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지원제도가 기업의 기대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석미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Kore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s individual entrepreneurship through legislation and systems to systematically support the growth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startup companies. Despite these proactive policies, the country still faces job shortages and unemployment. To sustain continuous growth in entrepreneurship, there is a need to move beyond outcome-focused entrepreneurial support policies and implement systematic management for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startup founders.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ncrease startup efficacy and will to start a business so that entrepreneurs can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that they can succeed in starting a business without fear of startup failure.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s on expected outcomes for prospective and current entrepreneurs in the Jeonnam region. A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from 336 startups were analyzed. Sub-factors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management and technical support, entrepreneurship infrastructure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consulting support. Mediating variables included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efficacy, examining their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 expected outcome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s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Strengthening education and mentoring programs to provide necessary skills and knowledge for entrepreneurs can lead to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in business management, marketing strategies, and funding systems. Designing entrepreneurship courses that consider the motivations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from a personal perspective is essential to enhance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Second, financial support shows a significant reinforcing and moder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pport, entrepreneurship infrastructure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To facilitate smooth financial circulation for startup companies and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support is necessary. To achieve this,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financial support for startups and provide funding through low-interest loans, startup capital support programs, and connections with investors to reduce the burden of raising initial capital. In addition, in terms of the funding structure, the debt repayment ability of start-ups can be easily identified through organic coope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mong the executive agencies, which are diversified into central ministries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financial institutions, and guarantee agencies, and thus simplify loan screening.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enable this. However, while funding is also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efficiently manage policy funds that support start-up companies from selecting start-up companies to evaluating repayment capabilities and recovering fund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policy funds by stably recovering policy funds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supported start-up companies. Third, entrepreneurship infrastructure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startup infrastructure, first, promot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tartup compani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to improve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startup companies and strengthen their knowledge base, continuously expand funds to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of startup companies, and improv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Support for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Next, in order to create a foundation for management stability by expanding sales channels, it is necessary to review support measures to expand the demand base of start-up companies, such a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ublic institutions purchasing products for start-up companies. Finally,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a need for a support policy that can conveniently hire necessary talents at any time through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the job search information center. Fourth,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s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ch, in turn, affect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is is because if the government systematically supports the financing part, which is a difficulty for founders in the early stages of start-ups, the burden on start-ups decreases and self-efficacy on start-ups increases,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start-ups' will. However, because it takes a lot of preparation time from start-up will to actual start-up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ort needs to be continued to prevent their will to start a business from disappearing.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ies of entrepreneurs, long-term support measures such as mentoring should be provided in relation to the skills and experience required for starting a business and the performance aspects of starting a business. Fifth, entrepreneurship consulting support significantly impacts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achieve successful entrepreneurship and expected outcomes, resolving challenges through appropriate entrepreneurship-related information and mentoring during the entrepreneurial process is crucial. Tailored and focused management for entrepreneurs is deemed necessary. Additionally, to ensure sustained expected outcomes for entrepreneurs, several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irstly, providing entrepreneurs with a collaborative network to share experiences and knowledge, fostering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can allow them to leverage each other's strengths, promote growth, and achieve synergies. And if we improve the startup environment by simplifying the related laws and systems that entrepreneurs encounter and simplifying procedures, startups will be able to start and run their businesses more smoothly. In particular, we should be able to provide tax consultation, accounting services, and tax audit support to start-ups by strengthening tax and accounting support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ial manag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tart-up ecosystem to promote cooperation between local communities and companies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f founders through partnerships with local companies, links with universities, and industrial clusters.