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성원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구성원 교환관계의 매개효과와 상사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

        신성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의 급변하는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해 관리자들이 모든 상황에 맞게 구성원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제시하기란 힘들다. 따라서 구성원의 자주성 및 진취성의 중요성은 조직의 세계적 경쟁력과 지속적 변화에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이 두 변수의 사이의 관계성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상사-구성원 교환관계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개념적 정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 상사-구성원 교환관계가 매개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황적 요인에서 본 상사의 주도적 성격이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과 상사-구성원 교환관계 사이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 및 한계점과 함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의를 하였다. Presenting appropriate behaviors to members according to all situations in response to recent rapid changes in market environment as managers is difficult. Accordingly, Global market emphasizes importance of initiation and proactivity of members is essential to global competitiveness and constant changes. This research measured mediating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moderating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of a leader to examin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of a member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well as clearly def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unknown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verifying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conceptual definition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verification of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of member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howed positive effects. Second, results of studying on leader-member exchange mediates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of membe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howed that there is a perfect mediating effect. Third, proactive personality of a leader from situational causes showed to strengthen proactive personality of members and leader-member exchange. Based on these analyzation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eoretical, practical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es.

      • 주도적 성격이 종업원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과업갈등의 매개효과 및 상사신뢰의 조절효과

        판, 추이추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Nowaday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fierce competition for top-notch technology, the business environ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uncertain. Under such a situation, a company will inevitably be eliminated if it fails to anticipate threats and opportunities to improve itself. Therefore, it is imperative for Chinese companies to deeply understand and master the method used to improve employees’ proactive motivation and realize the results, such as creative perform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oice behavior. By analyzing the characters and dimensions of the proactive personality, we aim to promote employees’ working outcomes through contextual factor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ur research uses the questionnaire to perform a thorough survey on employees from all walks of life in two places in China, Beijing and Shandong. We collect the data and then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factors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employees’ working outcomes, such as creative perform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oice behavior. Then further understand whether proactive personal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ask conflict for employees with a leading personality to create work outcomes, and what kind of control role supervisor trust plays in the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hould further discuss the leading factors that influence creative perform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oice behavior, and then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rom the viewpoint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uture research. 경영환경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와 같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초일류 기술 경쟁 등으로 인해 점점 더 불확실해지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위협이나 기회를 미리 예견하고 변화를 선도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 같은 경우 각 기업이나 조직에서 행동하는 주체인 구성원들의 주도적 성향을 배양하는 방법에 대한 더 깊이 이해, 그리고 이런 경향이 나타날 수 있는 결과(예: 창의적 성과, 정서적 조직몰입 및 발언행동)을 알아보고, 주도적 성격의 특성과 차원을 명확히 설명하고 상황적 요인을 통하여 종업원의 업무성과를 촉진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의 베이징, 산동성 두 지역에 각 분야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직장 내 주도적 성격의 3차원 요인인 인식, 실행, 인내와 종업원의 업무성과(즉, 창의적 성과, 정서적 조직몰입, 발언행동)의 관계가 어떠한지, 주도적 성격을 가진 종업원이 업무성과를 창출하는 데 있어 과업갈등의 매개역할이 존재할 것인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사신뢰가 어떠한 조절역할을 발휘할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 창의적 성과, 정서적 조직몰입, 발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도적 성격의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채용 및 선발 관점에서 본 연구가 가진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리버스멘토링 효과성 지각의 선행요인과 결과

