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천주교의 지역화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 제주도 신창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규리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제주도 서부 지역에 위치한 신창지역은 1935년 공소 설립을 시작으로 1952년 제주도에서 세 번째로 본당이 설립되었다. 이후 천주교가 정착하면서 지역의 신자수는 전체 지역 인구의 60~70%에 달한 시기도 있었고, 신창지역에서 배출된 신부와 수도자들도 지역규모에 비하여 많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창지역을 중심으로 천주교의 지역화와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심층면접(interview)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신창성당 용수공소에 박 수산나 할머니를 대상으로 구술 생애사(oral life history) 방법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다. 먼저 천주교가 지역에 정착한 뒤 교세가 크게 확대 될 수 있었던 배경을 보면 첫째, 시대적 요인으로, 1950~60년대 미국으로부터 들어온 구호물자가 성당을 통해 보급되면서 사람들이 성당으로 집결하게 되었고, 성당은 지역주민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으며, 1970년대 미신행위를 금하던 정부시책 등에 의해 교세가 확장되었다. 둘째, 지역주민들의 의식적인 부분으로서, 성직자 또는 천주교에 대한 좋은 인식은 신자 수 증가에 영향을 주었고, 주민 대다수가 천주교 신자이다 보니 주민들을 성당에 모이게 하는 지역분위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고, 아울러 사제․수도자의 배출은 천주교 교세의 확장에 기여하였다. 다음으로 천주교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주민복지를 중점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다. 우선 천주교는 지역주민들의 의식개선, 계몽과 주민화합 등 지역공동체의식 형성에 기여하였다. 둘째, 유치원의 개원으로 지역유아교육기회 확대를 가져왔다. 셋째, 구호물품 등에 의한 구민활동,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공간으로 성당 활용, 지역주민들의 장례식장 등 성당시설 활용기회의 제공, 독거노인들을 위한 반찬 배달 사업 등 주민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최근 신창성당의 교세를 보면, 신창지역 전체 인구의 40%가 천주교 신자로 조사되어 교세는 과거보다 많이 축소되었지만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하다. 그러나 이러한 신자들 대부분 나이가 많은 연령층이 많고, 도시화로 인해 지역의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나 젊은 신자들이 거의 없어 성당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문제는 신창성당만이 아니라 전국 농어촌지역의 성당에서 겪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향후 이러한 농어촌지역의 성당에서의 사목의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天主敎 老人福祉施設의 運營現況과 改善方案 : 天主敎 水原敎具 無料養老施設을 中心으로

        류재영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갈수록 늘어나는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의 경제활동, 가족구조의 변화 노인문화의 형성등의 사회적 변화를 필요로 하며, 사회가 그에 맞게 변화되지 않을 경우 노인의 문제는 사회문제로 부각되게 된다. 따라서 정부는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한 실버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저소득노인을 중심으로 무료양로·요양시설의 지속적인 확충 및 재가복지서비스등의 확충을 통해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며, 퇴직이후의 경제생활, 노인문화의 형성 및 경로우대정책의 도입, 노인소득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작업장등을 향후 과제로서 설정하고 추진하고 있다. 또한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민간부분 혹은 제3의 부분에서 뒷받침해온 천주교회 사회복지사업은 빈곤에 대한 사회적 책임으로서 가난한 자들과 나누는 삶을 위한 절대적 소명을 가지고 지속적이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활동을 현재까지 펼쳐왔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는 천주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노인복지사업의 정의 및 현황, 복음화로서의 사회복지등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살펴보고, 천주교수원교구내의 21개소의 무료노인시설장 및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함으로서 실태를 파악하고, 천주교노인복지시설 운영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여타의 장점등은 차지하고 천주교수원교내 노인복지사업의 문제점등을 정리하면 시설의 운영이 지나치게 이웃사랑의 실천으로 치우쳐 대상자의 복잡한 문제를 전문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지역본당 및 교구등과 유기적인 연계를 가지지 못함으로 시설의 개방 및 탈시설화의 흐름에 반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사자들의 처우가 열악하여 전문인력들이 시설의 근무를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수준이 떨어지는 현상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미인가시설과 인가시설의 효율적인 공존을 추진하고, 시설 유형화 사업을 실시하여 시설마다의 특성화 된 운영을 하여야 하며, 노인복지시설의 개방 및 탈시설화 추진과 함께 무엇보다 사회복지전문가의 확보를 통해 사회복지기관으로서의 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on ever increase calls for the social changes in the economic activity, the change of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the elderly. The issue regarding the elderly appears as a social issue unless the society changes properly according to such a social request. Therefore, the Government is set up and promoting its goals such as free provision for the elderly, continued expansion of recuperation facility, home-stay welfare services focused on the low- income elderly men in order to fulfill their basic needs, the economic life after retirement,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for the elderly, the introduction of preferential treatment for the elderly, the securing of the jobs for the stable income of the elderly, as the silver industry develops. The Catholic social welfare project, promoted on the level of civilians for long time, has reached various areas continually with its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poverty and its paramount commission to share 'living with the po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history of Catholic social welfare activity in this new century and to seek its improvement measure by referring to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definition and present status of social welfare activity and the social welfare activity as a means of preaching gospel, and by under stand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21 free nur sing home and workers there. This study sought the alternatives for the operation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atholic nursing home. Apart from the benefits of the welfare activity, it has problems such as lacking in ability to specially solve complicated problems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leans excessively toward neighbourhood love, and conflicting with the opening of, and breaking from, the facility because of the failure to maintain their periodic connection with the regional churches and parishes. And the poor treatment with the workers of the facilities makes specialized manpower avoid them causing the quality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efficient co-existence of the un-authorized and authorized facilities should be promoted. And the typification of facility be made so that each facility can have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Catholic social welfare facility should be able to perform its functions as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ffectively by securing the specialized manpower along with the promotion for the opening of, and the breaking from, the facility.

