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국 현지 중등학생 대상 한국 설 명절 문화의 교육 방안 연구

        노하나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태국 현지 중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바람직한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설계하는 일환으로 한국의 설 명절 풍속을 교육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의 설 명절과 태국의 ‘송크란’의 풍속을 비교하여 두 명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태국 현지 중등학교에서 사용률이 가장 높은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교재에 수록된 설 명절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한 뒤, 양국의 설 명절 풍속 비교 결과와 한국어 교재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설 명절 관련 주요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장한업(2020)에서 제안한 상호문화교육 6단계를 본 연구에서는 설 명절 문화의 상호문화교육 4단계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이 단계에 맞춰 실제적인 설 명절 교육 방안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태국 현지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 및 설 명절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한 태국 현지 중등학생 대상의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기존의 연구를 살피며 태국 현지 중등학생 대상의 설 명절 문화교육에 대해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과 태국의 설날과 송크란 풍속의 특징을 복식문화, 음식문화, 생활문화, 놀이문화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한국과 태국의 설날과 송크란의 복식문화를 비교한 결과, 두 나라 모두 새해에 묵은 것을 버리고 새롭게 출발을 한다는 의미로, 명절을 맞아 새해를 맞이하는 기쁨으로 새 옷이나 깨끗한 옷을 입는다. 양국의 설 명절 음식문화에 대해 비교한 결과, 한국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떡국을 먹고 태국에서는 주로 국수의 한 종류인 카놈찐 남야를 먹는다. 한국과 태국의 설 명절 생활문화의 특징으로 한국에서는 세배하기, 세뱃돈, 덕담 등이 있으며 태국은 관불의식, 물 맞이, 모래탑쌓기, 새나 물고기 방생하기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설 명절 놀이문화에 대해 비교한 결과, 한국 설날의 놀이문화는 윷놀이, 연날리기, 널뛰기 등이며 태국 송크란의 놀이문화는 싸바 놀이, 물 뿌리기, 낭 송크란 선발대회 등이 있다. 3장에서는 교재분석을 통하여 현재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과 빈도가 높은 설 명절에 관한 교육 내용,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태국 현지 중등학교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재 속 설 명절 문화교육 내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태국 현지 중등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수업 방안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설 명절 문화에 대한 모습을 보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문화자료를 제시한다. 둘째,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설 명절과 관련한 어휘와 문법은 토픽 초급(2급)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 넷째, 설 명절 풍속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4장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태국 현지 중등학교의 한국어 학습상황을 고려하여 장한업(2020)이 제안한 ‘상호문화교육 6단계’ 과정을 채택하여 설 명절 문화의 상호문화교육 4단계로 재구성하였다. 1단계는 목표문화 이해 단계, 2단계는 상호문화 이해 단계, 3단계는 목표문화 경험 단계, 4단계는 내면화 단계로 각 단계에 맞춰 한국어 능력 초급 상 수준의 태국 중등학생을 대상의 설 명절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 중등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 증대됨에 따라 태국 중등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의 설 명절 문화를 태국의 송크란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설 명절 문화교육 방안을 논의하였다. 태국 문화교육에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태국 중등학교 학습자들은 한국문화교육을 비교문화적 방법으로 학습하길 희망하므로 본 연구는 태국 중등학교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수·학습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과 태국의 세시풍속에 대해 비교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 화행 연구

        수파펀 분룽 이화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어의 요청 화행과 태국어의 요청 화행을 비교하여 기술하고 둘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요청행위를 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모어 즉, 태국어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며,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은 한국인과 태국인의 요청화행 중에 어느 쪽을 선호하는지, 또한 요청할 때 변인에 따라 요청 전략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며 선행연구 내용을 검토하였다. 최근까지 태국어와 한국어를 비교하는 연구에서 제한된 연구만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화용론적 연구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으며,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용론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외국인 요청 화행 연구는 영어 학습자와 일본어 학습자에 한정되어 있고 다른 외국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으므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화용론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한 것으로 첫째 화행 이론, 둘째 요청 화행의 개념, 셋째 요청 화행의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본실험의 적절한 요청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의 상황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본실험에 앞서 예비실험을 하였다. 예비실험의 결과를 통해 분석 틀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본실험에서는 결과 분석의 방법을 제시한 12개의 상황별 분석을 하였다. 상황별로 한국인, 태국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세 집단이 사용한 예비요청 전략, 본요청 전략 그리고 마무리 전략이 어떤 전략인지를 분석하고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 본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이를 위해 우선 전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황별 각 집단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즉 부담도, 친밀도와 상대적 지위에 따라 각 집단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각 집단의 예비요청 전략, 본요청 전략 그리고 마무리 전략의 사용 양상에 대한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본고의 각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한국인과 태국인의 요청 화행 실현 양상의 비교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살펴보았다. 태국인은 한국인보다 예비요청 없이 바로 본요청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통해 태국인은 한국인보다 더 직접적으로 요청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한국인과 태국인은 설문지를 모국어로 작성했기 때문에 사용하는 본요청 전략이 다양하였으며 각 전략에서의 비율은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태국인은 요청화행에서 청자의 체면이 손상되는 것을 피하는 방법이나 부담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예비요청 전략을 사용하는 것보다 마무리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태국인은 한국인보다 더 직접적인 요청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는 한국인과 태국인의 요청화행 전략 중에 어느 쪽을 사용하는지,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예비요청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보다 태국인과 사용한 전략이 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도 태국인과 같이 예비요청 없이 바로 본요청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통해 한국인보다 더 직접적으로 요청함을 알 수 있었다. 본요청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이나 태국인 어느 쪽에도 가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본요청 전략 5인 '명시적 요청하기'의 '-어/아 주세요'를 꽤 높은 비율로 선호하였다. 또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문형을 많이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배운 문형을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다양한 맥락 속에서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문형을 사용하는 것보다 학습자 자신에게 익숙한 문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마무리에서는 전반적으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보다 태국인 쪽에 가까운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세 집단이 요청을 할 때 요청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부담도가 얼마나 되는지, 부담도가 전략 사용 양상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세 집단이 모두 상활별로 비슷한 정도의 부담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청을 할 때 부담도가 전략 사용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친밀도와 상대적 지위의 변인이 전략 사용 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연구 문제에서는 세 집단이 요청 화행을 수행할 때 화자와 청자 사이의 친밀도와 각각의 상대적 지위 차이에 따라 요청 전략이 어떻게 다른지를 고찰하였다. 세 집단의 연구 결과, 친밀도와 상대적 지위의 변인에 따라 전략 사용 양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보다 태국인과 비슷하게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요청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친밀도의 유무에 상관없이 본요청 전략 5인 '명시적 요청하기'의 '-어/아 주세요'만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국어 영향보다 익숙한 문형이나 안전한 문형만을 선택하고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상대적 지위의 변인에 따른 경우 한국인은 청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비요청 전략을 2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한국인은 태국인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보다 상대적 지위가 높은 청자에게 더 간접적으로 요청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먼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요청 행위를 할 때 모국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전략에서도 태국인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인과 비슷한 화용 능력 역시 학습할 필요가 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화용 능력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어가 사용되는 상황이 교재에서 제시되어야 한다. 본고의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외국인 학습자에게 문법이나 문장 구조만 교육시킨다면 학습자는 다양한 맥락 속에서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재에서 다양한 발화 맥락을 다루어야 한다. 끝으로, 태국인 한국어 교사들에게도 화행에 대한 지식을 알릴 필요가 있다. 아무리 발화 맥락을 다룬 교재가 있다 하더라도 교사가 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학습자에게 발화 상황에 따른 표현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태국에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학습자도 증가하고 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사용 방법이 교육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에서도 실질적인 화행 교육 방안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a Korean request speech act with a Thai request speech act and analyzes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m.