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과 미술의 통합학습과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방안연구

        이유경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리머의 예술통합이론에 근거하여 예술교과인 미술과 음악교과를 통합하고, 통합된 지식을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이러한 학습내용과 활동에 맞는 평가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7세기 바로크 시대의 음악과 미술로 제한한 단원의 지식으로 수업을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접근법으로 ‘바로크 시대’라는 시기의 예술을 역사적, 음악적, 미술적으로 통합하는데 각 분야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학습하고 원 집단에 돌아와서 정보를 공유하는 과제 분담학습 모형Ⅱ를 적용하였다. 둘째, 주제별 접근법으로 여러 가지 주제와 그에 속하는 예술작품을 소개하면 그 중에서 학생들이 흥미가 생기는 주제를 선택하여 소개된 음악작품에 맞춰 미술작품을 소재로 이야기를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하는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셋째, 공통요소 접근법으로 대조적인 표현방식과 화려한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비발디의 합주협주곡 <사계>와 렘브란트의 <야경>을 제재로 어떤 요소로 무엇을 표현하고 있는지 표현방법을 탐구하고 새로운 작품에 적용해보는 집단과제를 줄 수 있는 성취과제 분담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넷째, 예술의 통합 교수방법에 맞춰 평가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역사적 접근으로 통합한 지식을 과제분담모형 Ⅱ로 지도 시 미술, 음악, 음악과 사회, 미술과 사회, 음악과 미술과 사회 총5가지의 관점으로 평가한다. 주제적 접근으로 통합한 지식을 자율적 협동학습모형으로 지도 시 학급전체의 집단 평가, 집단의 개인평가, 교사의 개별평가를 한다. 공통요소별 접근법으로 통합한 지식을 성취과제 분담학습모형으로 지도 시 음악과 미술 요소의 개념을 이해, 요소와 작품의 연계에 대해 평가한다. 이 연구는 리머의 예술통합 접근법을 사용하여 미술과 음악을 연계하는 방안과 협동학습모형으로 학습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통해 예술교과간의 연계를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통합된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학적 활동과 연계하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통합과 협동학습을 통해 학생이 주체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수업의 질이 개선되는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통합학습, 음악, 미술, 협동학습모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valuation method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studies by integrating for knowledge of arts and music based on Reimer's Arts integration theory and applying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suitable for effectively communication of integrated knowledge to learners. The lessons are constructed by applying Reimer's Arts integrated educ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the knowledge of the member that are limited to music and art in the 17th century Baroque. The contents of lessons are as follows. First, Jigsaw Ⅱ model is applied as a historical approach. This model is the arts of 'Baroque Age' are integrated historically, musically, and artistically, and to study by organizing expert groups in each field, and share information by returning to the original group. Second,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pplied as a thematic approach. This is the activity to create the story based on works of art matching the musical work by selecting the interesting subjects when the works of arts belong to various theme is introduced to students. Third, achievement sharing learning model is applied as a common element approach. It explores <Four Seasons>, Vivaldi's concerto Grosso, and <The Night watch>, painted by Rembrandt that how to express and what to express with what element focusing on contrastive expression. Finally, it suggests the viewpoint of evaluation according to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arts. the students’ learnt knowledge of historical approaching content throu Jigsaw Ⅱ is evaluated in five perspectives: art, music, music-social science, art-social science, and music- art-social science. In contrast, the learners’ acquired knowledge of thematic approach content through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evaluation as a whole class, individua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yion. Finally, the evaluation of knowledge of common element approach through achievement sharing learning model i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and the ability to use the concepts of elements in art and music.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of linking art and music using the artistic integration approach of Reimer, and a teaching method as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rough this,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ffiliated with pedagogical activities on how to communicate integrated knowledge and to understand for the possibility of affiliated with arts subjec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activating the study of integration with arts in the various field and methods for independent learning, and to expect the meaningful learn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the class. keyword: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tegrated learning, Music, Art