      • 천주교 감곡성당 건축의 변천에 관한 연구 : 1890년부터 1960년까지 건축된 종교·주거·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이기욱 牧園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history of the construction of Gamgok Catholic church, focusing on its religious, residential, and educational facilities. 10 buildings that had been built from 1890 to 1960 are the base of this study, and these are classified into historical categories, comparing their structural style, historic background, building process and episode with general construction trend of those days. Followings are the analysis of periodic features and categorization of Gamgok Catholic Church‘s facilities based on historic classification: 1. Period of Civilized Forms of Construction (1890 - 1910) Former priestresidence, church, warehouse (temporary classroom), Maekoe-Hakdang school building, Maekoe-Hakdang school building for girls. 2. Period of Colonized Manners of Construction (1910 - 1945) current church, current priest residence, old Maekoe schoolhouse, new Maekoe schoolhouse. 3. Period of Transitiona1 Construction (1945 - 1960) School building for Maekoe business high school. During the Period of Civilized Forms of Construction, which is an initial stage for Roman Catholicism in Korea, the whole works were done in Min Eung-Sik's mansion site, and a Korean style was chosen so that Catholicism didn’t give any disagreeable feelings to local residents. This era is distinctive in that Koreans did a11 the designing and building. In the Colonized Construction Period, the breast of Mae Mountain was a new construction site. An active acceptance of Westem construction style was shown nation-wide thanks to Roman Catholicisms gaining popularity in Changhowon. Koreans had done the design and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lthough French and Chinese architects took part in the creation of the current church body and priest residence. Through the period of transitiona1 construction, sadly enough, no more active building activities were don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ivilized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lonized Construction Period and many of former Gamgok church facilities were destroyed. A lot of things of historic significance were lost at that time, because the fashion was into rather immediate interests than taking care of remnants of history and cultural development. Buildings were made where the Gamgok church had been, moving from the mid-slope of Mae Mountain. The only structure of those days was Maekoe high school for business which was by a Korean builde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in the buildings of Gamgok church is that most of designing and construction of religious, residential and educational facilities were done by Koreans. This is shown that Koreans came a long way in their construction skills and were unstoppable in the face of many obstacles including Japanese reigning and hampering Koreans from their own development. The fact that local people played a great role in their so many works in a relatively small town sheds light on a new point of view on the history of modem construc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heteronomous. Buildings mentioned here are not reported clearly yet so this study remains as a mere dig-up of first hand materials. 1 sincerely hope that this will add a bit to the study of modem construction history of Chungchongdo. 본 연구는 천주교 감곡성당을 대상으로 1890년부터 1960년까지 건축된 종교 본 연구는 천주교 감곡성당을 대상으로 1890년부터 1960년까지 건축된 종교·주거·교육시설의 각 시대별 건축특성을 분석하고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여 감곡 성당 건축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살펴보는데 촛점을 두었다. 감곡성당건축을 종류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시설 : 구 성당(매괴 성모성당), 현 성당 둘째 주거시설 : 구 사제관(사제관 겸 소성당), 현 사제관 셋째 교육시설 : 매괴학당, 매괴학당 여학교 교사, 매괴학교 구교사, 매괴학교 신 교사, 매괴 상업고등학교 임시교사(구 감곡성당 창고 건물), 매괴 상업고등학교 교사 이중 현재까지 연구된 건물은 구 성당과 현 성당 2개 밖에 없다. 그것도 성당의 건축양식에 대한 부분적인 언급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10개의 건물에 대한 건축적인 요소(양식)와 건축외적인 요소(건립배경, 과정) 대부분이 다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본당을 중심으로한 개개 건물에 대한 연구에서 벗어나 한 천주교회안에서 근대전반에 걸쳐서 행해진 다양한 건축의 발전과 변천에 관한 전체적인 연구를 하고자 한다. 연구는 총 10동의 건물을 대상으로 시대별 건축의 발전과정과 변천과정을 시대순으로 정리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우선 시간적 연구범위를 다음 3부분으로 시대구분하였다. 1) 개화건축기(開化建築期, 1890~1910년) 2) 식민건축기(植民建築期, 1910~1945년) 3) 과도건축기(過度建築期, 1945~1960년) 이 분류를 바탕으로 각 시대별 감독성당 건물의 건축양식과 건립배경, 건립과정과 관련주변사 등을 정리하고 동시대 건축의 일반적인 조류와 비교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 이것을 바탕으로 종류별 건축의 변천과정을 정리하였다. 세부적인 방법으로 실측과 문헌, 관련인사의 증언을 통하여 각 건물의 건축양식과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대상건물 10동 중에서 현존하는 성당과 사제관은 1996년 5월부터 시작된 ‘감곡(옛 장호원)성당 건축사’ 발간을 위한 실측과 보고서 작업에 참여하면서 정리한 자료와 도면을 바탕으로 보고서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을 추가하고 오류를 바로잡았다. 나머지 건물은 사진과 관련인사들의 증언을 토대로 평면 추정도를 작성하였다. 