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분석

        박명경 백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분석 본 연구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을 통해서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자 관리 및 지원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냄으로써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둘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과의 관계. 셋째, 성인학습자 학습동기와 관계몰입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넷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관계몰입을 매개로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다섯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은 참여지속의도와의 관계. 마지막으로 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평생교육기관에서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3월 강원지역 국·공립대학 평생교육원에 수강중인 성인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 분석한 후 타당도 등을 점검하고 보완하여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전국 국·공립대학 평생교육원에 수강중인 성인학습자 1,20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1,148부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0 Program 및 AMOS 22.0 Program을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실증적인 인과관계 추론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1차적으로 SPSS 22.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판별타당도에서는 상관분석및 Varimax 직각회전을 통한 요인분석으로 하였으며, 신뢰도 확보를 위해 신뢰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측정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별 차이검증을 위한 독립표본인 t검증(t-test)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적으로 AMO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위해 측정문항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는 첫째, 분석결과 모수(경로계수)의 추정치는 참여지속의도가 =1.051, C.R.=6.026로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내어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은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결과 모수(경로계수)의 추정치는 학습동기 =.984, C.R.=15.974로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직접효과(.456)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 사이에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변인 간 경로 즉,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 -> 학습동기 -> 참여지속의도에서 매개효과(2.265**)가 유의수준 p<.01에서 검증되었다. 다섯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이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변수 간 인과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은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에 차이성을 검증한 결과를 보면 성인학습자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소득수준, 직업, 참여 프로그램 수, 이용경로에 따라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관계몰입이 가장 중요한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전략과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에 학습동기, 관계몰입의 활용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참여를 위해서는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관계마케팅전략 도입과 실천이 필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국공립대학이 아닌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대학조직 내에서 평생교육원에 대한 기관장 및 보직자들의 관심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대학평생교육기관, 관계마케팅전략, 성인학습자, 학습동기, 관계몰입, 참여지속의도

      •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품질이 사용자만족, 신뢰,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서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활성화되고 있는 큐레이션 서비스 시장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의 어떠한 품질이 지속사용의도를 자극하는지 정보제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더 개선해야 할 점을 도출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현 시점에 기업의 목적에 따라 어떠한 품질 속성을 가진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좋을지 주체별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비교 검증을 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큐레이션 서비스 품질 속성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및 신뢰를 측정하며, 큐레이션 서비스 환경에서 소비자의 만족도에 따른 신뢰 및 지속사용의도를 측정하고, 큐레이션 서비스 환경에서 신뢰에 따른 지속사용의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둘째, 주체별 큐레이션 서비스 품질 속성을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확대되어가고 있는 온라인 환경 속에서 파생된 서비스 형태의 하나인 큐레이션 서비스가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유통 및 판매 플랫폼으로서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큐레이션 서비스를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큐레이션 서비스 품질 속성을 통하여 소비자의 반응과 행동을 알아보고자 했다. 더욱이 다양한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가 파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나누어 품질을 비교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주체별로 나누어 사업자 주체 큐레이션과 사용자 주체 큐레이션의 품질 속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 모형의 검증 결과에 따르면 큐레이션 서비스 품질 속성 중에서는 충족성, 반응성, 개인화, 디자인, 사용 용이성, 안전성이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신뢰에는 충족성, 디자인, 사용 용이성, 안전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개인에 대하여 잘 파악하여 제공한 서비스가 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며 플랫폼의 안전성 및 관리 여부가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품질 속성임을 검증하였다. 만족도는 신뢰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고, 신뢰 또한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설명력으로 보았을 때 사용자 만족도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신뢰보다도 높고, 또 사용자 만족도가 신뢰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주체별 큐레이션 서비스 품질 비교 검증 결과, 사업자 주체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충족성, 유비쿼터스 접속성, 반응성 품질이 사용자 주체 큐레이션 서비스와는 다르게 정(+)적인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기업에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할 때 이러한 서비스 품질 속성을 참고하여 전략을 세운다면 더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가진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더 성장하고 더불어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큐레이션 서비스 업계에도 유의한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추후에 이를 다양한 업계에 적용시켜 연구를 진행한다면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큐레이션 서비스의 분류를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하여 서비스 품질을 비교 연구한다면 이 또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고 사료되며 더 나은 방향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설정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대학평생교육기관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와 학습참여동기,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 학습성과, 학습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임상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Currently, we are facing many social changes, including the natural disaster of COVID-19, the industrial paradigm shif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cceleration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social change of expanding into a knowledge-based society. Modern society is rapidly promoting an aging society due to the rapid growth of science, medical technology,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d living conditions. In the aging society, it is observed that many changes will occur throughout the society, and among them, one of the most expected changes and needs is lifelong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areas of education. Since the 1980s, the number of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24 in 1990 to 328 in 2002 to 416 in 2021.