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들의 휴식 시간 활용으로서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이 주는 힐링 의미

        강혜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힐링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장인들의 휴식시간을 활용한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대부분의 한국 직장인들은 긴 노동시간과 강도 높은 업무량, 과열되는 경쟁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신적, 신체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직장인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힐링 문화가 재조명되고 있지만 자신을 돌볼 여유가 없는 직장인들에게 힐링은 소비를 조장하는 무분별한 마케팅으로 사용되며, 그 본질적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힐링의 본질에 대한 탐구와 직장인들의 심신 건강을 위한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에 대한 경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경험에 대한 연구에 적합한 질적연구 중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가 출강하고 있는 안양시에 위치한 IT회사에 재직 중이며, 연구자의 수업을 참여하고 있는 직장인 7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5월 1일부터 9월 말까지 약 5개월간 진행하였고 심층 면담, 참여자의 수행일지, 연구자의 참여관찰일지, 문헌연구, 포토 보이스를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Giorgi의 자료 분석 방법 4단계를 적용하여 4개의 핵심 주제와 11개의 의미 들로 범주화 시켰다. 이를 통해 세부 연구 문제와 관련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힐링은 지쳐있는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뜻으로 삶에 있어 신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온전한 상태 또는 그렇게 되기 위한 과정을 말한다. 둘째, 웰빙은 몸과 마음의 균형을 통한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운동의 속도에만 집중되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다양성을 존중하며, 그 속에서 자신의 깊이를 더해가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었다. 결국 필라테스와 명상의 기능적인 효과는 외부로 흩어지는 마음을 자신의 내면으로 돌려 몸과 마음의 조화와 균형을 잡는데 탁월한 기능이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는 심신을 치유하며, 질병의 예방과 전일적인 건강과 행복을 지향하고 있었다. 셋째, 직장인들은 시간 활용과 업무 환경으로부터 분리, 부서가 아닌 공통된 관심사로 재형성된 인간관계, 자신의 몸과 마음에 집중을 통해 심신의 균형과 힐링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는 직장인들이 건강에 대한 염려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기분을 개선하였으며, 건강한 직장 문화를 만들어 소속감과 안정감을 가져왔다. 또한 직무의 열의를 높이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으로부터 힐링의 의미 구조를 파악하고 그 과정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힐링 연구와 필라테스 또는 명상 연구와 차이가 있으며, 또한 직장인들의 휴식 시간인 점심시간에 프로그램을 진행한 점에서 기존 신체활동이나 여가에 대한 논문과의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직장인들이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을 통한 힐링의 의미 들을 제공함으로써 힐링의 본질적 의미에 대해 재조명하였으며, 직장인들의 업무 환경 개선 및 심신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힐링 콘텐츠로써 명상 및 필라테스를 융합한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가 개발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healing experience through Pilates and meditation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Burnout among modern workers has led to a resurgence of healing cultures. However, the essential meaning of healing has faded due to indiscriminate commercial marketing. Therefore, we conducted a study to explore the intrinsic meaning of healing and the experienced meaning of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Pilates and meditation among office workers. In doing so, 7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working in IT companies,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reflective journal, non-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photo-voice metho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following things, four main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categorized and articulated the essential meaning of heal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on the main category of healing from pilates and meditation performance during the break time, 1) satisfaction for using time, 2) sweet experience of one hour. Second, on the main category of exercising with working, 1) feeling so good by secretion of endorphin, 2) stress solution, 3) rest by concentration. Third, on the main category of healing space with myself and others, 1) free space, 2) confronting myself, 3) communication with others for a moment. Fourth, on the main category of balance of body and mind, 1) reflecting no thinking, 2) exercising for no purpose, 3) back to work with recharging. In conclusion, the essential meaning of healing would be the process of finding the balance of life through exercising mind and body. It composed of combination among following five factors: 1) concentration, 2) rest, 3) balance, 4) space and 5) time. These results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enhance the mind and body health of office workers.

