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변경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출생 순위 및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출생순위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힘으로써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변인들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4학년 학생 277명이었으며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김학수, 이윤수가1975년에 제작한 생활지도 진단검사를 참조하여 오경준(2000)이 연구 개발한 「사회성 검사」를 이지연(2010)이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chaefer의 설문지(MS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를 기초로 하여 오성심, 이종승(1982)이 제작한 척도 중 일부만을 송영이(2010)가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출생순위와 어머니늬 양육태도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8.0v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출생순위는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거부적인 태도보다는 애정적인 양육태도일수록, 통제적인 태도보다는 자율적인 양육 태도일수록 학생의 사회성 발달은 더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한 결과 서로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출생순위는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만이 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동안의 출생순위와 사회성 발달간의 관계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고 출생순위가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출생순위와 사회성 발달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혼재되어 왔었다. 이것은 출생순위에 따른 사회성 발달의 연구를 할 때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혼입되어 서로 다른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밝히는데 자료를 제공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birth order and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ocial development of them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by finding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s in Daejeon and measurement tools are as follows: This study uses the 'Sociability Test' by Lee Ji-hyun developed by Oh(2000) in reference to diagnostic tests of guidance made by Kim and Lee(1975) as screening tool. Next, this study uses a portion of scale by Song Young-i developed by Oh and Lee(1982) on the basis of Shaefer's questionnaire(MS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in order to measur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variables is calculated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ques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program SPSS 18.0v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birth order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social develop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rth order doesn't affec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ity. Second, the more mothers take an affectionate stand than a rejective stand, and an autonomous stand than a controlled stand, the more children's social skills develops. Third, there are no effects of interaction with birth order which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it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It came out into the open by the study that birth order doesn't effect children's social skills but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does. Until now, it has been both existed that birth order have effect on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not a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birth order and development of socialit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resources that conflicting results was shown becaus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were mixed to the study when the study went on.

      • 부모간 양육태도, 출생순위, 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친구관계와 인기도 차이

        최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변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와 일치유형, 유아의 출생순위와 형제자매유무에 따라 또래관계에서 다른 개념적 구조를 지닌 친구관계와 인기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부모 및 형제자매 구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친구관계에 따라 인기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또래관계에 따른 두 개념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와 일치유형에 따라 유아의 친구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1-1.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에 따라 유아의 친구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1-2.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유형에 따라 유아의 친구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와 일치유형에 따라 유아의 인기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2.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에 따라 유아의 인기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2.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유형에 따라 유아의 인기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출생순위와 형제자매유무에 따라 유아의 친구관계와 인기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1. 유아의 출생순위와 형제자매유무에 따라 유아의 친구관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3-2. 유아의 출생순위와 형제자매유무에 따라 유아의 인기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친구관계에 따라 인기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 익산시에 위치한 2개 유치원과 2개 어린이집의 만 4, 5세 11학급의 유아 169명과 그 부모 33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아의 출생순위 및 형제관계 질문지, 친구관계 검사지와 인기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와 일치유형에 따라 유아의 친구관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일치하는 집단의 유아들은 일치하지 않는 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보다 많은 상호호혜적 친구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가장 친한 친구가 없는 유아는 매우 드물었다. 다음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자율적 태도로 일치하는 집단의 유아들이 애정적-통제적 양육태도로 일치하는 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보다 많은 상호호혜적 친구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가장 친한 친구가 없는 유아는 나타나지 않았다. 2.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와 일치유형에 따라 유아의 인기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일치하는 집단의 유아들은 인기아가 많았고 거부아와 양면성아가 적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일치하지 않는 집단의 유아들은 무시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자율적 태도로 일치하는 집단의 유아들은 70% 이상의 유아들이 인기아였고, 거부아와 무시아가 적었으며, 애정적-통제적 태도로 일치하는 집단의 유아들은 거부아와 무시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아의 출생순위와 형제자매유무에 따라 친구관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인기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순위에 있어서 외동이 아닌 집단의 유아들은 외동인 유아들에 비해 인기아와 거부아가 적고 무시아가 많았으며, 외동인 유아들은 인기아가 많으면서 동시에 거부아가 많은 양면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형제자매유무에 따른 인기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유아의 친구관계에 따라 인기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at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family structure influence upon the peer relation by investigating whether of friendship status and popularity having the different structure of conception in the peer relation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its type, the birth order and sibling status of the young children as earlier variables that influences on the peer relation. And another purpose is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wo following conceptions 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iend status and the popularity. To achieve above purpose, the questionnaire were set up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 in friendship status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its type? 1-1. Are there any difference in friendship status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1-2. Are there any difference in friendship statu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bove consensus? 