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to match this quantitative growth, especially on study retention of learner, which is the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various factors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among learners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in a multifaceted and comprehensive manner based on the tabulated questionnaire data, we aimed to provide better strategic implications to enhance learners' willingness to learn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pread such positive learning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evant factor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self-efficacy, learning outcom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learners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o continue their stud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conducive to the rational and progressive oper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ir influence relationships in a complex and multifaceted mann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al endogenous variable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endogenous variables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and exogenous variable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self-efficacy) were se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collect dat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2 to March 2023 among learners in 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nd 50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onverted to MS-Excel to analysis frequenc,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 with ANOVA, MANOVA, Scheffe(multiple group comparison) using Windows SAS 9.4 to analysis covariance structural model using Windows LISREL 8.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analysis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factor by gender, while the difference analysis by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analysis by education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self-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analysis of occupational statu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according to occupational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latent variables. Second, the results of the goodness-of-fit tes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showed χ²=1505.28 (p<.001), RMSEA=.092, SRMR=.046, NNFI=.976, CFI=.979, PNFI=.851 that the values were very close to the adequacy and acceptability criteria, and it was judged to be appropriate overall. Third, when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was found that learning outcom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learners. Learning outcom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On learning outcom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and self-efficacy were all analyz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Fourth, after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path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exogenous variable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and self-efficacy, had indirect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resulting in a significant total effect. Learning outcome, educational institution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total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outcome, resulting in a total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age was identified as a personal characteristic that contributed to group differences in all latent factors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of learner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se inter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 latent factor scales and various follow-up studies to reflect the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enerations and to differentiate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s. Moreove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providing specialized educational programs that they demand will be a way to maintai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Second, To promote learners’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elf-efficacy, which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recognized as a major potential variable. To come up with a plan to strengthen self-efficacy through learning, discussions should be made to prove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type or form of learning for lifelong education learners. Since self-efficacy does not strengthen in a short perio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self-efficacy through extracurricular programs in addition to regular learning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t universities.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vide individual consulting and guidance to strengthe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hird, in the case of learning outcome, it was analyzed as a significant key variable that affects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ubfactors of learning outcome (intellectual, definitional, exercising functional, and social area) to verify their influence in subsequent studies. In a linear inference, there is a hypothesis that the intellectual or social domain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academic degree course of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current academic credit bank system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some majors are organized as theory-centered curricula while others focus on curricula with a high proportion of practical cours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rst analyze in depth which areas of learning performance affect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majors focusing on practice-oriented curriculum and general theory-oriented curriculum, respectively.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will increase learning satisfaction and strengthe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Fourth,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key variables for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related factors. It is necessary to disaggregate them into individual exogenous factors such as faculty,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rograms, and to study them comprehensively to find strategic ways to use the results complementarily. Fifth, learning satisfaction, which was set as an endogenous latent variabl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after analyzing the path relationship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Therefore, to find out whether such learning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learning satisfaction scales such as satisfaction in the intellectual domain, satisfaction in the affective domain, satisfaction in the psychomotor domain, and satisfaction in the social domain by linking the scale method composed of overall satisfaction with sub-factors of learning performance. In doing so, a comprehensive study needs to be conducted. Sixth, as a cohort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 research model in a complex and comprehensive manner by considering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influencing factors selected in this stud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learners, and the support based on the government policy and local subsidy systems. Finally,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learners at larg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with good learner management and guidance. Since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the local area was insufficient,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Keyword :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al Institution Service Quality, Self-efficacy, Learning Outcome, Learning Satisfaction 현재 우리는 코로나19 라는 자연 발생적 재해, 4차산업혁명 시대라는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 고령화 사회로의 가속화, 지식기반사회로의 확장이라는 사회적 변동 등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의 큰 흐름에 마주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급격한 과학, 의료기술 성장, 경제발전 그리고 생활개선 등으로 인해 급속하게 고령사회를 촉진하고 있다. 