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직원의 중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서비스 제공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광주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ereotype of hotel employees to foreigners on the level of service. Stereotype of hotel employees to foreigners is defin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dividual persona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level of service as a dependent variable.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the employees of hotels in Korea, and the sample was employees in food and beverage service employees at the service contact among those who worked in the Five Star hotel in Seoul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a month in August 2013. To implement the study, 22 hypotheses in 3 areas were set to make specific verification. For this purpose, stereotype to Chinese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o Chinese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service level as a dependent variable. Factorial analysis to each variable was carried out. The stereotypes to Chinese were defined as positive image, and negative imag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defined in two as friendliness and family-likeness. Service level was defined in one factor as customer oriented service. To verify hypothe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hypothesis 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 of stereotype to Chinese up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o Chinese. As a result, negative image, as a sub-variable of stereotype to Chine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negative influence to friendliness and family-likeness as sub-variables of attitude to Chinese at significance level 0.01. That is to say, the more they had negative image, the less friendliness and family-likeness they had. In particular, it had more negative effect(-) on friendliness. It means, if they had less negative image on Chinese, they could be friendly with Chinese or consider them as neighbors. Secondly, hypothesis 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 of stereotype to Chinese upon service level. As a result, while friendliness, as a sub-variable of the attitude to Chine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positive effect(+) on service level at significance level 0.01. But,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family-likeness. Thirdly, hypothesis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 of stereotype to Chinese upon service level. As a result, negative image to Chinese had nega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ed service level at significance level 0.01, and positive image had positive effect (+) on customer oriented serice level at significance level 0.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직원의 외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호텔 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외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독립변수로 규정하고 개인성향을 조절변수로, 서비스 제공 수준을 종속변수로 규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본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호텔의 직원이며, 표본은 서울지역 특 1급 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 중 서비스접점에 있는 식음료 직원만을 대상으로 하여 2013년 8월 한 달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3개 영역 22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세부적인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중국인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을 매개변수로, 서비스 수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변수의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은 2가지 요인으로 긍정적 이미지, 부정적 이미지로 명명하였고, 다문화 수용성은 2가지 요인으로 친근감과 가족성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서비스 수준은 한 가지 요인, 고객지향적 서비스로 명명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 중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중국인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독립변수인 중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의 하위변수인 부정적 이미지는 중국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수인 친근감과 가족성 모두에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이미지가 커질수록 친근감과 가족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친근감에 보다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없을수록 중국인에 대하여 친하게 지내든지 이웃으로 둘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가설 2. 중국인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이 중국인에 대한 서비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인 중국인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수인 친근감은 중국인에 대한 서비스 수준에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가족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 중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중국인에 대한 서비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결과,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고객지향적 서비스 수준에 대하여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 이미지는 고객지향적 서비스 수준에 대하여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중국인 학부생을 위한 학문 목적의 쓰기 교육 내용 연구 : 한·중 학습자의 텍스트 분석과 교육 내용 설계를 중심으로

        형재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적 배경에 따라 쓰기 텍스트가 영향을 받는다는 대조수사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며 한국과 중국의 쓰기 텍스트와 양국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쓰기 특성을 반영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대학의 글쓰기 강좌(교양국어)는 내국인과 외국인을 분리해서 개설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들 강좌는 성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개설된 교양국어 강좌의 쓰기 교육은 학술적 쓰기 양식보다는 언어적 표현이나 한국어 숙달도에 비중을 두고 있다. 교양국어의 목적과 전공에 진입한 이후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에도 단순히 한국어 문장과 표현과 관련된 지식보다는 학술 담화 공동체의 요구와 학문적 담론과 관련된 쓰기 지식의 차이를 인식하는 데 중점을 두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인 독자 입장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제출한 글을 보면 표현이 어색하지만 오류를 분석할 수 없는 내용이 자주 발견되는데 이러한 상황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문제를 학습자의 언어능력 부족으로만 간주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쓰기 능력이 어떤 것에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모국의 쓰기 교육 내용이 학습자의 쓰기 지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은 사회 문화적 배경과 환경의 차이로 인해 쓰기 교육 내용에 간극이 존재하며 이를 어떻게 교육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지 그 방향을 모색하려는 입장에서 연구를 전개하였다. 