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for start-ups and strengthen links with the start-up ecosystem, facilities such as start-up hubs, start-up centers, and shared offices should be provided, and events and programs should be operated to promote exchanges and collaboration among start-ups. Improving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s is a complex issue tha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and policy formulation necessitates thorough examin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stakeholders. This study has certain limitations. Firstly, the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limited survey conducted in the Jeonnam region, posing limitations on its generalizability to the entire country. In the future, if we expand the target nationwide and compare and analyze it, it is believed that we will be able to establish new ways to improve expected outcomes. Secondly, while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influencing expected outcomes, such as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factors, entrepreneurship support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funding support,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more diverse factors. Third,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sometimes used the same questions as those used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some questions may not properly reflect the operational definition.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new questions and supplement the scale. Fourth, the analysis did not utilize quantitative statistical data disclosed by official agencies related to this study. Utilizing quantitative data from official agencies in future research could yield more meaningful results. 한국 정부는 개인의 창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법령과 제도를 통하여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의 성장지원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적극적인 창업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자리 부족과 실업난을 겪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창업 증가를 위해서는 성과 위주의 창업지원정책에서 벗어나 예비창업자 및 창업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정부는 창업자들이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창업에 성공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 제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예비창업자와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지원제도가 기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336부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의 하위요인으로는 창업교육 지원, 경영·기술 지원, 창업인프라 지원, 창업컨설팅 지원으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창업지원만족도, 창업의지, 창업효능감을 설정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기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 지원은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자들에게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강화한다면 창업자들은 비즈니스 관리, 마케팅 전략, 자금 지원제도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창업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창업자 개인적인 관점에서 창업교육대상자들의 동기가 충분히 고려되었는지 확인한 후 그에 맞는 창업과정의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자금지원은 창업교육 지원, 창업인프라 지원과 창업만족도 간에 유의한 강화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창업기업이 자금융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창업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창업자들에게 자금 지원을 강화하여 초기 자본 조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저금리 대출, 창업자금 지원프로그램, 투자자와의 연결 등을 통해 자금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자금 지원 구조에 있어 중앙부처 및 산하기관, 금융기관, 보증기관 등으로 다원화되어 있는 집행기관을 업무의 유기적인 협조와 정보인프라 구축을 통해 창업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쉽게 파악하여 대출 심사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금지원도 중요하지만, 창업기업에 지원하는 정책자금은 창업기업 선정부터 상환능력 평가와 자금의 회수까지 효율적으로 운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원한 창업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정책자금을 안정적으로 회수하여 정책자금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창업인프라 지원은 창업의지, 창업효능감, 기대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인프라 지원을 위해서는 먼저, 창업기업의 기술력 향상과 지식기반의 강화를 위해 산ㆍ학ㆍ연 협동을 통해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촉진, 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자금지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원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판로 확대를 통한 경영안정 기반조성을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창업기업제품 구매 비중확대 등 창업기업의 수요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지원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문인력 양성 및 구직정보센터를 통해 언제든 필요한 인재를 편리하게 고용할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넷째, 창업지원제도는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의지는 기대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초기 창업자들의 애로사항인 자금조달 부분을 정부가 제도적으로 지원을 하게 되면 창업자로서는 창업에 대한 부담감이 적어지기 때문에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상승하여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창업의지에서 실제 창업활동까지의 준비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창업준비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예비창업자들에게 그들의 창업의지가 사라지지 않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 또한 창업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업에 필요한 스킬 및 경험 그리고 창업을 위한 기대성과 측면과 관련하여 멘토링 등의 장기적인 지원책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창업컨설팅 지원은 창업지원만족도,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인 창업과 창업에 따른 기대성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창업과정에서 적절한 창업 관련 정보와 멘토링을 통해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창업자에게 맞는 집중적이고도 맞춤형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창업자의 지속적인 기대성과를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첫째, 창업자들에게 협력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준다면 창업자들은 서로의 강점을 살려 성장할 수 있고,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창업자들이 접하는 관련 법규 및 제도를 간소화하고, 절차를 단순화하여 창업환경을 개선한다면 창업자들은 더욱 원활하게 사업을 시작하고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창업자들에게 세무 및 회계 지원을 강화하여 재무관리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세무 상담, 회계 서비스, 세무 감사 지원 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지역 커뮤니티와 기업간의 협력을 촉진해서 지역 기업과의 파트너십, 대학과의 연계, 산업 클러스터 형성 등을 통해 창업자들의 협력과 지원 체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창업생태계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자들을 위한 인프라와 시설을 개선하고 창업 생태계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스타트업 허브, 창업 센터, 공유 오피스 등의 시설을 제공하고, 창업자들의 교류와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행사와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창업지원제도의 개선은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이므로, 정책 수립에는 신중한 검토와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전남지역을 한정하여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였으므로 우리나라 전체로 확대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향후 전국적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비교․분석한다면 기대성과에 대한 제고 방안을 더욱 새롭게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창업지원제도 요인, 창업지원만족도, 창업의지, 창업효능감, 창업자금 지원 등으로 한정하였으나 향후에는 더 많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그대로 이용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일부 문항에 있어서 조작적 정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향후 새로운 문항을 개발하여 척도를 새롭게 보완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와 관련된 공식기관에서 공시하는 정량적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본 연구와 관련된 공식기관의 정량적 데이터를 토대로 계량적인 연구를 할 수 있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유영철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 문 요 약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논문제출자 유 영 철 지 도 교 수 이 원 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창업교육, 창업지원제도, 창업멘토링의 매개가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와 대학생의 창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효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창업지원제도인식은 정부창업지원정책과 대학창업지원사업으로 창업멘토링은 멘토링 기능(문제해결 기능, 네트워킹 기능, 의사소통 기능, 동기부여 기능)과 멘토 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인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과 종속변수인 창업의지 사이에서 창업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지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창업교육 만족도는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제도 중 대학창업지원사업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효능감이 창업지원제도인식 중 대학창업지원사업과 대학생의 창업의지의 관계에 있어 조절작용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창업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창업교육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창업교육에 대한 꾸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극대화하고 실전창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대학 내외 창업 관련 정보 제공, 창업아이템을 실체화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연계, 창업아이템 검증, 창업멘토링 제공, 상시상담이 가능한 창업상담창구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 내 창업상담창구 운영을 통해 대학에서 지원하는 교육제도 및 창업의 간접경험을 수행할 수 있는 대학창업지원사업과 자금을 지원하는 정부창업지원정책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 내 교수, 직원, 선배창업자 등 창업 분야의 멘토와의 연결을 통해 창업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창업의 준비과정에 대한 철저한 교육과 선배창업자의 창업실패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창업특강, 대학생의 전공별, 개인별 성향에 따른 맞춤형 창업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핵심주제어 :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 창업의지, 창업효능감

