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직장인의 사회체육 참가에 따른 여가권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체육 참가에 따른 여가권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남 거제시에 소재하고 있는 S중공업 조선소의 남자사원 61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되었으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직장인의 사회체육 참가에 따라 여가권태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직장인의 여가권태는 사회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보다 낮았고, 동호회참가집단이 개별참가집단보다 낮았다. 2) 직장인의 사회체육 참가에 따라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직장인의 생활만족도는 사회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보다 높았고, 동호회참가집단이 개별참가집단보다 높았다. 3) 직장인의 사회체육 참가에 따른 여가권태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사회체육 참가를 통한 직장인의 여가권태감은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여가만족감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을 종합하면, 직장인이 사회체육활동에 참가하는 것은 여가권태를 억제, 해소하여 생활만족도 향상에 기여한다. 특히, 직장인의 사회체육활동 중 동호회 활동은 개별 활동보다 효과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employees'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n their leisure boredom and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12 male employees in Geoje shipyard of "S" heavy industries Company which is located in Geoje in Kyungnam.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ir leisure boredom according to employees'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That is, The group who is participating in sport for all was lower rate of leisure boredom than the nonparticipating group's, and sports club participants was lower rate of leisure boredom than individual participants'. 2)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ir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mployees'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That is, The rat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group who is participating in sport for all was higher than the nonparticipation group's, and the sports club participants' was higher rate of life satisfaction than individual participants'. 3) Leisure boredom of employees who are participating in sport for all had influence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t is, By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the employees' feeling of leisure boredom had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and the their feeling of leisure satisfaction had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In conclusion, that employees participate in sport for all restrain their leisure boredom and remove leisure boredom,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Particularly, sports club activity in employees' sport for all i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activity.
김경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비참여 그리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여가만족의 6가지 하위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다음,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1997년 현재 광주광역시, 전남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참가집단 199면, 비참가 집단 186명 총 385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에 관한 설문지로서 신뢰도 검사 결과 α=.720-.875으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기법은 공변량분석, 중분류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 등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 집단에 비하여 여가만족(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생리적, 휴양적, 환경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빈도는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생리적, 휴양적 여가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환경적 여가만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기간은 사회적, 교육적, 휴양적 여가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생리적, 환경적 여가만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강도는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휴양적, 환경적 여가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생리적 여가만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5.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정도에 따른 빈도, 기간, 강도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결과,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정도중 참여빈도, 참여 기간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강도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the more precisely, this study closolg examines the effect of sport for all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the employees by looking at the sport for all type and level. This study target was 385 adults employee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in 1997 and target Sample is produced by using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o analysis data, used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MCA, ANCOYA, Path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dures, and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employees influences leisure satisfaction. Namely, The Participants of sports for employees is the higher level in leisure satisfaction than non-participants. Second, the frequence, period, and serving in sports for employees influences leisure satisfaction.
김준용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직장인의 생활체육 활동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직장인들의 개인적 특성, 참여정도(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 생활만족도 등의 변인들을 비교·분석하여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활동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원시 G동에 위치한 LG빌리지에 거주하는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선정, 조사 하였으며, 조사대상의 표본추출 방식은 편의추출 방법(Convenience Sampling Mothed)을 이용하여 조사되었으며, 조사대상자 표집 수는 총 400명 이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 조사대상의 일부가 누락된 20명의 자료를 제외시키고, 최종 회수된 유효 표본 자료 중 남자 232명, 여자 148명을 선정하여 본 연구에는 380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문화체육부에서 발행한 ”국민여가 체육활동 참여실태 조사“(1995)에 관한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해 사용했던 도구 중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한 설문 문항을 기초로 하여 초안을 작성하였다. 각 변인의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했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 Windows용 spss/pc+ v8.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체육 참여도와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검증을 하였다. 또한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도에 의한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통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 만족도는 성별과 연령, 근무경력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수준에 따라 p<0.001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소득수준, 건강정도에 대해서는 p<0.001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둘째, 직장인들의 특성별 생활체육 참여도에는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연령, 직업종류, 근무경력에 대해서는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육수준과 연간소득이 높을수록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측면에서 나타난 결과는 참여빈도가 많을수록 삶의 만족과 구체적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또한 참여기간이 많을수록 p<0.01에서 구체적 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and analyze the worker's personal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to investigat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it is to provide the program development and basic data for the activity at worker's physical activity. The target for this study is the workers who live LG village, building G, Suwon city and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number of target is 400, and 20 who have not answered or have omitted somehow were eliminated. so the target number that was analyzed for this study is 380, Including 232 males and 148 females. For the draft, "the study of national leisure and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as a reference. The data was analyzed by spass / pc+ V8.0 for windows. To analyze the workers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characteristics, I have calculated the standard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varified one - way ANOVA.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y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 used frequency analysis to varify one - way ANOVA. The result as followed. 1. For the life satisfaction by characteristic, sex, age and career had not much of difference. The educational background, made a attention result at p<0.001. Income and healthiness, also made a statistically attention result at p<0.001. 2. For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sex, didn't make much difference, however, the age, type at work, and career, made, statistically attentive result at p<0.05. And the higher education background and income make statistically attention at p<0.001. 3. For the life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the more and longer participation result the high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0.001.
