능이 있는 자를 위주로 선발하여 탈락률을 최소화하고 특정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입학이라는 획일적인 진로의 경로로 초래되는 급격한 고학력화와 그에 따르는 청년층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취업교육 강화하여 1학년 학생들이 상급학년으로 진급 시 진로방향을 진학에서 취업으로 진로방향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등 고등학교 졸업 후 이행경로의 다양화로 산업인력구조의 균형 잡힌 개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C특성화 고등학교와 같이 취업률이 높은 학교의 취업지도 내용을 벤치마킹하여 다양한 취업지도 프로그램을 이용한 진로교육 강화를 통해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고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진로적성검사를 학년별로 실시?누적 관리하여 진로적성검사 결과에 기초한 진로지도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특성과 잠재력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In this research, I am willing to discover a current problem which is related with identifi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making difficulty in ensuring industry's demands for workers, who graduated from only high schools, caused by most graduates' entering colleges due to oversights to lose the original purpose of career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e aim to raise talents and experts look through programs operated by A, B specialized high school whose percentages of advance to colleges is high, and C specialized high school whose percentages of employment, as distinguishing instruction of employment from that of advance to colleges draw problems by comparing and analyzing satisfaction, career awareness and requirement for career education of each school's students through surveys deal with workers' supply to changing industry coming up soon and suggest solutions which make careers instruction effective to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o as to balance various industry worker structures necessary for socie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240 students in 3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and gets results below.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int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hen selecting entering students, we don't have to consider grading as the most important but students' character, attitude and ability, which will help experts grow well. Second, we should persuade students to enter a profession when they are promoted to senior, which will be going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due to diversity of career option. Third, we should let students plant right recognition toward work and job by learning programs which are followed by some schools like C specialized high school and establish their sense of value. Forth, most importantly,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mselves to plan their proper career. Thus, we should help students to find their trait and potential early by operating and saving aptitude tests for career in reasonable and scientific way.

      • 활력네트워크특성이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경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활력네트워크가 직무에 대한 지각과 조직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신이 활력을 받는 네트워크의 중심성, 자신에게 활력을 주는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활력네트워크의 밀도가 직무특성요인인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활력네트워크의 특성이 직무특성요인에 대한 지각을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정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활력네트워크에 대한 응답을 얻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신이 활력을 받는 네트워크의 중심성은 과업중요성, 자율성과 피드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신이 활력을 주는 네트워크의 중심성은 피드백의 지각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활력네트워크의 밀도는 직무특성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과업중요성, 자율성과 피드백 지각은 자신이 활력을 받는 네트워크 중심성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하지만 자신이 활력을 주는 네트워크의 중심성은 자율성만이 자신이 활력을 주는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특성이 유니폼만족도, 직무효능감, 고객지향성 및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적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유니폼특성이 유니폼만족도, 직무효능감, 고객지향성 및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적항공사에 근무 중인 객실승무원으로, 사전 조사(pre-test)를 실시한 후 설문 문항을 수정하여 2022년 5월 24일부터 2022년 6월 12일까지 약 삼주 동안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총 35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35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니폼특성의 하위요인(CI, 전문성, 여성성, 기능성, 심미성, 신뢰성) 중 전문성, 여성성, 심미성, 신뢰성은 유니폼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니폼특성의 하위요인(CI, 전문성, 여성성, 기능성, 심미성, 신뢰성) 중 전문성과 신뢰성만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니폼만족도는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니폼만족도는 고객지향성의 하위요인(자발적 고객지향성,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니폼만족도는 안전행동이 하위요인(역할 내 안전행동, 역할 외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효능감은 고객지향성의 하위요인(자발적 고객지향성, 업무적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직무효능감은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역할 내 안전행동, 역할 외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고객지향성의 하위요인(자발적 고객지향성, 업무적 고객지향성) 중 업무적 고객지향성만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역할 내 안전행동, 역할 외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승무원의 유니폼특성 중 전문성, 여성성, 심미성, 신뢰성이 유니폼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니폼 업무의 속성이 전문적으로 드러나며 유니폼이 부드럽고 여성스러워 보이며 고객들에게 미적으로 아름다움을 만족시키며 고객들에게 승무원업무 역할에 대해 안정적인 신뢰감을 줄 때 유니폼만족도가 높아짐을 시사한다. 