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채만식의 『옥랑사』연구

        이정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채만식의 장편소설 「옥랑사」(1948)를 분석하여 그 의미구조를 밝혀 채만식 문학의 전개 과정과 해방 공간의 소설사를 밝히는데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다. 해방 후에 창작된 중요한 장편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옥랑사」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옥랑사」의 시간, 공간, 인물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서 그 작가론적,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그 구성의 역진성이 유사한 다른 작품들의 실험을 완결 짓는 데다가 채만식의 후기소설을 특징짓는 중요한 징표라는 점을 중시하여 자세히 분석한다. 아울러 친일행각을 벌였던 채만식이 해방 이후 자신과 현실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변모돼 갔는지에도 주목하고자 한다. '역진 구성'이란 중심 사건이 서사적 현재와 과거에 모두 등장하고, 현재로부터 과거로 시간이 역진을 하여 배열되는 구성 형태를 말한다. 그러한 구성을 취한 작품은 현재에서 과거로의 시간이 이동함과 동시에 공간의 이동이 일어난다. 채만식 전집에 수록된 소설 작품 76편 중에는 본격적으로 역진구성을 취한 작품이 16편 (장편 4편, 단편 12편) 있다. 그 작품들은 1938년부터 1949년까지 계속해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역진 구성은 채만식 문학을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는 하나의 특성으로 삼을 수 있다. 역진 구성을 취한 채만식 소설들에 있어서 서사적 현재는 작품이 발표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서사적 과거는 대부분 19C말 혹은 개화기이다. 그리고 소설의 인물들에게 있어 그 시기는 사랑의 실패, 자살(죽음), 재산의 상실, 불안한 성공사 등의 불행의 시기이다. 또 서사적 현재는 과거의 불행의 연장이다. 또 이 소설들의 주요 사건의 공간은 주로 '서울'이다. 그리고 인물들은 슬픈 과거를 지닌 비극적 인물들이다. 채만식의 역진구성의 소설들은 그가 과거의 사건들을 통해 현재의 상태를 재검하고 불행한 현재의 원인을 과거의 사실로 부터 찾아내고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과거에 집착하는 경향을 알 수 있다. 「옥랑사」는 이러한 양상을 가장 전형적으로 그리고 본격적으로 보여준다. 채만식은 과거의 친일행위에 대한 죄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해방을 맞은 조국에서 새로운 조국의 미래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과 전망을 내놓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그는 「옥랑사」의 초인적 힘을 지닌 인물 장선용으로 하여금 불행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방황하고 결국은 죽음으로 저항하는 이야기를 쓴다. 그리하여 자신의 불만스런 현실을 비판하면서 진보하는 역사에의 신뢰를 내비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옥랑사」의 공간들의 이동은 인물의 의식의 변화와 대립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집'은 당시의 지배적 이념이던 유교적 효의 논리가 집약된 공간이다. 이곳은 봉건적 질서의 붕괴시 극복되어야 할 공간이다. 유교적 효의 논리가 지배하는 공간 '집'은 새로이 부상하는 개화 이념, 동학사상 등의 '세상'이라는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거부된다. '세상'에 던져진 주인공은 동학과 독립협회의 민권사상, 독립 정신, 민주주의사상 등을 접하고 그 속에 들어가 싸우며 의식의 성숙을 경험한다. 그러나 '세상'은 부상하는 이념이 지배적 이념에 의해 무참히 패하고 마는 실패의 공간이다. 봉건질서를 거부하여 집에서 세상으로 이동한 그가 새로운 희망을 걸고 참여한 동학과 독립협회의 사상의 실패를 맛보고 찾은 공간이 '노루재'다. 그곳은 세상과 완전한 격리를 꿈꾸고 찾은 곳이 아니라 오히려 세상을 향한 저항을 하기 위한 공간이다. 그곳에서 4년간의 주인공의 일인과 그 협력자들에 대한 살인이 행해진다. 노루재는 「옥랑사」의 주인공의 저항을 통한 진보적 역사에의 신뢰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공간이다. 선용은 집단에 의해 피해 입은 개인을 형상화하는 전형적 인물이다. 그는 그 피해의 원인이 봉건질서라는 것을 알고 그것에 대립하여 세상이 민주적으로 독립된 세상으로 개화되기를 바란다. 그는 봉건질서의 테두리인 집에서 나오고 동학과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에 적극 참석하는 등 진보적 이념을 소유한 인물이다. 그는 지배세력에 의해 동학과 독립협회가 실패하자 개인적 저항으로 맞서다 죽는다. 이것은 불만스런 현재에의 거부를 의미하고 그 거부의 방법은 죽음이다. 그런데 그냥 비판한 죽음이 아니라 불만의 현실에 뛰어들어 그 현실을 타개하자는 죽음이다. 이 죽음은 새로운 세계에 대한 갈망에서 나온 집단을 향한 반항인 것이다. 반항은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긍정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자기 자신을 재물로 바치는 선용의 비극적 죽음은 불의한 현실에 대한 반항이며 진보하는 역사에의 신뢰를 의미한다. 그의 죽음은 동학의 접주 셋째 외숙 박재춘의 죽음을 모방한 것으로 불의의 현실을 극복하려는 동학의 이념에 동조한 외숙의 죽음은 선용의 의식에 깊숙이 자리 잡는다. 이러한 선용의 죽음은 채만식에게 속죄의 의미 구실을 한다. 자신의 친일이 행해진 일제 말기보다 훨씬 이전의 시기, 나라가 망한 그 순간을 선용이 일인들과 그 협력자들을 죽이고 죽음으로써 채만식은 자신의 친일의 기억을 지우고 나아가 속죄의 도구로 사용한다. 결국 「옥랑사」는 해방이후 채만식의 친일행위로 인해 날카로운 현실비판과 미래에의 전망이 불가능하게 되어 빠져든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그의 해방후 정국의 현실인식의 양상과 역사의 진보에의 신념을 표방하는 의도의 산출이다. 따라서 「옥랑사」는 그의 문학이 허무와 절망으로 빠지는 것으로 부터 벗어나고자 노력한 후반기 채만식 소설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e Man-sik's long story "Okrang story" (1948) and illuminate its underlying implications and feature the development of his literature as well as its post-liberation significance. Although it was an important long story created after the liberation, "Okrang Story" has not been researched into on a full scale. Therefore, it may be useful to illuminate the historic background and characters of the work and thereby feature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author's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alyze the reverse-developing work keeping in mind the fact that it is an important symbol characterizing his later novels. In this course, the change of his view of reality was discussed as the pro-Japanese author lives another life after liberation. "Reverse-structuring" means a type of structure wherein the central event occurs at the descriptive present as well as in the past and the story retro-develops from present to the past. In such a structure the spacial movement will accompany the counter time-wise development Chae Man-sik could not present any straightforward vision of future fatherland because he faced the liberation with his guilty sense of past pro-Japanese activities. Thus, he depicts Chang Seon-yong as super-man who wanders amid the whirls of history and finally resists to the unfortunate history with death. Through this character Chae Man-sik seems to have trusted the progressive history criticizing his own unsatisfactory reality. The spacial movements in the story imply characters' changing consciousness as well as their mutual confrontations. "The house" was a space where the dominant ideology or the dogma of Confucian faithfulness was concentrated. In other words, the house was the space which should be surmounted when the feudal order collapses. The house dominated by the dogma of Confucian faithfulness would be rejected as it moves into a space full of emerging ideologies of enlightenment and Eastern Learning. Seon-yong is a typical character who is hurt by a group. He recognizes that the culprit was the feudal order, and decides to confront it, wishing that the world would turn into democratic and independent, He leaves the house, the frame of the feudal order and would be actively engaged in Eastern Learning and People's Committee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When they failed due to the oppression of the ruling forces he resists and dies, He refused the unsatisfactory reality and expressed his refusal as death. Such Seon-yong's death implies a redemption for the author, He kills the colonists and their co-workers at the tsime far before the author becomes pro-japanese and then, dies, The author used the character as a tool to erase the memory of his pro-Japanese activities and re-deem himself, All in all, "Okrang Story" may well have been an expression of Chae Mun-sik's view of post-liberation situation and his trust of the progress when his pro-Japanese actions made him unable to criticize the reality or project the future. In this regard, the work should be re-evaluated as an important literature which shows his efforts to escape from nihilism and despair.

