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사회복지 실천사례를 통한 기독교사회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강희동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27

        교회를 바라보는 사회적인 시선이 왜곡되고 있는 현상에 대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많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교회가 사회복지를 바라보는 관점은 교회의 선성장후복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예수님이 통전적으로 복음을 전하신 뜻을 놓치는 데서 나온 소치라고 본다. 즉 복음은 영혼을 구원하는 일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필요한 부분도 함께 돌보는 것이므로, 교회는 “생명을 얻고 더 풍성히 얻는” 복음의 통전적 사역을 담당해야 한다. 교회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할 때에 복음을 통전적으로 실천하는 복지목회철학을 가지고, 나누고 섬기려는 목회자의 기본철학이 중요하므로 대형교회나 미자립 교회를 막론한 사회복지의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은 구약성경에서는 가난한 자와 과부, 빚진 자와 외국인과 레위인을 돌보라는 말씀에서, 신약성경에서는 공동체의 구성원이 된 성도들이 교제와 봉사, 집사제도 등을 통해서 증거하고 있다. 게다가 선교의 역사를 통해서 보면 세계 제1, 2차 대전과 함께 격변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대처를 하고 돕도록 담당했던 기관이 교회였다는 역사적 사실이 있다. 또한 교회는 지역이라는 곳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지역의 상황을 바르게 알고, 그 지역의 어려움을 함께 도우면서 사람들을 구원하는 사역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회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교회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독교사회복지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닐 길버트와 폴 테렐의 사회정책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교회의 현실에 맞도록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한 구성 요소인 대상, 내용, 방법, 재정체계 등에 대해서는 교회 담임 목사와 사회복지 사역자들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하는 것으로 하여 ❮부록Ⅰ❯의 내용으로 면접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지역이나 교파, 대형교회나 소형교회를 초월하여 10교회를 비확률표집 방법 중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사례를 분석하고 정리를 하였다. ⦁할당체계는 10개 교회가 공히 교회의 복지실천에 기인하여 복음을 전하려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기에 교인이나 지역의 주민을 신불신(信不信)에 따라 구별하지 않고 원하는 이들에게 열려진 프로그램으로 운영을 하고 있었다. ⦁급여체계는 현물급여와 현금급여로 하고 있었다. 정부의 지원을 받아서 운영되는 사회복지적 프로그램과 각 교회의 형편에 따라서 지역의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면서 나누려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었다. ⦁전달체계는 전문성을 가지고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정부에서 정한 법규대로 운영을 하는 사역과, 비전문적으로 교회의 형편에 따라서 운영을 하지만 지역의 어려움을 가장 잘 이해를 하는 교회와 목회자가 전문 사역에 준하여 운영하는 사역이 있었다. ⦁재정체계는 조사대상의 교회들이 정부의 복지 정책에 따른 지원을 받아서 운영을 하고 있었다. 그 지원 외에도 각 교회가 예산의 10% 전후를 복지사역을 위해서 지원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교회들이 해당 지역에서 인정을 받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좀 더 나은 복지실천을 위한 계획을 가지고 노력을 한다는 담임목사와 사회복지 담당자들의 견해를 들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연구결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이 복음전도와 함께 해야 한다. 선성장후복지가 아니라 통전적인 복음의 실천에 두어야 한다. 둘째, 교회는 지역의 형편을 고려하여 실천해야 할 부분을 찾아야 한다. 교회는 지역의 상황을 가장 잘 아는 곳이다. 그러므로 지역과 함께 공동체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상식선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하기 보다는 전문적으로 실천하도록 해야 한다. 교회의 상황에 맞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선택은 당회에서 하지만 실제의 운영은 사회복지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넷째, 교회는 총체적인 안목을 가지고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한다. 지금은 어려운 부분들이 있지만 거시적인 안목으로 보면 결국은 미래의 일꾼을 키우는 일이다. 다섯째, 클라이언트의 필요한 부분도 채워줘야 하지만 미래의 소망을 심어주는 복지사역이 되어야 한다. 당면한 물품제공도 중요하지만 스스로 자립을 하도록 해야 한다. 자매결연 등을 맺어서 지속적으로 도와야 한다. 여섯째, 교회가 사회복지 정보를 나누는 정보센터가 되어야 한다. 지역의 어려움을 겪는 이들은 해결방안을 모르거나 나타내기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구역의 구역장이나 교역자가 심방을 하면서 어려운 이들을 발굴하고 찾아가서 섬겨야 한다. 일곱째, 목회자가 복지목회의 마인드를 가지고 사회복지에 대한 홍보대사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교인들에게도 복지를 교육하고 지역주민들에게도 사회복지를 교육하여 지역의 모든 이들에게 복지적인 삶을 실천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회사회복지의 실천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향후 양적인 실증적인 조사연구를 통하여 교회의 교회성장

      •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개신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희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활동에 관련된 개인특성 및 기관의 관리 요인들을 파악하고, 특히 이들이 지속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앞으로 교회 자원봉사활동의 지속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이 지속도 및 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중요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교회와 연계되어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서울지역 사회복지관 12개소, 노인복지관 2개소의 자원봉사자,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지는 5개 교회의 자원봉사자 그리고 K구(區)교회복지연합회 소속 자원봉사회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우편조사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276부의 설문지 중 무응답, 불성실한 응답 및 늦게 도착된 설문지 등으로 인해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34부를 제외한 총 242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인 지속도(봉사활동기간, 앞으로 봉사활동 가능기간)와 참여도(적극성 정도, 활동 빈도, 1회당 투입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개인특성요인(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생활수준, 봉사활동유형, 종교적 동기, 봉사활동경험,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봉사활동의 만족도), 가족요인(가족의 이해), 교회기관요인(담당부서의 유/무, 자원봉사자 교육의 만족도, 목회자의 인식, 교회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인식), 사회복지기관요인(배치 및 업무부여, 보수교육, 지도감독, 인정과 보상)등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0.0 for Win을 이용하였는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인 지속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개인특성요인은 지속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다른 어떤 변인보다도 연령이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봉사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봉사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종교적 동기 중에서는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는 동기가 강할수록 그리고 생활수준은 낮을수록 지속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2. 가족요인으로 가족의 이해는 지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참여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일단 참여 후에는 개인특성요인이 통계적으로 보다 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3. 교회기관요인으로 전담관리부서의 유/무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복지기관요인 중에서는 배치 및 업무부여가 정적 영향을 나타내며, 보상의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치 및 업무부여는 잘 이루어질수록 지속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보상의 만족도는 만족 수준이 낮을수록 지속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개인특성요인은 참여도에 정적 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사회의 관심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봉사활동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지속도와 참여도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적 영향을 나타내지만, 그리스도인의 의무로 하는 경우와 복을 쌓기 위해서 참여하는 경우는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전문분야 자원봉사자는 단순노력 자원봉사자보다 참여도가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요인으로 가족의 이해는 참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참여도에 가족의 이해나 호응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3. 교회기관요인 중에서는 전담관리부서의 유/무가 참여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전담관리부서가 있는 것이 교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봉사활동 필요성 인식이 참여도를 높이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복지기관요인은 정적 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배치 및 업무부여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도감독이 적절히 잘 이루어질수록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상의 만족도는 지속도와 참여도 모두에 공통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 중에서 지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들을 고려한 최종모델에서 지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봉사활동 경험,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종교적 동기 중에서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고 하는 경우, 생활수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연령과 봉사활동 경험은 다른 어떤 변인보다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연령이 많을수록, 봉사활동경험이 많을수록,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종교적 동기 중에서 교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본이 되려고 하는 동기가 강할수록 지속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 중에서 참여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특성요인, 가족요인, 교회기관요인, 사회복지기관요인 등 모든 요인들을 고려한 최종모델에서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그리스도인의 의무라서, 다른 사람을 섬기는 훈련을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 지역사회의 관심, 배치 및 업무부여, 지도감독, 봉사활동의 만족도, 사회복지기관의 인정과 보상의 만족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지역사회의 관심과 봉사활동의 만족도, 종교적 동기 중에서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가 다른 어떤 변인보다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교적 동기 중에서 그리스도인의 의무로, 다른 사람을 섬기는 훈련을 위해, 복을 쌓기 위해서 활동하는 경우와 사회복지기관의 인정과 보상의 만족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가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는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차원에서 지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 양육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운 연령에 속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신규 모집하여 교육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자원봉사자들 즉,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봉사활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인들에게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하며, 업무 배치에 있어서 능력과 재능을 고려하고, 또한 자원봉사자를 통한 자원봉사자 모집으로 친분이 있는 동료들과 자원봉사활동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관리함으로써 지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주신 재능이 있음을 깨닫게 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촉진시키며, 지역사회에 당면한 각종 지역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효과적인 교회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의 방향과 초점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that