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 및 피난특성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장홍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내 건축물의 초고층화 추세에 맞추어 안전한 경제활동 공간으로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고층건축물에 대한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화재 및 피난특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초고층 건축물은 일반건축물과 달리 수평적 측면보다도 수직적인 측면 그 자체가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기술적인 문제뿐 아니라, 도시의 상징성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안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화재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피난 상 문제점을 발굴 개선함으로써 국내에서도 초고층건축물이 안전하게 건축 될 ?있도록 안전관리 대응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초고층건축물에 대한 규제 근거법령이 없는 관계로 일반건축물에 적용되는 기준들이 초고층 건축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어 초고층 건축물만이 갖고 있는 환경적이고 구조적 특성이 무시됨으로서 화재 등 재난 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별도 초고 층건축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초고층 건축물의 안전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날로 발전하고 있는 기술력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입되고 있는 성능위주설계 방식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 등을 통하여 건축물별로 특성에 맞는 성능위주의 설계를 함으로써 우리 실정에 맞는 기술 개발 등이 매우 중요하다. 끝으로 인명안전과 직결되는 시설에 대한 국가 및 국민 모두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선진국과 같이 초고층건축물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을 충분하게 검토할 수 있도록 소방·방재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건축 설계 단계에서부터 종합적인 소방·방재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초고층 건축물은 새로운 도시기능과 공간의 창출수단으로 수요가 더욱 증가 할 것임으로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초고층건물의 화재특성에 대한 공학적인 분석과 연구 및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며, 성능위주의 화재안전설계를 통한 적정 수준의 화재안전이 확보되어야 하고 인명구조를 위한 피난안전대책이 확실히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tendency of skyscraper in the domestic building,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fi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vacuation in various aspects and to prepare safe countermeasures for the safe space of economic activity. The skyscrap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vertical than in a horizontal and it also plays a major role in the symbol of the city as well as a technology.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kyscraper, we hav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re and improve the matters of evacuation and we must consider the methods of the safe management to build the skyscraper. In Korea, there are no related basis laws about the skyscraper and the laws for the general building are also applied to the skyscraper. So th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kyscraper are ignor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we have more possibility to cause serious damages in human and wealth. It is sincerely demande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kyscraper with the establishment of law about the safe management of the skyscraper. Various researches about the efficiency-oriented design are needed for the efficiency of the technology which is developed day by day.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the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our circumstance by doing the efficiency-oriented design to b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In conclusion, we, our nation and people, need to change our recognition of the facility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safety of human. Like developed countries, we have to compose the expert committee for the fire fighting and prevention of disaster to investigat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skyscraper sufficiently and to make steps from the architectural design to the overall fire fighting and prevention of disaster. Consequently, as the way of developing the new function of city and space, the demand of the skyscraper will increase. So we have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the skyscraper. The technological analysis and research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mplement about the fire characteristics of the skyscraper is necessary, the fire safety at an appropriate level has to be secured through the design of fire safety and the safe measure of evacuation for saving lives has to be established.

      •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 표준화 구축에 관한 연구

        유규상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인구의 도시집중화 현상으로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가 좁은 나라에서 많은 인구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이다. 특히 도시민의 생활수준 향상 및 거주공간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도심지 재개발 및 재생도시 건설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소방 대상물이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화재안정 성능 확보에 대한 제도적 장치나 관련 기술기준은 전혀 강구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관련법규 및 선진 외국의 기준을 비교분석하였으며 화재사례분석, 설계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등을 토대로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 표준화 구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관련법규, 기술기준 제정이 필요하다. 둘째. 피난 안전층 및 피난 안전구역에 대한 기술기준이 필요하며, 이상 규모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에는 화재영향평가와 성능위주설계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인공지능형 종합 소방 방재관리 시스템 구축과, 제연설비의 설계기준에 대한 보안이 필요하다. 넷째. 내화성능 및 내장 재료의 성능기준을 제정 할 필요가 있다. In a country which is densely populated due to the centraliza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s in a narrow land, construction of supertall buildings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which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population effectively. Especially, it is likely that supertall buildings will be utilized to meet the demand of urban dwellers for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various living spaces and that they will be used as a way to redevelop the center of urban areas and build regenerated cities. Despite changes in the environment, however, it is a fact of fire protection life that there are no systematic mechanisms or technical standards for achieving fire safety performance of supertall buildings. Thus, this study trie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levant local standards and the standards of advanced countries. Summarized below are the results of studies on establishment of standardization of fire safety performance of supertall buildings, based on analysis of fire cases and problems in the design processes. Fir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levant regulations and technical standards for achieving fire safety performanc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echnical standards on safe escape floors and safe escape areas.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mechanisms by which fire risk assessment and performance-based design can apply to supertall buildings which exceed certain siz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mprehensive intelligent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s and complement the design standards on smoke control system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of interior materials.