감곡성당의 종교·주거·교육시설을 각 시기별로 정리하고 각 시대별 건축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건축기(1890~1910년) : 구 사제관, 매괴 성모성당(구 성당), 창고(1953년 매괴상업고등학교 임시교사로 사용), 매괴학당 교사, 매괴학당 여학교 교사 2) 식민건축기(1910~1945년) : 현 성당, 현 사제관, 매괴학교 구 교사, 매괴학교 신 교사 3) 과도건축기 (1945~1960년) : 매괴 상업 고등학교 교사 개화건축기는 초기 정착단계로 천주교가 지역주민에게 거부감을 주지않도록 모든 건물을 한옥양식으로 건축되었다. 이 시기의 모든 건물을 한국인이 설계·시공한 것이 특징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우리는 건축주체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식민건축기는 천주교가 장호원에 뿌리를 내리게 되자 종교·주거·교육시설에 서 구양식 건축이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시기였다. 성당과 사제관 건축에는 프랑스인과 중국인이 참여하였다. 그러나 교육시설의 건축에 있어서는 여전히 한국인이 설계 시공하였다. 과도건축기는 개화건축기나 식민건축기에 비해 건축활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오히려 구 감곡성당의 많은 건축유물들이 철거되는 비극의 시대였다. 당시는 문화와 역사의 보존보다는 실리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시대였기에 우리는 소중한 것을 많이 잃어버렸다. 이 시기에는 오직 매괴 상업고등학교 교사만 건축되었다. 이 건물 역시 한국인이 설계·시공하였다. 각 시기마다 대부분의 건물을 한국인에 의해서 설계·시공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감곡성당 건축의 가장 큰 특징이다. 개개 건물의 양식에 있어서도 한식(韓式)과 양식(洋式)이 잘 표현되어 있고, 규모도 매우 크다. 이곳이 도시가 아니고 경제 규모가 크지 않은 지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연구대상 건축물 대부분이 아직 보고되지 않은 것들이어서 많은 1차자료의 발굴이 있었다. 이 자료가 충청도 근대건축사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거·교육시설의 각 시대별 건축특성을 분석하고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여 감곡 성당 건축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살펴보는데 촛점을 두었다. 감곡성당건축을 종류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시설 : 구 성당(매괴 성모성당), 현 성당 둘째 주거시설 : 구 사제관(사제관 겸 소성당), 현 사제관 셋째 교육시설 : 매괴학당, 매괴학당 여학교 교사, 매괴학교 구 교사, 매괴학교 신 교사, 매괴 상업고등학교 임시교사(구 감곡성당 창고 건물), 매괴 상업고등학교 교사 이중 현재까지 연구된 건물은 구 성당과 현 성당 2개 밖에 없다. 그것도 성당의 건축양식에 대한 부분적인 언급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10개의 건물에 대한 건축적인 요소(양식)와 건축외적인 요소(건립배경, 과정) 대부분

      • 初期 天主敎 聖堂建築의 建築的 特性과 類型에 關한 硏究 : 大田·忠南地域의 聖堂建築을 中心으로

        이희준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architecture of an era is the creature of history, society and culture, and this is formed through the cultural continuity and history. Therefore,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western style catholic church should be recognized to be a cultural patter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oreign and traditional culture factor.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shows the construction progr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 early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from 1886 to 1945 which exist in Daejon-Chungnam area, reveals the history of these constructions and proposes the need of conservation of these constructions. The oldest church in Daejon-Chungnam area is Kumsari catholic church(1901∼1906) which has the transient structure between western style and Korean style church. The rest were constructed from 1920s to 1930s. In 1920s, Kongseri catholic church(1920∼1922) in Asan, Mogdong catholic church(1927) in Daejon and Guhapduck catholic church(1929) in Dangjin were constructed and these are all western style brick buildings. In 1930s, Yesan catholic church(1933∼1934) in Yesan, Joongdong catholic church(1936∼1937) in Gongju and Dongmoondong catholic church(1937) in Seosan were constructed. The first two churches are western style brick buildings and the latter was a steel concrete building. There are 7 catholic churches, which exist in Daejon-Chungnam area. These were constructed from 1886 to 1945. These constructions shows the changes of pre-modern architecture. Moreover, these are good historical heritage and are valuable to conserv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e early times of civilization,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converted to church. As the number of the Christian increased, a new church was built. At the late times of civilization. the church shows the transient structure. And at the late 1930s, a steel concrete structured church was constructed. Second, the constructors of churches at early times of civilization were almost French priests. They wanted to build the church to the Gothic style, but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t that time and the lack of experience made some kinds of residual Gothic or similar Gothic style churches. Third, the bearing of Korean style catholic church has several forms. But mostly, altar faces the north and entrance faces the south. This means that the bearing was decided by Korean traditional way rather than western tradition. Fourth, western style brick catholic church used the red bricks in outer wall and used the gray in buttress, entrance and windows frame. And the facing of a reinforced-concrete building was the water painting on the mortar. Fifth, Prototype of floor plan was Rectangular type, Basilica type, and Latin Cross type. And the space type of catholic churches was simplified with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structure. Sixth, Most church has the bell tower located in the center at the front. Seventh, ceiling type was converted from flat type to the arch-type. Eighth, the entrance type of most churches has the arch structure. Ninth, windows frame shows the arch, circular or rectangular types.