      • 기업교육공학 방안으로서의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현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program based on case study approach and to suggest implications in appropriately evaluating blended learning in practices for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ssues such as the ones related to blended learning including development and status quo of blended learning program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 and operation models for the blended learning were reviewed. Then, the outcomes of a blended learning program of a representative company in Korea were completely analyzed through a kind of systems approach.The methodology of the study was a mixed research method which was comprised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In other words, an explanatory mixed methods design by which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for quantitative analysis first and interviews and surveys were followed for collecting further qualitative data. The case program was a leadership program of a representative company in which 113 managers participated.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blended learning itself seem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ing leadership capability in general assessment and self assessment.Secon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ose who experienced in improving leadership capability from blended learning mentioned that off-line education was most effective followed by on-line education, on-the-job training, and pre-training while those who didn’t mentioned that only off-line education was effective. The results of ex post facto survey showed that both off-line and on-line educations in blended learning program were effective, being appropriately interrelated to each other in terms of contents and following activities, and met the expectations of participants.Third, the most viabl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leadership training are said to be actual change of actions and activities in leadership capability of the participants followed by changes in their job tasks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manageri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good transfer to current job tasks, and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e plans.Fourth, the survey and interviews with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low model of blended learning indicated that the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re-and-spoke model.Overall, the consolidated methodology employed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es trying to assess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more concretely and comprehensively. 연구는 기업에서 실제로 수행한 통합학습 방식의 교육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제적 분석을 통해 통합학습의 효과성을 규명해보고 이를 토대로 궁극적으로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현실적인 규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통합학습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통합학습의 모형 및 그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와 통합학습의 기대효과와 전망 및 통합학습의 국내외 현황에 관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실제 실행한 통합학습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기업교육공학적 방안으로서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체제적 분석을 시도하였다.이러한 체제적 분석을 위한 방법론은 한마디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한 연구방법론(mixed methods research)이다. 혼합방법론 중에서 이 연구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것은 설명적 혼합설계 방식으로, 기업교육공학 방안의 하나로 도입된 통합학습 방식 가운데 대표적인 사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먼저 그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을 하고, 이어서 그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통합학습 방식에 대한 운영과 관련된 문헌 자료에 대한 분석과 아울러 참여자들에 대한 사후 설문 및 면담 등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론을 토대로 양적 분석을 위해 ㅎ사 부장급 113명을 대상으로 ㅎ사에서 개발한 리더십 통합학습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이 실험으로 수집된 자료를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을 위해 통합학습 효과에 대한 유용성과 통합학습의 성과 및 모형의 효과성에 대한 학습자 지각에 대해서는 핵심면담 대상자를 추출하여 사후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첫째, 통합학습의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 종합진단과 타인진단에서는 통합학습이 리더십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통합학습의 유용성에 대한 사후 설문조사 결과 및 핵심면담 대상자집단과의 면담 결과, 통합학습의 체제(사전학습, 오프라인 교육, 현장적용 학습, 온라인 교육)에 대해 리더십 역량이 향상된 사람은 오프라인 교육, 온라인 교육, 현장적용 학습, 사전학습 순으로 통합학습 효과에 유용하였다고 진술한 반면, 리더십 역량이 향상되지 않은 사람은 오프라인 교육만이 유용하였고 나머지 단계에 대해서는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또한 통합학습의 유용성과 관련된 사후 설문 결과, 통합학습 체제 중 오프라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은 각각 평균적으로 통합학습 진행에 있어서 유용하였고, 학습자의 기대수준에 부응하였으며 내용들과 활동들이 서로 적절하게 연관되었다는 의견이 나타났다.셋째, 통합학습의 성과에 대해서는 통합학습 방식의 리더십 교육 후 리더십 역량에 구체적인 행동이나 활동의 변화가 있었다는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직무상의 행동변화, 회사의 경영성과 달성에 도움, 현업활용에 유용, 실천계획 실행 순으로 통합학습의 성과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이 나타났다.넷째, 통합학습 모형의 효과성과 관련해서는 직접 선형 모형을 경험한 학습자의 설문 및 면담 결과, 통합학습의 모형은 선형 모형이 방사 모형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다.