      • 職場人의 生活體育 參加와 餘暇滿足에 關한 硏究

        김경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비참여 그리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여가만족의 6가지 하위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다음,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1997년 현재 광주광역시, 전남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참가집단 199면, 비참가 집단 186명 총 385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에 관한 설문지로서 신뢰도 검사 결과 α=.720-.875으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기법은 공변량분석, 중분류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 등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 집단에 비하여 여가만족(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생리적, 휴양적, 환경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빈도는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생리적, 휴양적 여가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환경적 여가만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기간은 사회적, 교육적, 휴양적 여가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생리적, 환경적 여가만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강도는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휴양적, 환경적 여가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생리적 여가만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5.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정도에 따른 빈도, 기간, 강도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결과,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정도중 참여빈도, 참여 기간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강도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the more precisely, this study closolg examines the effect of sport for all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the employees by looking at the sport for all type and level. This study target was 385 adults employee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in 1997 and target Sample is produced by using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o analysis data, use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MCA, ANCOYA, Path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dures, and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employees influences leisure satisfaction. Namely, The Participants of sports for employees is the higher level in leisure satisfaction than non-participants. Second, the frequence, period, and serving in sports for employees influences leisure satisfaction.

      • 여성직장인의 조직 내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직장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여성들이 꾸준히 노동시장에 진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여전히 기업조직에서 남성이 선호되는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여성에게 일반적으로 부족하다고 평가되는 '조직인(organizational man)'으로서의 직업의식이 왜 그리고 어떻게 부족하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연 여성들은 직업의식이 근본적으로 부족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금까지 남성 중심적이라고 지적되어 온 조직 내에서 행위자(agent)로서 직무 수행성(job performativity)을 통해 정체성을 구성해 나가는 여성직장인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어떤 조직 내 조건 속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조직 내 정체성을 형성해내고 다시 변화시켜 나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직장인이 조직인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은 마치 장애물 경주와 같았다. 그리고 여성들이 겪는 조직 내 갈등을 분석한 결과, 표면적인 인간갈등보다 조직에서 여성에게 부과하는 '여성적' 직무의 성격이 그녀들로 하여금 노동소외를 겪게 하고 있었다. 이러한 성별직무분리는 여성직장인들의 조직 내 정체성을 도구적·소외적 존재로 고착시키는 최우선 기제이다. 한편 여성직장인들은 성역할에 따른 '여성적' 직무를 탈피할 때 비로소 도구적 샐러리우먼 정체성을 벗어나면서 조직인으로서 직업의식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조직 내 핵심직무를 파악하는 것, 그리고 직장생활 경력의 누적 등은 여성들이 탈 '여성적' 직무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조건이 된다. 동시에 외재적 조건으로 상사의 특별한 신뢰를 얻거나 초창기 기업에 입사하면서 생긴 다양한 직무기회를 통해서 탈 '여성적' 직무로 이동하는 경우들도 많았다. 이들은 자유재량권이 있는 '핵심직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일에 대한 성취감을 경험하고 업무몰입도를 높여 나간다. 그리고 조직을 대외적으로 대표해보는 업무 경험을 통해 소속 조직에 대한 책임감을 내면화하기도 한다. 아울러 조직의 성장과 자신의 성장에 일체감을 형성한다. 그러나 핵심 직무 수행을 통해 발전하는 여성들의 직업의식은 조직 내 제반 관계에서 벌어지는 성별정치학으로 인해 다시 탈각되거나 정체되기도 한다. 조직 내에서 여성들은 집단화되는 남성 문화와 그들만의 충성메커니즘으로 인해 끊임없이 밀려난다. 남성들의 유유상종 문화는 비공식적이고 사적인 성격임에도 불구하고 집단화를 통해 조직 내에서 세력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는 조직 간 네트워크와 결합하면서 남성들을 '사회자본이 풍부한 조직인'으로 반복 호명한다. 또 남성들은 상호 의존적인 상사-부하 관계 속에서 충성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면서 공식적인 직위와 직책을 선점하며 그 결과 남성들은 조직적 권한을 배타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한편 조직 내에서 여성들끼리는 공적·사적 관계맺기와 관련하여 혼돈을 겪고 있다. 남성들은 성별화된 사회화 과정 속에서 '공적 존재'라는 정체성을 당연하게 내면화하여 사적 관계망을 공적 관계망으로 융합해버린다. 반면 여성들은 공적 영역인 조직 내에서도 친밀한 사적 관계 맺기 방식을 선호하면서 성별화된 차이를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같은 사적 관계 속에서 여성직장인들은 서로를 '사적 존재'로 호명하게 되고 그 결과 이들의 정체성은 사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에 조직적·공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이 부가되는 성격을 띠게 된다. 따라서 여성들의 관계는 조직적 권한과 책임마저 무화시키는 사적 관계를 강화시켜 갈등을 낳거나, 또 다른 양상으로 여성 스스로 공적 자아정체성과 사적 자아정체성을 엄격하게 구분함으로써 상호 조직 내 원활한 유대관계 형성을 방해받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처럼 조직 내 성별정치학으로부터 빚어지는 여러 갈등과 좌절에도 불구하고, 조직에서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온 여성직장인들은 보다 대안적인 직업인 정체성을 구성해나가고 있었다. 그녀들은 자신들의 직무수행성과 능동적인 관계 재구성에 기반하여 다시금 조직을 이해하면서 보다 확장된 직업의식과 이에 따른 책임감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녀들은 조직 내 개인차원으로 자신과 소속 조직뿐만 아니라 고객과 전체 업종에 대한 책임감을 넓히고 '확장된 관계적 자아'로 자신을 성장시키면서 대외관계망을 넓혀 나가고 있다. 또한 조직 내 관계 차원으로는 양성적 리더십을 고민하며 특히 후배들을 책임지고 키우는 과정에서 확장된 직업의식과 조직적 책임감의 전달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이들은 여성 선후배간 팀워크를 다지면서 조직적 성과를 통한 여성의 탈주변화를 꾀하고 있기도 하다. 