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직업전문대학생의 진로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진로역량은 성공적인 취업 시장으로의 이행 및 개인의 진로 성공을 예측하는 핵심 변인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직업전문대학생 진로역량은 직업 전문지식 및 기술, 자신의 진로에 대한 선택 하고 결정하기 위한 진로개발 능력, 사회에서 요구하는 직업적 인성 요인, 그리고 평생학습사회 와 변화하는 직업 세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포괄하는 개 념이다. 이 연구는 중국 직업전문대학생의 진로와 직업을 선택하고 결정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하 위 역량을 규정하고 직업전문대학생이 평생에 걸쳐 진로를 탐색‧관리‧유지‧발전하는 데 필요한 진 로역량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지를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중국 직업전문대학생 진로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진로역량의 영역과 영역별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 해 개발된 모형을 타당화 하였다. 둘째, 도출된 진로역량 모형에 따라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셋 째, 2차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통계 결과와 전문가 의견에 따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넷째, 설문 조사와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중국 직업전문대학생 진로역량 진단도구를 완성하였다. 먼저 중국 직업전문대학생 진로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진로역량, 진로발달이론, 중국 고등직업교육 인재양성목표, 중국 직업전문대학 진로교육 현황 등에 관한 다양한 문헌의 깊이 있 는 검토를 하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비롯하여 사회 및 경제 환경변화가 인재상에 대한 새로 운 요구를 반영하여 잔로역량 모형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중국 직업전문대학생 진로역 량 모형에 따라 문헌연구를 통해 126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모형과 예비 문항을 이론 전문가, 학교현장 전문가와 기업 인사담당자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모형과 문 항의 삭제와 수정이 이루어졌다. 수정된 진로역량 모형은 개인적 및 사회적 발달, 진로탐색, 진로 관리, 직업태도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개인적 및 사회적 발달 영역에는 긍정적 자아개념, 자기이해,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 협동능력, 심신건강 유지, 진로탐색에는 직업세계 이해, 진로기반 학습 변화에 대한 적응, 정보의 수집 및 활용, 생애 역할의 균형 잡기, 진로관리에는 진로계획 및 성찰, 직무수행능력, 의사결정 능력, 진로전환 능력, 직업태도 영역에는 프로정신, 직업윤리 및 도덕, 개척정신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그다음에 2차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문항의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합의도 등의 통계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예비문항을 수정하여 총 79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79문항으로 중국 직업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 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1007명의 설문자료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업태도와 직업윤리(11문항), 진로 적응성(13문항), 사 회성(9문항), 의사결정 능력(6문항), 직무수행능력(5문항), 자기이해(5문항), 직업세계 이해(4문항), 긍정적 자아개념(5문항), 심신건강 유지(4문항), 진로 및 학습계획(3문항) 총 10가지의 하위요인 65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65개 문항으로 10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df 2.640, IFI 0.914, TLI 0.908, CFI 0.914, RMR 0.032, RMSEA 0.05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확정된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어서 실시한 수렴타당도 분석에서도 모든 요인의 평균분산추출 값(AVE)이 0.50이상, 개념신뢰(CR)도 0.70이상으로 나타나 수렴 타당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 분석에서도 각 요인 의 평균분산추출 지수가 상관계수의 제곱값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변별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완성된 65개 문항의 진단도구의 신뢰도는 0.98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중국 직업전 문대학생 진로역량 진단 도구는 4개 영역, 10개 하위요인, 65개 문항으로 확정되었고 직업전문대 학생의 진로역량을 측정하는 데 적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진단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둘 째, 이 진단 도구의 주된 사용자인 중국 직업전문대학생들에게 자신의 진로역량 수준에 대한 자 료를 받을 수 있고, 진로역량 진단을 통해 진로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진로계획의 수 립 및 준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로교육 담당교사, 진로교육 분야의 연구자와 학교 선생님, 학부모 등도 진단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중국 직업전문대 학생 진로역량 진단 도구는 직업전문대학생의 진로역량을 진단하는 도구이다. 이 진단 도구를 기 초하여 직업전문대학교 차원에서는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등 진로교육 성과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 변동과정 분석

