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학생과 지체부자유학생 성교육 실태와 성지식 및 성태도 비교 연구

        구신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x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ex life in adolescent student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school difference, type of disability, and degree of their knowledge on sex in order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 which is efficient and tailored to meet students' need and type of disability. To persue the goal of this study, 185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do not have mental disability, and can respond to the questions in written form on their own, can read it alone, write alone, from 10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led from 10 different province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422 normal students from 4 different schools in Busan were involved in this study for comparison. Questionnaires used in previous researches were devised by researcher of this study to meet the goal of this study and were tested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Questionnaire turned out to be valid and reliable enough to produce valid and reliable data for use, indicating that Cronabch Alpha is .813. For analyzing the data, t- test, MANOVA,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al coefficient were used. T-test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degree of sex knowledge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and in terms of their sex. MANOVA has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sex attitude. ANOVA has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y. Along with ANOVA, Scheffe post hoc multiple tests have been used to pinpoin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find out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sex attitude and sex knowledge.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re is slight difference in sex knowledg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Female students' scores are a little bit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knowledge among school difference and type of disability, indicating that this results reflect that there is no sex education program that tailored to the need of students.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ttitudes toward sex among students according to sex, school difference, and type of disability while there is difference in sex attitu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udents' sex knowledge indicating that sex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be developed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Thir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sex knowledge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scores of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ttitude toward sex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hile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sex knowledge of students with other disability and those of behavioral attitude toward sex of students with other disability. Forth, there is difference in sex knowledge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y, indicating that scores in sex knowledge of students with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y. There is also difference in sex attitude in general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y, indicating that scores in sex attitud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y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 disability. It reflect that students with disability came from different environment and background from normal students' background. When sex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is being developed, these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s.

      •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환교육 실행수준 인식 분석

        강소영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학교 전환교육에 관한 실행수준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전환교육의 최상의 실천사항에 대한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동의 정도, 실천 정도 및 실행역량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지체부자유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통합되고 특수교육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보다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2012년 전국 18개 지체부자유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고등부 및 전공과 교사 175명을 선정하였고, Likert식 5점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천인식 수준과 실행역량의 각 요소는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적용하였고, 실천인식 수준 간의 차이는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실행역량 간의 관계 및 실천인식 수준과 실행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는 전환교육에 대한 동의 수준이 실천 수준 보다 더 높다. 둘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환교육 실행역량은 보통 수준이며, 전환교육 실행역량 요인들은 상호간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셋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환교육 실천인식 수준과 실행역량 간의 관계에서 실행역량은 동의 수준보다 실천 수준과의 보다 긍정적 관계가 존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체부자유학교의 효율적인 전환교육 실행을 위해 실천사항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면담이나 관찰 등 질적 연구를 통해 전환교육에 관한 본질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환 사정 및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의 효율성 제고와 전환교육의 실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기 위한 분석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reement, practice, and implementation capacity level of teachers at a special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best practice of transition education in order to specifically figure out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at such schools. The study thus aimed to propose methods and direction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be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the community and for special education to make more direct contributions to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The subjects include 175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post-secondary teachers at 18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across the nation in 2012. They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on a 5-point Likert scale.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were applied to each element of practice recogni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capacity. Differences in practice recognition levels were t-teste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connections between implementation capabilities and between practice recogni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capabilities.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had a higher agreement level for transition education than practice level. Second,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had an average level of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education and exhibited mutual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implementation capacity factors of transition education. Finally, as for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s' practice recogni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education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implementation capacity had more positive relations with the practice level than the agreement level. Future study needs to make more specific and various approaches to the components of practice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education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It is especially required to address the true nature of transition education, identify its problems, and search for their solution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interview and observation. Analytical researches are also nee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ition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ning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education.

