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휘관의 리더십 유형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홍영백 경남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어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경우 그 조절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여러 변수들 가운데 리더의 특성(리더의 연령, 리더의 계급)을 들어,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구성요인과 조직몰입에 과연 이들이 어떤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확인하는데 중점적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설정하였던 가설은 일부 지지되거나 기각되었다. 첫째, 가설 1을 검증한 결과, 지휘관의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 그리고 상황적 보상을 발휘할수록 부하들은 감정적 조직몰입과 거래적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지휘관의 상황적 보상과 카리스마를 발휘할수록 부하들은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는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설 3을 검증한 결과, 지휘관의 카리스마를 발휘할수록 부하들은 감정적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은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가설 4를 검증한 결과, 조직몰입은 지휘관의 45세 이하인 부하가 지휘관의 46세 이상인 부하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따라서, 가설 4-1은 기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직몰입은 지휘관의 계급이 중령인 부하가 지휘관의 계급이 대령인 부하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4-2는 기각되었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가설 5를 검증한 결과, 지휘관의 연령이 45세 이하인 집단에서는 감정적 조직몰입에 변혁적 리더십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휘관의 연령이 46세 이상인 집단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감정적 조직몰입과 거래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거래적 리더십은 전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5-1은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휘관의 계급이 중령인 집단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감정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휘관의 계급이 대령인 집단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감정적 조직몰입과 거래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거래적 리더십은 전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5-2는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비록 개인 특성이 크게 지각되지는 못했지만 조직몰입 연구에서 개인과 관련된 변수들이 이용되고 있는 이유는 개인과 관련된 변수를 통하여 개인이 조직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심리적인 상태를 특성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며, 개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개인간의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개인의 차이를 볼 수 있는 변수들이 반드시 분석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조직몰입 연구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거의 이용되고 있으나 각 변수들과 몰입간의 관계는 연구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조직몰입에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로는 성별, 나이 및 교육수준, 근속년수, 직위, 결혼유무, 인종 등이 있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연령, 학력, 계급, 근속년수 등의 개인특성 변수들을 현상파악과 다른 변수들의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개인별 특성 변수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에서 이들의 확실한 조절효과를 볼 수 없었던 것은 급속한 산업화의 발전과 더불어 유교적 전통의식이 퇴조하고 서구적이고 합리적인 개인주의 의식이 새로운 세대의 가치기준으로 대두되었기 때문에 리더의 연령, 학력, 계급을 바탕으로 리더십이 발휘되더라도 부하들의 조직몰입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군 조직의 경우 장기근속자들이 많으며 이로 인해 계급에 대한 대인인식보다 지휘관, 부하간에 개별적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부하들의 능력과 개인차에 따라서 업무에 대한 높은 의미를 부여하는 카리스마, 새로운 문제해결 방안의 추구나 변화하려는 노력을 시도하는 지적 자극, 그리고 부하의 관심사항을 같이 공유하는 개별적 배려 등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구성요인 자체가 부하의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신세대 장병들의 가치관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지휘통솔 연구

        유대선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고도의 산업화로 젊은층의 교육수준이 향상되면서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과 인권 존중, 국가관 및 안보의식 부족 등 군에 들어오는 신세대 장병의 가치관이 군의 특성인 명령과 복종, 권위와 대립되는 부분이 나타나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지휘통솔 방법을 제시하는데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0함대에서 16년 전투준비태세 평가에서 최우수 및 최하위 평가를 받은 함정 및 도서부대를 선정하여 신세대 장병들의 의식 성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세대 장병을 위한 지휘통솔 기법의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신세대는 권위주의 싫어하고 합리적인 사고를 추구함으로 衆智를 수렴한 지휘통솔을 해야 한다. 둘째. 신세대는 솔직하고 당당하게 자기의사를 표현함으로 개성과 독창성을 존중하여 지휘통솔을 해야 한다. 셋째. 신세대들은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임무를 부여한다. 넷째. 신세대들은 자기실현 욕구가 강하므로 동기유발을 통한 성취감을 형성해야한다. 다섯째. 신세대는 평등의식에 익숙해 있기 때문에 솔선수범을 통한 지휘 통솔을 해야 한다 끝으로 구체적인 지휘통솔 기법에 있어서, 신세대 병사의 기초심리를 잘 파악해서 지휘에 적용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신세대 장병의 가치관을 분석하고 그들의 강약점을 최대한 활용한 효과적인 지휘통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바그너(R.Wagner)의 『지휘에 관하여』(1870)의 지휘사적 의의에 관한 고찰 : 19세기 ‘작품에 충실한’(Werktreue) 연주 담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조민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저작 『지휘에 관하여』(Über das Dirigieren, 1870)의 지휘사적 의의를 19세기에 출현한 ‘작품에 충실한’(Werktreue) 연주 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바그너의 지휘론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그의 지휘론이 후대의 지휘계에 미친 영향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19세기의 지휘론들이 ‘작품에 충실한’ 연주 담론에 영향을 받은 양상을 살펴보며, 바그너가 『지휘에 관하여』에서 제시한 지휘론이 어떠한 점에서 기존 지휘론들과 차별화되는지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지휘에 관하여』에서 바그너가 충실한 연주의 기준으로 삼은 것은 음악적 텍스트 자체라기보다는, 그 배후에 존재하는 작곡가의 위대한 정신에 가까웠다. 이러한 논리 위에서 바그너는 악보에 기재되지 않은 템포의 뉘앙스를 추가하거나, 오케스트레이션을 수정하여 작곡가의 의도를 더욱 분명히 드러내는 해석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바그너는 지휘자의 해석을 텍스트의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텍스트의 보완(혹은 텍스트의 올바른 독해)이라는 차원으로 확장해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의 지휘론은 후대로 계승되며 지휘자들의 연주 해석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 한편으로, 지나치게 자의적인 방법론이라고 비판받기도 했다. 비록 오늘날의 지휘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20세기에 비해 감소했을지라도, 바그너의 지휘론은 ‘각자의 예술적 비전을 바탕으로 작품을 해석하는 것’을 지휘자의 주된 역할로 인식하는 현대적 관점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영속적인 가치를 지닌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ichard Wagner's seminal work, On Conducting (Über das Dirigieren, 1870), exploring its connection with the 'Werktreue' (work-faithfulness) performance discourse prevalent in the 19th century. The objective is to elucidate Wagner's conducting theory in depth and establish a groundwork for a critical assessment of its influence on subsequent conducting practices. This research examines how 19th-century conducting theories were informed and molded by the 'Werktreue' performance ethos, highlighting how Wagner's theories diverged from those predating him and the manifestation of this discourse in On Conducting. Wagner advocated for a performance fidelity that transcended the literal musical text, emphasizing adherence to the composer's profound 'spirit' instead. This perspective shifted the conductor's role from mere reproduction of the text to an interpretive act that seeks to enhance or accurately represent the composer's intentions, thereby introducing a new paradigm in conducting interpretation. While Wagner's conducting theory has impacted interpretations by other conductors and has been critiqued for its subjective leanings, its direct relevance in the contemporary conducting realm appears to have waned since the 20th century. Nonetheless, Wagner's approach has made a lasting contribution to the modern understanding of the conductor's role as primarily one of articulating an artistic vision. This enduring value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Wagner's conducting theory in the broader context of musical interpretation and performance

