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체육관에서 스피커 배치방식에 따른 실내음향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주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실내음향특성을 파악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국제규격인 ISO에서 제안하는 무지향성 표준음원을 사용하여 실의 음향특성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건축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 즉, PA시스템을 통해 음향적 쾌적상태를 느끼게 된다. 특히 학교체육관은 비교적 체적이 크고 다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PA시스템의 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체육관에서 사용되는 PA시스템에 따른 실내음향특성을 파악하여, 체육관 음향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먼저 무지향성 표준음원에 따른 실내음향특성과 기존 PA시스템의 집중, 분산, 집중분산배치방식을 주파수 대역별로 측정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체육관별 위치에 따른 차이를 스피커 배치방식별로 상호 비교 분석하여 학교체육관의 음향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잔향시간과 초기감쇠시간의 관계를 보면, 무지향성 표준음원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설비음원은 초기감쇠시간이 훨씬 길게 나타났다. 이는 설비음원의 강한 지향특성으로 인해 다중의 직접음을 연속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나. 집중방식에 따른 실내음향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요 마감이 반사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중심부에서 측면부로 갈수록 초기반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량이 풍부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집중형 스피커로서 무지향성이 사용된 경우에는, 지향성 클러스터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비교적 확산음장이 형성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분산방식에 따른 실내음향특성을 분석한 결과, 1층과 2층 부분에 스피커가 고르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에 상관없이 유효한 반사음이 도달하였으나, 편중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음에 대해 유효한 반사음의 도달량이 적어지면서 부분적으로 음향적 장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집중분산방식은 각 배치방식과 수음점의 거리에 따라 직접음이 도달하는 시간차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특성은 초기 음에너지에 대해 음이 보강되는 역할이 이루어지지 않고 실의 명료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sound source which is generally used to seize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is the omni-directional sound source which ISO recommends for. However, most people feel the acoustical comfort state through the speaker, PA system has been installed in the room. Especially, because the school gymnasium has the great volume and are used to the multi-purpose, it is very difficult to operate PA system matching the purpos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coustic design by getting at the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A system used in the school gymnasium. Th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ccordance with the ISO 3382. The source used in the study were four types; omni-directional, centralized, distribution, the combination of centralized and distribution sound source system. Omni-directional system is the thing that ISO recommends for the acoustic test and the others have the speakers installed on the wall, column, and ceiling in the school gymnasium for sound reinforcement. The result is as follows. a. From the relation between reverberation time and early decay time, it is found that two values were comparatively similar in the case of omni-directional sound source, but the latter was longer than the former in the case of PA system. The reason is considered that the strong directivity of public address system caused multiple direct sound to be heard sequently. b. Analyzing the centralized systems, when their main finishing were composed of reflective materials, the richer sound volume, and it is because that initial reflection was made effectively the closer to the boundary the receiver. Using omni-directional sound sources as a centralized system, it was found that diffuse field was formed well comparing with directivity cluster system. c. Analyzing the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systems, when the speakers were distributed evenly 1st ad 2nd floor, the effective reflected sound reached regardless of position. However, when the speakers were gathered on specific part, the partial acoustic impediment phenomenon were found as the effective reflected sound to the direct sound was decreased. d. In the case of the combination of the centralized and distribution systems, it is found that the time difference was appeared according to the speaker layout system and the position of receiving points. It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that influences on decreasing the definition and clarity without reinforcing direct sound to initial sound energy.

      • 태권도 체육관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태권도 체육관 경영에 관한 마케팅을 중심으로

        박정진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Korea, Taekwondo gym is more than a simple place only for the health but a place of teaching traditional living pattern and propriety. The reason of worldwide popularity of Taekwondo is the prosperity Taekwondo gyms. For this reason, the competition between Taekowndo gyms and also the similar other sport gyms has been intensified. So now, it's not the time just to open the gym and wait for the students but needed lot of effort to take competitive advantage against other gy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efficient management of Taekwondo gyms which is taking a role of promoting and developing Taekwondo, an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aekwondo gyms by strengthening the service marketing.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studies to find out the problems in the Taekwondo management, and analyzed the history of Taekwondo and present management status of Taekwondo gyms. In conclusion, to figure out the efficient management way of Taekwondo gyms,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actual condition of Taekwondo gyms management based on the present status of gyms and explained the necessity of long-term management plan. In detail, this study has told of management segmentation, intensification of marketing and mindset change of managers, and emphasized on efficient customer management, gym management efficiency improvement and acquire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with computer.

      • 태권도 체육관 경영의 촉진전략에 관한 연구

        이용기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it's called as the last sports on the earth, Taekwondo is becoming one of the sports culture in the countries of the world. While it takes long time to be settled as a sport in one country to the other sports, Taekwondo, as a enjoyable sport, takes only 20 years to be spreaded to the whole world to the people of different races, religions and ideas. So, by researching the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marketing promotion of the Taekwondo gym management which has devoted a lot to Taekwondo's worldwide popularity. This study is focusing on to setup the marketing promotion strategies of domestic Taekwondo gym management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motivations and reasons of its choosing, training and abandonment. We have gathered and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searches and publications from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to setup the meaning, characteristics and concept of marketing promotion of Taekwondo gym management, and also analyzed and researched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Taekwondo gym management and the motivations and reasons of choosing and abandonment of Taekwondo gym. In addition to these, it's suggesting the efficient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gym management by keep holding the students. As the conclusion, this study has tried to explain about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Taekwondo gym management, marketing promotion strategies and the factors needed to be considered to setup its strategies. Also, it has analyzed and researched the reasons of choosing and abandoning of the gym of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suggested the research point of further future of this study.