      • 장애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 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신은주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에 재학 중인 지체부자유학생 대상으로 지체부자유 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 정보화 경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지체부자유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을 위한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의 실태를 밝히기 위해서 먼저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여가활동을 하는 장소는 학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가활동 시 주로 함께 하는 사람은 친분이 있는 사람과 한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혼자 한다는 비율도 비교적 높은 응답률을 보인 반면 가족과 함께 한다는 응답분포는 낮은 비율을 보여 친분이 있는 사람과 함께 하거나 혼자 여가활동을 즐기지만 가족과 함께 하는 정도는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여가 활동 실태를 분석한 내용을 보면, 평일이나 공휴일의 여가시간에 주로 하는 여가활동의 항목은 TV 및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이용 하다는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터넷 등의 컴퓨터를 이용한다는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여 평일이나 공휴일 등의 여가시간에 대중매체나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정보화 경향에 대해서는 인터넷 정보이용 및 인터넷구매, 인터넷 공공기관 및 인터넷 뱅킹과 인터넷 가상교육 등을 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체부자유 학생의 인터넷 자립정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인터넷 구매를 많이 하고 인터넷 뱅킹 역시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같이 인터넷동호회 활동도 많이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의 장애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동호회활동을 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카페, 세이클럽, 싸이 월드 등을 비롯한 많은 인터넷 동호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삶의 질과 여가생활과의 관계의 형태를 살펴보면, 학교생활, 친구관계, 여가생활, 소비생활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계층, 가족생활, 이성생활, 자립생활 등은 삶의 질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삶의 질과 여가생활과의 관계의 결과를 살펴보면, 지체부자유학생들의 삶의 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여가생활이며, 그 다음이 학교생활과 친구관계인데 이들 변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여가활동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지체부자유 학생이 좀 더 다양하고 유용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여가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충분한 여가활동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학생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단체의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학생들이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학교에 시설을 보완 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는 전적인 재정지원과 행정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넷째, 장애인들에 대한 컴퓨터 정보화 교육의 강화가 요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터넷 정보화 이용이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사회참여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ty the leisure activities o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the trend of using cyber space of internet in conne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on quality of life. Applying descriptive and multiple regression statistic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current state of disabled students? leisure activities, the most common place for disabled students? leisure activities was their school. Forty-four percent of the students had leisure activities with their acquaintances, and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them (36%) had leisure activities all alone. About 20% of the respondents joined various clubs or had activities with their families. Second, as for the contents of leisure activities at spare time on weekdays or holidays,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radio were used most commonly and, next, computers connected with the internet. This suggests that disabled students usually use mass media or computers during their leisure time on weekdays or holidays. Third, with regard to the trend of using cyber space of internet, many of the disabled students were using the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for their leisure activities, cyber marketing, public services, banking, cyber education system, and for internet club activities.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abled are highly depend on internet, and particularly they appear to use internet shopping and internet banking frequently. Fourth, many of the disabled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internet club activities with non-disabled people.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involved on club activities using internet services, such as Daum Caf?, Say Club, and Cyworld. Fifth,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indicated that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degree of independence on information system, disabled problem of leisu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 but leisure activities time and expenses were not significant.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the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disabled students? life quality was their leisure life. In addition, life quality was higher whe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as high and when satisfaction with friend relation was high.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enhancing disabl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First, sufficient education for leisure activities is necessary for disabled students to have more active, diverse and useful leisure activities. Second, to help ordinary people understand disabled students properly, there should be programs that ordinary and disabled students participate together and supports from social institution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full supports to improve facilities in school where disabled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Fourth, computer and information education using cyber space of internet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disabled. Fifth, for the disabled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through their use of the internet, there should be social programs that involve the disabled.

      • 지체부자유아동을 위한 학습용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자세유지와 이동을 겸한 책상과 의자를 중심으로