      • 초고층 건축물의 재난 발생 시 피해 경감 대응을 위한 상황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여상규 경원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사회가 복잡 다양화 되어가는 현재, 건축물은 기본적인 용도 이외에 미적 디자인과 동시에 그 지역의 상징물이 되어 갈 만큼 독특한 양식의 대형복합 초고층 건축물이 양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고층 건축물의 증가로 도시는 기존 소규모 건축물과는 비교가 안됄 정도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유발 할 수 있어 집중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재난상황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량적인 재난관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며, 야기될 수 있는 제반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초고층 건축물 내에 존재하는 잠재적 위험요인을 발굴하여 사전에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에 관한 사고대응의 체계 확립과 사고대응 매뉴얼 개발을 통하여 사고 발생에 따른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고대응 시스템의 개발과 재난의 신속한 대응 및 재난정보 공유·전파를 위한 종합방재실의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재난관리종합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현실이다. 초고층 건축물의 재난발생시 효과적인 사고대응을 위한 방화관리자 조직의 종합방재실 운영과 재난대응시스템과 비상대응 계획수립, 초기대응을 위한 자위소방대 조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초고층 건축물의 재난관리시스템 연구를 위하여 국내, 외의 사례 및 현황, 기준을 조사 분석하고, 화재를 중심으로 방재안전상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방화관리 조직 관리를 위해 종합방재실 구축 및 운영지침 등을 적용하고 이에따른 제반 사항과 개선점 등을 연구해 본다. “제1장 서론” 에서는 국내, 외의 초고층 건축물 증가배경과 이로 인한 재난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며, 잠재적 위험성에 따른 재난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의 방안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초기대응을 위한 다양한 절차와 범위를 제안한다. “제2장 초고층 건축물의 분석과 재난대응관리” 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정의와 특징, 그리고 일반적 현황과 특성을 분석한다. 이들 건축물의 방재안전상 초고층 건축물의 물리적 특성, 사회적 및 기술적으로 분석하고 화재위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며, 또한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피난과 국내외 기관의 비교를 통해서 재난 대응 체계의 현황과 연계기관의 재난 대응 체계에 대하여 분석을 하여 국내에 적용하고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한다. “제3장 재난관리종합시스템 및 종합방재실 연구” 에서는 종합방재시스템의 실태와 국내,외 초고층 및 복합 건축물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방재실 운영상 문제점과 예방차원의 초고층 건축물 방화관리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제4장 재난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방안” 에서는 국내, 외의 종합방재실 구축 모델을 기초로 보다 효율적인 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모델 개발에 대하여 논한다. “제5장 결론” 에서는 초고층 건물에 종합방재실의 이상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고층 건물은 건물의 발전에 비해 방재시설이나 재난 및 화재 발생 시 대응 시스템이 부족한게 현실이다. 하지만 앞으로 초고층 건물, 지하가, SHOPPING MALL과 같은 대규모 공간이 출현하고 산업분야에 이와 같은 기술이 전파되면서 이 분야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고, 이에 따라 요소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할 전망이 있다.

      •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재난안전성 고도화를 위한 예방·피해경감 계획수립 및 대응 연구 : 복합리조트 중심으로