      • 대형 실내체육관의 음향특성에 관한 연구

        梁萬宇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문화의 발달과 국민들의 의식수준 향상으로 인하여 각공 집회, 강연회 및 각종행사 등을 위한 대형 실내공간이 요구됨에 따라 대형 실내체육관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이러한 대형 실내체육관은 그 특성상 대부분 체육활동과 행사장 등 다목적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잔향시간과 명료도 등 여러 가지 음향특성을 만족해야하므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실내음향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 건설된 대형 실내체육관의 경우를 보면 설계단계에서 체육관 구조 특성상 기둥이 없어야 하며 음이 집중되는 돔(dome) 형태로 건축음향적 고려는 거의 하지 않은 채 시공되고 있으며 음향적 결함이 발생하면 실내음향 설계를 통한 보수공사를 행하고 있어서 이로 인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심하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시공된 실내체육관은 그 형태나 평면을 변경 할 수 없기 때문에 음향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흡음재를 부착하거나 전기음향적인 방법에만 의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 실내체육관 구성형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음향적으로 문제시되는 돔(dome) 형태로 기존에 건설된 대형 실내체육관을 대상으로 현장측정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의 가능성과 실내음향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대형 실내체육관 설계시 음향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현 상태의 대형 실내체육관은 아주 대규모 공간일 뿐 아니라 음을 집중시키는 돔(dome)형으로 되어 있어 울림 및 명료도 저하를 예견할 수 있었으며 현장측정 결과 SPL은 좌석별 최대·최소 5dB 내외의 불균일한 음압분포를 보이고 있다. 울림에 관한 지수인 RT은 최적잔향시간 1.8초에 비해 7.78초로 나타나 많은 울림을 예견할 수 있었으며, EDT은 7.7초로 좌석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명료도에 관한 지수인 D_(50)은 19%로 음성정보전달에 많은 어려움과, C_(80)은 -5.7dB로 음악명료도 허용값 범위에 벗어났다. 이해도에 관한 지수인 RASTI는 39.5% Poor(잘 알아듣질 못한다) 등 모든 음향성능지표들이 체육관으로서 많은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2. 무지향성 음원(DO12)을 사용한 경우 음원과의 거리가 가까움과 초기음에너지에 영향을 받는 좌석에서는 명료도와 이해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음원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당히 음향성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음향설계의 기준 주파수인 500Hz에서는 좌석별로 음원과의 거리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잔향 시간을 제외한 모든 음향평가지표에서는 좌석별로 크게 차이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Recently, the large gymnasium has been built by the cultural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conscious the large gymnasium has been used musical and lecture utilities. The multi-purpose hall must be considered to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gymnasium room. For these purpose, the large gymnasium room in W university were selected. To satisfy it's faculty, it is necessary to make a room Acoustic design. But, In the case of recent large gymnasium in domestic,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arried out by excluding cellars at the design stage for the peculiarity of techniques, which means it doesn't concern about the architecture acoustics and construct a dome structure where there are gravitation of sounds. For gymnasium structure's particualarity, it shouldn't have column. If there are some sounds defects, the maitenance work by carring out the room acoustics design. Therefore, it costs a lot of expenses and spends long period. As well as there are some difficulty that depend on only sound-absorbing power or electric acoustic method, to improve acoustic capacity gymnasium because of the plane and form can't be transformed.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coustic design by measuring, computer simulation and analysing the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gymnasium room in university. And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gymnasium room were experimented and analysed by physical parameters such as SPL(Sound Pressure Level), RT(Reverberation Time), EDT(Early Decay Time), D_(50)(Definition), C_(80)(Clarity), RASTI(RApid Speech Transmission Index). Field measured data and computer simulation data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simulation. The results is as follows, 1) The large gymnasium have a huge space and gravitation of sounds it was possibly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a decline of an echo and definition field, and the measurement on the spot indicated that there were 5dB irregular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sound pressure among the seats. As against Optimum Reverberation Time 1.8 sec appeared 7.78 sec, Early Decay Time it means there were huge gap among the seats appeared 7.7 sec, Definition difficultly to speech recognition appeared 19%. Clarity go wide a permitted limit appeared -5,7dB, RApid Speech Transmission Index were shown Poor 9.5%. According to the index of acoustic capacity, the place has got a lot of problems as a gymnasium. 2) Definition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seats, however, turns to be favorable at the seat which is in near distance and effected by primary acoustic energy, when Omni Directional sound source is carried out. It says that there would be more deffects of acoustic capability by being further from the sound source. Moreover, there are huge difference among the seats in every acoustics parameter except for RT which doesn't really matter with distance between a seat and the sound source in the case of 500Hz, the standard frequency of acoustics design. 3) The presuppositions of the room acoustics parameter has a regular curved-line pattern in every frequency field at the seats, but the measurement on the spot indicates little different curved-line result in each seat by peculiarity of the room sound field and every. 4) In 500Hz, the standard frequency of acoustics design, there are similar patterns between the presupposition and the measurement on the spot. And it means that the presupposition is quite reliabl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lative evaluation of inner space by computer simulation is not only practical, but quite possible for bands of 500Hz. It would be able to minimalize the sound deffects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processing system from the beging of design stage in the concern of the acoustical peculiarity of grand gymnasium.