위의 연구의 문제와 방법을 논문의 각 장과 관련지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선행연구로 대학 내 쓰기 강좌인 ‘교양국어’에 대한 경향과 교육 목표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의 주된 흐름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학문 목적 쓰기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대조 수사학적 관점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의 흐름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대조 수사학 연구와 쓰기 연구에 관한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고, 쓰기 지식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와 문화적 배경이 쓰기 텍스트에 반영된다는 대조 수사학적 이론적 전제를 하고 쓰기 지식을 살펴보았다. 쓰기 지식의 개념 및 성격 그리고 쓰기 능력의 논의를 통해 쓰기 지식은 사회 언어학적 지식의 기반을 이룬다는 전제하에 중국인 유학생이 대학에서 쓰기를 수행할 때에 필요한 지식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전제를 분석의 준거로 삼아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의 쓰기 텍스트와 양국의 고등학교 쓰기 작문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지식을 분석하였다. 쓰기 텍스트는 대학교의 교양국어 강좌를 수강하는 한국인 대학생 글 100편과 중국인 유학생 글 41편으로, 총141편을 수집하였다. 쓰기 텍스트 분석 틀은 내용 지식, 맥락 지식, 언어 체계 지식으로 구분하였다. ‘쓰기 과정 지식’, ‘장르 지식’은 양국의 작문 교과서를 검토함으로써 쓰기 교육에서 나타나는 쓰기 지식의 차이를 추론하였다. Ⅳ장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 필자는 같은 목적을 지닌 장르의 글을 쓰더라도 글의 구성 방식이나 논거의 객관성, 표현 방법 등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학문 목적의 쓰기 교육의 학습자 대상과 교육의 목표를 설정한 후에 Ⅲ장의 한국인과 중국인 쓰기 텍스트와 양국의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내용의 거시적인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미시적인 측면으로 학문 목적 쓰기 지식의 요건 및 쓰기 지식에 대한 내용 요소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서로 다른 언어에서 관찰되는 쓰기 텍스트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들에게 자신의 모국어인 중국어와는 다른 한국어 쓰기 텍스트 구성 형태에 대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효과적인 학문 목적의 쓰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중국인 유학생의 글에 나타나는 사회 언어학적 지식의 차이를 한국인 교수자 입장에서 바르게 평가하고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파열음 인식과 발음

        류화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While the increasing rapidly of Chinese people who ar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Korean education plan and the basic research is taking a lot of growth for Chinese people. It is a basic condition for using the language correctly and getting good communication to recognize and pronounce a language correctly. There were many symptoms that were incorrectly recognized to pronounce because of which was influenced by the native language(Chinese) when Chinese learners pronunced Korean language. In order to recognize accurately and to pronounce correctly a second language, it must be preceded to proper understand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manner of articulation, Simultaneously the physical differences of two languages must be also understood. Therefore the subject of study was lax consonants, tense sounds, aspiration sounds of Korean that were difficult for Chinese people to distinguish, and while focusing on the study of plosive, the experiments for listening and pronunciation were carried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the experiments for listening, it was found how Chinese leaners cognized Korean plosive, and according to the period of learning Korean as a step to perform the experiments for pronunciation, so as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of recognization and the pronunciation. Through the experiments for listening, it was found that aspiration sounds were more difficulties for Chinese learners than tense sounds and lax consonants, and the error type that the confusion between aspiration sounds and lax consonants were more severe than between aspiration sounds and tense sounds' was found. And the longer the duration of learning, the higher the accuracy of listening cognitive was. The following is intended for the Chinese speakers and Korean speakers pronounce the experiment with the Chinese about what to say of the Korean firing were examined. Determination study of Koreans pronounce these experiments are relatively high, tense and agreement aspirated sounds lax consanant sounds concordance was relatively low. And at aspirated sounds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in order of increasing its tense and agreement at lax consanant sounds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beginner level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With tense and lax consanant sounds intermediate stage in the learning and experiencing the confusion that could be a glimpse. Next thing compared Chinese and Koreans were pronounce by measuring the value of VOT in plosives. As a result, tense of Korean more organic sound close to haneo sound of the weapon and the VOT value of Korean lax consanant soundse close aspirated sounds, haneo well as weapons, but its value is between organic Well chinese language was closer to the organic well. Finally, the association between listening and pronunciation were evaluated. At first word, listening to the concordance percentage and higher than most entry-determination in the most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follow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respectively, followed by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and the percentage of agreement was higher the longer the learning period. This duration of the study to communicate with Koreans recognized as being less influenced by differences in pronunciation that was found to be gradually getting smaller. When lax consonants at the middle of word elementary, middle and high three groups of listeners in both percentage and higher than the concordance rate determination, when tense sounds at the middle of word elementary, middle and deliberate decision to order more than the low concordance rate of correct answers was listening aspiration sounds agreement with the determination Accuracy rates were similar to those listening. This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Koreans middle of word aspiration sounds and ax consonants without affecting the large differences were also found to ‘tense sounds>lax consonants>aspiration sounds’ cognitive abilities in order listening ignition is higher than capacity Could be. And listen to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concordance compared VOT elementary, middle and high three groups of listeners in both tense concordance rate of correct answers was higher than the VOT aspirated sounds and lax consanant sounds agreement VOT is higher than two correct answers listeners. The ratio of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is increasingly in order. This tense is easier to pronounce than the recognition and awareness aspirated sounds and lax consanant sounds more pronounced than the rest could see that. Then in the alveolar and velar bilabial well, compared to the difficulties in recognition and pronunciation that was found to be. Key words: Chinese, Korean, Plosive, Listening, Pronunciation, Exeperimental Phonetics.