        임성빈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82

        본 논문은 재난의 위험성이 큰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예방·피해경감 계획수립 사례를 통해 관련 제도의 적용대상 범위확대 방안을 제시하여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재난안전성 고도화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21년 기준 국내 초고층 건축물등의 현황은 총 418개소로 초고층 건축물 120개소,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298개소가 전국에 있다.1) 최근 5년간 증감 현황은 19개소 증가로 연평균 5%가 증가하였다. 건축물이 점차 복합화, 고층화될수록 발생하는 재난의 유형과 규모도 다양화, 대형화됨에 따라 건축물의 재난위험성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초고층 건축물등을 대상으로 건축물의 사전 재난영향성 평가를 위한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평가제도를 시행하고 각종 재난으로부터 초고층 건축물등의 관계인, 이용자, 거주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초고층 건축물등에 해당하지 않는 준 초고층 건축물이나 대규모 복합건축물은 재난에 대한 평가제도 및 예방·피해경감 계획수립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등에 해당하지 않는 대규모의 복합건축물을 대상으로 재난예방·피해경감 계획수립 및 대응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 재난안전 동향 및 사례분석을 통해 재난의 위험성을 도출하였다. 건축물 재난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화재위험성을 분석하고 건축물 관리주체의 재난안전 의식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건축물 재난관리 현황의 한계성을 도출하였다. 건축물 관련 평가제도, 매뉴얼, 법규 분석을 통해 현재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의 한계성을 도출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재난안전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에서 도출한 위험성과 한계성을 근거로 건축물 관리주체의 안전관리 업무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의 적용대상 및 법정계획서 범위 확대에 관한 법령개정(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대상 복합리조트의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 수립 방안으로 설계도면 검토 및 체크리스트를 통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 복합리조트의 기본현황, 화재 및 유지관리 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섯째, 재난유형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대상 건축물의 재난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재난은 총 8가지의 재난으로 특성요인도 분석을 통해 재난의 취약성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여섯째, 재난안전관리 조직에 따른 재난유형별 예방·대응 계획을 수립하였다. 초기대응체계 수립을 위해 초기대응대와 자위소방대를 편성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조직을 구성·운영하였다. 대응적 차원으로 8가지 재난유형에 대응을 위한 재난 대응판단기준에 따른 대응흐름도와 임무별 대응절차를 계획하여 재난유형별 대응·응원·전파 계획을 수립하였다. 예방적 차원의 위기상황 훈련시스템 체계 구축을 통해 훈련 시나리오 및 흐름도의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였다. 일곱째, 재난유형별 예방 및 대응 계획의 표본을 제시하였다. 소방청에서 2015년 11월에 배포한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 수립 세부지침은 전체 구성 중 일부항목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작성예시만 제시되어 있고 2015년에 작성된 내용으로 최근 건축물 재난발생 동향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에서 검토한 지침 및 매뉴얼의 미흡사항을 보완하여 건축물 관리주체가 참고 및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작성내용 및 도식화의 표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축물 재난의 특성 및 개념을 정립하고,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재난안전성 확보를 위한 Passive System, Active System이 반영된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대해 범정부적 차원에서 제안하는 법령개정(안) 검토와 연구내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건축물의 재난안전성 고도화를 위한 재난관리 토대 마련 및 건축물의 재난안전 수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는 바이다.

      • 초고층건축물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용도와 평면형식 그리고 외피에 따른 형태를 중심으로