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통합학습 방식으로 운영한 사례 프로그램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통합학습 효과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분석하여 통합학습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통합학습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체제적 분석을 통한 실제적 평가 방안은 단순히 학습의 만족도 또는 이해도 평가만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과는 달리 다양한 학습방식의 결과 및 학습자의 지각까지 포괄한다는 점에서 향후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 방안으로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를 출발점으로 통합학습의 효과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협동적 읽기 · 쓰기 통합학습이 영어학습부진아의 독해력 및 읽기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이종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CIRC)이 중학교 영어 학습부진아의 영어 독해력과 독해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은 영어 학습부진아의 독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은 영어 학습부진아의 독해메타인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에 소재한 M중학교 2학년 영어 학습 부진아 1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이들과 비슷한 교육적 환경의 청원군 소재 N중학교 2학년 영어 학습 부진아 16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을 통한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직접교수에 의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영어독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에 의해 독해력 검사지가 개발되었으며 검사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3인의 영어교사가 합의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사전․사후 영어 독해력 검사와 사전․사후 독해메타인지 검사간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력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치의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사후검사 평균치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은 영어 학습부진아의 독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독해메타인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사후검사 평균치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은 영어 학습부진아의 독해메타인지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검증 결과로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은 직접교수에 의한 것보다 영어 학습부진아의 영어 독해력과 독해메타인지를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읽기와 쓰기가 통합된 협동적 읽기․쓰기 통합학습은 외국어로서의 영어를 배우는 상황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의 영어 학습부진아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 통합 학습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경험설계 모형 개발

        박성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습자의 역량에 대한 담론이 계속 일어나며, 학습자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역량 증진에 대한 대안으로 프로젝트 학습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교수자가 수업의 전반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학습자가 관련 지식이 불충분하거나 관심 주제가 아닌 경우에는 미흡한 학습 결과 및 산출물을 보이는 등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테크놀로지와 에듀테크의 발달로 프로젝트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었기에, 본 연구는 LTI(Learning Tools Interoperability) 기반인 통합 학습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의 유의미한 학습경험과 이를 위한 교수자의 효과적인 프로젝트 수업 설계 및 실천을 위하여 학습경험설계 모형 및 설계 원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의 모형 연구에 따라 설계 원리와 학습경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선행문헌 분석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초기 모형 및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두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통한 내적 타당성 검토와 현장 평가를 통한 외적 타당성 검토를 통합 학습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경험설계 모형과 설계 원리를 최종 개발하였다.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과 학습경험설계 원리에 관한 문헌을 탐색하였고, 프로젝트 학습에서 유의미한 학습경험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모형, 학습 절차를 통해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구조화하여 공통 단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통합 학습 도구와 활용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통해 효과적 사용에 대한 지원을 확인하였다. 이후 현장 경험이 있는 전문가 면담을 통해 교육 현장의 실제적 요소를 고려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 학습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중 학습경험에 초점을 둔 학습경험설계 모형 및 설계 원리의 개발로, 하위 지침, 예시 및 해설을 작성하였다. 총 12개의 설계원리와 40개의 상세지침을 개발하였다. 한편 초안의 내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교육공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전반, 단계별로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피드백을 토대로 모형의 재구조화, 설계 원리의 재구성, 세부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2차례의 내적 타당화 검토 이후, 외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B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8차시 중학교 과학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종료 후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외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경설계의 관점이 교수학습모형에도 도입되어야 한다.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교수설계의 방식에 학습경험설계의 관점을 포함하여 학습을 설계하고 바라볼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와 학습자가 겪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목표지향적이되 긍정적이고 유쾌한 경험을 설계하기 위해 디자인 이론 기반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들에게 각기 다른 학습경험의 장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었다. 동일한 수업 내에서도 학습자들은 각기 다른 학습경험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때 학습자들이 올바른 학습의 방향성과 목표를 지향하여 갈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교수자가 해야한다. 