이들의 노력은 보다 대안적이고 발전적인 여성직장인의 상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해볼 만하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까지 여성직장인들에게 조직적 맥락에서의 직업의식이 부족한 이유가 많은 경우 성별직무분리에 따른 여성노동의 도구화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여성들은 성별직무분리에서 벗어나 핵심직무에 진입해서 강한 업무 몰입도와 책임의식을 갖게 되더라도 또다시 조직 내 성별정치학에 따른 갖가지 갈등을 겪으면서 조직적 책임감을 갖춘 자아정체성이 소극적으로 축소·탈각되는 장애를 겪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들 속에서도 이들은 다시금 능동적으로 대안적인 여성직장인 정체성을 구축해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같은 과정을 밝힘으로써 지금까지 여성노동 현장의 어려움을 지적해온 관련 연구들과 조직 내 여성의 성장과 성공을 모색하기 시작한 여성리더십 관련 연구들을 연결하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thesis begins from the question why men are still preferred in the organization although women continue to enter the labour market. It is considered that women lack vocational consciousness as an 'organizational man' in general. This thesis also examines why and how it happens. Are women indeed short of vocational consciousness essentially?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s of women workers as agents who construct their identities through job performativity in the male-centered organization pointed out by the preceding studies. Moreover, it analyzes in what condition, with what role women constitute an organizational identity and change it. As a result, the process in which women workers constitute an organizational identity is like an obstacle race. And the analysis of conflict which women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shows that its official structure and 'feminine' job characteristic give them alienation when they work. In addition, such job segregation of gender is the first obstacle that makes women's identity in the organization fall into instrumental beings. On the other hand, when women workers break from 'feminine' job based on the job segregation of gender, they start to constitute vocational consciousness as an organizational person as well as come out from the 'instrumental salary woman' identity. To grasp the core work of the organization and have careers of many companies become a condition for women to get out of 'feminine' job.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cases for them to do it in the special confidence of their superiors or various job opportunities by entering the enterprise at the beginning through external conditions. Performing the 'core work' with discretionary power, women have a feeling of accomplishment and promote work commitment. Also, they internalized responsibility for their job and organization from experience of representing the organization inside and outside their workplace. Besides, they come to think that organizational prosperity and their own growth are in one body. However, vocational consciousness within the organizational identity made through the 'core work' moves back because of gender politics in organizations. Women workers are systematically marginalized due to men's homophily or collectivization and their 'loyalty mechanism'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That is, men change into a power group using their unofficial and personal network, and by its combination of inveterate business culture among organizations they are called 'organizational persons with abundant social capital' over and over again. Furthermore, they preoccupy official position and duty through 'loyalty mechanism' in the organization and own finally exclusively organizational power. On the other hand, women workers show immaturity not to switch themselves in the public relations by concentrating o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relations among women. While men internalize the identity of 'public being' and unite it to their own identity, women workers are characteristic of adding the identity of organizational/public being to ego identity as the result of calling each other 'private being' in personal relations. Consequently, women's relations in the organization lose organizational power and responsibility or on the contrary women workers do not have close relations in the organization by dividing ego into public being and private one strictly. In spite of conflict and frustration caused by gender politics in the organization, women workers construct an alternative professional identity, worrying at their survival and growth in the organization continuously. They understand the organization again on the basis of their job performativity and reconstruction of active relations, and raise more expansive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responsibility according to it. Also, for a private dimension in the organization they develop themselves into 'extended relational ego' and expand their external network of relations, raising responsibility for clients and the whole industry as well as ego and organization. For a relational dimension they cultivate androgyne leadership, try to convey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extended in the process of fostering their successors with responsibility, and attempt women's demarginalization through the outcome in the organization, making sure of teamwork between women superiors and inferiors. Their efforts are noticeable in the point that they make an image of women workers more alternative and developmen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mentioned above reveal that lack of women's vocational consciousness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results from the instrumentalization of women's labour according to the job segregation of gender in many cases. And even though women emerge from the job segregation of gender and entering the core work, have strong absorption in their work and responsibility, they have experience of their ego identity being with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reduced to passive one through various conflicts from gender politics in the organization. Despite such difficulties, however, they actively construct an alternative identity as women workers. There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by clarifying such process, it provides experiential data which can connect investigations of women's difficulties in the job-site and women's leadership-related research fields starting to explore women's growth and success in the organization can be connected.