        기여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64

        시대와 환경이 바뀌면서 밀레니얼 세대와 중고령자들이 노동현장에서 함께 노동활동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핵심 생산 인구 중 MZ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세대 간의 원활한 소통과 관계유지가 매우 중요해졌다.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성장해 온 젊은 세대 구성원들의 기술관련 전문성을 이용할 수 있는가가 조직에게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버스멘토링에 초점을 두고, 멘토링효과성 지각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멘토의 주도적성격, 멘티의 겸손성, 멘토가 지각하는 사전교육 만족도가 조직기반 자긍심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멘토의 주도적성격, 멘티의 겸손성, 사전교육 만족도가 멘토링효과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즉 멘토 특성, 멘티 특성, 프로그램 특성이 멘토링효과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둘째, 멘토링효과성 지각이 멘토의 조직기반 자긍심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셋째, 멘토의 주도적성격, 멘티의 겸손성, 사전교육 만족도과 조직기반 자긍심과 이직의도간에 멘토링효과성 지각의 매개효과를 파악했다. 즉 멘토 특성, 멘티 특성, 프로그램 특성이 멘토의 태도에 영향 미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기업의 공식 리버스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젊은 멘토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을 검증했다. 조사대상에게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150부 중 응답의 성실성이 낮은 설문지 40부를 제외한 110부의 설문을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귀분석 등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 되었다. 첫째, 가설1.1. 1.2. 1.3의 멘토 주도적성격, 멘티의 겸손성, 사전교육 만족도가 멘토링효과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설2.1의 멘토링효과성 지각과 조직기반 자긍심의 영향 관계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으나, 가설2.2의 멘토링효과성 지각과 이직의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1, 3.2. 3.3의 멘토링효과성 지각이 멘토 주도적성격, 멘티의 겸손성, 사전교육 만족도과 조직기반 자긍심에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닐 것인지를 분석한 결과, 멘토링효과성 지각은 결과변수에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작용하고 있다. 넷째, 가설4.1, 4.2, 4.3의 멘토링효과성 지각이 멘토 주도적성격, 멘티의 겸손성, 사전교육 만족도과 이직의도에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닐 것인지를 분석한 결과, 멘토링효과성 지각은 이직의도에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작용하지 않다. 연구는 이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조직에서 멘토링효과성 지각의 실행이 조직기반 자긍심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기여하고, 멘토링이론과 성격이론 등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the times and business environment change, the number of millennials and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orking together in the workplace is increasing. As the proportion of the MZ generation among the core active population increases,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has become very important. It is also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be able to use the technology-related expertise of the younger generation who have grown up in the digital age. Thus, this study focuses on reverse mentoring and investigates the antecedents and consequnces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reverse mentoring. I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ntor's proactive personality, the mentee's humility, and the mentor's perceived satisfaction with prior training 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s proactive personality, mentee's humility, and satisfaction with prior training on the perceived mentoring effectiveness.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mentor characteristics, mentee characteristics, and program characteristics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reverse mentoring were empirically tested. Seco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reverse mentoring and the mentors'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s.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reverse mentor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s proactive personality, mentee's humility, satisfaction with prior training and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 were examine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ree Chinese companies operating formal reverse mentoring programs and tested the hypotheses by conducting a survey with young mentors participating in these programs.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bjects, and 110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effects of the mentor’s proactive personality, the mentee’s humility, and the satisfaction with prior training on the perceived mentoring effectiveness suggested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and, thus, hypotheses 1.1, 1.2 and 1.3 were supported. Second, it was found that Hypothesis 2.1 predicting a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mentoring effectiveness and the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was supported. However, the hypothesis 2.2 predicting the effect of the perceived mentoring effectiveness on turnover intention was not support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onal effects, hypotheses 3.1, 3.2, and 3.3 were supported confirming the mediational effects of perceived mentoring effectivenes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Fourth, the hypotheses 4.1, 4.2, and 4.3 were not supported showing that the perceived mentoring effectiveness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urnover intentions.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mentoring literature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reverse mentoring and also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personality theory.

      • 영업사원의 성격특성이 관계판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정렬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34

        본 연구는 영업사원들의 성격특성이 관계판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의 조절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영업사원들의 성격특성과 관계판매행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고 있어 두 개념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하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영업사원의 성격특성을 기존의 5성격요인에서 벗어나 인지적 유연성과 주도적 성격 두 가지의 복합적 성격요인이 관계판매행동, 즉, 적응적 판매와 고객 지향적 판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이에 따른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조사 당시 재직 중인 영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64부중 불성실한 답변 등을 제외한 151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영업사원의 성격특성중 인지적 유연성이 높을수록 관계판매행동(적응적 판매, 고객 지향적 판매)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주도적 성격은 관계판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둘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주도적 성격과 적응적 판매 사이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의 선행요건이 되는 관계판매행동을 제고하기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주도적 성격이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WU QIONG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7