        장, 쯔위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은 최초 소수집단, 사회소외계층을 배려하여 입학 교육기 회의 평등을 추구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은 소수집단과 사회 소외계층을 배려하여 입학 교육기회의 평등을 추구하기 위한 배려성 가산점 이외 에도 중국 고등교육을 발전을 가속화하면서 단일한 기준인 중국 대학입시제도의 부족함 을 보완하여 다방면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격려성 가산점도 점차적으로 추가 했다. 2000년 이후 중앙에서는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을 결정하는 일부 권한을 성(省)급 교육주관부서로 이관하였다. 이에 따라 지방에서 정한 가산점 대상과 항목이 급증하였 고, 격려성 가산점과 관련된 사건이 빈발하였으며 민중들의 불만이 커지게 되었다.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의 문제 와 정책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는 반면,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의 변동과정 분 석은 거의 없었다.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의 변동과정에 대한 분석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이 언제, 왜, 어떻게 변동했는지를 체계적 으로 분석하여 정책 변동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을 대상으로 2010년도와 2014년도 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하여 정책문제, 정책 대 안, 정치의 세 흐름을 중심으로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 변동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변동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도의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 변동과 정 중 정책문제의 흐름에서는 정책집행과정 중 투명성이 부족하고 전국 각 성(省) 간 가 산점 수혜학생 수의 비율에 큰 차이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산점을 위한 교육' 을 조장하며 권력과 금전을 이용한 부패의 통로가 되었고, 전국 각 성(省) 간 가산점 종 목이 통일되어있지 않으며, 신규 종목의 가산점 비중이 크고, 가산점 항목에 대한 규정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2006년부터 각종 부정행위 및 부패 사건이 대중매체로 보도 된 후, 2010년 대학입시 전에 각계의 주목을 받았다. 정책의 환류에서는 가산점 대상에 대한 명확한 판정기준 및 상세한 규정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었다. 정책대안의 흐름에 서는 교육부·교육위원회, 양회(兩會)대표, 전문가들이 끊임없이 대안을 제공하였다. 정치 의 흐름에서 민중의 불만 감정은 점차 높아졌으며, 대중매체는 여론 조장을 통해서 국 가적 분위기를 형성했고, 정부는 교육평등을 추구하는 국정방향을 이끌었다. 전체 과정 에서 학생 및 학부모는 지속적인 관심으로 대중매체의 힘을 빌려 활동했다. 세 흐름의 결합과 더불어 정책선도자의 역할 하에 정책의 창이 열렸고 최종적으로 정책이 변동되 었다. 2014년도의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 변동과정 중 정책문제의 흐름에서 주요지 표에는 전국 각 성(省) 간 가산점 수혜학생 수의 비율 차이가 컸으며 과학기술 수상자 가산점에서 집중 현상이 존재했다. 사건에서는 일부 지역의 체육특기생 가산점 신분위 조 사건이 있었다. 환류에는 국가 2급 운동선수 항목의 기존 선발 기준이 현실과 맞지 않으며, 가산점 대상에 대한 명확한 판정기준 및 상세한 규정 부족에 관한 문제가 남아 있었다. 정책 대안의 흐름에서 2010년 후 교육부·교육위원회, 양회(兩會)대표와 전문가 및 학자들은 계속적으로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정치의 흐름에서 시진핑(習近平) 취임 후, 부정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반부패적인 태도는 정책 변동을 빠르게 추진하였다. 촉발 사건이 나타난 후 민중의 불만 정서가 심각해지고 격려성 가산점 전면 취소에 대한 열 망이 뚜렷해졌으며, 대중매체의 연합으로 새로운 여론 온라인 효과를 내어 국가적 분위 기를 형성했다. 게다가 일부 중점대학교들이 가산점에 대한 태도를 바꾸었고, 학생 및 학부모들의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세 흐름의 결합과 더불어 정책선도자의 역할 하에 정 책의 창이 열렸고 최종적으로 정책이 변동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 변동과정에는 정책 문제, 정책의 대안, 정치 세 흐름이 모두 존재한다. 촉발 사건의 발생으로 인해 정책의 창이 열리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정책선도자의 적극적인 역할 하에 세 흐름의 결합함으 로써 마침내 정책의 창이 열렸고 최종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이 변동되었다. 둘째, 정책문제의 흐름에서 촉발 사건의 발생은 다른 요소에 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셋째, 정책대안의 흐름에서 중국의 특색적인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와 중 국인민정치협상회(中國人民政治協商會議), 즉, 양회(兩會) 대표의 대안은 다른 대안들에 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넷째, 정치의 흐름은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의 변동 과정의 주요 요인이다. 공산당의 집권 이념이 국정방향과 국가 지도자의 교체를 결정하 기 때문에 정치의 흐름에서 당의 역할은 다른 요소보다 더욱 주도적이다. 다섯째, 중국 대학입학 가산점 정책 변동과정에서 정책선도자 중 정부 외 선도자로서의 대중매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섯째, 이상의 결론은 정치의 흐름과 정책선도자의 중요성을 강조 하고 있는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부합한다. 정책 제 언으로 하는 정책문제의 흐름에서 정책 권력 감독 강화, 정책대안의 흐름에서 정책과정 의 개방과 민중 참여, 정치의 흐름에서 민주적 협상 도입을 통한 이익 통합 매커니즘 형성 등을 제시할 수 있다.

