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체부자유학생의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박진만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일련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지체부자유 학생을 대상으로 특수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학습자 측면에서 학생들의 기대를 규명하여 특수체육교사와 학생 간의 보다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체육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현직 특수체육교사의 체육교육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수립으로부터 자료수집, 자료분석, 분석결과 및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규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특수학교의 학생들 중 지체부자유학들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알아보기 위하여 김기섭(2001), 이현주(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 중 본 연구와 관련된 것을 수정보완 후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본 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α = 0.895 로 매우 신뢰할 만한 설문지로 나타났다. 회수 된 설문지중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완성된 자료를 통계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문제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의 역할 기대의 차이에서 성별, 학년, 가정형편, 주거형태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의 역할 기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의 차이에서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중 재활, 교육지도, 사회인성, 운동건강, 동기기회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지식에 대한 차이로써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의 역할 기대에 대한 차이에서는 장애유형(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장애, 변형장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 중 지체부자유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다른 장애별(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등)과 다른 지역별로 확대시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체부자유 학생의 변인 중 장애유형뿐만 아니라 장애정도에 따른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되기 위해서 특수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그리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비교ㆍ분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urrent conditions for handicapped students and the rol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play in helping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The paper serves to present related reports and facts that will help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students and their teachers, thereby bettering the current condition handicapped students face. The research for this paper was done primarily through the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of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Furthermo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valuative forms filled out by 200 students from a school for kids with specials needs located in GyeonggGi-Do In order to determine the expected role of th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the researches utilized several investigative tools including a few revised questions from the research questionnaire of Kim Ki-Sup (2001) and Lee Hyun-Joo (2004). The researches also utilized Cronbach's a=0.895 standard index as a measurement of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y excluded results that they deemed untrustworthy; the remaining completed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known as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2.0 Additionally, in order to determin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to percentage were calculated. Furthermore, in order to ascertain the role disabled students expected from their PE teache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y and family environment, the researches employed the t-text and One-way ANOVA. The result they obtained through such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PE teacher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across gender, grade, family situation, and home environment. Secondl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the expectation placed on the PE teachers varied in terms of rehabilitation, educational instruction, social behavior, physical training, and similar opportunities. When it came to knowledge,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expectation. Thirdly, different expectations accompanied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such as amputated handicaps, joint handicaps, limb handicaps, and handicaps who have a combination of all three. The following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losely examine the varying expectations these handicapped students have towards their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based on their results, they presen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this research only used data collected from handicapped students in a school in GyeonggGi-Do , however, for more accurate results, th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other disables students (i.e students who are blind, deaf, or mentally impaired) of other areas. Secondly, research that focuses not only on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different handicap types, but also on the degree of a student's disability is needed. Thirdly, for a more in-depth research report, there needs to be detailed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felt by the students towards the teacher's role.