        염인선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51

        급변하는 시대 속 인류의 산물 중, '수직의 도시'라 칭할 수 있는 초고층건축이야말로 국가의 도시 아이콘을 상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매개물중 하나일 것 이다. 현재 초고층 건축은 도시기능뿐 아니라 새로운 사회문화의 패러다임(PARADIGM)을 제시할 수 있는 상징적인 가치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제 수많은 마천루디자인을 접하게 된 현시점에서 초고층 건축이 그동안 보여 준 외부형태 실질가치는, 시대별로 충분한 검토와 정리가 필요한 재고(再考)요소임을 인지하게 된다. 더불어 향후 미래의 초고층, 그 아름다움의 결정을 추론해볼 수 있는 현재 계획 중인 프로젝트의 경향분석도 함께 생각해볼 가치 있는 요소라 사료된다. 초고층 외부형태의 상징성의 가치는 프랑스 에펠탑(LA TOUR EIFFEL)의 예시로 조명해볼 수 있다. 건축가 귀스타프 에펠(ALEXANDRE GUSTAVE EIFFEL, 1832~1923)의 디자인에 엔지니어 모리스 쾨흘린(MORRIS KOECHLIN, 1856~1946)의 구조 설계로 지어진 철탑은 당시로서는 말 그대로 '획기적'인 건축물이었다. 에펠이 만국박람회에 이 탑의 건축을 제안했을 때만해도 '위험한 공사' 및 '흉물스럽다'라는 여론의 반대급부에 시달렸으나, 완공 후 파리의 도시오브제의 상징으로 사랑을 받으면서, 개장된 뒤 120년 동안 이 탑을 방문한 사람은 2억명이 넘게 된다. 즉 초고층 건축 하나로 경제적 가치창출의 모티브가 된 것이다. 초고층 건축의 디자인형태는 결국 도시재생, 랜드마크(LANDMARK)적인 입지요소로서 도시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경제가치의 선진적인 예시임이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 초고층건축의 디자인의 형태는 다양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형태가 실현 불가능할 것이라 믿었던 초고층건축은, 시공 및 디지털기술력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 기하학적인 형태에서 자유로운 형태(FREE FORM)를 구사하는 것으로 함께 커나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초고층건축의 자유로운 형태에 따른 '용도와 평면형식'도 함께 생각해 볼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논문의 중점대상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시금석(試金石)으로서의 '초고층건축형태의 경향분석'과 여기에 세부적으로 '용도별 평면형식과 외피의 형태'의 상호관계가 주요 연구대상이다. 즉, 그동안 진행된 초고층건축형태의 시대별 경향분석과 동시에, 초고층건축계획에서 간과(看過)해서는 안 될 '형태구성의 고찰'을 통해 '21세기 초고층 형태에서 보여주는 보편적인 디자인 방향성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본다. 이를 통해 향후 전개될 드라마틱(DRAMATIC) 초고층 건축형태의 향방을 미리 가늠해보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Reflecting rapid changes in cultural trends and as one of the most notable human artifacts, 'Super Tall Building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visible icons of cities around the world. Not only do super tall buildings serve functional roles in cities where they are found, but they also hold significant symbolic value, indicating potential shifts in social and cultural trends. Given preponderance of super tall buildings in various designs at this point, it would be worthwhile to evaluate external forms of super tall building and their evolution over time. Also analyses of currently planned super tall building projects could help us understand key evolutionary trends and aesthetics. One of the best examples that illustrates symbolic value of external form of super tall buildings is LA TOUR EIFFEL in Paris. When it was first designed by Alexander Gustave Eiffel (1832~1923) and constructed based on Morris Koechlin's (1856~1946) structural design, it was considered a truly 'revolutionary' piece. When Eiffel first proposed LA TOUR for Paris World Expo, the overwhelming public reaction was that it would be 'ugly' and also the actual construction would be too dangerous. However, since its completion more than 120 years ago, LA TOUR EIFFEL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memorable objects of the city and over 200 million people have visited it. A single super tall structure has helped generate tremendous economic value. This illustrates design of super tall buildings could serve as key catalyst for renewals of cities, enhancing public image of them and add significant economic value. Recently, various new forms of design have become possible for super tall buildings. Advances in construction and digital technologies made possible design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as infeasible for super tall buildings. From simple geometrics shapes, now super tall buildings can take on various 'Free Form Shapes'. The emergence of free form super tall buildings points to critical need of examining 'Usage and formality of floor plans' of these buildings. The key focus of this thesis is 'Design Trends of Super Tall Buildings', more specifically relationship between 'Formality of Floor Plans and Envelope Forms' of super tall buildings. That is, in addition to an assessment of historical evolution of super tall building designs, structural forms of those buildings have also been examined with a view to uncovering potential future prevailing designs of super tall buildings in the 21st century. The key objective is to assess directional changes in future evolution of super tall building designs that can only be characterized as nothing short of 'Dramatic'

      •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 공개공지의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이순학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35

