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인한 지역의 변화 : 울산광역시 울주군 구영. 천상 지구를 중심으로

        한금자 울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도시개발사업(구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지역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울주군 범서읍에 위치한 구영지구와 천상지구를 대상으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법규와 시행절차, 사업시행인가부터 청산까지의 일반적인 방법과 절차 등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두 지구의 구획정리사업 시행인가부터 환지계획(처분)인가에 이르는 과정과 절차를 비교ㆍ분석하고 사업 전과 후의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개선책과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토지구획정리사업 운영을 평가하고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지향해야 할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천상지구는 구영지구보다 1년이 앞선 1991년에 시행인가를 받았고 1992년 12월에 환지계획(예정지)인가를 받았으나, 수탁 시행사와 시공사들의 부도가 잇달았고,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외곽에 들어선 공동주택들로 인해 진입도로 확장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된 법적 문제로 아직도 환지계획(처분)인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구영지구는 환지처분 후 등기까지 모든 업무가 완료된 상태이나 소송으로 인하여 아직 조합이 해산되지 않고 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모든 업무를 대행하는 수탁 시행사의 사익으로 인한 무분별한 기성 신청과 고의적인 공사지연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여 지주와 조합, 시행사 간의 불신과 반목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정책적 개선방안으로 조합에서는 임원들의 전문적인 지식을 위한 끊임없는 교육을 실시하며 전문성을 갖춘 직원을 채용함으로써 사업에 관한 모든 업무를 외부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시행사의 업무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기술적인 문제, 적정한 공사비 산정 등을 감시할 수 있음으로 과다한 기성으로 인한 사업비의 증감등 기타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소지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이에 대한 집중적인 정책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도시계획법 제12조의 규정에 의하여 도시계획구역 안에서만 시행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천상지구의 경우 천상 구획정리사업지구를 설계할 당시에는 일반주택지로의 기능만을 예상한 지구설계였으나 지가의 상승을 위하여 도로를 폐지하여 공동 주택지로 바뀌었다. 행정상의 문제점은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대한 담당자의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사업지구 외곽의 무분별한 공동주택 건립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지를 예상하지 못한채 무분별하게 건축허가가 이루어진점이다. 관련 법규의 맹점을 이용한 ‘무임승차’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토지구획정리사업은 도시건설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개선 외에도 지가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며 기존의 지가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도시개발사업이라는 점에서 계획이나 설계하는데 있어서 이 사업에 의한 지가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반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지가라는 사회ㆍ경제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지역개발 차원에서 사업의 범위가 결정되어야 하고 개발의 이익이 지역 내에 균등하게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토지구획정리 사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해당자의 사업추진능력을 배양하고 조합장과 조합 임직원들의 전문적인 지식습득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도 필요하다. 토지구획정리사업 비용의 적기조달을 위해 기성 처리 후의 조기 매각에 대한 사무규정을 제정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관련 법규를 정비하여 토지구획정리사업의 실제적 시행을 중시하여 사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고, 이해 관계자들도 전문화를 위해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한 만큼 자치단체의 자구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이 국토개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문제와 그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한 진지한 정책적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향후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정책적인 발전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by the land subdivision project. In this thesis, Guyoung and Chonsang districts located at Ulju county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the objects to be studied. And then the full processes were arranged about the land subdivision as regulations and procedures. Also, analyzed the processes and procedures from the land clearance to the replotting of the land subdivision of two districts, and compared the first with the last of the land subdivision. Through this study, by deducing problems of the managements and evaluation of land subdivision, tried to suggest and grope for the new directions of the land subdivision. Deduced results are as below through the research. Chonsang district got the official permission on 1991 and the replotting scheme permission at December 1992 prior to Guyoung a year. But it couldn't have the permission for replotting scheme until now, for there are the legal problems caused by the side effects, as like the bankrupt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in trust, and enlargement of the entrance road for large-scale unexpecting housing complex in the outskirts of the land subdivision. Guyoung finished every processes including the registration but the land subdivision association still exist, for the legal steps between the land owners. The intentional delay and indiscreet petition for resolution to seek private interests of the companies in trust and constructing which preside all works with deputy about the land subdivision are causing problems and making results of the distrust and the antipathy among the land owners, associations, companies.