지체부자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의 특성 및 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는 지체부자유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 개념의 특성 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자각된 자아 개념의 하위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 고 있으며,지체부자유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 개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에 있어서,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북에 소재하는 특수학교와 시설에 있는 지체부자유 학생 55명으로 하였다.연구도구는 대상자가 지각하 는 사회적 지지를 평가하기 위해 Dubow와 Ullman(1989)이 개발한 사회적 지 지평가도구(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SSAS)를 한미현(1996)이 수정 보 완한 것을 사용한다.자아개념 검사는 자아 개념의 인지 내용의 평가를 위해 이훈진(1997)이 개발한 자기 보고형 검사이다.본 연구에서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연구의 목적에 따라 지체부자유 학 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개념의 특성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백분율,t검증,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상관분석 등의 기 술적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지체부자유 학생 사회적 지지의 특성은 변인별로 차이가 없다.다만 학 교급별에서 중학부가 고등부에 비해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소 높은데 그 중에 서도 교사 지지를 높게 자각하고 친구 지지를 낮게 자각하고 있다.성별에 의 한 사회적 지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다.지체부자 유 학생들은 사회적 지지에 있어 교사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데 하루의 대부분을 지내는 학교생활에서의 교사와의 관계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친구 지지를 낮게 자각하고 있음은 긍정적인 또래관 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있어서 접근이 쉽지 않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대인 관계에 어려움이 있다는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지체부자유 학생 자아 개념의 특성은 변인별로 차이가 없다.다만 학 교급별에서 중학부 학생은 신체적 자아,도덕적 자아가 고등부 학생보다 높다. 경제수준별에서는 중류가정의 학생이 상류가정의 학생보다 자아 개념이 높다. 셋째,지체부자유 학생 사회적 지지 및 자아개념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이 다.사회적 지지를 높게 자각할수록 자아개념은 긍정적으로 유지된다.지체부 자유 학생들은 친구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자각할수록 사회적 자아가 높고 가족 지지에서는 성격적 자아,가정적 자아,사회적 자아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사 지지에서는 가정적 자아,사회적 자아,능력적 자아가 정적인 상 관관계가 있다.자아 개념 전체에서는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가 높게 나타나 고 있으며 친구 지지가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the relational analysis for the social supports and self-concept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Study object did with 55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facilities and special school having to Daegu and Kyungbuk in Korea at study ways. and the study tool uses that Han Mi Hyeon(1996) modifies, and supplemented the social support evaluation tool(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 SSAS) which Dubow and Ullman(1989) developed in order to evaluate the social support that the object is late for. and a self-concept inspection is own report inspection that Lee Hun-Jin(1997) developed for evaluation of cognition contents of a self-concept. Statistics used to study is SPSS 12. Data analysis used frequency analysis, a percentage, t verification, a statistical way memberses technical such as variate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a social supports socia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woke high to a teacher support, and awoke low to a friend support, and the boy students were very experiencing a social support more than girl students.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student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self-concept was low the character self, the domestic self, the ability self, the physical self, and the physical self, the morality self appeared higher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 and a self-concept was higher a middleclass family students than upper class family students. Third, the social supports and the self-concept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static correlation.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체육수업 어려움 해결하기 : 근거이론적 접근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체육수업의 어려움 해결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5개 지체부자유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 8명(남자 6명, 여자 2명)이 연구참여자로 참여하여 6개월 동안 심층면담, 참여관찰 그리고 문서 수집을 통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적 접근으로 분석하여 개방 코딩, 축 코딩 그리고 선택 코딩을 실시하였다. 개방 코딩 결과 73개의 개념을 발견하였고, 이를 다시 25개의 하위 범주와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개방 코딩 결과를 바탕으로 축 코딩을 실시하여 나타난 중심 현상은 ‘체육수업의 어려움’이었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과적 조건으로 ‘체육수업 준비’, 중재적 조건으로 ‘학교 방침’, 맥락적 조건으로 ‘학생들의 장애 수준’,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어려움 해결 노력’ 그리고 결과로 ‘체육수업의 변화’가 나타났다. 