      •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근대여성주체와 모성의 문제

        구자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lluminates repetitive appearance of female characters who pursue their desires without sacrificing for their children in Chae Man-sik’s fictions. Women in Chae Man-sik’s fictions do not give up their lives and desires for their children, nor are they condemned, retaliated, or punished to be unethical throughout the narr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se characters in order to find solutions on the dilemma of feminism, which is the gap between sacrificial motherhood and independent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potential of male writes materializing feminine issues through fiction.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how female characters are reenacted in Chae Man-sik’s fictions, because Korean literature thus far has achieved progressive reenactment of femininity relatively easily by separating ‘mother’ and ‘woman,’ while it has repetitively reproduced narration of punishment on female characters who do not comply with the ideology of motherhood. Literary works which plainly follow the ideology of motherhood played the function of warning female readers, ultimately solidifying the patriarchal ideology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Chae Man-sik sought to depict the violence and paradox that women in colonial Joseon faced using methods of reenactment which were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of the tim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how women in his fiction, who are interpellated as ‘mother’ by the motherhood ideology, creates rupture in the relationship mediated by motherhood. To do this, it referred to Louis Althusser’s concept of ‘ideological interpellation,’ as well as Slavoj Žižek’s theories that point out the ‘subject before interpellation’ and the ‘dimension beyond interpellation.’ Discovering female characters who rebel against the motherhood ideology in Chae Man-sik’s works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overs female subjects who are interpellated by the motherhood ideology. Unlike the male writers at the time who presumed ‘obviousness’ of motherhood when depicting female subjects who were created by interpellation of the motherhood ideology, Chae Man-sik depicts female subjects in his fiction who fit Žižek’s process of interpellation as ‘willful’ delegation rather than that of Althusser in that they reject their intrinsic maternal love and show confusion or lack of confidence in their role as mothers. Chae Man-sik noticed the fact that patriarchy and the motherhood ideology combined with capitalism as well as imperialism to work as multi-layered repression and violence on women in colonial Joseon. Consequently, he closely depicted female characters who are exposed to various circumstances of repression in individual works, while materializing the strong resistance and subversive energy performed by each female character. Chae Man-sik searched for the idea of modern female subject in a post-modern manner while deferring to give a direct answer on the conditions of modern female subject. It is interesting that he not only dealt with the lives of mothers as married women who assume motherhood, but also those of various women including unmarried women, women who raise their children on their own, and divorced women. Chapter 2 of this study discusses 『Out of A Doll’s House』, which is Chae Man-Sik’s first full-length novel, where he presents Nora to challenge that an escape from the existing ideology of the motherhood ideology is critical in establishing the modern female subject. Chapter 3 analyzes Chobong, the female protagonist of 『Takryu』, which is considered to be Chae Man-sik’s major work, to capture the scene where Chobong, who used to remain as a victim of violence on women, transforms into a ‘modern female subject’ by acquiring her own language and behavior. Chobong, who is a victim of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changes from an ‘object’ to a ‘subject’ by murdering the assailant man with her own hands. Chobong disturbs the patriarchal order through such resistance, and Chae Man-Sik proclaims that this is the beginning point of his female narration by titling the last chapter of 『Takryu』 as ‘Prelude.’ His subsequent works, such as 「Jut」, 「Banjeom」, 「Mosek」, and 「Ireon Nammae」 commonly show the motif of ‘women without motherhood.’ By reproducing the narration where other writers reproduce narrations that punish women who prioritize their desires over motherhood, Chae Man-sik rebels against the tradition that disciplined women’s desires and uses the character of nanny in 「Jut」 to promote the restoration of self-gaze and desire on women’s body. This is significant that it challenges the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women’s body, such as repressive mechanisms targeting the mother’s body to rectify and repress it. As such, Chae Man-sik refuses to stay as a safe observer when reenacting the repressive circumstances of contemporary women as a male writer, but continues to deliberate on the ethics of reenactment, while dismantling the boundary between mother, who are fixated by the motherhood ideology, and women who are outside the boundary. Chapter 4 interprets 『Lifetime of Woman』, 『A Biography of a Woman』 series, and 「Shim-Bong-Sa」 as works that describes Chae Man-sik’s continued interest on repressive circumstances and motherhood of women in colonial Joseon, rejecting a separated interpretation on Chae Man-sik’s fictions to be cooperating to colonial Japan and noticing the internal continuity of such works. Chae Man-sik depicts the struggles of maternal characters who took charge of their families due to the absence of male patriarchs under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the late colonial period, where empiricism and patriarchism were tightly related. It is interesting that they show reenactment of an alternative motherhood without being slanted into an ideology of militarist motherhood. By depicting the process where widows who deviated from existing patriarchism and the motherhood ideology acquire a new position as ‘matriarch’ in a generational manner, Chae Man-sik shows that motherhood is not something that is intrinsic, fixated, nor certain and simultaneously presents the concept of ‘performative motherhood.’ The rupture of the motherhood ideology through performative motherhood is created by the parody where Shim Hak-gyu, the protagonist of 『Shim-Bong-Sa』-a rewrite of ‘The Tale of Shim Chong- performs a mothering role. The analysis in this chapter referred to Judith Butler’s performativity theory. In conclusion, the female characters in Chae Man-sik’s fictions rebels against the motherhood ideology using various strategies, such as escape from house, legitimate murder of an assailant of sexual violence, jouissance of desire, matriarchy, and performative motherhood. Through such process of resistance, Chae Man-sik sought to explore and materialize the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aspects of ‘modern female subject.’ The conservative trend of Korean literature on motherhood among female symbols, which continue to this day, is attributable to the dynamics of female literature in the 1920s and 1930s which chose to make an indirect, rather than direct, denial of the motherhood ideology after Na Hye-sok. Despite Chae Man-sik’s position as a male writer may be a limitation in adequately exposing women’s experiences, the fact that the idea of Chae Man-sik, a male writer, resonated with the Ideology of Na Hye-sok at such time suggests an advantage in narrating these experiences as fictions for issues that are internalized and forced as a taboo for female writers, such as the discourse on motherhood. As long as the process of narra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has significance on its own, capturing and recording these scenes into the history of female literature will make it richer and more elaborate. 본 연구는 채만식의 소설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자식을 위해 희생하지 않으며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여성인물들에 주목하며 출발하였다. 채만식의 소설 속 여성들은 자식 때문에 자신의 인생과 욕망을 포기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은 결코 서사 진행 속에서 부도덕한 것으로 비난 받거나 응징· 처벌되지 않는다. 본고는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희생적 모성과 주체적 여성 사이의 거리”라는 페미니즘이 당면한 딜레마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찾음과 동시에 남성 작가가 여성의 문제를 소설로 형상화하는 작업이 갖는 의의와 가능성 역시 살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재현 방식을 살피는 작업이 중요한 이유는, 그간 한국 문학이 ‘어머니’와 ‘여성’을 분리한 채 여성성에 한하여는 비교적 쉽게 진보적인 재현을 이루어온 것과 달리, 모성과 관련하여서는 성역화를 공고히 하고 모성이데올로기에 복종하지 않는 여성인물에 대한 처벌의 서사를 문학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재생산하여왔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모성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답습한 문학 작품들은 여성 독자에게 경고의 기능을 하고, 더 나아가 한국 사회 전반의 가부장적 통념을 공고화하는 데 재차 기여해왔다. 채만식은 동시대의 여타의 작가들의 재현 방식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이 당면한 폭력과 모순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소설에 나타난, 모성이데올로기에 의해 ‘어머니’로 호명(interpellation)된 여성 주체들과 그 주체들이 모성으로 매개된 관계맺음의 과정에서 균열을 야기하는 양상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데올로기적 호명”이라는 루이 알튀세르의 개념과 “호명 이전의 주체”와 “호명 너머의 차원”을 지적하는 슬라보예 지젝의 이론을 참고하였다. 채만식 작품 속에 재현된 모성이데올로기를 반역하는 여성 인물들의 발굴은 모성이데올로기로 인하여 호명되기 이전의 여성 주체들을 발견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게 된다. 당대의 남성작가들이 대개 모성이데올로기의 호명으로 탄생된 여성 주체들을 그려냄에 있어서 모성의 “자명성”(obviousness)을 전제하였던 것과 달리, 채만식의 소설 속 여성 주체들은 생득적 모성애를 부정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어머니 역할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거나 확신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알튀세르보다는 지젝이 설명한 “자의적” 위임으로서의 호명 과정에 보다 부합한다. 채만식은 가부장제와 모성이데올로기가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와 결합하여 식민지 조선 여성들에게 중층적인 억압과 폭력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개별 작품 속에서 다양한 억압적 상황에 노출된 여성 인물들을 세밀하게 그려냄과 동시에 폭력 상황의 임계점에서 각 여성 인물들이 수행한 강력한 저항과 전복의 에너지를 형상화였다. 채만식은 근대여성주체의 요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즉답을 유보하면서 탈근대적 방식으로 근대여성주체의 상(象)을 모색하였다. 이때 모성을 전제한 기혼여성인 어머니 인물만을 다룬 것 아니고, 비혼 여성, 혼자 아이 키우는 여성, 이혼 여성 등 다양한 여성들의 생애 기획을 다루었다는 점 역시 흥미로운 지점이다. 2장에서는 채만식은 자신의 첫 장편소설인 『인형의 집을 나와서』의 노라를 통해 근대여성주체의 성립을 위하여는 기존의 모성이데올로기로부터 탈피하여야 한다는 문제제기를 수행한다. 3장에서는 채만식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탁류』에 나타난 여주인공 초봉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여성에 대한 폭력의 피해자로 머물러 있던 초봉이 자신의 언어와 행위성을 획득하면서 ‘근대여성주체’로 변모하는 장면을 포착하려 하였다. 성폭력과 가정폭력의 피해자였던 초봉은 자신의 손으로 가해자인 남성을 살해함으로써 비로소 ‘대상’에서 ‘주체’로 거듭난다. 초봉은 이러한 저항으로 가부장제 질서를 교란하기 시작하였고, 작가는 『탁류』의 마지막 장의 제목을 ‘서곡(序曲)’이라 이름 붙임으로써 이것이 채만식의 여성서사의 출발점이 되고 있음을 선언하였다. 이후 발표된 「젖」, 「반점」, 「모색」, 「이런 남매」 등에서도 역시 ‘모성 없는 여성’의 모티프가 공통적으로 드러난다고 보았다. 특히 채만식은 여타의 작가들이 모성보다 자신의 욕망을 앞세운 여성들을 처벌하는 서사를 재생산함으로써 여성의 욕망을 훈육해온 관행에 반기를 들며, 「젖」의 유모 인물을 통해 여성의 몸에 대한 자기응시와 욕망의 복원을 도모한다. 이는 여성의 몸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역사적 사실, 이를테면 어머니의 몸을 억압기제들이 공략지점으로 삼고 교정하고 억제해온 사실들에 대한 문제제기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처럼 채만식은 남성 작가로서 당대 여성이 처한 억압적 상황을 재현함에 있어서, 안전한 관찰자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재현의 윤리에 대해 고민하면서, 모성이데올로기로 구획된 어머니와 경계 밖의 여성들의 경계를 해체시키는 작업으로 나아갔다. 4장에서는『여자의 일생』과 『여인전기』 연작 및 「심봉사」를 식민지 조선 여성이 처한 억압적 상황과 모성성에 대한 채만식의 지속적인 관심이 이어진 작품으로 독해함으로써 채만식의 대일협력기 소설에 대한 단절적 해석론을 지양하고 내적 연속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제국주의와 가부장주의가 가장 강력하게 결합하였던 일제 말기의 역사적 조건 하에서 남성 가부장의 부재로 인하여 가족의 생계를 담당하였던 어머니 인물들의 분투를 그려내고 있는데, 군국주의 모성이데올로기로 경사되지 않고 대안적 모성의 체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기존의 가부장제와 모성이데올로기의 질서에서 벗어난 과부 인물들이 “가모장(matriarch)”이라는 새로운 위치를 확보하는 과정을 세대론적으로 그려냄으로써 모성이란 생득적인 것도 고정된 내용도, 확신하는 어떤 것도 아니라는 점을 보여줌과 동시에 “수행적 모성”의 양상을 보여준다. 수행적 모성을 통한 모성이데올로기의 균열은 심청전을 다시 쓴 소설 『심봉사』의 주인공인 심학규가 어머니 역할(mothering)을 수행하는 장면을 통해서 패러디를 통해 주조된다. 이 장의 분석은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을 참고하였다. 결론적으로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들은 탈가(脫家),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정당방위로서의 살해, 욕망의 향유(jouissance), 가모장과 수행적 모성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모성이데올로기에 저항한다. 이러한 저항의 과정을 통해 채만식은 ‘근대여성주체’의 복합적이고도 입체적인 다양한 모습을 탐색하고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도 한국문학 속 여성 표상 가운데 모성에 관하여 유독 보수적인 경향이 지속되어 온 데에는, 나혜석 이후 모성이데올로기에 대한 직접적 부정보다는 우회한 방식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었던 1920-1930년대의 여성문학의 장의 역학관계가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당대 남성작가인 채만식이 오히려 나혜석의 사상과 공명하였다는 점은, 남성작가라는 위치가 여성의 경험을 충분히 드러내기에는 한계로 작용할 수 있지만, 모성담론과 같이 이데올로기로서 여성작가들에게 금기로서 내면화되고 강요된 경우에 있어서는 오히려 작가로서 이를 소설화하는 데에 유리한 측면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학사를 서술해나가는 작업이 여전히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면, 이러한 장면들을 놓치지 않고 포착하여 여성문학사에 기입하는 작업은 여성문학사를 보다 풍요롭고 세밀하게 만들어줄 것이다.

