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方自治實施에 따른 地方人事制度 改善方案

        주민수 慶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thesis is aimed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servants systems in terms of their management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The systemic problems and important issues that are dealt with in this study may be summerized as the followings. (1) The characteristics of manpower distribution, the reserved pyramid shape in which the number of officals in the infrastructure is rather poor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suprastructure. Concerning the manpower distribution in offical position grade, the national public officals usually occupy the high positions. The national public servants in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hould be replaced by the local public servants. (2) In public Personnel Law, a number of following goals are described for achieving the basic value concepts. ⓐthe establishment of public offical's roles as public servant with responsibility and impartiality. ⓑthe establishment of career system which means not only protecting the employees' interests and tenure but also providing honor as a public employee. ⓒ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neutrality of public employee. For pursuiting the above value goal, the Korean legal system for local personnel management has to be modified to provide more autonomy to local governments. (3) The special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personnel agency is needed.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personnel management organization and recruitment of specialized human resource) (4) The personnel committee is composed of 5-7 members whose status are public servants who are neither independent of the head of local autonomy organization nor fixed in office term ; this causes uncertainity and doubt to what extent they can make independent judge and decision in the personnel manag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workers for the local administrative heads who are in charge of personnel affairs. (5) For the transfer of duty and shake-up, as the principle of duty transfer is not clear and the head of personnel administration's discretive, biased view and subjective opinion affect shake-up too much. It should be executed after considering individual's character and speciality. Likewise, the range of personnel change should be broadend (upward and downward, toward both right and left). In this context, the effect of personnel administ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on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is considered on the local autonomy and takes a significant part in the maintenance of state system, when the local government exerts all possible efforts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local resid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vince, we can expect that the valu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is appreciated right, then local problems can consist with central ones in cooperative relation on the basis of equal cooperator. We expect results in the local autonomy system for the upcoming realization of the local autonomy era.

      • 地方自治團體 自體監査運營의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 順天市 地方公務員의 意識을 中心으로

        유길주 順天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finding out the methods of the rationalization of the self-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s. To achieve this, this study decided six elements and verified them empirically: independence of self-inspection, fairness of self-inspection, outside 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s, qualify of self-inspectors, personnel management of self-inspectors, and self-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 directors. The results suggest the lack of independence and fairness, inefficiency of outside inspection, and poor quality and poor personnel management in self-inspectors. It illustrates that the self-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s has not been operated rationally. It was recognized differently with the career and job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employees. As the career and job classification were high, a negative attitude to self-inspection was high. Accordingly, six elements proposed in this paper were identified in general.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rational methods of operation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ce of self-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s needs to be guaranteed. To achieve this, an independent self-inspection body should be established and inspector's personnel independence is needed. Second, the fairness of self-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s needs to be guaranteed. To achieve this, the standard of disciplinary determination and the cross-examination of offender and inspector should become more systematic. Self-inspection should be planned in agency and divis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ity. Third, the outside inspection to local government should be improved. To achieve this, all kinds of materials should be shared with related inspection agencies, class(responsible) inspection should be executed, and the local governments inspection coordination act should be legislated. Furthermore, inspection authority needs to be divided according to business and real name self-inspec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rticle 158 of Local Government System Act needs to be revised and residen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self-inspection Fourth, inspectors' professionalism should be developed. To achieve this, professional inspectors should be secured, inspectors training should be reinforced, and an inspect job should be established in local government employee position. Fifth, inspectors' personnel management should be enhanced and a motivation provision is prescribed. Finally, local government directors should change their attitude to self-inspection To meet social situation of the rapid increase of demand of local administration and Quality change, the self-inspection of local governments should fulfill their role to have the responsibility of administration and the guarantee of efficiency However, currently, local governments do not operate self-inspection rationally for some reasons. Accordingly, if self-inspection is not operated rationally for such reasons in local government, irrational elements of self-inspection should be removed, and local governments turn into their developmental direction to overcome them. Since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methods for the problems of self-inspection, it will be helpful to rational operation of self-inspection.