      • 미국의 군사지휘체제 발전과정과 관료정치 : 1989년 Goldwater-Nicholas 국방성 개편법안의 배경과 성과를 중심으로

        허태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국가의 군사력을 건설하고 운용하는 군사지휘체제의 성격이 국가의 국방정책과 군사작전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즉 논문의 독립변수는 군사지휘체제의 유형이며, 종속변수는 군사지휘체제하에서 결정되고 시행되는 국가의 국방정책과 군사작전이다. 그리고 두 변수간의 매개변수는 군사지휘체제를 구성하는 군사관료조직들과 이들 조직간의 관료정치적 현상으로 보았다. 다시 말하자면 군사지휘체제의 구조적 성격에 따라 군사지휘체제를 구성하는 군사관료조직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관료정치적 현상이 변화하게 되고, 이는 곧 군사지휘체제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쳐, 그 결과 국가의 국방정책과 군사작전에는 상이한 결과가 초래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 전제를 증명하고 있다. 첫째, 군사지휘체제의 성격은 국가의 국방정책과 군사작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이다. 분산화 된 군사지휘체제는 그 체제를 구성하는 군사관료조직들간의 관료정치적 경쟁과 갈등을 초래하여 군사지휘체제의 효율성을 저하시킴으로써 국방정책과 군사작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국가의 전쟁수행력을 저하시킨다. 반면, 개혁을 통해 형성된 통합된 군사지휘체제는 군사관료조직들간의 관료정치적 현상을 완화 내지는 감소시킴으로써 군사지휘체제의 효율성이 증대시켜 그 결과 국방정책과 군사작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국가의 전쟁수행력은 증가된다. 둘째, 관료조직들 간의 관료정치적 현상의 원인은 구조적인 측면에 있으며, 구조의 변화와 개혁을 통해 관료정치적 현상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전제로 이는 본 논문의 분석틀로 사용한 관료정치모델에 대한 보완이다. 관료정치모델에 따르면 정책결정과정에는 다양한 행위자, 즉 관료조직들이 참가한다. 이들 조직들은 조직의 임무와 역할, 본질, 영역, 자율성, 사기, 예산 등과 같은 조직 고유의 이익을 지니고 있다. 각 조직들은 특정정책과 관련하여 그들의 조직이익에 바탕으로 한 입장을 견지하고 정책결정과정에 참가하기 때문에 관료조직들 간의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결과되는 정책은 조직이익을 둘러싼 관료조직들간의 갈등과 경쟁, 흥정과 타협의 결과가 된다. 그러나 기존의 관료정치모델은 관료정치적 현상을 초래하는 관료조직들의 구조적인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관료정치적 현상을 초래하는 중요한 원인은 조직들간의 관계를 엮어내는 구조적 측면의 문제점에 있으며, 구조의 변화와 개혁을 통해 관료정치적 현상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함으로써 기존이론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상기의 두 가지 전제를 증명하기 위하여 미국의 군사지휘체제 발전과정과 대외군사력운용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외교정책결정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국방정책결정과정에도 관료정치모델의 적용이 타당하였다. 국방정책결정과정에는 다양한 군사관료조직들이 행위자로서 참가하였다. 이들 군사관료조직들은 고유한 임무와 역할, 조직의 본질, 영역, 자율성, 사기, 예산 등과 같은 다양한 조직이익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정 국방정책과 관련하여 그들의 조직이익을 지키기 위해 입장을 견지하고 행동했다. 이로 인해 결정된 국방정책은 군사관료조직들간의 갈등과 경쟁, 흥정과 타협의 결과였다. 1947년 「국가안보법(National Security Act)」에 의해 기틀이 마련되었던 미국의 군사지휘체제는 1986년 「Goldwater-Nichols 국방성 개편법안」을 계기로 획기적으로 개혁되었다. 개혁이전의 군사지휘체제는 분산화된 체제였다. 분산화 된 군사지휘체제하에서 각 군은 자군 중심적인 편협한 이익을 장기적인 국가안보이익에 우선하여 추구하는 관료정치적 경쟁과 대립을 일삼았다. 이러한 분산화된 군사지휘체제 하에서 수행되었던 베트남전쟁은 전쟁수행과정에서 각 군이 편협한 자군의 조직이익을 바탕으로 하여 전쟁에 임함으로써 바람직한 군사지휘체제의 기능인 건전하고 효율적인 군사자문, 전략기획, 그리고 작전수행을 할 수 없었고 그 결과 전쟁에 패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구조적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던 미국의 군사지휘체제는 1986년 「G-N 법안」을 통해 획기적으로 개혁되었다. 「G-N 법안」은 합참의장의 권한 강화, 합동참모체제의 개선, 그리고 전투사령부의 권한 강화 등을 통해 군사지휘체제의 통합도를 증대시켰고 이를 통해 기존의 체제에서 만연하였던 관료정치적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군사자문, 전략기획, 그리고 작전수행의 측면에서 군사지휘체제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이러한 보다 통합된 군사지휘체제하에서 수행되었던 걸프전쟁의 수행과정에서 군은 민간지도자들에게 건전하고 적시적인 군사자문을 제공할 수 있었으며, 전문적인 군사적 식견을 바탕으로 민간지도자들이 제시한 정치적 목적에 군사적 수단을 적절히 적용할 군사전략을 기획하였으며, 이러한 작전전략을 바탕으로 대통령-국방장관-합참의장-전투사령관으로 이어지는 통합된 지휘계통을 통해 통합전투력을 발휘함으로써 전쟁에 승리할 수 있었다. 1986년 개혁 이전 미국의 군사지휘체제는 체제가 지닌 구조적 문제점들 때문에 군사조직들간의 관료정치적 현상이 심화되어 적절한 국방정책과 군사작전 수행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개혁 이후의 군사지휘체제는 기존 체제가 지녔던 구조적 문제점들을 개혁하여 합참을 중심으로 한 보다 통합된 체제로 개선됨으로써 군사조직들간의 관료정치적 현상을 완화되어 보다 바람직한 국방정책의 결정과 군사작전의 수행이 가능하였다. 국방정책결정과 군사작전수행 과정에서 관료정치적 현상이 발생하였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군사지휘체제 가 지녔던 구조적 문제점이었으며 미국은 1986년 「G-N 법안」을 통한 구조의 개혁을 통해 군사조직들간의 관료정치적 현상을 획기적으로 완화시킴으로써 군사지휘체제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였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at how different patterns of military command system influence to the nation's defense policy and military operations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thesis is the patterns of military command system and dependent variable is nation's military policy and military operations which are decided and executed under military command system. And intermediate variable between two variables is bureaucratic politics arising from the relations of bureaucratic military organizations. That is to sa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patterns of military command system, the bureaucratic politics arising from the relations of bureaucratic military organizations which are composing military command system is changed, and this change affects to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mmand system, then military command system makes different result in the nation's defense policy and military operations. This thesis largely preyed two premises. The first premise is that the patterns of military command system affect to the nation's defense policy and military operations Decentralized military command system raises bureaucratic competition and discord between bureaucratic military organization which compose of that system and lower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mmand system, then gives negative effect to the national defense policy and military operations and lowers the nation's war performance. On the contrary, more integrated military command system which is made through reform tempers or reduces bureaucratic politics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s and raises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mmand system, then gives affirmative effect to the defense policy and military operations and increase nation's war performance. The second premise is that one of the factors of bureaucratic politics is in the structural dimension of military command system. This is to supplement original bureaucratic politics model which is used as the analytic frame of this thesis. According to the bureaucratic politics model, many bureaucratic organizations(actors) participate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These organizations have peculiar(original) interests such as mission and role, essence, area, autonomy, morale, budget, etc. When each organization relates with a certain policy, each organization keeps their position based on its organizational interest and participates in the policy decision process, therefore the policy which is decided through decision making process between bureaucratic organizations is the result of discord and competition, and bargaining and compromise of bureaucratic organizations. But original bureaucratic politics model overlooks the structural dimension of bureaucratic organization which raises bureaucratic politics. Therefore, this thesis premised that th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bureaucratic politics is in the structural deficiency of system and through the change and reform of the structure, we can change bureaucratic politic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is