둘째, 유니폼특성 중 전문성과 신뢰성이 직무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니폼이 프로페셔널해 보이며 높은 서비스를 기대하게 만들며 업무역할이 잘 반영됨으로써 승객에게 신뢰성을 전달할 때 직무효능감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셋째, 유니폼만족도가 직무효능감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항공사 승무원이 유니폼으로 인해 이미지가 상승되며 유니폼을 입고 자랑스러움을 느끼고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가졌을 때, 비행업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조직과 자신을 동일시하려고 하며 업무수행을 하며 성취감과 기쁨을 느끼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유니폼만족도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승무원이 업무하기에 적합한 유니폼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유니폼을 제작하여 착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유니폼만족도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항공사는 승무원이 안전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유니폼특성을 고려하여 제작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여섯째, 직무효능감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항공사 승무원이 비행업무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며 일처리를 잘 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있을 때, 고객지향적인 사고를 가지고 고객을 만족시키려고 최선을 다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주려고 노력하고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최대한 주려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직무효능감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승무원이 비행업무 중 발생한 일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안전에서도 비행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규정에 맞는 안전 절차를 따르며 기내 안전 캠페인에 활동하며 안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업무를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덟째, 고객지향성의 하위요인 중 업무적 고객지향성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안전은 무엇과도 타협하지 않는 것으로 안전과 관련된 규정준수를 할 때 고객이 안전절차를 따를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실에 근거하여 설명하는 것과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을 국적항공사에 소속된 현직 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항공사별로 고르게 측정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 예상된다. 둘째, 본 연구는 항공사 승무원의 특성상 여성 응답자가 남성 응답자보다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향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남성 승무원이 인식하는 유니폼특성에 대해 좀 더 구체화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항공사 승무원들을 직급 및 근속년수로 구분하고 전공별로 구분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반면에 연구의 대상이 편차적으로 골고루 측정되지 않아 후속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으로 설문대상의 비율을 고려하여 측정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넷째, 유니폼특성과 유니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유니폼특성의 하위요인 중 기능성 요인이 부(-)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미성과 기능성을 같이 향상시킬 수 있는 유니폼특성과 유니폼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uniform characteristics affect flight attendants working for national airlines in terms of uniform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efficacy, customer orientation, and safety behavior.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national airlines' cabin crew. After performing a pre-test, the survey questions were revised, and the main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y 24 to June 12 of the following year. This resulted in the collection of 357 questionnaires in total, of which 355 copies were analyzed and used for the study. SPSS 21.0 was used to carry out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discovered by perform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expertise, femininity, aesthetics, and reliability had a substantial positive (+) impact on uniform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uniform characteristic (CI, expertise, femininity, aesthetics, and reliability had a substantial positive (+) impact on uniform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uniform characteristic (CI, expertise, femininity, functionality, aesthetic and dependability). Second. only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vocational self-efficacy among the uniform characteristic sub-factors (CI, expertise, feminity,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dependability),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uniform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 one’s level of vocational self-efficacy. Fourth, it was discovered that the sub-factors of customer orienta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 impacted by uniform satisfaction (voluntary customer orientation, business customer orientation). Fifth, it was discovered that for uniform satisfaction, safety behavior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sub-factors (safety behavior within the role, safety behavior outside the role). Sixth, it was discovered that the sub-factors of customer orienta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 impacted by vocational self-efficacy (voluntary customer orientation, work customer orientation). Seventh, it was discovered that the safety behavior sub-facto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 impacted by vocational self-efficacy (in-role safety behavior and out-of-role safety behavior). Eighth, only the business customer orientation sub-factor showed a substantial positive (+) impact on the sub-factors of safety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customer orientation (voluntary customer orientation, business customer orientation) (safety behavior withinn the role, safety behavior outside the role).