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정부 조직개편의 정치적 과정 분석

        이재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amines decision-making in the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Finding out who was involved in th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process, what choices were reasonable, and whether actors made reasonable decisions during the process were the main goals of this study. Accordingly, I evaluated the political process of central governmental reorganization cases after democratiz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perspectives of rational choice theory and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By utilizing the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Framework (IAD Framework), one of the analysis tools of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and using the asymmetric Nash bargaining solution, one of the bargaining problem solutions of cooperative game theory, th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Negotiation Game Model (GRNG model)" was presented. Applying this model, the political process of central governmental reorganization cases is analyzed. Studie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took various perspectives. Many scholars in the field have paid attention to the perception and motivation of political actors in the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some se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taking place in response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Other scholars argue that government organizations carry out reorganizations that reflect social and institutional pressures to secure legitimacy. Active research also has been conducted on domestic cases wher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is carried out whenever a new government is established. However, many studies simply describe or compare cases. A dimension of political confrontations, conflicts, negotiations, and compromises among actors in the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are relatively neglected. To fill this gap, this study presented the GRNG model which modeled the negoti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with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as major actors. Then, I compared and analyzed historical cases applying the model. Cases of large-scal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by the administration of Kim Young-sam, Kim Dae Jung, Lee Myung Bak, and Park Geun Hy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such as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media report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model,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choose either “negotiated” or “one-sided” type as "reasonable" actors. In addition, each actor's decisions vary depending on how much the ruling party reflects the president (president-elect)'s will when negotiating with the opposition party.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and the ruling party will prefer the latter because the expected utility is greater in the “one-sided” type than the “negotiated” type. The opposition party will prefer the former because the expected utility is greater than the “one-sided” type in the “negotiated” type. Meanwhile, if the ruling party fully reflects the will of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in negotiations with the opposition party, the utility of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is the same as in the equilibrium, the utility of the ruling party increases, and the utility of the opposition party decreases. On the other hand, if the ruling party completely excludes the will of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and proceeds with the negotiations with the opposition party, the utility of the ruling party is the same as in the equilibrium, the utility of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increases and the utility of the opposition decreases. This means that from the opposition party's point of view, the utility can be increased when the ruling party insists on a properly coordinated reorganization rather than fully asserting the will of either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or the ruling party. Moreover, it may be a reasonable choice for the president (president-elect) and the ruling party to follow the other's will rather than fully reflect their will in negotiations with the opposition party. Second, in the selected cases, 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as a governmental reorganization negotiation game under given conditions such as “biophysical conditions,” “attributes of community,” and “rules-in-use.” In the case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ruling party to choose the “negotiated” type, fully reflecting the president's will, and in fact, the ruling party revise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hrough negotiations with the opposition party. In all the cases of the administrations of Kim Dae Jung, Lee Myung Bak, and Park Geun Hye, the ruling party found and practiced a way to maximize its utility under the “negotiated” type. I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e cases presents that the actors in th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process tried to make rational decisions and actually did.