premise, this thesis wanted to supplement the original model. In order to verify above two premises, this thesis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merica's military command system and foreign military operations. Similar to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bureaucratic politics model could be applied to america's defens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Many bureaucratic military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e defense policy decision mating process as actors. These military organizations have peculiar(original) missions and roles, organizational essence, area, autonomy, morale, budget, etc. They kept their position and acted to keep their organizational interests Therefore, the decided policies were the results of discord and competition, bargaining and compromise between them. America's military command system which based on 「the National Security Act of 1947」 was largely reformed through 「the Goldwater-Nickels DOD Reorganization Act of 1986」. Before 1986 reform, military command system was decentralized. Under decentralized military command system, each military service put more weights on the parochial service interests than long-term national defense interests and continued bureaucratic polities, Vietnam war was operated under the decentralized military command system During vietnam war, each service executed operations based on the parochial service interests and military command system couldn't do the sound and effective military advice, strategic planning, and operation execution which are the functions of the effective military command system. Therefore, the war was lost. But, america's military system which has many structural deficiency was largely reformed through 「G-N Act」. 「G-N Act」 increased unity between military services and lowered bureaucratic politics through strengthening the authority of CJCS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improvement of Joint Staff, and strengthening CINC(Commander in Chiefs). 「G-N Act」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mmand system and this system could do the sound and timely military advice, strategic planning, and operation execution. During Gulf war which was operated under more united and integrated military command system, military gave sound and timely advices to the civilian leaders, planned military strategy which properly adapt military means to the political ends, and executed joint operations through the chain of command which through from president to secretary of defense, CJCS and CINC Therefore the war was won. Before 1986 reform, america's military command system had structural deficiencies which raised bureaucratic politics. Because of bureaucratic politics, military command system couldn't do the right military advice, strategic planning, and operation execution. But, 1986 reform corrected structural deficiencies. Reformed military command system was improved to the system which was integrated around Joint Chiefs of Staff and bureaucratic politics between military services was reduced. Military Command System could do the right military advices, strategic planning, and operations executio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ich calls bureaucratic politics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s was structural deficiencies which the system had. America reduced bureaucratic politics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s through the 1986 「G-N Act」 and improved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mmand system and nation's war performance.

      • 軍 指揮官의 變革的, 去來的 리더십에 관한 硏究 : 대대급 지휘(자)관을 중심으로

        박재홍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군 리더십의 궁극적인 목적은 군이 존재하는 목적과 결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군은 외부의 군사적 위협과 침략으로부터 국가를 방위하는데 있으므로 전쟁에 있어서 그 주체가 어디까지나 인간이고 보면, 군 조직에서의 성공적인 리더십이란 결국 군이 존재하는 궁극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그 구성원을 관리하고 운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지휘관들의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리더십의 행사는 전쟁의 승패를 가늠할 수 있는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므로 지휘관은 변화되고 있는 부대환경 속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리더십 향상에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직접수준의 리더인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의 리더십 유형이 병사의 직무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개인적 특성인 병사들의 계급과 나이가 직무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차이를 연구하고자 2006.11.12~13일까지 00부대에 근무하는 병사 95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은 계급 분포는 이병 27.4%, 일병 29.5%, 상병 12.6%,병장 30.5%였으며 학력은 전문대재 이상이 89.5%로 병사들의 학력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연령 대는 21세 이하 29.5%, 22세 36.8%,23세 21.1%, 24세 이상 12.6% 이었다. 2. 병사들 인지하는 지휘관의 리더십 정도는 지휘관이 변혁적 리더십에서는 카리스마 영역이 4.32±0.40, 개인적 고려가 4.13±0.44, 지적자극 4.09±0.48로 변혁적 리더십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거래적 리더십에서는 조건적 보상이 4.05±0.58, 예외관리 3.98±0.61로 조건적 보상을 지휘관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3. 병사들은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카리스마영역에서 소대장 4.32±0.44, 중대장4.36±0.43, 대대장 4.30±0.44, 개인적 고려영역에서 소대장 4.11±0.52, 중대장4.17±0.5l, 대대장 4.13±0.51, 지적자극영역에서 소대장 4.10±0.49, 중대장 4.12±0.47, 대대장 4.06±0.50 점으로 소대장, 중대장, 대대장 모두 카리스마, 개인적 고려, 지적자극 영역 모두를 높게 사용한다고 보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중대장이 카리스마, 개인적 고려, 지적자극영역 모두에서 소대장과 대대장보다 더 높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병사들은 지휘관들이 조건적 보상 영역에서는 소대장395±0.67, 중대장 4.10±0.61, 대대장 4.12±.063 점으로 계급이 높을수록 조건적 보상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병사들의 직무만족도 정도를 알아본 결과 평균 3.81±0.61점으로 다소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상관과 동료와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4.05±0.68, ‘부대 동료에 대한 만족도’는 4.12±0.64, ‘직속상관에 대한 만족도’는 4.09±0.71점으로 인간관계 요소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자신의 업무에 있어서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를 가지는가? 는 3.43±0.91, ‘나의 업무는 적성에 맞아 좋다’는 3.47±1.00, ‘나의업무는 장래성이 있어 좋다’는 3.48±1.00으로 업무에 대한 창의성, 적성, 장래성에 대해서는 다른 문항보다는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5. 병사들의 조직몰입(충성도)은 평균 3.75±0.47점으로 다소 높은 조직몰입(충성도)을 보이고 있었다. 병사들은 ‘부대의 구성원이 된 것이 자랑스럽다’가 4.04±0.73점으로 조직몰입(충성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어 ‘부대에 대한 충성’에 3.92±0.63, 부대의 성공적인 임무수행위한 노력에 3.94±0.61 로 적극성을 가지고 있으나 ‘부대에서 헌신하고 얻는 것이 그리 많지 않다’에 3.45±0.83점으로 병사들이 부대에서 성취감을 느끼며 헌신을 이끌어 내어 군 조직 목표달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6. 리더십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표준화된Beta계수가 0.161(t=1.524, p=0.131), 거래적 리더십의 표준화된 Beta계수가 0.328(t=3.018, p=0.003)로서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다소 다른 결과로서, 변혁적 리더십 못지않게 거래적 리더십도 병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7. 리더십유형에 따른 조직몰입(충성도)을 살펴본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표준화된Beta계수가 0.088(t=0.832, p=0.408), 거래적 리더십의 표준화된 Beta계수가 0.367(t=3.454, p=.0001)로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보다 조직몰입(충성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다소 다른 결과로서, 변혁적 리더십 못지않게 거래적 리더십도 병사들의 조직몰입(충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8. 