      • 地方自治團體의 港灣開發 參與 및 管理能力 向上方案에 관한 硏究

        장방식 順天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Korea, the government wholly takes care of port development & management and the direct port management system by the government has occasionally caused disharmony between port and city planning and hindered regional economy activation. We can easily see that port development & management by each local government goes far toward not only activation of the ports but also regional economic growth in foreign countries. Local-governments of Korea would have autonomy to take part in port management even though it seems to be difficult for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to take over port related rights considering immaturity of local-government system in Korea society. Until now,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never engaged in port develop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so it is an important question on how to secure port management ability in the event that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manage ports.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and present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disposal i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when they participate in port management directly or indirectly as well as their qualifications to be the subjects of port management comparing with the cases of foreign major ports.

      •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擴充方案에 關한 硏究 : 自主財源을 中心으로

        어윤종 建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地方自治를 效果的으로 實施하기 위해서는 地方財政自立을 위한 地方財政의 擴充과 새로운 稅源의 發掘이 切實히 要求되고 있다. 最近 우리經濟는 IMF寒波로 高賃金, 高金利, 高物價, 大量先業으로 인하여 企業은 물론 國民 모두가 國家經濟에 대하여 많은 걱정을 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2期 地方自體團體의 出帆을 앞두고 住民의 地域開發과 福祉增進에 대한 期待欲求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趨勢이다. 그러나 地方財政은 그 規模가 아직 零細하고 自治團體間의 差異가 심하여 地方政府가 地域住民에게 均衡있는 서비스를 提供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本 論文에서는 地方財政의 擴充方案으로 地方財政 稅入중 가장 基本的이고 安定的인 收入源인 地方稅와 稅外收入 擴充方案을 硏究의 對象으로 限定하였다. 이를 위하여 地方財政의 規模와 現況分析을 通해 地方財政에서 地方稅와 稅外收入이 차지하는 比重과 特性을 살펴보고 問題點을 導出하였다. 이를 根據로 地方財政의 擴充方案을 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自主財源의 根幹인 地方稅의 擴充은 租稅體制가 改編과 制度改善, 新稅源發掘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稅源은 國稅에 偏重되어 있으므로 國稅中 稅源이 地域的으로 偏在되지 않고 地方稅的 性格이 강한 酒稅, 電話稅, 附加價値稅 중 一部 稅目을 地方稅로 移轉하여야 하며, 經濟·社會의 發展에 따라 潛在的 稅源의 새로운 發生과 繼續 增加될 財政需要에 對處하기 위해서는 原因者負擔 및 使用者負擔 그리고 受益者原則에 立脚하여 環境保全稅, 廣告稅, 觀光稅, 道路利用稅 등 法定外 稅目의 新設을 通한 稅源擴大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地方稅가 지니고 있는 課標의 非現實性, 伸張性의 鈍化 및 課稅自主權의 制約으로 인하여 經濟發展 및 國民所得水準向上 등 環境變化에 連繫시키지 못함으로써 稅收의 相對的 減少를 招來케한 問題點으로 補完, 改善하는 方案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稅外收入制度를 整備하여야 한다. 稅外收入의 增大方案으로는 使用料·手數料, 經營收益事業, 地方公企業을 檢討하였는데 그 具體的 方案은 使用料·手數料는 現實에 맞는 基準을 정하여 料率을 調整하고 收支·原價分析을 通하여 現實化하고 新規 徵收對象의 稅源發掘을 通하여 稅收를 增大시켜야 한다. 또한 經營收益事業의 擴充으로 非租稅的 稅源을 增大하고 地方公企業의 活性化를 通하여 公企業의 財政缺陷을 最小化하는 方案이 있다. 이의 實行을 위해서는 國民租稅負擔 加重으로 인한 租稅抵抗과 制度上 改編 및 立法化와 같은 問題點이 있으나 問題解決에 積極的인 努力과 國民租稅負擔을 最小化하는 範圍 內에서 稅源의 증가분을 效果的으로 把握하고 合理的으로 適用한다면 地方財政擴充에 寄與하는 바가 클 것이나, 地方自體團體 스스로가 自主財源의 擴充에 最大한의 努力을 기울여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 中 ㆍ 韓 지방자치단체간의 교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양숙일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국의 국제교류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며, 그 교류의 내용에 있어서도 1992년 한국과 외교관계가 수립된 이후 올해까지 15년이라는 그렇게 길지 않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정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교류가 일어나고 있을 정도로 한국과 중국의 국제교류는 확대되고 심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거대한 시장의 존재와 중국 정부가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는 개혁과 개방의 국가전략은 끊임없이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며, 특히 중국에 인접해 있으면서, 아직은 초보 단계에 있는 중국 경제와 세계 경제를 연결시키는 중재적 위치에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 중국과의 교류는 정치적인 이유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이미 더 이상 이론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중요한 교류의 이유가 되어 버렸다. 이처럼 밀접한 양국의 관계는 앞으로 상호간의 필요성과 발전전략에 따라 동반자적인 측면과 함께 경쟁자적인 측면이 양립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향후 양국 간의 교류 합력은 경쟁자적인 측면을 어떻게 관리해 나가느냐 하는 점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한ㆍ중 관계에서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중국의 지방정부와 한국의 지방정부와의 교류 관계이다. 