        In modern times,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the resulting land shortage have pushed the construction of massive, high-rise, and multi-use residential complexes. The outdoor space at a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 is a vital component, serving both as a transverse and structural space, and also as an organized planning factor in creating an external environment for the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 With the recent crop of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es, concerns about outdoor space have risen, as every construction company competes in reflecting the residents’ demand for outdoor space, which in turn directs the discrimination of the outdoor space plan. Such outcomes have produced more improvements in quality than in allocated external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constructed in the past. Although multi-purpose apartments in Seoul have been granted with incentives such as the deregulation of floor space index, the green-belt and proximal parks provided for public use have been closed by such apartments, and this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Also, it is a fact that current housing projects are undertaken with a focus on profitability, resulting in the further deterioration of general citizens’ access and utilization of external space at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idle public land among the external space surrounding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es in the center of the city. We also examined the general problems with the public open space adjacent to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five selected apartment complexes. In this paper, we aim to extract general problems with the public open space of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es based on the analyzed data, and present an external space planning method to enhance its public character. The scope of this research includes the assessment of public open space and analysis of problems in the aspect of identification, access, convenience, linkage targeted for the public open space among the external aspects of super-high-rise apartment complexes. We selected super-high-rise apartments in Yongsan, Yeoido-Dong, Seocho-Dong, and Jayang-Dong. To comply with our set time period, only those apartments completed since the 2000s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was a four-stage process: in stage 1, we considered the definition of a super-high-rise structure, the features of external space and public open space, and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laws based on existing references, related laws, and data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external space at super-high-rise residences. Stage 2 focused on existing research references and theses,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problems with external and public open space in super-high-rise apartment residences. In stage 3, we selected super-high-rise apartment residences, compared and assessed them focusing on the public open space of external space, and examined the problem. Finally, in stage 4, we came up with a plan to revitalize public open space at the external space plan of super-high-rise apartment residences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e materi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our selected subjects for the public open space index, most public open spaces are judged to be unrecognizably positioned or difficult to identify. In the future, it should be made a practical management measure to make the installation of public facility signals in public open space obligatory, and guide and publicize the presence of public open space to occupants (scheduled). Second,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and recreational facilities for most public open space were lacking, resulting to a low extent of usage of public open space. To stimulate the use of public open space,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present the installation obligation of recreational and convenience facilities considered to naturally and smoothly conduct activities such as recreation, dialogue and walking. Third, concerning the general public using public open space, much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was found. In particular, the subjects of this study, super-high-rise multi-purpose apartments had remarkably narrow or constricted public open space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public to access or use them. To improve this situation, regulations should be made to clear out these obstacles to make it easy for the public to access public open space. Fourth, in the parts related to linkage, some public open spaces took on a small-scale development form, which is analyzed as a factor that constricted public open space and debased its efficiency. Linkage with the surrounding space has an effect of concentrating external space into a single public open spac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access by composing a large-scale recreational space, which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street-formed public open space, some did not consider linkage as a street landscape factor. Therefore, in the future, it should be considered prior to the urban planning stage rather than during the construction plan aspect of planning. The following are this study’s proposals for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open space based on the above-presented findings. (1) Legal provision should be established that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public signals of a fixed size indicating the existence of the "public open space". (2) public open space should be indicated in the complex lay-out (guide map) (3) A provision should be legalized requiring the installation of recreational facilities made available by general users such as benches and agora of a fixed size or spot. (4) The installation of lighting and other facilities to protect from sunlight, and rainfall should be made compulsory. (5) Civic activists and Seoul City's managerial and supervisory committee should be organized and vested with regulatory and instructive authority. (6) public open space evaluation index should be developed and a periodical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to ensure effec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7)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atus by the relevant management supervisor and occupants' representative should be instituted more than twice a year (8) Installation of regulatory provisions for obstacles impeding access and passage through public open space should be established. (9) The incentive provision to the public open space system should be diversified. (10) General re-maintenance to the