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uniform characteristics of airline flight attendants-professionalism, femininity, aesthetics, and dependability-directly influence uniform satisfaction. Also, research implies that uniform satisfaction improve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uniform work are professionally displayed, the uniform seems soft and feminine, is visually pleasant to customers, and gives consumers steady trust in the function of flight attendant.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dependa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uniform characteristics directly influence vocational self-efficacy. This suggests that providing reliability to passengers increases self-efficacy in the workplace because the uniform exudes professionalism, raises customer expectations, and accurately depicts the duties of the position. Third, the result that uniform satisfaction, influences vocational self-efficacy indicates that uniforms contribute to the improved perception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This also implies that they attempt to associate themselves with the company with confidence in their own job, have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pleasure when carrying out their tasks, and feel proud to wear a uniform and have overall satisfaction. Fourth, the result that uniform satisfaction influences customer orientation indicates to the necessity for uniforms to be made and worn so that flight attendants may feel 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before serving passengers. Fifth, the result that uniform satisfaction influences safety behavior indicates to the necessity for airlines to take into account uniform characteristics so that flight attendants can effectively carry out safety activities. Sixth, the result that job self-efficacy influences customer orientation implies that flight attendants have customer-oriented thinking when they are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perform flying duties, believe they are valuable, and take pleasure in their work. And by doing this, it implies that they do their best to please clients, provide them more than they need, and provide them with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Seventh, the result that vocational self-efficacy influences safety behavior indicates that flight attendants adhere to safety procedures that comply with legal requirements to execute flight duties even in safety when they believe they can successfully overcome what occurred during flight tasks. Additionally, it includes participating in in-flight safety campaigns and voluntarily carrying out tasks that enhance safety. Eighth, the result that customer orientation influences safety behavior implies that safety does not compromise with anything among the sub-factors of customer orientation. Additionally, it implies that accurate information provision and fact-based explanation go hand in hand, enabling clients to adhere to safety-related laws by following safety procedure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f the study concentrates on current flight attendants who work for national airlines and divides the sample equally across the airlines, it is anticipated that more insightful results would be obtained. Second, given the gender composition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there were considerably more female respondents than male respondents in this research.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uniform characteristics that male flight attendants share in more depth in any future studies. Third, the study results were determined by categorizing airline flight attendants by major, position, and years of employment. However, as the study's subject is not measured equally and there is some fluctuation, the results of the follow-up study will be more insightful if they take the survey subject's demographic ratio into account. Fourth, the functional compon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uniform characteristic indicated a negative (-) relation in the link between the uniform characteristic and uniform satisfaction. Further study is sugges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 uniform characteristic and uniform satisfaction, which may enhance both aesthetic and functionality.