중국 지방정부의 국제교류에서 한국 지방정부는 커다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방 정부들 간의 교류 활성화는 양국 간의 교류에서 결과할 수 있는 잠재적 경쟁자적 갈등 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전체 국가의 관계에서 결과하게 될지도 모를 갈등이 이를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지방정부 단위에서는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의 지방 정부들 사이 교류 관계의 특징에 대한 이해는 양국의 교류 관계가 보다 갈등을 최소화 하는 쪽으로 전개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글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지방정부 간의 교류의 특성을 살펴보려 한다. 중국의 많은 지방정부들이 한국과 교류관계를 맺고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요녕성(遼寧省)을 중심으로 한ㆍ중 지방 정부 간의 교류의 특성을 살펴보려 한다. 요녕성(遼寧省)는 중국의 지방정부 중 가장 가깝게 한반도와 인접하고 있어서, 일찍부터 한국의 지방정부들과 교류관계를 맺어 왔다. 1993년에 한국 경기도와 자매결연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한국과의 교류에 나섰다. 특히 북한과의 지리적 인접성으로 인해 요녕성(遼寧省)은 한국과의 교류뿐만 아니라 한국과 북한을 연결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한국과의 교류를 더욱 중요하게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한 한국과 중국 지방자치단체의 현 실태를 알아보고, 앞으로 중국지방정부의 한국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교류 활성화 방안과 바람직한 교류 정책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한 중국과 한국지방정부간의 국제교류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려 한다. In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ctivities of China local government, Korea local government plays an important part. Since 1992, China and Korea have built the foreign communication relationship of 15 years, the communication contents have been changed in every field like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etc. China is utilizing the tremendous marketing, national strategy, excellent leading strength of the leaders to strategically develop the economics. The existence of much overseas Chinese capitals is making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mature rate. According to the necessity and developing strategy between each other, it will make positive influence to the mutual communication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Especially Liaoning Province is the only province that is border on Korean peninsula, and formed the sister city with Gyeonggi Province of Korean in 1993. With the tremendous marketing, Liaoning Province needs to build the partner relationship with Korea which has the big potential competence. So under the background of globalization, in the light of the reality of Korea local autonomic group, in order to seek the improving scheme, it hopes to make thei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come active and improved. Especially through seeking the activationschem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Liaoning Province and Korea local government, it hopesto propose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strategy to Korea. This i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ange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range is that first, the research on the peculiarity which connect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f Korea local autonomic group, the construction of Korea local autonomic off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local autonomic group and parliament. Second, comment on the Korea local autonomic office, the type, actual pattern and problem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in Korea local autonomic group. Third, comment on the office and function of China local autonomic group which in charge of the up-provinc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seek the problem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local autonomic group, and the cooperation scheme between two countries. The range of this research takes the China local autonomic group and Korea local autonomic group as the target. Comment on the peculiarity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hina local autonomic group and Korea. And take China Liaoning Province as an example. In order to get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wo methods are used. First is the document research. In document research, comment on the peculiarity of Korea local autonomic group and the actual pattern, type and problems of Korea local autonomic group, seeking the cooperation scheme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local autonomic group, and Chinese activation scheme to the Korea local autonomic group. Second, make the example research through the researching methods of essence.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examples of Liaoning Province, proposing the activation strategy to the Kore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To be confronted with the opportunity of Glocalization, Chinese local government is looking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f strategy to Korea local government.