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I highlighted political decision-making in the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which governmental reorganization studies in South Korea have not dealt with. Second, I used the IAD Framework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se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Third, I attempted to introduce a game theory’s theoretical model for the analysis of the governmental reorganization processes. Next,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ame model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and other similar institutional transformations. The model will help stakeholders to establish strategies for maximizing their utility throughout the process. Second, the GRNG model can be used to explain not only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but also to the interaction among various actor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GRNG model has an inherent limitation as a game model. As game models are the simplified representations of interactions in the real world, the expectations derived from the models are inevitably slightly different from the real-life experiences. Seco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quality of data as I relied on secondary data to analyze the selected cases. Third, due to the inability to measure the absolute size of the interaction factors among actors in the process of governmental reorganization,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limited.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future studies focus on elaborating the game model more and investigating how to objectively and reasonably derive the pay-offs of the game. Furthermore,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its usage can be enhanced by a more thorough examination of a single case and generalization could be explored by applying the game model to multiple cases. 본 연구는 정부조직개편 과정의 ‘합리적’의사결정을 살펴본다. 즉, 실제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의 답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민주화 이후 역대 정부의 중앙정부조직 전면개편 사례들의 정치적 과정을 합리적 선택이론 및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비교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의 분석 도구 중 하나인 제도분석틀(IAD Framework)과 협조적 게임이론의 협상 문제 해결법 중 하나인 비대칭적 내쉬협상해를 활용한 ‘조직개편 협상 게임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석과 설명을 꾀하였다. 정부조직개편과 관련된 연구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이뤄져 왔다.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정치적 행위자의 인식과 동기에 주목하거나 외부 환경 변화에 반응하여 정부조직개편이 일어난다고 보거나 정부조직이 정당성 확보를 위해 사회․제도적 압력을 반영한 개편을 실행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정부조직개편이 실시되는 국내 사례에 대해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뤄져 왔다. 다만 사례에 대해 단순히 기술(description)하거나 비교하는 연구가 다수이다. 그리고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행위자 간 정치적 대립과 갈등, 협상과 타협에 주목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연구 질문을 해결하고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통령(당선인), 여당, 야당을 주요 행위자로 하여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나타나는 협상과 의사결정 과정을 모형화한 ‘조직개편 협상 게임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김영삼, 김대중,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정부조직 전면개편 사례들을 선정하였고 사례의 특성 및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국회회의록, 언론보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에 따르면 ‘합리적’인 행위자의 의사결정은 대통령(당선인)인지, 여당인지, 야당인지에 따라 일방형과 교섭형의 선택이 나뉘고 여야 협상 시 대통령(당선인)의 의사를 얼마나 반영하느냐에 따라서도 나뉜다. 대통령(당선인)과 여당은 교섭형보다 일방형일 때 예상되는 효용이 크므로 후자를 선호할 것이고 야당은 교섭형일 때 일방형보다 예상되는 효용이 크므로 전자를 선호할 것이다. 한편 야당과의 협상에서 여당이 대통령(당선인)의 의사를 전적으로 반영한다면 대통령(당선인)의 효용은 균형에서와 동일하고 여당의 효용은 증가하며 야당의 효용은 감소한다. 그리고 여당이 대통령(당선인)의 의사를 완전히 배제하고 야당과의 협상을 진행한다면 여당의 효용은 균형에서와 동일한 반면에 대통령(당선인)의 효용은 증가하고 야당의 효용은 감소한다. 이는 야당의 입장에서 여당측이 대통령(당선인), 여당 중 어느 한쪽의 의사를 전적으로 주장하기보다 적절히 조율된 개편안을 주장할 때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통령(당선인)과 여당은 야당과의 협상에서 각각 자신의 의사를 완전히 반영하기보다 상대방의 의사에 따르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둘째, 실제 사례에서 행위자들은 생태물리적 조건, 공동체의 속성, 규칙이라는 주어진 조건 하에서 조직개편 협상 게임이라는 상호작용을 한다. 김영삼 정부의 사례에서 대통령의 의사를 전적으로 반영하며 교섭형을 선택하는 것이 여당에게 합리적인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여당은 야당과의 협상을 통해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김대중,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사례 모두에서 여당은 교섭형 하에서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실천했다. 결론적으로 실제 사례에 관한 분석의 결과, 정부조직개편 과정의 행위자는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노력했고 실제로 그러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국내의 정부조직개편 연구들이 다루지 않았던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의 정치적 의사결정을 조명하였다. 둘째, 제도분석틀을 활용하여 정부조직개편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정부조직개편 과정의 분석에 게임 모형의 도입을 시도하였다. 또한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게임 모형은 정부조직개편 및 이와 유사한 어떠한 제도의 변동 과정에 활용됨으로써 관련 행위자의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조직개편 협상 게임 모형’은 대통령과 국회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위자 간의 상호작용에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개편 협상 게임 모형’은 현실을 매우 단순화하였기에 이를 활용한 분석이 실제와 일정 수준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는 게임 모형의 본질적 한계를 가진다. 둘째, 과거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2차 자료에 의존하였다는 분석 자료의 한계가 존재한다. 셋째,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행위자 간 상호작용 요소들의 절대적 크기를 측정하지 못함으로 인해 분석 결과의 타당성에 일부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게임 모형을 정교화하고 게임의 보수를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도출할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단일 사례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게임 모형 활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증진하고 다수 사례에 대한 적용을 통해 일반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 조직구성원들의 조직개편 결과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한국전기안전공사를 중심으로

