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라남도 초등 사회 3학년 지역화 교과서의 향토 자원 활용 양상 분석

        이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속해있는 22개 시ㆍ군의 지역화 교과서에 반영된 향토 자원들을 지역의 고유성을 표현한 것이면 내용으로서의 지역화(of the rigion), 정의적 영역 즉 애향심, 지역정체성 등의 목적으로서의 지역화(for the rigion), 개념학습을 위한 지역 사례 또는 지역 현안에 대한 문제해결 학습으로서 방법으로서의 지역화(by the rigion) 총 3가지 분석 준거를 설정하여 지역화 교과서에 표현된 향토 자원들의 성격을 파악해보고, 6개의 1차범주안에 2~4개의 하위범주를 두어 총 16가지의 범주에 따른 총 향토 자원의 유형을 48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22개 시ㆍ군의 1학기 교과서 세 가지 지역화 유형 비율의 평균은 내용으로서의 지역화 17.4%, 목적으로서의 지역화 68.5%, 방법으로서의 지역화 14.1% 나타났으며, 2학기 교과서의 향토자원들은 방법으로서의 지역화로 간주하였다. 또한 많은 시ㆍ군에서 1차범주인 자연환경, 지역특산물, 생활공간/생산공간, 관광/여행, 장소내러티브, 지역현안의 6가지 범주 중 장소내러티브 영역에서 평균 53.7%의 높은 비율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하위 범주인 문화재 및 유적, 상징물, 무형문화재(지명, 민속), 인물과 사건의 4가지 범주중에서 문화재 및 유적 범주와 무형문화재 즉 2개의 하위범주가 1순위, 2순위를 차지한 시ㆍ군이 12개로 많은 지역에서 지역화 교과서에 문화재와 관련된 지역화 자료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에 따른 결론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3학년에서 ‘사회과 탐구’의 성격과 관련된 부분이다. 3학년에서 ‘사회과 탐구’는 ‘사회’교과서 보다 활용도가 높다는 점이다. 즉 보조교과서의 성격이 뒤 바뀐다고 할 수 있다. 아동의 장소감이 형성될 수 있는 지역사회의 풍부한 향토 자원을 바탕으로 구성된 지역화 교과서인 ‘사회과 탐구’는 학습에 있어서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둘째, ‘사회과 탐구’의 내용과 관련된 부분이다. 내용이 어려운 부분이 많이 보였다는 점이다. 특히 교과서 구성 자료가 가장 많이 속했던 장소 내러티브 범주중 문화재 및 유적과 무형문화재(지명, 민속) 범주는 익숙하지 않은 역사적 인물의 등장과 서술은 서술의 내용이 역사적인 성격이 많아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또한 수 많은 석탑과 사적비 등의 문화재들은 오히려 학습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정도로 이름이 생소했다. 그리고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여러 가지 지명들과 마을 이름 유래들 또한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사회과 탐구’의 내용 범위와 관련된 부분이다. 도서·벽지 학교가 많은 전라남도의 특성상 행정적인 지역의 의미로 지역화 교과서 자료를 구성했을 때 전혀 또는 생소한 자료가 교과서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장소감이 없는 지역에 대한 학습은 학습가능성을 낮춰 학습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특히 전라남도의 시·군은 다른 지역에 비해 교통망이 미흡해 학습자들의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는 접근성 부분에서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접해있는 두 지역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지역의 학교에서는 오히려 장소감이 행정적인 경계로 인해 본인의 지역보다 인접해 있는 도시나 군의 터미널과 시장, 극장, 인물, 학교 등에 대하여 보다 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문화권적이고 접근가능성이 용이한 지역에 대한 경계의 설정이 필요함을 뜻하고 지역화 자료의 취사·선택에 있어서 ‘지역화의 지역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곧 지역화 자료의 선정에 있어서 시·군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지역화’를 의미하며, 단위학교 자체의 지역화를 의미한다. 넷째, 향토음식 또는 토속음식 등 음식과 관련된 향토 자원을 설정해야 한다. 지역성은 곧 친숙함이다. 자기 고장의 특산물을 활용한 음식은 평소에 접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관심을 가지기에도 충분한 소재이다. 그 특산물을 활용한 수업이 이루어지면 음식을 통한 지역의, 지역을, 지역에 의한 학습이 모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그 지역의 지리적 표시제와 함께하면 향토음식 자원을 통한 지역화 학습이 최적화 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체제 및 내용 분석 : 충남지역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태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중앙통제적이며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운영 및 관리를 지양하고 지역 사회의 특성에 따라서 교육과정을 재구성 및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적 적합성을 높이고 각 지역의 지역성과 특수성을 반영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사회현상과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향토애를 기르며 사회과의 목표인 민주시민의 올바른 자질을 함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는 국가수준의 사회과 교과서와 더불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현상과 역사적, 문화적, 지리적 특성이 반영된 지역화 교과서가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초등학교 3학년 지역화 교과서를 대상으로 구성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지역화 교과서의 적합성을 높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은 표지사진 분석, 단원명 및 제재명의 제목 비교, 단원 내용 구성 분석, 텍스트 종결어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지역화 교과서의 표지사진은 대부분 각 지역의 대표적 장소나 문화재, 생산물 등 특성을 반영하여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단원명 및 제재명의 제목은 국가수준의 사회과 교과서와 큰 차이가 없으나, 공주, 부여, 태안 등의 지역화 교과서가 ‘고장’이라는 말 대신 지역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단원 내용 구성 역시 국가수준의 사회과 교과서와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공주, 논산․계룡, 당진, 태안의 지역화 교과서가 다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텍스트 종결어미는 대부분 청유문으로 되어 있어 학생들에게 활동을 안내하고 있으나 공주의 지역화 교과서의 경우 평서문이 많아 읽을거리, 사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화 유형은 지역화 수준이나 지역화를 실천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역화 유형을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맞게 재수정하여 충남의 지역화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위한 재구성 유형은 자료형, 활동형, 대체형, 특설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이 분석틀을 바탕으로 각 차시별 지역화 유형을 분석하였다. 