      •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자치제 운영에 관한 교육관련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이승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지방교육자치제는 1949년 12월 ‘교육법’이 제정․공포되고, 1952년 4월 ‘교육법 시행령’이 제정되어 시행된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 실행과 폐지, 부활과 개편을 거듭하다가 1991년 3월 제정된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하 ‘지방교육자치법’이라 한다)에 의하여 과거에 비해 실질적인 지방교육자치제가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지방교육자치제는 시행 초부터 중앙집권적 권한의 배분, 교육감과 교육위원 선출과정에서의 잡음,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실시단위 불일치, 교육위원회와 지방의회 간 중복 심의․의결과 대립․갈등의 문제,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연계성 부족 및 지방교육재정의 자립도 미흡 등 많은 문제점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2006년 2월 21일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제주특별법’이라 한다)이 제정되면서 지방교육자치제의 핵심 쟁점이었던 ‘교육감 및 교육의원 주민직선제 도입’과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통합’ 방안이 제주특별자치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교육감 주민직선제 선출과 더불어 지방의회(광역의회) 의원의 일원인 ‘교육의원’이란 명칭으로 교육의원도 주민직선제로 선출되었다. 이로써 통합된 지방의회 내의 교육위원회는 2006년 12월 개정된 지방교육자치법의 시범무대가 되면서 출범하게 되었다. 2006년 12월 개정된 지방교육자치법 시행에 따라 2010년 6월 2일에는 전국적으로 교육의원 선출이 주민직선으로 전환되었고, 교육위원회는 시․도의회의 상임위원회로 구성되었으며, 교육감 선거 역시 전국 16개 시․도에서 지방의원 선거와 함께 주민직선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2010년 2월에 개정된 지방교육자치법은 교육감 후보자 및 교육의원 후보자 경력 제한 등의 조건을 완화하고, 교육위원회 설치 및 교육의원 선거 조항의 유효기간을 설정하여 2014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지방교육자치제에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에 지방교육자치의 선도적인 모델이 되는 제주특별법에 의한 전국 최초의 교육감 및 교육의원 주민 직접선거제도, 통합형 교육위원회 운영, 학교 교육과정 자율편성 운영권 확대 등을 실시하고 있는 제주교육자치의 운영 및 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효율적인 운영 방향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산하 초․중등교원, 교육전문직 및 일반직 지방공무원과 초․중등학교 운영위원 중 학부모위원(이하 ‘학부모’라 한다)을 대상으로 제주특별법에 의한 지방교육자치의 성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지방교육자치법 시행상의 문제점과 쟁점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교육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하였다. 하나는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연구이며, 또 하나는 조사연구(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 결과, 제주특별자치도의 교육 전반에 걸친 성과와 문제점에 대해 교육관계공무원과 학부모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감과 교육의원의 주민직선제 및 그 유지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2010년 2월에 개정된 지방교육자치법에서의 교육감 후보자 및 교육의원 후보자 경력 제한 등의 조건 완화와 교육위원회 설치 및 교육의원 선거 조항의 유효기간을 설정하여 2014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실시하도록 한 교육의원 일몰제에 대하여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타 시·도에서 교육의원 일몰제가 실시되더라도 제주특별법에 근거하여 제주에서는 현행 교육의원제도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제주특별법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는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자율학교의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가장 큰 장점으로 보고 있다. 영어교육도시 조성에 대해서도 제주의 경제성장 및 교육수준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일선학교에 대한 감사는 외부기관의 감사가 교육의 전문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교육청에서 실시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감은 교육의 전문성 확보를 위하여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정치적 중립성 및 주민의 대표성 확보를 위하여 교육감 직선제는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2014년 6월 30일까지만 유효한 교육감의 교육경력 또는 교육행정경력 폐지는 신중히 재고되어야 함이 타당하다. 둘째, 교육의원 일몰제 시행은 신중하게 재고되어야 한다. 교육의원이 아닌 일반의원으로만 구성된 교육위원회는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셋째,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에 있어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적․물적 요소들을 계속적으로 지원하여 안정적인 기반 위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영어교육도시 조성 및 국제학교 설립 운영이 장기적으로 제주의 경제성장과 교육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출신 학생의 특례입학제도는 장기적인 제주교육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일부 학생에 국한된 특례입학제도보다는 영어교육도시 내에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시설 설치 및 프로그램 개발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일선학교를 포함한 도교육청 산하기관에 대한 감사는 도교육청에서 담당하여야 한다. 