고령사회에서는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와 필요성이 예상되는 가운데 교육 분야로서 평생교육을 들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시설은 1990년 24개교에서 2002년 328개교, 2021년 현재 416개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증가에 걸맞는 대학의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평생교육의 근간이 되는 학습자의 학업지속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학평생교육기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업지속관련 다양한 요인을 탐색하고, 요인 간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표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측면에서 영향요인을 규명한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평생교육기관의 학습자의 학습의지를 고취시키고 이러한 긍정적 학습효과가 확산되기위해 보다 나은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평생교육기관 학습자들의 학업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학습참여동기,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 학습성과, 학습만족도)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영향 관계를 복합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대학평생교육기관의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운영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내에서 최종 내생변인(학업지속의도)과 내생변인(학습만족도, 학습성과), 외생 변인(학습참여동기,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대학평생교육기관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3년 3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분석자료로 501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를 MS-Excel로 전환하여 Windows SAS 9.4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초통계 산출(descriptive statistic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t-test와 ANOVA, MANOVA, Scheffe 다중그룹비교(multiple group comparison)를 분석하였다. 공변량구조모형 분석은 Windows LISREL 8.7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업지속의도와 관련된 차이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요인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학습참여동기, 자아효능감, 학습만족도, 학업지속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업상태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모든 잠재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둘째, 학업지속의도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카이자승 값(χ²)=1505.28 (p<.001)으로 나타났으며, 오차평균차이(RMSEA) .092, 표준화 원소간 평균자승차이(SRMR)는 .046, 비표준적합지수(NNFI)는 .976, 비교적합지수(CFI)는 .979, 간명 표준적합지수(PNFI)는 .851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적절 기준과 수용기준에 매우 근접한 값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직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대학평생교육기관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에 대하여 학습성과,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에 대하여 학습성과,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과에 대하여 학습참여동기,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 모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변인 간 직접·간접 효과와 경로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생변인인 학습참여동기,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은 학습만족도에 간접효과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하게 총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성과, 교육기관서비스품질, 자아효능감은 학습지속의도에 유의하게 총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동기는 학습성과를 거쳐 학습만족도에 간접효과가 발생하여 학습만족도에 총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대학평생교육기관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와 관련된 잠재요인들 모든 영역에서 집단간 차이가 발생한 개인적 특성은 연령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세대간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세대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차별화가 요구될 것이다. 나아가 연령이 낮은 세대의 특징을 좀 더 파악하여 그들이 요구하는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학업지속의도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대학평생교육기관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자아효능감을 주요한 잠재변인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자아효능감은 학습을 통한 강화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평생교육 학습자에게 학습의 유형이나 형태에 따른 효과성을 입증하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아효능감은 단시간에 강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대학의 평생교육기관에서 정규학습프로그램이외에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자아효능감을 강화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학점은행제의 경우 지속적으로 개별적인 컨설팅과 지도가 제공되어 학업지속의도를 강화시켜줄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성과의 경우 학업지속의도와 학습만족도 요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핵심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학습성과의 하위요인 지적영역, 정의적 영역, 운동 기능적 영역, 사회적 영역을 분리하여 영향력을 검증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단선적으로 추론하면 학점은행제 학위과정을 참여하는 학습자는 지적영역이나 사회적 영역이 학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설로 여겨지지만, 현재 대학평생교육기관의 학점은행제의 경우 전공의 특성에 따라 이론 중심 교과과정으로 편성되어 있는 전공과 더불어 많은 전공의 경우, 실습과목의 비율이 높은 교육과정으로 집중되어있는 것도 상당하다. 따라서 실습이나 실기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전공의 경우 어느 영역의 학습성과가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일반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의 전공의 경우 어느 학습성과 영역이 더 영향을 미치는지 먼저 심층적으로 분석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과 프로그램 운영이 되어야 학습만족도도 높이고 학업지속의도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교육기관서비스품질은 학업지속의도와 관련 학습만족도 영향요인들에게 유의미한 주요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세분화하여 개별 외생요인으로 설정하고, 학업지속의도의 영향력을 검증하여 평생교육 학습자들에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잠재변인들은 강화방안을 구축하고, 학습자들에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잠재변인들은 보완방안을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교육기관서비스품질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그 결과를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략적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내생잠재변인으로 설정한 학습만족도는 연구모형에서 변인간 경로관계와 직접·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하지 않은 요인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만족도가 학업지속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전반적 만족정도로 구성되어 있는 척도방식을 학습성과의 하위요인과 연동하여 지적영역 만족도, 정의적 영역 만족도, 운동 기능적 영역 만족도, 사회적 영역 만족도와 같은 구체적인 학습만족도 척도 개발이 필요하고, 종합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향후에는 이 연구에서 선정된 영향요인 이외에 평생교육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요인과 최근 더 강화되고 있는 정부지원정책과 지차제 등에서 지원하는 요인에 대해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외적 요인을 고려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주로 서울지역의 규모가 크고 학습자 관리나 지도가 잘 이뤄지고 있는 대학평생교육기관으로 알려진 학습자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지방 지역의 학습자 참여는 부족하였는바 전국 대학의 평생교육기관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중국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 : 사회적 시청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Wen Lunhan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방송과 통신 기술이 빠른 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은 다양한 인터넷 라이브 방송 장르들 중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현재 한국 국내의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인 아프리카TV에 대한 기존 연구는 많이 있지만 중국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이용자의 측면에서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의 지속적인 시청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청자의 전통적인 미디어 이용동기와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이용동기가 지속사용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시청자의 이용동기, 지속사용의도와 구매의도 간에 관계에 사회적 시청이 매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 시청자의 지속사용의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적 시청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중국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 시청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중국 설문 조사 전문 사이트 운쥐안성(问卷星)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4부의 응답을 대상으로 SPSS 24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 학습’, ‘오락 추구’, ‘시간 보내기’와 관련된 전통적 이용동기와 ‘대리 만족/동일시’, ‘자기표현’와 관련된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이용 동기를 도출하였다. 