      • 도시개발법상 체비지의 법적 성질에 관한 연구

        이수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47

        Abstract Study on the “Land for Project Cost” Under the Urban Development Law Lee Sooahn School of Law, Public Administrative Law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A chebiji or “Land for Project Cost” refers to a land for disposal designated within the project area to cover the project cost of a land readjustment project or an urban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the replotting method.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former (now abolished) 「Land Readjustment Project Act」 in 1966, Land for Project Cost has been used for nearly 60 years as the main means of financing project costs for land readjustment projects and replotting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is allowed the project owner to sell the Land for Project Cost once the site planned for replotting was designated, even before the project owner acquired the ownership of the land through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land for replotting (hereinafter a “Replotting Disposition”). Being able to sell the Land for Project Cost before the Replotting Disposition meant that the Land for Project Cost could be sold solely based on the right of disposition granted by designation of the planned site for replotting without even owning the Land for Project Cost. This meant that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hereinafter the “Purchaser”) could not exercise the ownership of the land until he or she acquired the ownership of the land at some point after the Replotting Disposition. The former(now abolished) 「Land Readjustment Project Act」 did not provide specific regulations regarding the Purchaser’s rights concerning the Land for Project Cost before the Replotting Disposition.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ct」 also did not provide how (i.e., the specific procedures) and when the Purchaser acquires the ownership of the land. At the time, it was common practice to build large-scale apartment complex on the Land for Project Cost, sell the apartment units, and complete the move-in before the Purchaser acquired the ownership of the land through a Replotting Disposition. In the 1970s, when addressing the demand for housing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was a priority, it was even encouraged to build large-scale multi-unit housing complex on a Land for Project Cost and move in the purchaser of the apartment units into the apartments as soon as possible. Eventually, in 1988, the Supreme Court embraced the existing practice and confirmed that the rights exercised by the Purchaser of a Land for Project Cost until he or she acquired the ownership of the land were similar to property rights. Starting with the above Supreme Court decision that recognized de facto property rights of the Purchaser, the court consistently recognized such rights of the Purchaser. As a result, the practice of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in development projects exercising rights equivalent to ownership by actively using the such land even before acquiring its ownership became further stabilized and established. With the enactment of the「Urban Development Act」 in 2000, Article 42(5) of the same stipulated that, if the Land for Project Cost is sold before the Replotting Disposition, the Purchaser would acquire its ownership only after receiving the registration of transfer of ownership after the Replotting Disposition. Due to the above new regulations, questions began to be raised as to whether the rights held by the Purchaser under the former (now abolished) 「Land Readjustment Project Act」 until he or she acquired the ownership of the land would no longer be recognized under the newly enacted 「Urban Development Act」. As in land readjustment projects, it is still common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the replotting method to maintain the practice of constructing new apartments and completing the sale of apartments before the Purchaser acquires the ownership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While the Supreme Court has yet to decide on the legal status of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under Article 42(5) of the 「Urban Development Act」, the lower courts have been divided to those recognizing and those refusing to recognize the Purchaser’s property rights. The main reason for the confusion regarding the legal status of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under Article 42(5) of the 「Urban Development Act」 is the lack of clear definition of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s granted to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This is why, more than 20 years after the enactment of the 「Urban Development Act」, the debate continues as to whether or not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possesses property rights under the current law. This study intends to elucidate the legal nature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by reviewing the following step-by-step: the functions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jects that make use of resettlement method utilizing the Land for Project Cost, and the nature of the rights of the project owner and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First, the Land for Project Cost serves as a means of financing project costs and allows the landowners of the project area to receive development benefits without leaving the project area.