      • 천주교 서적이 초기 한국천주교회 순교복자들의 신앙생활에 미친 영향 연구 : ‘요화사서소화기’에 기록된 천주교 서적을 中心으로

        최중복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 천주교회는 선교사들의 선교활동을 통해서가 아니라, 조선의 일부 학자들의 학문적 연구를 통해 창립되었다. 하지만 초창기의 한국천주교회는 국가에 의한 극심한 탄압으로 점철된 박해 속에서, 유일한 선교사인 주문모 신부를 잃게 되었다. 또한 많은 천주교인들은 처형되거나 유배지로 귀향 가게 되면서 공동체 대부분이 와해되는 고통을 겪게 되었다. 하지만 박해라는 어려운 상황과 선교사 부족이라는 열악한 조건 속에서도 조선의 초창기 천주교 신자들은 오히려 자신들의 천주교 신앙을 배가시키며 삶으로 그 신앙을 증거하였다. 이처럼 선교사나 여타 다른 누군가의 지속적인 가르침 없이 천주교 신앙을 지킬 수 있었던 그들의 신앙생활의 근저에는 어떤 요인이 존재하였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천주교 서적이었다. 특별히, 이렇게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천주교 서적의 목록은 신유박해시기 천주교신자들에 관한 정부 측의 심문기록인 『사학징의』의 부록인 「요화사서소화기」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천주교 공동체의 성립에서부터 신유박해시기까지의 순교복자 67명의 신앙생활을 가능하게 한 요소가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천주교 서적에 있음을, 더 자세히는 「요화사서소화기」에 기록된 서적들에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의식에 따라, 본고는 우선 1장을 통해 연구의 목적과 범위, 그리고 방법론을 밝히고 선행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이어지는 2장에서는 신유박해 시기까지의 순교복자 67명의 신앙생활과 관련한 기록들을 교회 측과 관변 측의 자료들로부터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자료들을 총 9가지 항목(‘교리습득과 교수’, ‘호교론적 태도 및 신앙의 증거’, ‘기도 생활’, ‘영적 독서’, ‘애덕 실천’, ‘전례 생활’, ‘금욕 생활’, ‘성인 공경’, ‘신앙의 권면’)으로 세분하여 순교복자들의 신앙실천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67명의 순교복자들이 교리습득과 전례생활 영위 그리고 개인 신심을 갖추고 있었음을 확인했으며, 동시에 이러한 기반 위에서 선교사 부족과 박해 등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열심히 신앙생활을 영위해 나간 사람들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요화사서소화기」에 기록된 천주교 서적을 종류별로 분류한 뒤, 상대적으로 그 내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서적들을 종류별로 2-3종 선정하여 해당 서적의 저자, 저술 목적, 구성, 주요 내용, 전래 시기 등을 살펴보았다. 총 6개의 항목 (교리서, 성경해설서, 신심묵상서, 기도서, 성인전, 전례서)에서 11개의 서적 (『성세추요』, 『교요서론』, 『주교요지』, 『성경직해』, 『성경광익』, 『칠극』, 『묵상지장』, 『천주성교일과』, 『수진일과』, 『성년광익』, 『죄인지충일기』)을 추려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신유박해 시기의 천주교 신앙은 이전의 양반 중심에서 점차 하층민과 부녀자들에게까지 전달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교리서를 통해 천주교에 입교한 신자들이 점차로 신앙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교리서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천주교 서적들을 접하였음을 추정해볼 수 있었다. 또한 당시의 천주교 공동체는 신앙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각각의 천주교 서적 안에서 필요한 부분의 내용을 발췌, 필사하여 유통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4장에서는 순교복자들의 신앙생활의 형태를 ‘교리 인식’, ‘교회 신비에 관한 기념’, ‘향주삼덕 실천’, ‘기도’ 등 4가지로 구분한 후, 천주교 서적의 구체적인 내용과 순교복자들의 신앙생활 관련 기록을 연관시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순교복자들은 주로 교리서를 통해, 천주교를 받아들이고 천주교의 신앙진리와 계명을 습득한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그렇게 습득한 신앙진리를 토대로 관원들 앞에서 신앙을 담대하게 증거한 사람들이었다. 교리서를 통해 천주교를 알고 신앙을 증거한 순교복자들은 윤리서와 성인전과 성경해설서 등을 통해서는 천주교의 윤리관과 향주삼덕을 정확히 이해하고 삶으로 실천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기도서와 전례서를 통해서는 그들의 신앙실천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묵상 지도서와 성인전 그리고 성서 해설서 등을 가지고 그들의 기도생활을 다각적으로 영위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천주교 서적이 초기 한국천주교회 순교복자들의 신앙을 고취시키고 굳건하게 하는데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서적이라는 매체를 토안 신앙생활 고취가 가지는 중요성을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인식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요화사서소화기」에 기록되어 있는 서적들은 신유박해 시기 이후까지도 새롭게 중간되고 개정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길게는 100년 가까이 한국 천주교회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큰 도움이 되었다. 당시의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을 연구하고 또 그들의 행실을 본받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요화사서소화기」에 기록된 서적들이 많은 도움이 될 수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was founded not by the missionaries but by several scholars, who found academic interests in Catholic doctrines. Unfortunately, however, the early Church in Korea was so severely persecuted by the government that Fr. James Zhu Wenmo, the only missionary and priest in Korea at the time, was executed. Furthermore, most of the Catholic communities were collapsed since many Korean Catholics were either executed or exiled. All these tragedies, including the persecutions and the consequential priestly absence, were overcome by the early Korean Catholics, who nourished and testified their faith through lives. How