그 다음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의 이용동기가 지속사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오락추구’ ‘대리만족/동일시’, ‘자기 표현’ 동기가 지속사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나타났으며, ‘정보 학습’은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구매의도에 대한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보내기’동기는 지속사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통적 이용 동기와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이용 동기의 영향력의 차이점을 보면, 인터넷 라이브 방송 동기가 지속사용의도 및 구매의도에 대한 미친 긍정적인 영향은 전통적인 이용 동기보다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시청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시청은 ‘정보 학습’, ‘오락 추구’, ‘시간 보내기’ 동기와 지속사용의도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시청은 ‘대리만족/동일시’, ‘자기 표현’ 동기와 지속사용의도 및 구매의도간의 관계에 유의한 매개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시청에 따라서 전통적 이용 동기는 지속사용의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사회적 시청은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이용 동기와 지속사용의도 및 구매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유의한 매개 효과가 있다고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 시청자의 지속적인 사용과 구매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방송 진행자는 시청자와의 소통과 시청자들 서로 소통하기를 중시해야 한다. 특히 사회적 시청의 매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시청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시청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주제어: 인터넷 라이브 게임 방송, 지속사용의도, 구매의도, 사회적 시청, 매개 효과.

      •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혁신저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병노 호서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2

        Korean manufacturers are trying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face of COVID 19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particular,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re preparing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for the stable introduction and spread of smart factories in order to establish a smart manufacturing environment. In the stage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a new information system or innovative technology, organizational members may face innovation resistance. Therefore,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a new smart factory, it urgently require to minimize resistance. In addition, the smart factory introduced by companies should be actively used and participated by organizational members. If the smart factory does not successfully settle down even after a huge amount of money is inves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mpany will suffer a lot of losses. Therefore, in order for the smart factory introduced and operated by companie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members in the corporate organization and to be used continuously, the smart factory must be systematically managed. To do this, first, in order to minimize the resistance that the newly introduced smart factory exerts o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o create the maximum performance, the CEO must demonstrate a challenging and active entrepreneurial spirit. Next,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at operate the smart factory must secure sufficient expertise and expertise in the relevant field. Finally,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the smart factory,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support the funds required by companies and make efforts to effectively provide necessary management support and external consul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smart factories for CEOs and executives of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smart factories. For this purpose,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s independent variables, CEO entrepreneurship, expertise of internal operation personnel, expertise of external consultant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were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was selected. The smart factory introduction level was adopted as a control variable.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nnovation resistance was sele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Data for hypothesis testing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Global Research, a research agency.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5 copies were recovered. Excluding 15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insincere responses such as incomplete or omitted entries, the effective sample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was 300 copies.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SPSS 27 was used and SmartPLS 3.0 was used to verify the basic hypothesis. For the moderation effect analysis, SPSS Process macro 4.0 was used.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t was empirically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basic research model and a moderating effect research model. The former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O entrepreneurship, expertise of internal operation personnel, expertise of external consultant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ies. For the latter,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four sub-models were established and then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For example, in Detailed Research Model 1, the independent variable is CEO entrepreneurship, the moderating variable is innovation resistanc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and the control variable is the internal operation personnel expertise, external consultant expertise, government support policy, and smart factory adoption level. The hypothesis test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repreneurship of the CEO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Second, the expertise of internal operation personne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Third, the expertise of external consultant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Fourth,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Fifth, it was found that innovation resis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EO's entrepreneurship and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Sixth, it was found that innovation resis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expertise of internal operation