2. Are there any difference in popularity status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its type? 2-1. Are there any difference in popularity status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2-2. Are there any difference in popularity statu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bove consensus? 3. Are there any difference in friendship status and popularity according to the birth order and the sibling status? 3-1. Are there any difference in friendship status according to the birth order and sibling status? 3-2. Are there any difference in popularity according to the birth order and sibling status? 4. Are there any difference in popularity according to the friendship statu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9 kindergarten and day-care children of 4 to 5 years old and 338 of their parents at two kindergartens and two day-cares located in Ik-San, Chollabuk-Do, Republic of Korea.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are the questionnaire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birth order and sibling status. friendship status questionnaire and popularity questionnaire. Thes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and χ^(2)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re differences in the friendship status between the consensus of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its types. The children under the consensus of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kept more reciprocal friendship status than the children under none-consensus, and had rarely the no best friend. Next, the children under the affective-autonomous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kept more reciprocal friendship status than the children under the affective-contro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sensus among the former group, hadn't no best friend. 2.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popularity between the consensus of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its type. The children under the consensus of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kept more popular and less rejected and less neglected. And there were many neglected children in the none -consensus group. Next, popular were 70% out of the children under the affective -autonomous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y weren't comparatively neglected and rejected. And there were many neglected and rejected children under the affective-controlled. 3. The birth order and the sibling statu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upon the friend status statistically. Then,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popularity following the birth order. Less popular, less rejected and more neglected were the grouped children by sibling than the only children. It showed the both-sided that the only children were more popular and more rejected. But the sibling statu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upon popularity statistically. 4. There is no difference in popularity following the friendship status.

      • 성인애착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출생순위의 조절효과 :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영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출생순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성인 초기의 대인불안의 원인과 해결책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성인애착과 대인불안 수준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성인애착과 대인불안 수준이 상관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출생순위가 성인애착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해보았다. 주요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성인애착 수준이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출생순위가 조절효과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맏이인 외동아와 장자녀를 장자녀 집단으로 통합하여 장자녀 집단과 차자녀 집단으로 구분한 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성인애착, 대인불안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나 성별에서 성인애착과 대인불안 수준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성인애착의 하위차원인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은 대인불안과 모두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애착불안과 대인불안의 상관이 높았다. 그리고 애착회피와 애착불안 모두에서 출생순위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불안의 상승은 장자녀와 차자녀 모두의 대인불안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애착회피는 장자녀의 대인불안 수준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차자녀의 대인불안 수준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로 타인과 친밀감을 느끼거나, 자신의 독립성이 위협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감정은 차자녀 보다 장자녀일때 대인불안을 더욱 발생하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출생순위에 따라 대인관계에서 어떠한 정서조절전략과 대처방식을 선호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출생순위에 따라 대인불안의 원인과 해결책을 탐색하는데 있어서 다르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성 및 출생순위가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한 개인의 진로는 사회적 존재로서 의미와 행복의 근원이며, 일생을 통해 계속되는 인생경로이다. 자녀는 부모가 기대하는 진로에 대한 태도에 따라 양육되어 왔으며, 이러한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진로선택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가정 내에서의 부모의 양육태도, 형제 수, 출생순위, 화목한 가정 분위기 등은 자녀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어왔다. 자녀는 가족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성 및 출생순위에 의한 자신의 위치를 지각하게 되고, 가족 간에는 서로 다른 순위의 성격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된다. 부모는 자녀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모 역할 경험을 쌓게 되어 자녀에 대한 신념을 바꾸게 되고 자녀에 대한 기대수준을 달리하게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부모는 자신들이 처해 있는 사회적·문화적 환경과 자녀들과의 상호작용 경험에서 자녀의 정상적 발달에 대한 개념과 자녀의 발달 지식을 얻게 되고 이를 토대로 부모 자신의 기준을 설정해 놓고 행동한다고 하였다(Sigel, 1980 ; Macgillicuddy, 1980 ; Ninio, 1979).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자녀의 성 및 출생순위, 부모의 개인별 특성변인에 따라 어떻게 진로기대를 하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명의 자녀를 둔 부모 4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391부를 설문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한 설문의 자료처리는 SPSSWIN 1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단순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 및 출생순위가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를 성공지향, 집안위세지속, 가족부양, 대리만족, 자녀행복 5개의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는 과잉기대형, 무관심형, 과소기대형으로 분류하여 유형화하였다. 