could the early Korean Catholics preserve their faith without continuous teachings from others? On their faith life basis were the Catholic books, which had been imported from China and are now contained in the book Yo-hwa-sa-seo-so-hwa-ki, an appendix to Sa-hak-jing-ui, the official inquisition document of the government. This thesis, therefore, is to prove that the Catholic books from China, more specifically the books mentioned in Yo-hwa-sa-seo-so-hwa-ki, motivated the 67 Blessed martyrs to preserve their faith between the period of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of the Sinyu Persecution(1801). With this in mind, Ch. 1 determines the purpose, the range and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along with discussing the precedent researches. In Ch. 2, from the documents of both the Church and the government extracted are the records related with the faith life of the 67 Blessed martyrs during the above-mentioned period. The extracted records, helpful in taking a look at the faith practices of the Blessed martyrs, are then classified into the 9 categories; catechism and catechesis; apologetic attitude and testimony to faith; prayer life; spiritual readings; practices of charity; liturgies; abstinences; veneration of the saints; mission work. It becomes clear then that all 67 Blessed martyrs had catechism, liturgies and personal piety, and at the same time, that they well preserved their faith despite of the priestly absence and of the persecutions. In Ch. 3, classified are the Catholic books mentioned in Yo-hwa-sa-seo-so-hwa-ki, two or three of which are described so minutely that their authors, purposes, structures, contents and introduction periods can be thoroughly studied. Considered are 11 books ―Seong-se-chu-yo, Gyo-yo-seo-ron, Ju-gyo-yo-ji, Seong-gyeong-jik-hae, Seong-gyeong-gwang-ik, Chil-geuk, Muk-sang-ji-jang, Cheon-ju-seong-gyo-il-gwa, Su-jin-il-gwa, Seong-nyeon-gwang-ik and Joi-in-ji-chung-il-ki― from 6 categories ―catechism, biblical commentary, meditations, prayer book, hagiology, and liturgical texts. This process indicates that the Catholic faith in Korea spread from the nobles to the lower classes and women, and that the faithful were required to read the above-mentioned books so as to deepen their faith, shortly after learning the catechism and being baptized.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Korean Catholics excerpted, transcribed and distributed the books among the church communities scattered throughout the peninsula so that their faith would be ensured. In Ch. 4, the faith life of the Blessed martyrs are categorized into ‘catechistic recognition’, ‘celebrations of the Church mysteries’, ‘practices of Evanglical Counsels’, and ‘prayer’: then considered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ents of the books and the records of faith life of the Blessed martyrs. Through this comparison confirmed are: 1) that the Blessed martyrs received the Catholic faith after learning the truths of faith and its precepts via the catechism: 2) that they boldly testified their faith before the government officials based on these truths of faith: 3) that they learned the faith via the catechism,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morality and Evangelical Counsels via hagiology and biblical commentary, and put their understanding into practice: and 4) that their practices of faith were nourished by prayer books and liturgical texts as well as prayer life by meditations, hagiology and biblical commentaries. In conclusion, the Catholic books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hat nourished and preserved their faith in the early Catholic Church in Korea. This conclusion can help the importance of the books as media to be recognized by modern Koreans, especially in deepening their faith. All the books mentioned in Yo-hwa-sa-seo-so-hwa-ki, through re-editions and revisions, had been of great help to the Korean Catholics for nearly a century, even after the Sinyu Persecution. Therefore, these books in Yo-hwa-sa-seo-so-hwa-ki will be of importance to those who want to research or imitate the faith of those in the early Catholic Church in Korea.