will raise the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that certain factors have on the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namel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volunteer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and identifies the key variables influencing maintenance and participation level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following from the above research thesis, a mai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evaluative questionnaire. The respondents included twelv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ollaborating with local churches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volunteer workers at two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volunteer workers at five churches engaged in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and members of the K District chapter of the Church Welfare Union. A total of 276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and excluding 34 questionnaires from respondents who replied insincerely, belatedly, or not at all, and thus unusable as statistical data, a total of 242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have been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intenance level is diagnosed in terms of duration of volunteer service and estimated duration of prospective volunteer service. The participation level is diagnosed in terms of degree of activeness, frequency of activity, and time spent per round of activity.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factors have been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 personal characteristic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standard of living, volunteer work type, religious motives, volunteer work experience,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concern for community, level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 (b) family: understanding of the family; (c) church organization: existence/nonexistence of a managing department, satisfactoriness of the education of volunteer workers, understanding of the clergy,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he church's engagement in volunteer service; (d) community welfare center: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paid education, supervision, recognition and reward. As for the method of data analysis,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A descrip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have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1.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intenance level are as follows: (a)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mong all the factors, age is statistically the most significant in estimating the maintenance level. Also, it is shown that the maintenance level rises according as one has more volunteer work experience, has better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is more satisfied with volunteer work, and among religious motives, has a stronger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and has a lower standard of living. (b) It is shown that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the volunteer worker's family does not have much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It does have an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but once one starts participating, one's personal characteristics becom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c) As for church organizatio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has a negative effect. (d) Among factors rela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has a positive effec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ward has a negative effect. Hence it is expected that the maintenance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the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are more resourcefully carried out and also according as one is less satisfied with reward. 2.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level are as follows: (a)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shown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workers, the factor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level is concern for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the participation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one's concern for community is greater, one's relations with fellow workers are better, and one is more satisfied with volunteer work. Thurs one's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both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And among religious motives, doing volunteer work in order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whereas the motives to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and "accumulate blessings" have negative effects. Furthermore, professional volunteer workers tend to have a lower participation level than amateur volunteer workers. (b) It is shown that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the volunteer worker's family do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This shows that an understanding or positive response of the family is a key factor. (c) As for church organization, it is shown that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the participation level. Hence it is predicted that the existence of a specialized managing department will be effective in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church members. Also, it is shown that recognition of the need for volunteer servi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aising the participation level. (d) Factors rela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Among these, it is shown that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is a factor that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Further, it is shown that the more appropriately supervision is implemented,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level will be.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ward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maintenance level and the participation level. 3.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as follows: Among all the factors having to do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those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age, volunteer work experience,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the religious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 and standard of living. Of these variables, it is found that age and volunteer work experience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ccordingly, it is predicted that the maintenance level will rise according as the volunteer worker is older, has more volunteer work experience, has better relations with fellow volunteer workers, and has a stronger motive to "serve as a model to others as a Christian." 4.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level are as follows: Among all the factors having to do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urch organization,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those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intenance level are the motives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and "practice and serving others" concern for community, placement and assignment of duties, supervision, level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work, and recognition and rewar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Of these variables, it is found that concern for community and the motive to "use the talents given by God"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Variables which have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level are the motives to "perform ones duty as a Christian," "practice serving others" and "accumulate blessings," and recognition and rewar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practical import in regard to planning the management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In order to raise the maintenance level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for community welfa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y for volunteer workers who have prior experience in the volunteer service field to resume volunteer activity, although it is also important to recruit and train newcomers from the age group that is more or less free from the responsibilities of raising children. Also, ample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to church members to engage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the assignment of duties, skill and tale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Volunteer workers should be involved in the recruiting process, so that they have the option of working with close colleagues. In order to raise the participation level, volunteer workers should be made to realize that each has a talent given by God, and they should be motivated to use their talents. They should also be given the opportunity to enlarge and deepen their concerns for various problems afflicting community.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optimal focus and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church volunteer programs.