      • 한·중 태권도 체육관 비교 분석을 통한 경영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우계초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태권도 체육관 경영 현황을 비교 연구하여 그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태권도 체육관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마케팅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울의 D태권도 체육관과 중국 북경시의 B태권도 체육관을 선정하여 시설 프로그램 법령절차, 홍보방법, 운영조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에 비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규모나 내용면에 있어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현황은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보다 2배의 넓은 체육관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장애자 수련생을 위한 배려도 잘 되어 있었다. 또한, 중국 북경시의 B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수련자가 시설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혼잡함을 없애 이용이 편리하게 배치된 반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거의 수직적으로 설치되어 동선이 긴 관계로 시설의 이용에 있어 상당히 혼잡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시설의 이용 시간 및 방법은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오후 2시부터 오후 9시까지 1일 7시간,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오전 10시부터 체육관의 경우 매주 토ㆍ일요일이며,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토요일 오후나 일요일에 휴관을 하였다. 휴관일에는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이용을 할 수 없으나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토요일 오후시간을 이용해 수련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3) 이용요금(수련비, 심사비)의 경우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은 서울시 태권도 협회 및 각 지역 태권도 협회나 지역 태권도협회의 규정요금이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시ㆍ구의 실정에 맞게 관장 임의로 수련비를 책정하여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운동시간 및 프로그램 현황은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1일 수련시간은 50분, 주 5회 운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출석은 관장이나 사업이 직접 출석을 부른다. 운동 프로그램으로는 겨루기, 품새, 게임 등으로 실시하며 예절, 지도력, 책임감, 자신감 등의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수련경도는 상황에 따라 강도를 맞추는 형식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반면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1일 60분 주 5회 운동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겨루기, 품새, 게임, 시범발차기, 태권도 이외에 우슈의 기본동작 및 발차기 등의 운동 프로그램과 예절, 지도력, 책임감, 자신감, 등의 인성교육 위주의 수련을 하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한국에서의 태권도 체육관 개설을 위한 제도적 법령절차는 지도자의 자격조건 구비가 필수적이며 시ㆍ구청 등록, 세무서 등록, 각 지역 태권도협회 가입 등을 마쳐야 하지만 중국에서는 태권도 체육관 개설시 각 시ㆍ구에 설립된 '체육국'의 법령절차에 따라 접수를 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도자의 자격조건에 대해서는 경기실적 증명서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에 비해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홍보방법에 있어서는 아직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과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 모두 관원의 가족 및 동료집단에 의한 홍보를 가장 영향력 있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광고전단지 배포, 포스터, 상가 안내책자 광고, 전화번호부 광고, 프랭카드, 상가 및 아파트 승강기 스티커 광고, 태권도 시범, 경영자의 가정방문 등의 방법이 있었고,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은 광고 전단지 배포 및 포스터, 체육관 프랭카드, 태권도 시범, 관원의 가족 및 동료집단에 의한 홍보, 지방지역신문 광고 등을 통하여 홍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의 운영조직은 관장 1명과 사범 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의 B태권도 체육과의 운영조직은 관장 1명과 사범 3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D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전반적인 경영은 관장이 책임, 관리 및 지도하고 사업은 수련생 지도, 통학버스운전, 체육관의 청소 및 정리정돈, 수련 프로그램 개발, 학부모 상담 등 1인 3역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B태권도 체육관의 경우 관장의 역할 은 한국의 태권도 체육관 관장의 역할과 흡사하며, 사업의 역할은 수련생 지도, 체육관 청소 및 정리 정도, 수련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있어 한국의 D태권도 체육관보다는 관장과 사범의 역할이 분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of Taekwondo gymnasiums by comparing the management facts of gyms in Korea and China,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marketing plan needed in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gymnasium. D gym in Seoul, Korea and B gym in Peking, China were selected and compared of their facilities, programs, legal procedure, public relation method, and administration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B gym in Peking, China, D gym in Korea is far behind in the size and the contents of program. as to the facility, B gym in China has 2 times larger facility than D gym in Korea, and is providing careful concern for the handicapped trainees. Also, B gym in China arranged the equipments in such a way that the trainees could use the facility in ease, not in congestion, while D gym in Korea placed the equipments almost in a line, resulting in a long action path, which caused fair congestion in using the facility. 2) As to working hour and service information, D gym in Korea is open from 2 p.m. to 9 p.m., 7 hours a day B gym in China is from 10 a.m. to 9 p.m., 11hours a day. Closed day is every Saturday and Sunday at D gym in Korea, and Saturday afternoon or Sunday at B gym in China. On the closed day, D gym is not available to the trainees but B gym is open to the trainees in Saturday afternoon, providing the trainees with chances to use freely the facility. 3) As to the charge (tuition and examination fee, etc.), D gym in Korea follows the regular charge of Seoul Taekwondo association and the local ones, but in china, there is not any regular charge set by china Taekwondo association or each local ones, so, individual director of gym decides the charge at his discretio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uty or the district, and takes it from the trainees. 4) As to training hour and training program, D gym in Korea is training for 50 minutes a day, and 5 day a week. The director or the instructor calls the traninees' names personally. Exercise program is composed of Kyorugi, Poomsae, and competition, and personality training on manner, leadership,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is practiced. Training strength depends on the situation. In B gym in China, thy do training for 60 minutes a day, and 5 days a week. Their exercise program is composed of Kyorugi, Poomsae, and competition, test Palchagi, and besides Taewondo, basic actions and Palchagi of Kung Fu. They do personality training on manner, leadership,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5) Legal requirements for starting a Taekwondo gym in Korea include instructor's qualification as an absolute requirement, and registration at city hall, Ku-office, and tax office, and joining in the local Teakwondo association. But in China, they only have to apply according to the legal procedure of "Physical Education Office" of each city or gu. As for instructor's qualification requirement, they need just the certification of competition accomplishment. 6) In comparison with D gym in Korea, B gym in China was inexperienced at public relation. Both D gym and B gym use PR with the trainees' families and their fellows as the most influential method. D gym in Korea use bulletins, posters, brochures, white page, banners, sticker on the elevators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apartments, demonstration of Taekwondo, director's visiting to the trainee's home, and the likes. B gym in China use bulletins, posters, banners, Taekwondo demonstration, public relation with gym members and their fellows, advertising on he local newspapers, and the likes. 7) Administration of D gym in Korea is staffed with 1 director and 2 instructors, and B gym in China is staffed with 1 director and 3 instructors. In D gym in Korea, overall administration is charged of trainee instruction, driving the shuttle bus, cleaning and arranging the gym,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interview with the trainee's parents, and the likes, 3 roles a man. In B gym in China, the director's role is similar to D gym director's in Korea. The instructors take the charge of trainee training program, as tell us that the director and the instructors of the gym in china are carrying our more divided roles than those of the gym in Korea.