      • 한국천주교의 교리서 변천에 대한 역사적 고찰

        황규남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reason why we research the history of catechesis is that because the basis of all studies is to know the history of that field. And if we know how the wisdom and inheritance of the pastoral ministry of catechesis transmitted from the past is influenced on our present situation,then we can make an alternative plan to the direction of the pastoral ministry of catechesis forward. The more important reason is that if we have the arrangement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of catechesis,we can mak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pastoral ministry of catechesis uprightly and also make a practical plan for it more suitable and actual.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catechism field of several researches sphere in history of catechesis of Korean Catholic Church. The reason of studying the catechism field is that I want to know what catechism is written,translated and read about. And I want to arrange catechism systematically and chronologically through the whol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So I like to figure out the causes of "Faith is one thing,Life is the other" in the catechism which is one essential element of catechesis. The problem of "Faith is one thing,Life is the other" is raising our head serious problem. We must ask ourselves over the reason for being christian in korean society today. The more important reason is that through studying the changes of catechism in Korean Catholic Church,we can expect to find a certain clue in publishing a new Korean Catechism.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following. First,it is the study on the changes of catechism in progress in Korean Catholic Church. This part divides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in five periods in point of view of catechism. The periods are divided by five epoch-making events which are the turning points. The epoch-making events are; first,the transmission of Chonjushilui(in the beginning of 17c.), second,the instituting of Chosun Vicar Apostolic Territory(1831),third,the Whole Chosun Regional Council(1931), fourth, the Settlement of Hierarchy in Korean Catholic Church(1962) and fifth, the Bicentennial Pastoral Conference(1984). This first part arranges the catechisms in chronological order of publishment and describes on a level with bibliographical explanation. And also it quotes the supporting contents from one hundred and twenty catechisms which I have thoroughly researched to set up the principle and basis for publishing a new Korean Catechism. After I study on the changes of catechism in progress in Korean Catholic Church,I add the evaluation of catechisms in dimension of catechetics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catechisms' value in the history of catechesis in Korean Catholic Church. It points out that most of catechisms in Korean Catholic Church are translated catechisms and translated & editted catechisms on the ground of dual realism of western church. This dualism is the basic cause of "Faith is one thing, Life is the other" which is the serious problem Korean Catholic Church is confronted with. It also analyzies that these catechisms give us the problem of "Theology is one thing, Reality is the other". Finally I selected three catechisms which are Songgyoyoji, Chugyoyoji and Haebanghashinun Hanunim(Liberating God). These catechisms are models for a new Korean Catechism. Songgyoyoji is yielded from deep contemplation about catholic by korean people with spiritual history of korean culture based on korean's feeling, tendency and intuition. Chugyoyoji is written plainly in Hangul according to a korean people's way of thinking,customs, legend, knowledge of Confucianism and author's own life experience. Haebanghashinun Hanunim is for a small community and overcomes the abstract, dual,ideological words and logic. It is for the farmers class using the different methodology compared with the most of other catechisms. The method starts from the specific group's request, bottleneck, circumstances and approaches the revealed truth. It gathers farmers naturally together to learn and convince. Second,they are the researches required for publishing a new Korean Catechism. This part introducts the results of researches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They are; first, Chonjugasa applied teaching material for catechesis, second, kyunghyangjabji's editorial requesting for revision of the Chorljugyoyorimundap, third,researches of dissertation for the application of Catholicgyoriso, fourth,an opinion about the unity of catechisms,fifth, proposal articles from the Bicentennial Pastoral Conference Bill 「CATECHESIS」 presented, sixth, suggested articles from the "Enculturation of Catechesis" of Enculturation Researches Announcement Conference stated, seventh, alternatives from the 「The problem of catechumen catechism」presented and eighth,a work of korean translation of Catèchisme de L'Eglise Catholiqu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ublish a new Korean Catechism which will overcome the dualism. This problem of "Faith is one thing,Life is the other" is caused by wrong methodology of catechesis and a lack of social teaching in church. However the problem is fundamentally caused by translated and translated & editted catechisms. The contents of doctrines of these catechisms are of dual realism. It divides in two; God and human, spirit and flesh, Kingdom to come and this world, religious world and general society like the natural scientific schema which generally divides subject from object. These catechisms of western church is unfamiliar to our korean people. The other reason why a new Korean Catechism is needed is that Korean Catholic Church is urged to publish the "National Catechism" referring to the Catèchisme de L'Eglise Catholique which is published according to the theology of Vatican Council II. On top of that,Korean Episcopal Conference agreed to publish the "Korean Standard Catechism" but stopped waiting for the Catèchisme de L'Eglise Catholique. Under this circumstances,publishing a new Korean Catechism,we can satisfy all in one.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a new Korean Catechism to be made is to search the new theory of catechesis suited Korean Catholic Church and to have an opportunity of establishing Korean Theology. Although it sounds unrealistic to publish a new Korean Catechism since catechism is built on theology and we have not established Korean Theology yet. Nevertheless, insisting on publishing a new Korean Catechism,we may come up to actualize Korean Theology in our very situation. As a conclusion,I suggest the five following proposals for a new Korean Catechism. The proposals are following. 1. It is desirable to form the "Korean Catechism Compilation Committee" under the control of the Episcopal Conference's Catechetical Committee. 2. All church members must have an interest in catechism. Especially church leaders must have the responsibility and duty. 3. Specialist must be brought up for a new Korean Catechism. Church authorities must have a pastoral care in training and employment of lay specialist. 4. The emphasis must be on the study of Enculturation Work for Korean Theology. 5. It must include the "Tongilgyoriso" (Unification Catechism) for the christian community in North Korea. The last part is a supplement which is a chronological table of history of catechesis in Korean Catholic Church. It is arranged with a hope that "The History of Catechesis in Korean Catholic Church" to be written as soon as possible and to get the answer of how pastoral ministry of catechesis in our past have accomplished.