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1) whether Thai Korean learners (TKLs) ar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Thai, in case when they commit a request act in Korean, (2) whose speech act the TKLs prefer between Korean and Thai, and (3) how the request strategies differs according to factors when a request is mad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Ⅰ describ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proposes research questions along with literature reviews. Limited studies have been made by comparing a Thai and a Korean language up to now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have been no pragmatic studies for the TKL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studies on a foreign request speech act are usually limited to English speaking Korean learners or Japanese Korean learners and no other study on other foreign learner has been made, so the necessity for a pragmatic study, which is actually able to helpful to the TKLs, is also explained. Chapter Ⅱ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a speech act theory, the concept of request speech act, and the strategy of a request speech act. Chapter Ⅲ made a situational investigation using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o set suitable request situations related to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A pilot test was carried out with such a result before making the experiment and a framework of analysis was gener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ilot test. In the experiment, 12 situational analyses were carried out proposing analysis methods. Participants of three groups, Korean native speakers (KNSs), Thai native speakers (TNSs), the TKLs took the DCT to be analyzed their pre-request strategy, request strategy and ending strategy and compared among three groups. Chapter Ⅳ discusses abou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The holistic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followed by each analysis for groups in respective situations. Additionally, analyses of each group were made in accordance with factors, that is, a burden degree, familiarity and relational position. Through the study result, it is possible to find the features of the use aspect of the pre-request strategy, request strategy and ending strategy of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respectiv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a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quest speech act realization aspect of the KNSs and the TNSs i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re were many cases which the TNSs made a request without a pre-request, which suggests that the TNSs make a request more directly than the KNSs. Because, in this study, the KNSs and the TNSs were prepared questionnaires in their native languages, the request strategies were found very diversely and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the ratio of each strategy. Also, it was found that the TNSs used the ending strategy more than the pre-request strategy as a method of avoiding the face threatening or reducing burden of the listener.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e TNSs make a direct request more than the KNSs do. Secondly, the research question examines which strategy of the request speech act the TKLs use more like to between the KNSs and the TNSs. In the pre-request, it was revealed that the TKLs used more strategies with the TNSs than with the KNSs. The TKLs, in most cases, made a direct request without a pre-request similar to the TNSs, which shows they made a direct request more than the KNSs. In the request, it was found that the TKLs were not close to neither of the KNSs nor the TNSs. the TKLs preferred ‘-어/아 주세요’ of ‘making an explicit request’, the Request Strategy 5, in a very high rat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even though the TKLs learned plenty of Korean sentence patterns, they have less abilities to actually use the learned sentence patterns and are not able to suitably use them under a wide variety of contexts. Meanwhile, TKLs were using the sentence patterns familiar to himself more than suitable sentence patterns according to a situation and it shows that the TKLs usually preferred strategies close to the TNSs to one close to the KNSs in the ending request. Thirdly, the burden degree is examined by the aspect of a requester and it is verified how the burden degree affects on the strategy when three groups make a request. It was found that three groups were feeling a similar burden degree, and the familiarity and the factor of relative position influenced a strategy use aspect more than a burden degree does. Finally, it is verified how different the strategies by each group are according to familiarity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and each relative position when three groups performs a request speech act. As a study result of three groups, it was found that a strategy use asp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familiarity and a factor of relative position. It was found that the TKLs usually used a strategy similarly with the TNSs more than the KNSs. In the request, it was found that The TKLs, regardless of existence of familiarity, used most only ‘-어/아 주세요’ of ‘making an explicit request’, the Request Strategy 5.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at the TNSs select and use familiar or safe sentence patterns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Accordingly, with the factor of relative position, the KNSs, in most cases, used two and more pre-request strategies to reduce the burden of a listener than the TNSs and the TKLs did, which seems to be because that the KNSs make a request to the listener with a higher position more indirectly. Chapter Ⅴ discusses suggestions for Korean teaching for Thai Korean learner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KLs used a strategy closer to the TNSs than the KNSs when making a request in Korean, because they wer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Therefore, the TKLs need to learn implication ability similar that of a Korean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Secondly, the situation in which Korean is used must be proposed to teach the TKLs implication abilit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foreign learners can not use suitable expressions in various contexts when they are educated in only grammar or sentence structure, so it is necessary that a textbook should deal with a variety of utterance contexts to prevent that. Finally, it needs to inform a Korean-teaching teacher of knowledge of a speech act, because, even though there is any textbook which dealt with utterance contexts, if a teacher can not understand them, the teacher is not able to effectively deliver expressions according to utterance situations to a learner. As interest in Korean and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has been increasing in Thailand recently, it is also increased, the necessity for teaching the TKLs how to use Korean in the contexts correct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a speech act are proposed for more pedagog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 태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SINGHADECH PUTITA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태국인 노동자를 위한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최근 태국의 한국어 교육을 보면 학습자 수요층의 다양화로 인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목적이 일반 목적에서 특수 목적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으로 그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 공인 시험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 이는 취업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및 교포들에게 국가 공인 시험이 취업에 필수적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아시아 외국인 노동자는 그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자국의 문화와는 전혀 다른 한국 사회에서 그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의사소통 문제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고 있다. 한국어 사용이 원활하지 못한 외국인 노동자들은 작업 수행 시 한국어 실력 부족으로 고용주의 지시를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거나 심지어 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태국인 노동자들은 30년 전부터 한국에 와서 취업 활동을 해 왔는데 2004년부터 취업 요건이 까다로워졌다. 