셋째, 통합 학습 도구를 활용한 설계 모형은 교수자에게 필요하며 상세 가이드라인을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 추후 학습경험설계 모형의 개발과 발전을 위하여, 학습경험설계의 고려 요소와 모형에 대한 보다 이론적인 고찰이 더욱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통합 학습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교수자가 참고할 모형으로, 프로젝트 학습 설계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설계하는 것에 초점을 둔 모형과 설계 원리로 볼 수 있다. 교수학습과정에서 다양한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할 때, 학습자의 유의미한 학습경험 설계의 관점의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is a discourse on learner competencies, requiring learners to go beyo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o the ability to use that knowledge to solve problems. Project-based learning is being tried in schools as an alternative to competency development.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difficulties for instructors to design and operate the overall class, and insufficient learning outcomes and outputs when learners have insufficient knowledge or are not interested in the topic. 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dutech, digital tools that can support project learning have been developed, so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learning experience design model and design principles for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learners in project learning using integrated learning tools based on LTI (Learning Tools Interoperability) and effective project class design and practice for instructors.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the design principles and learning experience design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study of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The initial model and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and internal validation through two expert reviews and external validation through field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finally develop the learning experience design model and design principles in project learning using integrated learning tool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e theories underlying this study were derived. First, the literature on project learning and learning experience design principles were explored, and the elements of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in project learning were derived. Second, from the project lesson model and the learning process, the common steps of the project learning model were derived. Afterward, experts with field experience were interviewed to consider practical factors 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is focused on learning experiences during project learning using integrated learning tools. A total of 12 design principles and 40 detailed guidelines were developed. Meanwhile, to ensure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draft, we conducted two validity reviews with educational engineering experts. Based on the feedback, the researcher restructured the model, reorganized the design principle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etails. After two rounds of internal validation, model was conducted an 8th grade middle school science project class to ensure external validity. After the clas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run to ensure external valid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earning design perspective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Learning needs to be designed and viewed through the lens of learning experience design in a systematic and holistic instructional design approach. In addition, we need to focus on the learner and the process they go through and use a design theory-based perspective to design goal-oriented, positive, and enjoyable experiences. Second, we were providing learners with a variety of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Even within the same class, learners were experiencing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At this point, the instructor should play the role of a facilitator so that the learners can move towards the right learning direction and goals. Third, a design model utilizing integrated learning tools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and should be accompanied by detailed guidelin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learning experience design models, mor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factors and models of learning experience design a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model for instructors to refer to in project learning using integrated learning tools, and as a model and design principles that focus on designing learners' experiences in project learning design. When utilizing various edutech too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ing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learners should be continued.