      •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권영옥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A특성화고 전 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5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개인적 특성은 성별, 학년, 계열, 전공만족도이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상관관계애서 직업정보부족은 직업정보활동, 도구구비활동, 실천적노력 모두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그중에서 특히 실천적노력과 가장 높은 부적 상관 결과를 보여주었다.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기목표설정, 자기보상, 자기자신과의 대화, 신념과 가정에 대한 평가 모두 직업정보활동, 도구구비활동, 실천적노력 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자기목표설정과 도구구비활동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자기진로이해부족, 자신감부족과 성격문제, 취업현실여건, 차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직업정보부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와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매개변인인 셀프리더십을 통제해도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진로준비행동은 셀프리더십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특성화고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계열, 전공만족도)에 따라 변인별 차이를 보였고,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의 하위 요인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들도 파악하여 진로장벽을 낮추는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요인을 파악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여주는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셀프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이 진로교육에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one week from June 5 to June 13, 2021 targeting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the Gyeonggi region, and 35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method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self-leadership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gender, grade, class, and major satisfaction. Second, in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lack of vocational inform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of vocational information activity, tool provisioning activity, and practical effor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goal setting, self-reward, self-talk, and evaluation of beliefs and assumptions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information activity, tool provision activity, and practical effort. In particular, self-goal setting and tool-making activ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hird, career barri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ck of self-career understanding, lack of self-confidence and personality problems, actual employment conditions, and discrimin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hile lack of job inform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and complete mediation effects. It can be seen that career barri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ven when self-leadership,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is controlled, and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leadership. Summarizing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y variabl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department,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hat career barriers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identify not only the sub-factors that directly affect career barriers, but also the sub-factors that indirectly affect them, and come up with specific and effective measures to lower career barriers. This suggests that a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self-leadership that identifies the factor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enhances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s necessary for career education. Key words: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leadership

      • 소셜커머스특성과 개인특성이 소셜커머스사이트에 대한 이용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이용자를 중심으로

        요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소셜커머스란 소비자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사람이 모여서 공통구매를 통해 상품가격을 낮추는 상거래다. 소셜커머스는 소비자에게는 반값의 기회를, 생산자에게는 홍보 극대화의 길을 열어주고 있기 때문에 소비 패턴의 혁명을 끌고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으며 급성장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셜커머스 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과 공동구매형소셜커머스 사이트의 특성을 알아보고, 둘째, 소셜커머스 사이트 이용만족과 지속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특성에는 커뮤니티 지향성, 추천에 수용도, 상황적 희소성에 대한 지각을 소셜커머스 특성에는 할인율, 대응성, 지역기반 제공성을 검증하고자하였다. 셋째,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소셜커머스 이용만족과 소셜커머스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관계 차이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총 393부(한국:163부, 중국:230부)의 설문을 SPSS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에 대한 이용만족에 대해 추천 수용도, 커뮤니티 지향성, 지역기반 제공성, 할인율이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나 지각된 상황적 희소성과 대응성에 대한 가설이 기각되었다. 지속사용의도에 대해서는 지각된 상황적 희소성, 추천 수용도, 커뮤니티 지향성, 지역기반 제공성, 대응성, 할인율이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한국과 중국 두 국가의 소비자에 대한 비교검증 결과 소셜커머스 사이트 이용만족에 대해 커뮤니티 지향성과 대응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셜커머스 지속사용의도에 대해서는 커뮤니티 지향성, 추천 수용도, 할인율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職務特性 및 欲求水準이 職務 態度에 미치는 效果