        박중윤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조직개편 결과 성공여부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전기안전공사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이 지난 2012년 1월 1일부로 단행된 조직개편 결과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성공 또는 실패), 이를 인식함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전기안전공사 종사자(n=211)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업무만족, 보상만족, 인사승진만족, 상관만족, 동료만족, 복잡성, 공식화, 분권화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조직개편 결과인식은 구성원들이 성공여부를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반영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인 설문지는 독립변수 8개와 종속변수 1개, 그리고 인구학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변수별 설문문항은 독립변수는 각 5개 항목으로, 종속변수는 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은 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변수별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의 문항에 대한 신뢰도 계수는 α=.700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설문지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20.0이며, 통계처리 기법은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이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설정하고, 연구목적을 도출하기 위하여 조직개편 결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독립변수)로 가설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직개편 후 상관만족이 제고된 것은 조직개편 성공여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조직개편 결과 상관들의 직무 전문성, 역량, 리더십이 제고되었다면 이는 조직개편의 결과가 성공적이었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개편 후 조직구조의 공식화가 개선된 것은 조직개편 성공여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직개편 결과 규정이나 매뉴얼의 체계적 정비와 업무절차 명확화를 통해 공식화가 강화되었다면 이는 조직 개편의 결과가 성공적이었다는 것이다. 셋째, 조직개편 후 조직구조의 분권화가 개선된 것은 조직개편 성공여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직개편 결과 권한위임이라든지 업무자율성 확대, 의사결정 참여 확대 등을 통해 분권화가 더욱 촉진되었다면 이는 조직개편의 결과가 성공적이었다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조직구성원들은 상관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높아지고, 조직구조의 공식화와 분권화가 제고된 것을 조직개편 결과 성공 여부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는 가설에서 기각된 요인들(업무만족, 보상만족, 동료만족)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국전기안전공사 경영자나 관리자는 향후 조직개편 과정에서 업무만족, 보상만족 및 동료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ware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abou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ir organization by setting up a research model and verifying it.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how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perceived the results of reorganization carried out on January 1, 2012, and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of decisive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percep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1 employees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on which a survey was conducted. The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were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personnel administration/promotion, satisfaction with supervisors,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complexity, formulation and decentralization. Their awareness of the results of the reorganization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whether they considered the reorganization to be successful or not was analyzed. After hypotheses were formulated by using the influential factors(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ir awareness of the results of the reorganiz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upervisors after the reorganization was conducted, and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awaren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organization.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reorganization is successful if the professionalism, capabilities and leadership of supervisors are taken to another level after reorganization takes place. Second,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formulation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fter the reorganization was conducted, and it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waren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organization.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reorganization is successful if formulation is more strengthened through the systemized arrangement of regulations or manuals and the clarification of business process. Third,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decentralization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fter the reorganization was conducted, and it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waren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organization.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reorganization is successful if decentralization is stepped up by empowerment, by boosting job autonomy or by allowing more employees to be involved in decision making.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regarded better satisfaction with supervisors, improved formulation and improved decentralization as the factors to affect their awaren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hypotheses were rejected, and it's required to have an additional discussion on the factors of the rejected hypotheses(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and how to deal with these factors. The management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should discreetly consider how to improve job satisfaction, reward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in the course of reorganization.