      •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 : 직장인을 대상으로

        송창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국내외 경제상황은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과 같은 이유뿐 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기술의 기존산업에의 응용, 국가 간, 기업 간 무한경쟁의 확대, 보호무역주의 경향 강화 등으로 고용상황을 갈수록 악화시키고 있다. 고용상황에서의 부정적 악화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며 미국을 비롯한 유럽연합 등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이런 현상을 간파하고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다양한 창업을 촉진시키는 정책을 펼쳐왔다. 그 중 하나가 전 생애주기에 걸친 기업가정신 교육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용상황의 악화를 막는 대안 중의 하나가 창업지원이라는 인식하고 2000년대 들어와 오랫동안 창업에서 강력한 변인으로 알려진 기업가정신은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이와 함께 창업행동에 가장 중요한 것은 창업의도이며 창업을 늘리기 위해선 정부의 정책적 지원 외에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선행변수들의 탐색과 이들과 창업의도와의 관계 등이 창업의도 연구의 주요 이슈가 되어왔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대학생, 청년, 시니어 등을 대상으로 한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한 것이 대부분이다. 창업의도의 선행변수로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자기효능감, 리더십, 사회적 지지, 정책 환경 등이 선행변수로 알려져 있고 변수 간의 단순한 관계부터 최근에는 구조적 관계에 까지 연구방법도 다양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대상을 직장인으로 확장하여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영향관계를 구조적 관계로 확인하고자 한다. 학생시절을 끝내고 사회에 진출하면서 창업이 아닌 취업을 선택하여 직장생활을 영위하는 직장인들은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오늘날 나름의 경력단계를 거치면서 경력관리를 하지만 직장생활 과정 어느 순간에는 재취업 또는 창업을 고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창업관련 연구는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직장인들의 창업의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창업의도에 중요한 영향변수로 알려진 기업가정신은 많은 연구자들이 독립변수로 사용하고 있다. 기업가정신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업가에 대한 논쟁에서 기업가는 타고나는 것보다는 후천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습득될 수 있다는 입장이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는 개인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개인성향이 예측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다양한 특성 중 위험성향과 행동성향을 채택하여 성향변수들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지를 확인했고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는 조절변수인지도 검증했다. 기존의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한 개념이며 이런 것은 직장인들에게서 가장 잘 구현되는 자산이기도하다. 직장인은 경력단계를 거치면서 사회적 자본을 많이 획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규명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직장인 대상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를 검증했다.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이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신념과 기대를 말하며 자기효능감은 선행연구에서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알려져 있다. 자기효능감을 창업에 응용한 개념이 창업자기효능감이다. 국내 창업의도관련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 또는 매개변수로서 검증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기효능감을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절변수로서의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 확인코자 했다. 이상의 여섯 개의 구성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주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11개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 이상의 사기업과 공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최종자료는 332부이며 SPSS Statistics 24, SPSS Amos 24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의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은 사회적 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 다섯째, 직장인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자본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를 정(+)의 방향으로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 일곱째, 기업가정신에서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를 정(+)의 방향으로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다. 이어서 직장인들에게 있어서 위험성향, 행동성향 두 개념들이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하는 조절변수인지를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모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덟째, 기업가정신에서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을 높이지 않는다. 아홉째, 기업가정신에서 위험성향은 직장인의 창업의도를 높이지 않는다. 열 째, 기업가정신에서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을 높이지 않는다. 열 한 번 째, 기업가정신에서 행동성향은 직장인의 창업의도를 높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성향과 행동성향, 기업가정신, 사회적 자본, 창업자기효능감이 구조적 관계에 있고 이들은 서로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로서의 구조적인 영향관계에 있음을 밝혀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직장인들의 경력단계별로 창업에서 오랫동안 알려온 구성개념들인 본 연구의 측정도구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창업의도 연구에서 여러 선행변수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노력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Recent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conditions have worsened not only for the same reasons a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19, but also for the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existing industries, the expansion of unlimited competition among countries and companies, and the strengthening of protectionism. The negative trend in the employment situation is a common phenomenon throughout the world, and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ave early implemented policies to promote diverse start-ups as alternatives to identify and overcome the phenomenon. One of them 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In Korea, entrepreneurship, which has long been known as a strong variable in start-ups since the 2000s, has been a research topic for many researchers, recognizing that one of the alternatives to prevent the worsening of the employment situation. At the same time,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start-up activities i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increase start-ups, it is not only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but also the search for a number of prior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it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or variabl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se topics have been a major issue in the stud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has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mainly for college students, young people, and seniors. The preceding 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policy environment are widely known. Research methods vary from