      • 소상공인 예비창업자의 창업실행의지에 관한 연구 : 창업지원제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영욱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27

        About 45% of new businesses survived three years after foundation from 2004 to 2009 (the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Statistics Korea). It was the time that political direction should be made to elevate survival of business entrepreneurs. This study investigated elevation of survival and success intentions of potential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who were forced to start business without economic and time room because of closure of job, regular retirement, resigning at official suggestion, divorce and separation by death. The subject was 580 potential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who attended business startup class at small business support center.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analysis of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oth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background, psychological features, business startup motives and business startup environment of potential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upon entrepreneurship intentions. The small business startup had moderating effects: First, ages of the entrepreneurs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upon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nd job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and job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and both ag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upon success intentions. Second, achievement desire, internal control and risk taking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upon success intentions. Third, self-realization and self-supporting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upon business startup intentions, and retirement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Not only independence but also self-realiz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Fourth, not only achievement desire but also internal control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up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t good business startup support, and self-realization, retirement type of business startup motive and economic situ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up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t high self-efficacy, and independence had negative influence up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findings were: The potential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needed not simple business startup education for higher intention but business startup support program that the entrepreneurs could make use even at shortage of finance and time. So, entrepreneurship spirit preparing for business startup, consulting for high self-efficacy and success will, counselling technique, on-the-spot education, internship and others needed to research. Comprehensive, composite and lump sum entrepreneur oriented policy should be developed to let potential entrepreneurs succeed in business startup even at shortage of finance and time. Such effort could help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succeed in business startup. Key Word: small business entrepeneurs, business startup, entrepreneurship spirit,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ntrepreneurs, motives of business startup, business startup environment, business startup support system, self-efficacy, entrepreneurship intentions, business startup intentions, success intentions 통계청 통계개발원(2011)에서 발표한 2004년∼2009년 사업체 생성·소멸(생멸)통계에 의하면 신규사업체의 3년 생존율이 약 45% 내외로 나타났다. 이제는 창업자들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재정립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 연구는 직장의 폐업, 정년퇴직, 권고사직, 이혼, 사별 등의 원인으로 경제적·시간적 여유 없이 취업 하지 못하고 창업에 뛰어들어야 하는 수많은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들이 창업 준비 단계에서부터 생존율과 성공의지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소상공인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창업교육을 수강하는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58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이용된 통계분석 기법은 자료특성과 분석목적에 따라 빈도분석(Analysis of Frequency),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검증(Reliability 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 이용되었다. 이와 같은 통계분석을 위해 통계 패키지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소상공인 예비창업자의 창업자 배경적 특성, 창업자 심리적 특성, 창업동기, 창업환경이 창업실행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소상공인 창업지원제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업자 배경적 특성 중에서 연령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업경력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학력은 성공의지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자 심리적 특성 중에서 성취욕구, 내적 통제위치, 위험감수성향은 성공의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동기 중에서 자아실현, 생계형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퇴직형은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성과 자아실현은 성공의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지원제도가 유용할수록 성취욕구와 내적 통제위치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아실현 및 퇴직형 창업동기와 경기상황이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독립성이 창업의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단순히 창업의지를 높이는 창업교육보다 예비창업자가 경제적·시간적 절박함 속에서도 여유를 가지고 창업지원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창업전반에 걸쳐 주인의식을 가지고 사업을 준비하는 창업가정신,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성공의지를 함양할 수 있는 컨설팅, 상담기법, 현장교육, 인턴제도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경제적·시간적 절박함을 반영하여 짧은 창업 준비 기간 동안에 집중적으로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일괄처리방식의 종합적이면서도 복합적인 창업자 중심의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률을 제고시키는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창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임교순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정부는 고용과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가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창업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창업지원제도는 창업 활성화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인구학적 특성, 개인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창업동기, 창업지원제도(조세지원제도, 금융지원제도, 기술지원제도, 경영지원제도, 창업인프라지원제도)의 5가지로 설정하고 독립변수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가설로 설정하였으며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을 도출하여 그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의 측정과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측정된 자료의 통계처리에 의거하여 검증하는 실증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귀분석결과는 조세지원제도, 금융지원제도, 창업관련 교육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로분석은 개인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창업동기, 조세지원제도, 금융지원제도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이분석 결과는 변수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지방 거주 예비창업자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가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업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석환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방 거주 예비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가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지원제도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조절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세 가지 하위변수 중 진취성과 혁신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나, 위험감수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가역량 구성요소 중 자원조달역량과 네트워크역량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나, 조직관리역량 및 기술역량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지원제도의 하위변수 중 교육지원과 물적자원지원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갖지만 네트워크지원은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지원제도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교육지원은 위험감수성의 부(-)의 효과를 강화하며, 물적자원지원은 혁신성의 정(+)의 효과를 강화하고, 네트워크지원은 위험감수성의 부(-)의 효과를 강화한다. 