personnel and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Seventh, it was found that innovation resis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expertise of external consultants and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Finally, it was found that innovation resis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the smart fac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effective innovation resistance management and overcoming the resistance factors of smart factories to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and operated smart factories or want to introduce smart factorie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support the stable and sustainable use of the smart factory after companies introduce the smart factory by providing the guideline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EO's entrepreneurship, expertise,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우리나라의 제조업체들은 코로나 19와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자사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기업과 정부에서는 스마트한 제조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스마트팩토리의 안정적인 도입과 확산을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시스템이나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고 운영하는 단계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의 혁신저항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스마트팩토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기업들이 도입한 스마트팩토리가 조직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만약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도 스마트팩토리가 성공적으로 안착하지 못한다면 기업은 많은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이 도입하고 운영하는 스마트팩토리가 기업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려면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먼저, 새롭게 도입된 스마트팩토리가 조직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저항을 최소화하고 최대한의 성과를 창출하려면 CEO가 도전적이고 적극적으로 기업가정신을 발휘해야 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팩토리를 운영하는 조직구성원들이 충분한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확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팩토리의 성공적인 도입과 안착을 위해서 정부는 적극적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금은 물론 경영지원과 외부컨설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팩토리 도입기업의 CEO와 임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통합적인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로는 CEO 기업가정신, 내부운영요원의 전문성, 외부컨설턴트 전문성 및 정부지원정책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스마트팩토리 지속사용의도를 선정하였다. 스마트팩토리 도입수준은 통제변수로 채택되었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서 혁신저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혁신저항을 조절변수로 선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데이터는 설문지법을 사용해 수집했으며, 설문조사는 조사대행업체인 글로벌리서치를 통해 시행하였다.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15부를 회수하였으며 부실기재, 기입 누락 등의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된 설문지 15부를 제외하고 통계처리에 사용한 유효표본은 300부이었다. 기초통계 분석을 위해서 SPSS 27을 사용하였으며 기본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SmartPLS 3.0을 사용하였다. 조절효과분석을 위해서 조절효과 전용프로그램인 SPSS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통합적인 연구모델을 설정했으며, 이는 기본 연구모델과 조절효과 연구모델로 구분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전자는 CEO 기업가정신, 내부운영요원의 전문성, 외부컨설턴트 전문성 및 정부지원정책이 스마트팩토리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후자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혁신저항의 조절효과의 검증을 위해서 4개의 하위모델을 설정한 후 가설검증을 수행하였다. 예컨대, 세부 연구모델1에서 독립변수는 CEO 기업가정신, 조절변수는 혁신저항, 종속변수는 스마트팩토리 지속사용의도, 통제변수는 내부운영요원 전문성, 외부컨설턴트 전문성, 정부지원정책 및 스마트팩토리 도입수준이었다.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EO의 기업가정신은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부운영요원의 전문성은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외부컨설턴트의 전문성은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정부지원정책은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CEO의 기업가정신과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 간에는 혁신저항이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내부운영요원의 전문성과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 간에는 혁신저항이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부컨설턴트의 전문성과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 간에는 혁신저항이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지원정책과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 간에는 혁신저항이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나 향후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스마트팩토리의 저항요인을 극복하며 효율적 혁신저항관리를 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EO의 기업가정신, 전문성 및 정부지원정책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여 기업들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이후에 스마트팩토리의 안정적인 사용은 물론 지속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 서비스실패가 고객의 지속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와 기업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영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2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업은 고객의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하여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을 내세우고, 이로 인해 다양한 경험을 한 고객의 기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암묵적으로 당연시되는 심리적 계약수준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객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빈번한 서비스기업은 서비스실패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여기에서 발생되는 고객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지속구매의도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기업과의 거래를 쉽게 중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의 서비스실패의 귀인요소인 안정성과 통제성이 지속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수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와 기업신뢰의 전문성과 신용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조사하는 데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서비스기업은 서비스실패의 요인들을 잘 파악하여 관리할 뿐 아니라, 고객의 심리적 차원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업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꾸준히 긍정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방안들을 강구하여 고객의 지속적인 구매를 이끌어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표본은 호텔, 여행사, 항공사, 레스토랑 등의 서비스기업 이용 중 1년 이내에 서비스실패의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지역의 만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서비스실패(안정성, 통제성)와 심리적 계약위반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안정성과 통제성은 심리적 계약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고객이 경험한 서비스실패가 일시적이며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인식하게 되면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지가 낮아지고, 서비스실패가 기업에서 통제 가능한 요인에 의해서 발생했다고 인식하면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지가 높게 나타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심리적 계약위반과 지속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지가 높아지면 지속구매의도는 낮아진다는 결과로 검증되었다. 