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들이 급증하면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안과 기초 연구가 많은 성장을 이루고 있다. 한 언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발음하는 것은 언어를 정확하게 사용하고 의사소통을 잘하기 위한 기본조건이다. 중국인 학습자 역시 한국어를 발음할 때 모국어인 한어의 영향을 받아서 잘못 인식하고 발음하는 현상이 많다. 제2외국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정확하게 발음을 하기 위해서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과 동시에 두 언어의 물리적인 차이에 대해서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들이 구별하기 어려워하는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파열음에 연구 중심을 두면서 청취 실험과 발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청취 실험을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파열음에 대하여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라 단계별로 발음 실험을 하여 한국어 파열음에 대한 인지 정도와 발음이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청취 실험을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경음과 격음에 비해 평음에 대해 더 어려움을 겪고 있고 그 오류 유형은 평음과 경음 간의 혼동보다 평음과 격음 간의 혼동이 더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 기간이 길수록 청취 인지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다음은 중국인 화자와 한국인 화자를 대상으로 발음 실험을 진행하여 중국인의 한국어 발화 정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발음 판정 실험을 통하여 경음과 격음의 일치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평음의 일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평음에서는 ‘초급<중급<고급’의 순서로 그 일치율이 높아지고 경음과 격음에서는 초급과 고급이 중급에 비해 조금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경음과 격음에서는 과도 단계인 중급이 학습에서의 혼란을 겪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그 다음은 중국인과 한국인이 발음한 파열음의 VOT값을 측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한어의 무기음은 한국어의 경음과 더 가깝고 유기음은 한국어의 격음에 가까우며 평음은 그 VOT값이 한어의 무기음과 유기음의 사이에 있지만 그 값이 한어의 유기음에 더 가까웠다. 마지막으로 청취와 발음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두에서는 대부분 판정 일치율이 청취 정답률보다 높은데 초급에서 차이가 제일 뚜렷하고 다음은 중급, 그 다음이 고급이었으며 정답률과 일치율의 퍼센트 수는 학습 기간이 길수록 더 높았다. 이를 통해 학습기간이 길수록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에서 영향을 더 적게 받고 인식과 발음의 차이도 점차 작아지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어중에서는 평음일 때 초, 중, 고 세 집단에서 모두 판정 일치율이 청취 정답률보다 높고 경음일 때는 초, 중, 고의 순서로 판정 일치율이 청취 정답률보다 점점 더 낮아지고 있었으며 격음일 때 판정 일치율과 청취 정답율이 비슷하였다. 이를 통해 어중에서는 한국인들과의 의사소통에서는 평음과 격음의 차이가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또 '경음>격음>평음'의 순서로 청취적 인식 능력이 발화 능력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청취 정답률과 VOT 일치율의 비율을 비교해 보면 초, 중, 고 세 집단에서 모두 경음에서는 VOT 일치율이 청취 정답률보다 높고 평음과 격음에서는 청취 정답률이 VOT 일치율보다 높다. 그 비율이 '초급<중급<고급'의 순서로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경음에서는 인식보다 발음을 더 쉬워하고 있고 평음과 격음에서는 발음보다 인식을 더 쉬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개음에서 치조음과 양순음에 비해 인식과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중국인관광객 유치를 위한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이문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은 우리 나라의 100배에 달하는 국토에 전세계인구의 20%가 살고 있는 거대한 국가이며, 역사, 문화, 사회적으로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복합적이고 다양한 중국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으며, 현재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회, 경제적인 변화들을 신속히 이해하고 그들의 미래를 예측하기는 더욱이 어렵습니다. 혹자는 중국이 가지는 무한한 잠재력에 압도당하기도 하고, 그 변화의 다양성과 특이성에 당혹스러워 하기도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미개척 시장이라는 사실에 매료되어 중국에 뛰어들었던 많은 기업들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거나 좌절하고 있는 현실을 볼 때, 더욱 중국의 참모습을 정확히 안다는 것이 쉽지 않음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중국은 1995년이래 일본, 미국에 이어 우리 나라의 제3위 관광시장으로 부상하였으며, 최근 저조한 우리 나라의 해외시장에서 유일하게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는 시장입니다. 따라서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중국을 이해하고 개척하려는 노력은 더욱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중국은 1978년 등소평이 개혁·개방 정책을 표방한 이래 20여년간 사회주의 체제에 자본주의 시장경제 원리를 접목하는 시험을 해오고 있습니다. 비록 중국이 지난 20년간 연평균 10%이상이라는 놀라운 고도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경제의 혼합이라는 아직 역사상 검증받지 않은 이러한 시험단계에서 비관적이거나 회의적인 의견이 없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우리 나라와 지리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가장 근접한 나라, 개방이후 현재까지 계속하여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나라, 지구 인구의 1/5이라는 거대한 소비시장을 가지고 있는 나라로 21세기에는 우리 나라의 최대시장으로 등장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The chinese tourist have to be more and more aware of our responsibilities toward our fellow tourists. People who over the year have put tourism in the world spotlight. In this advanced technological era, with leisure time growing, wages increasing with more time and opportunity for education, encouraging the chinese tourists to discover the world, its fascinating riches, its variety, its basic and profound unity. We are presenting tourism to the world with all its wonderful possibilities. But it is not enough to proclaim tourism as an international force promoting the happiness and enrichment of tourist. We must make this a reality for all our tourist of the world. We must endeavor to maintain tourism at the highest cultural and spiritual levels. So that it is not only a good of chinese tourist Market. But an opportunity to create a more cultivated and peaceful world. Tourist have the chance of acting as if we were in a play whose status are ancient and modern, old and new culture, beautiful landscapes,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ouvenirs. In other words, we use as our capital not only money but also the greatest traditions and most remarkable achievement of mankind throughout history. Thus, millions of people rely on us to supply not only the prefect technical conditions for tourism - that is, transportation, accomodations, and arrangements - but also to arrange what they do and where the will go on what they must regard as the important days of their year. There are the special days they have saved for and dreamed about - the days of their holidays, removed from routine and full of the adventure of new discovery. Then deserve this confidence they place in us by allowing us to arrange these special days for them, with the greatest respect for the tourist values of our world, and that much respect for the chinese traveler himself.