      • 중국과 미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 비교 연구

        심열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 교원능력은 교원 자신의 발전뿐만 아니라 대학의 발전 및 학생교육과 직결된다. 대학 교원능력 개발은 오래전부터 정부, 대학, 학자, 나아가 많은 국민들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이며, 대학의 발전 수준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대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국 대학 교원능력 개발은 걸음마 단계여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최근 고등교육의 대중화, 학생 집단의 인구통계 변화, 교원능력 개발의 현실적인 딜레마, 새로운 교수법의 출현, 교원능력 개발의 새로운 세계적 추세 등은 중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에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중국 대학들은 이러한 요구에 대해 채택 가능한 교원능력 개발 모델을 찾아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미국 대학들은 종합적인 교원능력 개발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다. 또한 미국 대학들은 사회적․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여, 교원능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대학은 미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일정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중국과 미국 대학 교원능력 개발의 함의, 조직, 실천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과 미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의 실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대학에 적절한 교원능력 개발 모형의 도출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국과 중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의 함의, 조직 및 실천 측면에서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둘째, 중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의 문제점과 미흡한 점은 무엇인가? 셋째, 미국 대학과의 비교를 통해 중국 대학 교원능력 개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사례연구 및 비교분석의 3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보다 실제적인 사례연구와 비교분석을 위해 미국 대학과 중국 대학 3곳을 각각 선정하였다. 미국은 미시간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중국은 저장대학교(浙江大學), 푸단대학교(復旦大學) 샤먼대학교(廈門大學)이다. 중국과 미국 대학 간 교원능력 개발에 대한 비교를 통해 몇 가지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 대학은 교원의 개인적 만족을 우선시한 반면, 중국 대학들은 정부와 학교의 행정요건을 우선시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대학들의 교원능력 개발 조직은 중국 대학들에 비해 다양하며 교원 개발 활동도 개인화 되어 있다. 또한 미국 대학에서의 교원능력 개발 실제는 학교 단위로 이루어지는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정부의 요구 조건 하에서 획일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비교연구 결과를 Bergquist와 Philip의 종합적인 대학 교원능력 개발 모형에 적용하여 중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사점을 토대로 중국 교원능력 개발에 대한 함의, 조직, 교수방법, 개인 개발의 4가지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중국 교원능력 개발 향상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며, 중국 대학의 교원능력 개발과 중국 고등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faculty development of University is directly related to university development and student education as well as teacher's own development. The faculty development is gradually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universities, scholars and, even the public, and it has become an effective measure to improve the development level of universities. However, in China, faculty development is still in its infancy. It has not become a fruitful practice in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nor has a mature system formed. The new century has brought a number of new challenges to Chinese universities' faculty development including the realistic dilemma of Chinese faculty development, popularization of Chinese higher education, the changing demographics of Chinese student body, the emergence of new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new world trend of faculty development. As a result, it is necessary and urgent for Chinese universities to find a suitable improvement plan of faculty development to meet these challenges and solve problems. It is well known that American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successful experience in cultivating faculty through conducting comprehensive faculty development systems. In the face of external and internal circumstances, American universities gradually explore and form a relatively effective model and experience to facilitate faculty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has become an important method for American universities responding to social challenges in complicated circumstances and achieving space and resources of self-development. America has accumulated a large amount of experience in faculty development and done a lot of researches on this topic. Consequently, comparisons with American universities' faculty development may shed light on providing suggestions for Chinese universities' faculty developmen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a comparative study of faculty development between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erms of three dimensions: connotation, organization, and practice. It aims to find what deficiencies of Chinese universities' faculty development, learn useful experience from American universities and eventually build a suitable improvement plan of Chinese faculty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paper answered three questions: Firstly,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faculty development connotations between American and Chinese Universities? Secondly,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faculty development organization between American and Chinese Universities? Thirdly,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faculty development practice between American and Chinese Universities? Fourthly, what is a suitable improvement plan of Chinese faculty development? This paper adopts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comparative analysis as three main research methods. For the purpose of making a comparison on faculty development clearer and convinced, three representative American universities and Chinese universities respectively have been selected to do the case study and comparative analysis, namely, University of Michigan, Harvard University, an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in America, and Zhejiang University(浙江大學), Fudan University(復旦大學), and Xiamen University(廈門大學)in China. Through detailed comparison on faculty development between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ies, it can be found that American universities take teachers' personal satisfaction as a priority, while Chinese universities take government and schools' administrative requirements as a priority. The faculty development organizations of American universities are more diversified, and the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re more personalized compared to Chinese universities. The practice of faculty development in American universities has school-based characteristics, while Chinese faculty development practices are mostly uniform under the requirements of the Chinese government. Absorbing useful experience from American universities' faculty development, and combining with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ulty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based on Bergquist and Philips' comprehensive faculty development model, a improvement plan of Chinese faculty development has been built according to the enlightenment gotten from the comparison on faculty development of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ies. The plan offer suggestions on Chinese faculty development fom four dimensions which are connotations' development,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structional develop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This improvement plan of Chinese faculty development aims to do a favor in accelerating Chinese universities' faculty development and Chinese higher education's improvement.