축 코딩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바탕으로 선택 코딩에서 범주의 속성과 차원을 찾아본 결과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체육수업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유형은 ‘혼자 해결하기’, ‘함께 해결하기’ 그리고 ‘함께 나아가기’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유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혼자 해결하기’의 경우 지체부자유학교에서 새로운 학기 가 시작되기 전에 체육수업을 준비하면서 역시 체육수업의 어려움을 겪는다. 학생들의 장애수준은 중도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학교에서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교육과정이 아닌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기본교육과정을 사용한다. 교사가 작성하는 수업 지도안이나 I.E.P.는 수업과 일치하지 않아도 되는 자율적인 학교 방침이 작용한다. 이러한 학교 방침이 적용되는 학교의 학생들은 장애로 인한 움직임의 부자연스러움이 있으며, 이러한 학생들을 위한 체육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는 내용선정과 지도방법의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교사들은 중도의 지체부자유 학생들이 할 수 있는 수업 내용을 찾기 위하여 인터넷을 서핑하거나 전공서적을 뒤적이며 자기 스스로 자료를 찾아 체육수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알맞은 내용들을 찾아내어 체육수업 후 학생들이 즐겁게 체육수업에 참여하며 점차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고,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체력이 점차 향상되고 학부모가 체육수업에 보조자로 참여하는 등의 체육수업 후 변화가 많이 나타난다. ‘함께 풀어가기’의 경우 지체부자유학교에서 체육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교사는 학기 가 시작되기 전에 체육수업을 준비하지만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부족과 적절한 수업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지 못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학교 방침은 학생들의 장애 수준이 중도라 할지라도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도록 하며, 수업 지도안과 I.E.P.는 반드시 수업과 일치해야 하는 학교 방침을 적용한다. 학생들의 이동이나 체육수업 전 교구 운반 등의 체육수업과 관련된 많은 사항들을 반드시 준수하도록 학교 방침이 정해져 있다. 더욱이 장애수준이 중도인 학생들의 부모는 학생의 물리치료나 병원진료, 약물로 인한 피로함과 졸음 등으로 인하여 체육수업에 참여하지 않기를 원하는 부정적인 태도가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들은 동료교사들이나 동문 등 주변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이러한 학교 방침 속에서 학부모들의 부정적인 태도와 중도의 학생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체육수업 관련 자료와 내용들을 찾으며 어려움들을 하나씩 풀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정적인 태도가 크게 변화하지 않아 체육수업 후 변화가 작게 나타난다. ‘함께 나아가기’의 경우 지체부자유학교 체육수업에 대하여 처음부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학생들의 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학기 가 시작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체육수업을 준비하지만 지체부자유 장애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지체부자유 장애 학생들과 체육수업을 해본 경험이 부족하여 체육수업의 어려움을 겪는다. 학생들의 장애수준이 경도이고, 학생과 학부모의 태도가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난다. 교육과정이나 수업 지도안 및 I.E.P.의 실제 체육수업과의 일치 여부는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에 맡겨 교사의 자율성을 많이 보장해주는 학교 방침이 있다. 이러한 경우 교사들은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학생들이 요구하는 체육수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기 스스로 자료를 찾아보고 교구를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변형을 시켜본다. 또한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적용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성공의 기회를 보다 제공할 수 있는 체육수업을 실시하게 되어 교사가 가르치기만 하는 체육수업이 아닌 학생들의 과제 참여 및 성공 경험 위주의 체육수업이 이루어진다. 과제 성공을 경험한 지체부자유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더욱 즐거운 태도로 참여하게 되어 보다 많은 태도의 변화가 나타난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lving proces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hool for physical impairment. To achieve the suggested purpose of this study, 8 teachers teaching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6 males and 2 female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who are working in school for physical impairm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s during 8 months from April to November.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the approach of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 Corbin(1990). The subject was deduced from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ed coding. And also, 73 concept were deduced through the open coding and 25 subordinate categories, and 6 categories. The main phenomenon through axial coding stands on result of open coding. And then, after the selected coding stands on the results of the axial coding were of the major phenomenon ‘difficulti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causal condition was ‘prepa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tervention condition was ‘policy of school’. Contextual condition were ‘level of disabilities with students’. Action/interaction strategy were ‘effort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ose result were ‘chang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Lastly, selective coding data were analyzed by finding out core category, writing down story outline, inducing relation of category focusing and conditional matrix analyzing patterns.. The patterns of settle a problem on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solving alone’, ‘solving together’, and ‘improving together' by selective coding in school for physical impairments.