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design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which determines the location and area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perty rights of the landowners,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 discretion of the project owner from the replotting design stage so that the property rights of the landowners are not infringed due to the excessive allocation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In addition, the right to use and profit from the Land for Project Cost acquired by the project owner should be limited to that of managing the land. Lastly, whether the right of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is a property right or merely a claim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or an interpretation of the development project system. On this issue,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it is desirable to design a system so that the Purchaser of the Land for Project Cost is granted rights similar to property rights and the Purchaser can acquire the Land for Project Cost before Replotting Disposition. 체비지(替費地)는 토지구획정리사업과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에서 사업비에 충당하기 위하여 사업구역 내에 설정하는 처분용 토지이다. 체비지는 1966년에 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에서 처음으로 법률상의 제도로 도입한 이래 60년 가까이 토지구획정리사업과 환지방식의 도시개발사업의 주요 사업비 조달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위 법률들은 환지예정지 지정이 이루어지면 사업시행자가 환지처분으로 체비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이라도 체비지를 조기에 매각할 수 있게 허용하였고, 사업시행자는 조기에 사업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법률이 허용하는 가장 빠른 시기에 체비지를 매각하고자 하였다. 사업시행자가 환지처분 전에 체비지를 매각한다는 것은 체비지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에 환지예정지 지정으로 부여받은 처분권에만 근거하여 체비지를 처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체비지를 매수한 자도 환지처분 후의 어느 시점에 체비지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까지는 체비지 소유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된다. 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은 체비지 양수인이 환지처분 전까지 취득하는 체비지에 대한 권리의 내용이 무엇인지, 체비지 양수인이 체비지 소유권을 취득하는 절차와 시점에 대해서 구체적인 규율을 하지 않았다. 당시 개발사업 실무는 체비지 양수인이 체비지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하는 환지처분 전이라도 체비지 지상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고 이를 분양하는 것은 물론 입주까지 마치는 것이 일상적이었다.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주택 수요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였던 1970년대에는 오히려 체비지에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를 신축하여 빠른 시일 안에 수분양자들을 아파트에 입주시킬 것이 장려되기도 하였다. 결국 대법원은 1988년에 이르러 기존의 실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체비지 양수인이 체비지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까지 행사하는 권리가 물권 유사의 권리임을 확인하였다. 체비지 양수인에게 물권 유사의 권리를 인정한 위 대법원 판결을 필두로 하여 법원은 일관되게 체비지 양수인에게 물권적 지위를 인정하였고, 체비지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에 체비지에 대한 적극적 사용권을 행사하여 소유권에 준하는 권리를 행사하던 개발사업 실무는 더욱 강고해졌다. 2000년에 「도시개발법」이 제정되면서 제42조 제5항에 환지처분 전에 체비지가 매각된 때에는 체비지 양수인이 환지처분 이후 소유권이전등기를 받아야만 소유권을 취득한다는 규정이 신설되었다. 위 규정으로 인해 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하에서 체비지 양수인이 체비지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까지 체비지 양수인에게 인정되던 물권 유사의 권리는 「도시개발법」하에서 더 이상 인정될 수 없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환지방식에 의한 도시개발사업 실무에서는 토지구획정리사업 시절과 마찬가지로 체비지 양수인이 체비지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부터 아파트를 신축하여 분양을 마치고 수분양자가 입주하는 관행이 유지되는 등, 「도시개발법」 제42조 제5항에 크게 반응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도시개발법」 제42조 제5항에 따른 체비지 양수인의 법적 지위에 관한 대법원 판결이 아직까지 선고되지 않은 상황에서 하급심 판결은 체비지 양수인에게 더 이상 물권적 권리가 인정되기 어렵다는 입장과 여전히 물권적 권리가 인정된다는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 「도시개발법」 제42조 제5항으로 인해 체비지 양수인의 법적 지위에 관한 혼란이 야기된 결정적인 이유는, 체비지 양수인에게 부여된 권리의 법적 성질이 명확히 구명(究明)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재정착방식 개발사업과 체비지의 관계, 사업시행자가 환지예정지 지정으로 취득하는 사용・수익권의 내용 및 위 권리와 체비지 양수인의 체비지에 대한 권리 사이의 관계, 체비지 양수인이 체비지에 대한 물권 유사의 권리에 기초하여 할 수 있는 체비지 처분행위의 구체적 내용 등에 대한 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시개발법」이 제정된 지 20년이 넘은 현 시점에서도 현행법하에서 체비지 양수인에게 물권적 지위를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체비지의 법적 성질을 체비지의 기능, 체비지를 활용하는 재정착방식 개발사업의 특징, 체비지에 대한 사업시행자와 체비지 양수인의 권리의 성격 등에 관한 순차적인 검토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먼저, 체비지는 사업비 조달을 위한 수단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토지소유자들이 사업구역에서 이탈하지 않고 개발이익을 향유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 동시에 체비지의 위치와 면적을 확정하는 체비지 설계는 사업구역 내의 토지소유자의 재산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체비지의 과도한 책정으로 토지소유자의 재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환지설계 단계에서 사업시행자의 재량을 사전에 통제할 규범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환지예정지 지정으로 사업시행자가 취득하는 체비지에 대한 사용・수익권은 체비지 관리행위에 수반되는 사용・수익을 할 권리에 한정되고, 체비지 지상에 건축물을 신축할 권리 등 체비지에 대한 적극적인 사용권은 포함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사업시행자가 환지처분 전에 체비지를 매각하면 체비지 양수인이 취득하는 권리를 채권적으로 구성할지 물권적으로 구성할지 여부는 입법정책 내지 개발사업 제도 해석의 문제이다. 위 두 견해의 법리적 근거와 당위성을 살펴보더라도, 환지처분 전이라도 체비지 양수인에게 물권 유사의 권리가 인정되고 체비지 양수인이 체비지를 원시취득하도록 제도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서울 1960-70년대 도시계획에서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의미

        김진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0747

        국문초록 서울 1960~70년대 도시계획에서「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의미 1974년, 서울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시행하기 전에 마스터플랜 성격의 「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이하,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물리적 환경 조성에 있어서 토지구획정리사업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업 후의 개발 모습까지 입체적으로 구상하였는데 10만명 이상을 수용하는 도시규모에서 도시설계적 차원의 도시계획을 종합적으로 다룬 것은 이 계획이 처음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잠실지구 종합계획을 해방 후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난 중요한 도시계획의 하나로 보고 계획을 수립한 배경, 계획이 물리적 환경에 가져온 결과, 그리고 도시계획에 가져온 의미, 후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구하여 당면했던 도시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고 도시계획에 의해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만들어갔는지 실증적으로 분석, 1960~70년대 도시계획의 질적 발전을 알아보는 것이다. 1960~70년대에 주목하는 이유는 경제성장으로 인한 급속한 도시화로 물리적 환경이 많은 변화를 겪게 되면서 도시를 인식하는 태도와 방법에 큰 변동이 일어난 시기이기 때문이다. 또한, 해방 이후, 우리가 스스로 도시문제를 인식․접근하면서 1962년 도시계획법 제정을 시작으로 현재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의 근간을 만들어가는 시기였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1960~70년대 서울의 도시문제와 과제에 대응하는 도시계획적 시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도시문제를 인식하는 태도와 방법이 달라지면서 서울의 물리적 환경을 실질적으로 어떻게 만들어갔는지 알아보고 잠실지구 종합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서울의 주요 도시개발계획 사례를 선정하여 계획적 측면에서 잠실지구 종합계획과 비교를 통해 계획 내용의 질적 발전이 이루어졌는지 도시계획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물리적 환경의 계획 방식이 단순히 택지공급 중심의 평면적인 계획에서 종합적․입체적인 계획으로 바뀌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사례로는 역촌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67), 동부이촌동 공유수면매립사업(68), 영동2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71), 여의도종합개발계획(71)을 선정하였다. 