      • 중국 체육학과 교수 평가지표 개발 : 실기중심교수 중심

        장왕양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의 일부 성과 대학에서 체육학과의 실기중심교수 중심으로 진행하는 직함 승진 문서를 찾아보고, 공정성 이론과 기대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평가 지표 체계를 구축하는 목적성과 체계성, 조작 가능성 및 독립성 원칙에 따라 중국 대학 체육학과의 실기중심교수 평가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중국 대학의 체육학과 실기중심교수 직함 평가에 과학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이론적 참고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문헌 자료법과 인터뷰법, 개방형 설문조사법을 활용하여 중국 대학의 체육 학과 실기중심교수 중심으로 진행되는 직함 평가 지표 체계의 기본 프레임을 일차적으로 작성하였다. (2) 델파이 방법으로 18개 대학의 전문가 19명에 대해 2차례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중 전문가 11명이 제기한 의견 46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전문가의 권위 계수와 지표 설정의 타당성 평균 점수, 표준편차, 변이 계수 및 일치도를 통해 전문가 권위, 전문가 의견의 집중 수준, 각 지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일치 수준 등에 대해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지표 설정 타당성의 평균 점수≥3.5, 변이 계수≤0.25의 원칙에 따라 지표를 선별하였다. (3) 전문가들을 상대로 직함 평가 체계에서 각 지표의 가중치 설정에 관한 세 번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지표에 대한 비교를 계층구조 분석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평가 지표에 대한 행렬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 점수 매김과 정량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구축한 지표 판단 행렬에 대해 일치성 검증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중국 대학에서 체육학과 실기중심 교수 중심으로 진행되는 직함 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급 지표 3개, 2급 지표 18개, 86항의 3급 지표를 포함한 중국 대학의 체육학과 실기중심 교수 대상으로 진행되는 평가 지표를 일차적으로 작성하였다. (2) 전문가를 상대로 진행한 2차례의 설문조사에서 전문가의 권위 계수는 각각 .84와 .85로서 모두 .8을 넘어섰으므로 조사 결과가 과학성과 귄위성을 지닌다. 전문가 의견의 일치 계수 또한 통계학적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파이 방법으로 진행한 2차례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자격 요건, 교과 실적 및 과학 연구 실적 등 3가지 1급 지표, 18개의 2급 지표 및 67개의 3급 지표를 포함한 중국 대학 체육학과의 실기중심 교수 중심으로 진행되는 평가 지표 프레임을 형성하였다. (3) 계층구조 분석 방법은 각 등급의 지표 가중치를 계산하고 일치성 검증을 진행한다. 1급 지표 가중치는 크기순으로 교과 실적(0.5471), 과학연구 실적(0.304) 및 재직 자격(0.1489)이고, 각 지표의 CI값이 전부 <0.1 이므로 지표의 가중치 설정 결과를 수용 가능하고, CR값도 전부 <0.1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델파이 전문가 인터뷰법으로 구축한 중국 대학 체육학과의 실기중심교수 중심으로 진행되는 평가 체계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그 영향 범위가 넓고 논리가 뚜렷하다. 델파이와 계층구조 분석 방법을 접목시킴으로써 각 평가 지표의 가중치 설정 결과에 과학성과 신뢰성을 부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당 지표도 비교적 훌륭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어 중국 대학 체육학과의 실기중심교수 평가에 이론적 근거와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ult the Ministry of China. On the basis of the promotion documents of the title of major professors in different provinces and universities, based on the theory of fairness and expectation, the paper establishes the system of evaluation index system of major professors of physical education in China, and provides scientific and reliable reference for the evaluation of major professors of physical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Using documentation method. The basic framework of the index system for evaluation of professional titles of major professors was formulated in China by means of preliminary inquiry, interview and open questionnaire. (2) Using Delphi pair 19 experts from 18 universities conducted two rounds of questionnaire, analyzed 46 suggestions from 11 experts, and analyzed the authority of experts, the standard deviation, the variation coefficient and the coordination coefficient, and the degree of coordination at all levels. Setting Rational Score Mean according to Indicator Settings >3.5, Variations The principle of heterogeneity <0.25 is used to screen the index and construct the final framework of the evaluation index of professional titles for the major professors of PE science and technology in China. (3) Conducting the Expert Step 3In this paper, two kinds of evaluation matrix are used to qua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evaluation index, calculate the weight coefficient and combination weight of each index.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Preliminary Determination of China's High Altitude The evaluation index of professional title of professor of PE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chool includes three first-level indexes, 18 second-level indicators and 86 third-level indicators. (2) Two rounds of expert inquiry. The effective recovery rate of the volumes was 94.74% and 83.33%, respectively, and the expert's authoritative coefficient was 0.84 and 0.85 respectively, both were scientific and authoritative. The expert opinion coordination coefficient was 0.194 and 0.431 respectively, and the 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econd round. The coordination of experts in the index system is better. After two rounds of inquiry from Delphi Law experts, three first-level indicators, including qualifications, teaching performance and scientific research performance were formed, 18 seconds were formed.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ramework of PE evaluation in China's 67 three-level indicators is the main framework for evaluating professors. (3) Hierarchy Analysis Method Calculation The weights of indicators at all levels are checked by consistency. The weighting of the first-level indicators was ranked from large to small in order of teaching performance (0.5471), scientific research performance (0.3040) and qualification for tenure (0.1489). Each index CI value is <0.10, the indicator weight value setting is acceptable, and the CR value is <0.10, which indicates that the judgement matrix consistency is satisfactory, the total sort consistency is good, and the consistency is passed the consistency test. Adopting Delphi expert counseling The system of assessment of professional titles of universities in China is rational, comprehensive and well organized, and the results of weight setting of each index are scientific and reliable, and the index has good reliability and can provide the basis and reference for the evaluation of professional titles.