      • 무도 체육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백태현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도 체육관 관리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사항은 어떤 입지 조건을 확보하여야 하는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무도 체육관 위치 선정에 관한 성향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성향 분석을 통하여 일선 지도자들이 무도 체육관을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이 논문은 2005년 5월 10일부터 2005년 5월 25일까지 무도 체육관을 운영하고 있는 200명의 무도 관장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승재, 조광민(1998), 이창(2003) 그리고 박창석(2003)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로부터 발췌한 설문 문항들을 사용하였고, 본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설문 문항들이 추가하였다. 설문 문항들은 그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실제 연구에 잘 적용되도록 전문가들과의 상담을 통하여 재구성하였다. 1. 현행 무도장의 입지 성향 분석 현재 운영되고 있는 무도 체육관들은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 위치한 경우가 가장 많고, 현재 운영 중인 체육관의 입주 형태에 대하여서는 설문 응답자의 68%가 자기 소유가 아니라 전세나 월세 임대차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50%이상의 설문 응답자가 현재의 체육관의 입주 형태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입주의 형태는 전세 계약을 통한 입주였으며 가장 선호되는 건물의 층수는 2층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 설문 응답자들은 시장 개척을 통해서 무도 체육관의 성공적인 운영을 도모하려고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 2. 체육관 입지선정시 가치판단 기준점 분석 일반적으로 부동산의 경제 가치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판단 기준점을 분석한 결과 큰 차이는 보이고 있진 않지만, 높은 순으로 본다면 비용성 측면, 시장성 측면, 마지막으로 수익성 측면 순으로 나타났다. 3. 무도 체육관의 입주비용과 시설 투자비용에 관한 분석 체육관 입주에 따른 총 투자비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전세의 최대비용은 3억원, 최소비용은 3천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세의 경우 많은 설문 응답자들이 응답을 회피하였지만 최대 1억원에서 최소 70만원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양의 경우 최고 3억5천만원 최저 4천만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육관 입주시 시설투자비에 대해서는 하한선 중 최대비용은 5천만원이고, 최소 비용은 백만원으로 나타났다. 상한선은 최대비용이 4억원이며, 최소 비용은 5백만원으로 나타났고, 평균적으로 최대 2억원에서 최소 5백만원이라고 응답하였다. 4. 입지의 호조건과 악조건에 대한 견해 체육관의 입지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것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은 학원(입시학원)이었으며 은행이 그 뒤를 이었다. 체육관의 입지에 장해가 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가장 회피하는 인접 상가는 술집과 PC방이었으면 노래방도 상당수가 장해요소가 된다고 응답했다. 5. 경쟁 체육관 입주에 대한 태도 동일건물 내 동일 종목 입주에 대한 의견으로서 거의 모든 응답자가 한 건물에 두 개의 체육관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응답하였다. 동일 건물 또는 인접 건물에 다른 종목의 무술 체육관이 입주하는 것에 대한 응답은 다른 종목의 무술은 시장이 분할되기 때문에 들어와서는 안 된다고 응답한 사람이 63%로 가장 많았다. 6.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 인계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입지 만족도의 차이는, 연령에 따라 입지 만족도에 있어서 20대보다 30대가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20대는 본인이 설정한 목표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라 판단되며, 30대에서는 대체적으로 자리를 잡고 다년간 쌓아온 경영관리로 상대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most essential requirement for management of training center has to be focused on what kinds of conditions of locations shall be secur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tendency to select locations for martial arts training center.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help trainers manage training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martial arts trainers who run the training centers form May 10th to May 25th, 2005. This study utilized the questions from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researches by Yi Seung-Jea and Jo Gwang-Min(1998) ,Yi Chang(2003), and Park Chang-Seok(2003). And the questions that I considered to be required were added. The questions were organized around nominal measures and reconstructed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to increase the feasibility. 1. Analysis on tendency to select locations for martial arts Training centers The locations of training centers that are currently operated are mostly in apartment complexes. For the tenancy types of training centers that are currently operated, the respondents of 68% didn’t possess the facilities, but leased them on a deposit basis or rent them on a monthly basis. For the tenancy types of training centers that are currently operate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tisfiedwith current types. The tenancy type that was generallypreferred was lease on a deposit basis and the most preferred level was the second floor in a building. Most respondents tried to successfully run the centers through market exploitation. 2. Analysis on criteria for selecting locations of training centers Generally, there is slight difference among items when it comes to determining economical values of locationsfor training centers. The most preferred criterion is cost. The second is marketability and the last one is profitability. 3. Analysis on Investment on Facility and Expenses for possession the training centers The responses on the question about the opinions of respondents on total investment for possession the training centers were analyzed. The maximumand minimum lease on a deposit basis were 3 hundred million won and thirty million won, respectively. For rent on a monthly basis, while many on a monthly basis were one hundred million won and seven hundred maximum and minimum expenses were three hundred fifty million won and forty million won, respectively. For the facility investment for running the training centers, the maximum and minimum investment in the lower class centers were fifty million and 1 million won, respectively. For the lower class centers, the maximumand minimum investment in the lower class centers were four hundred million and 5 million won. The facility investment was from maximum two hundred million won to minimum 5 million won in average. 4. Opinions on Merits and Demerits of Locations For the merits of the locations for training center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was private institutions (including institutions for students who prepared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s followed by banks. For the demerits of the locationsfor training centers, the adjacent facilities that were not beneficial to the training center were pubs and computer centers for games on the top. Most respondents considered karaoke as the obstructive facility. 5. Attitudes on Opening of Competitor’s Training Centers This is to identify the opinions on the opening of other training centers in the same building. Most respondents didn’t agree with the opening of the training centers in the same category in the same building. For the opening of military art training in the same building or adjacent buildings, respondents who didn’t agree with the opening of military art training centers because the market would be divided were 63% as the highest percentage. 6. Difference of Satisfaction on Location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r the satisfaction on location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respondents in their twenties were less satisfied than them in their thirties. It was because those who were in their twenties didn’t achieve their goals. Those who were in their thirties might be more satisfied because they were in relatively stable positions through management know-how which they have obtained for many years.