      • 채만식과 라오서(老舍)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비교연구 : 1930년대를 중심으로

        조홍매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문학의 보편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공통된 수난시대이며, 대 격변시대였던 19세기 30년대, 한·중 두 나라를 대표할만한, 양국 현대문학에 기여가 있는 작가 채만식과 老舍의 작품 속 여성상에 대하여 연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작가의 여성관을 기점으로 당시의 한국과 중국에서의 여성들의 가정 내 지위, 사회적 지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당시 사회의 면모, 근대의식과 봉건전통의식의 갈등, 변모해가는 사회적 현실에 대응하는 모습을 한 · 중 여성해방운동을 통하여 포착할 수 있다. 두 작가는 하층여성들을 통하여 전통적 가치관을 지닌 여성의 비극적인 삶을 제시하는 한편, 중산층 여성들을 통하여 새로운 시대에 여성들의 사고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것이 당대의 전통적 보수주의에 의해 좌절되는 것을 사실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여성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당시 양국 여성들의 비극적인 삶과 시대양상을 비교검토, ‘인간’으로서의 여성상을 제시하고자 했던 양 작가의 공통성을 살펴보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 종전의 영향관계를 따지던 비교문학 연구방법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종래의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공통된 모티프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채만식과 노사의 작품 속 여성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 · 중 여성상의 공통점을 세 가지로 총괄할 수 있다. 첫째는, 가부장적 질서에서 희생하는 여성상, 둘째는, 봉건적 의식의 희생자, 마지막으로는, 경제체제의 희생과 운명해법의 상이성 등이다. 그 밖에, 스스로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힘을 갖추지 못한 여성의 비참한 삶에 대하여 채만식과 노사는 연민과 동정의 시선을 보냄과 동시에 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해 조성된 여성의 기구한 운명에 대한 기술을 통하여 사회현실을 예리하게 규탄하였다. 그들은 이들에게 운명의 극복을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운명의 극복의 방식에서 두 작가는 오히려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는데 채만식의 여주인공들은 비참한 처지에서도 마지막 출구가 열려 있는데 반하여, 老舍는 그 출구를 봉쇄하고 한결같이 죽음으로서 주인공의 삶을 끝맺고 있다. 36년의 긴 일제강점기를 거친 한국의 채만식이 그린 여성상과, 이에 반해 비교적 국가의 정체성을 온전하게 보전한 중국의 노사가 그린 여성상은 비교분석을 통해 당대 동아시아의 배경에서 공통적인 여성상을 추구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동아시아의 문학의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제이다.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literature's universality of the East Asia, the women's character is researched,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novels of Chae Man Sik and Lao She, who were both the typical and contributed author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during the 1930's, the common suffering era for Korean and china. Based on the women's image in the Chae Man Sik and Lao She's novels, the women's status in the society and family at that time can be comprehended and further the social status, the conflict between modernism and feudalism and the revolutionary social reality is demonstrated through the women's liberation activities. These two authors not only vividly revealed the bottom class women's tragical fate with a traditional sense of value, but described how the middle class women with a modern conception developed and their frustration, when facing the conservatism. Through analyzing the women's characters of the day their tragical fate and the social status at that time is described comparatively, and the common humanistic image of the women in two authors' novels is also presented. In addition, through the former research method - comparative literature, which is involved in the interaction relationship the anticipation is difficult to achieve considered by write and beyond the ordinary research methods the common motif is focused and analyzed. Analyzing the women's characters in the novel's Chae Man Sik and Lao She, the common ground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men can be concluded in three aspects - the victims in the sexism circumstance, the victims in the feudality and the victims in the special economic system of day, including their helplessness to fate. Moreover, Chae Man Sik and Lao She showed their sympathy to the women who suffered from tragical life and could not dominate their own fates at that time, and also denounced drastically the social status of day which caused many women's unfortunate lives. However, they also endowed those women with the rebellious consciousness. On this point, two authors used the different styles, in Chae Man Sik's novels finally the heroine pulled through her tragical life, by contraries in Lao She's novels they all could not change their tragical fate and finished their lives with their death in the end. Through comparing the women characters in the novel of Chae Man Sik who lived 36 years colonial life under Japanese imperialism with the ones in the novel of Lao She who had a absolute Chinese traditional life the common women character of East Asia at that time was described, through which the culture universality of East Asia can be understood.