      • 地方自治團體公務員의 社會福祉意識에 관한 硏究 : 仁川廣域市廳및 市敎育廳一般職公務員을 對象으로

        류만상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thesis describes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wareness of the current social welfare issu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d how the general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not related with 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perceive the welfare policies and influence the welfare policies m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four : 1) to examine how important the social welfare is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2) to examine how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ssess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3) to explore what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re lack of; and 4) to try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in social welfare. To survey the officials' awareness of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irst, I have selected 18 main issues on numerous topics about social welfare system through the Delphi methods. Next, I have conducted surveys with the selected issues and I analyzed the answers, giving the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private welfare workers and public ones. For more organized examination, I analyzed their awareness of social welfare policies with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valuation and the position. I used 1) importance and 2) the central body of responsibility as specified index for analysis of the valuation, 3) status of social welfare and 1) support and 2)response to welfare policy as specified index for the analysis of the position. Afterwards I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each area. I could not completely exclude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cluding demographic features, work environments and assignments. Nevertheless, there is a clear difference depending on where they are engaged in. Overall, private welfare workers turned out to be more interested in social welfare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much more, while public welfare workers have a tendency to be interested only in the issues, closely related with their own work, such as the decentralization. Both groups agreed that communities and government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social welfare. Regarding poverty and wage aid, however, public welfare workers considered self, family and relatives as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while private welfare workers considered a local community and government more responsible. Public welfare workers did not support the aid for the second high class because they expected excessive support would make people too dependent on welfare policies. In contrast, private welfare workers believed that the government aid more for the poverty. The results showed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ublic welfare workers turned out to be passive and observing by answering that they would be observers or talk with coworkers on issues. On the other hand, private welfare workers answered to take group action if necessary, showing that they are more active and responsive to social welfare policies. Taken together, individuality and work environment are influential to the welfare awareness of welfare workers. Where to be engaged in is also one of factors to build up the attitude toward social welfare issues as shown here. In addition, I found that the valuation and the position are organically related. Thus, futur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ections is required to trace the changes of public awareness. The opinions of public and private welfare workers should lead to the balance between them by keeping each other in check rather than the antagonism. I expect my work to provide the basis of welfare policy making which is feasible and practical. The following policy making with reflection of these differences is also highly expected. To the conclusion, this study yielded the following proposals: 1) the social welfare policies should be made to cease the wide income gap; 2) the government should have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join the social services as often as possible in order to help them to build the positive point of view about social welfare; 3) the social welfare ministry has to advertise about the social welfare policies to citizens through mass medias and Internet.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일선 공무원들이 사회복지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이 아닌 신분에서 지역의 사회복지를 바라보는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가 얼마나 중요하며 현재의 상태는 어떠한 문제점 있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의 요구수준을 갖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여 현재의 사회복지의 실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에 대한 중요성을 어느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둘째, 현재의 사회복지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사회복지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다. 넷째, 사회복지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같다. 첫째, 사회복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사회복지 정책에 있어서 사회양극화에 대한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사회복지 담당인력의 충원 문제에 대해서는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일수록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일반 공무원들도 사회복지의 문제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제도가 점차 진행될수록 지역의 재정자립도는 향상된다고 보기 보다는 오히려 각 지역간의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사회봉사활동 유경험자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서 사회복지의 각 분야별 전반적인 복지쟁점에 대해서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의 제고를 위해서는 평소에 사회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공무원들의 상황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현재 상태 인식결과에서는 현재의 사회복지의 상태에 대해서 18개 항목에 걸쳐 전반적으로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집단별로는 평소에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집단의 경우 현재의 사회복지 수준이 실질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반면,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집단의 경우 현재의 사회복지 수준에 대해서 약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집단의 경우 객관적 상대적 평가보다는 언론이나 인터넷 등의 소식에 의한 피상적인 생각을 주관적으로 판단한 결과로 보여 진다. 셋째, 책임주체에 대한 인식결과를 보면 국민연금법의 개정문제, 사회양극화와 불평등에 관한 문제, 복지정책의 방향, 청년실업문제와 비정규직 문제, 최저생계비, 장애인복지 문제, 노인복지 문제와 보건복지 문제는 국가가 가장 많은 책임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지역 간 불균형 문제, 사회복지 인원 충원의 문제, 아동보육정책, 여성복지 문제와 생활보호대상자 문제, 노인요양보험제도 문제 등은 지역사회에 더 많은 책임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분석결과 특이한 사항은 청년실업 문제는 개인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도 전체의 약 20.8%로 나타나서 국가와 지역사회 그리고 개인이 풀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의 궁극적인 책임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책임의 정도에 대해서는 사회봉사활동 유경험자 집단이 무경험자 집단보다 더 책임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회봉사활동 무경험자들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 사회복지의 책임수준도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청년실업 문제, 비정규직 문제, 여성일자리 문제와 같이 스스로 해결해야 할 역할이 많은 문제에 대해서는 자신에게도 일정부분 책임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분야별로 중요도를 보면 아동복지와 노인복지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가정복지는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요구수준은 장애인복지와 노인복지 그리고 아동복지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요구를 하고 있으나 청소년 복지에 대해서는 요구수준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복지수준에 대해서는 여성복지의 수준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공통복지 정책의 수준은 가장 낮게 인식하고 노인복지 또한 열악한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회복지는 완벽하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개인이 상호 유기적으로 보완하여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정책적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 정책의 중점은 사회양극화로 인한 계층간 불평등의 심화를 완화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평소에 사회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공무원들의 상황을 조성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화시켜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 인식제고를 위해서는 언론이나 인터넷 등의 소식에 의한 계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사회복지 행정에 대한 대주민 홍보가 필요하다.