      • 세계 대학평가 추세에 따른 한국과 중국의 대학개혁 비교연구

        장범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Many countries are working hard to nurture human talents that are essential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academic level of universities in their country. In Korean as well, people involved in academic circle are quite sensitive on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and making efforts to upgrade the rank of their university. Accordingly, an attempt was made in this research to provide a direction for Korean universities by considering development of college level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and assessment of ranking of the world universities. As global competition is intensifying to boost economic development of each country, the importance of nurturing human talents is also increasing, and each country places more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college level education. Hence,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have been selected: First, an attempt was made to review past efforts for developing their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Second, efforts were made to review innovations that have been made by major universities in this regard and to check their current ranking in the world. Third, evaluation indices of the major assessment organizations of world universities have been analyzed in an effort to provide a direction of future innovation for Korean universities. Major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literature research, and this was supplemented by case studies of innovation that have been carried out by major universities. As for research target of organizations, two (2) assessment organizations, two (2) major universities of Korea, and two (2) major universities of China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Both in Korea and China, the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many support projects of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policy. Major universities of each country also have carried out various innovations. Common innovation activ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as securing of capable human talents as much as possible, as this can insure desirable ranking of their university by the assessment organizations. Second was securing of funds that are necessary for supporting innovations. When capable human talents are secured but, if they can not be supported financially, the human talents will look for somewhere else where they can find required support. Third was research outcome that can be recognized by world academic communities. These three are essential requirements to be recognized as major innovations. However, even if these three are satisfied, there is no guarantee that world assessment organizations will give good rating, since there are many assessment organizations in the world, every organizations uses different evaluation indices, and they use different assessment methods. Hence, it can be summarized that each university should maintain its uniqueness while nurturing desirable human talents, securing necessary funds, and producing recognizable research outcome to become a world-class university. 세계 많은 나라들은 자국의 대학들이 고등교육의 질을 높여 국가경쟁력의 필수요소인 인재양성에 힘을 쓰도록 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는 세계대학 순위평가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순위 올리기에 대학들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고등교육발전과 세계대학순위평가와의 향후 대학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세계 여러 국가들이 자국의 경제를 살리기 위하여 무한한 경쟁구도를 가지게 되면서 인력양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최고의 교육기관인 대학의 고등교육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우선 연구를 통하여 다음사항을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주요대학의 개혁활동을 알아보고 현재 세계 순위를 살펴본다. 둘째, 주요 세계대학평가기관의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향후 대학개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가 주요 연구방법이며, 대학별 개혁활동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주요 연구는 평가기관 2곳, 한국 주요대학 2곳, 중국 주요대학 2곳으로 비교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과 중국은 정부 정책적으로 많은 고등교육 지원사업을 시행하였다. 또한 각 나라의 주요대학들도 많은 개혁활동을 하였다. 여기서 공통적인 개혁활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한 인재 확보이다. 우수한 인재를 많이 확보한 대학들이 평가기관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다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둘째로는 개혁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자금 확보이다.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였지만 지원을 못한다면 그 인재는 연구 활동을 지원해주는 곳으로 찾아갈 것이다. 셋째로는 국제적이고 훌륭한 연구 성과를 내어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3가지가 주요 활동내용이다. 그러나 이 3가지를 충족했다 하더라도 세계평가기관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다는 보장은 없다. 이유는 세계평가기관은 많이 있으며 평가기관마다 평가지표가 다르고 평가방식도 다르기에 각 평가기관마다 대학들의 순위는 상이하다 그러므로 각 대학들은 대학마다 고유한 특색을 지니면서 인재양성과 자금확보, 연구성과를 나타낸다면 세계일류대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과 중국의 치과대학 학생들의 진로와 교육에 대한 만족도 비교 연구 : Pilot Study

        조형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구 배경 및 목적 치과의사는 한국에서 공급과잉, 중국에서 공급부족의 문제를 겪고 있다. 한국의 치과의사들이 중국으로 진출한다면 양 국가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의 치과의사들이 중국에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치과의사들과 협력해야 하기 때문에 중국의 치과계나 치과의사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의 치과계에 대한 비교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과 중국은 치의학 교육제도부터 전반적인 문화까지 다르며 치과대학 학생들 개개인의 성향도 다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다른 교육체계 안에 있는 중국과 한국의 치과대학 학생들의 ‘진로 선택 이유’, ‘향후 진로’, ‘진로 만족도’, ‘교육 만족도’ 등에 관한 비교를 하는 것이다.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 치과의사들의 개인적인 성향이나 중국 치과계에 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4학년과 베이징대학교 구강의과대학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진로와 치과대학 교육에 대하여 12문항으로 구성됐으며 설문조사의 결과를 단순 도수분포표로 정리하였다. 실험결과 및 토의 치과의사를 진로로 선택한 이유로 한국학생들은 Work-life balance와 Stability를, 중국의 치과대학 학생들은 Help & Value와, Soical status를 선택했다. 한국학생들은 주로 General dentist가 되길 원했고, 중국학생들은 주로 Specialist가 되길 원했다. 가장 선호하는 전공은 Orthodontics이며 Endodontics, Prosthodontics, Periodontics가 인기 있었다. 해외에서 근무하길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이 해외에서 근무하길 희망하지 않는 학생의 비율보다 높았으며,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미국이다. 중국학생들이 한국학생들보다 치과대학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교육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로, 한국학생들은 불필요한 수업, 강의 등을 선택했고 중국학생들은 ‘너무 여유가 없이 바쁜 삶’을 선택했다. 다시 치과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이유는 한국학생들은 ‘의대에 진학한다.’, ‘강압적이고 수직적인 분위기’이고, 중국학생들은 ‘너무 힘들다’, ‘다른 전공을 선택한다.’였다.

