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都市 低所得層 就業母의 子女委託實態 및 託兒서비스에 대한 要求 調査

        오선영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684

        본 연구는 도시 저소득층 취업모를 대상으로 그들 가정의 자녀위탁 실태를 살펴보고, 현재 탁아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취업모와 이용하고 있지 않는 취업모의 요구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근거로 도시 저소득층 취업모에게 적합한 탁아서비스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에 관련된 탁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직할시 소재 어린이집 6개소를 이용하고 있는 저소득층 취업모(160명)와 현재 탁아 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저소득층 취업모(120명) 총 280명에게 연구자가 본 연구를 위해 직접 작성한 설문지로 면접과 응답자 기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및 자녀위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탁아기관의 이용 유무에 따른 탁아서비스에 대한 취업모의 요구에서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몇가지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모는 자녀양육의 어려움으로 인해 탁아시설의 필요를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었다. 둘째, 현재 탁아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도시 저소득층 취업모의 자녀위탁 실태를 보면, 일을 할 때 전체의 68.3%가 주로 시(친정)부모나 친척에게 맡기고 있었으며, 직접일터에 데리고 나가거나(28.3%) 아이들끼리 지내도록(1.7%) 하는 경우가 전체의 30%로 나타나 '준방치' 또는 '방치'형태의 대리양육 현황을 보여주었다. 또한 취업과 가정생활 양립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를 연구대상 전체의 80%이상이 지적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탁아시설의 설치가 특히 저소득층 취업모에게 절실하다는 현실을 반영해 준다고 볼 수 있겠다. 세째, 원하는 탁아기관 유형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대상 취업모들은 기관탁아를 가장 많이 원했으며(68.2%), 집 근처(부근)에 있는 시설을 이용할 수 있기를 그 다음으로 기대했는데(55.4%), 이것은 저소득층 취업모의 직장주변 환경이나 교통수단이 자녀를 맡기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현재 탁아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는 기관탁아(76.3%), 직장내탁아(15.0%)의 순으로 원하는 반면에, 현재 탁아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취업모는 기관탁아(57.5%), 가정탁아(27.5%) 유형의 순으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취업모가 가장 많이 원하는 위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6세까지이고(88.5%), 가장 많이 원하는 위탁시간은 오전8시-9시부터 오후 6시이후로 총8시간 5분에서 10시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52.5%). 도시 저소득층의 경우 중류층에 비해 좀 더 빨리 시작해서 늦게 끝나길 기대하고 있었는데, 이는 도시 저소득층 취업모들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출퇴근 시간이 다양한 단순노무직, 서비스직 등에 종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보육료에 대한 취업모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경제적 부담 때문에 5만원 이하의 보육료를 원하고, 탁아기관 운영 및 재정적 지원부분에 정부의 개입(60%)을 원하는 경향이 높았다. 여섯째, 전체적으로 탁아기관의 교육과정은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38.2%)과 안정된 정서발달(32.5%)에 더 치중하기를 원했다. 일곱째, 탁아교사의 교사상은 애정을 가지고 아이를 이해하는 사람을 가장 많이 원했고(46.8%), 연령 또한 20대 또는 30대(87.2%) 연령을 원하는 경향이 있었다. 탁아교사의 학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취업모들이 전문대졸(53.6%)과 4년제 대학졸업(32.9%) 수준을 원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구대상인 도시 저소득층 취업모들은 탁아시설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및 학습방법, 지원주체, 보육료, 탁아교사 등에 대한 반응에서 나타났듯이 탁아시설에서 질적으로 보다 우수한 양육과 자녀 교육을 담당해 주길 원하였다. 탁아기관의 유형, 탁아기관의 위치, 위탁시간, 탁아기관 규모, 연령구성, 운영주체 및 지원주체 등에 대한 기대는 현재 탁아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취업모와 이용하고 있지 않는 취업모간에는 차이를 나타냈으나, 세부적인 운영상의 차이 외에 제공되어지는 교사의 자질이나 교육과정 및 탁아의 필요성 등과 같은 탁아의 질적수준의 면에서는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llect data for developing systematic day care service programs for the urban low income class employed mothers by giving the basic informations about the child care arrangements and the needs of day care service. The Subject were 280 low income class employed mothers with more than one child under age of six, who lived in the Gwang-ju City. Gathering data was done through the interview method with the questionnaire prepared in advance.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x²test were calculat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urban low income class employed mothers needed day care facilities. Children's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need of day care facilities. 2. Most of the urban low income class employed mothers left their children to the care of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 while they were at work. And some working mothers could not find any proper place or person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during daytime. 3. Urban low income class employed mothers preferred a center-based clay care program to any other type of day care program. They also preferred the whole-day day care service rather than the half-day clay care service. 4. Mothers mostly need day care program for their children at the age of 3 to 6 years. For the time of child care, they wanted from 8 A.M. to 6 P.M. 5. Most of urban low income class employed mothers said that they could afford to 20,000 - 50,000 won for day Care Service. They expect the government or their companies to support considerable amount of day care service fee. 6. As a whole, the education process of the day care service was emphasis on every day life's habit forming and sound emotional development. 7. The first trait of teacher preferred by employed mothers is warmth and love for their children. Mothers also wanted 14-16 years for teacher's education carried.