      • 19세기 천주교 텍스트 연구 : 서술 주체의 특성과 표현의 양상을 중심으로

        박윤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19th century was simply a difficult time for the Korean Catholic Church. Due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idea,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was constantly persecuted. Countless believers suffered and died. Meanwhile,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expanded its religious power. The Catholics who were kicked out of the system for accepting new religions produced Catholic texts to record persecution, spread doctrines, express faith, and for a variety of other reasons. These Catholic texts have been regarded as historical and theological materials. However, this paper attempts to capture aesthetic achievements and literary values in Catholic texts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of the description subject in Catholic texts. In Chapter 2, preliminary consideration was carried out. First, the acceptance of Catholicism and the emergence of Catholic texts were examined, and then the types of Catholic texts were divided. Catholicism came to Joseon through Catholic text in Chinese. Initially, it was accepted as a study, not a religion. Then Catholicism began to be considered a faith by intellectuals. The intellectuals reached the stage of forming a faith community. Such voluntary acceptance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the Joseon Catholic Church. Meanwhile, the Catholic text in Chinese was translated into Korean for believers of various classes.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the doctrine. There were also doctrines written in Korean. Based on this process, Catholic texts were formed. Catholic text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subject and the aspect of expression: by the recording subject, by the confessing subject, and by the singing subject.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holic tex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subject. First, we examined the recording subject and the inner consciousness of various characters. Gi-hae-il-gi is a record of 78 people who were martyred during the persecution of 1839. The narrator depicted the true Catholic figure through various characters. Additionally, Bishop Imbert's Report on the persecution of Seoul by Joseon in 1839 and Father Kim Dae-geon's Report on Joseon Martyrs were compared to Gi-hae-il-gi.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reveal the strategy of erasing and highlighting Gi-hae-il-gi. Gi-hae-il-gi intentionally eliminated practical problems such as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at the time. It mainly consists of narratives about the martyrs. Furthermore, Gi-hae-il-gi highlighted the martyrs through the narrator's empathy and comments, intending to teach a lesson. Second, This paper looked at the conflict between the nature and belief of the confessing subject. In Lee Soon-Yi's Letter in prison, the desire for martyrdom and love for her husband coexist at the same time. Martyrdom was a belief and goal for Lee Soon-Yi. However, her letter to her family expresses her love for her husband as much as her desire for martyrdom. It is interesting that Lee Soon-Yi does not recognize herself as a woman in love at this time. This is due to the inability to properly manage emotions due to religious beliefs. In Lee Kyung-Eon's Jeong-hae-nyun-Yi-paul-il-gi, This paper confirmed the author who craves martyrdom as a Catholic but expresses various emotions about life and death. However, the author finally demonstrates the religious sublimation of these emotions about life and death. Shin Tae-Bo's Autobiography in prison is a written piece by Shin Tae-Bo in prison, as the title suggests. The author provides a detailed reflection on the life of the Catholic village and the process of torture. Additionally, in the process, the author projects himself as a devoted Catholic. This reveals the desire that the author, who had been imprisoned for a long time, held in his mind. Choi Hae-Du's Ja-Chaek is an article that reproaches himself for apostasy. Unlike typical confession books, Choi Hae-Du's Ja-Chaek does not just stop at reproach but contains the intention of repentance behind it. Third, this paper looked at the singing subject and the setting of inspiration and solidarity. In Sa-hyang-ga, this paper confirmed find writing as an "active act" that seeks to awaken Catholics by setting up a self-reflective the other to reaffirm their beliefs and deliver them. After distinguishing "us" from others, it rather overturns the situation differently from reality, comforting Catholics. Sam-se-dae-ui contains content that encompasses the Old and New Testament, such as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the original sin, the birth of Jesus, and the resurrection. The narrator of Sam-se-dae-ui actively uses various speaking strategies such as talking and persuading. This reflects the narrator's wish to realize the true meaning of faith, which results in love through a genuine understanding of the Savior, and to live in the world properly. Chapter 4 attempted to clarify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Catholic text. First, this paper reviewed the formation process of Catholic texts. Subsequently, this paper directly and indirectly compared literary works of the time with Catholic texts. At this time, particular attention was given to the aspects of each subject in the Catholic text.