      •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정화 동아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며, 특히 고차적 인지적 능력의 함양은 실제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진정한 능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구성주의 견해에 의거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 영역의 지식 및 지적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보다 실제적 맥락에 가까운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하며, 그 효과가 아동들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이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넷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G초등학교와 부산광역시의 K초등학교에서 표집된 3학년 아동 112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수업처치로서 주제중심 통학학습과 일반학습으로 구분되며, 종속변인은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이다. 또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가 아동들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4주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주제중심 통합학습 처치는 「관계 속에서」주제에 의해 구안된 주제중심 통합학습안에 의거해 수업이 실시되었고, 일반학습 처치는 각 교과별로 분과화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중다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일반학습보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바람직한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일반학습보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도, 선호도,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바람직한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과 일반학습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여, 모든 수준의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선행학습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the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compared to that of general learning. It also looked at how this effect changes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Followings are the specific questions to be dealt with in the study. First, what effect does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hav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what effect does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have on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Third, how does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change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And fourth, how does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change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112 third graders. As for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students took classes according to relation-specific theme-base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schedules. For general learning, on the other hand, classes divided by curriculum were given to student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os of Variance(ANOVA) were used to draw statistics for analyzing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onclusion was reached as follows. First,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is more efficient than general learning in terms of improving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can become a desirable teaching method for better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Secon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learning in enhancing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Therefor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can become a desirable teaching tool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interest, preference and confidence in learning. Thir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and general learning have the same effect on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regardless of the prior learning level, and can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of children at every academic performance level. Accordingly,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regardless of the prior learning level, can effectively better every child'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 초등학교 교과의 통합학습주제 분석 : 초등학교 6학년 교과를 중심으로

        김수연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주제중심의 통합학습을 위한 통합주제 선정과 초등학교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통합주제와 관련이 있는 교과내용을 추출하는 연구이다. 통합의 필요성은 이미 많은 연구에서 입증된 바 있고,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에 꼭 필요한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통합학습을 통해 이루어 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 환경 여건, 교사의 경험 부족, 통합의 기본연구 부족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실현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교과수와 그 교과 속의 많은 반복적인 학습내용으로 인해 학습자의 부담감은 커져가고, 학습의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고자 주제중심의 통합학습에 다가갈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통합학습의 주제는 어떤 것이 적절한지 알아보고, 선정된 통합학습주제와 연관된 교과 학습내용을 추출하는 것이다. 통합학습주제 선정을 위해 우선 주제중심의 통합교육과정으로 적합한 교과로 도덕, 국어, 사회, 과학, 음악, 미술, 체육, 실과의 여덟 과목의 교과를 선정했다. 수학과와 영어과는 통합학습에 있어서 모든 통합주제에 도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통합학습에서 제외했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되어 있는 범교과학습을 바탕으로 통합주제를 선정했으며, 이때 35가지 범교과학습 주제 중 사전 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5가지 통합학습주제를 선택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 4명과 함께 6학년 1학기, 2학기 교과서 18권을 분석하여 통합학습주제와 관련지을 수 있는 교과내용을 추출하였다. 통합학습은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처럼 짜여 져 있는 교육과정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학습은 학교 환경 여건, 교실 상황, 아동실태, 교사의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통합학습수업의 방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통합학습을 위한 기초단계인 주제선정과 교과내용분석을 통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 통합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inclusive themes in pursuit of successful theme-based inclusive learning and to extract the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inclusive themes from the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 curriculum. A lot of studies have proved the importance of inclusive approach, and inclusive learning is mandatory for the acquisition of problem-solving skills that is indispensable in today's globalization, information age. Nonetheless, inclusive learning isn't yet prevailing in school education due to inadequate educational environments, a lack of experience on the side of teachers and a lack of studies on that. A large number of subjects and repeated learning put a growing strain on learners and make them lose interest in their studies. Therefore it's meant in this study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theme-based inclusive learning in an effort to remedy the situation.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e study were to check the kinds of themes suitable for elementary inclusive learning and to extract th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inclusive learning themes from the curriculum. In order to select inclusive learning themes, eight different subjects that seemed to be appropriate for theme-based inclusive learning were selected: ethics, language arts, social studies, science,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and practical arts. Mathematics and English that could function as instrumental subjects for inclusive learning irrespective of the sorts of inclusive themes were ruled out. Out of 35 pan-academic learning themes provid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five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pilot study, and 18 sixth-grade textbooks of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were analyzed by this researcher and four additional researchers to select the learning content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inclusive learning themes. Inclusive learning could be called a curriculum that is being made, not one that is already made like a typical well-structured teaching-learning method. Accordingly, inclusive learning could be actualized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school environments, classroom situations, the state of children and the experience of teachers, which could be defined as one of its benefits. So this study attempted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inclusive learning by selecting appropriate learning themes and analyzing the curriculum, which are the rudimentary stage of that learning, instead of trying to offer practical inclusive learning methods.