      • 태권도 체육관의 관원수에 따른 운영실태 비교연구

        정명석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논문은 태권도 체육관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대시설의 필요성.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 태권도장 선택시 영향받는 매체. 홍보물에 강조되는 사항을 체육관 관원수에 따라 비교 분석 하여 태권도 도장의 활성화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경기도 태권도협회에 등록되어 개관한지 3년 이상된 체육관을 무작위로 35곳을 선택하여 관원수에 따라 120명 이하.120명 이상으로 구분하여 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태권도장 운영실태의 내.외적 요인을 분석 하기위해 박창길(2003).양경덕.(2001).정근화(2000).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 하였으며 요인별로 체육관 부대시설의 필요성에 대하여 7문항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하여 12문항.태권도장 선택시 영향을 받는 매체 10문항.홍보물에 강조되는 사항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의 신뢰도 Cronbach Alpha 는 0.62~0.85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은 SPSS 10.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 처리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관 관원 수에 따른 부대시설 필요성의 차이에서는 체육관 관원수에 따라 휴게실, 샤워실, 체력 단련실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 관원 수가 적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탈의실에 대한 필요성이 4.79로서 가장 높았으며, 관장실 4.68, 상담실 4.32, 휴게실 4.21, 체력 단련실이 3.58, 샤워실 3.42, 시청각실이 3.42의 순으로 나타났다. 체육관 관원 수가 많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탈의실에 대한 필요성이 4.63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담실 4.44, 관장실 4.31, 샤워실 4.06, 휴게실 3.31, 시청각실 3.19, 체력 단련실 3.00의 순으로 나타났다. 태권도장 경영자들이 생각하는 수련장 이외의 부대시설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탈의실이 가장 우선 되며 관장실 .상담실.휴게실.샤워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관 관원 수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 중요성 차이에서는 겨루기, 격파, 호신술, 기본 동작, 호신능력 배양에 대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의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 관원 수가 적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예절교육이 4.95로 가장 높았으며, 기본동작 4.61, 품새 4.58, 체육관 관원 수가 많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예절교육이 5.00, 기본동작이 4.94, 품새 4.81, 순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경영자들이 생각하는 교육 프로그램 중요 요인에 대해서 예절교육, 기본동작, 품새, 신체건강에 대해서 매우 중요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관 관원 수에 따른 홍보매체 수단의 차이에서는 태권도장 경영자들이 생각하는 중요 요인의 홍보매체로는 주위 인맥인 것으로 차이가 없으며 체육관 간판에 대해서는 체육관 관원 수에 따라 홍보매체 수단의 차이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 관원 수가 적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주위인맥이 4.79로 가장 높았으며, 전화 4.00, 시범경기 4.00, 가정 통신문 3.95, 체육관 간판 3.53, 순으로 나타났다. 체육관 관원 수가 많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주위 인맥 4.94, 체육관 간판 4.44, 가정 통신문 4.25, 시범경기 4.06, 전화 3.88,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관 경영자들이 생각하는 홍보물에 강조되는 주된 내용에 대해서는 관원 수가 적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건강증진이 4.49로 가장 높았으며, 관원 수가 많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시설이 4.81로 홍보물에 주된 내용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 관원 수가 적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건강증진이 4.37로 가장 높았으며, 정신력 배양이 4.26, 시설이 4.16, 지도자 경력 3.95, 전통문화 3.26, 호신술이 3.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체육관 관원 수가 많은 체육관의 경우에는 시설이 4.81, 정신력 배양이 4.69, 건강증진이 4.63, 지도자 경력이 3.75, 호신술이 3.69, 전통문화가 3.06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eed for supplementary faciliti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s, the media that are affected by the choice of Taekwondo gym, and the information that is emphasized in the PR, to examine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Taekwondo gym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mbers in gym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activity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aekwondo gym. A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35 random gyms were chosen among those that were currently registered in Kyunggido Taekwondo Association and opened more than 3 years ago, and divided into below-120- member group and above-120- member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mbers, and th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nagers. The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are the questions that were used in the research of Changkil Park (2003), Kyungduck Yang(2001)and Keunhwa Jeong (2000)by restructuring them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inner and outer elements of Taekwondo gym management, and they consist of 7 questions about the need of gym supplementary facilities, and 12 ques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s, 10 questions about the media that are affected by the choice of the gym, and 6 questions about the items that are emphasized in the PR. The reliability Cronbach Alpha of this study appeared to be between 0.62 and 0.85.The material analysis was computer-proces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material analysis by using SPSS 10.0 Vers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th above methods and proces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need for the supplementary facilities, there were different needs for a lounge, a shower room, and a physical training room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gym. In the case of the gyms with small number of members, the need for a changing room was the highest at 4.79, and the others followed as a room for a director 4.68, an information office 4.32, a lounge 4.21, a physical training room 3.58, a shower room 3.42, a room for sight and hearing 3.42. In the case of the gyms with large number of members, the need for a changing room was the highest at 4.63, and an information office was 4.44, a room for a director was 4.31, a shower room was 4.06, and a lounge was 3.31, a room for sight and hearing was 3.19, and a room for a physical training was 3.00. The managers of Taekwondo gym considered a changing room as the most needed supplementary facility, and a room for a director, an information office, a lounge, and a shower room were followed. Secondly, in the importance on the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mbers, there were different needs for education programs on a battle, a defeating, basic motion, the improvement of self-defence ability. In the case of the gym with small number of members, the etiquette education was the highest at 4.95, the basic motion was 4.61 and Pumsae was 4.58, and in the case of the gym with large number of members, the etiquette education was 5.00, the basic motion was 4.94, and Pumsae was 4.81. The managers of Taekwondo considered the etiquette education, the basic motion, Pumsae, the physical strength as important education programs. Thirdly, in the methods on the PR. media, the PR. media that the managers of the gym considered as important had no difference since they were related to connection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billboards of the gyms as a method of the P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members. In the gym with small number of members, the connection was the highest at 4.79, the phone call was 4.00, the exhibition game was 4.00, the letter was 3.95, and the billboard was 3.53 whereas the connection was 4.94, the billboard was 4.44, the letter was 4.25, the exhibition game was 4.06, and the phone call was 3.88 in the gym with large number of members. Fourthly, as main contents that were emphasized in the PR activities, the manager of the gyms considered the improvement of health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which was 4.49 in the gym with small number of members, and 4.81 in the gym with large number of members. In other word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PR activities. In the gym with small number of members, the improvement of health was the highest at 4.37, the improvement of moral strength was 4.26, the facility was 4.16, the leaders' experience was 3.95, the traditional culture was 3.26, and the self-defence was 3.21 while the facility was 4.81, the improvement of moral strength was 4.69, the improvement of health was 4.63, the leaders' experience was 3.75, the self-defence was 3.69, and the traditional culture was 3.06 in the gym with large number of members.