        하형호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硏究는 職務狀況이 전혀 다른 敎師集團과 精油工場의 Operator 集團을 서로 比較함으로써 職務特性과 欲求水準이 職務態度에 미치는 效果를 分析하고자 하였다. 즉, 獨立변인인 職務特性과 欲求水準을 各各 높은 位階職務特性, 낮은 位階職務特性, 成長欲求, 安全欲求로 區分하고 各各의 변인이 職務態度에 미치는 主效果와 相互作用效果를 分析하기 爲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假說들이 檢證되었다. I. 欲求水準에 따라 職務特性 知覺에 差異가 있을 것이다. II. 職務特性에 따라 職務態度에 差異가 있을 것이다. (II-A) 높은 位階의 職務特性은 職務態度에 影響을 미칠 것이다. (II-B) 낮은 位階의 職務特性은 職務態度에 影響을 미칠 것이다. III. 欲求水準에 따라 職務態度에 差異가 있을 것이다. (III-A) 成長欲求는 職務態度에 影響을 미칠 것이다. (III-B) 安全欲求는 職務態度에 影響을 미칠 것이다. IV. 職務特性과 欲求水準의 相互作用이 職務態度에 影響을 미칠 것이다. 檢證結果(假說I)과 (假說II-A), (假說III)이 부정되었으며 (假說II-B)가 肯定되었고 (假說IV)는 職種 및 集團別로 部分肯定이 되었다. 以上과 같은 結果들은 職務設計에 關한 硏究가 職務의 狀況的인 特性을 考慮해야 하며 個人의 特性과 職務態度도 그것들이 發生되는 組織上의 脈絡에서 檢討되어야 함을 意味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main effect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need strength on the job attitude through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eacher group and oil refinery operator group. I. Hypotheses 1. Need strength would affect on the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2. Job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on the job attitude. (2-A) High level job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on the job attitude. (2-B) Low level job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on the job attitude. 3. Need strength would affect on the job attitude. (3-A) Growth need strength Would affect on the job attitude. (3-B) Safety need strength would affect on the job attitude. 4. There would be interaction effects of job char acteristics and need strength on the job attitude. II. Method 1. Subjects; Fifty random sample were selected from teacher group and fifty were selected from oil refinery operator group. 2. Instrument; Need strength and job characteristics items were drawn from JDS, and 'Index of job satisfaction.' 3. Statistic Treatment;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hypothesized variables, Z-test and two-way ANOVA were utilized. III. Results 1. Need strength did not affect on the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2. High level Job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on the job attitude. 3. Low level job characteristics affected on the job attitude. 4. Need strength did not affect on the job attitude. 5.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need strength on the job attitude. In conclusion, studies on the job design would be reviewed in connection with organizational situation and this subject demands furthur investigation.

      • 특성화고등학생의 기업가정신 및 심리적 성장환경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성격 5모델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민형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 문 요 약 특성화고등학생의 기업가정신 및 심리적 성장환경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출자 유 민 형 지도교수 이 준 우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창업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 있어 좀 더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생의 창업의지 형성에 있어 기업가 정신과 심리적 성장환경의 영향과 성격 5모델 요인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실증 분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기업가 정신과 심리적 환경, 창업의지, 성격 5모델 요인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뒤 가설검증을 SPSS 17.0 프로그램의 다중회귀 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문항을 작성한 후 대전소재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7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정신과 심리적 성장 환경은 청소년 창업의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업가 정신과 심리적 성장 환경이 청소년 창업의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격 5모델 요인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생의 창업의지는 기업가 정신이 높은 학생일수록 창업의지는 더욱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심리적 성장환경이 안정된 학생일수록 창업의지는 더욱 크게 형성되고 있다. 이는 후천적으로 교육되는 기업가 정신이 선천적인 성장환경보다 청소년 창업의지에 더욱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성격 5모델 요인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기업가 정신에 대한 교육과 함께, 학생 개개인에 성격을 파악해 내향적, 정서적 불안정, 폐쇄적이며 친화성이 없는 학생에 대한 성격 개선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창업의지 형성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생의 기업가 형성과 심리적 성장환경이 창업의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성격 5모델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생의 창업교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주제어 : 특성화 고등학교, 기업가정신, 심리적 성장환경, 성격 5요인