      •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조사연구 : 북 아트를 통한 국어과와 통합 지도방안을 중심으로

        김영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looked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ted education analysis, structure and procedure of theme-centered teaching model, and guidance cases of combined art course and korean course through book-art. Theme-centered integrated study is for improvement of integrated thinking power. Class using this study improved the accomplishment of the work when it is adapted to art. It is also proven to be effective for juvenile to express their information of ideas from education who is not used to abstract thinking built by language. Integration methods within art course and between courses are possible through various accesses, especially in book-art integrated education. It develops the purpose of the art -aesthetics, creativity, formation- and improves the educational effects on study with other courses. Art course is a flexible course which has many advantages for integration. Through integration it can stimulate student's aesthetic sensibilit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man, and maximize educational efficiency. The effects of theme-center integrated education on 'Combined Teaching Guideline of Art Course and Korean Course through Book-art' by Kim sun-a(2008) are as follows : First, contribution to an overall thinking. To make a book,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drawing, crafting, designing, writing, etc. are required.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manage information effectively on a process of presenting their thoughts related to theme and expressing them on writing and drawing. Second, confidence in expression. Sometimes students hesitate to express their thoughts or feeling on the paper because of pressure under drawing paper. However, when it comes to a book-art, the pressure is lessened and students freely express their writing and drawing on one picture with confidence. Third, synergy effect on both courses. Writing activity of korean course and expression activity of art course improves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conceptual ability, good eye for aesthetic and critical thinking in complementary relation. Fourth, formation of positive concept of art. Most students are fond of art class, but sometimes they seem to feel burden to coloring or to have hard time expressing their thoughts as they wish. However, when it comes to a work of integrated book-art, students take leading role to produce their work, complete a piece of work with their own character inside. Students participate an art activity joyfully with growing self-confidence on their complete work. Fifth, opportunity to share each other's thoughts. Students get a chance to compare their work with others, listen to friend's opinion and accept it in positive way while appreciating everyone's work in groups. In addition to these positive conclusions, there are some proposals on issues through case study and following research. First, research by Kim sun-a(2008) is targeted on 28 students which makes it hard to prove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require to practice the study on more than 100 students so that it could verify the value of book-art as a part of an art. Second, there are many related publication of making plane book-art, but study of making cubic book-art with various materials is not enough. There are needs to develop how to make cubic book-art with easily accessible materials. Third, formulate study for a book-art to be a part of an art, not as a medium of art education is required. A study of necessity and context on book-art has to be made through cases of England, which adopts book-art as education course, and other countries.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book-art corresponds with de-genre modern art trend,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middle school students, and goal of the whole man education. Moreover, the book-art activity which is making a complete book develops student's confidence, interest, concentration to help definitive area and it is the most proper medium to express integrated guidance of art course and korean cour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further research on methods of integration with various courses, integrated study methods that is suitable for student's level, and various materials and ways of expression in art course. 지금까지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주제중심 교수모델의 구성과 절차를 살펴보고, 북아트를 통한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 지도사례를 살펴보았다. 주제중심 통합 학습은 통합적 사고력의 증진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으로 미술에 적용하였을 때 작품 성취도가 높아졌으며, 언어에 의한 추상적 사고에 익숙해져 있지 않은 아동에게 학습을 통해 얻은 정보나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의 성패는 아동 스스로가 학습을 하였는지에 달려있으므로 우선 수업이 재미있어야 한다. 아동은 아동의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지도가 이루어질 때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학습에 참여하며 학습내용을 자기 동일화하는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이런 의미에서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을 적용하여 학생은 미술에 대한 흥미가 높아지고 즐거운 미술활동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미술과 교과내의 통합과 교과간의 통합방법은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고 특히 북 아트의 수업사례처럼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은 미술과의 목적인 심미성, 창의성, 조형성을 기르고 타 교과의 학습에도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미술과는 통합하기에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융통성 있는 교과이기 때문에 통합을 통해 학생들의 미적 감수성을 자극하고 전인발달에 기여하며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김선아(2008) 연구의 「북 아트를 통한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지도 방안」사례를 통해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적인 사고력이 길러진다. 