      • 지역사회복지관의 민간자원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복지관의 민간후원금을 중심으로

        김원봉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의 경우 60년대 이후 고도 성장과정에서 누적된 성장과실 분배의 왜곡, 계층간 소득격차의 심화 등의 문제가 80년대 이후 민주화의 진전과 국민의 권리의식 신장에 따라 분배정의의 실현과 복지에 대한 국민적 기대수준이 급상승하였다. 더구나 IMF 극복과정에서의 소외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은 날로 심화되고 있어 사회복지부문에 대한 욕구는 날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사회복지관에 대한 관심도 증대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관은 복지관 본연의 역할인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내외의 자원을 활용하여 저소득층과 일반지역주민의 욕구충족과 지역사회문제해결을 위해 전문복지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실정에 맞게 제공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지역사회복지관은 만성적인 재원부족으로 인하여 수익수업에 너무 치중하고 있으며, 주변 지역환경과 입지여건에 관계없이 대동소이한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서 서비스의 중복과 비효율성이 노출되고 있고,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 시행과 서비스의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어 많은 문제점과 사회적 비판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른 정부의 복지예산이 상승하고는 있다고 하나 급증하는 복지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의 민간자원개발은 필수적이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해결해 나가야 할 당면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의 민간자원 동원 및 활용에 관한 현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함과 동시에 지역사회복지관의 민간자원 확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내에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나타난 문제점들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원사업전담자(전담부서)의 미설치이다. 이는 정부의 열악한 보조금지원으로 인한 인력부족으로 인해 대부분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후원사업전담자의 미설치 및 전담자는 있으나 대부분 1명이 전담하고 있으며 또한 그 전담자가 후원사업 외에 타 업무를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내의 민간자원들의 조직화의 미비이다. 본 연구의 조사에 따르면 기관의 자원조달을 위한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유형은 이사회가 있는 기관이 3곳, 주민동아리가 11곳에 그치고 있어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주민조직 유형이 매우 획일화 되어 있으며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기적인 업무교류를 하고 있는 관공서 및 공공기관과 지역사회 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업의 후원이 잘 이루어 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후원자의 개발 및 관리실태의 문제점이다. 본 연구의 조사에 따르면 전체 25개 복지관 중 19곳(76%)이 후원회조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원자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유형에서도 DM발송과 단체기업체개별 방문, 기관회보나 안내지를 통해 개발하는 방법들이 가장 높게 나타나 새로운 후원자개발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원자관리에 있어서도 후원담당자의 타 업무의 과중과 적절한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후원자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금형태와 후원금규모의 문제점이다. 본 연구의 조사에 따르면 지역사회복지관의 연간 후원금(프로포절지원금제외)과 모금행사를 통한 후원금의 규모가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금사업(행사)의 유형 또한 대부분이 대동소이한 모금사업(행사)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금마케팅의 이론에 대해서도 보통이다와 잘 모르고 있다, 전혀 모른다가 22곳(8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복지관의 민간자원의 확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내에 잠재하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동원하기 위한 후원사업의 전담부서와 직원의 정립이 필요하며 기존인력의 후원 및 모금사업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후원사업에 매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의 배려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내에 상존하고 있는 각종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종교단체, 중·소기업들과의 유대강화와 지역주민들의 지역사회복지관사업의 참여를 유도하여 지역주민스스로가 지역사회복지를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주민동아리의 양성 및 공기업이나 사기업내의 후원회조직,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의 이용자 및 자원봉사자들의 모임을 통한 후원회 조직의 확대와 다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후원자개발 및 관리프로그램의 혁신과 후원자개발을 위한 홍보의 강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사회복지관의 후원금확충을 위한 모금사업(행사)의 다원화와 모금사업의 홍보 및 마케팅의 강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모금사업의 마케팅이론의 적용을 위한 후원사업담당자들에 대한 전문적인 모금마케팅 교육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복지를 증진시키고 지역주민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복지실천의 최일선의 기관인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민간자원의 개발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우선 지역사회의 자원목록을 조사하여 활용 가능한 자원들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복지관이 지역사회복지기관으로서의 이미지를 제고시키는데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후원사업 및 모금담당자들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왜 후원사업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민간자원을 왜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정확히 알고 후원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변화와 기부문화정착을 위한 사명감을 가지고 후원사업에 임해야 한다. Since the 1960s in Korea, in the course of rapid growth, there have been accumulated problems, such as a distortion of distribution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income disparity between social classes. However, as democratization progressed and the nation's sense of entitlement was extended in the 1980s, the nation's expectation for the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welfare system has risen sharply. Moreover, inthe process of getting over the IMF era, the alienated group's relative feelings of deprivation have been growing worse, so that their desire for a social welfare system have been expanding day by day, and their interest toward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which play a crucial part in local welfare realization, is beingintensified. Despite these changes and their primary role of providing specialized welfare programs in order to meet low-income and general residents' desire and to solve local problems using local resources, the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in Korea today are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profitable businesses due to chronic financial insufficiency, and by proceeding almost identical programs only, which are not suitable to the local surroundings, repeated services and inefficiency are being exposed. Moreover, since they are short of specialized experts, they have been criticized of their poor performance i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ffective programs and services. Even though the State budget for welfare is increasing, it is incapable of meeting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welfa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ivate resources of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and this has become a pressing problem that we should seek to solve continuously. Thereup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raising and using private resources, to grasp th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to find out a way to supplement private resources of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For this,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a survey on a general social welfare institutionin Daegu city. The problems obtained and analyz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person (or team) who took exclusive charge of sponsorship project. Because governmental subsidy was insufficient, there was no or usually just one person who was specialized in sponsorship project, and the person tended to take care of another project at the same time. Second, the private resources in the community were poorly organiz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ere only three institutions with a board of directors, and eleven institutions with a resident society. This meant that the types of resident organizations were very limited and inactive. Besides, the support from municipal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companies inside the community was not accomplished properly. Thir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onsors were a problem. According to this study, 19 welfare institutions (76%) out of total 25 had no sponsors, and as for the program types to develop sponsorship, they were mainly sending DMs, individually visiting companies, or using institutional bulletins or leaflets. It was an urgent matter to develop a new program to enlist sponsors. Besides, since the person in charge of sponsorship project had too much workload and there was no proper program, the management of sponsorship was leaving much to be desired. Fourth, the type of fund-raising and its scale were a proble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cale of fund, which was raised by the annual support of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except for proposal support) and fund-raising events, was very small, and the types of fund-raising projects (events) were almost identical. Moreover, 22 institutions (88%) answered that their knowledge in the theory of fund-raising marketing was average, poor, or ignorant. The plans to supplement private resources of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mobilize various resources that arelatent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set a department and staffs who take exclusive charge of the sponsorship project. Also, institutional care is needed to enhance the expertise and tostrive for the sponsorship and fund-raising project by means of training the existing staffs for such projects. Second, by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public institutions, civil organizations, religious groups, and minor enterprises within the community, and by inducing th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welfare projects, it is necessary to achieve community welfare by the local residents themselves. Third, it is needed to extend and diversify the sponsor organizations, by cultivating various resident societies, sponsor groups in public/private companies, and user/volunteer meetings. Fourth, the programs to develop and manage sponsors should be innovated, and publicity activities to develop new sponsors should be intensified. Fifth, in order to supplement financial sponsorship of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fund-raising projects (events) and to strengthen its publicity activities and marketing activities. Sixth, it is necessary to train the staffs in charge of sponsorship projects for professional fund-raising marketing methods, in order to apply marketing theory in fund-raising.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community welfare and to provide local residents of suitable services, the private resources need to be developed and managed systematically at the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thatare the front line of community welfare realization. At the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first of all, they should inspect the local resources list to find outusable resources, and strive to improve their public images as community welfare institutions. Also, the staffs in charge of sponsorship and fund-raising projects should understand the accurate reasons why they need such projects and why they need to develop private resources, and then work on the projects with a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to change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and to establish a sound endowment culture.