      • 체육관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및 활용방안 : 수원·화성시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정유식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각종 공해(황사, 매연, 소음등)와 자연현상(우천, 강설, 동절기등)과 교단의 여교사 증가(임신, 피부관리, 생리등)으로 체육수업을 운동장에서 진행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체육관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 보다도 강조되고 있으며, 많은 학교에서 체육관시설이 없어 체육수업에 지장을 주고있는 실정으로 체육관시설의 실태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원·화성시 소재 초·중학교 155개교를 중심으로 학교 실무관리자, 교육청 시설관계자와의 면담 및 전화면담으로 조사하였으며, 일반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관시설의 요구정도와 보유현황과 활용방안을 제시 하였다. 수원·화성시소재 초·중학교 155개교중 체육관을 보유하고있는 학교는 28개교(초·16.5%, 중·22.5%)로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면담결과 시설 실무관리자의 관심에따라 체육관을 보유하게된 학교도 있었으나 관리자의 대부분은 체육관시설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고 보유하고 있는 학교도 만족할 만한 시설은 아니지만 체육수업에 많은 도움를 주고 있다. 또한 학교 체육관시설을 대부분의 학교가 강당겸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지역주민에게 여러가지 이유(사용시간, 공공요금 등)로 개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 처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시설 관계자들의 체육관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2. 현장교사들은 특별교실중 체육관시설을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또한 체 육관시설 이 가장 열악한 시설로 인식하고 있다. 3. 현장 교사들은 각종 공해(황사, 소음,매연등), 자연환경(우천, 강설등)으 로 체육수업을 실내 수업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체육관시설을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지 못하고 있다. 5. 체육관을 이용할 때 교사동과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불편한점을 최소화하여 건축하여야 한다. 6. 체육관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강당 겸용으로 사용하고있어 교육 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7. 체육관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중 역사가 오래된 학교는 일제시대에 건립 된 체육관을 외부(지붕, 창문등)만 수리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8. 체육관을 보유하지 못한 학교에서 일부 학교는 잉여교실을 체육관 겸 강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9. 체육관시설에 대한 정책입안자들의 관심과 다른 시설보다도 우선시하는 정책적인 배려가 요구된다. 10. 여교사의 증가(피부관리, 임신, 생리등)와 자연환경의 문제(우천, 강설, 황사등)로 인하여 실외에서 체육수업을 실시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체육관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중학교 학생들의 체력저하가 체육관시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체육시간이 실내에서 이론수업으로 대체되는 일이 학생들의 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수원·화성시에 소재한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되었기에 전국적으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이와 같은 분야의 보완 연구는 계속 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actual condition and practical use policy of gymnasium under the bad circumstance that it is difficult to do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playground because of various pollution(yellow sand, smoke, noisy, and so on), natural phenomenon(rain, snow, winter, and so on), and the increase of female teachers(pregnancy, menses, skin care, and so on). For the examination objets, facility authority of education office, the managers and teachers of 15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uwon and Hwasung area are referred to. Among 15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uwon and Hwasung area, only 28 schools(elementary school 16.5%, middle school 22.5%) have gymnasium. Most of the school managers are not interested in gymnasium and the gymnasium facilities are not sufficient even in the schools that already have the gymnasium. In addition to this, most of schools use gymnasium as an assembly hall and don't open it to residents for various reason like fees and time.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eed of gymnastic facilities is not sufficient. 2. Teachers think that gymnastic facilities are most needed but most poor. 3. Teachers do sports activities indoors because of various pollution (yellow sand, smoke, noisy, and so on) or natural phenomenon(rain, snow, winter, and so on). 4. Gymnasium facilities are not opened to residents. 5. Gymnasium should be built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users 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gymnasium and buildings. 6. Gymnasium has additional educational effect because it can be used as assembly hall. 7. Some old gymnasiums are still used only with the repair of roof or windows. 8. Extra classrooms are used as gymnasium in the schools that don't have it. 9. Priority of the gymnastic facilities are required. 10. The need of gymnastic facilities is increas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do sports activities outdoors due to natural phenomenon(rain, snow, winter, and so on) and the increase of female teachers(pregnancy, menses, skin care, and so on). It is necessary to do supplementary studies that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strength decrea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ymnastic facilities, and what effect it has to the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to substitute outdoor sports activities for indoor theory clas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 examination objets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uwon and Hwasugn area. But the studies of this field should be continued.