      • 중국인의 무역협상 관행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호남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세계는 강력한 자유무역을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된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의 출범 이후 과거의 1, 2차 산업 뿐만 아니라, 3차 산업에까지 무한경쟁시대에 도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무한 경쟁이라는 새로운 세계경제 질서 하에서 우리에게 필요로 한 것은 국제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라 하겠다. 국제간 무역협상 행위는 주로 문화의 차이에 따라 큰 차이점을 보여 주고 있다. 문화란 한 집단만이 갖는 고유한 신조와 독특한 생활방식이기 때문에 민족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는 의식구조나 가치관이 다르다. 문화에 대한 시각도 국별. 지역별간에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문화에 대한견해의 차이는 국가간 무역협상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는 무엇보다도 협상력 특히 이 문화에 대한 대응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기존의 문헌적 연구에 의하면, 협상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사전에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특히 외국인과 협상을 준비하는데 있어서는 반드시 점검하여야 하는 것 중의 하나는 상대국의 문화적 특성을 고찰하여 '해야 되는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을 파악하고, 상대방 협상자 행동을 예측하여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협상의 진행과정은 협상의 성패를 예측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무역협상에서는 협상의 진행과정이 문화 간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협상단계별로 협상상대방의 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협상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협상관행에 관한 연구는 중국을 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협상자 의식구조, 협상행위 특성과 협의형태 3가지 방향에 대한 무역협상관행의 비교 서로 간에 협상관행을 숙지시키고 교역확대에 기여한다. 각 민족의 의식구조나 가치관은 문화의 차이에 따라 크게 다르다. 성공적인협상을 위해서는 이 문화에 대한 적응력이 요구된다. 국제경쟁력은 이 문화에 대한대응력이다. 그러므로 개인이든 기업이든 국가든 이 문화에 대한 대응력이 향후국제화시대의 핵심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경어법 교육 방안 연구

        왕현풍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경어법 사용 양상과 오류에 대한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경어법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지속적 발전을 하면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도 따라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모두 발전하고 있는 편이다. 하지만 특정 집단의 특정 분야에 대한 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라는 특정 집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특징으로 꼽힐 수 있는 경어법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두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살펴본 다음에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우선 한·중 경어법의 개념과 체계를 대조·분석하였다. 한·중 경어법의 개념 대조에서는 양국어가 모두 인간관계(상하관계, 친소관계 등)에 따라 상황에 적절한 경어 표현을 선택하여 쓰인다는 점에서는 공통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어법’, ‘대우법’, ‘높임법’, ‘존대법’ 등 용어는 문법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중국어의 ‘경사’, ‘경어’, ‘예모어’ 등 용어는 어휘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한·중 경어법 체계에서는 공식적인 사교 장소나 학교 안에 있는 선배와 후배, 교수와 학생, 직장에서의 상하급간 등에 적절한 경어를 사용하여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한·중 경어법 사용의 공통적인 목표이며 동시에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 경어법 체계에서의 주체 경어법은 주로 선어말어미 ‘-(으)시-’를 붙여서 실현되고, 상대 경어법은 어말어미를 통하여 실현된다. 특히 상대 경어법을 표현하는 종결어미가 세분화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중국어 경어법에서는 주로 존경어, 겸양어, 완곡어를 통한 어휘적으로 실현된다. 다음은 한·중 경어 표현의 요소에 대해서는 사회적 요소와 문화 심리적 요소를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적 요소에 따른 경어법에서 양국이 모두 유교사상을 존숭하는 나라로서 인간관계에서 순위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상하관계는 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친소관계와 공식성에서는 양국어가 미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어에서 상대적으로 공식성의 제한을, 중국어에서는 친소관계의 제한을 더 많이 받고 있었다. 문화 심리적 요소에서 중국인의 주체 중심 문화와 한국인의 객체 중심 문화가 경어법에 응고되어 실제 경어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양상 및 오류 분석을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양상을 한국인 모어 화자 경어법 사용 양상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실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유학생 55명과 한국인 학생 25명을 선정하여 동일한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결과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은 분별적으로 경어법 실현 형태를 사용하지만 중국인 학습자 집단은 무분별적으로 경어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중국인 학습자 집단은 상위이면 경어 표현을 해야 한다는 문법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언어 사용에서 상위더라도 존대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화용론적 능력이 부족하였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오류 조사·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오류 총수는 376개였고, 그 중 경어법 범주별로 주로 호칭어 오류(33%)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뒤로는 어말어미 오류(24.2%), 어휘 오류(23.7%), 조사 오류(13%), 선어말어미 오류(6.1%) 순으로 나타났다. 4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어법 교육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서의 담화 상황 제시를 통한 경어법 교육 방안(초급 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과 역할극을 활용한 경어법 교육 방안(중·고급 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을 제시하였다. 초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이 아주 낮으므로 경어법에 대한 문법과 어휘의 연습은 주로 교사가 구체적인 담화 상황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카드 모형을 활용하여 진행하도록 하였다. 중·고급 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에서 학습자들은 교사가 구체적으로 제시된 단서들을 가지고 직접 역할극 대본을 쓰도록 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경어법 교육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실제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논의한 내용을 장별로 정리하면서 연구 결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중국인 화자의 파열음 발음과 파열음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

        장판 가톨릭관동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언어활동에서 발음이 정확하지 못하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에 정확하게 발음하도록 발음을 교육하는 것은 언어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중국인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발음할 때 자주 오류를 범하는 음 중에는 파열음(평음ㆍ경음ㆍ격음)이 있다. 한국어의 파열음은 평음ㆍ경음ㆍ격음으로 삼중대립을 보이는 반면에 중국어의 파열음은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이중대립을 보인다. 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파열음을 중국어의 파열음과 1:1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한국어 파열음을 들어서 구별하기가 어렵고, 발음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어 어두에 위치한 파열음 9개 음소(ㅂ, ㄷ, ㄱ, ㅍ, ㅌ, ㅋ, ㅃ, ㄸ, ㄲ)를 연구 대상 음소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어두 파열음을 변별하는 중요한 요소로 VOT와 Pitch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실험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는 한ㆍ중 화자가 문장을 읽을 때의 의식적인 파열음 발음과 자연스러운 발화의 발음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는데 한ㆍ중 피험자가 모두 독립 문장 읽기와 자연 발화에서 차이가 별로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파열음에 대한 실험음향학적 선행 연구에서는 실험 자료가 대부분 단어나 독립 문장 위주였다. 둘째, 본고는 음성학적인 설명과 음성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발음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중국인 학습자에게 청취와 발음 모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발음보다 듣기에 더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할 발음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면 교사의 발음을 아무리 들려주어도 학습자가 모방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파열음 발음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로 그 발음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서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의 청취 정확도와 발음 정확도가 서로 연관이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통해 청취 정확도와 발음 정확도가 서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취 능력은 정확한 발음을 내는 전제 조건이고, 정확하게 발음하기 위해서는 먼저 청취 능력부터 신장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언어교육, 국어교육, 언어치료 등 언어 관련 분야의 연구에서 발음 교육에 관련된 기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언어교육 분야에 공학적 연구 결과를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 연구