      • 蔡萬植 長篇小說 硏究 : 植民地 現實과 主體의 關聯 樣相

        소산산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蔡萬植是一位密切關註殖民地現實,為了認清依托於日本移植來的韓國近代社會特性而不懈努力的作家。本文以蔡萬植長篇小說中創作主體與‘近代’這一‘他者’的關系變化為依據,將他的長篇小說創作劃分為四個時期,並按照時間順序具體考察蔡萬植渴望脫離殖民體制,追求民族獨立自主的主體認識的變化過程。 根據時期劃分,首先第二章以奧古斯特·倍倍爾(AugustBebel,1840~1913)的社會主義女性主義理論為切入點,分析蔡萬植的第一部長篇小說≪走出玩偶之家的原由≫與倍倍爾的≪女性與社會主義≫之間的關聯性。蔡萬植作為同伴者作家對於馬克思主義創作方法進行的實踐是來自於他對馬克思主義理論的接觸與了解,來自於對殖民地現實的關註與批判,更是來自於對於階級問題的覺醒而產生的無產階級作家意識。 第三章集中考察1934年無產階級文學運動遭鎮壓逐漸退潮後,創作主體的批判對象由政治體制轉移到經濟體制的三部長篇小說≪濁流≫,≪太平天下≫,≪金的情熱≫。這一時期蔡萬植的長篇小說通過諷刺手法細致入微地刻畫了殖民經濟體制給韓國民眾造成的心理影響,批判了由此引發的糧食期貨,金礦開發等大規模投機風潮。他警惕著殖民地宗主國日本主張的‘日本價值’,對被犧牲的‘韓國價值’保持深刻清醒的認識,但卻不具備如何克服這一問題的能力,在和‘近代’這一‘他者’的關系中創作主體的能動性明顯地減弱。 第四章主要考察在太平洋戰爭前後日本殖民統治愈發強化的時期,蔡萬植創作的三部長篇作品≪美麗的清晨≫,≪女人戰紀≫,≪女人的一生≫。這一時期由於創作主體的隱匿,表面上呈現出主體對殖民地體制的“順應”。但是通過仔細閱讀分析可以發現作品的敘述具有雙重性隱喻,而且作品中女性敘事占了極大的比重。其中堅強的女性人物表現出的順從與隱忍來自於作家對‘自我’這一主體的堅持。作為男權社會中‘他者’的隱喻性存在,女性人物可以說是日本殖民統治下受壓迫隱匿化的韓民族主體的化身。在一點上,蔡萬植的創作是雙重性的隱喻性敘述,他的主體認識是多面的、復雜的。 第五章集中考察一九四五年解放後創作主體主動流露出省察意識的長篇作品《玉娘祠》。日帝強占期,蔡萬植不得已將對當代殖民體制的批判和諷刺隱藏在雙重性敘述中。解放後,他主動地對自己的殖民地文學創作進行反省,從未中斷關於‘我們的力量’尚不存在的這一民族問題的思考。蔡萬植對於近代化過程中自主力量的追求與思索是近代韓國在與外來列強的關系中堅持民族獨立自主的主體認識的體現。這種認識正是日帝強占期隱匿主體的再現。 在長篇小說的創作初期(1930~1933),蔡萬植接觸到馬克思主義理論繼而開始關註階級問題產生無產階級意識,吸收馬克思主義的創作方法,形成明確的主體意識。在第二個創作時期(1934~1939),蔡萬植的諷刺作品是他作為批判現實主義作家一貫的‘否定精神’的體現,更是主體意識直接表述遇到挫折後創作的反映韓國近代化特性的獨具個人特色的文學成果。蔡萬植在殖民統治強化期(1940~1944)仍然堅持發表作品。他在這一時期的作品雖然被先行研究者評價為親日作品,但他的創作只是為了能夠茍且地活下去,並不是為了追求個人榮華富貴,也不是為了宣傳日本殖民統治。他更沒有為了克服自己的虛無主義而接受被日本宣揚成‘近代的超克’的‘日本東方主義’。他表面上雖順應日帝體制,實則運用雙重性敘述隱匿了創作主體,保持了清醒的主體認識。一九四五年解放後(1945~1950),他第一時間主動地通過文學創作進行自我省察,一如既往地堅持民族獨立自主,主張對殖民地近代性展開歷史反省,號召警惕後殖民主義,這些都是蔡萬植主體認識一直存在的佐證。 蔡萬植長篇作品的主體認識在與‘近代’這一·‘他者’的關系層面上呈現出積極性的變化。他在與‘近代’的‘對話性關系’中,堅持追求‘自我’,不懈地構建‘真我’,通過文學創作記錄了韓國的近代被殖民體驗。解放後南北韓分裂日漸長期化,蔡萬植在四十八歲的年紀就離開了人世,但是他對於韓民族能夠獨立自主開展近代化的那份渴求將會在作品中永存。 Chae Mansik is a writer who pays close attention to colonial reality and spares no efforts to figure out modern Korean society features borrowed from Japan.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is thesis specifically describes the changing process of Chae Mansik craving decolonization from colonial system to pursuing national independence, chronologically dividing his creation period into four phases. According to the creation period division, using August Bebel(1840~1913)’s socialist feminism as the breakthrough point, Chapter Two analyses the relation between Chae Mansik’s first novel <The reason to run away from Doll’s House> and Bebel’s <Die Frau und Der Sozialismus (Women and Socialism)>. As a fellow-traveler, Chae Mansik gained his practice in Marxism creation approach through the contacts and understanding of Marxist theory. He concerned and criticized colonial reality based on his proletarian writer consciousness due to his awakening awareness of proletarian class problems. Chapter Three focuses on Chae Mansik’s novel series whose criticizing targets converted from political system into economic system, created after the low tide of proletarian class literary movement. During this special time, Chae Mansik ironically depicts psychological influence on Korean people because of colonial economic system and consequent massive speculative tide in nuanced description. He remained vigilant on ‘Japanese Value’ advocated by Japan's colonial suzerain. He was also fully aware of the undermining of ‘Korean Value’, but he didn’t own the capability to overcome this issue. Consequently, the subjective initiative significantly got weakened. Chapter Four mainly discusses Chae Mansik’s novels created during Pacific War era from 1940 to 1944 when colonial dominance increasingly strengthened. During this period, the subjects of novels show their obedience to colonial system. However through careful reading and analysis, readers can still find the metaphors in the narrative of these works. Another feature of his works at this period is that most of the novels were narrated by women’s perspective. Among these works these strong female characters express their inner insistence of ‘Slef’ showing the obedience and forbear on the surface. As the metaphorical existence of ‘the other’ in patriarchal society, these strong female characters can be regarded as the concealed incarnation of oppressed Korean national subject under Japan’s colonial rule. So, Chae Mansik utilized dual and obscure narrative method to create his works. The subject's recognition in his works is multifaceted and complicated. Chapter Five analyses the introspection awareness of subjects thanks to the sudden liberation in <Ongnangsa>. After hiding his critic and satire to modern colonial regime forc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t that time, Chae Mansik volunteered to reflect on his works and ponder the realistic issue of nonexistence of “our power” constantly. His pursuit and thinking of independent power in modernization process represents the awareness of national independent sovereignty among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foreign powers in modern times. No doubt this subject's recognition is the reproduction of concealed subject under Japanese’s colonial occupation. At the beginning of his creation, Chae Mansik contacted Marxist theory and then began to pay attention to class issue. Meanwhile, he gained his proletariat consciousness and absorbed Marxism creation methods. He maintained a clear understanding on problems aros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n modern times. However, he kept a certain distance from correct solutions and a skeptical attitude to these problems. During his second creation period, Chae Mansik’s satire works represent his consistent ‘negative spirit’ in terms of the fact that he is a critical realism writer and also reflect the unique literary achievements due to the Korean modernization features. Critizing Japan's colonial rule and advocating to be autonomous and independent from oppression, Chae Mansik insisted on publishing his works even when colonial rule reinforced. His works at this period were commented as pro-Japanese by previous researchers. But the only reason why he created these works this way is to keep alive, rather than pursuing wealth or political powers, nor to propaganda or echo Japan’s colonial rule, nor to accept ‘The Japanese Orientalism’ as the theory of overcoming modern’s issues in order to overcome his defeatist nihilism. After Korea’s sudden liberation, the fact that he voluntarily conducted self-introspection also proves the existence of his subject's recognition. Chae Mansik’s works demonstrate a positive change in the subject's recognition o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is change shows his thorough understanding on ‘The Japanese orientalism’. Even though he shows his compliance on the surface, he uses dual narrative method to conceal creative subject and remains a sober mind. It can be concluded that,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Chae Mansik through literary creation insisted on the pursuit and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created modern Korea’s colonized experience because of failure of independence. During the post liberation period wh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gan a long-term division, Chae Mansik passed away. However, his enthusiasm and longing for independent modern Korea will last forever in his great works. 채만식은 식민지 근대 현실과 자신과의 관계에 대해 매우 민감한 작가였다. 그는 당시 일본에 의해 이식된 한국적 근대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인식하고자 꾸준히 노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채만식의 장편소설에 반영되는 ‘근대’라는 ‘타자’와의 역동적 관계를 기준으로 삼아 크게 4개의 시기로 나누어 장편작품들을 단계별로 살펴봄으로써 채만식의 주체인식의 추이와 탈식민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시기구분에 따라 2장에서 아우구스트 베벨(August Bebel, 1840-1913)의 사회주의 여성해방론 관점에 입각하여 채만식의 첫 번째 장편소설인 『인형의 집을 나온 연유』와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논리가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는 주체가 1920년대 말부터 갖게 되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 그리고 계급문제에 눈뜨는 프로의식의 종합적 작용에서 형성된 것이다. 3장에서는 1934부터 1939년까지 채만식의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프로문학운동이 점차 사라진 후, 창작 주체의 저항 대상이 정치체제에서 경제체제-자본주의로 전환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채만식은 그의 작품 『탁류』, 『태평천하』, 『금의 정열』에서 ‘경제적 토대’가 사람들에게 일으킨 심리적 작용과 행동에 미친 영향을 섬세하면서도 심도있게 검토하였다. 그러나 채만식은 ‘일본적 가치’에 가려진 ‘한국적 가치’를 인식은 하였으나, ‘일본적 가치’를 극복할 힘을 갖추지 못하여 ‘근대’라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그가 인식한 주체성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었다. 4장에서는 태평양전쟁을 전후하여 한층 더 강화된 제국주의적 지배로 인하여 창작 주체가 은닉되며 식민지체제에 ‘순응’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이기 시작한 1940년부터 1944년까지의 장편소설들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작품 『아름다운 새벽』, 『여인전기』, 『여자의 일생』에서 여성서사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서 타자로서의 은유로 형상화된 여성 인물은 바로 은닉된 한국적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채만식의 주체인식은 매우 중층적이고 복합적이라고 할 수 있다. 5장에서는 예기치 못한 해방으로 인하여 명확한 주체적 성찰의식을 보이기 시작한 『옥랑사』를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에 부득이하게 당대 체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내면에 숨겨둔 채만식은 해방 후에 자발적으로 자신의 과오(過誤)를 반성하였다. 그는 끊임없이 ‘우리의 힘'이 부재하는 현실을 집중적으로 고민하고 있었다. 근대화 과정에 있어서 주도하는 내재적 역량에 대한 채만식의 고민과 모색은 근대에 한국과 외세 열강의 관계에서 민족의 자주와 독립을 지키려는 주체인식의 표출이다. 이러한 인식은 일제강점기의 은닉된 주체의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채만식의 식민지 글쓰기는 개인의 영달이나 사회적 위치의 상승, 일제의 선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로지 구차하게 연명하기 위한 것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이른바 ‘서구식 근대의 초극’ 논리를 패배적인 허무주의를 치유하기 위한 처방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근대와의 역동적 관계에서 인식적 변화를 보인다. 그 결과로 그는 ‘근대의 초극’ 논리로 가장된 ‘일본식 오리엔탈리즘’을 간파하면서도 그것에 표면적으로 순응하여 창작적 주체를 은닉하였다. 이 점에서 채만식은 근대와의 ‘대화적 관계’를 통해 ‘나’의 구성에 집중하면서 자신의 뜻대로 할 수 없는 한국적 근대체험을 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분단이 고착화되어 가는 해방기에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한국적 근대에 대한 갈망은 작품 속에 영원히 남아 있다.

      •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대일 인식의 이중성 연구 : 「여인전기」와 「여자의 일생」을 중심으로