둘째, 자녀의 성에 따른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의 차이에 있어서는 첫째 자녀에게는 성공지향, 집안위세지속, 가족부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녀행복에서 가장 높은 진로기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에게는 가족부양과 자녀행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녀행복에서 가장 높은 진로기대를 하며, 첫째 자녀와 비슷한 수준에서 진로기대를 하는 것과, 딸보다는 아들에게 더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른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둘째보다는 첫째에게 더 높은 진로기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부모의 개인별 특성변인에 따른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상태에서는 집안위세지속, 가족부양, 대리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부가 모에 비해 더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학력수준·직업에서는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녀의 성에 따라 진로기대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자녀의 성에 따른 부모의 진로기대 유형은 무관심형과 과소기대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둘째 자녀의 성에 따른 부모의 진로기대 유형은 과잉기대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유형을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자녀와 둘째 자녀 모두 과소기대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부모의 개인별 특성변인 중 부모의 직업은 진로기대 유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부모의 상태와 학력수준에서는 비슷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부모의 연령은 매우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덟째, 부모의 개인별 특성변인과 자녀의 진로기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상태에서는 집안위세지속, 가족부양, 대리만족에서 부(-)적 상관, 부모의 연령에서는 대리만족에서 정(+)적 상관, 부모의 직업에서는 가족부양에서 부(-)적 상관, 부모의 학력수준에서는 집안위세지속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성 및 출생순위가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에 미치는 영향에는 성에 따른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에는 차이가 있었고, 출생순위에 따른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기대 유형에는 부모의 직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성 및 출생순위에 따른 부모의 자녀 진로기대와 관련한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어 온 유아교육, 심리, 교육학에서만이 아닌 직업학 분야에서 보다 심층적이고 과학적인 접근방식으로의 연구가 요구되며, 청년실업이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연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Ⅰ. Purpose of the Study An individual's career has a meaning of social being and is a source of happiness, and a continuing life career through out the whole life. Children have long been brought up with the attitude about the career that their parents expected them to have, and these expecta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upon children's career choice. In home environment where parents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they exchange direct influence with each other through active interaction different from other static relationships. For this reason, home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kinds of environment. In particular, parents' rearing attitude, the number of siblings, birth order, peaceful family atmosphere, etc.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family members, children recognize their posi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birth order and find that each family member has a different standing.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as the number of children increases, parents' experience in parenthood accumulates and their belief and value system with regard to their children change and their expectation for children is also renewed.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parents obtain the concept and knowledge of children's normal development from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and, based on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they set their own standards and behave according to the standards (Sigel, 1980; Macgillicuddy, 1980; Ninio, 1979). Ⅱ. Method of the Study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birth order and par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417 parents who were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and had two children and analyzed 391 questionnaire recovered.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10.0 for Windows and analysis was made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 analysis, etc. Ⅲ.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effects of gender and birth order on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we analyzed parents' expectation, dividing it into five factors - success-orientation, the maintenance of family power, family support, vicarious satisfaction and children's happiness - and classified the types of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into over-expectation type, indifference type and under-expectation type. Second,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parents' expectation for the first childr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uccess-orientation, the maintenance of family power and family support and their highest expectation lay in children's happiness. Second, parents' expectation for the second childr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family support and children's happiness. The level of parents' expectation of children's career was similar between the first children and the second ones and was higher for sons than for daughters. Third, in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parents' expectation of children's career according birth order, the expectation was higher for the first children than the second ones regardless of other variables.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parents' expectation of children's career according to par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aintenance of family power, family support and vicarious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ents' state and fathers' expectation was higher than mothe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parents'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Fif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 in career expectation type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it was analyzed that indifference type and under-expectation typ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rst children's gender and that only over-expectation typ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cond children's gender. Six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according to children's birth ord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nly in under-expectation type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 