        장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the emphasis on the learner during the education process recently, the study on how affective factors of learner effect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increasing. Among the affective factors,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anxiety, especiall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n listening and oral language learning is experiencing a widely developing. However, comparing to this tendency, the researches on how anxiety affect reading process, especially on the Korean language reading are relatively limited.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reading process, a proper reading strategy is necessary. However as the appropriate could facilitate the reading process, improper utilization of reading strategy could also has a negative effect. Such researches especially on how these factors working on Chinese learners have a very limited quantity, although the studies on the influence of anxiety which is one of the affective factors on the reading process have already been existed. Thus in my paper I will mainly discuss whether Chinese language (Mandarin) learner will have the sense of anxiety. If yes what are the factors incur such sense and does this sense will be vary on different entities. After these discussion, I will explore what is the main strategy applied by Chinese learner during the Korean language study. Will these strategies tend to vary since utilized by different learners. Whether the learners will influenced by the anxiety. In the last part I will analyze the util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This paper collects 111 objects who studying in one university of Liaoning with the major of Chinese language. The system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FLRS which developed by Saito, Horwitz & Garza(1999)and SORS survey which developed by Mokhtari & Sheorey(2000). This paper tends to research the learners’ reading anxiety and strategy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studying period and reading ability. And by the analyzing the body temperature, give the final conclusion. 1, the research result of first question, which is whether th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 will feel anxiety, if yes what are the factors incur such anxiety. Will there be different as the different personalities. After analyzing on the objects, It is confirmed that th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 will have anxiety. This anxiety mainly caused by unfamiliar theme unfamiliar form of language, negative attitude and lack of confidence during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unfamiliar culture. The differences of studying time in some extent cause the variation of anxiety. Namely, the learners have less time of Korean language studying tend to have more anxiety than the learners have more time of studying. In the sample we find that the group of learners who have learned Korean language less than one year will have more anxiety than the group whose learning time is more than one year.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sample the anxiety also varies since the differences of reading ability. For example in one group with the same studying time the anxiety also varies. The person who have relative high reading ability tends to have less anxiety and the person who have insufficient reading ability will be more likely to have more anxiety. 2, the result of question two, “The reading strategies adopted by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whether these strategies will vary based on the differences of learners’ personalitie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ampl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 adopt reading strategies frequently. Among these strategies, problem-solving reading strategy is the most utilized one, and the second one is Global readier strategy. Support reading strategy has a relatively lower frequency. Besides thes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ing time and strategy adopted by objects, it is indicate that the learner with different learning time will tend to choose different reading strategy. For example, the learner with less than one year learning time will choose more variety and lively reading strategy than the learner with more than one year learning time. However when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bility and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data, the adoption of strategies does not have obvious connection between reading ability. For example, in the sampl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ill choose the almost the same reading strategy under different reading abilities. For the group with more than one year learning time, their choice will be much more similar while for the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group the learner with lower reading ability will be more likely to utilize multiple reading strategies. 3, research result of question 3, “whether reading anxiety will affect the selection of reading strategies. First of all, in general, the util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hav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xiety. To be more specific, the more anxiety the learner feel, the less strategies they can choose, and the strategy itself even become simple. This phenomenon varies when the learners have different learning times. For example, the learners with more than one year and less than two years learning time the anxiety will have neutral effect on the selection of reading strategy. However, the learners with less than one year learning time will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election of reading strategie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sample it is find out that the reading strategies and anxiety have negative relationship when learners have negative attitude or lack confidence on Korean language studying. To be more specific, when learners feel anxiety especially results from unfamiliar culture will encourage them adopt different reading strategies, however when such anxiety comes from negative attitude and lack of confidence the learners tends to choose less reading strategies. In addition, the sample also indicate that among the learners with insufficient reading ability, anxiety tends to have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strategies adoption. While to the learners have normal or higher reading ability, the anxiety will deduct the utilization of reading strategy. This research have several defects such as the incapable of finding learners with two years learning time in China thus can’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reading strategy in this group. Furthermore since there is no Korean language standard among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 which accepted by public, we can’t distinguish the learner by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equence of the reading anxiety and reading strategy research and the reading anxiety and reading strategy research and the reading anxiety and the reading strategy which influenced by the learners' personality has a positive significance on the basic materials which provided by learners in the future reading lessons. 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면서 학습자의 정의적인 요인이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많아지고 있다. 정의적인 요인 중 불안이 학습자의 성공적인 언어 학습 특히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 말하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주로 영어 습득에 있어 넓이 펴졌으나 읽기 학습, 특히 한국어 학습자 읽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또한 성공적인 읽기 활동을 하기 위하여 읽기 과정에서 적당한 전략의 사용도 필요하다. 적당한 읽기 전략의 사용은 읽기 내용의 해석 및 읽기 활동을 순조롭게 진행하기에 도움이 되는 반면 적당하지 않은 전략의 사용은 읽기 활동에 방해가 된다. 읽기 전략의 사용은 정의적인 요인, 특히 불안의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내 연구 특히 중국인 학습자들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불안을 느끼는지, 불안이 존재한다면 어떤 요인으로 유발되는지, 학습자의 개인적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중국인 학습자 읽기 과정에서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전략의 사용은 학습자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정의적인 요인인 불안의 양향을 받는지 등의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 및 읽기 전략의 사용 양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 요녕성 소재 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학습자 111명을 대상으로 Saito, Horwitz & Garza(1999)가 개발한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FLRAS) 및 Mokhtari & Sheorey(2000)이 개발한 외국어 읽기 전략 척도(SORS)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즉 학습 기간, 읽기 능력)에 따른 읽기 불안 및 읽기 전략의 사용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질문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불안을 느끼는가? 