고장의 내용으로 지역화하기에 적합한 1학기 1단원과 2단원, 2학기 1단원에서 지역화를 위한 노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자료형과 활동형의 지역화 유형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역화 교과서가 고장의 특색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동시에 사회과 학습에 필요한 자료와 활동의 제공에 초점을 두고 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공주와 서산, 서천, 예산은 자료형의 지역화 유형이 많은데 이는 이들 지역의 교과서가 자료집의 형태로 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태안과 보령, 부여는 대체형과 특설형이 많아 사회과 교과서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지역화 교과서를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대한 기술 경향 분석은 지역화 유형 분석에서 지역화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 1학기의 1-③, 2-②, 2-③, 2-④, 3-④, 2학기의 1-②, 1-③ 제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지역화 교과서에 나타난 고장에 대한 기술을 분석함으로써 각 고장의 특징을 어떻게 드러내고 학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고장이 각 고장의 축제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으며 고장의 문화유산과 인물, 자랑거리 등을 소개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애향심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천안의 지역화 교과서는 애국충절과 독립운동의 정신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천안 흥타령 축제’가 국제행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공주는 애국충절과 더불어 문화예술의 고장임을 학생들에게 강조하고 있으며 보령은 어촌보다는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를 학생들에게 심어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아산은 첨단 산업 도시임을, 서산은 자연환경과 관련된 자랑거리가 많음을 기술하고 있다. 논산․계룡은 고장의 정신으로 선비정신, 충효정신, 협동정신을 강조하고 있고 당진은 효심을 강조하는 기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산은 인삼만이 고장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들도 우리 고장의 상징물이 될 수 있음을 지도하고 있으며 부여는 백제의 역사를 바탕으로 풍부한 문화유산, 백제문화제 등을 강조하고 있다. 서천은 한산모시와 고장의 아름다운 경치를, 청양은 청양 고추와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고장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갖도록 기술하고 있다. 홍성은 고장을 대표하는 것으로 조양문을 강조하고 있으며, 예산은 지역에 대한 학습내용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기보다 학생들이 직접 조사하거나 알아보도록 안내하고 있다. 태안은 기름 유출 사고 및 사람들의 노력을 보여줌으로써 고장의 고난 극복을 자랑스러운 일로 생각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충남지역의 지역화 교과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각 지역의 특성과 자료를 반영하여 제작,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화 유형 분석 결과 자료형의 지역화 유형이 가장 많이 시도하고 있으며, 고장의 자랑거리와 행사, 인물 등을 제시하고 강조함으로써 ‘우리’라는 느낌과 고장에 대한 애향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술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좀 더 발전된 지역화 교과서 개발을 위해 지역화에 필요한 자료나 활동을 다른 고장의 것도 사용할 수 있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지역화 교과서를 제작함에 있어 지역화의 유형을 일정하게 조정하였으면 한다. 또 지역화 유형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단원에 대한 논의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초등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경제영역 비교 분석

        서병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7대 광역시 지역교과서(4-1학기)를 중심으로 지역교과서 개발 지침 및 교육과정 비교, 7대 광역시 지역교과서의 경제영역을 비교 분석하고, 7대 광역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장 수업 적용도를 4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 비추어 분석해 보고, 각각의 지역화 교과서가 사회과의 목적과 지역의 특수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시사를 얻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정하였다. 첫째 : 지역교과서 개발 지침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가 분석한다. 둘째 : 7대 광역시 지역교과서를 비교 분석한다. 셋째 : 설문지를 조사 분석하여 현장 수업 적용도를 비교 분석한다. 위와 같은 연구내용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 교과서 집필 지침에 의하면 지역화 교과서는 각 광역시에서 전국 교과서 집필지침에 따라 특색 있게 집필하는 지역에 자율성을 준 2종 검인정교과서라고 인정하고 있다. 둘째, 각 광역시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경제교육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각 광역시마다 그 지역의 특색을 살려 강조하는 내용이 조금씩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광역시민으로서의 자긍심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였다. 셋째, 4학년 1학기 제2단원 발전하는 ○○경제단원 중 주제 (1)과 (2)가 있는데 (1)주제는 지역경제의 특수성을 아주 잘 살려(2)주제 '서로 돕는 경제활동'은 7개 광역시 모두 똑 같이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지역화교과서는 사회과 목적에 적합하게 편찬되어 있다. 다섯째, 지역화 교과서는 내용의 풍부 및 다양성에 문제점으로 나타나 차기 교과서 집필시 고려하여야 하겠다. 여섯째, 자원인사의 활용면에서도 그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기는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현장에서의 사회과 교수 학습방법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곱째, 지역화 교과서 사용 문제에 있어서도 일선교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하겠다. 