children. Seventh, among par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parents' occupa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reer expectation type and parents' state and education had an effect of similar level. On the other hand, parents' age had the least significant effect. Eigh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parents' state was in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the maintenance of family power, family support and vicarious satisfaction, parents' age in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vicarious satisfaction, parents' occupation in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family support, and parents' education in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maintenance of family pow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presented above,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but not according to their birth order, and it was analyzed that parents' occupa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ir vocational expectation typ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s on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career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birth order, which have been limi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sychology and education, need to be extended to the career studies through more in-depth and scientific approach.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area covered by this research should be studied and analyzed more intensively in the current situation of increasing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 형제 유·무와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손정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이 형제 유․무에 따라, 형제아인 경우 출생순위에 따라, 그리고 학교가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점차 늘어나고 있는 외동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이 진로계획이나 진로결정을 하는 과정에 있어 진로지도 및 상담을 제공하고자 할 때, 동일한 연령이나 발달 단계에 있는 중학생이더라도 그 진로성숙 수준과 준비행동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환경적, 가족적 변인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내담자 중심적인 진로상담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면 이들이 선택한 진로는 직업이나 대인관계,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영역뿐 만 아니라 삶의 방향과 질에도 영향을 끼쳐 인격적으로 성숙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고 이를 밝혀보고자 한다. 첫째, 형제 유․무에 따라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는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는 학교지역에 따라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형제 유․무와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4개 중학교 1, 2 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사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지역 별 중학생 외동이와 형제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학업 성취도와 생활 수준이 통상적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구분하기에 비교적 용이한 강남지역 소재의 중학교와 강북지역 소재의 중학교를 임의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과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임 언, 정윤경, 상경아, 2001)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WIN) 13.0을 이용하여 검사지 응답자의 일반적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구하였고, 형제 유․무와 학교지역에 따라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형제아의 경우 출생순위 별로 진로성숙 태도, 진로성숙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형제 유․무별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간 상관관계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와 Fisher z 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치의 유의 수준은 요인별로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 유․무별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진로성숙의 태도와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둘째, 형제 유․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 중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외동이, 첫째 형제아, 둘째 형제아 순으로 진로성숙 태도와 능력, 진로준비행동에서의 평점이 높게 나왔고, 사후검증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셋째, 외동이와 출생순위 별 형제아 중학생의 학교지역에 따른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강남지역이 강북지역 학교의 중학생보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하위영역 여러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넷째, 형제 유․무와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계수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외동이가 형제아 중학생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외동이의 열등성에 초점을 맞춘 과거의 여러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태도와 능력)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전반적으로 외동이가 형제아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형제 유무가 중학교 시기 즉, 신체적으로 급격히 발달할 뿐만 아니라 적성과 능력 ,태도, 가치관 등이 집중적으로 발달하는 중요한 진로발달 단계인 탐색기(Super, 1957)의 청소년들에게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관련 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발달 과정의 중요한 시기에 들어선 중학생들이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이유 중 형제 유무라는 특정한 가족변인과 학교지역이 관련 요인이 되는 점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hat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they have siblings or not, birth order if they have sibling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the area school is located. And providing scientific base about chang of social recognition toward the only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When attempting to give guidance and counseling to teenagers during their career planning or choosing a career proper effective client centered counseling services that considers the various environmental, family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maturity or preparation it would help immensely as it would not only affect the career choices, social relations and general everyday life areas, it will also affect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life allowing middle schoolers, though at the same age or level of development, to grow into adults of mature personalities. Therefor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and determined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at who has siblings or not? Second, do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the only child and the child who has sibling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t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do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the only child and the child who has sibling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they are siblings or not and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identify these problems the questionnaires were intended for 350 students who are first and second year in four middl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Looking at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ife standard to compare middle schoolers who are the only child and have siblings