지체부자유학교의 진로교육은, 학생들의 자신의 적성·능력·특수한 요구에 따라 진로를 선택·추구하여 직업적·경제적 자립과 성인으로서의 독립적인 삶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지체부자유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지체부자유학교에서는 이러한 진로교육의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진로교육체제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체부자유학교들은 이러한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진로교육체제를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써 개인의 능력과 요구에 맞는 진로를 확립시켜주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체부자유학생의 직업적·경제적 자립과 독립적인 성인생활에서의 문제를 야기 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인식을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지체부자유학교에서 정립되어야 할 진로교육체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진로교육의 기본 이론을 살펴보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지체부자유학교의 진로교육체제의 평가 모형을 정립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의 모형에 따라 현행 지체부자유학교 진로교육체제의 문제를 진단·분석하였다. 그 다음에 조사 연구를 통하여 지체부자유아의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와 실태를 알아보았는데, 나타난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지체부자유학교에서는 학생의 진로확립적 차원에서의 진로교육이 실시되지 못하고 있음과 이에 따라 구체적인 진로지향적인 교육과정의 조직·운영, 교육계열의 분화 및 내용체계 등이 지체부자유학생의 능력·요구에 맞게 구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헌 및 조사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분석·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론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지체부자유학교에서 정립하여야 할 진로교육체제는 다음과 같은 속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첫째, 진로인식, 진로탐색, 진로평가, 진로준비, 이행기교육, 추수지도의 단계 순으로 일련의 절차를 거쳐 진로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진로교육의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의 조직 및 운영, 진로선택 및 조정활동, 교육계열의 조직 및 운영을 개인의 적성·능력·요구에 맞도록 하여야 한다. 세째, 학교교육의 단계에 따라 진로확립적 차원에서 진로교육의 내용을 구성·운영하여야 한다. The fundamental goal of career education for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is to maintain the vocational, financial self-reliance and independent life as an adult through establishing their career in accordance with personal ptitude, ability and special needs. Therfore, the physically handicapped school has to have career education system to carry out the goal of career education. But, most of handicapped school don't have concrete career education system even though those school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at. That's why It is not easy to settle the suitable way for their ability and needs. Consequently,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vocational, financial self-reliance and independant adult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areer education system that has to be arranged in the handicapped schools through recognition of current career education problem.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Looking into a basic theory of career education through making a study of literature. Second, Arranging the assessment model of career education system in the handicapped schools. Third, Diagnosing and analyzing the problem of career education system performing at present in those schools. Fourth, Researching the needs about the career education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through making a study education as a settled dimension couldn't be operated. Therefore,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the differentiation of major course, and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system were not suitable for the ability and needs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In the future, The career education system of physically handicapped schools have to arrange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system of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needs some procedures. Namely, a career awarness, career exploration, career assessment, career preparation, transitional education, follow-up. Second,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career education procedures, constitute and operate career education curriculum, career education class, career choice and mediate activity, to fit with personal aptitude, ability, and special needs. Third, according to educational progressing system, constitute and operate contexts of career education to establish personal career.
지체부자유아동을 위한 학습용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자세유지와 이동을 겸한 책상과 의자를 중심으로
장동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우리나라 장애인의 수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그것은 장애에 대한 편견으로 장애인 스스로가 장애등록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2001년 미국의 장애인수를 보면 5400만 명으로 미국 인구의 20%에 달하는 수가 장애인이다. 그러나 한국의 장애인은 전체인구의 3.09%에 불과하다. 이는 미국의 장애인 숫자가 한국에 비해 7배나 높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결코 우리나라에 장애인이 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이것은 국가간의 장애 인식과 장애 범주, 장애인 재활과 복지법 등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제도상의 상이함에서 오는 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특수교육 대상자인 지체부자유 아동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특수학교 등에서 교육을 받는 문제에 있어서도 사회적 인식과 제도상의 무관심으로 인한 불편함과 이에 따른 장애요소가 발생되고 있다. 많은 불편함 중에서도 가장 일차적인 장애요소는 학습 상에서 오는 장애가 가장 큰 문제이고, 이는 아동개개인의 신체 특성뿐만 아니라 그 신체를 지지하고 의지하는 가구의 부적합함에서 오는 문제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특히 장애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가구에서의 학습은 지체장애아동의 교육적 목표달성을 저해하고 아동의 성취감을 좌절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지체장애아동을 위한 가구는 선택이기보다는 필수임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한 일반적 고찰과 학습용 가구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통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여 지체부자유 아동을 위한 학습용 가구 디자인을 제안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개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I 장 본 연구는 5세∼12세의 학령기의 지체부자유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습용 가구를 연구하였다. 본고에서는 아동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한 자세유지와 이동을 겸한 책상과 의자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 Ⅱ 장에서는 지체부자유아의 정의와 분류 및 실태를 파악하고 신체특성을 고찰하여 지체부자유아용 가구의 필요성을 통하여 가구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제 Ⅲ 장에서는 지체부자유아의 학습현장현황과 국내·외 학습용 가구의 현황을 실태조사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 Ⅳ 장에서는 앞장에서의 문제점 분석을 바탕으로 지체부자유 아동에게 적합한 학습용 가구의 디자인을 위해, 디자인 요소 중 가변성, 다목적성, 분산성, 자립성, 이동성, 안전성을 중심으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 V 장에서는 앞장의 디자인 방향을 바탕으로 장애아동에게 적합한 디자인을 전개하여 제시하였다. 제 Ⅵ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지체부자유 아동은 개별설계와 개별제작이 필요하며, 신체 사이즈에 맞출 수 있는 조절기능을 통해 신체 특성에 적합한 가구를 개발 할 수 있다. 