끝으로, 지역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이해 정도로 7차 교육과정 정신에 비추어 볼 때 이해하기 어려운 교과서가 아닐까하는 의문점이 들기도 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guide for regional textbooks, the curriculum, and the economic part of regional textbooks of seven metropolitan citie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4th grade); and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a field trip through questionnaires to teachers in the seven metropolitan cities. In order to ascertain whether each regional textbook reflects the purposes of Social Studies and the regions' characterist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t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regional textbooks with respect to thei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guide for regional textbooks. Second,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regional textbooks of seven metropolitan cities. Third,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a field trip through analysis of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 First, the regional textbooks are written distinctively and autonomically according to the guide for national textbooks in every metropolitan city as authorized by the textbooks. Seco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regional textbooks of each metropolitan city because cities put different emphasis on the content of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nd their efforts seem to have boosted the pride of metropolitan citizens. Third, subject(1) and subject(2) in Unit Two of the textbook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4th grade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 economy are well represented in subject(1), and "Economic activities within groups" in subject(2) is composed with the same system in the seven metropolitan cities. Fourth, regional textbooks seem to be compiled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e social studies. Fifth, there are some problems in regional textbooks, and the content needs to be enriched and diversified in the next edition. Sixth,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use of resources is recognized, but it's not easy to apply in actual classes. This is a problem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Social Studies in real classroom circumstances. Seventh, there must be an examination of teachers' opinions in the use of regional textbooks. Finally, regional textbooks are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in the light of the mind of the 7th curriculum..

      • 부산 지역문학을 활용한 중학교 문학 교재 개발 방안

        조남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6

        교육과정 지역화의 토대가 구축된 6차 교육과정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초·중등학교의 지역화·자율화·다양화·분권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주로 교육과정의 총론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지역 공동체에 기반한 교육과정 지역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과 수준에서 내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 교과서는 공통성과 보편성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어 삶 중심의 지역문학교육이 어려운 형편이었다. 특히 부산의 경우 교과서에 수록된 지역문학 작품을 찾기가 어렵고, 별도의 국어과 지역화 교과서는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부산지역의 중등 국어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많은 교사가 교육과정 지역화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지하고 있으나 실천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부산지역의 국어과 교육과정 지역화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부산의 지역문학 작품 중 현대 단편소설을 활용한 지역문학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문학을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지역 사람들의 삶을 표현한 문학’으로 정의하고 지역성과 교육성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작품을 검토하되, 특히 지역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서사 갈래를 대표하는 소설은 지역의 장소감을 활용한 문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서사적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하며 자기 성찰을 바탕으로 세계 경험의 총체성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돕는다. 다만 장편소설의 경우 학교 수업에서 온전히 작품을 감상할 물리적 시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교재의 한정된 지면에 전문을 수록하기 어려워 부산 지역문학 작품 중 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지역문학 교재를 개발하고자 했다. 성취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선정된 8편의 지역소설 작품은 「썩은 다리-세 번의 눈물」, 「흔들리다」, 「지저깨비들」, 「망(望)」, 「곡예사」, 「편지」, 「3일간」, 「산거족」이다. 이 중 이주홍의 「지저깨비들」을 선택하여 문학 교재의 한 단원을 개발의 예로 제시했다. 