      •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및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

        맹서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stress on self-efficacy and exercise exhaustion of high-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ol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data processing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or this purpose, high ranking athletes from 21 universities including Henan University, Zhengzhou University, Henan Normal University, Beijing Sports University, Shanghai Sports University, and Huanan Normal Un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s for the sampling method of the survey target,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urvey was 550, and 516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34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faithful or unreliable, and Path Effects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ith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members using the SPSS PC 22.0 program for Windows, As a result of conducting batch variance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tress, self-efficacy, and exercise exhaus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high-level athletes who had exercised for more than 7 years experienced higher exercise stress in the environmental and personal areas and were prone to exercise exhaus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thletic stress of high-level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the athletic stress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exhaustion. The effects of high level athletes' athletic stress in Chinese universities on mental/physical exhaustion and exercise deterioration during exercise exhaustion were high in overall exercise stress.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exhaustion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exercise stress of high ranking Chinese university athletes reduced self-efficacy, exercise stress caused exercise exhaustion, and self-efficacy caused exercise exhaus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exercise exhaustion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to block exercise stress and increase self-efficacy are necessar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result, it is considered to have suggested important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of high-ranking Chinese university athletes with an appropriate sense of self-efficacy. 본 연구는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및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중국 하남대학, 정주대학, 하남사범대학, 북경체육대학, 상해체육대학, 화남사범대학 등 총 21개 대학에 재학중인 고수평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여 550명을 표집하였다.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34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516명이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용 SPSS PC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 회귀분석을 통한 경로효과 분석과 Bootstrapping, Sobel test 통계기법이 적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운동탈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성별에 따른 인간관계, 운동부상, 경기실패, 환경요소, 개인요소 운동스트레스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경기효능감과 훈련효능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성취감 저하, 정신 및 신체 소진, 운동폄하 운동탈진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른 운동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운동폄하 운동탈진은 22세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등급에 따른 인간관계 운동스트레스는 국가 2급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등급에 따른 경기효능감과 훈련효능감은 국가대표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등급에 따른 정신 및 신체 소진 운동탈진은 국가대표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기간에 따른 환경요소 및 개인요소 운동스트레스와 운동폄하 운동탈진은 7년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시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운동탈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요소, 운동부상, 경기실패, 환경요소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경기효능감은 감소한다. 환경요소, 인간관계, 개인요소, 경기실패, 운동부상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훈련효능감은 감소한다. 셋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탈진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환경요소, 경기실패, 운동부상, 개인요소, 인간관계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성취감은 감소한다. 환경요소, 경기실패, 개인요소, 운동부상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정신 및 신체 소진은 심화된다. 경기실패, 환경요소, 개인요소, 인간관계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운동폄하는 심화된다. 넷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자기효능감은 운동탈진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즉, 경기효능감, 훈련효능감 순으로 높을수록 성취감은 저하되고 운동폄하는 심화된다. 훈련효능감, 경기효능감 순으로 높을수록 정신 및 신체 소진은 심화된다. 다섯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탈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운동탈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기효능감은 운동스트레스와 운동탈진 사이를 완충시키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담당한다. 종합하면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키고, 운동탈진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운동스트레스에 의한 자기효능감은 운동탈진을 예방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중국대학의 고수평 선수의 운동탈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 중국대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 연구

        강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 혹은 제2언어로서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고려할 때, 학습하는 언어가 사용되는 언어권 또는 문화권 안에서 학습을 하는 것이 보다 학습효과가 클 것이다. 한국에서 오래 생활하면 한국어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아지므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능력을 습득하기가 용이하다. 이 중에서 말하기 능력은 환경 요소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말하기 기능을 습득하기가 어렵고 다른 언어권 학습자에 비하면 말하기 능력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런 출발점에서 시작하여 중국 내 본과 대학교의 한국어학과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질문에서 출발한다. 첫째, 현재 중국 대학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현행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만족도와 요구는 어떠한가? 셋째,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실상과 특징은 어떠한가? 넷째, 앞으로 중국 대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질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된 이론적 배경 고찰, 현황 고찰, 설문조사 및 담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의 교과과정 배정 상황과 양성 방안을 살펴보았고 중국에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진행할 때 쓰는 대표적인 교재를 선정해서 분석하였다. 이런 연구를 통해서 현재 중국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현재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고 있는 4년제 대학교 한국어전공의 재학생과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학습목표, 학습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네 부분으로 구분하고 세부 문항을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는 현행 중국대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에 대한 낮은 만족도를 보여 주었고 이의 개선 요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녹음을 통해 학습자가 구어산출시 쉽게 범하는 오류를 발음, 어휘, 문법 및 화행 네 영역으로 나누어 그 특징과 원인을 찾아보았다. 어휘 영역에서는 학년별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고, 발음, 문법, 화행 영역에서는 학년별 특징을 보여주었다. 앞의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본과 대학교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1) 교과과정의 재설치, 2) 학습목표의 세분화, 3) 교재내용의 선정, 4) 교수·학습방법의 다변화, 5) 평가 방법의 타당화의 다섯 가지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현재 중국대학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정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못하다. 특히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인 교육 내용의 선정·조직은 과학적이지 못하고 이에 따라 중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도 어려운 형편이다. 이는 본 연구자의 후속 연구 과제가 될 것이다.