외부기관에서의 감사로 인하여 학교 교육의 전문성과 자율성이 위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교육감의 자율적 내부통제 수단 중의 하나인 지도․감독 권한이 무시되어서도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감사위원회에서는 도교육청에 대해서만 감사를 실시하고 일선학교 등 도교육청의 산하기관에 대한 감사는 교육감이 하도록 하되, 일선학교 등에 대하여 특정한 사안이 발생할 경우에는 감사위원회에서 부분감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지방교육행정협의회 등을 통하여 제주특별법에서의 감사권한이 협의․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 지방자치단체장의 특성이 지방자치단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에 미치는 영향 :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김주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각종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민원을 처리하거나 지역 주민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그런데 이용자의 연령, 소득, 학력 수준, 성별 등의 여러 측면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능력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용자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용 수준이나 이용 행태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지방자치단체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행정 서비스의 양과 질에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할 것이며 주민들의 정책 참여도 또한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격차가 심화된다면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수요자 중심의 행정 서비스 제공과 정부와 시민 간의 의사소통 확대를 통한 전자 민주주의 발전이라는 전자정부의 목적과 반대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어떠한 특성이 지방자치단체 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수준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조직의 리더가 정보통신기술에 대해 갖는 이해도나 관심도가 해당 조직의 정보화 수준이나 기술 활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결과에 비춰볼 때 리더의 어떠한 특성이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리더의 이해도나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지가 문제된다. 본 연구는 특히 트위터라는 매체가 가진 정치적 성격에 주목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성향과 선거경쟁도가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트위터 활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23명의 기초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정치적 성향(보수/진보)을 나타내는 소속 정당(여당/야당)과 총선 당시 2위 득표자와의 선거 경쟁도를 점수화하여 독립변수로 삼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성별, 연령, 학력 수준, 이전 경력,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인구수, 노령화 지수 등을 통제 변수로 삼았다. 종속 변수로는 지방자치단체의 트위터 활동을 세분화 하여 누적 트윗 수, 팔로잉 수, 팔로워 수, 최근 한 달 간 작성한 트윗 수, 최근 한 달 간 작성한 상호관계형 메시지 수 등으로 정하였다. 이렇게 트위터 활동을 세분화하여 각각 살펴본 이유는 각 행위들이 정치적으로 고유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단체장의 정치적 특성과 지방자치단체의 트위터 활동 사이에서 단체장 개인의 트위터 활동 수준이 매개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소속 정당이 야당인 것은 지방자치단체 트위터의 팔로잉 수, 팔로워 수, 4월에 작성한 트윗 수, 4월에 작성한 상호관계형 메시지 수에 통계적 유의수준 p=.05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야당 소속 단체장일수록 트위터를 이용한 지역주민과의 소통 의지가 더욱 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 경쟁도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트위터 활용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단체장들이 경험하는 경쟁이 실제 선거보다는 정당 내 공천 과정에서 더 치열하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다음 총선과 시간적으로 거리가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또한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 총선에 재출마할 의사가 있는 단체장들을 추린 후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장들의 개인적인 트위터 활용 수준은 단체장의 정치적 특성과 지방자치단체의 트위터 활용 수준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야당 소속 단체장의 개인적인 트위터 활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이것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트위터 활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간 트위터 활용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이러한 지역 간 차이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성향에 따른 단체장 개인의 트위터 활용 정도 차이에서 기인하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행정 서비스와 주민의 정책 참여 기회가 지역 간 격차 없이 골고루 제공되게 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장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단체장의 의식 전환을 꾀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일이 우선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앙 정부가 지방 정부에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행정 서비스 제공에 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적절한 유인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이제까지 소셜 네트워크 활동이 저조하였던 지방자치단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들과 미진한 점 등을 보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정치적 성격이 행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地方自治團體 國際化業務의 發展方案硏究 : 忠淸南道를 中心으로