즉,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 우선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이하 EPS-TOPIK)에 합격해야 하고 한국에 노동 인력으로 입국하기 전에 한국고용센터의 교육기관에서 45시간 동안 한국어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용허가제 사전취업교육(NCS)의 교재가 일반 태국인들이 배우기에는 교육 시간이 턱 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때문에 태국 노동자들이 한국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태국인 노동자의 요구를 결정하는 데 관여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고 이들을 통해  학습기관, 목표, 사용활 평가 도구 등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게 돤다고 하며 요구분석을 교육과정 내내 진행되는 과정이라고 제안하였다. 한국어 논문을 탐구하여 한국어 교육과정 논문을 연구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항 개발에 맞는 설계 모형을 세워 단계별로 모형 개발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 구인 및 문항 유형 설정 단계, (2)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의 내용 설정 단계, (3) 태국인 노동자의 요구 조사 단계, (4) 태국인 노동자의 요구 분석 단계, (5) 분석 내용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단계이다. 이러한 연구 단계에 따라 태국인 노동자 88 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한국 일상생활 및 작업생활 등을 조사하여 태국인 노동자에게 꼭 필요한 일상생활과 작업생활 및 문화 의사소통 제목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 일상생활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1. 인사 및 말하기 2. 쇼핑 및 식당 3. 우체국 및 은행 4. 대중교통 5. 병원 및 약국 6. 기숙사 생활 제목으로 내용이 있고, 직장생활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7. 휴가 및 회식 8. 직장 업무 9. 보험 및 근로계약을 주제로 하였다.    다음으로, 중요한 조사의 내용에 따라서 문제를 요약하고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태국인 노동자의 의사소통에 대한 문제를 논하여 사회적 지지의 개념, 유형, 생활적응 및 직장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였다. 문제는 다시 정리하고 실제 교육과정 방법으로 개발하였다. 정리 내용은 교재 개정판에 의해 제작된 문항을 유형 출제의도, 주제 언어기능, 난이도를 높이는 요소로 구성한 구성 표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표준화 된 요구 분석을 통한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한 유수정(2008)의 전략 모델을 다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에서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는 직장 목적을 위해 교육과정의 점에서 단점을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교육기관에서 시행 중인 한국어 교육을 받고 있는 태국인 노동자들 중에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에 대한 의사소통은 단일 교육에 의한 등급제 교육으로 각 수의 정확한 숙달도를 평가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태국인 노동자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마련한다는 논의에서 시작하여 초급-중급1에 맞는 평가 범주, 문항, 숙달도 기준 내용 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이유는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이 숙달도 평가임에도 불구하고 성취도 평가에 적합한 선다형 문항이 출제되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어휘․문법 영역에서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 아닌 단순한 문법적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이 자주 출제되고 대부분 의사소통적인 문맥 속에서 의사소통을 평가하고 있어 실제성이 낮은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국인 노동자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문항 검증과 태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문항 검토를 실시한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된 문항을 제시하였다. 이들 문항은 태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문항 난이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초급 수준에서도 쉬운 문항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이들 문항의 단어를 빈도수가 낮은 어휘로 바꾸어서 난이도를 조정하고자 했다. 문항 난이도 조정과 함께 문항 지시어를 수정하였으며 태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공통적으로 문항 지시어를 초급-중급 수준으로 쉽게 문장으로 의사소통 전달할 수 있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문항 지시어를 더 다듬고 간단한 한국어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한편 태국인 노동자의 일상생활 밀 직장생활에서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과정에 대한 앱기반 교재는 대규모로 실시되는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보완하므로 이러한 형식으로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태국인 노동자를 위한 교육과정 도구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 자료를 모으고 문항을 수정․보완해서 신임할 만한 교육과정 도구를 구축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veryday life and work life for Thai workers. Recently, in the case of Thai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Korean is increasing from the general purpose to the Korean education as the special purpose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demand for the learners. Particularly, there is a high interest in nationally recognized tests because it seems that nationally recognized tests are essential for employment for foreigners and Korean students studying Korean for employment purpose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number of Asian foreign workers who want to work in Korea is increasing each year, they still have difficulty in Korean society,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ir own culture, and especially communication problem is the biggest difficulty. Foreign workers who are not fluent in Korean often misunderstand the directions of their employers due to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in their work, which may result in low productivity or even accidents. Thai workers have been working in Korea 30 years ago, and since 2004, the requirements for employment have become more difficult.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work in Korea, you must pass the EPS-TOPIK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get 45 hours of Korean education at the Korea Employment Center before entering Korea.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NCS) textbooks are insufficient for general Thai people to lear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t can effectively learn in an appropriate training time so that Thai workers can easily adapt to daily life and work life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I mentioned that I can be involved in deciding the needs of Thai workers. Through these, I can collect information on learning institutions, goals and evaluation tools, We will study Korean thesis papers by exploring Korean 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sign model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tems and to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step by step. The research steps are as follows. (1) Curriculum job placement and item type setting step, (2) Korean contents setting stage for foreign workers, (3) Survey stage of Thai workers' needs, (4) analysis of the needs of Thai workers, and (5) development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se research steps, 88 Thai workers were surveyed on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in Korean, daily life in Korea and working life, and analyzed daily life, working life and cultural communication topics necessary for Thai workers. The composi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communication skills for everyday life in Korea 1. Personnel and speaking 2. Shopping and restaurants 3. Post offices and banks 4. Public transportation 5. Hospitals and pharmacies 6. Dormitory life Contents are contents, 7. Vacation and dinner 8. Workplace 9. Insurance and labor contract. Next, the questions were summarized and question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important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es the issue of communication of Thai workers and discusses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type, adaptation to life and the effect on work-life adaptation. The problem was rearranged and developed by the actual curriculum method. The contents of the theorem can be said that the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the textbook revision is composed of the intention of the typed essay, the topic language function, and the difficulty level. The Curriculum is one of the indispensable factor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e have already revised the strategic model of Yoo, Soo - Jung(2008) to study the desig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vocational purposes through the analysis of standardized needs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ers.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to be done to some degree, but it can be said that it has disadvantages in terms of th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e work. In addition, among the Thai workers who are already receiving Korean education alread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communication about daily life and work life is not enough to evaluate the exact mastery of each number by the single - level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valuation criteria, questions, and standards for beginner-intermediate level, starting from the discussion of preparing an evaluation system to develop curriculum for Thai worker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shows that the multiple choice items suitable for the achievement evaluation are being submitted even though it is a proficiency evaluation. Also, in the area of vocabulary and grammar, questions that evaluate simple grammatical knowledge rather than questions to evaluate communication ability.

