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특성화 산업 육성에 관한 연구 : 안양지역 영상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원두환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28

        As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pursued balanced development of its each region, a regional government needs to promote a specialized industry of its own. In this study, a case study on promotion of regional industry is presented. First, to select the next generation industry of Anyang City, we conducte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City. An Inter-industry analysis and Location Quotient method were also used. In this study, multi-media contents industry has chosen one of the next-generation industry of Anyang City as it has shown relatively high relevance with the provincial government's strategy. To provide a promotion plan of multi-media contents industry, an analysis of multi-media contents industry has been provided and roles of regional government are identified. The main promotion strategy is determined as follows. 1) foundation of infrastructure, 2) promotion of professional human powers, 3) support for relevant business, 4) focus on public relations, and 5) integration of network. 참여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통한 21세기 선진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지역 특성화 산업을 발굴하여 육성하고자 하는 이른바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도 지역특성에 맞는 고부가가치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안양지역 특성에 맞는 고부가가치 전략산업을 도출하고자 우리는 안양시의 내부와 외부의 환경 분석을 하였으며 산업연관분석과 입지상계수을 사용하여 차세대성장동력산업을 종합 분석한 결과 멀티미디어 콘텐츠산업를 안양시 전략산업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산업이 전략산업으로 선정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디지털 영상콘텐츠산업의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한편 문화산업으로서 정보와 지식, 문화 등 지적 요소가 기반이 되는 대표적인 지식산업으로서 영상콘텐츠산업의 중요성과 국내 영상산업 발전을 위한 극복 과제 등을 조사해 보았다. 본 논문의 핵심인 영상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추진전략과 육성방안으로서 영상콘텐츠산업 기반구축의 시급성과 인적·물적 집적화를 통한 영상콘텐츠 중심도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산업 인프라구축, 전문인력 양성, 관련기업 지원, 영상문화조성, 통합네트워크 구축이라는 5가지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 행정개편에 따른 주민생활지원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용산구를 중심으로

        김재두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51375

        정부는 늘어나는 복지수요와 중앙정부 중심의 비효율적 전달체계를 개편하기 위하여 2006년 7월부터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제공방식으로 단계적인 행정체계 개편을 시작하였다.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라 명명된 새로운 행정체계는 과거 복지행정상의 문제를 해소 또는 완화하여 줄 것이라는 기대 하에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행정자치부는 2006년 7월 1일부터 전국 53개 시 ∙ 군 ∙ 구에서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1단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07년 1월에는 2단계로 그 범위를 전국의 시 ∙ 자치구로 확대하고, 2007년 7월 1일부터는 3단계 조직개편이 마무리되어 전국 시 ∙ 군 ∙ 구에서 전면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를 중심으로 2007년 1월 1일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시행 이후의 운영실태와 기대효과 파악, 향후 효율적인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주민생활지원서비스의 이해와 시행에 따른 복지행정환경의 변화 및 실무공무원들의 의식정도를 알아보았고, 둘째, 실제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운영실태를 바탕으로 어려움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셋째,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와 보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속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실무공무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도출을 위해서는 전문성, 통합성, 접근용이성이라는 세가지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그 이유는 우선,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기본원칙 중에서 선행연구자들이 공통된 개선기준으로서 중요시 접근했던 점, 그리고 주민생활지원서비스 개선과제와 연계시에 발전방안 도출에 용이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복지분야 인력부족문제 해소방안을, 통합성 증진을 위해서는 민관협력 네트워크로 참여복지 실현의 방안을, 마지막으로 접근용이성 향상을 위해서는 통합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주민생활지원서비스가 도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노력이 전반적으로 필요하다. 어느 한 부분만을 개선하고 발전시킨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닌 총체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이다. 주민생활지원서비스가 바람직하게 정착하여 주민들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민관협력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갖추어 참여복지를 실현함으로써, 주민의 복지체감도를 증진하고, 나아가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이루는 것이 올바른 과정이라 생각한다. 물론 이러한 복지의 완성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본 연구가 용산구와 여건이 비슷한 서울특별시 소재 타 자치구의 복지행정 개선방안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점진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발전에 다소나마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The government has started to revamp its welfare administrative system step by step and has provided a resident life supporting system since July 2006, in order to cope with increasing welfare demand and reorganize inefficient government-centered delivery system. The new administrative system called a Citizen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has been in force, expected to resolve or alleviate problems of the past welfare administration. In this context,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MOGAHA) initiated a test project to take the first step of the Citizen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Reform in 53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in July 1, 2006. MOGAHA expanded this system to all cities and autonomous districts nationwide at the second stage in January 2007. It has finalized the reorganization and enforced this system in all the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at the third stage in July 1, 200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operation status and expected results of the Citizen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which has been executed since January 1, 2007 and present innovative plans to provide efficient resident life supporting system in the future. Sample area is Yongsan-gu (district) in Seoul. To conduct this study, I examined the environment change of welfare administration and the views and attitudes of public officials since the resident life supporting service had been enforced. Second, I analyzed difficulties and problems ba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ervice. Third, I tried to come up with innovative pl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is study, I, rather than conducting a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study, adopted an empirical method that was to collect and analyze the opinions of public officials who worked with the resident life supporting system in Yongsan-gu. To get a result, I set three analytical frameworks such as professionalism, integration and accessibility because previous researchers valued and agreed on the importance of these three as improved standards among basic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It is also because the three facilitate setting up innovative plans to improve the Citizen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 presented plans 1) to solve the insufficient work force in welfare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2) to realize participating welfare through private-public cooperation network in order to enhance the integration, 3)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 in order to facilitate accessibility. General efforts of each area are required to achieve goals of the Citizen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 other words, overall improvement is necessary, which means focusing on development of any one part cannot solve the problems. When the Citizen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settles down in a desirable way, providing necessary service to residents, and participating welfare is realized through private-public cooperation network,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will be improv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complete such a welfare system. I believe this study may help improving the welfare administration of other districts in Seoul whose situations are similar to Yongsan-gu’s. I also hope that this study may gradual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 local autonomous ent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