학습자의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가?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읽기 불안에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불안을 느끼며 이러한 불안은 주로 생소한 주제 및 언어형태, 글의 이해에 대한 두려움, 한국어 읽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및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불안, 생소한 문화로 인한 불안으로 유발되었다. 학습자의 학습 기간에 따른 읽기 불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1년 미만 학습자가 1년 이상 2년 미만 학습자보다 읽기 과정에서 훨씬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따른 읽기 불안에서 1년 미만 학습자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1년 미만 학습자 집단에서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따라 읽기 불안에 대한 느낌이 다르며 특히 읽기 능력이 보통 수준인 학습자 집단이 읽기 능력이 좋은 학습자 집단보다 읽기 과정에서 더 쉽게 불안해진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읽기에서 주로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가?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읽기 전략의 사용 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읽기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그 중에 문제 해결 읽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총체적인 읽기 전략, 지원적인 읽기 전략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기간에 따른 읽기 전략 사용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1년 미만 학습자가 1년 이상 2년 미만 학습자보다 읽기 과정에서 읽기 전략을 더 다양하고 활발하게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따른 읽기 전략의 사용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체적으로 보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상관없이 읽기 전략의 사용에 있어 매우 유사하지만 1년 미만 학습자 집단에서 읽기 능력이 보통 수준인 학습자가 읽기 능력이 낮은 학습자보다 훨씬 더 많은 읽기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인가? 이상의 연구 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결과를 보면, 전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느끼는 불안과 읽기 전략의 사용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학습자의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그들의 읽기 전략 사용의 양이 감소하고 더 단순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 기간에 따라, 1년 이상 2년 미만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의 사용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년 미만 학습자의 전체적인 읽기 불안 및 친숙하지 않은 문화로 인한 읽기 불안과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간에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반면, 한국어 읽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및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의 사용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불안, 특히 문화로 인하여 불안을 느끼면 그들은 읽기 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비해 부정적인 태도나 자신감 부족으로 인하여 불안을 느끼면 읽기 전략을 덜 사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읽기 능력에 따라, 읽기 능력이 낮은 학습자 집단의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읽기 능력이 보통 수준인 학습자 집단, 읽기 능력이 좋은 학습자 집단의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의 사용 간에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읽기 능력이 보통 수준인 학습자와 읽기 능력이 좋은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불안을 느낄수록 읽기 전략을 덜 사용한다고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2년 이상 학습자를 구하지 못하고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의 사용에 대한 조사를 1년 미만, 1년 이상 2년 미만 학습자 집단에서 진행하여 더 높은 수준의 학습자 집단과 비교할 수 없었다는 점,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공인된 한국어 능력 시험 등급을 갖고 있지 않아 학습자의 숙달도 별로 읽기 불안에 대해 연구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 읽기 전략 및 학습자 개인적 변인별 읽기 불안과 읽기 전략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결과가 읽기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서승아 우석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개요 이 논문은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한국어 자음과 모음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한글만으로 충분한 음성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발음 정보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자음과 모음 발음을 교육 할 수 있을 지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발음 교육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음운체계 비교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일으키는 오류를 찾아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안은 음운체계의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의 결과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에게 주의가 요구되는 한국어 발음을 학습자에게 설명하는 식의 방법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발음 정보전달을 위한 기호체계로 국제음성기호, 로마자표기법 또는 영어발음을 활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체계를 비교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한국어 발음 오류를 예측해 보고, 실제 그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지 중국인을 대상으로 발음조사를 시행하여 찾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와 중국어 간 음운체계의 차이로 인한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오류는 어느 정도 예측될 수 있었으나 실제 발음 조사결과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중국인들이 중국어와 유사한 한국어 발음의 음가가 존재할 경우에는 발음을 유추하여 소리낼 수 있는 경우, 유사한 발음이 중국어에 존재하여도 입술모양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거나 혀의 위치를 알지 못할 때 발생하였다. 따라서, 음운체계의 차이로 인한 예측된 발음오류와 함께 이러한 발음조사결과는 한국어 발음교육 내용에 심도있게 반영해야 할 것이다.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한국어 자음과 모음 발음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이 논문에서는 발음정보 전달체계 생성을 제안하였다. 중국인들이 한국어 발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발음기호체계를 사용하여 발음정보를 전달한다면 상대적으로 한국어 발음정보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란 전제하에, 중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발음기호체계인 중국어 병음기호와 중국어 음가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기호체계 생성을 모색하였다. 나아가, 여기서 고안된 발음기호체계가 실제 중국인 학습자들의 발음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수업을 시행하고 수업대상자들의 학습결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수업대상자들은 문제의 단어를 올바르고 쉽게 발음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교육에 있어서 발음정보를 인지할 수 없는 한글 문자가 발음기호의 역할까지 이행해 왔던 것에 비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발음기호체계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그 발음정보를 쉽게 인지하게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기호체계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발음을 연습할 때에도 발음정보를 상기하는 데 더 효율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작용한다. 이 논문에서 고안된 발음기호체계는 중국인 학습자의 관점에서 한국어 발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생성된 발음기호이다. 이를 효율적으로 학습자들의 발음지도와 연습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사의 기호체계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올바른 한국어 발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발음연습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to Chinese : Focusing on consonants and vowels Seung-A Seo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Culture Woosuk University This study aims at how to effectively teach Korean pronunci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to Chinese, who learn Korean language as communication purpose. The fact is that Chinese learners are unable to recognize enough sound information only by Korean letters. Therefore, in order to find an efficient way to teach Korean pronunciation to Chinese, this study concentrates on how to deliver pronunciation information of Korean consonant and vowels to Chinese, instead of using Korean letters. So far, Studies o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have emphasized on finding out common errors of Chinese learners, and on solving them by comparing Korean phonemic system with Chinese phonemic system. The solutions of those studies, however, only demand that Chinese learners should be careful on some Korean pronunciation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error analysis on the phonemic system. Also, phonetic symbols, including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Romanization system, or English pronunciation, are only still used in order to deliver pronunciation information of Korean words to Chinese learners. This article compared the two phonetic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predicted possible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can make, and checked whether or not those errors actually occur, by conducting a pronunciation research for Chinese learners. The result shows, that when Chinese learners pronounce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they makes mistakes as predicted to some extent. Nevertheless, there is a little gap between the predicted errors and the actual errors. The gap appears in two cases. First, the gap appears when Chinese learners predict a Korean word's pronunciation and pronounce, thinking there is a similar phonetic value in Chinese. Second, the gap appears when they do not know the exact lip shapes or tongue positions even though Chinese also has similar pronunciations. Consequently, those pronunciation errors and pronunciation research results should be reflected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To solve pronunciation errors in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which Chinese learners possibly make, this paper suggests a new phonetic symbol system. Under the premise that Chinese learners can relatively, easily obtain Korean pronunciations if they have a phonetic symbol system easy to recognize, this study tried to create a new phonetic symbol system based on 'Pingyin' symbols and Chinese phonetic values. Furthermore, to investigate its influence on actual pronunciatio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I carried out a Korean pronunciation class for Chinese students and estimated their academic results.