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SF)을 통한 정부조직개편 연구 :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권오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의 정부조직개편은 그 자체로써 정책이자 정책변동으로 기능한다. 정부의 영향력이 크고, 정부조직개편이 정치적 목적에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부조직을 정책 그 자체로써 이해하고, 그 변화를 정책변동으로 접근하여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제기한다. 첫째, 한국 정부조직개편의 특성과 정책변동적 의미, 시사점은 무엇인가? 둘째, 정보통신부 개편에 있어 문제-대안-정치흐름 및 정책선도자의 역할과 영향력은 어떠했는가? 셋째, 정부조직개편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변동 연구가 기존의 정책변동 연구에 대해 갖는 특징과 의의는 무엇인가?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라는 정부조직개편 사례를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에 적용했다.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를 각각의 연구대상으로 하여 해당 시기에 독자적으로 활동한 정책문제 흐름, 정책대안 흐름, 정치 흐름의 내용과 역할을 분석했다. 또한 세 흐름을 결합하여 정책의 창을 열고 정책변동에 기여한 정책선도자의 활동을 규명했다.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는 그 자체가 정책변동으로서 국가경쟁력과 해당 분야에 절대적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국가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부조직개편이 비민주성과 폐쇄성, 비합리성과 우연성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정책결정자 그룹에서 비밀리에 이뤄지고, 단기간에 추진됐으며 이전 정권과의 차별성 추구나 정치적 곤란을 벗어나기 위한 비합리적 이유로 시행됐다. 다양하고 활발한 정책공동체와 이에 열려있는 내용적 민주주의 확보가 필요하다. 정보통신부의 출범과 폐지시기 모두 다중흐름모형이 상정하고 있는 문제-대안-정치 흐름이 고유한 활동을 이어 온 것으로 확인됐다. 출범 10년 전부터 정보통신부의 필요성이 제기됐으며, 당시 제기된 정책대안들이 정보통신부 폐지 시기까지도 활동했다. 세 흐름이 합리모형이 설명하는 인과적, 시간적 순서가 아닌 독자적인 활동을 함으로써 Kingdon 이론의 적실성도 확인했다. 정보통신부 개편에 있어 세 흐름의 결합에는 두 시기 모두 정치 흐름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문제와 대안 흐름이 장기간에 걸쳐, 활동했음에도 정책변동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권교체 등 정치흐름이 강력하게 형성될 때 정책의 창이 열려 조직개편이 일어났다. 정치흐름은 정책의 창을 열리게도 하지만, 닫히게도 했다. 정보통신부 출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개편안이 공직사회의 반발 등 정치흐름 변화에 따라 연기된 것이 이를 보여준다. 정책의 창을 열고, 정책변동을 도출하는데 있어 정책선도자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정책선도자는 장기간에 걸쳐 정책대안을 관철하기 위해 자신의 자원을 동원했고, 새로운 자원을 획득하는 적극적 모습까지 보였다. 무엇보다 대통령 중심제의 특성상 정책선도자로서 대통령의 절대적 위상이 확인됐다. 정부조직개편을 정책변동 이론으로 규명할 때 기존 연구와 차이점이 발견됐다. 정부조직개편은 복수의 부처가 연관된 것으로 정치적 주목도가 높은 부처 개편으로 기회의 창이 파급효과의 창으로 기능함으로써 특정 부처의 개편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정보통신부의 출범이 이를 증명한다. 또한 정부조직개편은 기존의 정책변동 이론 틀을 넘어 복합적으로 설명해야하는 사례로 파악되어 정책변동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 가능성이 발견됐다. 정부조직을 정책으로, 정부조직개편을 정책변동으로 접근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의 새로운 시도라는 시사점을 준다. 이는 정부조직개편 연구와 정책변동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과제를 주고 있다. In Korea, the re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is a policy or a policy change itself, because the government is very influential, while it is frequently reorganized for a political purpose. Henc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s a policy itself and thereby, approach its change as a policy change and examine it.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raised three research points. First, what had been be the characteristics, policy-chang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Korea? Second, what had been problem-alternative-political stream and policy leaders' roles and influences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what had been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es into the policy changes focusing on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policy change studies? In order to find answers for the above research points, this study applied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MSF) to the case of government reorganization or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n, contents and roles of policy problem streams, policy alternative streams and political streams each at the time of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three streams were combined to examine policy leaders' activities opening the windows of policy and conducing to the policy changes.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re policy changes themselves, affecting nation's competitiveness and relevant sectors enormously.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affecting nation's development greatly had been characterized by undemocratic, exclusive and accidental attributes. It had been decided by an inner circle policy makers, had been per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had been executed for such unreasonable reasons as differentiation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or resolution of a political deadlock. Hence, it was deemed essential to operate a diversified and active policy community and ensure an democratic policy mak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alternative-political stream assumed by the MSF each at the time of organization and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d been unique. A decade before, the need for the Ministry had been affirmed, and the policy alternatives suggested at that time had been effective even at the time of its abolition. Since the activities were independent from or not according to the casual and temporal sequences defined by the rational model, Kingdon's theory was confirmed proper. For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streams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political streams played a decisive role both at two times. Despite the problem and alterative streams had been active for a long period, no policy change had occurred. However, when such a political stream as government change was formed firmly, the window for