      • 태권도 체육관 운영에 관한 마케팅 전략 연구

        윤종덕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경기도지역 태권도체육관 일선지도자들의 마케팅전략 기술을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태권도 체육관의 성공요인 기준에 대한 태권도 지도자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태권도의 인적, 경제적 원천이 되는 태권도 체육관의 올바른 마케팅 전략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질적 접근법을 방법론적 토대로 하는 이 연구의 주 대상과 연구의 도구는 경기도 지역에 일선 체육관 15곳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일선체육관 관장들에 대한 노아웃의 비법을 좀 더 접근하기 위하여 롱 인터뷰를 응용하여 기록을 저장하여, 롱 인터뷰 내용의 코드와 주제어 탐색, 주제 수를 통해 주제어 분석 및 범주화를 형성해 이를 해석하여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는 그동안 태권도체육관 마케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양적인 연구방법론을 기초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연구에 많은 부담이 있었다. 하지만 질적인 연구방법 접근을 통해 체육관 운영에 관한 마케팅 전략을 구성하는 관장들 노아웃의 전략을 해석하여 이해하기 위함이었다. 이 연구주제와 관계된 자료와 태권도체육관의 일선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롱 인터뷰결과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체육관 위치선정에서 대체적으로 체육관의 위치 선정에 있어 인구가 밀집되고, 학교나 학원이 주위에 많으며, 거리상으로 주거지역과 가까운 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태권도체육관의 시설로는 교육시설을 철저히 갖추고 있는 도장과 충분한 운동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선호하였다. 태권도 수련에 참여하는 수련생들이 도장의 크기, 바닥상태, 시청각 교재, 운동기구, 샤워장, 헬스기구 등 시설만족도 요인에 대한 중요성과 보편적으로 태권도의 체육관시설에 사고 위험이 없어야 하는 점을 강조하였다. 셋째, 체육관 일선 지도자들이 그 대상에 맞게 프로그램을 특성화·차별화하고, 모든 면에서 언행일치 되어 솔선수범을 보여 줌으로써 인성교육과 예절교육이 이루어지고, 수련 시 에는 가능한 먼저 시범을 보이고 지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수련생의 이탈을 막는 하나의 방법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관 홍보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광고지나, 유인물, 현수막, 게시판 등을 이용하거나 전문 업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외적으로는 공개 승·급 심사와 선수단·시범단 운영, 대인별 홍보 등이 가장 우선적으로 선호하였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바에 의하면 태권도 체육관운영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양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질적 접근법으로 진행된 이 연구와 비교하여 그 결과의 차이나 유사성에 대해서는 차후 연구에 유익한 선행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activate the right marketing strategy of Taekwondo gymnasium which is the personal and economic sources of Taekwondo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Taekwondo instructor on the standard of success factor and marketing strategy of incumbent instructor of Taekwondo gymnasium in Gyeonggi-do through cultural and tech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main object and research tool of this study that takes qualitative approach as the methodological foundation were 15 gymnasiums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method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nsive interview were adopted. Collecting data through this method and storing record by utilizing long interview to further approach to the secret process of no out of masters of gymnasiums, I tried to find meaning by forming thematic word analysis and categorization through the code of long interview contents and search of thematic word and number of themes and interpreting them. Since study on the marketing of Taekwondo gymnasium has been mostly based on preliminary study which adopt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re was much burden in study as a matter of fact. However, the intention was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strategy of no out of masters wh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of gymnasium opera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this theme of study and the result of long interview with incumbent instructors of Taekwondo gymnasium, I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t turns out that in selecting the location of Taekwondo gymnasium, they prefer region which has high demographic density, many schools and institutes nearby and is near residential area. Second, the most preferred facilities of Taekwondo gymnasium are drill hall with perfect educational facilities and sufficient space for exercise. The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of Taekwond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actors of facilities satisfaction such as size of drill hall, floor condition, audio-visual training aids, exercise tool, shower, fitness center. Moreover, they also emphasized that the facilities of Taekwondo gymnasium should be generaly free from the hazard of accident. Third, the most ideal methods to prevent deviation of trainees are as follows: the incumbent instructors of gymnasium need to establish and differentiate the program in accordance with its object; they need to take