직장인의 직장역경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직무창의성과 위험감수성의 매개효과 및 직무열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재성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박사
Although there are various law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o ensure employees’ stable living and develop national economy balancedly, various types of workplace adversity such as conflicts between upper and lower positions and power abuse have not been improved much. Employees complain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tigue and stress resulted from workplace adversity and come to consider leaving their job or starting a business after retirement inevitably due to a succession of tensions caused by job insecurity. In fact, employees tend to try starting a business because they have acquired the elements essentially needed for success in starting a business through their work life, for instance, job experiences and knowhow,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and expertise, or social net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verify through empirical analysis what factors influence the process that employees suffering from workplace adversity turn into entrepreneurs and through what pa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are formed.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explored the effects of workplace adversit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tensively with Korean employees. Moreover, this study has examined how employees’ workplace adversit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with the mediation of work-related creativity and risk-taking and analyzed how the relations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re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of job passion empirically in order to der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design the start-up paths of employe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3 employees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then went through analysis by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employees’ workplace adversit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significantly. When workplace adversity increases, anxiety about work life increases, too. This is recognized as a threat to employment stability, and they come to consider starting a business as an alternative to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economic activities(Ephrem et al., 2019; Wincent et al., 2022).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employees’ workplace adversity influences work-related creativity and risk-taking significantly. Thinking that workplace adversity works positively for their growth and career, they express work-related creativity. Also, to secure personal resources lowered by the adversity, they tend to have an attitude to take some risk to invest more resources though it may be burdensome(De Clercq & Pereira, 2021; Hamrick, 2022). Third, it has been verified that employees’ work-related creativity and risk-taking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s significantly. To seize the opportunities for a new business and implement new ideas and originality to achieve goals, they seem to have the aggressiveness and willingness to take some risk(Anwar et al., 2021; Shahzad et al., 2021; Soni & Bakhru, 2021; Teachenor, 2022).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sequential analysis on each of the mediating model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workplace advers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it has been confirmed that both risk-taking and work-related creativity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mediating model in which the phantom variable was inputted to analyze double mediating effects, however, only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taking were adopted whereas those of work-related creativity were not significant. Given that workplace adversity involves various conflicts arising from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the willingness to take some risk works more importantly in form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rather than work-related creativity. Fifth, in the group with higher job passion, employees’ workplace adversit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m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passion were adopt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advers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but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st path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advers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can contribute as an alternative to the path after retirement for employe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adversity targeting employees in Korea, but this study selected employees as the subjects, so it has extended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research greatly. In practi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employees’ workplace adversit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posit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ing the career path of employees, it can be practically meaningful as start-ups can be an alternative for employees in adverse situations. 직장인들의 안정적인 생활 보장과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해 근로조건의 개선과 관련된 법률들을 다양하게 마련해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장 내 상하 관계갈등 및 갑질 행태 등 다양한 유형의 직장역경 상황은 크게 호전되지 않고 있다. 직장인들은 직장역경으로 인해 심리적, 육체적 피로감 및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으며 고용불안에 따른 긴장의 연속으로 말미암아 불가피하게 이직이나 퇴직 후 창업을 고려하게 된다. 한편, 직장인들은 직장생활을 통해서 다양한 직무 경험과 노하우, 기업가적 역량과 전문성, 사회적 네트워크 등 창업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두루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창업을 시도하는 편이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에서 역경을 겪고 있는 직장인이 창업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경로를 거쳐 창업의도가 형성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역경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아울러 직장인의 직장역경이 직무창의성과 위험감수성의 매개를 거쳐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직무열정의 차이에 따라 각 연구변수들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창업 경로 설계를 위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한 직장인 333명에 대한 data를 바탕으로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직장역경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직장역경이 많아지면 직장생활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되어 고용안정성에 위협으로 인식되어 지속적인 경제활동에 대한 의지의 대안으로 창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판단된다(Ephrem et al., 2019; Wincent et al., 2022). 