provision of public open space scale as the current domestic public open space system should be performed. (11) There should be a provision to place over 1/2 of public open space area inside the outdoor space in the complex. (12) public open space linkag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especially to urban planning facilities such as small parks that are adjacent to the land. (13) Additional incentive provis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s an available facility in bad weather should be established. It is projected that the construction of super-high-rise apartments will continue in the coming years. In particular, the trends in the advance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uper-high-rise apartment residences can be said to maximize concerns about space, making the establishment of public open space vital to a society that lacks community awareness. For this purpose, system maintenance for super-high-rise apartment residences should be urgently secured, and constant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sustain the original intent of public open space. General problems and reform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future super-high-rise apartment residence complexes. 현대는 인구증가와 택지부족으로 인해 주거단지의 대규모화, 고층화, 복합용도화가 점증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초고층 공동주거단지에서의 옥외공간은 가로공간과 구축공간의 매개 역할을 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초고층 공동주거 단지에서의 외부환경을 창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계획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초고층 공동주거단지에서 옥외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거주자의 옥외공간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각 건설사들은 앞 다투어 초고층 공동주거 단지에서의 옥외공간 계획에 차별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의 공동주거단지 외부공간보다 더욱 질적인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최근 서울시내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들이 용적률 완화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 받고도 공공용지로 제공한 녹지 및 근린공원 등이 해당 아파트에 의해 폐쇄되는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주택사업에 있어 수익성 위주의 개발 사업으로 초고층 공동주거단지의 옥외공간이 일반 시민들에 의한 이용률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심 내 초고층 공동주거 단지의 외부공간 중 공공성을 대표하고 있는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고 초고층 공동주거 단지로 선정된 다섯 개의 사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초고층 공동주거 단지의 공개공지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고 공공성을 증진할 수 있는 외부공간 계획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를 위한 내용적 범위로 초고층 공동주거단지의 외부공간 중 공개공지를 대상으로 식별성, 접근성, 편리성, 연계성 측면에서 공개공지를 평가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공간적 범위로는 최근 초고층 주거건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서울 도심의 용산지역과 여의도동, 서초동, 자양동 일대의 초고층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시간적 범위로는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공개공지가 초고층 공동주거단지 계획단계에서 실질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건설이 활기를 띄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에 준공된 사례로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네 단계의 연구과정을 거쳤으며 구체적으로 1단계에서는 초고층 공동주거의 외부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존 문헌과 관련법,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초고층의 정의, 외부공간 및 공개공지의 특성, 국내·외 관련법 등을 고찰하였다. 2단계로 기존 연구문헌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초고층 공동주거 단지 외부공간 및 공개공지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3단계에서는 초고층 공동주거단지 사례를 선정 후 외부공간의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비교·평가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앞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고층 공동주거단지 외부공간의 계획에서의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공개공지 분석을 위한 분석지표 중 식별성 항목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 대부분의 공개공지가 일반 이용자들이 인지할 수 없는 위치이거나 공개공지 식별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공개공지의 공공시설 안내 표시를 의무화하고 공개공지에 대한 입주(예정)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안내 및 홍보 등의 실질적인 관리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공개공지 이용을 위한 편리성 측면에서의 연구결과 대부분의 공개공지가 이용자를 위한 편의 및 휴게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공개공지의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일반 이용자의 공개공지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개공지에서의 휴식, 대화, 보행등의 활동(행위)들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배려된 휴게 및 편의시설의 설치의무화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반대중이 공개공지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불편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했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경우에는 공개공지의 폐쇄화 현상까지 보이고 있어 일반 이용자가 공개공지로의 접근과 통행,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 공개공지로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장애요소 등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공개공지의 연계성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공개공지들이 소규모 개발 형태를 취하고 있는 사례가 있었으며 이것은 공개공지의 협소함과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주변 공지와의 연계는 분산된 옥외공간을 하나의 큰 공개공지로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어 대규모 휴식공간을 구성하게 됨으로 이용자의 활용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만큼 설계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질 필요가 있다. 반면, 가로화 된 공개공지의 경우 가로 경관 요소로서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은 사례가 있었으며 향후 이러한 공개공지를 계획 시 건축계획적인 측면보다는 도시계획적인 단계에서 선행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은 본 연구의 제안으로서 앞서 제기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향하고 있는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공개공지 내 ‘공개공지’임을 알리는 조형물 또는 안내표지판을 일정크기 이상 설치하는 법조항 신설 (2) 단지 배치도(안내도)에 공개공지의 표시를 권장 (3) 벤치, 파고라 등 일반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일정규모 및 일정개소 이상 설치해야하는 규정의 법제화 (4) 햇빛, 우수 등을 피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 및 조명시설의 설치 의무화 (5) 시민단체와 지자체가 중심이 되는 관리·감독 위원회를 구성하며, 규제 및 지도 권한을 부여 (6)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공개공지 평가지표 개발 및 일정 주기별 평가 실시 (7) 해당 관리소장 및 입주민 대표에 의한 년 2회 이상의 유지·관리 실태 및 현황 을 보고하도록 제도화 (8) 공개공지로의 접근 및 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설치규제 조항의 신설 (9) 공개공지 제도에 대한 인센티브 규정의 다양화 (10) 현행 국내 공개공지 제도의 경우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바 공개공 지 규모 규정에 대한 전반적인 재정비가 필요 (11) 공개공지 면적의 1/2이상 면적을 단지 내 옥외공간에 배치하는 조 항 신설 (12) 소공원 등 도시계획시설이 대지에 인접한 경우 공개공지의 연계설치제도 신설 (13) 악천후 시 이용 가능한 구조로 공개공지 설치 시 추가 인센티브 조항 신설 불과 몇 년 사이 우리 사회에서 초고층 아파트에 대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고 향후 이러한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건설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초고층 공동주거단지의 고급화, 명품화를 추구하고 있는 추세에서 사유공간에 대한 관심이 극대화 되고, 커뮤니티 의식이 결여되어 가는 현대 사회에 있어 공개공지의 역할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 초고층 공동주거단지에 대한 제도정비가 시급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공개공지 본래의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공개공지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과 개선사항은 향후 초고층 공동주거 단지 계획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 초고층건물의 형태 및 외관특성에 관한 연구