창업지원제도의 창업가역량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교육지원은 기술역량의 정(+)의 효과를 강화하고, 네트워크지원도 기술역량의 정(+)의 효과를 강화는 조절효과를 보인다. 창업지원제도의 하위변수 중 물적자원지원이 혁신성과 및 창업의지 사이에서만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예비창업자 지원제도가 주로 예비창업자의 정신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예비창업자 입장에서 실제 지원을 지원받지 않은 상태에서 물적자원지원의 개인역량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교육지원과 네트워크지원이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강화하는 조절효과, 창업의지에 대한 기술역량의 영향을 강화하는 조절효과는 지방 거주 예비창업자에게 있어서 교육지원뿐만 아니라 동종업자와의 교류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y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residing in local areas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of governmental support system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thre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proactiveness and innovativeness enha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risk-taking propensity shows no significant influence. Secondly, among the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capital acquisition competency and networking competency enhance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etency, and technical competency show no significant influence. Thirdly, among the sub-variables of governmental support systems, educational support and physical capital support enhance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regional partnership suppor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When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within the governmental support system, educational support strengthens the negative effect of risk-taking propensity and physical capital support enhances the positive effect of innovativeness. Regional partnership support reinforces the negative effect of risk-taking propensity. When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within the governmental support system, educational support strengthens the positive effect of technical competency, and regional partnership support also reinforces the positive effect of technical competency. The fact that physical capital support within the governmental support system exhibits moderating effects only between innovativen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suggests that this support system primaril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prospective local entrepreneurs. However, evaluating the influence on individual competencies in the absence of actual financial support appears challenging.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educational support, as well as regional partnership with entrepreneurs in the same industry and affili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s crucial for local potential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 우리나라 中小貿易業의 創業支援制度에 관한 硏究 : 主要 金融 및 租稅制度를 中心으로

        김경용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number of Korean trading firms consisting mostly of small-and-medium sized companies is 66,593 as of the end of 1998. They are always challenged by what is called advancement to overseas market. Markets are small and there are almost no natural resources available in Korea. Under the IMF program, overseas trade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r the Korea economic growth covering employment, production, and imports. Since the advent of the WTO system, externally, Korea has been rapid forward to free trade liberalization. Internally, the start-up trading business is on increase trends because of relaxing administrative regulation to promote external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enterprises and strengthening the small-medium company fostering policy. H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examine major supporting policies in the financial and tax sectors under which newly opening small-medium company. Secondly, to ensure that the newly founded trading companies can actively use and benefit from such syst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trictions in the relation to investment on the past business performance of the newly founded companies should be abolished. Otherwise the concept of foundation should be more actively interpreted to relax regulation on investment areas. In addition, the start-up supporting funds should be expanded. Also financial support for the newly opening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expansion of credit guarantee funds and the range of credit guarantee. Second, casing the conditions of the loans should reduce the start-up small-medium companies' financial expenses. Such are the financing of the start-up funds by the banks (supporting small-medium business banks), the financing of the relocation funds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moving into an industrial complex, and the financing of the start-up funds from the local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y fostering funds. Thi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a program of expanding the range of new exporting companies eligible for the financial support to newly open, small-medium venture companies. That is one year records of export performance or export order as of the date of application, to last two years of export performance or export order as of the date of application. Fourth, it is desirable that corporate tax and income tax be 100% exempted for the first taxable year during which taxable income has occurred and for 5 years starting from the first day of the next taxable year. Also the rate of tax reduction for local tax be increased in order to reduce tax burdens. Fifth, range of deductible technology development reserves related to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expanded along with the tax deduction rate for technology and manpower development expenses and related facility investments, in order to promote technology development. Sixth, tax benefits for investment in venture business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to improve double support exclusion regulation with respect to newly established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At the same time, it is beneficial to consider exclusion of application of the minimum tax for the inaugural small-medium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roles of trade are extremely important for the second take-off of Korea's economy placed under the IMF program. Accordingly, recovery of Korea's economy is promising if each trading firms cultivates their own competitiveness and continued research is carried out on the programs of supporting newly opening small-medium trading firms.