둘째, 직장인의 역경은 직무창의성과 위험감수성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역경이 자신의 성장과 경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어 일과 관련된 창의성이 발현된 것이고, 또한 역경에 의해 낮아진 개인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소 부담되더라도 더 많은 자원을 투입을 위해 어느정도 위험을 감수하려는 태도가 실현된 것으로 판단된다(De Clercq & Pereira, 2021; Hamrick, 2022). 셋째, 직장인의 직무창의성 및 위험감수성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포착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독창성의 실행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하려는 적극적인 도전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Anwar et al., 2021; Shahzad et al., 2021; Soni & Bakhru, 2021; Teachenor, 2022). 넷째, 직장역경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각각의 매개모형에 대한 순차분석 결과에서는 위험감수성과 직무창의성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팬텀변수를 투입한 매개모형에서는 위험감수성의 매개효과만 채택되었고 직무창의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역경이 직장 내 인간관계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갈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직무관련 창의적 아이디어보다는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하려고 실행하려는 의지가 더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직무열정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직장인의 직장역경은 창업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직장역경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정의 조절효과는 채택되었지만 나머지 모든 경로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장역경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가 직장인이 퇴직 후 경로의 대안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역경 관련 국내 선행연구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없었는데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대상 및 범위를 크게 확장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직장인들의 직장 내 역경이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직장인의 경력경로의 설계 관점에서 역경적 상황에 처한 직장인들에게 창업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직장인들의 휴식 시간 활용으로서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이 주는 힐링 의미
강혜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힐링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직장인들의 휴식시간을 활용한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대부분의 한국 직장인들은 긴 노동시간과 강도 높은 업무량, 과열되는 경쟁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신적, 신체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직장인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힐링 문화가 재조명되고 있지만 자신을 돌볼 여유가 없는 직장인들에게 힐링은 소비를 조장하는 무분별한 마케팅으로 사용되며, 그 본질적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힐링의 본질에 대한 탐구와 직장인들의 심신 건강을 위한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에 대한 경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경험에 대한 연구에 적합한 질적연구 중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가 출강하고 있는 안양시에 위치한 IT회사에 재직 중이며, 연구자의 수업을 참여하고 있는 직장인 7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5월 1일부터 9월 말까지 약 5개월간 진행하였고 심층 면담, 참여자의 수행일지, 연구자의 참여관찰일지, 문헌연구, 포토 보이스를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Giorgi의 자료 분석 방법 4단계를 적용하여 4개의 핵심 주제와 11개의 의미 들로 범주화 시켰다. 이를 통해 세부 연구 문제와 관련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힐링은 지쳐있는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뜻으로 삶에 있어 신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온전한 상태 또는 그렇게 되기 위한 과정을 말한다. 둘째, 웰빙은 몸과 마음의 균형을 통한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운동의 속도에만 집중되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다양성을 존중하며, 그 속에서 자신의 깊이를 더해가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었다. 결국 필라테스와 명상의 기능적인 효과는 외부로 흩어지는 마음을 자신의 내면으로 돌려 몸과 마음의 조화와 균형을 잡는데 탁월한 기능이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는 심신을 치유하며, 질병의 예방과 전일적인 건강과 행복을 지향하고 있었다. 셋째, 직장인들은 시간 활용과 업무 환경으로부터 분리, 부서가 아닌 공통된 관심사로 재형성된 인간관계, 자신의 몸과 마음에 집중을 통해 심신의 균형과 힐링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는 직장인들이 건강에 대한 염려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기분을 개선하였으며, 건강한 직장 문화를 만들어 소속감과 안정감을 가져왔다. 또한 직무의 열의를 높이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으로부터 힐링의 의미 구조를 파악하고 그 과정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힐링 연구와 필라테스 또는 명상 연구와 차이가 있으며, 또한 직장인들의 휴식 시간인 점심시간에 프로그램을 진행한 점에서 기존 신체활동이나 여가에 대한 논문과의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직장인들이 필라테스와 명상 체험을 통한 힐링의 의미 들을 제공함으로써 힐링의 본질적 의미에 대해 재조명하였으며, 직장인들의 업무 환경 개선 및 심신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힐링 콘텐츠로써 명상 및 필라테스를 융합한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가 개발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healing experience through Pilates and meditation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Burnout among modern workers has led to a resurgence of healing cultures. However, the essential meaning of healing has faded due to indiscriminate commercial marketing. Therefore, we conducted a study to explore the intrinsic meaning of healing and the experienced meaning of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Pilates and meditation among office workers. In doing so, 7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working in IT companies,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reflective journal, non-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photo-voice metho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following things, four main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categorized and articulated the essential meaning of heal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on the main category of healing from pilates and meditation performance during the break time, 1) satisfaction for using time, 2) sweet experience of one hour. Second, on the main category of exercising with working, 1) feeling so good by secretion of endorphin, 2) stress solution, 3) rest by concentration. Third, on the main category of healing space with myself and others, 1) free space, 2) confronting myself, 3) communication with others for a moment. Fourth, on the main category of balance of body and mind, 1) reflecting no thinking, 2) exercising for no purpose, 3) back to work with recharging. In conclusion, the essential meaning of healing would be the process of finding the balance of life through exercising mind and body. It composed of combination among following five factors: 1) concentration, 2) rest, 3) balance, 4) space and 5) time. These results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enhance the mind and body health of office workers.