      • 지역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전국사회복지관 네트워크 모임 도래샘을 중심으로

        김문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모임 경험의 중심현상과 이를 다루고 조절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이 과정에 관계되는 조건 및 도달하게 되는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실체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은 어떠한가?’로,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사회복지관 네트워크 도래샘’에서 2006년 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활동한 도래샘 담당자로 총 14개 기관 14명의 참여대상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7개 기관 9명의 담당실무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6월부터 2012년 3월까지 포커스 그룹 및 개별면담, 매신저, 전화, 추가방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면담 전에 참여자로부터 서면화 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고, 면담 내용은 녹음한 뒤 그 내용을 녹취하였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하면서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방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른 개념 및 범주화,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으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유형을 분류한 뒤 상황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54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근거자료에 의해 도출된 15개의 범주를 재조합하여 관련성을 보여주는 도래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의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에는 ‘제도적 변화’, ‘똘똘뭉쳐 해결해야 하는 상황’의 2가지 범주로, 중심 현상에는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의 욕구‘의 1가지 범주로, 작용/상호작용 전략에는 ’새로운 기술․지식습득하기‘, ’지지체계 형성‘, ’갈등해결 및 전략경험하기‘, ’인식에 대한 확장 및 전환‘, ’모임의 규정설정‘의 5가지가 나타났으며, 결과는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쉽의 형성‘이다. 맥락적 조건에는 ’사업에 대한 돌파구가 필요‘와 ’조직화사업에 대한 막연한 기대‘의 2가지가 범주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에는 ’공감대의 형성‘, ’자기 성장의 기회‘, ’개별적 기관의 내․외적 환경변화‘가 패러다임의 모형이다. 밝혀진 이론의 개요를 보면 전국사회복지관 네트워크 도래샘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은 ‘모호함과 탐색의 단계’, ‘막막함과 기대감의 단계’, ‘경쟁과 동료의식의 단계’, ‘갈등해결 및 인식전환의 단계’, ‘인식의 의미 및 강화단계’의 5단계로 분석되었다. ‘모호함과 탐색의 단계’에서는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원인이었다.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제도적인 변화와 더불어 지역사회복지관이 똘똘뭉쳐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생겨났다. 이후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지역사회 조직화사업에 관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각 기관에서는 조직화 사업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었다. 한편으로는 지역사회복지관은 외부기관으로부터 정체성에 대한 공격을 받는 상황과 동시에 공격받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연대를 통해 한 목소리를 내면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을 고민하고 해결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모임의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막막함과 기대감의 단계’에서는 ‘모호함과 탐색의 단계 상황’에서의 참여자들에게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에 대한 욕구를 가져오게 하였다. 참여자들은 조직화 사업에 대한 교류가 절실히 필요했으며, 다양한 인맥을 통해 조직화 사업의 모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는 제대로된 조직화 사업에 대한 욕구를 경험하게 하였다. 이렇게 전국 단위 네트워크 모임 도래샘은 초기 4개 기관의 모임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초기 4개 기관은 신규기관 영입에 합의하면서 네트워크의 구조는 12개 기관으로 확대되었으며, 모임의 신규 참여자들은 기관 내에서도 조직화사업에 대한 분위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막막한 조직사업에 대해 소개를 통해 네트워크 활동을 기대하게 되었다. 전국 단위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자들과 참여기관은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되었다. ‘경쟁과 동료의식의 단계’에서는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면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단계이다. 도래샘 담당 실무자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참여하면서 사업에 대한 정보교류와 지속적인 피드백을 주고 받음으로써 조직화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되었다. 활동기관의 구성원들 역시 공동연수라는 기회를 제공받으면서 사회복지사들에게 발표하고 소통하며 서로의 피드백을 받는 과정이 되면서 역량강화가 되어갔다. 직원들은 다른 기관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소통하면서 공유의 방법을 습득하였으며, 기관 내 직원들과 공유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친해지기와 정기모임을 통해 긍정적인 지지와 관계형성, 자신감의 부여로 지지체계를 형성하였다. ‘갈등해결 및 인식전환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게 되었다. 네트워크의 구조가 확대되면서 담당자의 잦은 변경과 간사기관의 역할에 대한 갈등으로 지지부진한 논의 결정에 대한 모임의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참여하는 개별기관에서 모임 후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때 관리자들은 모임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성과에 대한 인식과 모임의 목적이 인식되지 않았을 때의 혼란을 느끼면서 하나의 목표를 만들어가는 과정 중에 모임의 방향성을 검토하는 등 갈등해결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갈등해결과 전략 경험을 통해 인식에 대한 확장 및 전환의 상호작용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렇게 참여자들은 모임의 지속성을 살리기 위해 도래샘 활동은 실무자의 역량강화 모임임을 강조하면서 담당실무자의 변경이 없어야 함을 기관장 모임을 통해 제안하고, 실무자의 잦은 변경시의 패널티를 설정하였다. 또한 네트워크의 자생성 살리기로 일정기간 간의 신규기관 영입과 운영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비슷한 영역끼리 활동과 기관만의 스타일대로 네트워크를 운영하지 않도록 모임의 규정을 설정하였다. ‘인식의 의미 및 강화단계’는 전국 단위 사회복지기관들이 네트워크 초기를 형성하는 마지막의 단계이다. 참여기관들은 참여자의 활동목적을 인식하고 구성원간의 모임의 목적 재확립을 통해 참여자의 인식을 강화하였다. 또한 활동기관 간에 있는 그대로의 인정해주기와 결과물에 상관없이 함께 가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면서 파트너십을 형성하였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제대로된 조직화 사업에 대한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으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 경험의 유형은 ‘합의 진행형’, ‘혼돈 진행형’, ‘합의 중단형’, ‘혼돈 중단형’으로 도출되었다. ‘합의 진행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적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을 강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가 높고 태도는 적극적이며, 파트너십의 형성이 강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에서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에 대한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강하고 태도가 적극적인 유형이다. 참여자들은 전국 네트워크 활동을 하면서 전달체계를 강화하는 방법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촉진자의 역할, 사람과 자원을 연결하는 중개자, 기획하며, 어려움에 부딪히게 되면 함께 해결할 수 있는 방안마련과 지지적인 역할을 제공하였다. ‘합의 중단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적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은 약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가 낮고 태도는 소극적이며, 파트너십의 형성이 약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에서 제대로된 조직화사업에 대한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강하지만, 태도는 소극적인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성장욕구는 강하나 r관의 성장을 요구하거나 도모하지 않는 유형이다. 담당 실무자는 네트워크 활동을 하지만, 기관의 입장을 반영하거나 대변하기에는 그 역할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적극적인 활동보다는 옹호자, 팀 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혼돈 진행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소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은 강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는 약하고, 태도는 소극적이지만, 파트너십의 형성이 강하게 되었다. 이 유형의 참여자들은 기관의 담당으로 와서 활동하는 경우로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활동을 하지 않는 유형이다. 단, 이 유형의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는데 있어 팀 성원으로서의 수용적인 자세를 취함을 알 수 있었다. ‘혼돈 중단형’ 유형의 참여자들은 제도적인 변화에 소극적이며, 똘똘뭉쳐 해결해야하는 상황은 약하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인식강화는 약하고 태도는 소극적이며, 파트너십의 형성이 약하게 되었다. 이 유형의 참여자들은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국 단위 네트워크 활동은 참여기관 및 참여자들의 정보제공과 사업교류가 부재하거나 원활하지 못하며, 동료 슈퍼비전 및 개별적인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네트워크 활동에서 참여자 및 참여기관이 중도 탈퇴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 단위 사회복지관 도래샘 네트워크 초기형성과정에 나타나는 유형은 궁극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네트워크 초기 형성하는 과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초기 네트워크의 경험은 ‘제대로된 조직화 사업의 욕구로부터 참여자의 인식강화와 파트너십의 형성’하는 과정이 실체이론으로 생성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발견한 사항에 대해 이론 및 실천부분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이 네트워크 초기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회고적(retrospective)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이렇게 지나간 여러 과정에 대해 연구 참여자의 주관적 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자체로 상당한 의의가 있다.