initiative in all aspects with consistency of speech and action for education of humanity and etiquette; when drilling, they need to instruct by showing demonstration in the first place. Fourth, it turned out that the publicity of gymnasium is made by the basic advertising paper, leaflet, placard, bulletin board or specialized company. Externally, open test of promotion, operation of delegate of players and demonstration, personal publicity, etc. were most preferentially adopte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 preliminary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Taekwondo gymnasium was mostly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us, comparing with this study which was done by qualitative approach, the difference of result or similarity is expected to be good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research in the future.

      • 사설유도체육관 수련생의 교육 프로그램 및 시설 만족에 관한 연구

        김인식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사설유도체육관 수련생의 교육 프로그램 및 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 유도 체육관 운영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2007년 현재 경기도 P시와 S시의 사설 유도체육관에서 유도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수련자로 하였으며, 다단계 유층집락 무선표집법(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에 의해 23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문대현(2001)과 이현준(1999)이 사용한 “사설유도체육관 수련생의 교육 프로그램 및 시설 만족”이라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배경변인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징, 독립변인으로 유도 참가정도, 종속변인으로는 유도 교육프로그램 및 체육관시설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검사 결과 변인의 전체신뢰도 Chronbach's α = 89, 91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타당도는 1, 2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부호화하여 입력 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3.0 Version을 이용하여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Frequency),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Crosstab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첫째, 사설유도체육관 수련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도 참가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급?단수, 경제수준, 개인 건강상태에 따른 유도 참가정도의 하위변인에 차이가 있다. 이는 초급자에서 유단자로 갈수록 유도 교육에 대한 의식과 도장 시설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사설유도체육관 수련생의 유도 참가정도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 및 시설 만족에는 차이가 있다. 즉, 유도 참가정도인 참가기간, 참가강도, 참가 빈도는 교육 프로그램 및 시설 만족의 하위변인에 차이가 있다. 이는 유도에 있어 참가하는 기간이나 운동시간이나 일주일에 참가하는 횟수는 유도 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도장 시설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ducational program and faeilities satisfaction of proprietary judo gymnasium students find the helful way how manage judo gymnasium.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re students who practice judo at propietary judo school gymnasium in P city, C city and select 236 students by multistage stratified duster random sampling. Instrument of investigations are made up of questionaines which were used by 문대연(2001), and 이영준(1999), background veriables are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statistics, independent veriables are degree of judo partipation depardent variables are judo educational programs and gymnasium. In the test of questionnaires reliability results, variable's whole reliabilitis, Chronbach's a = 89, 91 shown comparatively high and properderees are investigated by twice professional meetings. Encode and input the data which are completed answering the question 1est. Then data process through the aim by using the statistic program. Analyze the data by Frequency, h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Grosstabs. This study brings the follow analysis conclusions by using such study way and procedure. First, there ar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judo participation through the proprietary judo school gymansium student's special quality a population statistic trait. That i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like sex, grade, economic level and state of health. There are differences in subordinate variable of judo participation. Second, proprietary judo gymnasium student's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judo participation depends on educational programs and facilities. namely participation term are different with educational program and satisfaction of facilities's subordinate veriables. In judo, participaion period, exercise hours, and participaion times a week affect the understanding of judo education and gymna-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