지휘관의 변혁적ㆍ거래적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충성도)과의 관계를 보면 리더십 요소는 카리스마를 제외한 요소에서 0.219~0.660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만족은 예외적 관리에서 0.430으로 상관관계가 다소 높았으며 조직몰입(충성도)은 예외적 관리에서 0.420으로 상관관계가 다소 높았다. 9. 리더십유형이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계급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leadership is related with army's goal of existence. The army exist for defense from threat and invasion from the enemy, but the mainly consist by the human-being that the members of the army. In the army organization, leadership means the management of member to achieve the final goal. Especially, commander's reasonable and efficient leadership make the war to win or lose. In these reasons, commanders have to improve their leadership to fit out the rapidly changing corp's environment. This study is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of platoon, company and battalion commander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royalty. Also, there is the relation between of individual soldier's class and age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royalty too. This survey was examined by 95 soldiers worked in the 00corps and the following is result of the analysis. Responder's individual character is the Private class 27.4%, Private first class 28%, Corporal class 12%, Sergeant class 30% and academic career is over the 2year college 89.45% distribution. So, you know that soldier level of scholarship is highly ranked. The age distribution is under 21 29.5%, 22 36.1%, 23 21.1%, over 24 12.15%. The commander's leadership values recognized by soldiers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4.12±0.4 point in charisma category and 4.14±0.44 i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4.10±0.48 in intellectual stimulate. Additionally the commander's leadership of transactional leadership is 4.06±0.58 in central output and 4.398±0.61 in exceptional management. So we know that the commander usually make use of the way of central output.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responder soldiers say that all the leaders of platoon, company and battalion make use of charisma person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territory. Especially leader of company use all the elemen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other hands, soldiers indicate upper-class office use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han lower-class office. The soldier's job satisfaction is highly ranked that 3.81±0.61 point. It shows they satisfied about relationship with their upper-class office. However they responses lower satisfaction of creative, aptitude, future of their works. They answer the survey "We are proud to be a member of our corps" Even there is high point that they are trying to get successful achievement. However they think there is nothing to get after the work. So, leaders have to find out many ways to make them feel satisfy and achievement. In leadership's beta score point of view, transactional leadership is more influence tha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t the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royalty side is not different with the job satisfaction. Transactional leadership is more consequence to decide the level of royalty too. This conclusion is different with the pre-worked researches. Leader'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royalty, Leadership element is very cole with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royalty have closed relationship with exceptional management. There is a statically P-value that the types of leadership e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level of royalty by the class and age of answerer.

      • 육군의 임무형 지휘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투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권영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육군은 창군과 더불어 한국전쟁을 겪고 난 후 양적으로 팽창한 군대에 대한 강군화 과정에서 통제형 지휘를 통해 모든 업무에 대하여 일일이 지시·통제·확인·감독하였다. 이것은 당시의 상황과 여건을 고려할 때 어느 정도 불가피했을 수도 있겠지만 21C의 전쟁양상은 고도로 발달된 무기와 정보·감시체계의 발달로 인해 전역의 확대와 동시에 국지전의 형태로 변화되고 있으며, 빠른 전투상황 변화로 인해 기동성이 강조되고 단기간에 군사적 승리를 쟁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급제대의 명령에만 하급제대의 행동이 구속되어 진다면 전투의 호기를 잃어버릴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전체 전투상황에 대해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1806년 예나와 아우에르쉬테트 전투에서 나폴레옹군에게 패배한 프로이센 역시 장차전은 산병전의 형태로 전개 될 것이며,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하급부대의 통제가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개혁을 주도한 샤른호르스트는 패배의 원인을 ‘사고의 경직성’과 ‘지휘관들의 피동적인 지휘’에서 기인하였다고 판단하고, 전장이라는 불확실성과 우연성이 지배하는 공간에서 어떻게 하면 지휘관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여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군을 육성해 나갔으며, 전장의 주도권을 장악하여 임무수행 방법을 최대한 위임해 자율적·창의적으로 하는 임무형 지휘 개념을 정립하게 된다. 육군 역시 예하 지휘관의 자주성과 행동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보다 적극적·능동적·창의적으로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지휘 개념으로 안보환경의 변화 추세에 능동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999년부터 지휘개념을 ‘임무형 지휘’로 전환하였으며, 상급 지휘관의 인식의 변화와 제도적·환경적인 뒷받침을 바탕으로 평시 부대관리에서부터 교육훈련에 이르기까지 습성화하고 정착시키고 발전시키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통제형 지휘에 익숙한 군대문화에서 육군은 임무형 지휘로의 전환을 위해 많은 연구와 개선의 의지를 기울였으며,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임무형 지휘 정착에 많은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15년 이상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임무형 지휘체계에 의해서 전 부대가 완벽하게 지휘체계를 이해하고 상급자의 의도를 바탕으로 자주적으로 부대를 운영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제1장 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을 제시하고, 제2장 에서는 임무형 지휘의 이론적 고찰로 임무형 지휘의 태동에서부터 발전, 성공요소를 고찰 한 후 미래전의 특성을 분석하여 임무형 지휘 정착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제3장 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투사례에서 승리 및 패인의 요인을 임무형 지휘 관점에서 분석하여 교훈을 도출하였다. 제4장 에서는 전승 보장을 위한 임무형 지휘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임무형 지휘를 발전시키기 위해 전·평시 구분 없이 임무형 지휘로 훈련되고 지휘되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여 상급 지휘관의 지휘의도 구현을 위한 개선방안, 자주성과 독자적 주도권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리더십 중요성을 재인식하며 초급 간부들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개선사항과 실전적인 교육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 에서는 앞 장에서 연구한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내렸다. The 21st centry societry has been developed as a globalized, informaation-oriented, and diversified societry and the security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rapidly during the process of reorganizing an international order after Cold War and 9/11 terrorist attack. Reformation has been pushed ahead continuously in order to react to the tendency of charge activeness and future-oriented mind and ’Mission Oriented leadership’, which is one of the frut of reformation, was examined in the study. Control-oriented leadership revolved around commanders in the past generally had strong tendency of following the order of upper commander absolutely or controlling the executives heavily during the discharge of