      • 소상공인 창업지원제도와 지역경제활성화 역량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황면기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6

        우리나라는 지난 1980년대 이후 급속도로 발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각종 최첨단 장비도입과 신개발(반도체, 백신) 정책으로 말미암아 고소득, 고부가가치 등의 소득증대를 누려왔다 그러나 이를 지속시키지 못하고 각종 퇴폐와 향락 속에서 흑·적자의 갈림길을 넘나들며 적자위주의 위기감이 고조되었다. 때문에 IMF라는 어처구니없는 결과가 초래되어 대처할 수 없을 만큼 크나큰 위기의 순간을 맞게 되었고, 정부는 물론, 지방경제 또한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게 되었다. 우리나라 기업은 1997년 IMF체제 이후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국가 경쟁력 강화측면에서 고용조정이 전체기업에 걸쳐 불가피하게 되었다. 최근엔 경기불황에 따른 사업실패와 가장의 실직 등으로 인해 창업전선에 뛰어드는 청중장년층들이 급증하고 있다. 소상공인 창업은 그들의 생활터전이 되는 동시에 고용창출과 실업률 해소에 기여함으로써 생산적인 경제활동과 사회적 불안을 제거하는 등 경제·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 특히 소상공인 창업은 생산적인 활동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실업대책이기 하다. 이러한 소상공인이 창업을 하는 이유는 많지만 목표는 창업한 사업체가 성공을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창업 뒤에 일어나는 문제점은 다양하다. 창업을 한 소상공인 중 어떤 사업체는 성공하고 또 다른 사업체는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소규모의 소상공인 창업도 자신의 특성에 맞는 맞춤 창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과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사업아이템 선정, 창업자금조달, 경영관리라는 4가지의 요인들이 소상공인창업의 사업성과에 대하여 문헌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토대로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요인이 소상공인창업의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경적 특성에는 연령, 창업지도기관의 강좌나 상담, 실무경험, 창업경험 등이 사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특성에서는 성취욕구, 통제위치, 모호성에 대한 인내력 등이 사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아이템 선정요인이 소상공인 창업의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업아이템 원천은 우연한 기회와 전직경험이, 사업아이템 선정 방법은 창업자금 조달규모, 창업자의 적성, 자신의 여건과 기준, 기존사업체 인수, 창업지도기관의 상담 등이 사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자금의 조달방법과 규모가 소상공인 창업의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자금과 소상공인지원자금이 사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영관리요인이 소상공인창업의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생산·기술혁신, 자금통제, 유능한 종업원, 마케팅 등이 사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소상공인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소상공인 창업에서 창업자는 개인적 특성에서 나타난 자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업을 준비하고, 창업에 대한 창업현장의 체험을 통한 간접경험과정을 거친 후에 제도가 활성화 되도록 추진시켜 나가야 한다. 창업자금은 창업자가 준비하는 사업규모 대비 충분한 상태에서 창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은 창업자 자신의 경험과 특성에 맞는 사업아이템을 선정하고, 추진하는 사업에 대한 충분한 자금조달과 창업 후 경영관리가 잘 조합 될 때 성공적인 창업이 될 수 있다. 소상공인창업지원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소상공인창업자의 창업동기는 개인사업이 적성에 맞는다는 답변이 가장 많아 자기 자신에 맞는 능동적인 창업이 많아지고 있다. 소상공인지원자금의 장점은 낮은 금리와 상환조건이 유리하다는 점을 대부분이 생각하고 있다. 창업에 도움이 되고, 경영성공에, 지역경제 활성화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친 효과에 대한 평가가 매우 높고,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현재의 소상공인지원제도가 매우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상공인지원 방향은 창업과 관련된 경영, 기술지도 및 컨설팅이 자금지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상공업 ReStart(휴·폐업 지원)프로그램 운영, 노인, 장애인, 청년창업 지원 등 소상공인지원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최대한의 역량을 다 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창업에 있어서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자들에게 성공적인 창업이 되기 위한 교육 및 상담, 지도 등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IMF 국가경제위기 이후 어려운 시기에, 소상공인지원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 시행되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효율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선진외국의 제도와 비교 연구하여 소상공인제도의 활성화를 기대해본다. 소상공인지원센터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함으로써 그 역량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지역 기업체의 대부분인 소상공인들의 창업, 경영, 기술지도 등 소상공인창업지원제도를 발전시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함으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간 빈부격차가 최소화될 것이다. 소상공인창업지원제도가 발전됨으로써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국가경제의 안정과 성장발전도 함께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5천년 역사에 빛나는 우리는 민족의 얼과 전통을 이어 온 각 지방 특색을 살리어 각 지방별 다변화된 산업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각 곳마다 쉽게 찾을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는 多지방 산업이 널리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소상공인창업지원제도는 성공하리라 확신한다. 제도의 안정적인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국가의 정책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or last 30 years after 1960's, Korea's national economy had been mostly led by central-government's economy policy. It has caused a disproportion between regions, industries and classes. Also for long period of time, it was an huge obstacle on people's economic growth by causing a traffic, housing and pollution problem. For that reason, high level of assignment has given, not only to economy, but also to politic and society to readjust a disproportion between regions. This study deals with three factors, founder of a business, business idea, and capital which is basically needed when a small business starts up, And also,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business management which has influence upon the business results after starting a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mall business on its characteristics, choosing business ideas, procuring methods of stating capital, and business management factor on the business results of starting a business. The reasons why a small business starts up a business are various and tine problems after starting it are