        이의연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의 목적은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대일 인식의 이중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을 이와 같이 설정한 이유는 몇 가지 이유가 있어서이다. 첫째, 1970년대 이후 채만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일 인식에 대한 본격적 · 단독적인 연구는 대단히 미미한 실정이라는 것, 둘째, 그럼에도 전반적인 문학의 맥락에서 볼 때, 채만식의 문학세계를 결코 무시할 수 없다는 점, 셋째, 따라서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대일 인식의 이중성 연구는 채만식에 대하여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작업이다. 채만식은 3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현실 비판적인 소설을 썼지만 30년대 말기에 들어서면서 대일 협력 소설을 쓰기에 이른다. 그러나 해방이후 반성 적 포즈의 자전적 소설과 객관소설이 병립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채만식의 이러한 문학적 변화는 그의 사상 변화와 맞물려 있었다. 본고에서는 30년대 말부터 해방 직후까지 채만식이 보여줬던 대일 인식의 이중성에 주목했다. 이를 밝힐 텍스트로 『여인전기』와 『여자의 일생』을 택하여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인전기』와 『여자의 일생』은 연작소설로 볼 수 있다 즉, 『여자의 일생』 과 『여인전기』 가 연결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두 작품은 그 성향이 상반된다. 『여인전기』 가 대일협력의 모습을 보인다면, 『여자의 일생』 은 반일적인 성향이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채만식의 사상 변화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대일 인식의 이중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하였다. Ⅱ장에서는, 30년대 후반의 문학적 경향을 밝혀 채만식이 놓인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고, 채만식의 생애와 그의 문학적 경향을 통해 채만식의 사상변화 양상에 주목했다. 30년대 중반 이후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면서, 문단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이 시기의 작가들은 문학작품에 이념이나 사상을 반영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압박 속에서 작가들은 작품을 쓰는 데 있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30년대 후반 이후의 소설들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특징적인 면모를 보여주게 된다. 첫째, 작품에서 드러나는 사상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세태소설과 심리소설이라는 특징적 형태로 드러나게 된다. 사상성이 줄어든 자리에 '세태묘사'와 '심리묘사'가 들어오게 된 것이다. 둘째, 통속소설이 범람하는 특징을 보이게 된다. 셋째, 전향소설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문학의 경향은 결국 채만식의 문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억압적인 시대 상황에서 오는 무기력함은 작가 채만식의 정체성을 무너지게 한다. 결국 채만식은 3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현실 비판적인 소설을 썼지만 30년대 말기에 들어서면서 대일 협력 소설을 쓰기에 이른다. 그러나 해방이후 반성적 포즈의 자전적 소설과 객관소설이 병립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채만식의 이러한 문학적 변화는 그의 사상 변화와 맞물려 있었다. Ⅲ장에서는, 채만식의 대표적 대일 협력 소설인 『여인전기』를 분석하여, 이 작품이 보이고 있는 대일 협력의 모습들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따라서 본고는 일제가 내세웠던 파시즘 논리와 징병제 등이 『여인전기』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등장했는지 밝히는데 주력했다. 우선, 『여인전기』를 쓰기 위해 채만식이 어떤 친일 논리들을 내세웠는지를 살펴보았다. 채만식은 신체제의 논리를 펴기 위해, 가족 중심인 조선의 제도를 비판하고 국가 중심인 일본의 제도를 옹호한다. 또한 징병제 옹호를 통한 파시즘의 형상화를 시도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대일 협력의 모습을 보이던 채만식은 해방 후에 쓴 장편소설 『여자의 일생』에 가서는 그 태도가 변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여인전기』의 연작소설 격인 『여자의 일생』에 드러난 반일사상을 살펴보고,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한 채만식의 사상적 경향을 밝혔다. 『여자의 일생』에 등장하는 지식인 남진사는 적극적으로 일본을 비판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여인전기』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이 친일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것과 상반되는 모습이다. 또한 작가는 여기서 더 나아가 직접 제국주의 일본을 비판하기에 이른다. V장에서는, 채만식의 대일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채만식이 1939년까지 고수했던 체제비판적인 문학 태도를 버리고, 1940년에 들어서면서부터 『여인전기』와 같은 대일 협력 소설을 쓰게 된 경위는, 당시의 허무주의적 의식과 극심한 경제적 궁핍, 그리고 일제의 위협에 의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해방 이후, 『여인전기』의 연작 소설이라 할 수 있는 『여자의 일생』을 반일적 성향이 강한 작품으로 쓴 이유는, 대일 협력 행위에 대한 자기 방어 논리를 구축하기 위함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채만식의 대일 사상 변화 과정은 그의 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체제비판적 문학 경향을 고수하던 채만식이 갑자기 『여인전기』와 같은 대일 협력 소설을 쓰게 된 변화와, 해방 후 『여인전기』의 개작으로 볼 수 있는 『여자의 일생』을 쓰면서 철저한 반일 정신을 보여주었던 변화는, 당시 작가의 정신적 혼란과 고뇌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duplicity in novelist Chai Man Sik's attitude toward Japan by studying his novels. The followings are the reasons why this thesis is aimed at it. First, little is known about awareness on Japan so far. Second, full-scare and thorough study about his attitude toward Japan is so rare in spite of many studies surveyed from various viewpoints since the 1970s. Third, despite above, his literary world can't be disregarded in the context of whole Korean Literature. Forth, to examine the duplicity in his attitude toward Japan can help more deeply understand Chai. By the early 1930s Chai wrote novels which criticized present situation. However, he wrote pro-Japanese novels starting from the late 1930s. After Korean Independence, his autobiographical novels out of self-criticism of his pro-Japanese writings and objective novels stood side by side. These changes in his literary career engaged with those in his thought. This thesis is focused on his double attitudes toward Japan shown from the late 1930s to after Korean Independence. To this end I choose 『Life of a Woman』 and 『Biography of a Woman』 as the grounds to see the changes. 『Biography of a Woman』 and 『Life of a Woman』 can be considered a serial story. That is, the two novel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Yet, unusually the two stories are contrary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characters. While 『Biography of a Woman』 reflects pro-Japanese disposition, 『Life of a Woman』 is anti-Japanese. This disposition plays a key role in studying changes in his thought. Thus, this thesis generally analyzes Chai's double awareness about Japan revealed in his works by comparing the two novels. In the chapter two, I analyze the circumstance of his days through the literary tendency of the late 1930s. Also this chapter shows changes in his thought through his life and literature. Starting from the late 1930s Japan more harshly cracked down on Koreans, exerting an influence on Korea's literary circles. Authors in this period were not able to reflect their thought or ideology in works. Under this social pressure, writers sought out a new direction in their writing. Therefore, novels written after the late 1930s reveal a few aspects as follows. First, authors' thought was rarely reflected in works. This is well seen as special forms of situation novel and psychological novel. Description on the present conditions and psychology took the place of writers' thought. Second, popular novels were widely read. Third, conversion novels appeared. Conditions of this period and literary tendency eventually gave an influence on Chai's literature. Nervelessness out of oppressive social conditions got his identity as a writer collapsed Chapter three shows specific pro-Japanese aspects by analyzing his typical pro-Japanese novel, 『Biography of a Woman』. Thus, this chapter centers on how Japanese fascism and conscription system were revealed in 『Biography of a Woman』. First of all, I study pro-Japanese logic that Chai used in writing 『Biography of a Woman』. He criticized family-oriented system of Chosun Dynasty and supported Japan's nation-oriented counterpart, in order to advocate the Japanese New Order. Plus, he came to try to configure fascism by agreeing to Japanese conscription system. In spite of his active pro-Japanese behaviors, he changed his attitude in his long novel, 『Life of a Woman』 which was written after Korea's Independence. In chapter four, I analyze anti-Japanese thought reflected in his 『Life of a Woman』 which is a continuation of 『Biography of a Woman』, and light on disposition of his thought according to social conditions. Nam, an intellectual in 『Life of a Woman』 is a person who actively criticizes Japan. This runs counter to most of pro-Japanese characters in 『Biography of a Woman』. Furthermore, he came to directly criticize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fe of a Woman』 Chapter five shows the course of his switch in view of Japan. Nihilism, sharp economic poverty and Japan's threats prompted him to abandon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Japan existing until 1939 and write pro-Japanese novels such as 『Biography of a Woman』. It also seems that after Korea earned Independence, he represented anti-Japanese ideas in 『Life of a Woman』 in order to build self-defence logic against his pro-Japanese behaviors. This conversion in his consciousness largely affected his literature. Mental confusion and agony of writers of the days is clearly reflected in the facts that he suddenly converted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Japan in 『Biography of a Woman』 and that he showed thorough anti-Japanese attitude in 『Life of a Woman』written as a continuation of 『Biography of a Woman』after Korea's Independence.

      • 채만식의 해방 직후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연구

        조지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based on assumptions that the core of Chae Manshik's literary works is satire and we must the essence of satiric literature not in its techniques but in its spirit.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investigate his consistent literary consciousness reflected in his novels and clarify his recognition on the contemporary life by investigating the lives of characters represented in his novels written after the 1945 liberation. (「Undeniable Road」, 「Rice paddy field story」,「Police Mang」,「Mr. Bang」,「Pig」,「The setting Sun」) The liberation from the political oppression of Japanese rule brought unconditional possibilities to the future of Korea, but the koreans failed to avail themselves of this opportunity due to foreign interferences and internal disturnbances. The social tumults of that period developed into conflict between left and right and resulted in the tragic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Chae Manshik analyed the social realities of the age with acute social consciousness and expressed his opinion somewhat cynically. His novels written after the 1945 liberation, we investigated how his literary consciousness was reflected in his novels. Just after the Liberation all country was in a state of great disorder-the misgovernment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continual guarantee of pro-Japanese status, incompetency and corrupton of government officers, the economical confusion by inflation, moral corruption, and extreme antagonism between the left and right ideology, etc. Chae Manshik endeavored to make sharp observations of the contemporary social conditions. He not only criticized the reality of life but formalized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society in his novels and suggested the course Korean should take in the future. All that he could see in the real world then was nothing but the continuation of colonialized spirits, so he was much disappointed at the helplessness of korean people. For him the liberation of korea meant a starting point of new problems, not a settlement of them. So he chose to see the future through the nagation of reality. As a result, he presented th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of korea through a new generation, a boy. His realization of reality of the country and an eye for the future established him an unquestioned position in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He played the part of a witness of the age, the post-liberation. 본 연구는 채만식의 풍자성에 주목하여, 작가가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 사회를 어떻게 작품으로 형상화하였는지 작품에 나타나는 인물의 성격과 인간관계의 양상을 풍자성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풍자는 기법일뿐만 아니라 작가의 정신이라는 전제 하에서, 채만식의 해방 후 풍자적 작품 「역로」, 「논 이야기」, 「맹순사」, 「미스터 방」, 「도야지」, 「낙조」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해방 직후 채만식 소설에 드러나는 일관된 작가 정신은 혼란한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의 정신이다. 「역로」는 친일 행위에 대한 인정과 자기비판을 통해 해방 현실에서 풍자 작가로 양심의 복원 즉 훼손된 자의식의 회복을 꾀하고 있다. 회복된 자의식을 통해 해방 이전의 풍자가 되살아나게 됨에 따라 「논 이야기」, 「맹순사」, 「미스터 방」, 「도야지」에서 토지문제와 국가의 의미, 일제잔재의 청산문제, 통역정치의 부패상, 타락한 정치후보자를 통해 본 부패한 한국 정치 현실의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채만식은 해방을 우리 민족의 힘으로 싸워 되찾은 ‘독립’이 아니라 남의 도움에 힘입어 얻은 수동적인 ‘해방’이라고 파악하였다. 타율적인 해방을 맞이한 우리 민족은 이후 민족의 여러 문제들을 주체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게 되었고, 미․소에 의한 일방적인 국토 분할 점령이라는 수모와 치안 부재 상황의 무질서와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해방기에 새로운 민족 국가 건설이라는 명제를 성공시킬 만한 조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혼란을 거듭해가는 해방기의 세태에 대해 날카로운 풍자의 시선으로 여러 사회상의 구조적 모순들을 치밀하게 그려내었다. “정녕 아직도 「치숙」의 시간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작가의 말처럼 가치가 전도된 해방 직후의 현실이 식민지 시대와 별반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식민지 현실이 되풀이되는 듯한 연속성 앞에서 채만식은 해방 이전에 사용했던 풍자를 해방된 현실을 형상화하기 위해 다시 선택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 준다. 해방 직후 자기비판과 현실비판이 병행하여 이루어진 자리에 미래지향적 전망과 의지가 나타나게 된다. 단순히 자신의 영달에만 급급한 인간이 판치던 사회와 인간 군상들을 풍자 고발하는데 그치지 않고, 한국의 발전된 미래적 전망을 「역로」의 낯모르는 학생, 「도야지」의 문태석, 「낙조」의 영춘을 통해서 나타내고 있다. 특히 「낙조」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황주 아주머니의 이기적 속성을 조선 사람 전체에 배어 있는 망국의 기질로 비판 풍자하면서 새 시대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었다. 나아가 우리 민족에게 있어 통일과 독립은 외세 의존에 의해서가 아니라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이루어져야 할 절대적인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해방 후 채만식의 풍자적 작품들을 통해 채만식 문학의 특질인 풍자성에 대해 다시 한번 가늠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채만식의 해방 후 풍자적 작품이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이끌어 내었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해방 이후 채만식의 풍자 소설의 특징은 그 풍자의 대상이 다양해지고 명확해졌다. 이는 작가가 해방 공간에서 마음 놓고 모든 대상을 풍자할 수 있는 자유와 가치관을 가지게 된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작가의 확고한 윤리관에 의한 개혁 의지 때문에 작품이 단면적으로 흘러 다양함이 요구되는 작품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채만식의 해방 후 풍자 소설은 가벼운 희화, 꽁트의 의미밖에는 가지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해방 전 풍자 소설에 비해 해방 후의 작품에서 긍정적인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것은 해방 직후의 현실이 지니고 있는 혼란, 민족 대립과 부조리는 극복될 수 있다는 채만식의 발전적 신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해방 후 작품에서 나타나는 소년들의 모습은 해방 전 작품에 등장하는 소년들의 모습에 비해 훨씬 구체화되어 있다. 해방 전의 소년들의 모습을 통해서 발전적 결론을 맺지 못하던 채만식이 해방 현실에서 긍정적 미래를 확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것이다. 이는 해방 후의 부정과 부조리가 일제 식민지 시대의 그것과는 달리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담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해방 후 현실에서 풍자의 방법은 자칫 일제시대에의 향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한계를 지닌다. 즉,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다는 인식이 무의식중에라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채만식은 이러한 위험성을 벗어나기 위한 출구로 새로운 세대, 즉 청년이나 소년 같은 앞으로의 세대에 거는 기대를 보여준다. 새로운 세대는 현재의 역사적 상황과는 무관한 억울한 피해자일 뿐이라는 설정으로 인해 과거에 족쇄가 걸린 기성세대와의 차별성이 부각되고, 따라서 새로운 세대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는 것이다. 채만식은 좌․우익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좌․우익 양 진영의 소설에서 모두 간과한 현실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전도된 현실의 본질적 모순을 드러내어 비판하였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낙관적 전망을 세워나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채만식의 친일적 글쓰기로 인한 풍자 정신의 훼손에도 불구하고, 채만식은 작가적 양심과 풍자 정신을 회복하여 자신의 과오를 극복고자 했던 노력만으로도 우리 문학사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하겠다.