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able to rightly, easily pronounce problematic Korean words.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existing Korean phonetic symbols for Chinese learners are difficult for them to recognize its pronunciation information, the new phonetic symbol system is easy for them to understand its pronunciation information. Also, this new system effectively helps them remind of Korean pronunciation information when they practice Korean pronunciations for themselves. The new phonetic symbol system was created for Chinese learners to simply recognize Korean pronunciations, in the view point of them. In order to effectively make good use of it for learners' pronunciation education and practice,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first educated on the system. Also, to realize right Korean pronunciations, learners should continuously practice them.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전략에 관한 연구 : KSL과 KFL 학습자 대비를 통해

        진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use the listening strategies in which Chinese learners who have learned Korean in Korea and Korean learners who have learned Korean in China us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learning environment. Also, after classifying learners by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into upper and lower learners according to their grades, the usages of listening strategies used by two groups of learners have been compared. For this purpose, the listening strategies of the two groups of learners used in the listening learning process were closer examined 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trategies were identified. This paper also confirmed whether Chinese Korean learners with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recognize listen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performing listening or no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usage of strategi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20 students from each group. Through a group and a person unit interview, it was possible to examine whether Chinese learners were looking for an appropriate liste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language proficiency, and how to use those strategies. Listening, in four areas of language function, not only greatly influences on other functions, but also transfers to other language functions. In particular, if listening is impossible i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n’t be completed fluently and the problem arises that the learners' speaking ability is limited. Listening is an important language function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proportion of everyday life is greater than that of other language functions. Despite the fact that listening is the highest proportion of everyday language life and language learning, it is much neglected as it is perceived as an auxiliary skill compared with other function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n addition, learners are always thinking about how to listen well. The learners always concerned about which method they can use to listen more effectively and grasp the meaning of what they hear in less time. Strategy-oriented education is emphasized in language education that underscores learner-centered educatio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re special thinking processes, specific actions, or methods that learners actively and consciously use to solv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when learning a language. Also It is more important for learners to have an attitude and a mind that actively participate in listening practice, not passive listening. KSL and KFL Chinese Korean learners use different liste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of listening strategies and can consciously apply listening strategies in the course of listen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if Korean learners use initiatively direct listening strategies and indirect listening strategies, it will not only help them understand in lectures, but also help them communicate in everyday life. And if the status of learning and performing Korean language between KSL and KFL Chinese learners i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that exist in the two groups is found, the learners can choose a listening strategie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and use them consciously. Thus, in this study,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direct and indirect strategies of listening learning were detailed. Through this, KSL and KFL Chinese learners will be able to use the liste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to be us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According to the KS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KFL learning environm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age of learner's listening strategie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mmonalit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SL environment,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generally did not use a affective strategies. Second, in the KFL environment,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most actively used meta-cognitive strategies. Next,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in the KSL environment, advanced learners generally take the initiative in using listening strategies than intermediate learners. It was also found that intermediate learners proactively use the compensation strategies. In comparision, KSL advanced learners used compensation strategies a lot, but they used meta-cognitive strategies more actively. Also, KSL intermediate learners tended to miss listening by focusing on new words, unknown expressions, and unfamiliar grammar in listening than advanced learners.