      • 결손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의 효과분석

        이상구 명지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 목적은 결손가정 청소년이 참여하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청소년 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서비스의 도움정도가 결손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즉 심리사회적 적응으로서의 자아정체성, 가족적응 그리고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사회적 빈곤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원과 강화를 통한 결손가정 청소년의 적절한 적응 가능성을 모색하고 청소년 복지와 지도의 차원에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하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서비스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결손가정 청소년의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고 사회적응에서 심리사회적 적응, 가족적응 그리고 학교적응 유연성의 관련 요인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하는 지역사회복지관 서비스 도움 정도와 심리사회적 적응으로서의 자아정체성, 가족적응 그리고 학교적응 유연성의 수준이 파악되었다. 조사방법은 성남지역 거주 결손가정 청소년 21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응에서 심리사회적 적응, 가족적응 그리고 학교적응유연성 중에서 상대적으로 심리사회적 적응과 학교적응유연성은 높은 반면 가족적응은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높은 도움 정도를 보인 서비스는 지역사회보호 서비스 중 학교 급식비 및 급식지원과 현금 및 물품후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도움 정도가 결손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 중에서 주로 가족적응과 학교적응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손가정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세 가지 영역인 가족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보호서비스 그리고 교육문화서비스의 하위요인과 사회적응의 세 가지인 심리사회적 적응, 가족적응 그리고 학교적응 유연성의 하위요인별로 낮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나타난 함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는 본 연구결과는 결손가정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응의 향상을 위해서 지역사회복지관의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가 도움이 된다는 설명을 지지해준다. 따라서 빈곤과 가족결손으로 인한 열악한 환경에 놓인 결손가정 청소년이 개인, 가족 그리고 학교에서 결손가정 청소년의 긍정적인 적응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도와주는데 지역사회복지관 개입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게 해준다. 둘째, 실천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결손가정 청소년의 가족적응과 학교적응유연성을 위한 가족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보호서비스 그리고 교육문화서비스의 개발과 확대가 요청된다. 이런 서비스의 개발과 강화는 결손가정 청소년뿐만 아니라 가족 그리고 학교생활을 총체적․장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여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결손가정 청소년의 사례관리 시스템의 제도화와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 地域社會福祉 活性化를 위한 民ㆍ官 協力 方案에 관한 硏究 : 京畿道를 中心으로

        李珌信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지역사회는 사회문제의 장(場)인 동시에 복지서비스 제공의 장으로서 사회복지의 매우 중요한 장(場)이다. 그러나 아직도 전문 사회사업방법론 중에서 지역사회복지가 차지하는 위치가 무엇이며, 그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는 실제 현장에서는 사회복지관 등을 매개로 지역사회복지 사업이 상당히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학계에서 전문 실천방법론을 논할 때 주로 미시적인 임상에 치중하고, 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부족했던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 전문 실천방법의 체계적인 정립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①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고찰과 본 연구의 분석체계 모형을 통해 지역 사회복지가 대두되고 있는 배경과 현실적 조건으로 내외적 변화요인과 지방 자치에 따른 지역중심의 복지단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② 현재의 지역사회복지 문제점과 발전방안으로 첫째, 공공전달체계 둘째, 민간전달체계 셋째, 지역사회 복지재정의 확충 넷째, 자원봉사활동 다섯째, 공공기관과 민간기관과의 연계와 협조 및 조정체계의 구축방안으로 세분화하여 고찰하고, 지역사회복지의 현실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③ 연구의 결과로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민간협력 방안을 제시하여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파트너십 개발과 참여 주체들의 역할을 규정하는 것을 중심과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이론적, 현실적 논거를 통해 전개하였다. 우선 지역사회복지의 배경으로 첫째, 지역사회 및 가족기능의 변화에 따라 가족과 지역공동체가 지니고 있던 복지적 기능이 약화됨으로서 이를 보완하는 사회적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둘째, 복지욕구가 경제적인 면에서 비경제적인 복지 서비스로 옮겨지고 있으며 셋째, 종래의 시설 수용 위주의 복지에서 탈피하여 가정과 이웃과의 정상적 생활 속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복지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점차 인지하게 되었다는 인식하에 지금까지의 사회복지 대책은 계층별 대상 규정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지역사회 복지는 주민생활을 지역사회에서 주민주체로 사회복지를 통합하여 전개하는데 그 특성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문제점과 발전방향으로는 첫째, 공공전달 체계의 문제점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행정체계의 연계미흡과 전문성 확보의 미흡 둘째, 민간전달 체계의 문제점으로 주민의 욕구에 따른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점과 복지서비스 기능의 전달체계의 미흡을 제기하였고, 이의 개선방향으로 주민조직화를 통한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는 몇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심각할 정도로 빈약한 실정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민간자원을 적극 동원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넷째, 자원봉사의 문제로서 자원봉사자의 문제, 자원봉사자 활용기관의 문제, 자원봉사 활동내용의 문제, 자원봉사자 관리체계의 문제, 자원봉사제도의 문제에 의한 자원봉사 자원이 제기능을 찾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의 확립을 통해 자원봉사자의 교육, 그리고 자원봉사의 자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보면 서비스의 직접적인 전달은 주로 민간기관인 사회복지관이 담당하고 있는데, 공공기관과 민간기관간에 서비스의 연계, 의뢰체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서비스 대상자의 욕구에 대응하는 연속적,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공조직과 민간조직간 통합적인 연계체계가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서 민관협력 방안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왜냐하면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주체, 주민참여, 주민협동, 주민운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의 가장 근간이 되는 역할을 해온 것은 공공조직이다. 그러나 공공조직의 재정과 행정기능으로서는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막대한 복지비용을 감당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원화되고 복잡한 사회의 주민의 욕구를 해결해 줄 수 없다. 따라서 민관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를 실현하는 것이 현시점에서 요구되어 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지역사회복지구축을 위한 민관협력 방안으로 정부주도형, 민간주도형, 중첩(DUAL), 민관협동형을 제시했으며, 그리고 이 모형 중에 가장 현실적으로 가능한 모형으로 경기도의 사례를 통해 민관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단위에서 공공과 민간의 적절한 역할분담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역복지 전문 인력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한 담당인력의 업무영역 설정 및 직무의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구체적인 역할이 제시되어야 한다. The community is a place both for social problems and for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 when seen from the point of social welfare; it is a very important ground for social welfare. However, there is no coincidence of opinions as to the standing of the community's social welfare in social welfare methodology and how it is going to be organized. The reason was that discussion of the social welfare's practical methodology centered around the microscopic clinical training lacking in serious discussion of the practical methods of the community's social welfare, though social welfare programs are being actively implemented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social welfare organs in reality.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hat practical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ommunity's social welfare are to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line with such a viewpoint this study discusses: ① Theoretical study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ausing the change and the needs to establish the social welfare unit centering on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local autonomy. ②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as well as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s potential growth. The exis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were analyzed by itemizing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public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privat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expansion of welfare budget for the community, voluntary support activity, and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system linking a public institution to a private organization. ③ Ways of inducing private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network based on the study results; development of the varied type of the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with defining the roles of the participants being the central subject of the discussion.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described above, ways of implement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system were dealt with from different angles to develop them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 in favor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was described as follows: Firstly, the welfare function of the became weakened creating the need the social service to complement it, as the functions of the community and families changed. Secondly, welfare service needs were being shifted from those economic to noneconomic. Thirdly, stay-at-home services became available supplying the services to the client who stayed at home maintaining a normal,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 instead of the conventional way of keeping them in an institution. Fourthly, although the main beneficiarie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so far have been those people from the predetermined levels of society,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should be supplied by the people and for the people residing in the community in an integrated manner, as people in general bega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ocial welfare system in Korea were stated, along with the ways of improving it,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administrative systems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 was not adequately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administrative service lacked technical knowledge. Secondly, it was indicated that welfare service meeting the residents' needs and desire was not actively made available, and it lacked the means supplying the service systematically.