various, too. Nowaday, the number of starting a business is increasing but rate of success is very low. The success or failure of a small business depends on the thorough pre-preparation before business stating and the post business management after starting a business Through the existing research, I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established the hypothesis for solving research problems, and analyzed the empirical analysis concerned this research. As a result, the major fou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nder's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had influence on the business results of a small business starting-up. Concretely speaking, the background features such as age, lecture or consultation, practical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business starting, etc. by guider of business starting proved to be of significance to founder's business results. and the psychological features such as accomplishment desire, behavioral control, and perseverance to ambiguity proved to be of influence. Second, the selection factors of business starting item which have influence on business results of a small business starting-up are as follows : The source of business starting item such as accidental oppertunity and former occupation, the selection method of business staring item such as the supply scale of business stating fund, the aptitude of founder, the given condition of founder himself, te acquisition of existing enterprise, and the counsel of business founding assistant institution proved to be significant to business result especially in founder's own fund and policy fund. Third, the founder's own fund own fund and policy fund in the scale of business starting fund and its supply method which have influnce on business result proved to be of importance to business result. Fourth, produc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fund management, competent employee, and marketing, etc. in the business management which has influence on the business result of a small business starting-up proved to be significant to the founder's business result. Now, I'd like to give a theoretical suggestion concerned with this research First, I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for the systematic and integral success factor on a small business starting-up. Second, I used the various variables such as founder, founding item, founding fund, business manage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measure various business result Third, I also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measure various business result. A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needed to do the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First, the founder should prepare and promote starting a business considering the founder's traits which is appeared in the founder's personal features. Second, the founder should have a strong business will to lead a new business Third, the founder should start a business with plenty of fund against the business scale. Fourth, there should be a program development and assistance policy for starting a business. Fifth, the founder should establish a concrete business founding plan from the preparatory stage of starting a business to the management stage through the special consultant or assistance center for a small business Sixth, the founder should start a business after learning the satisfactory production and marketing skill on the founder's concerned field. Seventh, there should be not only an assisting a small business but also periodically a precise post-management Eighth, there should be the periodical repairing education and overseas research study in case of necessit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onsultants in the assistance center for a small business starting-up. And also, there should be given the condition and opportunity for self-development. Until now, I have presented the small business success factors through this research, But in the future, new success factors should be found and the additional research to re-test the success factors will be made. As a result, the multilateral success model for a small business will be established And also, through the materializing these success factors, the criterion which can distinguish success from failure on a small business starting-up will be made Not only preliminary founders but also existing founders will be able to use this kind of useful material for there education, consulting, and assistance Our history last for more than five thousand years Reflect upon our ancestor's spirit and custo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ecialities in each region and help other region to change into multi-changed industry system So it should be easier to find special goods in everywhere than before and one region should be capable of producing more than one special good First, adjust the playing role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Second, break down the central governing theory and minimize the difference in wealth and poverty between region. Third, be award of the rational reason that cause certain industry in just one region and search the reality that had to distributed into each region. I hope to activated a Study on Korea Small Business Start-up Assistance Program and Its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Capability. I believe to be its success.