simpl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o structural relationships recently. This study seeks to expand existing research subjects to employe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influence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as structural relationships. After finishing their student days and entering society, office workers who choose to get a job rather than start a business, manage their careers through their own stages of experience when the concept of a lifetime job dis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career path, however, one has no choice but to consider reemployment or start-ups. Therefore, a start-up study of office workers is neede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it is hard to find any research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Entrepreneurship, known as an important influence variable in start-up intentions, is used by many research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debate about entrepreneurs used in a similar concept to entrepreneurship, there is widespread support for the position that entrepreneurs can be acquir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an by birth. Under such circumsta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n be predicted as variables that can affect entrepreneurship. In this study, risk propensity and action orientation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ere adopted as individual tendencies. In addition to verifying whether these propensity variables ar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entrepreneurship, they also verified whether they are regulatory variables that interact with entrepreneurship. In existing studies, social capital is known to a variable to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s. Social networks are the most important concepts that make up social capital, and these are the best-implemented assets for office workers. Employees acquire a lot of social capital throughout their careers. In this study, we verified whether the mediate effect of social capital identified in existing studies was the same in the study of employees. Self-efficacy refers to the belief and expectation that in some situations, one can act properly. It is known as a variable that has a variety of influences, such as independent variable, mediate variable, and regulatory variable, in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applying self-efficacy to start-up research i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a prior study related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most of them verifie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 or mediate variable. In this study, we wanted to check whether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verified as a regulatory variable.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research topics, extracting six constructive concepts and presenting structural research models which 11 hypotheses were established, Data for the hypothesis test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of employees working for private enterprises and public corporations abo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final data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in part 332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SPSS Statistics 24, SPSS Amos 24. The main hypothesis test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individuals' risk propens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of worker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individuals' action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of workers. Third, entrepreneurship of workers i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Fourth, the social capital of office work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ther words, social capital serves as a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fth, entrepreneurship of worker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us, social capital, a parameter, serves as a partial mediat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social capital has the effect of regula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 positive direction. Seventh, i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regulation effect that strengt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Sub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both concepts of risk propensity and action orientation were not regulatory variables that interacted with entrepreneurship. Eighth, in entrepreneurship, risk propensity does not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office workers. Ninth, the risk propensity in entrepreneurship does not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Tenth. in entrepreneurship, action orientation does not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employees. Eleventh, in entrepreneurship, action orientation does not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mploye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risk propensity, action orientation,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r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they are structural influences as independent variables, mediators, and regulatory variable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presented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which have long been known in the stud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dentification efforts of several prior variables i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tudy of the workers, and propos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직장인을 위한 효율적 일본어 학습방안에 관한 연구