      • 직장탁아시설 이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大田廣域市 女性公務員을 中心으로

        이은주 大田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여성공무원들은 직업인으로서 그에 필요한 특수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받고 이와 더불어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 연수가 필요한 반면 주부로서의 역할도 수행해야 하는 많은 부담과 갈등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자녀양육의 애로를 느끼며 근무하는 여성공무원들에게 있어서 직장내 탁아시설의 필요성은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국에서 양적으로 가장 많은 수의 공공기관내 탁아시설 보유율을 보여주고 있는 대전광역시에 초점을 두어 탁아시설을 실제 이용하고 있는 여성공무원들의 직장내 탁아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욕구를 진단해 봄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공공기관 중 직장탁아시설(종일반)을 이용하고 있는 대전시청, 동구청, 중구청, 유성구청, 여성회관의 여성공무원 1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연구의 목적에 맞는 내용을 발췌하거나 수정·보완해서 작성한 질문지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Computer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 검증(χ² - TEST), ANOV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머니의 경우 30대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전문대 및 대졸이 60% 이상 이었으며, 자녀수는 1∼2명이 대부분이었다. 가족구성은 부부+자녀의 구성형태가 가장 많았다. 탁아시설에 보내는 보육아동의 특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10%이상 수가 많았고, 연령은 만 3세 이하 아동보다는 만 4세 이상∼ 만 7세 미만의 아동 수가 많았다. 출생순위는 남아와 여아 모두 첫째와 둘째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어머니들은 직장탁아시설의 보육프로그램과 보육교사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보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아동의 기본생활 습관지도에 대하여, 보육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대하여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에 보육교사와 아동보호자와의 활발한 정보교환이나 보육교사와 아동의 비율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직장탁아시설을 이용함에 있어서 가장 좋은 점은 아이와 가까이 있으므로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일에 집중할 수 있다를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경제적으로 탁아비 부담이 적다, 아이와 출퇴근할 수 있어 편하다. 다른 보육시설보다 보호를 잘해 준다의 순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탁아시설에 대한 어머니의 불만족 요인으로는 보육교사와 아동의 비율에 있어서 비율이 너무 높고,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편애하거나 무관심하다는 것이 어머니가 생각하는 불만족의 가장 큰 이유였다. 또한 보육프로그램의 구성이나 놀이기구에 있어서 그 종류와 수가 너무 적거나 다양하지 못하여 불만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직장내 탁아시설에 보내고 있는 자녀의 성별, 연령, 형제순위, 가족형태에 따라 어머니는 보육프로그램과 보육교사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는데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현대 가정의 자녀수가 한 두명이 되어 성별이나 형제순위에 따라 자녀 양육방식 및 자식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직장탁아소에 대한 만족도에 형제순위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어머니의 직장탁아시설에 대한 요구사항은 보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영아반은 보호를 위주로, 유아반은 보호와 교육을 함께 중점을 두어구성하기를 요구하였으며, 연령의 구성에 있어서 영아반 유아반 모두 같은 연령대 별로 구성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월평균 탁아비용으로는 10만원 미만을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사항은 교사의 학력이 전문대졸 정도면 좋겠다는 의견이 약 50%로 가장 많았으며, 교사-아동의 비율은 영아반의 경우 1:5 이하로, 유아반의 경우 1:10 이하로 구성되기를 원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연령은 30대를 가장 많이 원하였으며, 결혼여부는 별로 개의치 않았으며, 교사경력은 3∼5년 정도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바람직한 교사상으로는 자상하게 아이를 보살펴 주는 교사와 어린이를 좋아하는 교사를 원하였고 교사의 역할로는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안전과 보호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에서는 몇 가지 직장탁아시설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직장탁아시설에 대하여 이용자인 대전시 여성공무원들은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직장내 탁아시설의 설치 확대를 통하여 취업여성의 가정-직장의 이중역할 갈등 중 가장 갈등수준이 높은 자녀양육의 문제를 해소해 줄 수 있어야 하겠다. 그러나 현재 직장내 탁아시설이 기존 건물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어 내부시설 공간을 활동 영역별이나 아동의 연령에 의해 구분하기가 어렵고, 실외 놀이공간도 협소하거나 부족하며 아동들의 안전을 위한 장치나 아동들에게 적합한 크기의 시설확보가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탁아시설 설치시 사용 가능한 공간의 확대 및 탁아아동만을 위한 실외 놀이공간의 확보와 안전시설을 갖추어 직장내 탁아시설의 환경개선을 통한 질적 수준 향상의 도모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