지역문학 교재의 이름은 『부산으로 소설 읽기』이며, 지역문학 교재의 역할뿐 아니라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검·인정 교과서의 문학 단원을 대체하여 수업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어 교과서를 상호보완하는 절충 형태의 교재를 개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효과적인 학습 측면에서는 ‘소설에 다가가기’, ‘개념 정리하기’의 단원 구성 요소를 통해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교육의 지역화 측면에서는 ‘소설 속 부산 살펴보기’, ‘삶에 다가가기’, ‘더 읽어보기’ 등의 구성 요소를 제안했다. 특히 도입 부분의 ‘소설 속 부산 살펴보기’는 지역소설의 배경인 부산의 구체적인 장소나 사건들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제시하여 지역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작품에 대한 흥미나 관심을 끌어낼 수 있도록 했다. 정리 부분의 ‘더 읽어보기’에서는 단원에 제시된 지역소설 외에 더 읽어볼 만한 지역소설을 소개하여 지역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고취하고자 했다. 지역문학 교재는 획일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자들이 자신의 실제 삶과 깊은 관련이 있는 지역문학 작품을 접하고 배움으로써 자아의 성찰뿐 아니라 타인과 공동체에 대한 이해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Korean curriculum has been steadily moving towards greater regionalization, autonomy, diversific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ince the 6th Curriculum. However, the focus of curriculum regionalization is mainly on the overall curriculum level. To achieve effectiv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tailored to regional communities, it is crucial to specify the content within each subject. An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showed that life-centered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was challenging due to their emphasis on commonality and universality. In the case of Busan, the textbooks did not include any regional literature works, and the Busan City Office of Education did not produce any regionalized textbooks related to dialects and literature in Busan. A surve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Busan area reveals that many teachers are aware of the need and effectiveness of curriculum regionalization but fac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it. To address this issue and practice regionalization of the Korean curriculum in Busan, this thesis proposes a plan to develop a regional literature textbook using contemporary short stories from the regional. This thesis defines regional literature as ‘literature that expresses the lives of regional people in a regional setting’ and evaluates works based on their adherence to the criteria of regionality and education. I focused on regional novels because they allow learners to form a narrative identity and can be effectively used to teach literature using a sense of place. Furthermore, novels allow readers to approach the totality of world experience through self-reflec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full-length novels, it can be challenging to allocate enough time to read them during the school day. Additionally, textbooks have limited space, so I have chosen to focus on regional short stories instead. The eight works selected based on the criteria were: 「Sseogeun dari-Se beonui nunmul」, 「Heundeullida」, 「Jijeokkaebideul」, 「Mang」, 「Gokyesa」, 「Pyeonji」, 「Samilgan」, 「Sangeojok」. And among them, Lee Ju-hong’s 「Jijeokkaebideul」 was selected to create a unit of regional literature textbooks and presented as an example. The regional literature textbook is titled 『Reading Novels from Busan's Regional Literature』, and the purpose is not to learn ‘regional literature’, but to learn ‘as regional literature’. This is a supplementary textbook designed to be used in Busan schools by replacing the literature units in the certified and recognized national language textbooks. It presents the composition direction and system of textbook development, allowing students to lear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ent curriculum as well as serving as a regional literature textbook. The unit structure included components for ‘Approaching the Novel’ and ‘Organizing Concepts’ to enable students to engage in activities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Additionally, components for ‘Exploring Busan in the Novel’, ‘Approaching Life’, and ‘Reading More’ were included to facilitate regionalized education and learning linked to students’ lives. Regional literature is important because it allows for a diversified literary education, away from the one-size-fits-all approach, and because it allows learners to encounter and learn regional literary works that are deeply relevant to their real live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self-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s and communities.