      • 태국 진출 해외 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 분석 : 설빙 사례를 중심으로

        쑤완 위란다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예전부터 태국에서 인기가 많은 디저트는 토스트, 크레페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요즘 가장 반응이 뜨거운 디저트는 몇년 전부터 태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의 ‘빙수’이다. 요즘 태국 시장에 반응이 가장 뜨거운 빙수 프랜차이즈는 바로 설빙이라는 한국 브랜드이다. 태국에서 판매하는 설빙의 빙수 가격은 한국과 비슷한 정도로 태국 국민들의 평균소득을 고려했을 때 고가이다. 한 메뉴당의 판매가는 250~400바트 (7,500~12,000원)정도이다. 보통 태국 사람의 식사 한 끼는 40~50바트 (1,200~1,500원)이고 최저 임금은 하루에 300바트 (10,000원)이다. 그만큼 설빙의 가격이 태국인들에게 아주 비싸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 소비자들이 줄을 서서 사 먹을 정도로 반응이 아주 좋고 성공적이다. 빙수류의 디저트는 태국에 오래전부터 태국 사람들에게 전통 과자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설빙이 태국에 진출하기 전까지는 전통 디저트의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설빙이 태국에 진출하고 나서 빙수의 이미지가 바뀌었다. 원래 길거리에서 팔리던 디저트에서 고급 디저트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현재태국 빙수 시장이 레드오션이 되면서 설빙을 포함해서 많은 빙수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그러므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설빙이 어떻게 짧은 시간 안에 태국 빙수 시장의 선두 주자가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설빙을 소비하는 태국 소비자의 행동, 2)태국 소비자의 개인 정보 요소(personal factors)와 태국 소비자의 설빙 구매행동의 관계, 3)설빙의 마케팅 믹스 요인 (marketing mix factors)과 태국 소비자의 설빙 구매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이며 1회 사례연구이다. 설문지를 통해 400명의 표본을 조사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SPSS Statistics V.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술 통계방법으로 평균, 빈도분석, 그리고 백분율을 구하며 태국 소비자의 개인 정보 요소와 태국 소비자의 설빙 구매행동의 관계, 설빙의 마케팅 믹스 요인과 태국 소비자의 설빙 구매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과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응답자는 여성이며 63.2%의 비중을 가지고 연령은 20대가 57.3%으로 제일 많았으며 학력은 대졸이 92.5%이었다. 대부분 직업은 회사원이 49.3%으로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의 월 소득은 20,000~30,000바트가 42.5%의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응답자는 30.8%으로 주변인에게 설빙을 알게 되었으며 32.0%의 응답자가 주로 15.00~18.00 시에 설빙 가맹점에 방무하는 것이다. 제일 좋아하는 메뉴는 망고치즈설빙이 28.3%이고 생딸기설빙이 25.3%을 순으로 나타났다. 한 번에 소비지출은 500~1,000 바트가 49.5%으로 가장 많았다. 설빙을 선호하는 이유는 맛있음이 56.3%이고 고품질의 재료가 17.3%을 순으로 나타났다. 94.5%의 응답자가 나중에도 설빙을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설빙의 마케팅 믹스 요인의 평균적인 척도는 ‘중요함’ 이다. 넷째, 다른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 소득의 소비자의 개인 정보 요소는 모두 다 설빙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상관 관계가 있다. 다섯째, 설빙의 마케팅 믹스 요인과 설빙 소비 회수는 유의확률이 0.05수준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주차장, 고객님 대접하는 데 직원의 수가 충분함, 직원의 서비스가 균일함, 가맹점의 디자인과 정식이 세련됨, 그리고 가맹점이 깨끗함과는 상관없다. 여섯째, 설빙의 마케팅 믹스 요인과 동행인 수는 유의확률이 0.05수준에서 가격 요인과 동행인 수는 편균적으로 높은 관계가 있지만 다른 요인과는 상관없다. 일곱째, 설빙의 마케팅 믹스 요인과 설빙 소비지출은 유의확률이 0.05수준에서 가격 요인과 설빙 소비지출은 편균적으로 비교적 높은 관계가 있지만 다른 요인과는 상관없다.