      • 소상공인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지원제도를 조절효과로

        김나경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우리나라 소상공인 시장은 조기퇴직, 노령인구의 증가, 청년실업의 증가와 정부의 적극적인 창업지원제도로 꾸준한 양적 증가를 이루었으나, 시장 확보의 실패, 급변하는 환경에의 적응부족, 미숙한 경영관리능력, 충분한 자금 확보의 부족으로 대다수의 창업자들이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폐업율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상공인의 잠재되어 있는 긍정심리자본을 분석하여 창업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있으며 또한 창업지원제도의 조절효과 영향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와 긍정심리자본, 창업지원제도, 창업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8.0과 AMOS18.0프로그램은 사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 분석, 일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상공인의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은 창업성과 중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지원제도의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성과와의 영향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32개의 가설 중 9개의 가설이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23개의 가설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희망은 창업지원의 재무적성과, 교육지원의 비재무적성과, 컨설팅지원의 비재무적성과에서 부(-)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희망고저, 지원여부에 따른 4가지 유형으로 일변량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희망과 창업성과와의 창업지원의 부(-)의 조절효과를 뒷받침해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창업지원제도가 소규모 자영업을 영위하는 소상공인의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지원을 받은 군이 지원을 받지 않은 군보다 창업성과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결과이다. 시사점으로는 긍정심리자본은 소상공인의 창업성과에 높은 영향력이 있으므로 창업교육프로그램에 긍정심리자본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긍정심리기제를 높일 수 있도록 운영하여야 할 것이며 창업자금, 창업교육, 창업컨설팅교육을 소상공인시장 실정에 맞도록 다양하고 전문적으로 개발하여 소상공인의 생존력을 높이는 데 기여를 해야 할 것이다.

      • 시니어 창업교육프로그램과 창업지원 제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_사회적 지지를 조절효과로_

        박종현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시니어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과 창업지원제도가 창업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대도시와 지방도시에 거주하는 시니어교육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여 그 중 302부가 수집 되었고,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80부와 창업교육을 받지 않는 29부를 제외하고 최종 193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도와 다양성 및 실용성 변인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성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금지원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법률지원과 조세지원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지지 변수는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전문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지원제도의 자금지원과 조세지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교육만족도가 높아야 창업교육 목적으로 갖게 되는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둘째, 창업을 고려하고 있는 예비 창업 시니어들의 관심사는 자금지원이 가장 높으므로, 시니어들의 창업의도를 높이려면 자금지원정책을 확대하여야 한다고 본다. 셋째, 창업을 고려하고 있는 시니어의 경우에는 창업교육을 창업전에 미리 받아보아야 한다고 본다. 특히 평생교육기관, 대학, 상공회의소, 중소기업청 산하기관 등 현재 여러 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창업교육에 대해 교육만족도가 높다고 알려진 창업교육을 선정하여야 창업 의도나 창업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고 본다. 넷째, 창업을 고려하고 있는 시니어는 창업의도를 높이고, 창업에 대한 자신감을 얻기 위해서는 창업교육 참여뿐만 아니라, 창업지원제도 중 자금지원부분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특히 가족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고 본다. 다섯째, 창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이나 교육 관계자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창업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은 시니어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창업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성위주의 교과목과 다양한 창업분야를 다룰 수 있는 커리큘럼을 짜야한다고 본다. 여섯째, 시니어 창업지원을 하는 정책기관은 시니어창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업 준비단계에서는 자금지원 정책에 우선을 두고, 창업이후에는 법률지원이나 조세지원 등 경영지원 중심으로 정책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본다. 주제어 : 시니어창업, 창업교육프로그램, 창업지원제도, 창업의도, 사회적 지지

      • 창업환경과 창업자기효능감 및 경제적실패부담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창업지원제도의 조절변수와 기업가정신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박성호 호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창업과 관련하여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환경과 창업자기효능감 및 경제적실패부담감이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창업지원제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이메일, 네이버밴드 등을 통한 서베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 7월 2일부터 9월24일까지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Ver. 18.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주성분 요인분석을 하였고, 신뢰도 분석에서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t-test 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창업자기효능감(사업운용자신감, 자금조달자신감)은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업운용자신감과 자금조달자신감이 높을수록 혁신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상황, 자금조달자신감, 경제적실패부담감이 높을수록 진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상황, 자금조달자신감, 경제적실패부담감이 높을수록 진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운용자신감, 자금조달자신감, 경제적실패부담감이 높을수록 위험감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창업사회적지지, 사업운용자신감, 자금조달자신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업사회적지지, 사업운용자신감, 자금조달자신감이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창업환경과 창업자기효능감 및 경제적실패부담감, 기업가정신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업운용자신감과 자금운용자신감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혁신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금운용자신감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진취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적실패부담감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진취성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운용자신감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위험감수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금조달자신감과 경제적실패부담감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위험감수성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창업환경, 창업자기효능감, 경제적실패부담감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서 창업교육지원과 창업자금지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교육지원을 받을수록 현실을 즉시하기 때문에 사업운용 자신감이 낮아지고 창업의지가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난다. 