둘째, 성형제작기법을 이용한 Inner seat와 Component system의 착탈을 통해 장애아동의 신체에 적합한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셋째, 지체 부자유아동들도 대부분 보통 의자를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학교와 가정생활에도 어울릴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이 좋고, 재료의 선택폭을 다양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장애아동의 신체발달에 적합한 가구의 개발로 발달단계에 맞는 가구를 구입하여 발달시기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면, 장애아동의 장애변형 정도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다.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가구에 대한 개발투자와 전문인력 양성 등 정부의 적극적인 복지정책이 절실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용가구의 연구개발은 디자이너 한사람의 노력만이 아니라 의사, 치료사, 디자이너, 제작자 등이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서로 협동하고 노력해야 한다. 더욱이 정부는 장애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아동에게 많은 관심을 가지는 국가적,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The exact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Korea is unknown.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above mentioned is that there are many challenged people who refuse to register accordingly due to the stereotypes and prejudice against the challenged people in Korea. When the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the US is examined for the year 2001, 20% of the US population, that is, 54 million people, is registered as challenged people. However, in Korea, challenged people supposedly comprises 3.09% of the Korean population. The above mentioned signifies that the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the US is seven-fold compared to Korea. However, anyone can tell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is limited number of challenged people in Korea. Instead, this large gap in the official statistics i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allenged people between nations, the scope of disability, and differences in the policies pertaining to the restitution of challenged people and their welfare. Given the above mentioned situation, inconveniences and impediments result during the educational process at the house of children and special schools for the challenged children due social perception and policy negligence. Among many inconveniences, the most pressing one is the impediment of learning capability due to disability, which is caused not only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hild, but due to the inappropriateness of the furnitures that support the bodies of these children. Perhaps the latter is a more serious problem. In particular, learning while using the furnitures that do not factor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llenged children impede attain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by the challenged children, and they become a factor that cause decrease sense of achievement in the mind of challenged children. Due to the reasons mentioned above, it is critical to perceive furnitur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as an essence, and not much as optional.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recommend designs for the furnitur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by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esign based on a close examination of current status and realities based on the study of related literatures and on the identification of problem area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es on the subject matters of the present research and an overview of the research. Chapter Ⅰ of the present research conducted research on the furniture for the education of challenged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ive to 12. The main text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hair and desk for the maintenance of posture and easy movement, considering the physicall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hild. Chapter Ⅱ examines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challenged children. Moreov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 is examined in detail and the types of furniture were examined based on the need for furniture, fit for the challenged children. Chapter Ⅲ identified the realities and current status of furniture, both in Korea and overseas, 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field intended for the challenged children. Problem area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bject matters of the research. Chapter Ⅳ leveraged the problem areas that wer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chapt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to ensure effective design of educational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The above mentioned direction was developed, centered on the following design factors - variableness, multi-purpose, dispersibility, independence, and safety. Chapter Ⅴ recommends desig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hallenged children based on the direction of design, suggested o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Ⅵ summarized the conclus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s follows. First,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need separate design and production, and it is possible to develop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allenged children by leveraging function that can adjust according to body size. Second, production of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body of challenged children is enabled based on the use of inner seat that uses formative production method and based on the detachment of the Component system. Third, simple design that is suitable for both school and home is recommended since most of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can also use regular chai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cope of materials is also recommended. Fourth, if it is possible to purchase furniture that is appropriate for each stage of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use it accordingly, the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evel of change in their physical composition to a minimum. Therefore, investment into the development of furniture for the challenged people and cultivation of specialized personnel require active welfare policy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Likewise, doctors, therapists, designers and manufacturers in addition to designers should cooperate together within a single system to actively engage in R&D pertaining to the educational furniture.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national and policy level consideration for the children so that their level of disability can be mitigated.