      • 유치원 지역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김병란 탐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나타난 유지원 지역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그리고, 구성 방안에 관해 설문조사 및 전문가 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유치원 지역화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지역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지역화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3. 제주지역 유치원 지역과 교육과정의 구성방안은 어떠한가? 설문조사를 위하여 제주도내 공·사립 유치원 교사 120명을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원장, 원감, 교수,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집단 면담을 하였다. 그 내용은 유치원 교육과정 지역화에 대한 현장 인식, 시·도교육청에서 교육과정 지역화 계획 및 문제점, 개별유치원에서 교육과정 지역화 계획 및 운영의 문제점, 제주도의 지역화 교수자료 개발시 고려사항 등에 관한 내용이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치원 교육과정 지역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단지 문서 수준으로서의 교육과정 지역화 실태는 양호하나 실제에 있어서의 교육과정 지역화 수준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시·도교육청에서 체계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대한 교육적 여건이 조성되지 못한 원인도 있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지역화가 체계적으로 활성화되려면 교육과정 지역화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설 연구조직이나 상설유치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위원회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심의가 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참고도서 또는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참고도서나 자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그리고 수업설계에 이르는 교육전반이 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교육과정 개발의 최종단위를 책임지고 있는 단위유치원 운영자와 교사의 책임과 역할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부각되고 강조되어지는 교육과정이므로 능력 있는 원장과 교사가 양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 연수를 통해 교육과정 개발이 적극적으로 유도되어야 하고 더불어 다양한 자료집을 제작하여 보급하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 및 상호교류가 가능할 수 있는 국가 또는 시·도 단위의 유아교육 정보지원 체제를 교육 행정적 차원과 전문가 수준에서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목표, 영역별 목표, 내용, 생활 주제들이 모두 재구성이 필요하며, 특히 문화, 지리, 역사, 환경 등 우리 고장에서만 볼 수 있는 지역화 목표 밍 주제들이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는 우리 고장의 타 지역보다 특수성이 높은 지역이므로 지역화 교육과정은 필수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함은 물론 제주인으로서의 긍지를 가짐과 동시에 지역 사회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서 타 지역, 나아가 세계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하여 우리 지역에 맞는 지역화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시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laying a founda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Jeju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teachers cognition is analyzed including the realities of the curriculum. On the foundation of the analysis, face-to face interview with some expests and questionnaire are applied to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What is the teachers cognition of the curriculum for the pre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Jeju characteristics? 2.What is the reality of the curriculum for the pre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Jeju charecteristics? 3.What is the alternative for establishment of curriculum, based on the Jeju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recedent study and the survey are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For its survey, the questionnaires are delivered to 120 sampled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of Jeju region. And for the face-to face interview is conducted with the 16 operators containing principals, vice principals, professors and teachers. Its contain includes their cognition of the preschoo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with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governments. It also deals with the possible problems from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t the individual kindergartens. Lastly it suggests the items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cogni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hows that the curriculum has no more document level. So teacher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more clearly and have more opportunity for training courses. Therefore, for more activation of the curriculum, well-prepared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ermanent organs should be established to establish, examine and evaluate more effective curriculum. Secondly, to lay a founda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dministrative assistance of principals is required, for the present curriculum gives more importance to the operators of the unit than before. Especially, teachers training program should be emphasized, including more chance to access to internet, for the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exchange their information on a national scale. Thirdly, the results of study are that teaching aims, its content, topics of life, etc should be reconstructed. The analysis shows that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culture, geography, history and environment are restricted to the region. This suggests that our region is very unique.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be connected with national scale curriculum, with the empha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 초등학교 국어과 지역화 교과서 개발 방안 : 부산 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정애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부산 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국어과 지역화 교과서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화 교육과정은 2차 교육과정 이후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가 비로소 6차 교육과정기에 와서 실현되었다. 