      • 태국에서의 동반자 선교에 관한 연구

        최승근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선교에 있어서 협력이 강조 된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이미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에서부터 선교에서만이라도 협력과 연합, 일치를 가지고 사역하자는 선교사들의 열망은 뜨거웠다.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선교현장에서는 동반자로서 서로를 인정하고 동등한 자세로 선교를 협력하는 일이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아마도 주께서 우리에게 ‘서로 사랑하라.’ 말씀하실 때, 그 당위성과 고귀함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지만,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은 매우 적은 것과 비슷한 경우가 아닐까 싶다. 그만큼 선교에 있어서 동반자 선교를 통한 선교협력은 고귀하고 가치가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1장에서 동반자 선교에 대한 연구의 배경과 연구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해서 밝혔고, 제2장에서는 동반자 선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동반자 선교의 정의와 그 정의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 그리고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동반자 선교의 근거로는 성경적인 근거, 즉 삼위일체이시며 서로 완전하게 동역하시는 하나님에게서 그 원형을 살펴보았고, 인간과 함께 일하시는 하나님이 제시하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지체의식과 신구약에 나타난 협력의 예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신학적 근거, 상황적 근거를 차례를 살펴보아 우리시대에 동반자 선교가 여전히 중요하고 시대적인 요청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2장에서는 동반자 선교의 유형들과 발전단계, 방법론이 어떤 것이 있는가를 고찰하였고, 동반자 선교가 진행될 때 발생되는 긴장 요소들과 어려움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동반자 선교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 필수적인 자세 등은 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태국기독교단과 총회태국현지선교사회 사이의 동반자 선교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제3장에서는 태국기독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위해서 태국 기독교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여기서 태국 기독교가 가지는 다양한 특징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태국기독교를 구성하는 중심교단이며 현재 총회태국현지선교사회와 50년이 넘게 동역을 해온 태국기독교단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동반자 선교의 역사, 현황 등을 살펴봄으로써, 동반자 선교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발전하여 왔고, 현재는 어떠한 사역들과 선교적 과정을 통해서 동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총회태국현지선교사회는 동역교단과 함께, 에큐메니칼 협력사역, 교회개척사역, 교육사역, 신학교 및 신학생 양성 사역, 사회복지사역, 목회자 및 평신도 지도자 육성 사역, 디아스포라 한인사역, 세계선교와 인접국가 선교사역 등 다양한 선교사역을 펼쳐나가며 동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사역의 수요제기와 발전의 단계에서 오랜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현지교단과 밀접한 사역을 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장에서는 위에 살펴본 협력교단과의 동반자 선교를 제2장에서 살펴보았던 이론과 방법론에 비추어 평가를 시도하여보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현지선교사회와 현지교단 간의 바람직한 동반자 선교를 위한 제안들을 하였다. 우리는 서구교회의 경험을 우리의 것으로 받아들여서 우리의 선교적 실수를 줄이고, 장점들을 활성화하여 세계선교의 주역으로서 이 시대를 섬겨야 할 것이다. 우리는 지난 서구선교의 역사 속에 나타났던 다양한 선교적 실수들과 극복해야할 선교의 양태들인 교파주의 선교, 제국주의 선교, 개교회 중심주의 선교, 성장지상주의 선교, 개종주의 선교, 경쟁주의적 선교, 물량주의 선교들을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선교가 반복되지 않도록 우리는 경계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바른 선교가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동반자 선교는 이 시대에도 우리에게 주어진 매우 값진 선교적 도전이요, 실천의 테마이다. 더욱이 선교사의 구분이 없이 세계가 함께 선교사로 헌신하여야하고, 선교지의 구분이 없이 모든 지역이 선교지가 되어버린 범세계화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의 선교는 필연적으로 서로 동역하는 동반자 선교를 지향하여야 한다. 지난 200년 동안 지구상에 교회가 세워지지 않은 나라는 없다. 그 교회들은 하나님의 교회이기에 가난하고 부한 교회는 있을지 모르지만 진짜교회와 가짜교회는 없다.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교회로서 지체이며, 한 몸이다. 이제 이전에는 없었던 상황을 우리는 맞이하였다. 우리들의 세계는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세계가 하나가 되고, 정보가 네크워크를 통해서 물같이 흐르고, 인종들이 함께 공존하기 위해서 협력하고, 세계가 다극화되며, 문화들이 융화되고, 지식이 교류하는 시대이며, 생존을 위해서 지구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며, 세계를 하나의 생명으로 이해하는 환경의식이 강화되는 시대인 것이다. 교회관도 선교에 대한 생각도, 서구교회와 2/3세계교회간의 구분과 역할도 변하고 있는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한 몸인 세계교회는 이제 우리에게 주어진 변하지 않는 명령을 따라,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사랑을 따라서 급변하는 세계를 함께 섬겨야 한다. 전통적으로 선교지라고 생각되어온 나라들의 교회들이 전하는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저들은 서구와의 협력을 통해 절감했던 의견들을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이제 일방적인 가르침은 그만 되었다고, 이제 일방적인 주는 것으로는 만족할 수 없다고, 이제 우리 함께 동역하고 친구가 되어달라고 말하는 저들의 외침에 우리는 겸손히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우리는 동반자 선교가 이 시대에 필요하고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함을 인식하며 이 연구를 함께 하였다. 현지선교사회와 현지교단간의 선교적 협력의 구체적인 예도 살펴보고 연구하였으며 더 발전적인 모델을 세워보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로 바람직한 동반자 선교를 위한 10가지 제안을 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태국선교에도 자성과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욱이 다른 선교지에서도 더 많은, 더 다양한 동반자 선교의 모델들이 세워지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우리가 살펴보았던 동반자 선교의 방법 및 자세들이 현장에서 잘 적용되기를 희망한다. 동반자 선교는 그동안 경쟁적이며 교회확장, 교파확장의 전략 속에서 급격하게 성장한 한국교회 세계선교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 동반자 선교가 한국교회의 대표적인 선교전략이 되도록 우리 모두가 힘써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선교전략이 세대와 세대를 이어서 지속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행정적, 전략적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선교는 한세대의 과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동반자 선교의 영역과 분야가 매우 다양한데 이 논문에서는 그중 일부만을 연구하여 제안할 수밖에 없는 한계도 있음을 알고 있다. 더 발전적인 동반자 선교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다룬 현지선교사회와 현지교단 간의 동반자 선교 외에도 현장 선교사 또는 선교단체들 간의 협력, 한국내 교회 혹은 교단 간의 협력, 한국교회와 선교단체들과의 협력, 현장 선교사와 지역사회의 현지인들 간의 협력, 교단선교부와 선교단체들 간의 협력, 한국선교단체들과 서양선교단체 그리고 현지교단간의 다자간 협력, 민족교회 공동체간의 협력, 세계선교를 위한 다국적 팀으로서의 협력, 세계교회들 간의 협력 등이 연구되기를 바라며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감사 화행에 대한 연구

        Apitchaya Boonrin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Thais who learn Korean with a command of intermediate to advanced Korean proficiency perform speech acts of gratitude. It focuses on a contrastive study concerning the speech acts of gratitude by groups of native Koreans (KNSs), Korean-illiterate native Thais (TNSs), and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TKLs) in the given situation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s and necessity of the study, presents research problems, as well as reviews previous studies on gratitude speech acts. Chapter 2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ratitude speech acts and strategies of expressing gratitude in Korean and Thai. Chapter 3 provides the participants' information and describes the process and details of developing a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and presents the analysis methods. Chapter 4 discusses and analyzes the results collected through the DCT based on factors including group, situation, social status, degree of familiarity, size of imposition, and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results are which was illustrated in this chapter as follows: Firstly, TKLs shows similarities with both KNSs and TNSs; however, they did not use indirect thanking strategies as a support move for expressing gratitude as much as KNSs. TKLs generally tended to express their gratitude using their interlanguage in Korean contexts which showed influence from their first language. Secondly, social status and degree of familiarity did not have great influences on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strategies. However, KNSs tended to use more direct strategies with a promise to repay the benefactors. While TNSs and TKLs tended to use more direct strategies without any promises. Lastly, Intermediate TKLs overwhelmingly used more direct strategies which are assumably influenced by their first language. Advanced TKLs used various indirect thanking strategies, yet there was a difference in frequency when compared to KNSs. Finally, Chapter 5 presents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Up to the present, there are no studies related to expressing gratitude in Korean by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is hoped to be a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Thai learners.