        인성주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글로벌화는 이제 그 속도와 깊이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도 빠르고 깊다. 글로벌화는 국경이 낮아지고 시간과 공간이 축소되어 사람 및 조직 간에 거리와 국경을 뛰어 넘는 관계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글로벌화 시대에서 우리나라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어를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이를 경쟁력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는 외국어 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은 빼 놓을 수 없는 당면과제이다. 외국어 실력향상은 국가로서 훌륭한 인재를 키워 국가경쟁력 기반 구축을 위한 것이며, 동시에 개인으로서 능력을 인정받는 가장 유력한 통로이기도 하다. 일본을 대상으로 상거래를 하는 기업이 늘고, 거기에 따른 여러 가지 비즈니스 장면에서 일본인과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기업 내 직원들의 제2외국어 필요성에 의해, 어느 정도는 교양교육의 차원에서 실시되어 오던 일본어가 이제는 영어와 함께, 직장인들의 필수과목으로 자리매김 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면 비록 학교교육에 비해 그 수는 적으나, 실제적으로 사용 활용도가 높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면 직장인 일본어교육은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분야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일본어 학습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일본어 학습 특성과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직장인들이 추구하는 학습 목적에 맞게 여러 가지 교육방법들을 적용시켜, 보다 나은 일본어 학습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술하였다. 학교교육보다 까다로운 조건과 다양한 목적을 지닌 직장인 일본어 학습자들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일본어 학습을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어를 학습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 통해 직장인들의 일본어 학습 현황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직장인 일본어 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세계화에 발맞추어 글로벌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양성을 위해, 직장인 일본어 교육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과, 이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네트워크 마련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또한, 그와 더불어 직장인 개개인의 측면에서는, 승진이나 이직 혹은 미래를 위한 자기 계발이라는 현실적인 목적이외에도 기업의 이익을 위해,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에 이바지한다는 의미를 부여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활용 가능한 일본어를 구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직장인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연구

        안영훈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는 복잡한 생활구조와 급격한 기술문명의 발달로 모든 의식구조와 가치관이 바뀌어 가고 있다. 또한, 급진적인 의학의 발달 및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노령인구의 비율 증가와 노령과 함께 수반되는 제반문제의 심각성이 사회적 관심과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노령과 함께 수반되는 신체적 변화, 경제적 불안정, 사회적 역할상실에 대한 심리적 부적응으로 인한 소외감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성공적인 노화 대비의 지름길이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에게 안정적인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노후생활 준비의 바람직한 방향제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직장인들의 노후의식, 노후생활, 은퇴 후 여가생활, 주거환경, 퇴직 후 자녀와의 생활, 노후 복지 등을 조사하기 위해 2010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인천시 연수구에 근무하는 일반직장인과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300부 중에 최종 292부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고, 통계처리는 M/S Exel 프로그램과 SPS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이 보는 노인연령에 대해 65세부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는 노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이고, 다음으로 경제력이라고 하였으나, 노후생활에서 가장 예상되는 문제로는 경제적 문제, 다음으로 건강문제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노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과 경제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노후준비를 위한 경제적 수립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가 13.7%로 나타났으며, 노후대책을 세우지 않는 이유로는 여유가 없어서가 62.8%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노후대책에 있어서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는 노후에 기대되는 주 수입원은 연금이 46.9%로 나타났으나, 은퇴 후 생계수단으로 남성의 경우 연금을 선호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저축·이자·임대수입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는 정년제도에 있어 정년연령은 58세가 높게 나타났으며, 정년을 폐지하거나 연장하여야 한다가 69.8%, 퇴직 후에도 일자리를 원한다가 59.9%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정년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다섯째 노후 주거 선호에 있어서 단독주택, 아파트 순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노후에는 혼자 사는 것을 원하고 있으며, 노후생활 장소로는 대도시보다 중소도시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는 자녀와의 동거의식에 있어서 직장인 절반이상이 자녀와 별도로 살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는 노후 생활이 자유롭지 못할 것 같아서 독립적으로 생활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일곱째는 노후부양에 일차적 책임은 본인(배우자), 다음으로 국가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자식에 대한 의존성이 경감되고,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직장인들의 바람직한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은퇴 후 삶을 위해 건강, 경제력 등을 미리 준비하여야 하며, 건전한 취미생활과 사회봉사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자기계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은퇴한 직장인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 등을 사회에 충분히 환원할 수 있는 인적자원 활용 시스템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들은 직장인, 기업, 국가 간에 상호작용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직장인, 노후생활 준비, 노후 여가생활, 노후생활, 노후대책 Abstract A Study on the Provision for Aged Life of Employees Ahn, Young-H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In modern society, all rituals are changing the structure and value system because of complex living structure and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a social concern and worries is becoming higher about severity from the problem relative to the old age and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radical advances in medicine and improved standards of living based on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t is a best way to prepare actively for coping with problems like the alienation caused by a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ue to the physic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economic instability and loss of social rol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employes recognize the necessity of preparing for their old age and to supply them with a base data helpful for showing the right way to preparing for their lives in old age. So, a survey to general employes and employes in social welfare fields at Yeonsugoo, Inchon had been carried out from Dec. 1st to 30th in order to study about consciousness for one's old age and lives after retiring such as leisure lives, housing circumstances, living with sons & daughters and demand of social welfare. 