1960~70년대 서울 도시문제 인식 및 도시계획 대응 과정을 분석한 결과, 잠실지구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된 시대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70년대 들어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국내에서는 조경을 도시계획에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시가지의 양적인 확장보다는 주거환경의 질에 대한 관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시민들도 경제성장에 의해 생활수준이 점차 향상되면서 주거환경의 질 향상을 위한 계획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한 한편, 1960년대 학술적 기반을 바탕으로 1970년대에는 정식으로 교육받은 도시계획 전문가가 직접 도시계획에 참여하여 도시설계 논리 및 기법을 실제로 적용, 발전시키는 시기였다. 더욱이, 제6회 아시아경기대회(68년 개최권 반납)로 인해 국가적으로 그 전과는 다른 이상적인 현대도시를 만들어 국제적으로 국가의 위상을 향상시키려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물리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토지구획정리사업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였고 그 대안으로 잠실지구에서는 질 높은 도시환경 조성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이에 따라 사업을 시행하게 된 것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잠실지구 계획과 주요 도시개발계획 사례의 계획 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1960~70년대 서울 도시계획에서 잠실지구 종합계획이 갖는 도시계획적 의미는 크게 6가지로 도출되었다. 1) 잠실지구는 도시계획 차원에서 질 높은 도시환경의 조성을 목표로 종합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업수단으로 적용하였다. 도로 개설 및 대지 조성 등의 토목 위주 사업에 의존한 도시조성의 흐름을 계획 중심의 도시조성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사례로 이후, 도시계획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종합계획 이후, 영동아파트지구종합개발계획(76), 가락지구개발기본계획(81), 개포지구도시개발기본계획(81) 등의 계획 행위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환지로 인한 계획의 제약이 많았기 때문에 1980년대는 토지매수에 의한 택지개발사업이 시가지 개발의 주요 수단이 되나 이 과정 속에서 잠실지구의 종합계획 수립은 하나의 계기적 성격을 지닌다. 2)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여 고밀도․중밀도․저밀도 주거용지, 중심업무지구, 호수공원, 종합운동장, 강변녹지 등으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자유로운 토지이용 배분은 공유수면매립에 의해 형성된 대규모 택지를 집단체비지로 확보하고 비(飛)환지를 적용했기에 가능했지만 결과적으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충분한 공공용지를 확보하는 등 토지구획정리사업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다. 도시계획 과정에서 토지이용계획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토지이용계획이 없는 채 용도지역에 의해 토지이용을 관리하는 당시의 상황 속에서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을 바탕으로 물리적 환경을 형성하고 용도지역을 지정하면서 계획적인 토지이용의 관리가 가능하였다. 3) 잠실지구는 집단체비지를 적용하여 고․중밀도 주거용지에는 주공아파트 단지 건설에 의해 대규모 단지형 공동주거지를 형성하였고 중심업무지구에는 계획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통합 계획 및 개발에 의해 면형 중심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 즉, 수퍼블록형 개발이 집단체비지에 의해 가능했던 것이다. 집단체비지는 자유로운 토지배분 및 토지의 고도이용이 불가능한 구획정리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계획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잠실지구는 집단체비지 개념이 보편화되기 전, 실제적으로 적용되어 개발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집단체비지 제도화, 아파트지구 도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면적인 중심상업지 개념이 들어오는데 영향을 미쳤다. 4) 잠실지구 계획에서는 부도심 조성을 목표로 중심업무지구 계획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이를 향한 방사상과 환상으로 도로를 배치하여 중심성을 확보하였다. 도시형태를 통해 도시기능을 강화하려는 의도였다. 중심업무지구에 대규모 업무기능을 중점적으로 확보하고 주변 세력권을 포함한 직주근접을 실현하여 일종의 자족기능을 갖는 신시가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격자형 도로망 형성과 주거지 중심의 시가지 확장에만 치우친 기존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도시기능 및 형태적 측면의 새로운 계획적 시도였다. 잠실지구는 결국, 1978년에 부도심으로 선정되었고 1990년 도시기본계획까지 이어졌으며 도시계획을 통해 부도심 조성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종합계획 자체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5) 잠실지구는 토지이용계획 단계에서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공공시설의 면적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공공용지는 전체 면적의 41%로 대부분 20~30%대를 유지하던 이전 사업지구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종전, 빨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인구밀도를 고려하지 않고 확보하기 쉬운 위치에 공공용지를 배분하고 학교, 공원, 시장에 국한하여 최소한의 공공시설을 배치하는 방식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1960년대에 비해 1970년대 사업지구의 공공용지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바, 이는 도시화에 따른 주택지 수급을 위해 양적인 개발에 치우쳐 있는 1960년대 도시개발의 흐름과 비교할 때, 주거환경의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질적인 개발로 전환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것이 잘 드러난 선도적 사례가 잠실지구이기에 그 계획적 의미는 더 크다. 6) 잠실지구는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원녹지용지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고 건물의 배치, 형태, 규모 등에 대한 설계 개념을 제시하여 개발 후의 모습까지 미리 구상하는 입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졌다. 종전, 기반시설 계획과 대지 조성 중심의 평면적인 계획에서 물리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입체적 공간 질서를 찾아가는 행위였다. 잠실지구 종합계획은 그전까지 도시설계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사례가 없었다는 점, 설계 수준 및 내용이 현재와 같은 발전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 1970년대 물리적 환경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도시계획으로 구현되었다는 점, 1980년 도시설계가 제도화되기 전에 도시설계적 접근이 이미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도시계획적 의미가 있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stablished Jamsil Comprehensive Master Plan in 1974 and it was planned prior to land readjustment project.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image of the city designed multi-dimensionally after the development despite the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It dealt with urban planning comprehensively in terms of urban design in the scale over 100,000 peopl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planning in the 1960~70s regarding Jamsil plan as a significant urban planning since liberation(1945) focusing on how they dealt with urban problems and made built-environment based on urban planning. The reason why I focus on the 1960s~70s urban planning is that there were big changes in the manner cognizing the city and there was rapid urbanization by economic growth. Furthermore, it was the time to make the basis of urban planning and urban design through approaching the urban problems by ourselves beginning with legislating Urban Planning Law in 1962 since liberation(1945). The research methods are divided into two ways. Firstly, I analyze attempts of urban planning responding urban problems in the 1960~70s. I look into how they make built-environment of Seoul with changing the way cognizing urban problems and find out the process rising the necessity of planning in Jamsil district. Secondly, I figure out the meaning of urban planning whether there were qualitative developments of Jamsil plan through comparing it with other plans. I selected Yeokchon land readjustment project(67), Dongbuichon-dong tidal reclamation project(68), Yeong-dong2 land readjustment project(71) and Yeouido masterplan(71) as major cases. I analyze the process empirically transforming the two-dimensional planning into the multi-dimensional plann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gnition of urban problems and response of urban planning in the 1960~70s, the background of Jamsil plan is as follows.