일반학생과 지체부자유학생 성교육 실태와 성지식 및 성태도 비교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x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ex life in adolescent student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school difference, type of disability, and degree of their knowledge on sex in order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 which is efficient and tailored to meet students' need and type of disability. To persue the goal of this study, 185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do not have mental disability, and can respond to the questions in written form on their own, can read it alone, write alone, from 10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led from 10 different province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422 normal students from 4 different schools in Busan were involved in this study for comparison. Questionnaires used in previous researches were devised by researcher of this study to meet the goal of this study and were tested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Questionnaire turned out to be valid and reliable enough to produce valid and reliable data for use, indicating that Cronabch Alpha is .813. For analyzing the data, t- test, MANOVA,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al coefficient were used. T-test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degree of sex knowledge i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and without disability and in terms of their sex. MANOVA has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sex attitude. ANOVA has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sex knowledge and sex attitude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y. Along with ANOVA, Scheffe post hoc multiple tests have been used to pinpoin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find out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sex attitude and sex knowledge.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re is slight difference in sex knowledg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Female students' scores are a little bit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knowledge among school difference and type of disability, indicating that this results reflect that there is no sex education program that tailored to the need of students.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ttitudes toward sex among students according to sex, school difference, and type of disability while there is difference in sex attitu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udents' sex knowledge indicating that sex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be developed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Thir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sex knowledge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scores of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ttitude toward sex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hile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sex knowledge of students with other disability and those of behavioral attitude toward sex of students with other disability. Forth, there is difference in sex knowledge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y, indicating that scores in sex knowledge of students with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y. There is also difference in sex attitude in general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physical disability, indicating that scores in sex attitud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y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 disability. It reflect that students with disability came from different environment and background from normal students' background. When sex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is being developed, these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s.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학교 전환교육에 관한 실행수준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전환교육의 최상의 실천사항에 대한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동의 정도, 실천 정도 및 실행역량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지체부자유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통합되고 특수교육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보다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2012년 전국 18개 지체부자유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고등부 및 전공과 교사 175명을 선정하였고, Likert식 5점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천인식 수준과 실행역량의 각 요소는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적용하였고, 실천인식 수준 간의 차이는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실행역량 간의 관계 및 실천인식 수준과 실행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는 전환교육에 대한 동의 수준이 실천 수준 보다 더 높다. 둘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환교육 실행역량은 보통 수준이며, 전환교육 실행역량 요인들은 상호간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셋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환교육 실천인식 수준과 실행역량 간의 관계에서 실행역량은 동의 수준보다 실천 수준과의 보다 긍정적 관계가 존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체부자유학교의 효율적인 전환교육 실행을 위해 실천사항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면담이나 관찰 등 질적 연구를 통해 전환교육에 관한 본질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환 사정 및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의 효율성 제고와 전환교육의 실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기 위한 분석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reement, practice, and implementation capacity level of teachers at a special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best practice of transition education in order to specifically figure out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at such schools. The study thus aimed to propose methods and direction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be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the community and for special education to make more direct contributions to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The subjects include 175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post-secondary teachers at 18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across the nation in 2012. They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on a 5-point Likert scale.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were applied to each element of practice recogni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capacity. Differences in practice recognition levels were t-teste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connections between implementation capabilities and between practice recogni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capabilities.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had a higher agreement level for transition education than practice level. Second,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had an average level of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education and exhibited mutual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implementation capacity factors of transition education. Finally, as for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s' practice recogni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education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implementation capacity had more positive relations with the practice level than the agreement level. Future study needs to make more specific and various approaches to the components of practice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ransition education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It is especially required to address the true nature of transition education, identify its problems, and search for their solution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interview and observation. Analytical researches are also nee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ition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ning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ransi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