또한 현재 학습자들이 학습을 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거쳐, 이제 곧 실시를 앞두고 있는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역 교육청과 단위 학교의 역할과 기능을 더욱 확대하는 등 교육과정 지역화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10개 교과 중에서 교육과정 지역화는 거의 사회과의 전유물처럼 여겨졌고, 다른 교과에서는 여지껏 교육과정 지역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어 교육과정도 마찬가지다. 교육과정 총론에서 지역화 교육과정 실현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총론의 정신을 실현해야 하는 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지역화 교육과정이 본격 시작된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을 거쳐 이제 내년부터는 2007 개정 7차 교육과정 시행을 앞두고 있는 지금까지도 국어 지역화 교육과정과 국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과 2007개정 국어 교육과정에서 국어 교과서를 마련할 충분한 근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국정 교과서로 기능만 충실히 해 온 것을 문제점으로 삼고, 아동의 삶과 구체적으로 관련된 지역의 설화를 통해 지역화 교과서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국어 교육과정 지역화 제정과 국어 지역화 교과서 구현의 정당성을 입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일반적인 교육과정 지역화의 의미 고찰을 통해 국어 지역화 교육과정의 의미를 추출하고, 국어 지역화 교육과정이 제정되어야 하는 이유를 5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어 지역화 교육과정 제정의 타당성을 확보한 후에 국어 지역화 교과서 개념과 의의를 살피고, 국어 지역화 교과서 제정 근거로 첫째, 교육 기본법과 초·중등 교육법, 둘째, 7차 교육과정 셋째, 2007 개정 교육과정, 넷째,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다섯째, 개정 7차 국어 교육과정 ‘맥락’이 주는 의미 이렇게 5가지로 나누어 국어 지역화 교과서 제정의 정당성을 밝히었다. 이렇게 국어 지역화 교육과정과 국어 지역화 교과서 제정의 정당성을 확보한 후에, 현(現) 국어 교과서 속의 지역화 요소를 추출하고, 그 중 국어 지역화 교과서 정신을 구현할 수 있는 제재가 지역 설화라 보고, 지역 설화를 통한 국어 지역화 교과서 구성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밝힌 국어 지역화 교육과정이 제정되어야 하는 이유, 국어 지역화 교과서 제정 근거, 국어 교과서 속의 국어 지역화 요소, 지역 설화를 통한 지역화 교과서 구성의 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 설화를 통해 실제적인 국어 지역화 교과서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국어 지역화 교재를 구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살펴보고, 지역 설화를 통한 지역 교과서 구현 방향을 10가지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지역 설화의 교재화를 위한 제재 선정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국어 교과서 내용 교재화 선정 기준, 문학 교육과정 내용의 교재화 선정 기준, 설화(전래동화) 내용의 제재 선정 기준과 자료 변용 조건을 폭넓게 고찰하여 지역 설화 교재화를 위한 대상 작품 선정 기준 및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지역 설화 교재화를 위한 대상 작품 선정 체크리스트를 통해 그동안 수집한 부산 지역 설화 제재를 분석하여 「김수로왕 신화」, 「애기소(沼) 유래」, 「개좌골에 얽힌 전설」, 「산성으로 가는 모래재 고갯길 전설」을 최종 교재화 제재로 선정하여 실제적인 국어 지역화 교과서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가 지니는 부산 지역 설화를 통한 초등학교 지역화 교과서 개발 방안의 연구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지역화 교육과정 마련의 기초적인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둘째, 국어 지역화 교과서 마련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 셋째, 주변에 산재(散在)해 있는 지역 설화 제재의 적절성을 판단하여 교재화하는데 유용하다. 넷째, 주변에 산재(散在)해 있지만 그동안의 무관심으로 사라지고 있는 각 지역의 설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다. 부산 지역 설화를 통해 국어 지역화 교과서가 개발 되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된다면, 학습자들은 실생활과 관련되는 유의미한 국어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본 연구와 관련되는 후속 연구를 위해 4가지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설화를 교재화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 시청, 구청, 군청, 각 개별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흩어져 있는 지역의 설화를 한데 모아 집대성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 설화 각각의 작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부산 지역 설화뿐만 아니라, ‘지역 설화 교재화를 위한 대상 작품 선정 기준 및 체크리스트’를 통해 우리나라 각 지역의 설화를 교재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국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 방안을 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 설화 속에 녹아 있는 지역의 방언까지 그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국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을 위해 국어 지역화 교과서 제재의 대상이 되는 지역 유·무형 문화재, 민요, 인형극·가면극, 탈춤, 역사적 사실, 지역 문학 등이 한 데 어우러진 종합적인 지역화 교과서 개발이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ethod on the Development of Local Korean Studies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The Localization of curriculum in Korea was not realized until the 5th. For the first time, the 6th was realized the Localization of curriculum in Korea. After that, the 7th and revisional 7th curriculums emphasized the localization of curriculum with further extending the roles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 and the unit school But, after all, the localization of the Studies'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realized in Social Study only. The localization of curriculum in Korean Studies was not realized also. Korean Studies Textbook performs only the role as state textbooks. So, Korean Studies Textbook was not realized the localization of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ethod on the development of local Korean Studies Textbook. The contains is the Folk Tales of Busan province related to the lives of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in the chapter Ⅱ, I proved the necessities of localization of curriculum in Korean Studies. And I proved importance for development of local Korean Studies Textbook. Also, I prov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s of local Korean Studies Textbook which is focused the Folk Tales of Busan province. The chapter Ⅲ, I presented local Korean Studies Textbook which focused the Folk Tales of Busan province. The Folk Tales of Busan province is「The myth of the king, Kim Su Ro」, 「The origin of a piece of water, Aegi」, 「The legend of Kaejwa valley」, 「The legend of pass road Morae, going to mountain fortress wall」. The las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t would provide a basis for the localization of curriculum in Korean Studies. Second, It would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local Korean Studies Textbook. Third, It would be useful making local Korean Studies Textbook with scatter the local folk tale. Fourth, It would arouse our interest about folk tale of each province which is disappearing of our indifference.