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ity has been changed in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built-environment as the concept of landscape was applied to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concerns grew worldwide. People started feeling the necessity of planning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as the standards of living became better by economic growth. Meanwhile, it was the time that educated professionals were involved in urban planning directly and they applied and developed the planning methods in the 1970s based on an academical foundation in the 1960s. Due to the 6th Asian games, social atmosphere for enhancing the nation’s position was created and the government wanted to make the modernized city. The planners realized the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making built-environment. Therefore, master plan for Jamsil district was planned for constructing a qualitative environment prior to land readjustment project. As the result of comparing Jam-sil plan with other major plans, implications of Jamsil plan in the 1960~70s are as follows. 1) Jamsil plan was devised in advance for making high-quality built-environment in terms of urban planning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 was applied as the means of realizing the plan. It was the turning point that the flow of urban planning depending on civil engineering has been changed into the urban planning focusing on plans. It became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urban planning since then, because a lot of plans were devised in other district. Land readjustment project by replotting had a lot of limitations in planning. So, it changed into land development project by land purchase in the 1980s. In this process of change, Jamsil plan ha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2) Through land use planning, Jamsil district was devided into the high density․medium density․low density residential area, central business area, lake, sports complex, openspace along the river and was tried to construct built-environment according to land use. It was possible to overcome limitations in planning by applying collective land parcel and replotting moved to other place, so that it could use land effectively and secure enough public spac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d use planning in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it was possible to manage land use intentionally applying zoning system after forming phys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land use planning. 3) The concept of collective land parcel was applied to Jamsil plan, which enabled to create a large-scale apartment in the high-density residential area and an areal center by an integrative plan in the central business area. That was the super-block development. The collective land parcel was the means for overcoming limitation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gaining flexibility of planning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distribute land use freely and efficiently. It affec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llective land parcel, enforcement of apartment district and the introduction of an areal center concept. 4) There are new attempts in order to make Jamsil as a sub-center by planning a large business district with the street pattern of radial-concentricity. That intended to reinforce functions through a street pattern. It was different from existing schemes concentrating on planning the grid street pattern and residential area. It especially placed emphasis on securing a large business function in central business area constructing a self-sufficient new town based on approaching jobs-to-work. Thanks to the Jamsil plan, Jamsil had been a sub-center from 1978 to 1990. 5) The percentage of public spaces in Jamsil was accounted for 41% of total area. That was very high in comparison with 20% to 30% accounted in existing districts because the area of public spaces was calculated by population density in the process of land use planning.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from existing schemes distributing a minimum of public spaces(i.e. school, park, market) not considering population density where they could secure easily. The ratio of public spaces in the 1970s was higher than that of public spaces in the 1960s. It was the time to change in qualitative development for an improvement of built-environment in the 1970s compared to quantitative development for the supply of housing land in the 1960s. Jamsil plan was meaningful as a leading case in the context of this change. 6) The image of the city was designed multi-dimensionally after the development by applying the design concept about building arrangement, form and scale. It was the planning to transform two-dimensional planning focusing on infrastructure and housing-site into multi-dimensional plann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built-environment. Master plan for Jamsil district was meaningful in that there weren't any cases approaching in terms of urban design before. The design standards was very progressive and urban planning gave body to the interest in qualitative built-environment in the 1970s. Urban design was already applied before being institutionalized.