        장동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장애인의 수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그것은 장애에 대한 편견으로 장애인 스스로가 장애등록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2001년 미국의 장애인수를 보면 5400만 명으로 미국 인구의 20%에 달하는 수가 장애인이다. 그러나 한국의 장애인은 전체인구의 3.09%에 불과하다. 이는 미국의 장애인 숫자가 한국에 비해 7배나 높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결코 우리나라에 장애인이 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이것은 국가간의 장애 인식과 장애 범주, 장애인 재활과 복지법 등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제도상의 상이함에서 오는 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특수교육 대상자인 지체부자유 아동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특수학교 등에서 교육을 받는 문제에 있어서도 사회적 인식과 제도상의 무관심으로 인한 불편함과 이에 따른 장애요소가 발생되고 있다. 많은 불편함 중에서도 가장 일차적인 장애요소는 학습 상에서 오는 장애가 가장 큰 문제이고, 이는 아동개개인의 신체 특성뿐만 아니라 그 신체를 지지하고 의지하는 가구의 부적합함에서 오는 문제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특히 장애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가구에서의 학습은 지체장애아동의 교육적 목표달성을 저해하고 아동의 성취감을 좌절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지체장애아동을 위한 가구는 선택이기보다는 필수임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한 일반적 고찰과 학습용 가구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통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여 지체부자유 아동을 위한 학습용 가구 디자인을 제안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개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I 장 본 연구는 5세∼12세의 학령기의 지체부자유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습용 가구를 연구하였다. 본고에서는 아동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한 자세유지와 이동을 겸한 책상과 의자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 Ⅱ 장에서는 지체부자유아의 정의와 분류 및 실태를 파악하고 신체특성을 고찰하여 지체부자유아용 가구의 필요성을 통하여 가구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제 Ⅲ 장에서는 지체부자유아의 학습현장현황과 국내·외 학습용 가구의 현황을 실태조사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 Ⅳ 장에서는 앞장에서의 문제점 분석을 바탕으로 지체부자유 아동에게 적합한 학습용 가구의 디자인을 위해, 디자인 요소 중 가변성, 다목적성, 분산성, 자립성, 이동성, 안전성을 중심으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V 장에서는 앞장의 디자인 방향을 바탕으로 장애아동에게 적합한 디자인을 전개하여 제시하였다. 제 Ⅵ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지체부자유 아동은 개별설계와 개별제작이 필요하며, 신체 사이즈에 맞출 수 있는 조절기능을 통해 신체 특성에 적합한 가구를 개발 할 수 있다. 둘째, 성형제작기법을 이용한 Inner seat와 Component system의 착탈을 통해 장애아동의 신체에 적합한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셋째, 지체 부자유아동들도 대부분 보통 의자를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학교와 가정생활에도 어울릴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이 좋고, 재료의 선택폭을 다양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장애아동의 신체발달에 적합한 가구의 개발로 발달단계에 맞는 가구를 구입하여 발달시기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면, 장애아동의 장애변형 정도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다.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가구에 대한 개발투자와 전문인력 양성 등 정부의 적극적인 복지정책이 절실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용가구의 연구개발은 디자이너 한사람의 노력만이 아니라 의사, 치료사, 디자이너, 제작자 등이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서로 협동하고 노력해야 한다. 더욱이 정부는 장애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아동에게 많은 관심을 가지는 국가적,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The exact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Korea is unknown.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above mentioned is that there are many challenged people who refuse to register accordingly due to the stereotypes and prejudice against the challenged people in Korea. When the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the US is examined for the year 2001, 20% of the US population, that is, 54 million people, is registered as challenged people. However, in Korea, challenged people supposedly comprises 3.09%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above mentioned signifies that the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the US is seven-fold compared to Korea. However, anyone can tell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is limited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Korea. Instead, this large gap in the official statistics i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allenged people between nations, the scope of disability, and differences in the policies pertaining to the restitution of challenged people and their welfare. Given the above mentioned situation, inconveniences and impediments result during the educational process at the house of children and special schools for the challenged children due social perception and policy negligence. Among many inconveniences, the most pressing one is the impediment of learning capability due to disability, which is caused not only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hild, but due to the inappropriateness of the furnitures that support the bodies of these children. Perhaps the latter is a more serious problem. In particular, learning while using the furnitures that do not factor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llenged children impede attain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by the challenged children, and they become a factor that cause decrease sense of achievement in the mind of challenged children. Due to the reasons mentioned above, it is critical to perceive furnitur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as an essence, and not much as optional.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recommend designs for the furnitur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by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esign based on a close examination of current status and realities based on the study of related literatures and on the identification of problem area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es on the subject matters of the present research and an overview of the research. Chapter Ⅰ of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research on the furniture for the education of challenged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ive to 12. The main tex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hair and desk for the maintenance of posture and easy movement, considering the physicall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hild. Chapter Ⅱ examines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challenged children. Moreov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 is examined in detail and the types of furniture were examined based on the need for furniture, fit for the challenged children. Chapter Ⅲ identified the realities and current status of furniture, both in Korea and overseas, 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field intended for the challenged children. Problem area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bject matters of the research. Chapter Ⅳ leveraged the problem areas that wer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chapt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to ensure effective design of educational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The above mentioned direction was developed, centered on the following design factors - variableness, multi-purpose, dispersibility, independence, and safety. Chapter Ⅴ recommends desig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based on the direction of design, suggested o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Ⅵ summarized the conclus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s follows. First,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need separate design and production, and it is possible to develop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allenged children by leveraging function that can adjust according to body size. Second, production of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body of challenged children is enabled based on the use of inner seat that uses formative production method and based on the detachment of the Component system. Third, simple design that is suitable for both school and home is recommended since most of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can also use regular chai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cope of materials is also recommended. Fourth, if it is possible to purchase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each stage of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use it accordingly, the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evel of change in their physical composition to a minimum. Therefore, investment into the development of furniture for the challenged people and cultivation of specialized personnel require active welfare policy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Likewise, doctors, therapists, designers and manufacturers in addition to designers should cooperate together within a single system to actively engage in R&D pertaining to the educational furniture.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national and policy level consideration for the children so that their level of disability can be mitigated.