      • 공동주택의 계획특성이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광호 연세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From the various recent conditions of residential market,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with regards to the feasibility of housing business. However, most of the studies relate to either qualitative studies such as decision-making, analysis model, and research aspects of feasibility analysis, or aspects of market price of residences, hedonic models, factor comparison analysis, risk analysis, short-term market forecast, demand forecast, and formation of residential market. However, there are not many systematic studies on feasibility analysis through organized examination of profit margin.While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a project, the important variables in determining the financial analysis are namely, construction cost, land price, and sales rate. These variables can fluctuate within a certain range at feasibility analysis phase but studies on their tendency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hard to find.Moreover, the cost of apartment can be induc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hen factors such as construction cost, land price, and the sales rate change in a certain range at same project. The regression method takes the cost of apar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t takes construction cost, land price, and sales rate as independent variables. Thus, the regression method would hold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each project. However, it is hard to find such studies that concentrate on either the definition of these inherent characteristic of projects or the influence which these inherent characteristic have on business profits. These inherent characteristic of projects can be observ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ut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planning such as the scale of a project, floor space, the ratio of basement area or number of floors would bear significant meaning as the inherent characteristic. Through analytical procedures, this study observed that floor area ratio, sales area ratio, and the term of works bear high significance among all other inherent characteristic.Thus, in the analysis of feasibility for apartment housing business, this study attempted a statistical approach towards a break-even analysis, beginning from the notion that qualitative factors are measured in monetary value through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and marketing analysis. As the parameter of this study, construction cost, land price, and sales rate were chosen as the first set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floor area ratio, sales area ratio, and the term of works of a project were selected as the second set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sales area ratio was defined as the ratio of sales area relative to the total area of project.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2 stages of analysis. The first phase would be the sensitivity analysis of financial analysis item and statistical propensity of financial analysis item. The second phase comprises of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 of planning on the profit of housing development business.For these procedures, definite condi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26 projects have been selected for financial analysis. In the first phase, there has been sensitivity analysis for 12 items of financial analysis. In addition, by simulating the construction cost, land price, and sales rate as variables of inputs,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is for propensity of financial analysis item were executed on condition that each project''s debts is repaid or kept.In the second phase, the cost of apartment was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The first regression analysis that takes independent variables of construction cost, land price, and sales rate yielded a total of 26 regression equations. These 26 regression coefficients (construction cost coefficients, land price coefficients, constants) will hold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project.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different coefficients for the each project, characteristic of planning (floor area ratio, sales area ratio, term of works) were selected. The regression coefficients (construction cost coefficient, land cost coefficient, constant) were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y were used to undertake second regression analysis, which takes floor area ratio, sales area ratio, and term of works as independent variables.In the seco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regression equations that take construction cost coefficient, land price coefficient, and constant as dependent variables, a more generalized regression equation was created by placing floor area ratio, sales area ratio, term of works, construction cost, land price and sales rat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by placing cost of apartment as dependent variable. Unlike the first regression equation that depends on each project''s characteristic, the generalized regression equation would be able to explain the shifts in the returns of projects with regards to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 of planning that is determined during project design.The focus of this study is as follows:1)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12 items of financial analysis on profits, the study will not only be limited to the process of financial analysis, but it will reflect decision making priorities related to cost reductions among the overall process of development business.2) Through propensity of financial analysis item under the break-even analysis, the propensity of financial analysis