      • 서울외곽 이주단지 내 도시주거 형성과 변화 : 신월6동 ‘짝꿍집’ 사례를 중심으로

        안화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35

        The main study area of this study,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and the 'Jjankgung-Jip(paired houses)' built in the complex are unique examples of other residential areas outskirts of Seoul as well as other migrant settlements constructed in the 1960s and 1970s. There is a research value in history of urban formation and residence in the outskirts of Seoul.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many farmers and war refugees had gathered in Seoul. and Since the 1950s, a large number of unauthorized houses had been densely populated in government owned land and forest land. So, in order to improved the urban environment, the Seoul Government had been pushing for the removal of unauthorized houses in the mid-1950s. Therefore, the Seoul Government had implemented ‘new settlement project for immigrant’ to settled settlements by relocating immigrants who were forcibly removed from the 1960s.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was constructed as part of the ‘new settlement project for immigrant’ on the outskirts of Seoul. And the ‘new settlement project for immigrant’ was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way. In the early 1960s, 2-6 row houses of 4 pyeong for immigrant was built in Dobong-dong, Guro-dong, and Sanggye-dong. In the mid-1960s, a group settlement was constructed in the area of Sadang-dong, Bongcheon-dong, and Sillim-dong. And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expanded in 1968, settlement areas were set up in Sanggye-dong, Machon-dong and Geoyeo-dong boundary areas of Seoul. however, Despite this policy, the number of unauthorized housing in the city's downtown in the 1960s had steadily increased. In 1967, the Seoul Government constructed an unauthorized housing realization plan, and since 1968, it has begun full-scale unauthorized housing improvement. The plan was to build and accommodate civic apartments in unauthorized residential are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Gwangju big city as a satellite city near Seoul, and to nurture it with local improvements. However, the unauthorized home improvement project of Seoul city will seek a new direction through the collapse of Wow civic apartment in April, 1970 and the riot of Gwangju big city in August, 1970. Since then, the Seoul Government had announced plans to constructed a new settlement in the suburbs of Seoul, which had not been developed yet in 1971, and had found a way to construct a settlement in the area of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Since 1972, the settlement of migrants had been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1972, Shinjeong 1 and 2 complexes and Sinwol 1 complexes were constructed in Gyeongin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In 1973, Sinwol 6-dongs were newly constructed. And in 1973, as a result of the announcement of “The Temporary Measures for Promotion of Housing Improvement”, unauthorized residential areas in Seoul were designated as redevelopment districts and redeveloped into multi-family houses or apartments until the early 1990s. So the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became the last settlement built as part of the Seoul city policy. The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was forme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other settlements constructed by Seoul policy from the mid-1960s to the early '70s. Settlements built in the mid-1960s distributed land to migrants on the basis of about 7.5 pyeong (5m × 5m). And In the early 1970s, the settlements established by the land readjustment distributed to the settlers based on the minimum 27 pyeong of the 'Building Low'. But The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invites immigrants to build a house in the form of a left-right coalition, with 15 pyeong divided into 30 pyeong half. In this way, the residence style of the 'Jjankgung-Jip(paired houses)', which links the left and right houses with each other, was created autonomous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yeongin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1982, the land was imposed on the migrants. So The form of the 'Jjankgung-Jip(paired houses)' with the left and right houses built on one site formed a framework of solid ownership, that is common ownership of the land and joint ownership or separate ownership of the buildings. The solid land and building ownership frame of the 'Jjankgung-Jip(paired houses)' also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Jjankgung-Jip(paired houses)'. As a result, it became the basis for making a unique residential area that can not be seen in other residential areas. The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will be completely dismantled in May 2017, and it will not be seen anymore. It will be remembered only as a history of urban formation and residence in the outskirts of Seoul.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was constructed in the outskirts of Seoul with a rural village in the 1970s. And as the surrounding area has been developed as a residential area, the people have settled down as ordinary residential areas that can live in the city. And after 45 years, The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had been transformed into a new residential area as a unit of redevelopment. The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is an example of the formation and destruction of the city outskirs of Seoul and the process of new generation. Most of the migration complexes that were constructed in the 1960s and 1970s have formed a level of Seoul city formation as the unit of development and the boundary of urban change in the outskirs of Seoul. However, The Sinwol 6-dong migration complex shows various architectural changes that did not appear in other immigration complexes. This shows that it is worthy to be summarized as an example of the outskirts of the Seoul that has adapted to the various urban and social changes, rather than merely migration complex. 