이다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스트레스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직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회의, 성별 직급별 직장인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276명(남 211명, 여 65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변인의 신뢰도는 Cronbach α=.85∼.91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생활에서 가장 스트레스 받는 일은 성별, 직급별에 관계없이 과중한 업무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근무환경, 승진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대처는 남자 직원과 직급별에 상관없이 여가생활이 가장 대표적이었으나, 여자의 경우 주위사람과의 대화가 가장 대표적이었다. 직업에 회의를 느끼는 이유는 근무환경, 적성에 맞지 않음, 능력 부족, 인간관계가 지적되었다. 셋째, 성별 직급별 직장인 스트레스 증상의 차이를 이원변량분석 결과, 성별 직급별로 스트레스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여자가 남자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더 높았으며, 간부사원이 평사원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더 높았다. 성별 직급별 직장인 스트레스 대처의 차이를 이원변량분석한 결과, 직급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간부사원이 평사원보다 스트레스 대처를 효과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성별로는 스트레스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어: 대기업 직장인, 스트레스 증상, 대처, 성별, 직급별
오지영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전업직장인이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의 본질이 무엇인지 밝혀 기술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하위 연구 문제는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이유, 둘째, 전업직장인은 상담대학원 과정에서의 경험,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에 관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생활 10년 차 이상으로 대학원 3학차 이상에서 졸업 1년 이내인 전업 직장인 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에 따라 9개의 상위주제, 21개의 하위주제, 85개의 구성된 의미로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참여자들의 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동기는 ‘현 직장에서의 불안감이 상담 직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상담 경험이 상담공부로 이끔’, ‘다양한 루트를 통해 상담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낯설고 힘들지만 수업을 통해 ‘나’를 찾아감’, ‘직장생활과 학업의 병행은 서로에게 시너지가 됨’, ‘다중역할을 감당하며 한계와 현실의 벽을 마주함’, ‘관계의 Good & Bad를 경험하며 대상의 다양성을 체득함’, ‘지금의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가족과 동료와의 관계에 선한 변화가 생김’이었다.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는 ‘직업으로서의 상담 현실을 인정하고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함’, ‘미래의 직업으로서 상담사를 꿈꾸며 준비해 나감’에 있다. 결론적으로 직장인으로 10년 이상 근무하며 안정적인 진로를 영위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새로운 분야인 상담학에 진학하게 되며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는 한마디로 ‘상담학을 통한 성장으로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하며 전문상담사를 준비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기업과 직장을 이해하는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밝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평생직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대사회에서 중년의 전업직장인이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를 이해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중년 직장인들이 상담 경험과 상담대학원 진학을 통해 자신을 수용하고 통합해가는 과정을 겪으며 자아실현과 성숙을 이루어 나가는 경험을 드러내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전업직장인,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질적연구, van Man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one han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people who are full-time employees and enrolled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counseling, and on the other hand, to reveal their meaning phenomenologically.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followering subtopics: first, the reason why full-time employees’ chos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second, their experiences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nd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selected seven full-time employe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 and less than one year of graduation from three or more graduate schools as study subject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inally analyzed with nine top topics, 21 subtopics, and 85 meanings according to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full-time employees to enter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re "facing anxiety about their current job leads to interest in counseling jobs," “getting counseling experience leads to study counseling," and "considering the entrance of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hrough various routes." Second,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full-time employee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major are "finding meanings through classes despite of facing unfamiliar and difficult situations," "combining work and study life creates synergy with each other," "facing limitations and walls of reality while playing multiple roles," "learning diversity of objects by experiencing Good & Bad of relationships", "accepting me as I am now" and "building goo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colleagues." Third,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o full-time employees lies in "recognizing the reality of counseling as a job and upgrading expertise at the current job" and "preparing for a counselor as a future job." In conclusion,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as full-time employees for more than 10 years and have a stable career will go to counseling, a new field, and the world of 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 "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ies upgrades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leads to preparation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rst, it is meaningful to reveal how full-time employees who understand companies and jobs experienced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Second, an example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experience experienced by middle-aged full-time employees in the process of seeking a new career path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jobs is emerging, was presented. Third,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study achieving self-realization and maturity of an individual through the process of middle-aged employees accepting and integrating themselves through counse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ntrance. Keywords: full-time employee, counseling studies, master's degree, qualitative research, van Manen.