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감사 화행을 분석한 연구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모어 화자, 태국어 모어 화자의 감사 화행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감사 화행을 도출하는 상황을 설정하여 세 집단의 감사 화행 유형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장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문제 및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는 크게 한국어의 감사 화행에 관한 연구와 태국어의 감사 화행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한 것으로 감사 화행의 개념, 한국어와 태국어의 감사 화행의 전략 유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본 논문의 연구 대상, 조사 도구로 삼은 기입식 담화 완성형 테스트 (Discourse Completion Test)의 작성 과정과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담화 완성형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집단별, 상황별, 사회적 변인별, 숙달도별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감사 화행 전략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다른 두 집단의 감사 화행의 사용 성향을 동시에 띠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나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처럼 직접적 감사 전략과 간접적 감사 전략을 감사의 지지 행위(Supportive move)로 많이 채택하지 않았다. 한국어 맥락에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이 전반적으로 중간언어를 통해 감사 화행을 수행하는 데에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위, 친밀도에 따른 분석을 통해 세 집단의 전략 사용 양상에 큰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담 정도에 따른 분석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은 부담 정도가 클수록 직접성이 높은 전략과 함께 상대방에게 반드시 보답하겠다는 전략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도 보답하려는 전략을 사용하였으나 간단하게 직접적인 감사의 말로만 고마움을 표현하는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감사 화행 전략 사용 양상은 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비슷하게 직접성이 높은 감사 화행의 전략을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여, 간단하고 직설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국어의 영향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고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중급 한국어 학습자 집단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간접적 감사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에 비해 사용 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의의, 그리고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한국어 감사 화행에 대해 연구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는 태국에서의 한국어 표현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태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언어문화 교육 방안 : '마음' 관련 관용 표현을 중심으로

        최문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태국에서 취미 · 교양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초급 학생들을 위해 한국과 태국의 언어문화를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학습자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태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언어문화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며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개념, 문화교육의 목표, 문화 교육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언어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 방법에 대한 이론적 개념으로 비교문화 화용론과 요구분석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 문화와 태국 문화를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되, 본 연구의 목적인 언어문화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태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언어문화 항목과 내용, 방법 선정을 위하여 태국 내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접 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언어문화 항목들이 무엇인지, 세부 항목에서 사용 빈도는 어떠한지, 선호하는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한국어와 태국어의 언어문화적 유사함 혹은 거리감과 4장의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와 태국어 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마음’ 관련 관용 표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태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언어문화교육의 항목을 마련하였다. 6장에서는 5장에서 선정한 언어문화교육 항목을 목표 학습 표현으로 하여 구체적인 언어문화 교육방안을 설계하고 예를 제시하였다. 7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a Language Culture Education Method for Elementary Korean Learners from Thailand - With a focus on idioms related to 'maeum (mind, heart)' Choi, MoonJin Major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Graduation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anguage culture of Korean and Thailand in a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for the elementary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a hobby or in a liberal arts course in Thailand. And, we conducted a survey with the learners to identify their requirements and suggested a suitable language culture education method for the elementary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rom Thailand, which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1, we sugg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reviewed the existing studies.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concept of the language and culture, the goals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With this, we established the concept of 'language culture' we examined in this study, as well as comparative cultural pragmatics and the demand analysis method as the theoretical concepts for the study method.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culture of Korea and Thailand in a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with a focus on the language culture, which i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n chapter 4, we conducted interviews and surveys using questionnaires with elementary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Thail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item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language culture education for those learners. As a result, we could identify the items to be included in the language culture education required by the learners, the frequency of the specific items' usage, and the preferred method of instruction for the learners. In chapter 5, we analyzed the idioms related to 'maeum (mind, heart)' listed in Thai dictionary based on the resemblance or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ailand in terms of the language culture we discussed in chapter 3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s in chapter 4. With this as the basis, we identified the items to be included in the language cultur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ubject users of this study. In chapter 6, we realized the items to be covered identified in chapter 5 into the objective learning expressions, to design and present specific language culture instruction method. In chapter 7,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long with a statement on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llowed b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태국 소수민족의 전통문화와 부족 청소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카렌족, 라후족, 아카족을 중심으로