본 논문은 서울 도시 및 주거사의 주요 연구 범주에서 벗어나 있는 서울외곽의 이주단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던 서울 도심 무허가주거지의 철거와 정비는 서울외곽으로의 도시 및 주거지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이후 우리도시에 대한 연구적 가치가 정립되지 못한 상태에서 서울의 빠른 도시변화와 확장은 도시에서 다양한 주거지들과 삶의 모습들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도시에 대한 성찰과 다양한 도시·건축기록의 가치를 지지하며, 신월6동 이주단지가 뉴타운재개발로 사라지기 직적인 2016년 2월-8월 도시·건축조사를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1973년 경인토지구획정시사업지구 내 조성되었던 신월6동 이주단지를 대상으로, 그 당시 형성되었던 이주단지들 뿐만 아니라 서울외곽의 다른 주거지들에서 볼 수 없는 신월6동 이주단지의 특이성을 만들어 내고 있는 도시주거 ’짝꿍집‘의 형태특성과 변화를 살펴보고, 신월6동 이주단지와 ’짝꿍집‘이 서울 도시형성사 및 주거사에 있어서 어떠한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신월6동 이주단지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도심의 국공유지에 빼곡히 형성되었던 무허가주택들을 정비하기 위한 재정착지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 재정착지조성사업은 1960년대 초반 도봉동, 구로동, 상계동 일대에 4평 정도의 2-6호 연립형 철거민주택들을 건축하여 공급하던 방식에서 1960년대 중반 사당동, 봉천동, 신림동 일대의 임야지에 집단정착지를 조성하는 방식과, 1968년 서울시역이 확장되면서 서울의 경계지역인 상계동과 마천동, 거여동 일대의 국공유지에 한터(5m×5m)인 약 7.5평을 기준으로 이주민들에게 땅을 나누어 주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주정책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도심의 무허가주택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이에 서울시는 1967년 무허가주택 현실화 계획을 수립하고 1968년부터 본격적인 무허가주택 정비사업을 추진하던 중, 1970년 4월 와우시민아파트 붕괴사건과 그해 8월 광주대단지 폭동사건 등이 발생하였고, 이에 서울시의 무허가 주택정시사업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었다. 서울시는 1971년 아직 개발되지 않은 서울 변두리에 새정착지를 조성할 계획을 발표하고 서울외곽 토지구획정리사업과 연계하여 이주단지를 조성할 방안을 찾았다. 그리하여 경인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1972년에 신정1,2단지 신월1단지가 조성되었고 1973년 4월에 추가로 신월2단지(신월6동 이주단지)가 조성되었다. 그리고 이후 1973년 ’주택개량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발표되면서 서울 시내 무허가주거지들은 재개발지구로 지정이 되어, 신월6동 이주단지는 1960년대부터 이어오던 서울외곽지역의 이주정착지 조성의 종착지(終着地)가 되었다. 그러나 특이한 것은 신정1,2단지와 신월1단지는 당시 건축최소면적인 27평으로 분할하여 이주민들에 주었는데, 신월2단지(신월6동 이주단지)는 30평으로 구획되어, 그 반을 다시 나눈 15평씩을 이주민들에 주었다. 그리고 당시 행정은 30평의 좌, 우에 건축되는 집들이 짝을 짓는 ’짝꿍집‘의 형태로 건축하도록 하였는데, 이런 토지구획의 도시계획적 틀은 이후 토지와 건축물의 소유방식으로 더욱 견고하게 자리 잡게 하였다. 이러한 견고한 ’짝꿍집‘의 틀은 신월6동 이주단지가 서울외곽의 다른 주거지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주거지의 모습으로 전개하게 만들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형성배경을 가지고 있는 신원6동의 특이성을 밝히기 위해 신월6동 이주단지 내 총 492개의 필지가운데 좌, 우의 집들이 분리된 건축형태인 단지집 279개의 필지를 대상으로 건축형태, 건축시기, 건축변화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이중 좌, 우가 같은 시기 또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건축되어 가운데 마당을 두고 서로 관계를 맺으며 건축된 ’짝꿍집‘은 98필지, ’짝꿍집‘이 아니지만 ’짝꿍집‘과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집이 28필지, 맞벽집의 형태로 가운데 벽과 지붕을 공유하고 있는 집이 15필지, 연립집의 형태로 좌, 우의 집이 같은 건축형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집이 21필지, 그리고 15평의 건축대지에 다른 시기와 다른 형태로 건축된 따로집이 117필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짝꿍집‘ 98필지에 대하여 건축형태 변화양상과 토지소유방식 등을 세밀하게 다시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짝꿍집‘들은 토지는 공동소유의 방식이며, 건축물은 공동소유의 방식 또는 분리등기 소유방식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공동소유가 아닌 경우는 90년대 초 대부분 30평의 다가구주택으로 신축 되었고, 공동소유의 집들과 분리등기 소유의 집들은 다양한 변화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중 형태가 유지된 집이 12필지, 입면의 형태는 그대로 이고 평면 개보수만이 진행된 집이 25필지, 평면과 입면이 모두 개수된 집이 18필지, 지붕과 평면, 입면 등이 모두 개보수 된 집이 8필지, 지붕층이 증축된 집이 5필지, 2층 이상으로 전층이 증축된 집이 3필지, 좌, 우가 분리된 다가구주택형태의 ’짝꿍집‘으로 신축된 집이 13필지, 30평으로 통합된 다가구주택형태로 신축된 집이 14필지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짝꿍집‘의 틀의 유지와 그 속에서의 다양한 건축형태로의 변화·적응은 토지의 구획과 건축대지의 분할 방식에 의한 토지 및 건축물의 소유방식이 견고하게 지켜져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견고한 틀 속에서 주민들의 자율적인 건축과 민간 건축업자들에 의한 ’짝꿍집‘의 다양한 건축적 구현은 신월6동 이주단지만의 독특한 건축문화가 형성되게 하였다. 신월6동 이주단지는 1970년대 논과 밭의 농촌마을이 있는 서울외곽지역에 이주단지가 조성 되었고, 이 이주단지는 주변지역이 주거지로 개발되면서 서민들이 도시에서 살아갈 수 있는 서민주거지로 정착하였다. 그리고 45년이 지나 주변지역과 다르게 구별되어진 신월6동 이주단지는 다시 재개발의 단위가 되어 새로운 주거지의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다. 신월6동 이주단지는 이러한 서울외곽지역의 도시생성과 적응·변화, 소멸, 그리고 새로운 생성의 도시형성과정의 단편(斷片)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60-70년대 조성되었던 대부분의 이주단지들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울외곽지역 도시변화의 경계와 개발의 단위로서 서울도시형성의 한 층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신월6동 이주단지는 다른 이주단지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다양한 건축형태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신월6동 이주단지가 단순한 이주단지로서가 아닌 다양한 도시⋅사회적 변화를 받아들이며 적응해 온 서울외곽 도시주거지의 한 사례임을 보여준다. 신월6동 이주단지가 지난 2017년 5월에 전면 철거가 진행되어 연속해서 관련연구를 진행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본 연구가 서울외곽의 다른 주거지들에 대한 관련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이러한 지역기반의 다양한 서울외곽 주거지들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換地方式에 의한 都市開發事業의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始興市 事例를 中心으로

        김천기 建國大學校 不動産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734