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he KFL learning environment, advanced learners generally use listening strategies more dominantly than KFL intermediate learners. Although the KFL intermediate learner used affective strategies, it is less frequently used compared to other strategies. In contrast, KFL advanced learners did not use affective strateg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hug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detailed listening strategies between KFL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KFL advanced learners generally used more listening strategies than KFL intermediate learners. On the other hand, KFL intermediate learners receive a lot of tension and fear of listening when they learn and train listening than advanced KFL learners, therefore they consciously used methods to relieve tension, such as deep breathing or meditation, before or during listening. Through this study, the need for learners to use self-directed liste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SL learners, they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ffective strategies to listen and to practice the procedural practice of how to use them when listening. Second, KSL learners need a clear recognition of their learning goals when learning everyday language to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Third, KSL intermediate learners should be willing to actively put into practice and develop setting of habit of long-term and short-term goals in order to improve their listening skills. Next, in the case of KFL learners, first, they need to have an accurate awareness of the affective strategies because they have a low frequency of using the affective strategies, and must have a consciousness to actively use the affective strategies when learning to listen. Second, KFL intermediate learners must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purpose of the listening task and lead in solving the task. For this purpose, the ability to quickly grasp the purpose of listening tasks before listening should be developed. Therefore, learn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if they take the initiative in selecting the listening strategies best suited to them according to their KSL or KFL learning environment for self-directed learning to use listening strateg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and specificiti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o which Chinese Korean learners belong, liste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Korean listening skills were specifically compared and studied. Second,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roficiency level and the usage of listening strategi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environment. Third, it enabled learners to actively use listening strategies appropriate to their learning environment when learning Korean proactively. Fourth,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stening strategies to Chinese learners in KSL and KFL, allowing learners to select and use listening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for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배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중국에서 배운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 환경에 따라 달리 사용하는 듣기 전략의 사용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언어 학습 환경별로 학습자를 성적에 따라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로 나눈 후, 두 학습자군이 듣기 전략을 사용하는 양상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듣기 학습 과정에서 사용하는 두 학습자군의 듣기 전략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전략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고는 학습 환경이 다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듣기를 배우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듣기 전략을 인지하는지에 대한 여부와, 실제 전략 사용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대상자 중 집단별로 20명을 선별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집단과 개별 단위로 나누어 진행된 면담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학습 환경과 언어 숙달도에 따라 적절한 듣기 전략을 찾고 있는지, 그 전략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필 수 있었다. 언어 기능의 네 영역에서 듣기는 다른 기능에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 기능으로도 전이된다. 특히 의사소통에서 듣기가 불가능하면 유창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해지고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말하기 능력까지 제한을 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듣기는 의사소통의 시작점이 되는 중요한 언어 기능이므로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다른 언어 기능보다 크다. 듣기는 일상적인 언어생활과 언어 학습에서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다른 기능의 학습보다 보조적인 기술로 인식되면서 많이 소홀해지는 상황에 처해 있다. 또한 학습자는 듣기를 잘하는 방법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다. 학습자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면 더 효과적으로 듣기를 할 수 있는지, 더 짧은 시간 안에 들은 내용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해 항상 고민을 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는 언어교육에서 전략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언어 학습 전략은 학습자가 언어를 학습할 때 어려움과 부딪히면 그 어려움에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이며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특별한 사고 과정, 특정 행동이나 직접적・간접적으로 그 어려움을 해결한 방법들이다. 이와 더불어 학습자들이 듣기 연습을 할 때 수동적으로 듣기를 하는 것이 아니고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듣기 연습에 참여하는 태도와 마음을 가져야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KSL과 KFL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학습 환경에 따라 다른 듣기 전략을 사용한다. 학습자는 듣기 전략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인식하며 학습 환경에 따라 의식적으로 듣기 학습 과정에서 듣기 전략을 응용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들이 직접적인 듣기 전략과 간접적인 듣기 전략을 주도적으로 잘 사용하면 강의를 들을 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KSL과 KFL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간의 듣기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수행하는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두 집단에 존재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내면 학습자는 상황에 맞는 듣기 전략을 선택하여 의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듣기 학습의 직접적 전략과 간접적 전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KSL과 KFL 중국인 학습자가 언어 학습 환경에 따라 듣기 전략을 사용하는 양상을 확인하게 됨으로써, 중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에 활용될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KSL학습 환경과 KFL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학습 환경에 따른 공통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SL 환경에서 중급・고급 학습자는 보편적으로 정의적 전략을 사용하지 않았다. 둘째, KFL 환경에서 중급・고급 학습자는 초인지적 전략을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학습 환경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SL 환경에서 고급 학습자는 보편적으로 중급 학습자보다 듣기 전략을 주도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급 학습자가 보상 전략을 주도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비해 KSL 고급 학습자는 보상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지만 초인지적 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KSL 중급 학습자가 고급 학습자보다 듣기에 나오는 새 단어, 모르는 표현과 낯선 문법에 치중하여 듣기를 놓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KFL 학습 환경에서 고급 학습자는 보편적으로 KFL 중급 학습자보다 듣기 전략을 주도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FL 중급 학습자는 정의적 전략을 사용하였지만 다른 전략과 비교하면 사용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KFL 고급 학습자는 정의적 전략을 사용하지 않았다. KFL 중급과 고급 학습자 간에 듣기 세부 전략의 사용 양상은 거대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KFL 중급 학습자보다 KFL 고급 학습자들은 보편적으로 듣기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KFL 고급 학습자보다 KFL 중급 학습자는 듣기 학습과 훈련할 때 듣기에 대한 긴장감과 두려움을 많이 받으므로 듣기 전이나 듣기를 할 때 심호흡이나 명상 등 긴장 완화하는 방법을 의식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가 학습 환경에 따라 자기 주도적으로 듣기 전략을 사용할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먼저 KSL 학습자의 경우이다. 첫째, KSL 학습자는 정의적 전략이 듣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듣기를 할 때 그 정의적 전략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절차적인 연습이 필요하다. 둘째, KSL 학습자는 언어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일상의 언어를 학습할 때 학습 목표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KSL 중급 학습자는 듣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장기적・단기적 목표를 세우는 습관을 기르며 적극적으로 실천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다음으로 KFL 학습자의 경우이다. 첫째, KFL 학습자는 정의적 전략을 사용한 빈도가 낮으므로 정의적 전략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며 듣기를 학습할 때 정의적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의식을 가져야 한다. 둘째, KFL 중급 학습자들이 듣기 과제의 목적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여 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듣기를 하기 전에 듣기 과제를 하는 목적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KSL 혹은 KFL 학습 환경에서 본인에게 제일 적합한 듣기 전략을 선택하고 그 전략을 주도적으로 사용하면 한국어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속한 학습 환경의 차이점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듣기 전략을 구체적으로 비교・연구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어 숙달도와 학습 환경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의 사용 양상과의 관계를 밝혔다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자신의 학습 환경에 적합한 듣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KSL과 KFL 중국인 학습자에게 듣기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학습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듣기 전략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