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network be constructed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the residents to overcome such problems. Thirdl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actively mobilize privat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o fund the welfare programs because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were not financially independent except a few larger cities. Fourthly, volunteer workers were not fully utilized because of the problems related to the volunteers such as volunteer's own problems, problems of the institution using the volunteers, problems concerning the volunteer management, and problems of the volunteer system itself. It was suggested that volunteers be trained and measures be taken to secure their volunteering spirit. Fifthly, social welfare service in Korea was mainly delivered at a private institute, and the service was not provided in a continuous and integrated manner, so that it would meet the recipient's needs because there was no established system of referral linking the private institution to the public welfare facilities. For this reason it was suggested that an integrated system linking public facilities to private ones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to make an improvement. Settling the problems that confronts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 Korea will require us to establish measures designed for inducing cooperation between public organizations and private ones. This is because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ograms can be best implemented when they are promoted by residents themselves.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form a communal society, as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s based on the residents as an organizer,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idents' movement. So far public organizations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implement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ograms in Korea. However, with the limited resources such as funds and administrative function currently made available, public organizations alone are not able to bear the huge cost of the social welfare, not to mention the diversified needs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therefore most appropriate to implement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ogram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Based on such notion measures to promot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Such measures included government-initiated type, private-initiated type, dual type and combined type of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an example of the combined type implemented in Kyounggi-do was presented as a most realistic model. Since defining the scope of work for the social welfare officer and systematizing their duties through a job analysis of th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re needed to properly allot the roles of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detailed roles of each player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should be presented.

      • 우리나라 地域社會福祉館의 運營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심정현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recent times the government has positively promote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project as a series of its policy to expan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low-income class.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has increased to 348 units as of May 2001 from the mere 46 units in 1989. In spite of their quantitative expansi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overly emphasizing the profit-making businesses rather than the projects aimed at assisting the low-income class, the latter meeting the original spirits of their establishment. In addition, they tend to operate similar program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munities, and therefore they are now confronted with the problems of responsibility and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analyzed the actual statu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checked the issues relating to them. In addition, the author has suggested several points for the improvement and the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s obtained on the job of social works, with which the author is currently associated. The said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are related to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roles to be playe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the alternatives are also concerned with the ways for activating the functions and the roles in the era of full-scale regional autonomy. The points for the improvement, as related to the issues, are as follows: First. The amendments of the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be extensively amended so that the centers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ir original purposes. At present, some items of the guidelines, includ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number of personnel, the major qualifications, or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are not appropriate in view of the reality and cause confusions to the personnel in charge. Moreover, only a small number of the operating entities are selected with the obligation of sharing 20% of the operating expenses, resulting in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 The budgetary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the operation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supposed to be operated under the government support for 80% of the expenses and by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centers for 20% of the expenses. Due to the unfavorable financial standings of most of the operating entities, howeve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relying more on the fee-collecting programs than on the social welfare programs. Moreover, the actu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remains at the level of 38% of the expenses. Accordingly, the solutions for this issue require the budgetary support of the government. Thir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In the case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which are designed to offer both required programs and optional programs, the fee-collecting courses for technical skills and amusement may be operated as a source of financial revenues. Those courses, however, may actually cause some burden to the community residents. Therefore, in order to play their proper roles,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try to develop the programs suitable to the environment of the region, rather than following the existing standard programs which are uniformly implemented. Fourth. The requirement of professionalism on the social workers at the centers: Unqualified persons are often recruited to the responsible staff positions at the centers, because they may be appointed to the positions only at the decisions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operating entities even without holding the regular qualifications. As a result, the difficulties of executing the professional programs and also the discontinuation of the programs are experienced. In this respect, re-education on the level of the government is required. Fifth.Publicity for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The welfare centers are based on the community and can not be effectively operated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herefore, public rel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ir participation, specialization should be promoted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projects, and the community welfare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residents. Sixth. The joint development of the programs to be shared by the centers: The operations handled b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often duplicated. Therefore, th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joint development of common programs should be encouraged among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the related institutions as well, which will be helpful in the prevention of the duplication of operations among them, the reduction of the expenses, and the enhancement of the training effectiveness. The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are suggested as follows, in the light of the points for the improvement listed above: First.The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be realistically revised. The current guidelines, unlike the actual practices, generally include some unrealistic elements in definitions, fundamental principles, manpower, organization, or the contents of operations. Though such discrepancies may reflect the limited funding assistance, they should be amended in a more realistic manner. Second. The budgetary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be raised to the level stipulated in the guidelines. The government subsidy should be increased up to the 80% of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as prescribed in the guidelines,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the centers. If the personnel expenses could not be paid out, the provision of professional and efficient business would be rather difficult. Third. Th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in proper relation to the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Most of the programs currently offered at the centers are standardiz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unclear in terms of the geographical divisions or nature of the contents. The unique programs appropriate for individual centers are conducive to the escalation of social welfare culture to the residents.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now develop and implement creative and unique programs which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community.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era, the local society is losing some of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family support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promotion of democratization and the enforcement of local autonomyactivate the ejection of diverse needs from the residents. In line with those developments,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accomodate ever changing demands of the residents and provide the programs in their favor. Furthermore, the welfare state in its true meanings could be realized when the centers handle the problems and the alternatives unique to the community and play their comprehensive roles together with their residents.