        Our country's city capital region and a manufacturing town grew as great including Seoul according to successful propulsion of the early 1960s enforced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population increased rapidly. Excessive concentration of urban population causes the land for housing tribe and caused problem with rise of since is and rise of house price. In this way, systematic city development project relationship necessity rose according as urban population increases rapidly and city develops. Because it takes the 60s that beginning of our country urban development can talk as land division arrangement business enforced partially in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past but systematic city development project is established, possess systematic caliber and regularized by Town Planning and Zoning Act becomes legalization. Technique of our country urban development until now can divide by next 4 cases, land readjustment projects, redevelopment business, residential development business, land for housing development work. Land readjustment projects took charge star of our country city development work during last half a century but the late 70s sudden since as that residential development by public management development way is achieved according as rise and real estate jealousy problem are risen socially enforcement of land readjustment projects control and previous land adjustment business law abolished because is assimilated in copper process by enactment of new urban development law in 2001. But, it may be difficult that even if this law abolished, there is been business enforcement itself of such development way and local government's finance independence of such development way is abolished perfectly in feeble actuality forward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s may be enforced continuously by new urban development art. Business that land readjustment projects country and local government, land owner etc. enforces becoming business subject and land owner shares not that country or local government shares development expense indeed and road in the business earth, share most of business at the same time that land owner shares paper of institution such as the park as land, area of land secured by the authorities in recompense of development outlay and remainder land business that do sketching paper according to schedule standard be. Therefore, land readjustment projects is advantage that can plan wholesome development of city by such way and promise full equipment of Methodist city and reasonable transfer of an appropriation in the budget of land and qualitative elevation of city environment and realignment of urban district through promotion of city function. Land adjustment business present condition of present our country as 684 areas, 526,636,000㎡ by late 1997s standard land of 28.8% of our country residing and business session by land adjustment business law business completed or is enforcing. That such large-scale business trial consists is because financial condition should depend urban development to land readjustment projects in actuality of feeble our country. Therefore, purpose of this research analyzes effect and problem that land readjustment projects gets in City of Siheung urban development should be supplemented according to sex age, and present improvement way so that at the same time land readjustment projects may be realistic as technique of urban development and becomes logical plan. Proved effect that land readjustment projects gets in City of Siheung urban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rough analysis. As appeared in City of Siheung relationship case study, financial condition can know that land readjustment projects is taking charge very important role in city development being means of attractive urban development in poor medium and small local government's case. But, at enforcement process, plan, system, problem of use were outcropped, but because reasonable development of land continues, it is important subject that must seek, and between because also development of city presupposes stable land supply and urban development country and local government, business enforcement person, land owner between by sympathy is formed business enforcement for urban development constructively accomplish may. Also, had much case that post urban planning institution again according to increase of actuality flowed in population scale after business enforcement arranging institution park, school etc. by land adjustment business law regulation by population size that predict when establish plan of operation. When details plan is not included, it is true that building of imbalance that injure fine view of city by plan that emphasize aspect supply enemy of land independently with construction plan built dizzily. Therefore, land readjustment projects to now be land development quantitative extension of land for housing supply and plane enemy of infra structure expansion putting first. But, forward land readjustment projects need to make up land for housing, and promote public welfare, and supply infra structure in suitable time studying plan for balanced urban development, and make up agreeable city environment in environment friendly aspect that continuance is possible that do not destroy natural environment with raise of land utilization. To conclusion, land readjustment projects was means of city development work to contribute much our country and urban development of City of Siheung. For front, urba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nforcement operation that have planning by suitable division and this of land can be big subject. Therefore, land readjustment projects may become excellent urban development method if correspond and fit at real that plan is not uniformity enemy in period that change fast and system is supplemented so that plan of land readjustment projects that can rescue special quality of area maximum may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