      • 지체부자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의 특성 및 관계 분석

        박정희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지체부자유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 개념의 특성 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자각된 자아 개념의 하위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 고 있으며,지체부자유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 개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에 있어서,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북에 소재하는 특수학교와 시설에 있는 지체부자유 학생 55명으로 하였다.연구도구는 대상자가 지각하 는 사회적 지지를 평가하기 위해 Dubow와 Ullman(1989)이 개발한 사회적 지 지평가도구(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SSAS)를 한미현(1996)이 수정 보 완한 것을 사용한다.자아개념 검사는 자아 개념의 인지 내용의 평가를 위해 이훈진(1997)이 개발한 자기 보고형 검사이다.본 연구에서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연구의 목적에 따라 지체부자유 학 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개념의 특성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백분율,t검증,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상관분석 등의 기 술적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지체부자유 학생 사회적 지지의 특성은 변인별로 차이가 없다.다만 학 교급별에서 중학부가 고등부에 비해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소 높은데 그 중에 서도 교사 지지를 높게 자각하고 친구 지지를 낮게 자각하고 있다.성별에 의 한 사회적 지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다.지체부자 유 학생들은 사회적 지지에 있어 교사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데 하루의 대부분을 지내는 학교생활에서의 교사와의 관계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친구 지지를 낮게 자각하고 있음은 긍정적인 또래관 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있어서 접근이 쉽지 않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대인 관계에 어려움이 있다는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지체부자유 학생 자아 개념의 특성은 변인별로 차이가 없다.다만 학 교급별에서 중학부 학생은 신체적 자아,도덕적 자아가 고등부 학생보다 높다. 경제수준별에서는 중류가정의 학생이 상류가정의 학생보다 자아 개념이 높다. 셋째,지체부자유 학생 사회적 지지 및 자아개념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이 다.사회적 지지를 높게 자각할수록 자아개념은 긍정적으로 유지된다.지체부 자유 학생들은 친구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자각할수록 사회적 자아가 높고 가족 지지에서는 성격적 자아,가정적 자아,사회적 자아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사 지지에서는 가정적 자아,사회적 자아,능력적 자아가 정적인 상 관관계가 있다.자아 개념 전체에서는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가 높게 나타나 고 있으며 친구 지지가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the relational analysis for the social supports and self-concept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Study object did with 55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facilities and special school having to Daegu and Kyungbuk in Korea at study ways. and the study tool uses that Han Mi Hyeon(1996) modifies, and supplemented the social support evaluation tool(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 SSAS) which Dubow and Ullman(1989) developed in order to evaluate the social support that the object is late for. and a self-concept inspection is own report inspection that Lee Hun-Jin(1997) developed for evaluation of cognition contents of a self-concept. Statistics used to study is SPSS 12. Data analysis used frequency analysis, a percentage, t verification, a statistical way memberses technical such as variate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a social supports socia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woke high to a teacher support, and awoke low to a friend support, and the boy students were very experiencing a social support more than girl students.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student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self-concept was low the character self, the domestic self, the ability self, the physical self, and the physical self, the morality self appeared higher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 and a self-concept was higher a middleclass family students than upper class family students. Third, the social supports and the self-concept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static correlation.