missions. As a result, display of individual autonomy and creativity of each executive was limited and the problems such as the spread of passive service attitude of executives came to the fore as rhe executives depend on the order of upper unit or superior bo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deas that German military is using such as Auftragstaktik or Furen mit Auftrag were reestablished to fit our environment and circumstance as commanding method. However , it is true that the outco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tate of mission oriented leadership is insignificant compare to the initially intended result even though several years passed after the adoption of mission oriented leadership. German, who practiced mission oriented leadership for the first time, spent more than a hundred years in order to overcome their original commanding method, select and settle a new commanding method, mission oriented leadership, after defeated by French military during “the Battle of Jena-Auerstedt” in 1806. Even after considering the fact, it is still hard to sense the flow of continuously changing commanding method after the military applied the mission oriented leadership. It is still hard to find any hint of effort from the military even though now is the adequate time to progress active discussion about the phenomen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mission oriented leadership. A reason for the problems are the insufficient construction of adequate condition for mission oriented leadership and habitual custom familiar to control oriented leadership that were applied not that long time ago. Mission oriented leadership cannot be applied automatically just by selecting the mission oriented leadership method. Mission oriented leadership will be able to settled only by supporting the method systematically and environmentally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unit management in ordinary day. In order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 the study proposed the purpose, range, method of the study in the first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the notion and essence were expla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mission oriented leadership. In the third chapter, analyse the reality of applying the army. In the forth chapter, after analyse the type conducted after combat practices on mission, present a study on how to re-establish various institutions. As a conclusion, suggested contents from the previous chapters were synthesized to draw out conclusion in the fifth chapter

      • 장병 인식조사를 통한 지휘통솔 향상 방안 : 초급제대 장병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신동석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 the ways of improving leadership skills is studied not only in politics, but also in every field of general society. The importance of possessing the outstanding leadership skills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skills. Also, the society has showed tendency in putting greater importance in specialization as learning a specialized skill providing great advantage. As result, greater level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has started to be required, and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Especially in military organization, the success of the organization is directly related and depends on the leadership of a commander in charge. Thus, the importance of outstanding leadership skill of a commander is the core aspect in military organizational activities. Even if advanced weapons and equipments are developed, the conduct of each military organization member affects the overall combat strength, which is the most influencing aspect in a mission. This conveys the importance of the commander’s ability to control the conduct of members with his or her leadership. Recently, the soldiers on active duty, often referred as “X‐Generation” soldiers, tend to show different behavior and mindset than soldiers in older generation, and these soldiers make the majority population of the military. This change in generation has affected the way commanders lead the group. The X‐Generation soldiers have been raised in peaceful times without experiencing war. They tend to put great importance in equality and freedom and have an open mindset. This kind of change in soldiers’ mindset and innovative thinking has positively affected the military environment in general. However, their individualism and post‐authoritarian characteristics have negatively influenced mental unification of the military and caused controversial conflicts among them. Because of this influence in human resource, changes in leadership style are being suggested to effectively manage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This study is based on survey of 300 soldiers active on duty who are in direct contact with chief commanders and captains.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in military with referenc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related subject. In conclusion, the survey shows the soldier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ommanders’ leadership and its influence. They also state the leadership is affected by the leaders’ education level and often require college education in general to enforce effective leadership. They also claim fitting in military living environment is more difficult to follow than general military tasks. Limited freedom in the military is the most common difficulty in the military. Also, majority of soldier tend to discuss with their fellow soldiers instead of their commander in chief when they have issues. However, the study shows discussing the issues with their commanders bring more positive outcome; therefore, communication with the commanders is highly recommended to solve any issue in military. The soldiers claim commander’s forceful persuasion and ranking gap are the reasons for having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their commanders. The study shows the commanders are aware of this issue of soldiers having difficulty in having open communication with them. They believe minimizing the mental gap between commanders and soldiers is important part of leadership which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The survey also shows the soldiers favor the commanders who take reasonable actions, followed by the commanders who treat soldiers like their own family. I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such as individualism, criticism, and open mindset, are also reflected on the soldiers. Therefore, the most recommended leadership which assist on effectively managing the military will include the following: 1. High specialization and initiative behavior with basic ethic 2. Different enforcement of leadership based on each soldier’s characteristic 3. Reasonable, instead of authoritarian, leadership 4. Support and participation with the soldiers 5. Foresee both mid and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s in advance to effectively manage and adapt the changes. In conclusion, the commanders are required to continuously work and improve on their leadership as the society continues to change as time passes. They are also required to consider each soldier’s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enforce different type of effective leadership based on each characteristic. 