      • 蔡萬植 「濁流」의 人物과 空間 硏究 : 1930年代 朝鮮의 比喩的 地圖 그리기

        이희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소설 속의 공간이 소설 밖의 사회적인 공간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소설 속의 인물과 공간은 서로를 밀접하게 반영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탁류」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사회상"을 잘 반영한 작품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소설의 후반부에 대한 설명은 아예 배제하여 논하고 있거나, 인물들이 서울로 이주하는 부분부터는 엽기적인 성격이 강하다 하여 완성도가 미흡한 것으로 본 것에 필자는 동의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문면에서 읽히는 바 그대로 「탁류」를 "가련한 여인의 비극적 운명 이야기"로 파악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논의와는 다른 각도에서 「탁류」를 다시 봄으로써, 소설 「탁류」의 裏面에 숨겨진 의미가 찾아야 할 것이다. 본고는, 소설 속의 공간과 인물이 서로를 반영하는 모습을 살피고, 공간의 응집과 확장의 지점을 찾는 과정에서, 채만식이 「탁류」에서 그리고자 한 1930년대의 조선에 대해 새로이 해석하였다. 「탁류」에서 군산은 구획화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 도시는 '돈의 소재'에 따라 중심부와 주변부로 갈리어 있다. 미두장과 미두중매점, 은행들이 위치해 있는 곳이 중심부라면, 대부분의 조선인들이 사는 곳은 주변부이다. 주변부의 명님과 먹곰보네 아들이 앓았던 병은 가난을 상징하는 것이었으며, 정주사, 명님이네 부모, 먹곰보네 등은 가난으로 인해 자식을 잃게 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조선인으로서 중심부에 근접한 인물들은 공통적으로 생명과 관계된 것("쌀과 약")을 판매하여 돈을 벌었으며 자식을 갖지 못한다. 재생산의 박탈(주변부)과 재생산의 불능(近중심부)은 결국 재생산의 부재이며, 이것이 뜻하는 바는 "미래를 향한 전망을 기대할 수 없음"이다. 작가는 인물들을 통해서 조선인의 미래에 대한 불신과 염려를 보여주고 있다. 자본의 집중과 소외 현상은 인간들로 하여금 그들의 욕망을 채워 줄 수 있으리 라고 믿는 새로운 공간을 필요로 하게 하는데, 이것이 「탁류」에서는 서울로 나타난다. 군산에서의 많은 인물들이 서울로 향하게 될 때, 이러한 '유형적인 직선의 이동'은 중요한 현상임에 틀림없다. 인물들이 품는 욕망은 엄밀하게는 조금씩 다를지라도, 그들 모두에게 있어서 '서울로 가기'란, 과거에 덜 이뤄졌던 욕망을 찾아가기, 즉 '강의 상류'로 찾아가기였다. 군산과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심리적인 노예화와 자본에 대한 추종이라는 논리가 인물들의 운명을 지배한다. 이때 심리적인 노예화를 보이는 정주사나 초봉은, 일제가 필요로 하는 "쌀, 몸"을 생산해 내야 하는 운명에 놓인 조선의 상황과 닮아있다. 자본의 흐름을 잘 알고 이를 이용하는 인물인 고태수와 장형보는 「탁류」에 나오는 두 번의 엽기적인 장면에서 피살자가 된다. 이 소설 속에서 경제적인 힘을 이용해서 죄를 지은 두 사람에 대해, 도덕적인 타락에 대한 단죄의 의미를 지닌 처벌이 가해진 것이다. 인물들의 운명을 지배하는 심리적인 노예화, 자본에의 추종으로 얻은 부를 바탕으로 노예를 얻는 주인의 '농간', 그리고 그에 대한 응징이라는 이 맥락은 당시 조선의 운명과 맞닿아 있다. 이것이 「탁류」가 그리고 있는 공간 "조선, 군산, 금강" 등과 인물 "초봉, 고태수, 박제호, 장형보" 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지점이다. 이 작품에서 공간은 응집과 확장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인격화되어 나타난다. 군산이라는 거인의 심장은 미두장이며 그 미두장을 움직이는 것은 "方眼紙"인데, 주목할 만한 것은, 단순히 공간적인 응집이 일어난다는 사실만이 아니라, 이러한 응집을 통해서 공간이 인간의 신체로 비유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의 인격화는, 미두장을 움직이는 시스템이 「탁류」의 인물들을 움직이는 시스템과 맞물려 있음을 암시한다. '쌀'과 '돈'을 맞바꾸지만 "쌀"의 실체는 없는 미두장의 시스템과, 군산에서의 인물들이 살아가는 방식 -"자식"의 매매, 생명의 매매, 매매 '婚', 性의 매매, 또는 手形(어음)거래 등(「탁류」에서 돈을 얻거나 직업을 가지는 모든 경우가 다 이에 포함됨)- 이 유사하다는 것이다. 또한 군산은 금강의 탁류를 온몸으로 맞고 있는 巨人으로 표현되며, 이러한 군산이 다시 조선이라는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공간의 응집과 확장은, 한 공간이 다른 공간으로 응집되고 확장될 경우만이 아니라, 인물에 공간을 투영시키는 데에도 쓰인다. 「탁류」에서 "내평"이라는 단어는 초봉과 관련하여 쓰이면서, 끊임없이 남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아야 할 초봉의 비극적인 운명을 강조하고 있다. 작가가 소설 속에서 엽기적인 장면까지 들여와서 한 여인의 기구한 인생사를 이야기하고 있는 의도가 단순히 독자의 흥미를 일으키기 위한 것이라면, 소설의 초반부에서 궁핍한 조선의 현실을 왜 그토록 치밀하게 사실적으로 표현했는지는 의문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글쓰기의 다양한 형식 실험을 했던 작가 채만식이 초봉이라는 여인의 기구한 인생사로 소설을 진행해 나간 것에는 다른 이유가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소설은 그 자체로서 이미 하나의 비유이다. 나라들간에 일어났던 역사적인 사건을 인물들에게 대치시키기도 한다. 이것은 공간적 의미에서의 메타포이다. 장형보가 초봉을 협박하여 그녀와 송희를 차지하는 대목에서 "형보는 게집과 살 집을 한꺼번에 차지한 요량이다"라는 서술이 나온다. '집'이라는 공간이 상징하는 바는 다양하되, 여기서는 '초봉의 몸'과 '그녀가 살고 있는 집'을 차지했다는 뜻이 된다. 우리는 앞에서 인물의 운명을 결정짓는 논리가 당시 조선이라는 공간을 지배하는 논리와 유사함을 살폈다. 그렇다면 윗문장은 다시 읽혀져야 한다. "일제는 조선 민족과 조선 땅을 한꺼번에 차지했다." 초봉(조선)과 세 남자(고태수-중국, 박제호-러시아, 장형보-일본)에서 찾아지는 비유는 사실 이 소설 내내 일관되게 흐르고 있다. 초봉이 이들 남자들과의 관계에서 겪은 사건의 순서와 조선이 이들 국가들간의 관계에서 겪은 사건의 순서가 일치하고 있다는 점이 그것을 뒷받침하는 가장 유력한 증거이다. 채만식이 알레고리를 즐겨 사용한 작가라는 점을 상기해 보면 이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얻게 된다. 채만식이 「탁류」를 통해 실제로 이야기하고자 한 것은 "초봉의 욕스런 인생사"가 아니라, "조선 민족이 겪은 역사"였으나, 식민지를 겪고 있는 1930년대의 작가로서 이러한 이야기를 내어놓고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한 사람의 작가로서 공간을 인간에 비유, 역사를 인생사에 해보려는, 작품 형태에 대한 실험이었을 수도 있다. 이 작품이 당시 세태소설로 간주되는 것에 작가가 불만을 표시하면서, "문학이 적으나마 인류역사를 밀고 나가는 한 개의 힘임을 믿는다"라고 했던 것을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탁류」와 「태평천하」 이후로 일제에 협력했던 채만식이, 앞으로의 자신의 행보에 대한 비장한 심정을 가진 채 이 코드가 해석되어지기를 바라면서 '조선'을 그려낸 것이 1930년대 한국 현대 소설 「탁류」이다. 작가 채만식에 의해 독특하게 설정된 「탁류」의 인간과 공간을, 응집과 확장을 찾는 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작가가 응집과 확장을 이용한 공간의 표현에서 시도한 것은 공간의 인격화였으며, 이것은 공간의 시스템이 인간의 시스템과 닮아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이 소설 「탁류」는 조선이라는 하나의 나라(공간)를 초봉이라는 한 인물에 비추어 표현한 일종의 비유담이라는 것이다. 이 지적은 이후 작품 「탁류」의 공간 연구와 작가 채만식 연구에 있어서 보다 정화한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작가 채만식이 일종의 비유담으로 「탁류」를 썼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초봉과 그녀의 아이 송희를 통해, 조선의 미래에 대한 채만식의 역사관을 살필 수 있게 되었다. 「탁류」에는, 통틀어 단 한 명의 어린아이가 나오는데, 그 아이가 바로 초봉의 아이 송희이다. 송희에 대한 초봉의 모성은 각별하다. 그러나 사실 송희는, 곱추 장형보가 초봉을 겁탈할 때 생긴 아이라는 점에서, 왜곡된 시대가 낳은 기형아라고 할 수 있다. 초봉이, 송희의 아버지이기도 한 장형보를 죽이는 마지막장의 小題 "序曲"이 희망을 위한 것인지 절망을 위한 것인지는 송희를 보는 시각에 따라 양가적으로 해석될 것이다. 바로 이것이 「탁류」의 인간과 공간을 가지고 작가 채만식이 조심스럽게 그려낸 1930년대의 조선이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esupposition that the space in a novel is related to the social space in which it is located and that the character and space in a novel reflect each other closely. The existing study on "Tak-Ryu (A Turbid Stream)" evaluates it as the work where "social conditions" are well reflected, but views it as having insufficient perfection level because it excludes the explanation about the latter half of the novel or because it says that all the parts from the part characters move to Seoul have strong grotesque feature. I cannot agree to it, for, as it is read in the contents of a letter, it is unreasonable to understand "A Turbid Stream" as a "tragic fatal story on a poor woman". By reevaluating "A Turbid Stream" with the different viewpoint from the existing discussion, the meaning hidden in the reverse side of "A Turbid Stream" will have to be found.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how the space and character in a novel reflect each other and, while seeking the cohesion of space and the point of expansion, interpreted newly Chosŏn in the 1930s Ch'ae Mansik intended to describe in "A Turbid Stream". In "A Turbid Stream", Kunsan appears as a partitioned area. The city is divided into a central part and a peripheral part according to "location of money". The place where a rice exchange, a brokerage house of operation in rice and banks are located is the central part, while the place where most of Chosŏn people live is the peripheral part. The diseases Myŏngnim and the son of Mŏkkombo in the peripheral part suffered from symbolizes poverty. Junior official Chŏng, parents of Myŏngnim and Mŏkkombo have in common losing children due to poverty. Meanwhile the characters close to the central part as Chosŏn people commonly sold the things related to life("rice and medicine"), made money and had no children. The deprivation of reproduction(the peripheral part) and the incapability of reproduction(close-central part) are eventually the absence of reproduction, and its meaning is "being unable to expect prospect toward future". The author shows through characters the unbelief and anxiety of the Chosŏn people for future. The