        정도연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현대 문명의 이기인 개인주의 문화 속에서 독특한 역사와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형성된 집단주의 문화를 가진 태국 소수민족 청소년이 직면한 문제를 살펴보고, 특히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한 문제에 있어 경종을 울리기 위한 시도이다. 본 연구자가 이러한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보고자 했던 것은 그간 선교사로 태국 북부 골든트라이앵글 지역에 24년간 소수민족과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보아온 소수민족 청소년들의 독특한 정서를 경험하면서이다. 이 연구를 위해 태국에 있는 20여개의 소수민족 중에서 각각 독특한 역사와 문화, 전통을 보존하고 지켜온 세 종족을 선별했다. 65년간 독립투쟁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는 카렌족(karen)과 아름다운 선율과 화려한 축제문화를 지켜온 라후족(Lahu), 복잡하고 이색적인 전통과 전설이 민족 정체성을 만든 아카족(Akha)이다. 따라서 이들 세 부족의 언어와 삶의 방식, 역사와 문화, 전설 등 집단주의 정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통문화의 요소들을 서술하고 그 배경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어서 태국사회 속에 살아가면서 직면한 문제들과 정서적 혼란을 겪는 태국 소수민족 청소년들의 정체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메콩강공동체 산하와 치앙마이 시내에서 살아가는 세 부족 청소년 총 300명을 대상으로 한 공개 설문과 본 연구자가 공동체에서 24년간 약 1500여명을 대상으로 상담해온 실례와 경험 등을 토대로 문화기술지 및 행위당사자 중심의 사례연구로 이들의 정체성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그 결과, 이들이 태국사회라는 공통분모 속에 살고 있지만 각 부족별로 다르게 반응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카렌족 청소년들은 자기민족의 역사에 대해, 라후족 청소년들은 민족 축제문화에 대해 자긍심이 있었지만 수많은 전설이 문화화 된 아카족 청소년들은 자존감도 약했고 대부분 미래에 대한 꿈과 삶의 목적의식이 뚜렷하지 않았다. 남녀의 정서적 차이도 분명히 나타났다. 남자들은 부족의 집단주의 문화와 정신을 더 선호하였지만, 여학생들에게서는 ‘탈(脫)부족 공동체 현상’도 뚜렷이 드러났다. 이러한 저들 각각을 구성하는 정체성은 선호하는 결혼대상과 장래 거주 희망지역에서도 잘 드러났다. 세 부족 여학생 중 카렌족만 60%, 라후족과 아카족은 90% 이상이 태국인이나 외국인과 결혼을 희망했으며 거주 희망지역에서도 도시나 외국을 꼽았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의의에도 불구하고 후속연구의 과제로 남겨야 하는 부분도 있었다. 먼저 소수민족의 언어, 마을과 집, 복식에 대한 부분은 본 연구의 진행상 단순한 기술이 필요할 뿐이라 여겼는데 그것들이 담고 있는 차이점을 발견하면서 이에 대한 원형(prototype)과 영향을 탐구할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소수민족 사회에서 메콩강공동체의 역할과 메콩강공동체가 소수민족 청소년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그것이다. 본 연구과정에서 드러난 여러 부족한 점들을 보완하여 추후연구에서는 소수가 지켜온 전통과 문화에 대한 연구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청소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진행되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를 계기로 태국 소수민족뿐 아니라 전 세계 소수민족들의 전통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는 자들이 많아지기를 바라는 소망도 갖게 되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problems faced by the Thai ethnic minority group youths who have formed a unique collectivist culture from their unique history and culture in a modern cultural basis of individualism while also attempting to act as a warning on the problem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youth’s identity. The researcher was compelled to start this study while working as a missionary in the Golden Triangle area where I lived with the Thai ethnic minority group for 24 years and experienced the unique emotion of ethnic minority group youths in Thailand. For the study, three tribes, each with their own unique culture, tradition and history, were chosen from out of 20 Thai ethnic minority groups. The Karen, who are continuing their 65 year struggle for independence, the Lahu, with their unique festival culture, and the Akha, who formed a unique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ir complex and unusual culture and legends. As such, the researcher describes the various elements which might have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 three tribes collectivist culture such as their language, way of life, history, culture, legends, etc. and explains the background on each of these elements. In order to get a deeper understanding on the identity of the Thai ethnic minority youth, who are facing various problems, including emotional problems, while living in the Thai society, the researcher have conducted a survey on 300 youths from the three tribes who are living within the Mekong Community or in Chiang Mai, and formed a case study centered around ethnography and the main party directly involved using the information he gathered from counseling over 1500 Thai ethnic minority group youths during his 24 years as a missionary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ir identity. As a result, the researcher was able to learn that despite the similar environment the youths were living in, the youths from each tribe reacted differently from one other. The Karen youths had pride in their people’s history, and the Lahu youths had pride in their unique cultures. However, the Akha youths seemed to show little pride in their culture making them passive and unambitious. There were also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mindset of men and women. The men preferred the traditional collectivist culture but the women showed behaviors that was removed from the traditional collectivist culture. These differences in identity between the tribes can also be found by the marriage partner preferences of the women in the three tribes. Out of the three tribes, 60% of the Karen respondents and around 90% of the Akha and Lahu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ould marry a Thai or a foreigner while living in a city or outside of Thailand. Despite the significant result of the present study, there were some areas which needed follow-up research. At first, the researcher felt that only a brief description on the Thai ethnic minority group’s language, homes, and clothing were necessary for the study. However, after finding the differences these objects represented, the researcher felt the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on finding the origin, or prototype of these objects and the influence these prototypes held. Also, the researcher felt that a research on the role of the Mekong Community and how it affected the Thai ethnic minority group youths. The researcher is looking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as such, hopes future studies could get a deeper analysis on the cultures and traditions of minorities and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youths of these minorities. Also, the researcher hopes this study could inspire new researchers to research the cultures and identity formation of ethnic minority groups all over the world.