오늘날 각 리더의 지휘통솔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는 정치학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모든 분야에서 그 필요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사회의 분업화 및 전문화 추세에따라 행정관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행정학 분야에서 리더의 지휘통솔 능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특히 軍 조직에서는 조직의 성패가 지휘관의 효과적인 지휘통솔 능력의 발휘 여부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판단, 조직활동 관점에서 지휘관의 지휘통솔 능력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무기나 장비가 아무리 초현대화 되더라도 軍의 목표달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는 ‘조직 구성원(부하)의 행동’이기에 부하들에 대한 효과적인 지휘통솔 여부가 軍 조직의 근본목표인 ‘전투력의 극대화’를 좌우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 軍 복무 장병들은 기존의 기성세대와는 전혀 다른 의식과 행동방식을 보이는 소위 ‘X-세대’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신세대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지휘관들의 지휘통솔 기법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들은 풍요로운 시대에 성장한 세대로 높은 교육수준을 바탕으로 평등ㆍ자유사상과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개인주의적이면서 탈권위주의적인 저항 및 일탈의식은 軍 조직 내부의 의식적 통일을 약화시키면서 새로운 갈등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軍 조직을 구성하는 인적자원의 변화는 지휘관의 새로운 리더십의 창출 내지는 지휘통솔 유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병들과 가장 빈번하게 접촉하면서 장병들의 軍 생활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중ㆍ소대장 등 초급지휘관들의 지휘통솔 방안의 제시를 위해 전ㆍ후방 장병 300여 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세대 장병들의 의식 성향을 분석하는 한편, 국내ㆍ외에서 발표된 학술논문과 문헌들을 참고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장병들은 軍 조직에 있어서 지휘관의 지휘통솔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인정하는 반면,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장병층과 상병ㆍ병장 등 軍 생활을 장기간 경험한 장병층에서 현 지휘관의 지휘통솔 기법에 문제가 있다고 답변하고 있어 부하들의 학력과 계층을 고려한 지휘통솔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軍 고유의 업무보다 내무생활이 더 힘들다고 느끼면서 軍 조직의 특성인 개인적인 자유의 제한 및 작업을 대표적인 애로사항이라고 답변하였다. 軍 복무간 고민 등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지휘관 보다는 전우들과 상의하고 있으나, 지휘관과 면담하였던 장병들 대다수는 지휘관과의 상담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하고 있어 지휘관 - 장병간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방법이 신세대 장병들에게 효과적인 지휘통솔 기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지휘관과 면담을 실시하지 않은 장병들은 ‘지휘관의 일방적 설득’과 ‘계급 차이’를 대표적인 면담의 장애요인이라고 답변하고 있어, 장병들과 생사고락을 같이 하는 지휘관들은 장병들과의 거리감 해소 및 대화 방식에 개선이 필요함은 물론 지휘관 - 장병들간 계급차이로 인한 대화 장벽의 제거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병들은 바람직한 지휘관상으로 합리적인 지휘관을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하였으며, 그 다음이 친부모 및 형제와 같은 지휘관이라고 답변하였다. 분석 결과 현실 비판적ㆍ개인주의적 성향, 전통적인 서열 의식 거부 및 존경심 부족 등 전형적인 신세대 특성이 장병들에게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변화를 고려하여 軍 조직 목표의 효과적인 달성과 장병들의 사기 함양을 위해 지휘관들에게 필요한 지휘통솔 방향은 ① 높은 전문성과 도덕성에 기초한 솔선수범 ② 장병들의 개인특성을 고려한 지휘관리 ③ 권위주의적이거나 비민주주의적인 자세를 지양하고 합리적인 리더십 실천 ④ 장병들에 대한 지원과 참여를 아끼지 않으면서 ⑤ 중ㆍ장기적으로 주변 환경 변화를 예측함은 물론 변화되는 과정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견지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결국 軍 조직상의 변화들은 전환기에 접어든 우리 사회 전반의 문제로 軍 특수성과 장병들의 입장을 모두 고려한 가운데 새로운 변화의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휘관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예비군 지휘관 직무만족 향상방안

        권혁창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Study on Improving Job Satisfaction Reserve Components′ Commander Kwon Hyuk Chang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Policy Graduate School of National Defense Policy Woosuk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NamKung seung-pil Recently, the responsibility and roles of military civilians has-owing to our nations characteristics, increased the role of Reserve components' commanders (RCC) duties. Aspects of these duties include Homeland Defense, Combat Ready training and the laying down of orders for Reserve Components to handle situations in crisis. Despite the fact that the Reserve Components are responsible for a large portion of the nations military capabilities, al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military is conducted by senior officials such as Commanders, Non-Commissioned Officers, Enlisted personnel and General Military Civilians. Studies into the satisfaction levels of Reserve Components' Commanders are non-existent and in addition, Advanced Research and Analysis assessments are not objective and unscientific. Even when Reserve Components' Commanders are found to be able to fulfil most Military capabilities, the analysis of the limits of Advanced Research show that the utilization rate of Reserve Components' Commanders are restrictive. Such waste of human resources should undergo policy reform.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s of Reserve Components' Commanders as well as methods of improving these fulfillment levels created by Military relationships and their duty to National Security. To explain the definition of work satisfaction: The state of sentimental and emotional values of work responsibilities are fulfilled when sense of values, convictions and wants are met. The importance of work satisfaction is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an organization; because management and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are important. Foremost, active RCC were surveyed concerning work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mposed of 3 parts(Perception of RCC, Duty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was segregated by demographics: length of service, resource management and place of employment. These aspects were combined into a total tally of percentages. If one is to organize the results of this survey, It can be shown that the perception of RCC are mostly positive. This was done by asking RCC if they could proudly present their occupation as RCC. While results reveal that most RCC consider their work environments in a positive light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that require review. Therefore there are strong reasons for analysis and supplementation. However, work specification satisfaction levels were high and self perceptions of RCC employment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To enhance the perceptions of RCC, their treatment must be the same as active duty personnel, competitions must be performed in good faith, enthusiasm must be kindled and communication with senior authority members must be systemized. Rank promotion can be utilized to promote motivation as currently RCC ranks are stagnant and therefore attitudes towards promotion are non-existent. As a result we should immediately consider the implementation of a rank system to generate motivation, dreams and goals amongst the RCC. As well as this, the general perception of RCC in regards to the allocation of space is that in general, space is very limited. Therefore, owing to these circumstances Mobilization Resources must be prepared effectively, as in the event of unprepared