        최근 많이 연구자와 관리자는 조직에서 종업자의 주도적 행동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종업자의 주도적 행동이 조직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고 조직의 경쟁력을 또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주도적 행동이 많이 요인의 영향을 받을 가지고 그중에서 하나 중요한 요인이 개인의 주도적 성격이다. 주도적 성격이 주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요즘에 연구들이 중요한 연구방향을 될 것이다. 조직에서 조직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들 자기의 노력, 능력이 중요하는데 리더십이 또 중요한다. 특히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이론은 Burns(1978)에 의해서 처음 제시되었으며 그 후 Bass(1985)가 조직상황에 맞춰 구체화함으로써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Burns, 1978; Bass, 1985). 중국의 많은 학자들은 대량의 조사연구를 통하여 중국 대부분 기업의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 경향을 증명했다. 그리고 가치 지향의 관점에서 보면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십 중에서 대표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주도적 성격과 주도적 행동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지 그 현상에 대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의 중소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설문지 506부를 배표하여 총 357부의 유효한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도구 SPSS 18.0을 이용하여 타당성,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고 분석결과를 정리하였다. 1. 주도적 성격이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주도적 성격은 책임지기, 발언, 개인적 혁신과 문제 예방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2. 주도적 성격과 주도적 행동(책임지기, 발언, 개인적 혁신과 문제 예방)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보이는 변인으로서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주도적 성격과 변혁적 리더십은 주도적 행동에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다. 3. 예상한 바와 같이 주도적 성격과 주도적 행동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조절효과를 나나났다. 즉,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주도적 성격과 주도적 행 동 간의 정(+)의 관계는 강화될 것이다.