concentration of capital and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make human beings require new space which they believe to be able to meet their desires and this is represented as Seoul in "A Turbid Stream". When many characters in Kunsan are headed for Seoul, such 'typical movement of a straight line' must be an important phenomenon. At this time even though the desires cherished by characters are strictly somewhat different, 'going to Seoul' in all of them was paying a visit to 'the upper stream of a river', the desire less fulfilled in the past. In spaces like Kunsan and Seoul, characters meet their fates by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enslavement and of following toward capital. At that time, junior official Chŏng or Ch'obong showing psychological enslavement resembles the situation of Chosŏn destined to produce "rice and money" required by Japanese Imperialism. Ko T'aisu and Chang Hyŏngbo, charact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flow of capital and use it, become murderees in the two grotesque scenes shown in "A Turbid Stream". In this novel, the two persons committing a crime used economic power are condemned for moral corruption. This context of 'intrigue' of the owners obtaining slaves based on wealth got by the psychological enslavement dominating the fates of characters and "following toward capital" and the punishment for it is connected with the fate of Chosŏn at that time. This is the point making possible the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space "Chosŏn, Kunsan and the Kŏm River" and the characters "Ch'obong, Ko T'aesu, Park Jeho and Chang Hy ŏngbo" described by "A Turbid Stream". The space in this work is represented by personification while repeating cohesion and expansion. The heart of a giant called Kunsan is a rice exchange. What moves the rice exchange is "plotting paper". What is noteworthy is not only the fact that spatial cohesion simply occurs but also that space is compared to human body through this cohesion. Such personification of space suggests that the system moving a rice exchange is in gear with the one moving the characters of "A Turbid Stream". The system of a rice exchange without the reality of 'rice' despite exchanging 'rice' with 'money', and the lifestyle of characters in Kunsan, trade of "children", trade of life, dealing 'marriage', transaction of sex or negotiating bills (including all the cases of getting money or jobs in "A Turbid Stream") are similar. Also Kunsan is represented as gigantic Kunsan meeting the turbid stream of the Kŏm River with the whole body and this Kunsan is again expanded to the space of Chosŏn. Cohesion and expansion of space are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cohering and expanding one space into other space, but also in the case of projecting space to one character. The word of "internal conditions" in "A Turbid Stream", used in relation with Ch'obong, stresses the tragic fate of Ch'obong who will have to be incessantly attacked by men. If the intention of the author's telling the unlucky life history of one woman by introducing even grotesque scenes in the novel is aimed at provoking readers' interest, it cannot but be questionable why the reality of poor Chosŏn was so delicately realistically expressed in the first half of the novel. We should think that there were other reasons why the author Ch'ae Mansik experimenting various forms of writing advanced the novel with the unlucky life history of the woman called Ch'obong. A novel is already one comparison in itself. Historical events taken place among countries are also replaced to characters. This is a metaphor in spatial meaning. In the part that Chang Hyŏngbo occupies Ch'obong by threatening appears the sentence that "Hyŏngbo is a chief character occupying a woman and a house to live in at one time.". What the space 'a house' symbolizes is various, but is the meaning of having occupied "the body of Ch'obong" and "the house she lives in". In the above, we examined that the logic determining the fates of characters was similar to the one dominating the space Chosŏn at that time. If so, the above sentence must be read again like this. "Japanese Imperialism has occupied Chosŏn nation and Chosŏn land at one time." The comparison found in Ch'obong(Chosŏn) and three men(Ko T'aesu-China, Park Jeho-Russia and Chang Hyŏngbo-Japan) is actually flowing consistently throughout this novel. That the order of the events Ch'obong went through in relation with these men corresponds to that of the events Chosŏn went through in relation with these countries is the most powerful proof supporting it. This assertion gains more persuasive power if looking back that Ch'ae Mansik is the author enjoying allegory. What Ch'ae Mansik intended to actually tell in "A Turbid Stream" was not "the disgraceful life of Ch'obong", but "the history Chosŏn nation went through". This is because he could not tell such a story explicitly as an author of the 1930s who went through colony. From other aspect, it can be an experiment for the work form trying to compare space to human beings and history to life history as an author. Showing his dissatisfaction to this work being considered as a social novel at that time, we should note that he said, "I believe that literature is one least power propelling the history of mankind.". That Ch'ae Mansik who has cooperated with Japanese Imperialism since "A Turbid Stream" and "Peace Over the Land", with the grim heart for his own future walking, described Chosŏn expecting this code to be interpreted is the Korean modern' novel "A Turbid Stream" in the 1930s. The following facts could be known by analyzing human beings and space of "A Turbid Stream" peculiarly set by the author Ch'ae Mansik through the method seeking cohesion and expansion. First, what the author attempted in spatial expression using cohesion and expansion was the personification of space. This showed the resemblance of spatial system and human one. Secondly, this novel "A Turbid Stream" is a kind of allegory having expressed one country of Chosŏn(space) in the light of one character of Ch'obong. I believe that this indication will be able to bring more precise analysis in the study of "A Turbid Stream", a subsequent work and in the study of the author Ch'ae Mansik. We can investigate his historical view about the future of Chosŏn through Ch'obong and her child, Songhee, because we confirmed that the author Ch'ae Mansik wrote "A Turbid Stream" as a kind of allegory. Throughout "A Turbid Stream", only one child appears and her name is Songhee, Ch'obong's child. The maternity of Ch'obong for Songhee is special. But in fact, Songhee can be said to be a deformed child born by the distorted age in that she was born when crippled Chang Hyŏngbo had raped Ch'obong. It will be interpreted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view of Songhee whether "Prelude", the title of the last scene where Ch'obong killed Chang Hyŏngbo, Songhee's father, is for hope or for despair. This is just Chosŏn of the 1930s the author Ch'ae Mansik has carefully described with human beings and space of "A Turbid Stream".