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 Catholic text is not merely historical and theological data. Based on the investigation conducted thus far, it can be defined that the Catholic text contains aesthetic and literary values. This conclusion is drawn from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of the description subject in the Catholic text. Therefore, the Catholic text is well worth being recognized as a part of literary history. 조선 천주교회에 있어 19세기는 그야말로 어려움의 시기였다. 체제와 사상의 대립으로 인해 조선 천주교회는 끊임없이 핍박받았다. 무수한 신자들이 고통을 겪고 죽음을 맞이했다. 그런 와중에도 조선 천주교회는 교세를 확장해 나갔다.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인 죄로 체제 밖으로 내쫓긴 천주교 신자들은 박해를 기록하기 위해,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믿음을 표출하기 위해, 또 이 밖에도 다양한 이유에서 천주교 텍스트를 생산했다. 이러한 천주교 텍스트는 지금껏 역사적 사료, 신학적 자료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본 논문은 시선을 달리하여 천주교 텍스트에서 미학적 성취, 문학적 가치를 포착해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천주교 텍스트에 나타나는 서술 주체의 특성과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예비적 고찰을 수행했다. 우선 천주교의 수용과 천주교 텍스트의 출현 과정을 살펴본 다음 천주교 텍스트의 유형을 나누어 보았다. 천주교는 한문 서학서를 통해 조선으로 들어왔다. 처음에는 종교가 아니라 학문으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그러다가 천주교는 지식층들에게 신앙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지식층들은 신앙 공동체를 이루는 단계로까지 나아갔다. 이와 같은 자발적인 수용은 조선 천주교회가 지닌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한문 서학서는 여러 계층의 신자들을 위해 한글로 번역되었다. 이는 교세의 확장과도 맞물려 있다. 한글로 직접 쓴 교리서가 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을 기반으로 천주교 텍스트는 형성되었다. 천주교 텍스트는 서술 주체의 특성과 표현의 양상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그것은 기록하는 주체에 의한 것, 고백하는 주체에 의한 것, 노래하는 주체에 의한 것이다. 제3장에서는 천주교 텍스트의 특성을 서술 주체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째, 기록하는 주체와 다양한 인물의 내적 의식을 살펴보았다. <기해일기>는 1839년의 기해박해 때 순교한 78명의 인물에 대한 기록이다. 서술자는 다양한 인물을 통해 참된 천주교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또한 앵베르 주교의 <1839년 조선의 서울 박해 보고서>와 김대건 신부의 <조선 순교자들에 관한 보고서>를 <기해일기>의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기해일기>가 취하고 있는 소거와 부각의 전략을 밝힐 수 있었다. <기해일기>는 당시의 사회·경제·정치 등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의도적으로 소거했다. <기해일기>는 순교자를 위한 서사 위주로 구성되었다. 또한 <기해일기>는 서술자의 감정이입과 논평을 통해 순교자를 부각했다. 이로써 교훈을 주고자 했다. 두 번째로 고백하는 주체와 본성 대 신념의 갈등을 살펴보았다. 이순이의 <옥중편지>에서는 순교에의 열망과 남편에 대한 사랑이 동시공존한다. 이순이에게 순교는 신념이자 목표였다. 그러나 이순이가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에는 순교에의 열망 못지않게 남편에 대한 사랑이 표출된다. 이때 이순이가 자신을 사랑에 빠진 여성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이는 종교적 신념 탓에 감정을 제대로 돌보지 못한 데서 기인한 것이다. 이경언의 <정해년이바오로 일기>에서는 천주교인으로서 순교를 갈망하면서도 삶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감정을 표출하는 저자를 만날 수 있다. 그러나 저자는 삶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감정을 종교적으로 승화하는 면모를 마침내 보여준다. 신태보의 <옥중수기>는 제목과 같이 신태보가 옥중에서 작성한 수기이다. 저자는 교우촌 생활, 고문 과정 등을 상세히 회고하고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저자는 자신을 바람직한 천주교인으로 투사하고 있다. 이는 오랜 시간 수감 생활을 하던 저자가 마음속에 품고 있던 욕망을 드러낸 것이다. 최해두의 <자책>은 배교한 자신을 책망하는 글이다. 최해두의 <자책>은 일반적인 고백록과는 다르게 단순히 책망에 그치지 않고 그 이면에 참회의 의도를 담았다. 세 번째는 노래하는 주체와 감화 및 결속의 설정을 살펴보았다. <사향가>에서는 자기 반영적 타자를 설정하여 신념을 재확인하고 그것을 전언하는 모습을 통해 천주교 신자들의 각성을 바라는 ‘적극적인 행위’로서의 글쓰기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와 타자를 구분 지은 후 오히려 상황을 현실과 다르게 전복시켜 천주교 신자들에게 위안을 주었다. <삼세대의>는 천지창조, 원죄, 예수 탄생, 부활 등 구약과 신약을 아우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삼세대의>의 화자는 이야기하기(들려주기), 설득하기 등 다양한 말하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여기에는 구세사(救世史)의 진정한 이해를 통해 사랑으로 귀결되는 신앙의 참 의미를 깨닫고 현세를 올바르게 살아가기를 바라는 화자의 바람이 담겨있다. 제4장에서는 천주교 텍스트의 문학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천주교 텍스트의 형성 과정을 검토했다. 이어서 당시의 문학작품과 천주교 텍스트와 직, 간접적으로 비교했다. 더하여 천주교 텍스트 속 주체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이를 통해 천주교 텍스트가 단순한 역사적 사료, 신학적 자료에 그치지 않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천주교 텍스트는 미학적, 문학적 가치를 담았다고 규정할 수 있다. 이는 천주교 텍스트에서 서술 주체의 특성과 표현의 양상을 중심으로 충분히 살펴본 데에 따른 결론이다. 이처럼 천주교 텍스트는 문학사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을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 天主敎의 傳來가 濟州 近代 女性敎育에 미친 影響

        양철호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제주도 근대여성 교육의 태동에 큰 공헌을 한 천주교의 교육 사업을 살펴보는 연구로서, 이를 위해 첫째 천주교의 우리나라 전래 과정을 학문과 신앙의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고, 둘째 제주도의 전래과정을 신앙적 측면에서 탐색했으며, 셋째 구한말의 제주도 교육 환경과 신성여학교의 설립·폐교과정을 통해서 천주교의 교육사업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천주교의 교육사업이 제주 근대여성 교육의 태동과 공·사교육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천주교회는 세계에서 그 전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독창적이고 개척적인 신앙심을 발휘하여 선교사의 도움없이 독자적 신앙공동체를 설립하였고 우리나라의 근대사에 교육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일을 수행하였다. 조선시대에 여성들에게는 학교 교육이 없었다. 다만 가정 안에서 문자교육을 받았으며 계급의 정도에 따라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사람도 있으나 대부분의 여성들은 전부 문맹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천주교의 교육사업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제주의 근대여성 교육에 크나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신성여학교의 개교를 통하여 제주도 최초의 근대교육의 선험적 역할을 하였으며 둘째 계급과 신분에 관계없이 인간의 존엄성에 맞는 여성의 평등교육을 실시하였고 셋째 지역 실정에 맞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통해 인간의 모든 가능성을 계발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916년 7월 신성여학교가 폐교된 이후 1946년 복교될 때까지 제주의 공교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특히 당시 신성여학교를 졸업한 선각자들에 의해서 불우한 여성들을 위한 사설강습소인 여수원을 설립하는 등 제주도의 여성교육, 초등교육 등 제주교육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효시로 남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