      •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적 불안증상 완화를 위한 연극치료 연구

        리아오이 용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사회적 불안증상이 있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극치료 작업을 정리 분석한 것으로, 서양문화전통을 기초로 한 연극치료를 동양의 전통 문화와 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중국 대학생 사회 불안 증상 완화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연극치료의 작동 기제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중국 호남성 한 대학교의 사회적 불안증상이 있는 대학생 6명의 실험집단과 6명의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총20회의 작업을 진행하였고, 사회적 불안 및 회피 척도(SAD)와 상호작용 불안 척도(IAS)를 대상의 증상 완화 결과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도구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학년, 성별 등의 요인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자의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의 불안 상황은 3학년>1학년>4학년>2학년의 순으로 나타났다. 1학년의 학생들이 새로 입학하면 새로운 환경이 이들의 생활의 각 방면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입생들은 대인관계를 넓혀야 하며, 짧은 시간 안에 이러한 역할의 전환을 완성할 수 없기 때문에 대인관계 면에 있어서 불안이 있는 것은 정상이다. 2학년 학생들은 진학이나 취업의 압박감도 없으므로 사회적 불안 수치가 가장 낮다. 3학년 학생들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취직 등 진로를 선택해야 한다. 진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은 최선을 다해 시험 준비를 몰두해야 하며, 대인관계 활동에 참가할 시간이 없어진다. 취업을 택한 학생들은 사회와 학교의 차이를 크게 느끼게 되며, 특히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신이 취약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게다가 여러 번의 좌절을 겪은 후에는, 많은 학생들이 수치심을 느끼며 남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두려움이 그들의 사회적 불안감을 강화시킨다. 4학년 학생들은 각종 사회 경험이 풍부하며, 인턴기간을 통해 학생에서 사회인으로 전환하는 기초단계를 완성했기 때문에 사회적 불안수치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동자녀라는 배경은 그들을 더 쉽게 사회적 불안에 노출시킨다. 현대 중국 사회에서 계획 출산이라는 특수 환경으로 인해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외동자녀이며, 부모들이 대부분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외동자녀는 항상 혼자 집에 있거나 할머니나 할아버지 손에서 자란 경우가 많다. 어렸을 때부터 같이 노는 친구들이 없고 또래 친구들과의 교류도 많이 없는데다가 할머니나 할아버지의 과도한 사랑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성격상 내성적이고 이기적이고 대인관계를 잘 맺지 못한다. 남성의 불안 상황은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현대 중국 사회에서 남자로서 감당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더 크기 때문에 사회나 가정에서 받는 스트레스 또한 크다. 대학생은 학교에서 사회로 전환하는 터닝 포인트를 맞이하는 시기인데다가 남학생은 미래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여학생에 비해 일찍부터 사회로부터 많은 압박을 받는다. 따라서 많은 남성들이 대인관계 회피라는 방식으로 이러한 부담을 피하게 되며, 그 결과 그들의 사회적 불안은 강화된다. 이것이 바로 남학생의 사회적 불안 수치가 여대생보다 높게 나타나는 요인이다. 둘째, 적절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불안 완화에 대해 효과성이 높았다. 초기 단계의 극적 게임은 집단의 동질감과 신뢰감을 높였고, 이후 경쟁심도 유발되면서 다른 참여자 및 치료사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도 형성되었다. 또한 타인을 바라보고 관찰함으로써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변화에 대한 용기와 결심을 하게 되었다. 6조각 이야기의 배경, 등장인물, 장애물, 조력자, 결말의 분석을 통해 참여자의 사회적 불안증상 형성원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그것을 연극으로 공연함으로써 주인공에게 투사적 동일시를 하여 마음속에 묻혀있는 사회적 불안 증상을 야기하는 원인을 꺼낼 수 있었다. 대부분 참여자들은 입양, 부모 의 이혼 등 가정환경이 주원인임을 알았다. 이어서 중국 신화인 여와 이야기를 자기심리학의 원리를 바탕으로 이용한 결과, 참여자 간에 자체적으로 대상전이관계가 조성되어 연극 연습 과정을 통해 내재화 작용을 유지하고 자기를 다시 구축할 수 있었다. 여와신화를 통해서 참여자들은 위축된 자기에서 적극적인 자기의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거절’, ‘리더’, ‘면접’, ‘이성’ 등을 주제로 한 연극 시뮬레이션을 배치하고 이러한 상황들을 모방함으로써 참여자들로 하여금 공동 토론을 통해 자신의 롤 모델을 찾게 해 주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에서 롤 모델의 문제해결 방식까지 모방할 수 있었다. 그 다음, 다시 그 사회적 상황을 재현하였을 때 각 참여자들은 문제 상황을 잘 다룰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SADS, IAS 검사에서 45점 이상이었는데 프로그램 진행 결과 30점으로 하향하였다. 따라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그들의 사회적 불안 증상 완화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국 대학생의 사회적 불안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또한 중국의 신화를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그들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것이 있다. 향후에는 이를 더욱 발전시켜 중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한 예술치료의 성과를 다양하게 검증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drama therapy works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social anxiety symptoms, and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drama therapy based on western tradition of Chinese culture and of the operating mechanism of drama therapy in order to activate. The researcher proceeded an experiment on 6 University students in a university in Hu Nan province, China, with control group of 6 for 20 times in total. Social anxiety and avoidance scale (SAD) and interaction anxiety scale (IAS) were used as pre- and post- test tools to evaluate symptom relief results. The test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the effect of grade, sex, and such things on social anxiet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researcher, the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ppeal to be ranked as junior>freshman>senior> sophomore. When freshman newly enters a new atmosphere effects greatly on all areas of their lives. Freshman has to wide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because it is not easy to be don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normal that they have anxiety on mak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Sophomore students have the least amount of social anxiety because they do not have pressure on entering university or finding a job. Junior students have to decide their future path whether to study more in graduate school or find job. Students who choose to find jobs have to put all their effort on exams, so they no more have spare time for the activities to make relationships. These students feel a big gap between the society and university, and most of them feel they are weak regarding relationships. Moreover after they experience lots of failure, they are humiliated and scared of meeting others. Such scared feeling increases their social anxiety. Senior students have plenty of social experience, and they completed a basic stop for changing from a student to a member of the society, they have very low level of social anxiety. Moreover, their background of only child exposes them more easily to social anxiety. In modern Chinese society there is a special situation of planned delivery which caused most of university students to be only child, and because their parents are mostly double-income family, the only child was mostly at home alone or cared by grandparents. Not having many friends to play with or much interaction with others from when they were young and had too much love from grandparents, that they are introspective, selfish and feel uneasy to make relationships. The anxiety is greater with men than women. In modern Chinese society, social