      • 호텔 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항춘 세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47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을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검정하고 이러한 간접효과가 조직지원인식에 의하여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호텔종사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호텔조직의 발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증가시키는 요인들과 구체적인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것은 호텔관리자들에게 중요한 이슈가 되어 왔다. 그리고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을 거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는 모든 호텔종사원들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호텔종사원들의 조직지원인식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개인-상황 상호주의 이론에서는 개인의 행동이 개인특성과 환경요인에 의하여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인특성으로 주도적 성격을 선정하고 환경요인으로는 조직지원인식을 도입하여 이러한 두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상호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순조절효과분석과 간접효과분석을 결합하면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을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와 주도적 성격이 직무만족을 거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및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는 모두 조직지원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분석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본 연구의 실험참가자들의 인구통계변수와 상관관계를 기술하고 연구모형에 도입된 요인들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등을 분석한다. 둘째,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에 주는 영향이 조직지원인식의 값에 따라 달라지는지에 대한 조절효과분석을 실행한다. 셋째,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을 거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와 주도적 성격이 직무만족을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 및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렬다중매개모형을 분석한다. 네 번째는 조절효과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결합하여 간접효과가 조절변수인 조직지원인식의 값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관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이다. 중국의 호텔에 재직하고 있는 278명의 호텔종사원들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모든 요인과 관측변수들을 도입한 Mplus를 이용한 분석방법과 각 요인에 대한 관측변수들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PROCESS macro방법을 사용한 분석방법의 결과를 비교할 예정이다. 첫째, 호텔종사원들이 조직지원을 많이 인지하는 경우에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함께 증가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이 증가하면 주도적 성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양의 효과도 함께 증가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을 통하여 조직몰입을 증가시키는 양의 간접효과와 주도적 성격이 직무만족을 거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양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렬다중매개모형에 대한 검정으로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세 가지 간접효과들은 조직지원인식의 값이 증가하면 함께 증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여부는 조절된 매개지수를 이용하여 검정한다. 그리고 간접효과의 크기와 조절분석에서의 상호항의 크기 및 조절된 매개분석에서 조절된 매개지수의 효과크기가 무작위 측정오차를 반영하지 않는 PROCESS macro의 방법보다 측정오차를 반영하는 Mplus방법에서 모두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잠재변수를 이용한 상호효과 모형을 분석하는 경우에 미래연구에서 SEM방법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이론적인 시사점으로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조직지원인식에 의하여 조절되는 새로운 조절된 매개모형이 검정되었다. 따라서 미래 연구에서는 호텔종사원들의 조직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활용할 필요가 있고 새로운 조절변수를 도입하여 또 다른 새로운 조절된 매개모형을 정립하는 것도 연구의 유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주도적 성격이 일-가정 향상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에 호텔조직은 호텔종사원들의 채용 시에 공식적인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높은 주도적 성격을 소유한 종사원들을 선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재직자들의 주도적 성격을 제고하기 위하여 교육과 훈련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직지원인식이 간접효과를 증가시키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에 호텔조직은 호텔종사원들에게 실제로 조직지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호텔종사원들이 조직지원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드는 조직지원의 홍보 전략을 수립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부하와 상사의 주도적 성격 적합성이 부하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부하와 상사의 주도적 성격 적합성이 부하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고자 한 실증분석 연구이다. 연구 모형 및 가설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는 중국 신장성 지역의 6개 조직(30개 팀, 30명 상사, 150명 부하), 충 18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서 180부가 가설검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의 선행변인인 상사의 주도적 성격은 LMX와 부하의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하의 주도적 성격이 LMX와 부하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하의 주도적 성격과 부하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 LMX의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알아보았다. 셋째, 부하와 상사의 주도적 성격 적합성이 LMX의 질과 부하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으로 나타며, 부하와 상사의 주도적 성격 적합성과 부하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 LMX의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다는 것으로 알아보았다. 일반적으로 주도적 성격에 관한 연구들이 부하의 주도적 성격만을 가지고 개인수준에서 성과, 직무만족, 경력개발 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집단수준에서 다른 사람들하고의 관계에서 상사의 주도적 성격까지 같이 봐서 그들의 성격일치성이 부하의 직무만족과의 관계가 어떤지를 연구하자는 목적이다. 그러나 오히려 부하와 상사가 같이 주도적 성격이 보이면 LMX의 질과 부하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연구에서 이점에 대하여 정착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는 방법이 향후 연구방향의 큰 틀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조사대상 선정에 있어 중국 신장성지역 일부 업종의 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니 일반화에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둘째, 횡단적인 연구 설계로 인해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 추론에 한계가 있으며, 동일 응답자가 독립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한 응답을 동시에 제공하는 연구 설계는 공통방법변량(common method variance)문제점을 지니며, 향후 자료수집방법 및 연구 설계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주도적 성격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 LMX(Leader-Member Exchange)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자이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이 잡 크래프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잡 크래프팅이 직무열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주도적 성격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역할과, 주도적 성격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리더-멤버 교환관계(LMX)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내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 성향이 높으면 잡 크래프팅(구조적 직무 자원 증가, 방해적 직무 요구 감소, 사회적 직무 자원 증가, 도전적 직무 요구 증가)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잡 크래프팅 행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열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적 성격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넷째, 리더-멤버 교환관계(LMX)는 주도적 성격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도적 성격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잡 크래프팅의 선행변인으로 개인의 성격 특성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주도적 성격과 잡 크래프팅이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통해, 조직 내에서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찾고 더 나은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리더-멤버 교환관계는 주도적 성격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내에서 리더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성격 특성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d how organizational members' proactive personality affects job crafting and how job crafting affects job 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commitment was analyzed. The moder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crafting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by surveying organizational members in Chinese workplaces, and analyzed the data to test the hypotheses. We summarize our findings as follows. First, high levels of organizational members' assertiveness are associated with high job graphing (increased structural job resources, decreased intrusive job demands, increased social job resources, and increased challenging job demands) behaviors. Second, high job graphing is associated with higher job engagement. Third, the mediating role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engagement was confirmed. Fourth, leader-member exchange (LMX) does not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ity and job craft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crafting and to examine individual personality trait factors as antecedents of job crafting. Second, the positive impa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crafting on job engagemen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find their role in the organization and strive for better performance. Thir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did not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ity and job crafting. This suggests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leaders and members within an organization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moder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nd job engagement.