      •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의 개선에 관한 연구

        이방춘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해 종합복지센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다 효을적이고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은 1970년대까지 주로 외국의 선교사나 외원기관들에 의해 운영되어 오다가 1983년 개정된 사회사업법을 토대로 제6,7차 경제 개발계획과 1989년 저소득충 영구임대아파트 건립시 일정규모의 사회복지관을 짓도록 하는 정책, 그리고 1991년부터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된 이후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지방자치단체가 관심을 가짐에 따라 1989년 39개소에 불과하던 사회복지관수가 2000년에 이르러 343개소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팽창은 주로 정치적인 의도에 따라 이루어 졌기 때문에 질적인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되었다. 먼저 사회복지관이 주로 도시지역 위주로 편중되어 있어 농촌주민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높고, 복지관 재정의 80%를 지원하게 되어 있는 정부의 재정지원이 복지관 종사자의 인건비에토 못미치는 35.6%밖에 지원되지 않고 있어 복지관 근무여건이 열악하고 전문가도 제대로 채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의식부족으로 인하여 자원봉사자나 후원자를 확보하고 관리하기도 힘든 실정이다. 또한 사회복지관 운영주체 중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사회복지 설립요건과 절차가 「허가주의」 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설립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변칙적인 운영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사회 및 감사운영에 있어서도 정부의 과도한 규제와 관리소홀로 사회복지법인의 부실화가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사회복지관 운영의 성패를 좌우한다고도 볼 수 있는 재정부족문제는 사회복지관의 비전문화, 기피 직종화,변칙 운영화를 부채질하고 있어 정부의 확고한 재정지원 없이는 사회복지관의 존립자체가 유명무실 해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복지관 운영에 대한 평가결과에 따라 정부예산을 차등지원하게됨에 따라 객관적인 평가기준 및 방법이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하겠으며, 지역의 특성을 무시한 동일한 프로그램운영 및 주민참여 기피로 지역주민의 무관심 속에 복지관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 ·농촌별로 지역특성에 맞도록 사회복지관 운영방식을 개선 하고 특히 농촌지역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유치노력이 있어야 하겠으며, 복 지관 운영예산을 규정에 따라 80%를 정부가 지원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이 있어야만 시대에 걸맞는 복지관의 전문화, 다양화, 내실화가 가능하리 라고 본다. 또한 복지관의 전문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직원 최저배치기준과 자격기준을 부활시켜야 하겠으며, 복지프로그램토 그 지역여건에 맞고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조사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회복지범 인 설립요건에서 「허가주의」 를 법를에 정한 기준을 충족하면 법인을 설립할 수 있는 「준칙주의」로 개선하고 이사회와 감사의 전문성도 보장할 수 있는 강제조항도 신설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객관적으로 복지관 운영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 을 개발 하여 시행하고 지방화 시대에 맞추어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하며, 지역주민의 참여가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 기 때문에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는 복지관이라는 인식이 들수 있도록 홍보활동과 아울러 적절한 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한다면 '주민을 위한' '주민에 의한' '주민의 복지관'으로서 명실상부하게 지역주민의 복지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복지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프로그램 평가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현주 극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실제 프로그램 계획·실시 및 평가를 담당하는 사회복지 일선에서 평가체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평가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해당지역주민들의 복지 만족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 사회복지사 343명을 대상으로 담당 평가 경험 유무 및 시행상황, 평가관련 장애요인, 평가결과 활용정도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 중 프로그램 평가를 하고 있는 경우는 11.6%에 불과했다. 평가는 고학력일수록, 일반사회복지사보다 선임사회복지사가, 3년 이상의 경력자가, 그리고 개관한 지 5년 이상 된 기관 종사자가 평가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평가참여율은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평가를 위해 갖추어져야할 기관 내 업무조건, 평가에 대한 교육 경험, 자료·도구 등 평가를 위한 환경적 조건이 매우 열악하고, 의사결정 체계 내에서 중요한 결정근거가 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의 실질적인 활용도는 대단히 저조하며 프로그램 참가자의 인기도, 클라이언트 숫자 확보 실패 등 주로 실적 위주의 의사결정 근거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평가 요구자로 프로그램 담당자가 가장 많다는 결과는 실제적으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한 다는 현실과 사회복지사들의 과중한 업무 현실을 그대로 반영해주고 있다. 넷째, 평가 기준과 도구가 합리적이지 않고 타당성이 매우 낮은 평가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평가를 한다고 해도 그 결과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으로 73.5%가 평가에 대한 지식과 기술 부족을 들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우는 44.1%에 불과했으며 대부분 학부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프로그램 종결 결정은 담당자의 판단이 가장 높았으며(37.6%), 평가결과를 근거로 한 논의를 통해 결정되는 경우는 21.5% 였다. 이는 평가에 대한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사회복지 일선에서 지역주민의 복지향상에 중요한 프로그램의 평가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으며 대부분 사회복지 담당자가 수행하고 있는 열악한 현실은 프로그램의 질적 하향을 도출하며 궁극적으로 지역주민의 복지향상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당장 프로그램 평가담당 인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평가관련 재교육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매우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프로그램 평가와 관련된 신뢰성 있고 타당한 평가 도구들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일선 사회복지 담당자들이 평가에 대한 지식과 기술부족 때문에 프로그램 평가를 하지 않는 경우를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더불어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식적으로 데이터화된 평가 자료는 현재 실적위주의 가시적인 프로그램 평가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교육을 받지 못했던 실무자들이 상당한 수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기관 내 직원교육을 실시하거나 직원연수를 통해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워크샵 등을 통해 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담당자만이 아닌 지역주민의 공동참여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해당지역에 인적자원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 있는 지역사회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평가체계를 형성하고 사후 관리함으로써 지역주민이 지속적으로 함께하는 참여복지의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하면서 아쉬운 점은 기존의 논문들은 사회복지사가 평가에 대한 사회복지사 인식에 관한 연구나 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고 있어 본 연구의 자료수집이 부족한 관계로 비교 할만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였고 일차원적인 통계처리와 분석에 머물러 질 높은 검증과 논증을 제시치 못하였다. 따라서 차후연구에는 수요자 중심과 클라이언트 중심의 평가자입장, 공무원이나 보호자에서의 프로그램 평가 향상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