        노광빈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급격한 지방행정의 변화 속에서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의 국제화'라는 대명제에 직면하고 있다. 지방의 국제화는 과거와 같이 중앙정부의 일방적인 지시나 지침에 의한 방법으로는 결코 달성될 수 없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세계화 전략을 추진함으로써 이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국제화를 추진할 때 체계적이며,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국제화수준별 국제화사업수행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하여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국제화수준별 국제화사업수행전략을 살펴보면 첫째로 초기단계에서는 국제화사업수행을 위한 자치단체장의 관심과 지지가 중요하고, 두 번째로 내부지향적 발전단계에서는 국제화사업의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중요하며, 세 번째 외부지향적 발전단계에서는 반대로 국제화사업수행을 위한 내부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성숙단계에서는 국제화사업의 효율화를 위한 평가가 또한 중요하다. 국제화사업의 추진단계별 평가에 비추어 충청남도의 국제화사업의 추진실태에 대한 평가를 내린 결과, 국제화사업추진을 위한 기반구축사업과 국제교류추진사업, 국제통상사업의 추진실태는 여타 제반조건들이 갖추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운용함에 있어 전문성 부족 및 지원기관과의 연계성 부족, 그리고 교류협력의 특정분야 편중 등의 미성숙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어 국제화사업 단계상 내부지향적 발전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반해 투자유치 추진사업은 여타 사업부문들보다는 비교적 성숙한 단계로서 특정부문에서는 비교적 성공적인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국제화사업수행을 위한 내부역량을 충족시키는 단계로서 외부지향적 발전단계에 진입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국제화전략사업을 위한 표준모형에 입각해 국제화사업수행을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제시해 보았는데, 국제화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구축사업들에 있어서는 전담기구 및 인력의 전문성 확보,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체계의 구축, 외국인 생활문화 향상을 위한 활동 지원 등의 전략들이 제시되었고, 국제협력·교류 추진사업 및 해외투자유치사업에 있어서는 자매결연 및 우호협력 확대, 교류·협력 분야 특화, 자매결연의 다변화 및 내실화 전략 등과 해외투자유치를 위한 지역 마켓팅 홍보전략 등이 정책방안들로 제시되었다. 충청남도에서는 본격적인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 국제관련 담당부서를 설치하여 국제교류협력사업과 통상교류활동을 지원하여 많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앞으로 충청남도는 보다 체계적인 세계화 추진전략과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세계화 추진실태에 대하여 보다 세부적인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지금까지의 국제교류활동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자매결연과 통상교류 및 해외시장개척활동에 대한 철저한 사후평가와 관리를 통하여 지역기업의 수출증대 및 해외진출 촉진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외국인 투자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도 병행하는 등 충청남도내의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복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地方自治團體 監査制度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 監査制度의 實態分析을 中心으로 (Center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ystem of Audit and Inspection

        兪德濬 檀國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audit and inspection on the local government is the activity of checking the affairs of the local government under the objective and fair standards, so that it provides its residents with the better administrative service. If the local government performs its role legally and desirably, the audit and inspection on it is not needed. However,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local government to do it of itself, we need the system of audit and inspection internally or externally. In our country, the audit and inspection on the local government is mainly executed by the audit agency of the national government. Thus, we have some problems of the overlapping audit, and the frequent audits have been disturbing the actual administrative affairs of the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since the start of the second period of the local government elected by citizens, the local government has been inspired to extend its uniqueness and autonomy in relation with the national government. After all, though the audit and inspection is necessary to lead the local government to do its affairs fairly, the effectiveness of audit and inspection falls as long as it depends too much on the national government agenc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ational system of audit and inspection and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system of audit and inspection so that it is desirable for the autonomous administrative system. As the local autonomy is properly established, the independence of the local government will get stronger than ever. Then it is of importance to improve the system of audit and inspection in that the intrinsic purport of local autonomy will be meaningless unless it works properly. Thus,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ystem of audit and inspe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alyzed its problems, and suggested the system of audit and inspection which is suited for the local administration for the twenty-one century.