      • 교육과정 지역화를 통한 지역시민성 함양 프로그램 구안 :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이남섭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현대 사회에서는 세계화․다문화에 부응하여 세계 시민성을 강조하고, 다문화 교육에 대해 그 필요성을 강하게 역설하는 경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반면에, 오히려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자기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학습에 대하여 관심과 연구가 소홀하다. 이에, 지역에 대한 학습을 통해서 세계화․다문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고, 지역에 대한 시민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지역에 대한 학습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지역화의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 지역화를 통한 지역 학습은 주로 지역 정체성 함양을 목적으로 하여, 지역에 대해서 잘 알고 애향심과 소속감을 고취시키는 데에 주요 초점이 맞추어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결국, 지역 학습의 목적이 지역 정체성 함양을 위한 수준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참여 요소인 참여 의식 및 참여 능력을 함께 강조하는 지역 시민성 함양의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 다문화 시대로 급변해가는 현대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 사회과교육에서 추구하는 목표인 민주시민의 자질로서의 시민성, 특히 지역 시민성을 함양시키기 위하여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검토해 보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지역화에 터한 지역화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해 보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는데 있다. Our society strongly promotes world citizenship and the need for education of multiple cultures, in meeting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and yet it is negligent in understanding and study of our own regions, which is of a fundamental problem. Through the study of the regions, we can answer to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We need an education to cultivate citizens' awareness of the regions. For the regional study, a method of curriculum localization can be used. But the method usually has the main goal of cultivating the knowledge of the regions and instill the feeling of attachment and belonging, which is limiting. Rather, the goal shouldn't stop there, but societal participation elements -consciousness to participate, and ability to participate- should be also promoted, as local citizenship cultivation method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d apply a regional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on of citizenship, especially local citizenship. To do this,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a city/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re examined. For the subject of research, first,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eoretical background on curriculum localization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of local citizenship and main issues were established. Second, through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of 16 city/district educational offices, how much importance is placed on the important matters of this research -curriculum localization, regional identity, societal participation- could be found, along with what were the important subject matters, in detail. Furthermore, study elements for the design of the local citizenship cultivation program were found, along with discussion points and implications for the main points. Third, for cultivation of local citizenship, with regards to various subject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was realized. Incheon was chosen as an example of cultivation of local citizenship. An outline of Incheon, along with the reasons for choosing it, and main regional subject matter was chosen. Using a theme related to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 study program for cultivation of local citizenship for Incheon was designed. Finally, the designed program'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was applied to a class in high school in Incheon, as a real class. After the class, through the use of survey forms, the effectiveness of the lecture was assessed by opinions and impressions expressed.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in order to pursue an effective regional study, autonomy and speciality needs to be expanded, and by revising curriculum localization, regional study involving various subjects needs to be applied to study contents and study processes. Second, the goal of regional study shouldn't stop at knowing the regions and having the feeling of attachment and belonging, but active societal participation, and cultivation of local citizenship -which is stressed as an essential element- need to be pursued. Third, for the cultivation of local citizenship, through a concrete method of curriculum localization, various regional subjects needs to be researched and developed,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every grade level or study subjects. Fourth, the regional study programs for cultivation of local citizenship can contribute to the students having the correct awareness of regional societal concerns and problems, and cultivation of citizenship to have them participate in regional societal matters.

      • 울산암각화를 통한 지역화 미술교육방법 연구 :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황보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6

        미술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각과 문화, 풍속 등이 표현된 예술이다. 그래서 미술에는 미술가 개인의 생각이나 느낌뿐 아니라 시대적, 지역적, 사회적 배경이나 종교, 민족성이 등이 나타나며, 미술 문화를 통해 우리는 그 나라나 민족의 미의식과 생활양식, 자연 환경, 역사적 사건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미술과 문화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주변 환경에서 얻은 미적 경험을 자유롭게 표현하게 하며, 그것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 지역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조형자료를 이용하고 자연적, 조형적 감성을 기르기 위해 현장을 견학하는 등의 지역화 학습은 사회의 미술 문제를 학교에서 학습함과 동시에 교사와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미적 생활 경험을 체험하면서 미술문제를 직접적으로 발견하고, 그것을 개선해 나가는 학습이라 할 수 있다. 지역화 학습은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이며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대처하는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를 보여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화 학습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미술과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 고등학교 미술 수업에 적용하여 미술교육의 질적 향상과 다양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지역의 미술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대상의 미적가치를 알고 그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며 개성적인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한 관심이 된다. 이를 위해 지역화 학습의 이론적 배경을 보고 미술과의 지역화 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역화 학습의 수업을 위해 울산을 선정하고, 선사시대에 제작된 해안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그 당시 사람들의 수렵 생활상을 잘 보여주는 울산암각화를 조형자료로 하여 울산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고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실시하기 전 반구대 암각화에 대해 아는 바를 설문지에 적어 학생들이 지역의 미술유적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수업을 마친 후에는 작품을 제작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이나 느낀 점을 기록하게 하였다. 