according to school sector we have dividedly selected schools in the Gangnam area and schools in the Gangbuk for considerably easy categorization. Used career maturity level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in KRIVET(2001) to measure career maturity(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nalysis method, used SPSS(WIN) 13.0 to calculate the average, stand deviation, and percentage to find out commo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respondent. And T-test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 school area and whether they have siblings or not. in the case who has siblings, One Way ANOVA were used to see an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attitude, career maturity abil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ry out an Pearson correlation and Fisher z-test verify to find out an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only child and siblings. Significance level of statistics were verified at (P<.05), (P<.01), (P<.001) by factors. The results of research work was summar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s siblings or not.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ly high.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s siblings or not and birth order siblings.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generally in lower area, the average of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high in the only child, first born child next, second born child order and the result was similar at Duncan Verif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are only child and birth order siblings.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only child and Gangman area middle school students were generally higher on many subordinate parts of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Gangbuk area. Fourth, in relationship between child who has siblings of not and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difference partially and the relationship of a middle school child who is the only child were more higher in the case that has significant difference. Examining these results, contrary to past researches which was focused on only child's complex, in this study career maturity level(attitude and 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 middle school student generally shown high standard to child who has siblings. Having siblings or not is not decisive factor of adolescent who are in Exploration stage(Super, 1957) which is important career development stage that develops not just physically but also aptitude, ability, attitude and values focused, but it acts as related factor at some more part. Ground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ing that specific family variable that is whether there is siblings or not and school area is being related factor in the reason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s in the important period of career development shown a difference in the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발달장애인 형제를 가진 비장애 청소년의 문제 행동 및 형제 관계 연구

        신혜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8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형제를 가진 비장애 청소년이 장애인 형제의 존재 및 형제의 장애유형, 출생순위, 형제관계에 따라 어떠한 심리사회적 적응을 보이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이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상담적 접근과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자폐증 혹은 다운증후군 장애인을 형제로 가진 중고등학생 80명 및 이들에 대한 비교집단으로 비장애형제를 가진 중 고등학생 47명 총 127명이었으며 측정도구로는 형제관계 척도와 청소년 자기행동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발달장애인의 형제와 일반인의 형제간의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외현화 척도에서 일반인의 형제가 발달장애인의 형제보다 더 많은 문제행동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현화척도에서 장애유형과 출생순위의 주효과가 있었으며 손아래 형제가 손위 형제에 비해 더 많은 외현화 문제를 보였다. 발달장애인의 형제와 일반인의 형제간의 형제관계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일반인의 형제가 장애인의 형제보다 더 갈등적인 형제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폐증의 형제가 일반인의 형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온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형제의 장애유형에 따라 형제관계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폐증 장애인의 형제는 갈등이 외현화 문제행동을 9%, 총문제행동을 11% 설명하고 있었으며 다운증후군 장애인의 형제는 갈등이 내재화 문제행동을 16%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전반적으로 발달장애인의 형제들은 장애형제의 존재로 인해 더 많은 문제행동을 보이지는 않으며 형제관계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덜 부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rough this study of psycho-sociological adjustments of the healthy adolescent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iblings, based on the existence of disabled siblings, type of disability, birth order, and sibling relationship, I would like present the issues on counseling approach and program development, which will meet their need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80 metropolitan Seoul area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utistic disorder and Down syndrome siblings, and as a comparison group, 47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of same geographical area, who do not have any disabled siblings. Measuring methods of these 127 students are sibling relationship scale and adolescent self-rating scale. As a t-test result of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siblings and healthy siblings, external problem behavior scale shows that students with healthy siblings have more trouble with problem behavior than those who have developmentally disabled siblings. The external problem behavior scale also shows that type of disability and birth order have main effects, and the younger siblings have more external problem behavior than the older siblings. Sibling relationship study between disabled siblings and healthy siblings show that the healthy siblings have more relational conflict with their siblings than those who have disabled siblings. Additionally,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siblings show less warmth in relationship with their siblings than that of those who have healthy siblings Lastly, as a result of regres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ibling relationship on problem behavior based on types of disorder of their siblings, 9% of external problem behavior and 11% of total problem behavior are related to the conflict with autistic disabled siblings, and 16% of internal problem behavior is related to the conflict with Down syndrome sibling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it is safe to say that, in general, the sibling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how no more problem behavior, and have less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iblings than those who have healthy siblings.