        진안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34

        Since the founda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China has entered a new transitional period both in culture and architecture. Around this time, modern buildings in China took a new urban form in terms of the number, size, type, and location of the buildings. Following the economic reform in the 1980s, through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 to industrial society, the population density in cities grew drastically and, therefore, efficient land use became critical because of rising land prices. As a result, special economic zones where capitalistic investment is allowed under the socialist system were designated, which created many skyscrapers that were designed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mage. Particularly, large cities like Shanghai, Tianjin, Hong Kong, and Guangzhou are typical examples of such phenomenon, and, since the 20th century, skyscrapers enhanced national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image as corporate symbols throughout China. Skyscrapers in China are known to include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and historical background. In that l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in form and appearance of notable skyscrapers in China. Based on the analysi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kyscrapers in Chin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pression of traditional elements Chinese architecture expresses detailed aesthetics through traditional elements. However, designing skyscrapers based on details can cause many problems. Therefore,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that is simple yet can preserve the national identity was adopted. The most symbolic element is a ‘tower,’ and high-rise buildings symbolize towers in a simple structure. Expression of artistic elements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emphasized artistic expression, especially, in landscape paintings. However, without understanding these expressions, foreign architects proposed buildings of a strange shape in China. Only I.M.Pei understood the artistic expression of China. Expression of cultural elements Culture is the most promine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form of skyscrapers in China. Shanghai World Financial Center symbolizes eternity and ideal harmony, with the large square opening. Particularly, the circle denotes the sky and square the ground, thereby, relentless effort, bas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his system incorporates heaviness when the building touches the ground, and lightness when it touches the sky. While using geometric expressions in designing skyscrapers, China, which is relatively less developed, emphasizes lines like in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e, to focus on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buildings.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창립된 후에 중국은 문화뿐만 아니라 건축에서도 새로운 역사적 변화기에 진입하였다. 이 시기 중국 현대건물은 건물수, 규모, 유형, 지역분포 및 현대화로 새로운 도시적 형태를 나타냈다.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산업사회로의 진입을 통해 도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도시의 인구밀도는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고 지가 상승으로 인해 토지 효율의 극대화가 필수적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주의 체제에도 자본주의식 투자가 가능한 경제특구를 지정하여 활발한 국제교류와 함께 국가 경쟁력 및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많은 초고층건물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홍콩(香港), 광저우(廣州)등의 대도시가 대표적인 사례이며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기업의 상징으로서 국가 경쟁력, 기업의 기술력 및 이미지 등을 부각하는 초고층 건물들이 중국 전역에서 나타타고 있다. 중국의 초고층건축물들에는 중국 전통의 건축문화, 건설 방법,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유구한 역사배경 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초고층건축의 주류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대표적인 초고층건출물의 형태 및 외관에서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초고층건축물의 형태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전통적 요소의 표현 중국건축은 전통적인 요소를 통하여 세부적인(细节) 미를 표현하였다. 하지만 초고층건축을 세부적인 사항까지 고려하여 설계한다면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간단하지만 중국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고대건축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가장 상징적 요소인 ‘탑(塔)’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높은 건축은 간결한 구조로 탑의 형태를 형상화하였다.  예술적 요소의 표현 중국 전통건축에서는 예술적 표현을 매우 강조하였다. 특히 산수화로 많이 표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외국건축가들은 중국에서 기이한 형태의 건축물을 제시하였다. 아이 엠 페이(I.M.Pei)만이 이러한 중국의 예술적 표현을 잘 이해하였다.  문화적 요소의 표현 문화는 중국초고층건축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들 중에 비중이 가장 높다. Shanghai World Financial Center는 상층부의 커다란 사각형 개구부의 상징성은 영원과 조화의 이상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하늘을 표현하는 원과 세속적인 노력을 반영하는 땅은 사각형으로 표현한 것은 전통적인 중국문화에 뿌리를 둔 것으로, 이러한 표현방식은 건물이 땅과 만날 때 가지는 무거움과 하늘을 만날 때의 가벼움으로 표현하고 있다. 입체미와 기하학적인 표현으로 초고층을 설계한 반면 상대적으로 발전이 뒤쳐진 중국에서는 라인을 강조하는 중국만의 건축적 특성을 초고층건축에 나타내어 심미적 의미에 중점을 두었다.