events proper action can not be taken or made. As a result, facilities, welfare and compensation must be improved. In addition, academically lacking reservists can be resolved by bringing in superior reservist from dispatch and educating the former lacking reservists of their duty. Also a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whereby an increase in length of service is met by a similar increase in military personnel. Following, as military civilians responsible for the care of RC have different levels of work satisfaction as well as different local/unit protocols, their fulfillment levels vary accordingly. Reserve civilians compared to other general military civilians must have a relatively higher sense of satisfaction as this serves as the benchmark for special duties. As all enlistees must be victors of war, the morale levels of Reserve civilians and their inferiors , Reserve civilians must be strengthened in order to fulfill satisfaction levels. RCC must be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active personnel and a rank system must be implemented to improve motivation. RC sense of competition must be in fair light to create a standardized unit. RCC sense of enthusiasm must be brought out by using substantial measures. In the event of unexpected emergencies whilst engaging in work duties, I suggest that policies for disaster, calamity compensation be draft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other aspects of policy such as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welfare supplementation for RCC and clear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lower and higher authority. This paper was drafted to meet the satisfaction quotas of RCC whom require the systematic approaches of government in approaching these various issues. In meeting the aforementioned events, rear areas can contribute towards homeland defense. <국문초록> 예비군 지휘관 직무만족 향상방안 국방정책학과 국방정책학전공 권 혁 창 지도교수 남궁 승 필 최근 군무원의 책임과 역할이 증대되고 우리나라 특성상 후방지역의 향토방위에 대한 전투준비, 교육훈련, 유사시 전투에 투입시켜야 하는 예비군들을 관리하는 예비군 지휘관에 대한 기능과 역할이 막중해지고 있는 가운데 예비군 지휘관들이 업무를 함에 있어서 우리 군 전력에 많은 기여를 하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학문적인 연구와 현역군인의 조직에 관한 연구, 리더십에 관한 연구, 즉 주로 장군·부사관·병 그리고 일반군무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 예비군 지휘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리고 예비군 지휘관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결여되었었을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의 분석평가 등의 과정이 객관성과 과학성이 결여 되어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의 선행연구 결과의 한계점을 분석해보면 예비군 지휘관은 자질이나 학력수준, 군 경험 등이 풍부하고 우수한 인력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도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는 국가적인 인적자원에 대한 낭비 요소로 이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군 지휘관의 직무만족에 관하여 상세히 조사해보고, 많은 예비군 지휘관이 자부심을 가지고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며, 군 조직과의 관계도 바람직한 국가안보의 일선을 담당하고 있다는 보람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는 향상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직무만족은 직무와 관련된 태도의 하나로 어떤 개인이 담당하는 직무가 자기의 가치관이나 신념, 욕구 등이 수준과 일치함으로써 직무자체에 대한 감정적, 정서적인 만족 상태를 의미한다. 직무만족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조직생활의 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조직의 효과성 및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우선, 현 예비군 지휘관들의 직무만족 실태를 파악 하고 자 설문을 하였다. 설문은 예비군 지휘관직에 대한 위상, 예비군 지휘관 업무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예비군 지휘관직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3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은 재직기간, 관리자원, 근무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은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및 각 영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해 본다면 예비군 지휘관직에 대한 위상 측면에서 지금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랑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긍정적인 응답이 높았고, 예비군 지휘관 업무수행 근무환경과 업무관련 정책은 대부분이 만족을 하고 있지만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게 나타나 근무환경과 업무관련 정책에 관하여 분석해보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단, 직무내용 측면은 만족도가 높았다. 예비군 지휘관직에 대한 만족도 측면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이 좋은 직장인지에 대한 인식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예비군 지휘관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군인과 동일한 처우개선하며, 선의의 경쟁 여건 보장, 내적동기 유발, 상급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비군 지휘관의 처우개선 방안은 예비군 지휘관 진급제도를 도입하여 ‘처음 정해진 직급에서 상승할 기대감이 생길 수도 없으며, 직급이 떨어질 불안감에 시달릴 일도 없다’는 생각을 깨고, 현재 추진예정인 진급제도를 신속하게 추진하여 그들에게 꿈과 목표를 심어주어야 한다. 또한 예비군 지휘관이 업무를 함에 있어서 공간이 협소하고 유사시 동원된 예비군 대원에 대한 지휘통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아 충분한 대비책을 강구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시설측면의 근무환경 개선, 복지후생 강화, 전보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외에 학업이 부족한 상근예비역 등 의 문제해결 방안은 파견 상근예비역의 우수 인력 확보 방안과 직무교육, 근무기간에 따른 보직 인원의 충원 등의 문제가 제도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예비군 관리 군무원이 지방자치 단체별 재정 자립도나 지원 의지의 편차 등 각 지역별, 부대별 운영과 직무 환경의 차이에 따른 만족도와 다른 직렬 군무원의 임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커야만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등 사기와 그들의 지휘통제를 받는 하부 조직과 예비군 대원의 사기에 미칠 영향과 전쟁에서 승리를 해야 하는 군의 임무를 함께 고려한 각 기준별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탐색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예비군 지휘관들도 군인 신분과 동일하게 처우를 개선해 주고, 예비군 지휘관 진급제도 등을 도입하여 동기를 부여하며, 올바른 경쟁으로 기본이 바로선 예비군 부대를 만들고, 예비군 지휘관들의 내적 동기를 유발 할 수 있는 각종 제도적 보완과 실질적인 예비군 지휘관 위상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만들어 줄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예비군 훈련과 관련된 임무수행 중 재해보상과 근무시간 내 임무수행 중 재해보상을 위한 예비군 관련 특별법 제정을 제안하며, 기본적인 근무환경 및 여건 개선과 예비군 지휘관의 복지 후생 제도의 보완과 상급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보완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이 예비군 지휘관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국가 차원에서 제도적 문제로 접근, 개선하여 직무만족이 향상되고 후방지역 향토방위 작전에 큰 기여를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Suggesting the Policy on Building an Incident Command System (ICS) of Korea : 우리나라의 사고지휘체계(ICS) 구축에 관한 정책 제안

        Lee, Eung-Yung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사고지휘체계(ICS)에서 얻은 교훈을 토대로 일상적인 사고에서 복합 재난에 이르는 긴급상황과 비상사태에 적용하여 모든 유관기관이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는 사고지휘체계(ICS)의 구축에 관한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재난과 비상사태를 관리하는 우리나라 정부의 잠재적 역량을 최적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로 비상사태 관리와 사고 대응의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연 미국의 사고지휘체계(ICS)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미국의 사고지휘체계(ICS)의 작동 원리, 관리개념 및 특징을 분석틀로 우리나라의 긴급구조 현장지휘체계(OSCS)를 진단하였다. 끝으로 미국의 사고지휘체계 (ICS)와 우리나라의 긴급구조 현장지휘체계(OSCS)의 시사점을 토대로 하여 상호 운영성과 상황 적응성을 갖춘 우리나라의 사고지휘체계(ICS) 구축에 관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미국의 사고지휘체계(ICS)의 작동 원리, 관리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고 공통 용어, 조직 및 운영절차 면에서 우리나라의 긴급구조 현장지휘체계 (OSCS)를 진단한 후 우리나라의 사고지휘체계(ICS) 구축과 관련하여 제시한 7가지의 정책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사고지휘체계(ICS)는 미국의 사고지휘체계(ICS)의 작동 원리와 관리개념을 반영하고, 이에 따른 특징을 명문화 하여 사고지휘체계(ICS) 운영의 준거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사고지휘체계(ICS) 운영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단권화된 통합지침문서를 개발하여야 한다. 3. 