      • 유아의 출생순위와 성별 및 형제성별에 따른 형제관계의 질과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박정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유아의 출생순위와 성별 및 형제성별에 따른 형제관계의 질과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6개 기관과 어린이집 7개 기관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형제관계의 질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Furman과 Buhrmester(1985)가 제작한 ‘형제관계의 질 척도(SRQ)’를 부모용 질문지를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Olson과 Kashiwagi (2001)의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 교사평정 척도’를 교사용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출생순위와 성별 및 형제성별에 따른 형제관계의 질과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아의 출생순위, 성별, 형제성별, 형제관계의 질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대한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를 이용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의 출생순위와 성별 및 형제성별에 따른 형제관계의 질과 행동적 자기조절력간의 관계에서 출생순위가 둘째일 때 온정․친밀성과 자기주장, 자기통제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이 남아일 때 온정․친밀성과 자기통제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제성별이 동성일 때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주장에서 온정․친밀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쟁의식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출생순위, 성별, 형제성별, 형제관계의 질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대한 설명력에서는 유아의 성별과 온정․친밀성이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를 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관계가 유아의 사회화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유아기 때 발달된 행동적 자기조절력은 이후의 대인관계와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능력이라고 볼 때, 이 연구는 온정적이고 친밀한 형제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 발달에 중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ibling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al self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birth order, gender, and sibling gender. This study was done with 178 four-year-old preschoolers at 6 private kindergartens and 7 child care centers in Daegu. To measure the quality of sibling relationships,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SRQ) for parental ratings which was developed by Furman and Buhrmester(1985) was used. To evaluate children's behavioral self-regulation, a teacher rating scale by Olson and Kashiwagi(2001) was translated and distributed to teacher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mputed to figure out cor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sibling relationships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according to children's birth order, gender, and their sibling gender. To find out how much birth order, gender, and sibling gender and the quality of sibling relationship explain children's behavioral self-regu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17.0 program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firstly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warmth․closeness and both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 for younger sibling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armth․closeness and self-control for boys. For same-gender siblings, self-asser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rmth․closen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petition. Secondly, child gender and warmth․closeness explained 8% of self-control. Given that the quality of sibling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ization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their early childhood, which builds the foundations for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at supporting young children to develop warm and intimate sibling relationship is important for enhancing children's behavioral self-regulation.

      • 어머니의 就業·社會階層과 子女의 性·出生順位에 따른 어머니의 養育行動

        박인숙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인들 중 대표적인 변인으로 어머니의 취업여부, 사회계층, 자녀의 성별, 자녀의 출생순위 등을 중심으로 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해 알아보고, 모든 변인들의 상관관계와 어머니의 취업여부, 사회계층, 자녀의 성별, 자녀의 출생순위 변인들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에 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 5, 6세의 자녀를 둔 98명의 어머니들로 구성되었고,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을 측정한 연구도구는 3~12세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했던 Block(l984)의 CRPR(Child Rearing Practices Report)을 4세아를 둔 어머니들에게 맞게 번역, 수정된 10개의 범주로 총 4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t 검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사후검증(Duncan), 중다 회귀분석 등이 이루어졌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취업여부, 사회계층, 자녀의 성별 및 출생순위, 어머니의 양육행동간의 전체적인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양육행동 범주들 간의 상관이 무척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는 사회계층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자녀의 성별에 있어서는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범주 중 '비일관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계층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범주 중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합리적인 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2.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에 있어 양육행동 모든 범주들 (독립성의 격려, 과보호, 아동에 대한 염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초기훈련에 대한 강조, 부정적인 감정표현, 애정표현, 경험에 대한 개방성, 비일관성, 합리적인 지도)은 취업모와 비취업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 양육행동 범주중 '경험에 대한 개방성' 부분과 '합리적인 지도' 부분에 있어 집단간(상·중상·중하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사회계층이 높은 집단일수록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합리적인 지도' 부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4. 자녀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 남아와 여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 첫째 자녀와 둘째 이하의 자녀간에 양육행동 범주 중 '비일관성'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어머니의 취업여부, 사회계층, 자녀의 성별, 출생순위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가장 영향력이 있게 나타난 변인은 사회계층인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takes mother's job, social class, child's sex and birth order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various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mother's child rearing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ther's child rearing practices related to the previous factors and correlation of the four factors and relative connection between mother's child rearing practices and the representative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98 mothers of 4, 5, 6 years old children in Ansan. Block (1984)'s CRPR were used to measure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Data analysis making use of SAS' computer program were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e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ere not found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or not.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class and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nness to experience' and 'rational guidance' of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ere found according to social class. The mothers of higher social class emphasized more 'openness to experience' and 'rational guidance'. 3.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ere not found according to child's sex.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s birth order and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onsistency' of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ere found according to child's birth order. 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the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as social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