292 answered sets among 300 sets had been chosen for the research data and M/S Exel or SPSS pc+ was used for carrying out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as followings; First, the employe's concept about beginning of old age was highest in the data from age 65, which is similar to the precedent research result. Second, for the question about the most important items in old ages, the answer is that health is first and economical point is next. But for the question about the most predictable problems in old ages, the answer is that economical problem is first and health problem is next. From thoses answers, it can be said that economical ability and health are the most important items in old ages. 13.7%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considered economic setting up to prepare for their old ages. And from the high resulting value(62.8%) of answering that the reason of not preparing for their old ages is not having any sapare around or in them, it can be assumed that they are feeling some burden in economical point. Third, 46.9% answered that pensions could be a main source of revenue expected in their old ages. But there seems to be a different opinion between men and women because men prefer pensions as their livelihood after retirement whereas women prefer savings, interests and income from lease. Fourth, in point of retiring age, age 58 appeared to be highly chosen valu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ystem for official retiring age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69.8% answered that retiring age should be gone off or lengthened and 59.9% want jobs. Fifth, for the question about preference of dwelling in old ages, independence house is ahead of apartment. From this, it can be found that living alone at medium and small town rather than at big city in old ages is a one of strong desires. Sixth, in point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sons and daughters, more than half of answerers want to live separately from them. This comes from the desire of independent living in order not to live non freely in their old ages. Seventh, from the answers that the first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old ages is on themselves(spouses) and next responsibility is on n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pendence on children is becoming lightened whereas dependence on nation is getting stronger and stronger. In conclusion, to live better life in old ages, preparedness something in point of health, economic ability and etc. should be needed for the life after retirement and also making efforts for self development to get sound hobbies & social service is needed. Furthermore, the Human Resource Utilization System is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 enough reverting of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Retired workers to society. This item shows that some approach in mutual aspects between employees, business and nation is needed.

      •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여도와 생활 만족도의 관계

        김준용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직장인의 생활체육 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직장인들의 개인적 특성, 참여정도(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 생활만족도 등의 변인들을 비교·분석하여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활동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원시 G동에 위치한 LG빌리지에 거주하는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선정, 조사 하였으며, 조사대상의 표본추출 방식은 편의추출 방법(Convenience Sampling Mothed)을 이용하여 조사되었으며, 조사대상자 표집 수는 총 400명 이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 조사대상의 일부가 누락된 20명의 자료를 제외시키고, 최종 회수된 유효 표본 자료 중 남자 232명, 여자 148명을 선정하여 본 연구에는 380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문화체육부에서 발행한 ”국민여가 체육활동 참여실태 조사“(1995)에 관한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해 사용했던 도구 중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한 설문 문항을 기초로 하여 초안을 작성하였다. 각 변인의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했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 Windows용 spss/pc+ v8.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체육 참여도와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검증을 하였다. 또한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도에 의한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통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 만족도는 성별과 연령, 근무경력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수준에 따라 p<0.001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소득수준, 건강정도에 대해서는 p<0.001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둘째,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체육 참여도에는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연령, 직업종류, 근무경력에 대해서는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육수준과 연간소득이 높을수록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측면에서 나타난 결과는 참여빈도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과 구체적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또한 참여기간이 많을수록 p<0.01에서 구체적 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and analyze the worker's personal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to investigat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it is to provide the program development and basic data for the activity at worker's physical activity. The target for this study is the workers who live LG village, building G, Suwon city and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number of target is 400, and 20 who have not answered or have omitted somehow were eliminated. so the target number that was analyzed for this study is 380, Including 232 males and 148 females. For the draft, "the study of national leisure and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as a reference. The data was analyzed by spass / pc+ V8.0 for windows. To analyze the worker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characteristics, I have calculated the standard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varified one - way ANOVA.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y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 used frequency analysis to varify one - way ANOVA. The result as followed. 1. For the life satisfaction by characteristic, sex, age and career had not much of difference. The educational background, made a attention result at p<0.001. Income and healthiness, also made a statistically attention result at p<0.001. 2. For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sex, didn't make much difference, however, the age, type at work, and career, made, statistically attentive result at p<0.05. And the higher education background and income make statistically attention at p<0.001. 3. For the life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he more and longer participation result the high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0.001.