item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hange of land price and construction cost. In this way, accuracy in feasibility analysis would be enhanced and risk factors will be distinguished more easily.3) By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under the break-even analysis, the statistics such as mean value, maximum value, minimum value or range in relation to land price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determined. This approach will help determine the appropriate sales ratio of financial analysis items.4) By using the generalized regression equation,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f characteristic of planning such as floor area ratio, sales area ratio, and term of works can be quantified. Particularly, the procedure that shows the influence of sales area ratio on project profits is significant. Moreover, during the early stages of evaluation for a project, this approach can be used as a way of approximation rather than having to work out the entire process of computation. In the perspective of policy making, by using the generalized regression equation and the analytical method from this study, this study would help determine the influence of floor area ratio and sales area ratio on sales price and land value. 최근의 주택시장 제반 여건 속에서, 주택사업의 타당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내용 및 방법 등이 타당성 분석에 있어서의 의사결정, 타당성 분석모델, 타당성 조사 분석실태 등의 정성적 연구이거나 주택가격에 대한 특성가격함수 모델(hedonic model), 요인비교분석, 리스크분석, 단기시장예측, 수요예측, 주택시장의 구조분석 등에 관한 연구 등이며, 실증적인 수지분석을 통한 사업타당성 분석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즉, 사업 타당성 분석 시 수지분석 항목의 중요한 입력변수는 공사비·지가·분양률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항목들이 일정 범위(실무적으로 발생가능 한 범위)에서 변화함에 따른 수지분석 항목의 추세 및 통계 분석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공사비·지가·분양률 변화에 따른 분양원가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회귀식을 유도할 수 있고, 분양원가를 종속변수로 공사비·지가·분양률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식은 개별 개발사업의 고유특성에 따라 사업마다 다른 값을 가질 것이며, 이러한 고유특성에 대한 정의 또는 고유특성이 사업수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역시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개발사업의 고유특성은 여러 관점에서 분석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건축규모, 분양면적과 지하층 면적과의 비율 또는 층수 등과 같은 건축계획특성이 고유특성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분석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여러 건축계획특성 중 용적률·분양비·공사기간이 고유특성으로서 높은 설명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 개발사업의 타당성 분석과정에 있어, 계량화하기 힘든 정성적 요소들이 기초조사 단계와 마케팅분석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지분석 단계에서 화폐가치로서 정량화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수지분석에 대한 통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parameter로는 분석을 통하여 1차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공사비·지가·분양률과 2차 독립변수에 해당하는 용적률·분양비·공사기간을 채택하였다. 여기서 분양비는 전체 사업연면적에 대한 분양면적(공급면적)의 비율로 정의하였다.즉, 본 연구는 타당성 분석의 수지분석단계에서, 수지분석 항목의 민감도 분석과 수지분석 항목의 통계 및 추세분석(1차 분석), 그리고 건축계획특성이 주택개발 사업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2차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수지분석 시 필요한 제반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분석 대상으로 기 분양된 26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하였다. 1차 분석으로 사업수익에 대한 12개의 수지분석항목의 민감도 분석과,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차입금을 상환하는 경우와 상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공사비·지가·분양률을 입력변수로 하는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하여 공사비·지가·분양률의 변화에 따른 수지분석 항목의 추세 및 통계 분석을 하였다.2차 분석으로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분양원가를 종속변수로 공사비·지가·분양률을 독립변수로 하는 1차 회귀분석을 하여 총 26개의 회귀식을 유도하였으며, 유도된 26개 회귀식의 회귀계수(공사비계수·지가계수·절편)는 각 프로젝트의 고유특성에 의해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서로 다른 회귀계수에 대한 설명변수로서 건축계획특성(용적률·분양비·공사기간)을 채택하여, 1차 회귀분석 결과인 회귀계수(공사비계수·지가계수·절편)를 종속변수로 용적률·분양비·공사기간을 독립변수로 하는 2차 회귀분석을 하였다.2차 회귀분석에서 유도된 공사비계수·지가계수·절편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식을 이용하여 용적률·분양비·공사기간 및 공사비·지가·분양률을 독립변수로하고 분양원가를 종속변수로 하는 일반화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개별프로젝트의 건축계획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1차 회귀식과 달리 건축계획특성이 설명변수인 일반화된 회귀식은 특정 토지에 있어서 설계 시 결정되는 건축계획특성의 변화에 따른 분양원가(사업수익)의 변화를 설명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1) 사업 수익에 대한 수지분석 항목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수지분석과정에만 국한되지 않고 개발 사업의 전체 진행과정에 있어, 비용절감과 관련된 의사결정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2) 수지분석 항목의 추세분석을 통해, 지가와 공사비의 변화에 따른 각 수지분석 항목의 변화 추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타당성 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지가와 공사비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3) 수지분석 항목의 통계분석을 통해, 지가와 공사비의 변화에 따른 각 수지분석 항목의 매출비에 대한 분포 범위나 평균치와 같은 통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지분석 시 각 항목에 대한 적정 매출비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4) 일반화된 회귀식을 통해, 건축계획특성 인자인 용적률·분양비·공사기간이 수지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으며, 특히 용어조차 정의되지 않은 분양비가 사업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초기 타당성 분석 시 가설계 없이 분양원가를 산정하는 개산수식으로도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일반화된 회귀식과 본 연구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용적률과 분양비의 변화가 분양가와 토지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