      • 멘토링에서 프로테제의 주도적 성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피드백 추구행동과 피드백 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웨이량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조직의 비공식 멘토링 관계에서 프로테제의 주도적 성격이 긍정피드백 추구행동, 부정피드백 추구행동 그리고 피드백 수용으로 구성된 같은 피드백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피드백 과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피드백 과정인 긍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피드백 수용, 그리고 부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피드백 수용이 성과에 서로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와 프로테제의 주도적 성격과 직무성과 사이의 관계를 긍정피드백 추구행동, 부정피드백 추구행동 그리고 피드백수용이 매개하는지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하남성 정주시에 위치한 국영자동차 기업에 있는 202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주도적 성격, 피드백 과정, 직무성과에 대한 응답을 얻어 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프로테제의 주도적 성격은 부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피드백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긍정피드백 추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프로테제의 부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피드백 수용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긍정 피드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테제의 긍정피드백 추구행동은 피드백 수용과, 부정피드백 추구행동도 피드백 수용과 서로 상호작용하여 모두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정피드백 추구행동과 피드백 수용은 프로테제의 주도적 성격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매개를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프로테제의 주도적 성격이 피드백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테제의 주도적 성격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그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는 이론적 토대 이를 통해 멘토링 문헌과 피드백 문헌에 이론적으로 기여하고, 조직에서 비공식 멘토링을 실시할 때의 시사점을 제공하다는 함의를 지니고 있다.

      • 중국 동북지역 대학생의 창업교육과 주도적 성격이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창업열정의 매개효과

        쉬즈펑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45

        본 연구는 중국 동북지역 대학생의 창업 교육, 주도적 성격, 창업 열정, 창업 의도를 파악하고 4가지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중국 동북 지역의 3개 성에 소재한 6개 대학의 대학생 399명이다. 조사 기간은 2022년 10월 24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하였고, 모바일 앱인 설문 스타(Questionnaire Star)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수집한 자료를 SPSS 27, AMO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별로 평균치, 표준 편차를 구하고, 집단 간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이나 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변수에 대한 평균을 5점 척도로 변환하였다. 창업교육은 평균 3.65점, 주도적 성격은 평균 3.68점, 창업 열정은 평균 3.82점, 창업 의도는 평균 2.95점으로 4가지 변인 중 창업 열정 점수가 가장 높고 창업 의도 점수가 가장 낮다. 둘째, 창업교육이 창업 의도(β=.17. )와 창업 열정(β=.15.)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적 성격이 창업 의도 (β=.33. )와 창업 열정(β=.55.)에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 열정은 창업교육과 창업 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였다 (β=.04.). 다섯째, 창업 열정은 주도적 성격 창업 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였다 (β=.16.). 여섯째, 창업 의도에 가장 큰 긍정적 영향을 주는 변인은 주도적 성격과 창업 열정이다. 창업교육과 주도적 성격이 창업 열정을 결정하는 비율은 42%이고, 창업교육, 주도적 성격, 창업 열정의 세 변인이 창업 의도를 결정하는 비율은 45%이다. 결론적으로 주도적 성격은 창업 교육보다 창업 열정의 참여를 더 잘 예측할 수 있고, 창업 교육은 주도적 성격보다 창업 의도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창업교육과 주도적 성격은 창업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창업 열정은 이 과정에서 정적 중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이 세 가지 변인의 개선에 관심을 기울여 대학생의 창업 의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start-up education, leading personality, start-up passion, and start-up inten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confirm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variab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9 college students attending six universities located in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October 24 to October 26, 2022, using the Questionnaire Star.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PSS 27 and AMOS 27 programs to obtain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and conducted t-verification or variance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ll marks of the four variables in this study are all 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China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3.6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initiative personality is 3.68 points, the average score of entrepreneurial passion is 3.82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2.95 points. Among the four variables, the score of entrepreneurial passion is the highest and the score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the lowest. Seco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β=.17. ) and entrepreneurial enthusiasm (β=.15. ) shows this effect. Third, the dominant character is entrepreneurial intention (β=.33. ) and entrepreneurial enthusiasm (β=.55. ) shows this effect. Fourthly, entrepreneurial enthusiasm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intentions (β=.04). Fifthly, entrepreneurial enthusiasm dominates personality, which has a catfish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β=.16). Fifth, the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positiv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are the leading personality and start-up enthusiasm. Start-up education and leading personality determine start-up passion 42%, and the three variables of start-up education, leading personality, and start-up passion determine start-up intention 45%. The comprehensive results show that the initiative personality can predict the participation of entrepreneurial passion better tha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n predict entrepreneurial intention better than the initiative personality. Howev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nitiative personality have a static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passion plays a static medium role in the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pay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se three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