responsibility of men is greater that their stress in society or at home is great as well. University students face a turing point to become a member of society and male students feel more pressure of the expected social role than female students. As a result, their social anxiety increases. This is why social anxiety scale of male students is greater than female students. Second, adequate play treatment program showed high efficiency of releasing social anxiet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irst step of play game increased sense of kinship and trust, and also caused competitiveness and desire to get acknowledged among other participants and therapists. Moreover, they understood more of themselves by watching others, gained courage and set resolution about changes. By analyzing background, characters, obstacles, helpers and ending of 6 pieces of stories, the reasons for social anxiety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and this was used to make plays which the protagonist could bring out the causes of the social anxiety symptoms buried in the mind. Most of the participants found out the main reasons belong to family background, such as adoption and divorce. The result of using Chinese myth, NyuWa story, based on self-psychology principle, target transfer relationship was formed within the participants and they were able to maintain internalization by practicing plays and rebuild themselves. Through the NyuWa myth participants could make changes of themselves from intimidated to be active. Drama therapy program in this study made the participants possible to find their role models by simulating plays on refusal, leader, interview, and the opposite sex, and imitating these situations. By simulating, imitation of a role model to solve problems were also done. Then, when they reproduced the social situations the participants could well deal with the problems they face. Third, the participants were scored over 45 in SADS and IAS test, however, after the program their score decreased to 30s.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play treatment program on releasing their social anxiety has been prov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anxiet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ere understood, and that it is proved play treatment program using Chinese myth could release their symptoms. In the future, accomplishment of art treatment based on Chinese culture will be verified in many ways.

      • 한국 드라마가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가치관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레이잉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터넷 미디어가 신속한 발전을 가져온 배경 하에서 대학생을 위주로 하는 젊은 사람들은 인터넷 동영상 등 방식을 통하여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있는데, 그중 한국 드라마도 포함 되어 있다. 최근 몇년 간 한국 드라마는 높은 인기와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으로 중국 대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 드라마가 유행됨으로 인하여 한국 드라마를 담체로 하는 한국 민족의 가치관과 한국의 문화가 대학생을 대표로 하는 중국의 젊은 사람들에게 지나친 영향을 주며, 일정한 정도에서 중국의 문화를 위협 한다고 주장하는 여론도 있다. 동시에 한국 드라마를 담체로 하는 한국 민족의 가치관과 한국 문화 등이 중국 대학생들 가운데서 전파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대학생들은 한국 드라마 및 한국 드라마에서 반영되는 가치관과 한국 문화를 신중하게 상대하는 새로운 추세가 형성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 논문 에서는 인터넷 미디어가 널리 유행되는 시대에서 한국의 드라마가 중국에서 전파되고 발전하는 현황,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드라마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관점, 한국 드라마에 나타나는 한국 문화가 대학생들의 가치관에 대하여 미친 영향 및 영향력의 문제를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 에서는 국내외의 연구 문헌을 세심히 연구한 기초하에서 설문 조사, 심층 인터뷰, 문헌분석법 등 방법을 이용하여 유포자와 시청자의 입장에서 각각 연구를 진행하였고, 중국상하이 의 3개 대학교에서 “한국 드라마가 대학생들 가운데서 전파되고 대학생들에게 미친 영향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를 진행 하였으며, 대학생들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 하였다. 그리고 전파 현황의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한국 드라마의 자체 특점 및 대학생 군체의 특징 등 두가지 방면에서 한국 드라마가 대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원인을 분석 하였으며, 이론 지식과 결합하여 한국 드라마가 대학생들 가운데서 전파되는 현황이 대학생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관념, 가정에 대한 관념,유행과 소비에 대한 관념, 전통적인 문화 관념 등 방면에 미친 영향을 깊이 분석하였다. 또한 현단계 한국 드라마가 대학생들에게 가져온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있으서 필자의 건의를 제기함으로서 대학교에서 대학생들의 정확한 가치관 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지도를 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힌다. Under the new media environment, college students who represent young people are keen on watching movies and dramas through the network. And nowadays Korean dramas are one of the more distinctive dramas in China.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new media, Korean dramas rapidly spread and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of college students. Due to the constant heat of Korean dramas in recent years, some people worry that the Korean national culture will have excessive impact on Chinese youth generation. They also think that it will affect the market share of Chinese domestic dramas, and it will intimidate the security of Chinese na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as the carrier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national values, Korean drama has a new spread trend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ore and more college students, especially female college students, begin to treat Korean dramas more prudent.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at what the college students ' opinions are about Korean dramas and Korean culture, and how Korean dramas and Korean culture affect the college students. Using the methods of questionnaire, depth interviews and comparative analysis, this paper analyses the data between the students of three colleges which are Shanghai Normal University, Fudan University, and Tongji University in Shanghai.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is paper analyses the reasons that why Korean dramas attract so much atten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Communication Theory perspective, this paper analyses the spread of Korean drama in College Students and the impact of marriage, family values, fashion consumption, suggestions of Koreandrama’s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were given in this paper. Finally, this paper appeals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on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 spread among College Students. A positive impact should be made on college students’ group through the film and television under the new media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