울산암각화를 모티브로 스카프 염색하기의 수업과 설문지 분석을 통해 지역화 학습의 개발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과 얻어진 효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할 사항으로는 첫째,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미술자료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둘째, 지역의 조형자료에 대해 얘기하면서 생활로서의 미술과 환경미술을 강조하고 셋째, 수업적용 시에 학생들이 사용해 보지 못했던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흥미를 가지게 해야 한다. 수업의 효과로는 첫째, 원시미술의 뛰어난 조형감각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작품을 완성한다. 둘째, 지역적 특색을 지닌 유적과 미술을 함께 배움으로써 미술과 문화의 밀접한 관계를 안다. 셋째, 다양한 미술 실기수업으로 진로나 적성의 선택에 도움이 된다. 사회가 급변하고 삶의 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지역화 학습이 강조되고 있지만, 사회과를 제외한 다른 교과 특히, 미술에서는 구체적인 교육과정이 없다. 따라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지역사회의 실정과 특수성, 주민요구, 학생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고 실제적인 수업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Fine art reflects thought, culture and customs of contemporary people. So, art represents the background of the times, region, religion and society. And it also shows na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inking of the artists. Through the art culture, we can understand the esthetic sense, lifestyl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historic event of the nation. In this way, art and culture are so den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that the school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has to encourage students to express their ideas freely and to foster their own ability which can improve their idea. Community Studying such as using everyday objects carrying regional meaning and exercising in observation to acquire the sense of plastic art can be regarded as a course of studying the fact that teacher and students can discover and try to solve real art problem and experience aesthetic life of local community in the spot. Local Community Studying is an education emphasized on 7th curriculum seeking to diversity in the level of individuals, communities and schools. It helps to develop diversification of studying and educating method which copes with change in the era of information for itself.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method for diversity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an art education by understanding local community study, by developing curriculum and finally by applying to high school art class. It investigates the concept and practices of aesthetic value as the basis for creating individual works and understanding the regional trait through utilization the community art materials. I researched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ty Studying and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ocal community for this. First, I choose Ulsan for Local Community Studying and I selected Ulsan Rock-engraved-painting that shows well prehistoric people's hunting life at that time. And it also represents well the regional special quality which is seashore manufactured in prehistoric era. Then I made out studying plan for high school student Ulsan areas and executed class with the object. Before executed class, I let students write down how much they know about the hemisphere Rock-engraved-painting surely on questionnaire to check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historic art in the neighborhood and record contents or point that they got or felt after finishing class. The item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developer of Local Community Studying and the effects which are obtained by analyzing class and questionnaire of dyes scarf are followings. As the first item to be considered, the developer must recognize exactly about art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neighborhood, Second, emphasize art as life and environment with talking about plastic material of the area and third, when apply it to class, let students be interested by various expression technique that they have not used it before. As the effect of class, first, students can understand excellent modeling sense of prehistoric art and complete new and unique work because of using this. Second, students can know affinity of art and culture by learning together relicand art that have regional specific character. Third, students can get aid in selection of course or aptitude by various art practical skill classes. According as society changes rapidly and way of life becomes various, Local community studying is emphasized, but there is no specific curriculum (or training course), except social studies, especially art. Therefore, teacher who acts class must make out curriculum circumspectly and get along with actual class considering real condition and peculiarity of local community, inhabitants request and student etc.

      • 수원화성을 소재로 한 초등미술과 지역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이수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6

        지금처럼 급속하게 다변화되는 때에는 국가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육에 한계를 느끼고 학습자 개인이 살고 있는 공간과 연계된 유의미한 학습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러면서 다양성과 융통성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변화 가능성에 발맞추어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요구된 것이 교육과정의 지역화이며 미술과에서도 지역의 미술문화를 소재로 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세계 속의 한국’으로 우뚝서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통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취지에서 수원지역의 전통미술로서 대표할 수 있는 수원화성을 소재로 한 초등미술과 지역화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수원화성은 조선후기 건축술의 백미로 꼽히는 군사시설이자 정조의 효심과 정약용의 실학사상이 바탕이 된 전통미술문화이다. 따라서 수원화성에 대해 조형미를 중심으로 체험, 표현, 감상하는 활동을 통합적으로 수업에 적용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수원화성의 우수성을 체득하고 아름다운 건축을 볼 수 있는 미적 안목을 기르며 지역의 전통문화에 관심을 갖고 애호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미술에서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수원화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정리해 보고 수원화성의 조형미를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5·6학년 검인정교과서에서 전통문화 관련 단원을 분석하여 지역문화재나 건축에 관한 지도의 문제점을 찾고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하였다. 먼저, 사회과와 통합하여 관련 정보를 학습하고 미술시간에 ‘수원화성을 통해 본 조형요소와 원리’를 학습했다. 그런 후에 수원화성을 직접 체험하면서 사진으로 찍어보고 이를 학생들에게 조형요소와 원리로써 설명하도록 하였다. 그 밖에 수원화성 관련 이미지로 선물상자 디자인하기, 다른 나라 건축물과 비교감상하기, 입체로 표현하기, 알리는 것 제작하기를 통해 수원화성을 소재로 하여 다양한 영역으로 미술과 학습을 시도하였다. 결국 미술교과에서 전통건축을 이해하고 그 우수성을 학습함으로써 지역문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가까이 있는 미술문화를 활용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야말로 학습자의 삶과 연결된 미술교육이라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수원화성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이어가고 미래에도 더 아름답게 보존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