      •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 현상 대조 연구

        이철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태국어와 한국어는 여러 면에서 다른 부분이 많다. 한국어에도 한국어만의 운율이 있지만 담화상에서 논의가 되어야 하는 반면에 태국어에는 모든 음절에 성조가 있어서 성조의 차이로 의미의 변별을 하고 있으며, 통사구조도 많이 다르다. 그동안 많은 논자들이 진행시켜 온 논문에서 태국어와 한국어의 상이함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만 아직 음운현상에 대한 비교는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현상을 지배음운론의 구성 원소 이론으로 대조함으로써 태국인 화자들이 범하는 오류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보았다. 먼저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내적 구성요소를 보았고, 한국어의 삽입모음은 ‘ㅡ’라는 것을 따르면서 태국어의 삽입모음은 ‘a’라는 것을 3가지 증거로 밝혀 보았다. 자음의 충돌을 막기 위해 삽입되는 것, 고자음 및 중자음이 성조를 확산시킬 때 나타나는 모음 삽입, 그리고 외래어 차용시에 음절 형성을 위해서 삽입되는 현상으로 살펴 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에 나타나는 음운현상 중에 동화현상을 다루었고, 태국어에서는 음절말 자음군 탈락에 대해서 다루었다. 음절말 자음군 탈락은 영역말 자음을 하나만 인정하는 태국어에서 명시적인 자음군 탈락과 태국어의 중이중모음처럼 보이는 모음에서 ‘glide y, w’가 자음으로 인식되어 glide 다음에 오는 자음이 탈락되는 현상을 살펴 보았다. 아울러 태국인 학습자가 자모를 배우고, 음절을 학습할 때 제시할 수 있는 단어들의 단계를 제시해 보았다. 먼저, 자모를 익히고 나서 /[(자음)+모음]+모음/으로 이루어진 단어들을 학습하고, /[(자음)+모음]+[모음+자음(ㄹ 제외)]/을 학습한다. 이후에 /[(자음)+모음]+[모음+자음]/을 제시하고, /[(자음)+모음]+[모음+자음ㄹ]/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제일 어려워하는 /[자음+활음+모음]+(자음+모음+자음)/으로 이루어진 단어와 /[자음+활음+모음]+[모음+ㄹ]//을 배운다. 이것은 조금씩 발음하기 어려운 음절을 익혀가는 과정으로 학습자 모국어에 있는 음절구조부터 제시해서 점점 어려운 음절로 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contrast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and Thai. Many articl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Thai have been written by many researchers. But no article or thesis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Thai has been found in Korea. So I tried to figure out what phonological phenomena are in Thai. Government Phonology which I based my thesis on is based on the claim that words are not constituted of unorganized sequences of segments. Segments and skeletal points are bound together through government. And the syllable and the coda are not among the Government Phonology. A syllable can be interpreted as a sequence of onset-rhyme. I chiefly based the theory in my thesis on Element Theory in Government Phonology. Thai students have a hard time learning such pronunciation of words and syllables of Korean as ‘kyo’ in ‘hak-kyo’, ‘ky□’ in ‘kyo-ul’, and ‘ky-ul’ in ‘k□-ul’. No matter what types of diphthongs they may be, all of them include glide y or w. The former (two) is related to light diphthong, and the latter is to heavy diphthong. So I verif ied, with 3 types of evidences, the fact that the glide y and w in Thai are consonants, not a semi-vowel. So I put glide y and w under the onset skeletal point, even though they are light diphthong or heavy diphthong. Three evidences are as below. First, there is no word in Thai, like ‘consonant+glide+vowel+(consonant)’. Second, there is no word, in Thai, which has syllable-end consonant after the heavy diphthong which looks like one. Third, glide y and w in post-nuclear position play the same role with consonant in post-nuclear position. I also verified the cause why syllable-end consonant cluster is omitted, giving some supporting evidences that cause syllable-end consonant cluster omitted. One of the major causes that leave out consonant cluster at the end of the syllable is that glide y and w are consonant. And I set up a short vowel ‘a’ as an unmarked vowel in Thai, following the opinion that an unmarked vowel in Korean is ‘?’. Epenthetic vowel, or short ‘a’ in Thai is inserted when loan words are adopted, the collision of consonants must be avoided, like other language which epenthetic vowel is inserted. Under the claim that glide y and w are all consonants, not semi-vowels, I also set up 5 steps for students to learn pronunciation and syllabic structure, when the foreign students start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r as a foreign language. First, words consisting of /[(consonant)+vowel]+vowel/. Second, words consisting of /[(consonant)+vowel]+[vowel+consonant (-lateral)]/. Third, words consisting of /[(consonant)+vowel]+[vowel+consonant (+lateral)]/ Fourth, words consisting of /[consonant+glide+vowel]+(consonant+vowel+ consonant)/ Fifth, words consisting of /[consonant+glide+vowel]+[vowel+consonant (+lateral)]/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및 동기저하 요인 연구 : 태국 남부지역 중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남가현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모든 학습에 있어서 동기는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K·POP과 드라마 등의 열풍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비율이 늘고 있는데 특히 태국은 전 세계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가장 많은 나라이자 중등학교 학습자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태국에서도 남부지역은 태국 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최초로 실시했기 때문에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한국어 학습자가 가장 많은 태국에서도 한국어 교육을 최초로 실시한 남부지역의, 학급과 인원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중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시작 동기와 학습 동기저하 요인을 분석하여 동기가 저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학습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제언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는 총 153명의 태국 남부지역 중등학교 학습자가 참여했으며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방형 질문이 포함된 질적연구도 사용하였다. 태국인 학습자의 동기를 살피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제2언어를 배우는 태도’, ‘가족(부모)의 영향’, ‘제2언어 사회에 대한 태도’, ‘도구적 동기’, ‘여행 지향성’, ‘문화적 관심’, ‘이상적 제2언어 자아’ 요인이 추출되었다. 동기저하도 마찬가지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교사’, ‘자신감 하락’, ‘의무감’, ‘학습 조건’ ‘목표어 사용의 기회’, ‘제2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된 동기는 ‘여행 지향성’이었으며 주된 학습 동기저하는 ‘목표어 사용의 기회’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동기 및 동기저하는 ‘성별, 나이, 학습 기간, 한국어능력시험(TOPIK) 급수, 수업 형태, 한국인교사 유무’의 변인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태국인 학습자의 동기 및 동기저하의 결과에 대해 총 세 가지의 제언을 하였으며 본 연구를 시작으로 무한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청소년기의 중등학교 학습자 또는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Motivation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when it comes to any kind of learning. Therfore, It is equivalen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While the propor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has been recently increasing due to the Korean Wave for K-Pop and K-dramas, especially Thailand, as a country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world, its number of secondary school learners is remarkably increasing. The southern region of Thailand is rich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irst place to start teaching Korean language in Thai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 suggestion for Korean learners to carry on steady learning without decline of motivation, by analyzing not only the motivation of starting learning Korean language but also the main factors of decline in motivation, focusing on secondary school Korean language learners of southern region of Thailand, where their number of learners and lessons is steadily increasing. A total of 153 secondary school learners in southern Thail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qualitative studies including open questions were also composed of in so a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Thai learn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tract factors such as 'L2 learning attitude', 'family (parent) influence', 'L2 society', 'toolistic motivation', 'travel orientation', 'cultural interest', and 'ideal L2 self'. Likewi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tract factors such as 'teacher', 'decline in confidence', 'obligation', 'learning conditions', 'opportunity to use target languag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L2'. The main motivation of Thai Korean learners turned out to be 'travel orientation', and the main decrease in learning motivation was 'opportunity to use target words'. The motivation and decrease in motivation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variables of 'gender, age, learning period, TOPIK level, class form, and presence or absence of Korean teachers'. A total of three suggestions have been made on the motivations of Thai learners and the results of the decrease in motivation, and starting with this study, I am looking forward to more studies on secondary school learners or Thai learners with infinite growth potential to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