      •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에 대한 주민인식 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이금숙 배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에 대한 주민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1995년 최초로 지방자치단체장이 선출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명실상부한 지방자치단체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런 정도의 지방자치 기간이면 지방자치의 제도화가 이루어지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추정된다. 주민들 역시 지방자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크게 의심을 품지 않고 있기도 하다. 다만 지방자치의 방향과 구체적인 실천모습에 대해서는 다양한 개선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 지방자치의 성패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적 요소이다.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와 정책적인 성향, 그리고 개인수준의 자질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성과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그동안 지방자치단체장을 거쳐 간 역대 대전시장에 대해서 주민들의 평가성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주민들에게 자치단체장의 자질에 대한 표준화된 설문을 사용해서 공통의 질문을 담은 설문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자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으며, 그 성과에 대해서도 평균이상의 긍정적인 답을 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개편방향에 대해서는 광역과 기초 모두에 있어서 단체장은 유지, 의원선거는 폐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한 이유로는 지방경제의 발전과 주민의 수요를 반영한 정책의 수립, 주민참여의 제고, 지역문제의 자발적 해결이 높았다. 지방자치제도 부작동의 원인으로는 지방의회 의원의 비전문성, 지방자치단체장의 비전문성, 지방행정역량의 부족, 지역주민의 관심부족이 중요한 원인이었으며, 지방자치제도 성공조건은 주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가 높았다. 주민들은 지방자치를 통해 20년 전의 관선제 시대보다 성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연계자의 역할이 가장 중요했고, 지역 내 주요 현안의 의사소통자 역할, 이해갈등의 조정자의 역할과 같은 주민과의 상호소통과 관련한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청렴성, 정직성, 투명성, 원칙준수와 같은 개인적 자질과 함께 업무추진력, 업무전문성, 정치력, 조직장악력, 구성원과의 소통력 모두를 아주 중요하게 판단했으며, 지방자치단체장의 출신이력으로는 지역주민 출신의 지방자치단체장이 지방자치단체장의 성공을 위한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지역의 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중앙정부의 권한위임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의 강화의 긍정적 요인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앙정부의 과도한 개입과 지방정치인(지방자치단체장)의 비전문성이 지방자치단체의 부작동의 원인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지방정부의 성과를 높게 평가했다. 이는 대전광역시의 경우, 실제로 지방자치단체의 개입이 상대적으로 낮고 자치단체장의 역량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지방정치인(지방의회 의원)의 비전문성이 지방자치단체에 부정적 역할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인식을 가질수록 지방자치단체의 성과를 높게 평가하였다. 이는 대전광역시의 지방의회 의원의 비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대전광역시의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은 주민과의 보다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지방자치의 과정과 성과를 적극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주민들의 지방자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전광역시의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을 위한 조건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여전히 중앙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권한이 많은 상황에서 중앙정부 권한위임이 가장 필요하다는 것을 대전 시민들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