현대 사회는 복잡한 생활구조와 급격한 기술문명의 발달로 모든 의식구조와 가치관이 바뀌어 가고 있다. 또한, 급진적인 의학의 발달 및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노령인구의 비율 증가와 노령과 함께 수반되는 제반문제의 심각성이 사회적 관심과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노령과 함께 수반되는 신체적 변화, 경제적 불안정, 사회적 역할상실에 대한 심리적 부적응으로 인한 소외감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성공적인 노화 대비의 지름길이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에게 안정적인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노후생활 준비의 바람직한 방향제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직장인들의 노후의식, 노후생활, 은퇴 후 여가생활, 주거환경, 퇴직 후 자녀와의 생활, 노후 복지 등을 조사하기 위해 2010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인천시 연수구에 근무하는 일반직장인과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300부 중에 최종 292부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고, 통계처리는 M/S Exel 프로그램과 SPS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이 보는 노인연령에 대해 65세부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는 노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이고, 다음으로 경제력이라고 하였으나, 노후생활에서 가장 예상되는 문제로는 경제적 문제, 다음으로 건강문제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노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과 경제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노후준비를 위한 경제적 수립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가 13.7%로 나타났으며, 노후대책을 세우지 않는 이유로는 여유가 없어서가 62.8%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노후대책에 있어서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는 노후에 기대되는 주 수입원은 연금이 46.9%로 나타났으나, 은퇴 후 생계수단으로 남성의 경우 연금을 선호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저축·이자·임대수입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는 정년제도에 있어 정년연령은 58세가 높게 나타났으며, 정년을 폐지하거나 연장하여야 한다가 69.8%, 퇴직 후에도 일자리를 원한다가 59.9%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정년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다섯째 노후 주거 선호에 있어서 단독주택, 아파트 순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노후에는 혼자 사는 것을 원하고 있으며, 노후생활 장소로는 대도시보다 중소도시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는 자녀와의 동거의식에 있어서 직장인 절반이상이 자녀와 별도로 살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는 노후 생활이 자유롭지 못할 것 같아서 독립적으로 생활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일곱째는 노후부양에 일차적 책임은 본인(배우자), 다음으로 국가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자식에 대한 의존성이 경감되고,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직장인들의 바람직한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은퇴 후 삶을 위해 건강, 경제력 등을 미리 준비하여야 하며, 건전한 취미생활과 사회봉사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자기계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은퇴한 직장인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 등을 사회에 충분히 환원할 수 있는 인적자원 활용 시스템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들은 직장인, 기업, 국가 간에 상호작용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직장인, 노후생활 준비, 노후 여가생활, 노후생활, 노후대책 Abstract A Study on the Provision for Aged Life of Employees Ahn, Young-H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s University of Seoul In modern society, all rituals are changing the structure and value system because of complex living structure and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a social concern and worries is becoming higher about severity from the problem relative to the old age and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radical advances in medicine and improved standards of living based on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t is a best way to prepare actively for coping with problems like the alienation caused by a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ue to the physic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economic instability and loss of social rol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employes recognize the necessity of preparing for their old age and to supply them with a base data helpful for showing the right way to preparing for their lives in old age. So, a survey to general employes and employes in social welfare fields at Yeonsugoo, Inchon had been carried out from Dec. 1st to 30th in order to study about consciousness for one's old age and lives after retiring such as leisure lives, housing circumstances, living with sons & daughters and demand of social welfare. 292 answered sets among 300 sets had been chosen for the research data and M/S Exel or SPSS pc+ was used for carrying out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as followings; First, the employe's concept about beginning of old age was highest in the data from age 65, which is similar to the precedent research result. Second, for the question about the most important items in old ages, the answer is that health is first and economical point is next. But for the question about the most predictable problems in old ages, the answer is that economical problem is first and health problem is next. From thoses answers, it can be said that economical ability and health are the most important items in old ages. 13.7%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considered economic setting up to prepare for their old ages. And from the high resulting value(62.8%) of answering that the reason of not preparing for their old ages is not having any sapare around or in them, it can be assumed that they are feeling some burden in economical point. Third, 46.9% answered that pensions could be a main source of revenue expected in their old ages. But there seems to be a different opinion between men and women because men prefer pensions as their livelihood after retirement whereas women prefer savings, interests and income from lease. Fourth, in point of retiring age, age 58 appeared to be highly chosen valu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ystem for official retiring age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69.8% answered that retiring age should be gone off or lengthened and 59.9% want jobs. Fifth, for the question about preference of dwelling in old ages, independence house is ahead of apartment. From this, it can be found that living alone at medium and small town rather than at big city in old ages is a one of strong desires. Sixth, in point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sons and daughters, more than half of answerers want to live separately from them. This comes from the desire of independent living in order not to live non freely in their old ages. Seventh, from the answers that the first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old ages is on themselves(spouses) and next responsibility is on n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pendence on children is becoming lightened whereas dependence on nation is getting stronger and stronger. In conclusion, to live better life in old ages, preparedness something in point of health, economic ability and etc. should be needed for the life after retirement and also making efforts for self development to get sound hobbies & social service is needed. Furthermore, the Human Resource Utilization System is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 enough reverting of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Retired workers to society. This item shows that some approach in mutual aspects between employees, business and nation is needed.