한 권의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리기, 만들기, 디자인하기, 글쓰기 등 통합적인 활동이 요구된다. 주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생각을 꺼내고, 글과 이미지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둘째, 표현에 자신감을 갖게 된다. 학생들이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살펴보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는 싶지만 네모난 화지에 대한 부담감에 머뭇거리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북 아트 작품을 만들 때에는 표현 공간에 부담을 줄이고, 한 화면에 그림과 글을 자신 있게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두 교과 간의 통합학습 효과에 있어서 모두 긍정적인 상승작용이 일어난다. 국어과의 쓰기 활동과 미술과의 표현활동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미술과의 표현을 위한 발상능력 및 미적 안목의 육성과 비평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한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미술에 대한 긍정적 개념이 형성된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미술시간을 좋아하고 있지만 수업을 진행하다보면 색칠하는데 부담을 느끼고, 생각처럼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아 힘들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통합학습인 북 아트 작품을 할 때에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작품을 제작하며, 각자의 개성을 담아 나만의 책을 완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학생들은 완성된 작품에 대한 자기 만족감이 커지면서 미술활동에 즐겁게 참여하였다. 다섯째,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기회를 가진다. 작품을 만들고 나서 모둠별로 돌려 읽기를 하고 감상하는 시간을 갖는 가운데 나의 작품과 친구의 작품을 비교하기, 친구의 의견을 듣고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등 다양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결론 이외에 사례 조사를 하면서 얻은 문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선아(2008)연구는 2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북 아트의 통합지도를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증명하기 어렵다고 본다. 100명 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북 아트의 통합지도를 실시하고 검증을 하여 미술의 한 영역으로서의 북 아트의 가치에 대해 증명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종이로 만드는 평면 북 아트 제작 방법에 대한 관련서적은 많으나,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입체 북 아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입체 북 아트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북 아트가 미술교육의 매체가 되는 것이 아닌 북 아트 자체가 미술과의 한 영역으로 지도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북 아트를 교육과정으로 채택하고 있는 영국과 다른 나라의 사례를 통해 북 아트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내용 등을 연구해야 한다. 북 아트를 통한 주제중심 통합교육은 탈 장르화 되는 현대 미술의 동향과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전인교육으로서의 교육의 목표에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 권의 책을 만드는 북 아트 활동은 학생들에게 자신감, 흥미, 집중력 등을 길러주어 정의적 영역에 도움을 주며,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지도를 가장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매체이기도 하다. 앞으로 미술과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교과와의 통합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고 미술과의 다양한 표현재료와 방법을 이용한 통합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 主題 單元 中心 統合學習이 學業成就와 學習態度에 미치는 影響

        이남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위해서 통합교육과정에 의한 통합수업을 통해 주제 단원 중심 통합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H군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아동 80명이었으며, 연구 설계는 이질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로 실험집단 40명에 대하여는 통합형교육과정에 의한 통합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 40명에 대하여는 분리형교육과정에 의한 일반수업을 하였으며, 두 집단간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와 연구 겨로가 얻어진 자료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통계 처리 프로그램 SPSS 10.0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했을 때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주제 단원 중심 통합학습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I은 부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했을 때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주제 단원 중심 통합학습이 학습 태도를 개선시킬 것이라는 가설II는 긍정되었다. 셋째,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했을 때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주제 단원 중심 통합학습이 학습 동기를 유발시킬 것이라는 가설III은 긍정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주제 단원 중심 통합학습이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과 일치하여, 학습태도 개선과 학습동기 유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지속적인 주제 단원 중심 통합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자율적인 태도를 존중하며 다양한 학습활동을 촉진함으로써 점차 높은 학업성취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ffects of integra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For this study, contents of the various subjects were integrated into a thematic unit. For the experiment, 80 4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a public primary school in H-gu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as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Integrated learning method was used for one class of 40 students and traditional lesson based on subject-centered curriculum was used for another class of 40 students. Students of both classes took a pre-test and post-test to measure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test hypotheses by ANCOVA program using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in post-test of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hypothesis II "integrated learning would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rejected because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tudents'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post-test measur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Therefore, hypothesis 11 "integrated learning would improve students' learning attitude" was accepted. Third,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post-test measur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Thus, hypothesis III "integrated learning would promote students' learning attitude" was accepted. The results show that integrated learning would be very helpful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to accelerate thier learning motivation. Continuous integrated learning would be helpful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integration of the various school subjects should be based on learners' various needs, interest, and thier autonomous attitude, and thus would promote th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양은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의 목적은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가설은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전통적인 학습과 비교해 볼 때,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으로 본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정하였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위해 6학년 2학기 교육과정에서 5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다양한 교과의 지식과 경험으로 주제망을 구성하였다. 