셋째, 서비스실패(안정성, 통제성)와 지속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안정성은 지속구매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통제성은 지속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비스실패를 경험한 고객이 그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앞으로 안정화되지 않을 것이라고 인지하게 되면 지속구매의도는 낮아지지만, 서비스실패의 요인이 기업에 의해 관리 가능한 문제였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지속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넷째, 서비스실패(안정성, 통제성)와 지속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계약위반은 서비스실패의 안정성이 지속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역할을 하지만, 통제성은 지속구매의도에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비스실패를 경험한 고객이 그 문제가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있거나 개선될 여지가 낮다고 인지하면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식이 없이도 지속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서비스실패의 귀인이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 가능한 것이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반드시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지를 거치면서 지속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심리적 계약위반과 지속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기업신뢰(전문성, 신용성)의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심리적 계약위반이 지속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업신뢰의 전문성과 신용성 모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서비스실패의 귀인(안정성, 통제성)과 지속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기업신뢰(전문성, 신용성)의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서비스실패의 귀인(안정성, 통제성)이 지속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기업신뢰의 전문성과 신용성 모두 안정성에만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행동관점에서 주로 활발히 연구되던 심리적 계약위반의 개념을 고객관점에서 관광 관련 서비스기업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기업에서 서비스실패를 경험한 고객들이 인식하는 귀인들을 파악하여 심리적 계약위반의 지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고객의 기업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강구하여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Due to long-term economic recession and political and economic external factors, a number of companies compete for market advantage. In this business environment, the customer's psychological contract level, that is, the expectation by implicit agreement is increasing, and the service company is forced to experience the situation of service failure occurring at the point of customer contact. As such, the perception of custom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caused by service failure has a negative effect on repeat purchase intention. Hence, we would like to present an efficient customer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used by service companies based on the level of trust toward the company. The perception of custom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caused by service failure has a negative effect on repeat purchase intention, and 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esent an efficient customer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corporate credibility that can be utilized by the service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demonstrated how service failur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corporate credibility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are affecting the customer using the service company through experience of service failur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 relation to the repeat purchase intention, and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credibility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To accomplish thi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reviewed through prior studies on the concept and composition factors of service failur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corporate credibility,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and the model and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ed based on thi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identify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through a research survey, and the scope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sampling adults aged 20 or older using service companies such as hotels, travel agencies, airlines, and restaurants within one yea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6, 2020 to January 31, 2020, and the spatial range was randomly selected for subjects living in the country.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50 of them were collect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4.0 statistical program based on 402 effective questionnaires, excluding 48 which were not suit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due to missing or unfaithful handling of some important item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pecific tool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failure(stability, controllability)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stability and controll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alysis. In other words, the recognition of a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decreases as the customer perceives that the service failure is temporary and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and the recognition of a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creases as the service failure is perceived to have been caused by a controllable factor in the entit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continuous purchase inten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negative(-) effect was obtained, an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the lower the repeat purchase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failure (stability and controllability)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only stability and has a negative(-) on the repeat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if the customer who encounters the situation of service failure recognizes that the problem will not occur frequently and will stabilize in the future,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ill be low. However, whether the factors of service failure are controllable does not affec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Fourth,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failure (stability, controllability)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play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stability of service failure on the continuous purchase intention, but the controllability does not mediate the effect on the repeat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ese verifications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rec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 negatively affecting the repeat purchase intention, but not on whether a service failure has occurred within the control of the entity. Fifth, an analysis of whether the company's credibility(professionalism, creditworthiness) is an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he repeat purchase intention was found to be an moderating rol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customers who perceived a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from the experience of service failure would have lower repeat purchase intention, but if they have confidence in the companies they have accumulated, they will alleviate their intention to decrea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study tourism-related service companies from the customer service perspective of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hich was mainly actively studied from an organizational behavior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event service failures of service companies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or to identify the factors to minimize the customer'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Most of all, it will have to devise strategies to enhance customers' confidence in companies.