직장인의 스포츠 참여에 따른 직무 만족,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과의 관계 -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상수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국문초록 직장인의 스포츠 참여가 직무만족,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전공 고 상 수 지도교수 조 현 철 본 연구는 직장인의 여가 활동 중 스포츠 활동이 직무만족,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전라북도 W군에 거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28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도 검토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도,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여가만족도,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는 직무만족도의 경우에만 고졸 직장인과 전문대졸 직장인의 경우 대졸 직장인과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 여가 참여 형태에 따른 여가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회 시간, 일회 비용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의 경우에는 여가 참여 기간이 길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졌으며, 일회 시간, 일회 소요 비용이 늘어날수록 직무 만족도 또한 증가하였다.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여가 참여 빈도였는데, 이는 참여 빈도가 증가할수록 생활만족도 또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직장인의 스포츠 참여 형태와 직무만족도, 여가만족도,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규명해 본 결과 직장인의 직무 만족은 여가만족도를 매개하여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직장인의 직무만족도는 여가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여가만족도는 생활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여가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직장인의 생활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장인의 특성을 고려한 보다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장제화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4 국내석사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직장인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제고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학습민첩성과 사회적 지원을 바탕으로 개인 및 조직의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둘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간 영향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과 학습민첩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넷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기업체에 종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70건의 응답을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과 학습민첩성 간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미래결과지향성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간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수준이 증가할수록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가 증가하는 조절된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태도 관련 변인의 관계성을 시간적관점과 접목하고 다양화하여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미래결과지향성과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도출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않음을 검증하였다. 학습민첩성의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요성을 재고하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COVID-19 펜데믹 이후에 가속화된 고용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는 경력태도에 대해 내적동기변인과의 관계성과 논의점을 제시하고 연구방법의 다양화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촉진하여 보다 실천적 시사점과 방안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of office workers on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suggest directions in term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the learning agility and social support that must be equipped to enhance the protean career attitude of office work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reveal how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of office workers affects protean career attitudes. Second,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protean career attitude of office workers. Third, it is to reveal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learning agility of office workers. Fourth, it i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protean career attitude of office worker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working in companies, and a total of 37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of office workers did not directly significantly affect protean career attitud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of office workers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learning agilit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learning agility of office workers. Fourth,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protean career attitude of office workers. Fifth, a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control effect increase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creas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ntributed to theoretical expansion by combining and divers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ttitude-related variables with a temporal perspectiv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direct effect by deriving results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and protean career attitud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examines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reconsiders its import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practical implications and measures by presenting the relationship and discussion points with internal motivational variables on career attitudes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job market accelerat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promoting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through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