사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 5개의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2주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 후에 사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검사 도구는 Torrance의 창의성 검사에 바탕을 두고 개발된 아동 창의성 검사(CTC : Creative Test for Children) 고학년용 사전 검사지와 사후 검사지를 이용하였다(김춘일, 조용태, 2004). 이 검사지는 여러 개의 하위검사들이 모여서 하나의 종합 검사지를 이루고 있고, 검사 내용은 크게 4개의 하위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를 2개의 표현양식(언어창의성, 도형창의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있다. 창의성 검사에 관한 자료처리는 SPS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창의성의 4가지 하위 요소별 분석도 반복적인 혼합변량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에 비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성의 하위 요소 중에서 융통성과 독창성 신장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보다 융통성 있게 문제에 접근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창의성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가는 요즘 국가 수준에서 만들어진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학습자의 지적 성취도 및 정의적 특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창의성까지 신장시킨다면 학교 현장에서 1석 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에 기대를 가져보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로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존의 저학년 중심만의 통합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중·고학년 교육과정에서의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으면 한다. 셋째, 실제 학교 현장에서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와 주제중심 통합학습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 및 자료 보급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very fast and today knowledge has become useless soon, so school needs not to provide only knowledge but to improve creativity for taking a new look at things. Thus, school should teach creativ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opic-centered integration learning on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udy question was topic-integration learning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would be more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creativity, compared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formulated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opic-centered integrated learning was applied would produc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rom the control group which performed just traditional learning To verify above hypothesis,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students from Y elementary school in Pusan were selected as one experiment group and one control group. The pre-test, CTC(Creative Test for Children) was performed. Then the experiment group of 29 members was taught by topic-centered integration learning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for two weeks (30 hours). And control group of 29 members was taught by traditional learning organized by teacher's lecture. The post-test, CTC was performed for assessing students' development of creativity. Verification of increase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was done trough Mixe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flexibly, originality which are the elements of creativity. So, the hypothesis was verified positive, which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 Using topic-centered integrat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we expect that student's creativity will be developed. Through topic-centered integrated learning, students approached subjects more flexibility and displayed originality to select solutions. Future research efforts need to focus on topic-centered integration learning that could cover every area in every subject matter, and how the current separated curriculum could successfully be replaced with multiple integrated one should discreetly be studied on a long-term basis.

      •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영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실험연구를 통해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아동들의 흥미를 기초로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의 세 통합교과를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하여 학습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이 세 통합교과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분과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양 집단에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 검사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동질 집단임을 확인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양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주제중심 통합학습을 실시한 실험 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주제중심 통합 학습이 전통적인 분과적 통합학습보다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 향상에 더 우수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주제 중심 통합학습은 아동이 삶 속에 가지고 있는 흥미를 기초로 아동과 함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학습을 시킴에 따라, 아동들의 주의 집중도와 학습 만족감을 높여주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