      •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이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금옥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2

        ABSTRACT The Effect of Functi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Competence of Foodservice Entrepreneur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 Keum-Ok, Lee Dep. of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Far East University The demand for food service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women's expanding socioeconomic participation, five-day workweeks, and changes in family structure. Consequently, as the competition accelerated with the emergence of food service companies, small-scale food service entrepreneurs face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labor and fixed costs, and the continued recession have deteriorated the environ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 also exacerbate the difficul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of foodservice entrepreneur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to resolve difficulties of small foodservice entrepreneurs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the secure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mong functional competencies, technical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but management competencies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n terms of psycholog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optimis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Third, business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Finally,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government support polic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difficulties of entrepreneurs can be somewhat resolved through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ultimately provoking to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busines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research on entrepreneur competence have been conducted mainly limited to the functional competences of business leaders of small or medium enterprise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 new research model by examining both th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of small-scaled foodservice entrepreneur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itive function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to allow the business to continue and improve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foodservice industry. 여성의 사회진출, 주 5일 근무,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외식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업종의 외식업체들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외식창업자들은 여러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인건비와 고정비의 증가, 불경기의 지속은 외식산업의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발병에 따른 경제적 요인 또한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외식창업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예비 외식창업자들에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의 변인 들이 경영성과를 통해 사업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로 인한 경영성과와 사업 지속의도로 연결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외식창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 중 관리적 역량을 제외한 기술적 역량, 기업가적 역량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창업자의 심리적 역량 중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성과는 사업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식창업자의 경영성과와 사업지속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정부지원정책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외식창업자의 경영성과 및 사업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 파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 또한 창업자의 경영상 어려움은 정부의 지원정책을 통해 다소 해소될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업을 지속하려는 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앞선 연구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창업가 역량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대기업, 중소기업 등 기업 리더의 기능적 역량에 국한된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창업자 역량의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사업지속의도에 정부지원정책의 긍정적인 기능을 확인 하여 외식산업 전반의 경영활동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와 순영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종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4차산업혁명의 도래로 IoT,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AR/VR, CPS, 인공지능 등의 신기술들이 제조현장에 융·복합되면서 기업들은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통해 생산성향상, 품질향상, 원가절감 및 납기단축으로 자사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아가고 있다. 정부주도로 추진해 온 스마트팩토리 구축사업으로 ICT 인프라를 구축한 기업들은 많은 경영성과를 창출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아직도 스마트화 수준이 기초단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대기업(공기업 포함),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통하여 지속사용의도와 순영향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은 제조기업의 기획/관리, 생산/운영, 품질, 설비, 연구개발 분야에 근무하는 인원 1∼3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학력, 직급 등을 고려하여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 376부를 접수하여 부적합하게 답변한 70부를 제외하고 총 306부의 설문지로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응답한 설문을 바탕으로 연구모델 및 설정한 가설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총11개의 변수들에 대해 총 45개의 설문항목을 만들었으며, 19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채택은 1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4개의 가설은 기각되어 채택률은 78.9%로 나타났다. 정보시스템의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및 서비스 품질이 인지된 유용성에 관한 가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시스템의 시스템 품질 및 정보 품질의 인지된 사용 용이성에 대한 가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품질의 사용 용이성에 대한 가설은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CT공급기업(내부 조직의 ICT 지원 인력 포함)의 서비스 품질이 높다고 해서 스마트팩토리 사용자가 노력 없이도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지된 유용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정(+)의 영향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팩토리 사용자가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ICT공급기업(내부 조직의 ICT 지원 인력 포함)이 서비스 품질이 높다고 해서 스마트팩토리 사용자가 노력 없이도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사용 용이성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팩토리를 누구나 사용하기 쉽고, 언제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고 사용자가 노력 없이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수록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조직 요인의 최고경영자의 영향과 ICT활용역량이 지속사용의도 및 순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최고경영자의 관심과 지원 및 조직 내에서 사용자가 ICT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며 그 역량이 높을수록 지속사용의도 및 순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요인의 재정적 확보는 지속사용의도 및 순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기업이 스마트팩토리를 운영할 때 새로운 시스템이나 장비 도입을 위한 투자여력이 높을수록 지속사용의도 및 순영향에 정(+)을 미칠 것이라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요인의 정부지원 기대는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순영향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팩토리를 운영하고 있는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는 순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팩토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업무 효율성이 높아져 순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나 정부에서 스마트팩토리의 전략을 수립 또는 추진방안을 강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업에서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사용 및 순영향을 제고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팩토리를 운영하고 있는 사용자 입장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인식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분석결과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규모별, 업종별, 스마트팩토리 수준 기업별로 스마트팩토리의 지속적사용의도와 운영에 따른 순영향 관점에서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With the appearance of 4th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y such as IoT, cloud computing, big data, AR/VR, CP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l converging at the manufacturing site, implementing what we call ‘Smart Factory.’ With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y, many companies have gained competency though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quality, cost reduction and reduced delivery time. Thanks to the government-led Smart Factory implementation project, many companies that implemented ICT infrastructure are getting good business results. However, most SMEs(small&medium-sized enterprises) are still at the basic level of realization of smart factory. Accordingly, an empirical research, targeting large enterprises (including public enterprises) and SMEs that have implemented Smart Factory, was conducted to get results on durability and factors affecting net impacts. Survey used for this study considered the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staff level of 1~3 people from Planning/Management, Production/Operation, Quality, Equipment, R&D fields in large enterprises (including public enterprises) and SMEs. Among 376 surveys done, excluding 70 that were in appropriately answered, total of 306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Moreover,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estionnaire. To start the verification, total of 45 questionnaire items were made for 11 variables, and 19 hypotheses were set. As a result, total of 15 hypotheses were approved and 4 were dismissed, resulting in an adoption rate of 78.9%. The hypothesis related to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 system’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business quality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e hypothesis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 system’s system and information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but the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 system’s business quality didn’t have a positive effect. This has proven that the ICT provider enterprise (including the internal organization’s ICT supporters) with high business quality, doesn’t mean that the user of Smart Factory can use the technology without any effort. The hypothesis about perceived usefulness having an effect on durability was proven to not have a positive(+) effect. This means that if the Smart Factory user does not make an effort, it will not affect the durability.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usefulness has an effect on durability has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s results that Smart Factory can easily be used by anyone, anywhere and the more the user use the new technology without any effort, the more positive effect it has related to durability. The hypothesis that the CEO’s influence and ICT usage competency of organizational factors will affect the durability and net impacts were all accepted. This means that the more the CEO pays attention and gives support to the group, and the higher the competency of the ICT user in the group, the higher the durability and net impacts. The hypothesis that the financial security of environmental factor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urability and net impacts was accepted. This shows that when a company runs the Smart Factory, the more they invest on new system and equipment, the more positive influence it brings to durability and net impacts. However, the expectations of governmental support of environmental factors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durability. Smart Factory users’ durability has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et impacts. It shows that if Smart Factory is constantly used, work efficiency will improve, whic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net impac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terprise or government’s strategy or action plan establishment on Smart Factory. Furthermore, it will provide adequate data for Smart Factory’s durability and net impact enhancement. However, in the Smart Factory user’s perspective, thoughts varied among large enterprises and SMEs and this led to limited conclusions.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done from other perspectives, such as studies done by company size, by industry, by Smart Factory usage level.

      • 포털사이트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박기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의 지속사용의도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지속사용의도를 살펴보기 위해 포털사이트에 관한 연구와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모형을 제시한다. 기대일치, 습관, 인지된 유용성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것들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포털사이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1부의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AMOS 7.0을 이용한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사용의도는 인지된유용성, 태도, 습관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습관과 태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것은 포털사이트를 이용을 계속적으로 유지·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습관형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태도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Today, the World Wide Web (WWW) impacts many facets of our lives, including communication, entertainment, social activities, shopping, etc. The web portal is the most accessed type of site and is advertising-supported the more users who visit the site, the more income it generates. To remain competitive, therefore, web portal providers haver to be creative and innovative in attracting users. Companies provide special services, such as free email, personal web space, searches, content provision, etc. User perception to a web site is very important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the internet users' behavior. Some well-known theories, such a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have been used to examine variables that motivate individuals to accept and use an IS. While initial acceptance of IS is an important first step toward realizing IS success, long-term viability of an IS and its eventual success depend on its continued use rather than first-time use. this is so because, given its critical role in today's business processes, infrequent, inappropriate, and ineffective long-term use of IS often contributes to corporate failures. Understanding continued use is the goal of this study. We focus on user beliefs (specifically,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because prior studies of IT usage, predominantl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similar models, have established these perceptions as the dey determinants of both initial IT usage (acceptance) and long-term usage (continuance) intention and behavior (Bhattacherjee 2001; Davis et al. 1989). Any change in beliefs or attitudes will likely have a corresponding impact on, and may even revers, users' continuance intention and behavior. Also, continuance use have some features which are prior use, habit, feature-centric view of technology. So this research reflected continuance use features.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alidat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used in this study is AMOS 7.0. The research model was investigated by two-step approach in which measurement submodel and structural submodel are evaluated separately.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void interpretational confounding; otherwise may occur when two submodels are assessed simultaneously. The measurement model was evaluated in terms of unidimensionality,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Most of the overall goodness-of-ift indices for measurement model were generally acceptable level. Most of the fit indices for structural model also satisfactory level. Examination of the paths in the model revealed several interesting results. First, Perceived usefulness was a stronger predictor of acceptance intention in TAM than attitude, But attitude was a stronger predictor of continuance intention in this study than perceive usefulness. Second, confirmation was not affect directly to attitude. Last, Habit was strongest predictor of continuance intention in this study. There are important implications form the results of this study. Managing habit and attitude were most important thing for web portal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