      • 지체부자유학생의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박진만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련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지체부자유 학생을 대상으로 특수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학습자 측면에서 학생들의 기대를 규명하여 특수체육교사와 학생 간의 보다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체육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현직 특수체육교사의 체육교육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수립으로부터 자료수집, 자료분석, 분석결과 및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규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특수학교의 학생들 중 지체부자유학들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알아보기 위하여 김기섭(2001), 이현주(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 중 본 연구와 관련된 것을 수정보완 후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본 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α = 0.895 로 매우 신뢰할 만한 설문지로 나타났다. 회수 된 설문지중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완성된 자료를 통계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문제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의 역할 기대의 차이에서 성별, 학년, 가정형편, 주거형태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의 역할 기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의 차이에서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중 재활, 교육지도, 사회인성, 운동건강, 동기기회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지식에 대한 차이로써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의 역할 기대에 대한 차이에서는 장애유형(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장애, 변형장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 중 지체부자유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다른 장애별(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등)과 다른 지역별로 확대시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체부자유 학생의 변인 중 장애유형뿐만 아니라 장애정도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되기 위해서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그리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비교ㆍ분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urrent conditions for handicapped students and the rol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play in helping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The paper serves to present related reports and facts that will help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students and their teachers, thereby bettering the current condition handicapped students face. The research for this paper was done primarily through the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of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Furthermo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valuative forms filled out by 200 students from a school for kids with specials needs located in GyeonggGi-Do In order to determine the expected role of th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the researches utilized several investigative tools including a few revised questions from the research questionnaire of Kim Ki-Sup (2001) and Lee Hyun-Joo (2004). The researches also utilized Cronbach's a=0.895 standard index as a measurement of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y excluded results that they deemed untrustworthy; the remaining completed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known as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2.0 Additionally, in order to determin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to percentage were calculated. Furthermore, in order to ascertain the role disabled students expected from their PE teache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y and family environment, the researches employed the t-text and One-way ANOVA. The result they obtained through such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PE teacher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across gender, grade, family situation, and home environment. Secondl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the expectation placed on the PE teachers varied in terms of rehabilitation, educational instruction, social behavior, physical training, and similar opportunities. When it came to knowledge,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expectation. Thirdly, different expectations accompanied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such as amputated handicaps, joint handicaps, limb handicaps, and handicaps who have a combination of all three. The following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losely examine the varying expectations these handicapped students have towards their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based on their results, they presen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this research only used data collected from handicapped students in a school in GyeonggGi-Do , however, for more accurate results, th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other disables students (i.e students who are blind, deaf, or mentally impaired) of other areas. Secondly, research that focuses not only on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different handicap types, but also on the degree of a student's disability is needed. Thirdly, for a more in-depth research report, there needs to be detailed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felt by the students towards the teacher's role.

      • 자기주장훈련이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류주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기주장훈련이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장훈련은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자기주장훈련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자기주장훈련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효능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자기주장훈련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과제난이도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인 부산○○학교의 중학생들이었다. 문자 .언어표현능력이 있고,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밝힌 18명의 학생 중에서 9명(남6, 여3)의 학생을 무선표집하여 실험집단에 배정하였으며, 나머지 9명은 같은 비율(남·녀)로 통제 집단에 배정되었다. 자기주장훈련은 한혜진(2002)의 것과 이유훈 외(2002)의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주장 훈련”을 기본으로 지체부자유 중학생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기주장훈련의 집단 활동은 8주간, 주 2회씩 총17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통제 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고 사전 .사후 검사는 실험 집단과 같이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아영·차정은(1995)의 것을 김아영이 번안한 자기효능감 검사 24문항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여, 자기주장훈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기주장훈련은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자기주장훈련은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자신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자기주장훈련은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자기조절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자기주장훈련은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과제난이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 자기주장훈련은 지체부자유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향상에도 효과적이므로 특수교육의 현장에 적극 도입되어 다양한 집단에 널리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lf-assertion training on the self-efficacy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re are two subjects related to the question, 'Will the students practicing self-assertion training improve their self-efficacy more than the students not trained?' First, examine the effects that self-assertion training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Second, investigate the consequences affecting the improvements of three sub factors ;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difficul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8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attending H special education school in Busan. All of them have the abilities to read and write letters, and express words. They are divided into 2 groups ; 9 random sampling students(6 boys and 3 girls) in a experimental group, 9 students(6 boys and 3 girls) in a controlled group. The program of self-assertion training is modified and applied to this experiment with reference to data of Han Hye Jin(2002) and Lee You Hoon et al.(2002). A collective activity for experimental group with the program of self-assertion training is made progress for 60 minutes each time and it is carried out twice a week, totally 16 times during 8 weeks. Within the same period of time, there is no operation on controlled group. Both groups are examined with pre-test and post-test.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Kim A Young is used as a tool of assessing self-efficacy. After acquiring a standard deviation and an average from pre-test and post-test, the program of self-assertion training is investigated with t-test wheth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or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First, the self-assertion training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Second, the self-assertion training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s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difficult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self-assertion training takes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difficulty. The results are suggestive of putting in practice for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various collectives to recover self-confidences and advance abilities of expressing their thinking or fe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