또한, 창업교육지원을 받을수록 경제적실패부담감이 낮아지는 결과는 반대로 창업의지가 높아진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창업자금지원을 받을수록 창업사회적지지와 자금조달자신감이 높아져서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융자자금에 대한 부담 때문에 고용상황은 낮아지고 창업의지가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향후 창업환경, 창업자기효능감, 경제적실패부담감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창업지원제도와 창업의지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 및 향후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설문대상을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기 때문에 분석결과에 대해 계량분석 측면에서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특정대상 즉, 대학생,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특정대상을 정하여 설문을 하면 더 객관적인 자료를 구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둘째, 실패부담감과 창업의지에 대한 더욱 깊고 좁은 분석이 필요하고 재창업자들에 대한 사회적인식과 적극적인 창업지원이 창업활성화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셋째, 창업지원제도를 활용하여 창업을 하는 예비창업자들도 많지만 창업지원제도를 두려워해서 지원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지원과 더불어, 창업지원제도의 신청서류관련 간편화를 통해 적극적인 창업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is research analysed whether the start-up environment, entrepreneur's sense of self-efficiency and burden on business failure carry the mediation role to the will of business foundation in the relation with entrepreneurial spirit toward the would-be start-up and established startup. In addition, startup support system's mediation role was looked into. Data collection was made using online questionnaires delivered through KaKao Talk, blogs, facebook, email and Naver band. Samples were collected via random sampling with equal probability based on judgemental sampling method. In total 425 would-be startups and established startup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was carried from July 2 to September 24, 2016.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analysed through SPSS Win Ver. 18.0. To verify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is on main components was conducted by Varimax being the orthogonal rotation which owns kaiser rule. Cronbach's alpha coefficent was extracted for credi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accompanied to verify the hypothesis.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employed to look into the difference derived from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mong the variants. Findings from the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Entrepreneur's sense of self-efficiency is one of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out of startup environment. Entrepreneur's sense of self-efficiency turns out to act as important preceding variable that makes meaningful influence to the will of business foundation. However, lack of extensive analysis on entrepreneur's sense of self-efficiency calls for more activation of the research from that perspective. Secondly, financial support for business foundation is revealed to make positive influence to the will of business start. Therefore, more active and systematic support rather than indiscreet financial support is required to activate the business foundation. Thirdly, as a way to boost up the business foundation and solve out the issues of burden on business failure, more active and systematic education on business foundation with focus on entrepreneurial spirit needs to be implemented. The research aims to make contribution in suggesting educational direction in the filed of business start environment, entrepreneur's sense of self-efficiency, burden of economic failure and entrepreneurial spirit. The research also expects to contribute in increasing the effect of business startup support system and will of business foundation. In the course of proceeding this research, following limitation and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as identified. As of first, more objective data would be obtained if addition of certain group such as college students, small size-business merchants and self-employed business owner could be accompanied.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ward would-be startups and established startups only. If the scope of respondents would be expanded to include specific groups mentioned above, higher objectivity could be achieved via complementing the quantitative shortcomings. Secondly, deeper and more narrowly focused analysis on the burden of failure and will of business start is needed. Social perception and active support toward multiple rounds business startup is expected to activate business foundation. Thirdly, more intensive support along with publicity effort on government's business foundation support system is required. While lots of would-be startups establish their business using government's business start up support system, fear on business startup support system hinders the trial for the application to the support. Simplification of application documents required for business foundation support is expected to lead more activation of business foundation. (Keywords : Start-u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ear of Business Failure, Entrepreneurial Intention, Government's 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Mediated Effects of Entrepreneu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