      • 도시재생을 위한 Green Tower 계획안 : 도시 건축물의 공공성 확립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ervice in urban architecture

        김이태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7

        오늘날 도시계획에 있어 범세계적인 화두는 지속 가능한 도시의 환경 구축이다. 산업혁명 이후 도시는 평면적인 양적 팽창으로 집중되면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심각한 환경오염이 대표적인 사례이고 도시로 모인 도시민의 삶의 다양성이 무시되었다. 도시구조는 녹지와 공공영역은 사라지고 사유지로 확장 및 발달 되었으며 물리적 단절을 초래했다. 짧은 시간 급속한 변화의 과정을 겪은 한국의 대표도시 서울은 심각성이 더하다. 본 연구는 서울도시의 과도기적 단계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인식하고,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찾고자한다. 집적화(Compact city)의 개념이 도입된 초고층 건축물과 공공성의 확립이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열쇠가 될 수 있다. 전 세계 최고 밀도의 거대도시, 단절된 도시구조를 가진 서울도시의 해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issue of all around world is constructed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in urban planning.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ity has raised many problems as development zeroes in two­dimensional quantitative expansion. Environmental pollution is typical example and life diversity of citizen was ignored who flooded into the city. A city structure has been expanding and developing from green areas and public space into the private land, as well as caused physical severance. Seoul of a typical city in Korea is more serious through a rapid change process in a short time This paper realizes the problem what occurred through transitional phase in Seoul and finds a solution to the problem from an urban regeneration point of view. High­rise building with idea of compact city an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ervice could be the key point to solve an urgent problem. It can be proposed to the direction of solution of the Seoul­city with severed city structure, as a megalopolis of the world's highest density.

      • 초고층건축물의 피난 및 방화시설에 관한 연구 : 서울 제2롯데월드를 중심으로

        권덕필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제의 발전에 따라 도시에 인구가 밀집되고, 유한한 지역에서 인구의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사람들의 편의를 위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등의 증대로 한정된 도시의 토지비용은 예전과 다르게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이는 도심에서의 제한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경제적 부가가치를 상승시키고자 건축물의 수직적 확장 등의 필요성을 더욱더 부각시켰다. 반면에 이러한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함의 대가는 아이러니 하게도 위험성의 증대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서울에 2017년에 완공된 지상123층, 지하6층 높이 555m의 초고층건축물인 제2롯데월드에 대한 화재발생시 대형 인명·재산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피난 및 방화시설에 관한 연구를 하기로 하였으며, 본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관계법규의 확인, 강원대학교 및 국회도서관 등에서 논문 등에 대한 고찰, 그리고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중앙소방학교의 연구사례, 외국의 논문 등을 참고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판단할 때,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안전 확보는 예방적인 측면으로 외장재의 불연화를 사용과 외벽을 통한 연소확대를 방지 그리고 성능위주설계와 화재안전기준을 상호 보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관리적 측면으로 소방안전관리자 및 보조소방안전관리자는 소방계획서를 통한 자위소방대의 유지 및 피난·방화시설에 대한 적법한 유지관리가 요구되고, 대응적인 측면으로는 자위소방대 등의 능동적인 초동조치와 출동한 소방대원의 신속한 인명구조 및 화재진압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