      • 蔡萬植 戱曲硏究

        김숙현 慶南大學校 1990 국내박사

        RANK : 247807

        3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인 채만식(1902∼1950)은 27편의 희곡을 남김으로써극작가로서의 면모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근대극이 이입되기 시작하는 1920, 30년대의 문학적 상황속에서 채만식의희곡관 및 희곡문학의 성립과 전개양상 그리고 채만식 희곡 전편에 드러난작가의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채만식은뚜렷한 희곡관을 가졌을 뿐 아니라 희곡의 시간, 장소, 행위의 함축적처리로서 구심적 효과를 획득하는 한편 제삼자적 입장을 유지할 수 있는간접화법의 활용으로 경색된 당대의 민족현실과 검열망으로부터 탈출구를모색하였다. 2. 채만식은 "劇硏座에의 부탁"이란 글에서 빈약하나마 조선의고전극을 발굴해 내고 거기에서 자양을 섭취하는 한편 선진한 외국연극예술로부터 연극고유의 정신과 기교를 습득할 것을 주장하면서 서구극을수용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쇼오(B.Shaw)와 체홉(A.Chekhov)의 영향은직접적이어서 채만식의〈가죽버선〉과 〈당랑의 傳說〉은 각각 쇼오의〈오로라를 위하여〉(How He Lied to her Husband)와 체홉의〈벚꽃동산〉(The Cherry Orchard)에서 그 원천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가죽버선〉에서 채만식은 〈오로라를 위하여〉의 플롯을 가져와 1920년대의지식청년과 신여성의 갈등을 주제로, 급변하는 당대 젊은 남녀의 애정모랄을풍자하고 있다. 또한 〈당랑의 傳說〉에서는 역사의 전환기에 놓인전통사회의 해체과정을 다룬 〈벚꽃동산〉의 플롯을 빌려와 일제의수탈정책에 저항하는 박진사 일가의 비극적인 삶을 표출하고 있다. 3.채만식은 서구 근대극의 수용에 머무르지 않고 우리의 고전문학인 판소리를계승하면서 그것을 현대적 기법으로 재창조하고 있다. 그는 현존하는 판소리다섯 마당가운데 〈적벽가〉와 〈심청가〉를 각각 〈조조〉와 〈심봉사〉로극화했다. 이들 작품에서는 판소리를 서구 근대극의 기법으로 개작한 데 이어〈제향날〉에서는 판소리의 서사극적 전개기법을 이용하여 일제치하에서의민족적 저항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4. 채만식 희곡을 연구하는 경우 간과할수 없는 사실의 하나는 그의 희곡은 그의 소설과 일정한 관련을 지니고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동일한 사건과 인물을 소재로 쓰여진 희곡〈낙일〉과 소설 〈태평천하〉를 대비검토하였다. 그 결과 희곡〈낙일〉에서는 인물의 행위와 사건을 집약적 방법으로 표출한 데 비하여〈태평천하〉에서는 인물의 행동과 사건을 확장해서 서술하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또한 〈제향날〉과 소설 〈태평천하〉의 관계를 보면 표면적으로는정반대의 인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두 작품을 심층적으로대비해 보면 〈제향날〉의 구조와 인물에서 드러난 의미는〈태평천하〉에서는 숨은 의미로 작용하고 〈태평천하〉의 구조와 인물에서드러난 의미는 〈제향날〉에서 숨은 의미로 작용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장르가 다른 두 작품에서 보이는 이와같은 구조와 인물의 對位性은 채만식문학에 있어서 희곡과 소설의 상관관계 및 그 유착현상을 말해주는 것이기도하지만 한편으로는 식민지 현실의 중압과 검열의 강화로 설자리를 잃은작가의식이 한 작품에서 형평있게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희곡과 소설, 두장르 사이에서 양극단으로 표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5.끝으로, 채만식의 희곡 27편을 촌극, 단막극, 그리고 장막극으로 분류,양식적 특성과 작가의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촌극에서는 세태풍속과농촌현실의 모순에 대한 풍자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촌극이 지닌 양식적특성으로 당대현실을 매우 코믹하게 처리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웃음과함께 사회의 모순을 깨닫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채만식의단막극에서는 일제의 가중된 虐政아래 농촌과 도시에서 노동력을 착취하고있는 농민과 도시하층민의 참상이 보다 다각적으로 고발되고 있다. 일제의低米價政策, 中間小作人 제도 등의 교묘한 수탈정책으로 인해서 농민이 농업노동자로 전락하게 되는 실상과 공업화의 裏面에서 저임금과 취업난 등으로생활고에 시달리는 도시하층민들의 궁핍상과 노동쟁의의 양상이 적나라하게폭로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막극에서 보여지는 것은 동학란과 3·1운동을높이 평가하면서, 그것을 민족의 불씨로 새로운 민족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제향날〉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당랑의傳說〉은 그 제목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30년대 식민지하에서 일제에아부하지 않고 재산을 지킨다는 것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채만식은 일제시대의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을 투철하게 제시함으로써독자에게 민족의식을 일깨워주고 수탈정책의 부당함을 인식시켜 주었다고 할수 있다. 이상으로 채만식 희곡의 성립과정 및 전개양상 그리고 성격을살펴보았다. 채만식 희곡의 문학사적 위치를 점검해보면 채만식은 모든 것이통제받던 시기에 투철한 산문정신을 바탕으로 당대사회를 직시하고 얕은기교와 흥미본위의 대중극을 지양, 식민지 현실의 모순과 부조리를 고발하는27편의 희곡을 남겼다. 그는 또한 단순히 서구적인 劇術에 맞는 작품을 쓰는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우리 傳來의 판소리를 계승, 그것을 현대화하려는의욕을 보였으며 줄기차게 희곡을 발표, 희곡의 문학적 기반을 착실히다졌다. 채만식의 이와 같은 노력과 시도는 그가 활동하던 1930년대의 문단과연극계에서는 물론 작금의 한국 연극현실 속에서도 소중한 가치와 의미를지닌다고 하겠다.

      • 채만식 소설의 신여성상 연구

        천정민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채만식 작품 속에 나타난 신여성을 페미니즘 문학비평(여성이미지 비평)을 통해 고찰하여 그의 여성의식을 살피고자 했다. 이를 위해I장에서는 연구목적, 기존 연구의 검토, 연구대상 및 방법을 밝히고 II장에서는 신여성에 대한 기초적인 고찰을 하고 Ⅲ장에서는 채만식의 소설 중 「인형의 집을 나와서」, 「염마」, 「탁류」 속에 나타나는 신여성을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채만식이 지니고 있는 신여성관과 여성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대 대부분의 작가들이 자신의 성(性)에 치우친 관점으로 신여성을 바라보고 있는 데에 반해 채만식은 부정적인 시각과 동시에 긍정적인 시각으로 신여성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의 성(性)에 치우치지 않은 채만식의 신여성관은 그런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채만식 문학의 중요한 특질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탁류」의 초봉과 「인형의 집을 나와서」의 혜경의 모습에서는 그 당시 신여성에게 가해졌던 여성 억압적 현실이, 「인형의 집을 나와서」의 노라와 「탁류」의 계봉의 모습에는 남성중심사회의 여성 억압적 현실에 대한 해결의 전망이 나타나고 있다. 신여성을 통해 가부장제라는 억압구조 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여성의 억압 형태를 밝혔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해결의 전망이 작품 속에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여성의식은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채만식의 여성의식은 「염마」의 서광옥, 「인형의 집을 나와서」의 재환의 새부인, 「탁류」의 윤희, 「인형의 집을 나와서」의 한성희와 정원의 모습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채만식 역시 남성중심적 사고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몇몇 신여성들을 왜곡된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여성의식이 한계를 지닌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new women represented specifically in 「Getting out of house of doll」, 「Beautiful Devil」 and 「Turbid Stream)」 among Chae Man-sik's novels based on a feministic literary criticism(criticism of image of women). ChapterI describes purpose of study,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scope of study and its methodology. then chapterII conducts basic consideration about new women. and chapterIII analyzes new women in his novels. finally, chapterIV examines image of new women and view of women he had. While most of novelist in those days observed new women in the standpoint leaning on their own gender, he inspected new women in both side of positive and negative standpoint. For example, oppressive actuality which was inflicted to new women at that time was represented in Cho Bong and Hye Kyoung's picture. besides, settlement for social problem is shown to be prospected based on perception of oppressive actuality to women in androcentric society in Nora and Kye Bong's picture. Considering his performance that clarified factors oppressing women applied under the oppressive system called patriarchy by means of new women and suggested prospection for settlement in his novels, his view of women contains significant meaning. But this kind of view of women has limitation in Seo, Kwang Ok, Jae Hwan's new wife, Yun Hee, Han, Seong Hee and Jeong Won's picture, which means that he also could not get out of androcentric thought entirely and express ed some new women as perverted picture. Conclusively, it can be said that his view of women has limitation.

      • 채만식 소설의 세계 인식과 미적 구조

        이도연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세계 인식과 미적 구조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채만식 소설에서 드러나고 있는 &lt;풍자와 허무주의 사이의 거리와 낙차&gt;를 설명할 수 있는 일관된 원리를 발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낭만적 세계 인식이 채만식 소설의 기저를 이루고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그것의 현상적인 표현 형태가 현실주의적 세계 인식과 허무주의적 세계 인식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채만식 소설의 기본적인 원리와 내적인 논리는 ‘당위’와 ‘존재’의 분열과 대립 혹은 ‘윤리’와 ‘욕망’의 갈등 구조로 파악할 수 있었다. 채만식 소설의 근원적인 균열은 욕망의 어긋남과 허무의 심연을 깊이 보았음에도 당위론적 가치라는 ‘선험적 초월’의 구도를 끝내 포기하지 않았음에 기인한다. 즉 인간에게 존재론적 숙명으로 주어진 근원적 어긋남과 허무주의라는 심연과의 내면적 고투와 그 긴장을 끝까지 견뎌내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채만식 소설은 미리 주어진 이데올로기의 선험성이라는 유혹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이처럼 채만식 소설이 욕망의 어긋남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현실을 해명하는 일반적인 원리로서 전면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채만식 소설이 지향하고자 하는 윤리와 당위의 세계를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채만식 소설의 근원적인 원형과 내면적 원리를 도출해내었다. 그것은 ‘윤리’와 ‘욕망’의 갈등이었다. 그것은 당위적 가치체계와 존재론적 사실세계와의 대립 구도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윤리’와 ‘욕망’의 갈등이라는 테제는 채만식 소설의 전체적인 주제를 관통하는 일관된 원리이자 원형에 해당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채만식 소설의 주제의식은 ‘욕망’의 어긋남을 견디기보다는 ‘윤리’적 체계로의 지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윤리‘와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간의 고뇌에 찬 모습은 바로 채만식의 자전적 초상에 다름 아니라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채만식 소설의 구도는 하나의 외재적 초월의 양상을 띠고 있음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문학이란 언제나 초월의 형식이다. 문학은 지금 있는 것의 바깥을 사유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그것이 현실의 모순과 균열을 포용하고 견뎌내는 ‘내재적 초월’의 형식이냐, 아니면 선험적 명제로서 미리 주어진 관념의 이데아를 지향하는 ‘외재적 초월’의 형식이냐는 것이다. 여기에서 채만식 소설은 결정적인 한계를 드러내었다. 왜냐하면 채만식 소설의 일반적인 논리는 타락한 현실 속에서의 난처한 처지를 견디는 &apos;소극적 수용력(negative capability)&apos;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제 안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현실의 균열과 모순을 제거하는 배제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