상황관리 및 현장대응 인력이 긴급상황이나 비상사태 시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중심의 실용적인 절차문서를 개발하여야 한다. 4. 현장 대응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현장지휘조직과 재난안전대책본부(DSCH)의 간부 및 근무인력을 위한 표준교육훈련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5. 사고지휘체계(ICS)의 역량을 높이고 활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사고지휘체계(ICS) 지휘관, 일반참모 및 지휘참모 등의 간부 직책을 수행할 인력의 자격을 강화하여야 한다. 6. 사고지휘체계(ICS) 하에서 재난안전대책본부(DSCH)와 현장사고지휘소(ICP)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의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통합 통신체계와 포괄적 자원관리체계를 개발하여야 한다. 7. 사고지휘체계(ICS)는 통합적 재난관리체계(IEMS)의 토대 위에서 구축돼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pplicable proposals for structuring an Incident Command System (ICS) of Korea with adaptability based on standardization for a broad spectrum of emergencies from small to complex incidents, both natural and manmade in order to make the government capacity managing the emergency response and incident operations optimized to its potential, grounded on lessons learn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ICS of the USA. To do this, this paper firstly identifies the ICS of the USA, which has made a big difference in the emergency management and incident response history. Secondly, it attempts to diagnose the On-Scene Command System (OSCS) for Emergency Rescue of Korea by applying a diagnostic tool based on the principal tene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CS of the USA. Lastly, it proposes the policy on building an ICS of Korea with interoperability for all stakeholders in the community to work together as well as adaptability to an all-hazards environment on the basis of standardization and flexibility in order for them to do effective responses to large scale or complex emergency events in Korea, grounded on suggestions from the ICS of the USA and the OSCS. Through this research, seven suggestions can be presented from comparison of the OSCS for Emergency Rescue with the ICS of the USA in terminology,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management procedures as below: · Reflection on principles, management concepts, and system characteristics of the ICS of the USA. ·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guidance document such as the NIMS. · Procedural materials on the subject. · Standardized training courses and/or programs. · Reinforcement of qualifications of officers who are supposed to serve in Command and General Staff positions of an ICS. · Improvement of an interface management and guarantee of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 work between on-scene Incident Command Posts (ICPs) and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 Headquarters (DSCHs) for supporting on-scene, tactical operations logistically and administratively through building infrastructures for backup of the ICS. · Integration into an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EMS).

      • 군 초급간부의 효율적인 지휘통솔에 관한 연구 : 야전부대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윤태진 상지대학교 사회복지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휘통솔은 군 조직 연구에서 제일 중요한 주제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최근의 지휘통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사례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지휘통솔이란 부대의 임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부하를 훈련시켜 모든 노력을 부대목표에 집중시키는 기술이다. 현대의 지휘통솔 환경이 과거와 대비해서 상당부분 개선되어 왔으며 특히 간부들을 포함한 장병들의 의식수준은 많이 향상되었다. 이제는 과거처럼 계급과 강압에 의한 지휘통솔이 불가능하며, 이해와 설득 그리고 정당성에 의한 개념으로 바뀌고 있고 “나를 따르라”보다 나와 함께”라는 의미로 전환되었다고 단언할 수 있다. 군은 다른 어떤 집단보다 계급의식의 특성이 강하다. 예로부터 계급에 의한 행동의 핵심은 통일성이며 전투 시 지휘자에 의한 일방적인 명령과 이에 대한 절대적 복종은 전투의 승리를 확실하게 보장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지휘통솔 환경은 사회 개혁의 바람과 함께 변화하고 있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휘통솔 이론, 초급간부들의 의식 수준과 실태,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휘통솔의 개념과 원칙 등 지휘통솔자의 올바른 자세 등을 제시하였으며, 야전부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다양한 성격과 능력을 지닌 지휘통솔자의 유형을 통해 군 지휘통솔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원칙과 방향 등 이론적 사항을 고찰하였다. 군에 입대하는 병사들은 물론 이들을 지휘통솔 하는 군 초급 간부들은 다양한 환경과 여건 속에서 성장하고 교육을 받아옴으로써 성격과 외모, 능력이 모두 다양하고 천차만별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병사들을 지휘하고 통솔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지휘통솔에 관한 일반적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조직 환경문화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둘째, 개혁의 바람을 타고 급변하는 군 조직과 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 군 조직의 특성, 일반 조직과의 차이, 사회 환경의 변화 그리고 변화된 환경 속에서 초급간부의 특성과 의식성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한국군의 교육 수준은 어느 조직 및 사회단체보다 높다. 이러한 높은 교육수준은 상명하복의 절대적인 충성을 요구하는 군대 환경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군 지휘통솔자의 의식 성향을 변화시키는 계기로 발전하고 있다. 셋째, 초급간부들의 지휘통솔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고자 군 정기 간행물, 군 관련 서적 등을 참고하여 군 장병들의 병영생활 실태를 분석 하였으며, 특히 군 기강 및 실제 전투작전 관련 사례연구를 통해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갈등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야전부대 초급 지휘자들에게 효과적인 지휘통솔 방향을 제시 하였다. 미국의 2차 세계대전 영웅이자 대통령을 역임한 “아이젠하워”는 “끊임없이 밀려오는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는 지휘관은 부대와 부하를 성공적으로 지휘통솔 할 수 없으며 자기발전을 물론이고 부대의 발전을 오히려 저해한다”라고 하였다. 이처럼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요구되는 초급간부들의 올바른 지휘통솔 방안은 지휘통솔자가 부단히 연구하고 극복해 나가야 할 과제이다. Leadership and command has probably been written about, formally researched, and informally discussed more than any other single topic. Despite all this attention given to leadership, there is still considerable controversy. Some organizational behavior theorists do not even recognize leadership. Yet, throughout history the difference between success and failure, whether in a war, business, a protest movement, or a basketball game, has been attributed to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bout leadership and command in military organizations and in literature, and to try to get effective leadership and comm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military organizations have been changed rapidly as other organizations like business organization and public organizations. Especially, military organization are forced to bee changed while military armors have rapidly been scientific and military personnel mind also much changed. These environmental factors are forcing the military organization to be equipped with new leadership and command to low ranking officers. With literature survey and field survey, this paper propose as followings; First, internet education, outsourcing of education, various method or devices for education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Second, improvement of environments for leadership and command is favorable, especially status up of low ranking officers and stability of quality of life. Third, to try to improve the ability of leadership and command of low ranking officers is proposed. This abilit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ombat ability of low ranking offi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