      • 직장인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석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vide the necessary foundational resourc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of workers, and to explore possible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for them at work. In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objectives, first,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much workers know about life-long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how much life-long education was needed. Third, it investigat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he workers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motivations for it. Fourth, it analyzed what the workers expected from life-long education and what prevented them from achieving those goals. This study surveyed 310 work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ith 17 survey items.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7.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orkers were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systemic support by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relevant organizations are necessary in order for them to receive this education. Second, when the workers were asked about their perceived need for life-long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m responded that they needed it to a great degree. Even though they said that they would need life-long education related to their work, technology and knowledge, they did not want to participate in such education on weekends or holidays. One area in which the workers also perceived a need for life-long education was in the field of self-realization. Third, the worker's perceived need for life-long education was centered on the areas of liberal arts, leisure activities, and health education. They named hobbies such as hiking and life-long education from the regional life-long educational center or local libraries as their favorite activities after retiring. Above all, they needed a series of differentiated programs for life-long learners. Fourth, the work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most important in the areas of liberal arts and self-realization, followed by health and the relief of daily stress. The cost and lack of appropriate programs were perceived as hindrances to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the financial burden and speci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con hdered. Life-long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s can be effective when they are relevant to labor markets an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a systemic administrative infrastructure. When life-long education promotes self-learning ability, it becomes more effective. Additionally, a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have an access to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promoted. 본 연구는 첫째, 직장인들이 평생 교육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는지, 둘째,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느끼고 있는지, 셋째, 평생 교육의 참여 정도 및 참여 동기는 무엇인지, 넷째, 직장인들의 요구사항과 장애요인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직장인이 요구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함과 기업에서의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17문항으로 구성한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근무하는 직장인 310명을 대상으로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들이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남녀 모두 매우 높았다. 그러므로 참여에 뒷받침해 줄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정부와 기업, 그리고 관련단체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직장인들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결과는 남녀 모두 ‘매우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직업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의 향상을 위한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지만, 휴무일에 교육받는 것에 대하여는 ‘필요하지 않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교육이 필요한 분야는 ‘자아실현’이라는 응답을 하였다. 셋째,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내용으로는 ‘교양, 여가활동, 건강교육’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퇴직 후 하고 싶은 것으로는 ‘등산 등 취미생활’이라는 응답이, 적합한 학습 방법으로 ‘지역에 있는 평생학습센터나 도서관 등의 비정규 교육기관’에서를 가장 선호 하였다. 무엇보다 이제는 학습 집단에 따라 차별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평생교육을 받고자 할 때 참여 동기로는 전체응답자 중 ‘교양 및 자기 계발’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 순으로는 ‘건강증진’,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해소’였다. 장애요인으로는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적당한 프로그램이 없어서’로 나타났다. 직장인이 교육을 받고자 할 때 행․재정적 지원정책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있어서도 직장인의 요구가 반영되고 전문화 되어야 한다. 교육, 훈련, 자격제도를 노동시장과 연계함으로써, 평생학습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국가 차원의 관리, 운영 체계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자율학습능력을 키워 줌으로써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며, 언제 어디서나 개개인이 쉽게 교육받을 수 있는 평생학습 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

      • 직장인 스트레스 분석 :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다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스트레스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직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회의, 성별 직급별 직장인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276명(남 211명, 여 65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변인의 신뢰도는 Cronbach α=.85∼.91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 받는 일은 성별, 직급별에 관계없이 과중한 업무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근무환경, 승진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대처는 남자 직원과 직급별에 상관없이 여가생활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나, 여자의 경우 주위사람과의 대화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직업에 회의를 느끼는 이유는 근무환경, 적성에 맞지 않음, 능력 부족, 인간관계가 지적되었다. 셋째, 성별 직급별 직장인 스트레스 증상의 차이를 이원변량분석 결과, 성별 직급별로 스트레스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여자가 남자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더 높았으며, 간부사원이 평사원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더 높았다. 성별 직급별 직장인 스트레스 대처의 차이를 이원변량분석한 결과, 직급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간부사원이 평사원보다 스트레스 대처를 효과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성별로는 스트레스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어: 대기업 직장인, 스트레스 증상, 대처, 성별, 직급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