policy was opened for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The political stream acted to open the window for policy but to close it, which could well be proven by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draft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d been delayed due to such political streams as resistance from the civil service society. Policy leaders' roles were outstanding in opening the window for policy and inducing a policy change. In order to have their policy alternatives accomplished, they had been active enough for a long time to mobilize their own resources and acquire new ones. Above all, due to the strong Presidential system, President's absolute status as a policy leader was confirmed. When examining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view of policy change theory, some differences from the preceding studies were found. A government reorganization involved multiple Ministries, and therefore, when a politically sensitive Ministry was reorganized, the window for opportunity would function as a window for spreading effects to have other Ministries reorganized. Such spreading effects were well proven by the case of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had to be reviewed from complex perspectives beyond the conventional policy change theories, and thus, a possibility for a new chapter of the policy change studies was found. This study that approached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as policy change, regard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s policy, may well be a new attempt for policy study, and suggests a challenge for expansion of the research into government reorganization and policy change.

      • 행정조직개편에 의한 동사무소의 건축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창원 지역의 동사무소를 중심으로

        전영환 경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Desire is expressed variously people's culture by elevation of fixing of local self-government age and realization of democratization and national income, cloth enemy, it is increasing trend explosively, confrontation about desire is feeble and formal extremely area people's culture cloth enemy because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which must accommodate actively desire the other side these culture of inhabitants, cloth enemy is urgent to achieve business of far more upper echelons and connection institution than itself definite decision business. Can not be absolute standard about if is going to plan scale or structure of equipment of self-government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how by some measure. As all sorts circumstance according to area is different, as standard manual can not be published and population scale of area, inhabitants special quality, culture and distribution of cloth space, repletion relation with equipment, existence pattern of self-government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current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situation may change. Effort that built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embodies Integrity as place for inhabitants it new issue and function and problem were revealed at the sun that execute phenomenon design and quality of building was risen gradually at the process recently that is flowing speedily established truth be. Result such as that this research diagnoses about reference and investigation of data, fieldwork, program for self-government anger through question and so on, space composition etc. as research about construction space plan of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b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organization of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is as following.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is first, administration support zero must need space security between Minwongong basically to do party's offer efficient and efficient business achievement and Minwonin's utilization to space for same employee's business and secure attachment space of reference library for administration business support and to be Sohoeui, workroom etc. Second, service support zero is administering program of and so on that is child's house, Noinjeong, main floating bridge in space structure to various age group which use town-block office and must establish standard of space practical use program that detail to these. Third, need business space ratio increase through space reconfiguration or enlargement of a building because enough area security that business space of present town-block office corresponds in integration town-block office' increased employee's number is impossible. popular center is first, administration support zero must do space security for minimum administration business achievement for Minwonin's the administration business achievement convenience. Second, service support zero must reduce ratio of administration business space that is established excessively and consider inhabitants' opinion and special quality of area and set practical use program of correct service support space in same real condition. Third, it must become access of active concept as community center fielder which achieve Gusimche role of area culture cloth that space that is been attached to to administration business space of existing town-block office because approaching to concept that space for citizen autonomy utensil that is composed in the popular center is different fundamentally with existent town-block office is not and space for administration business achievement must become incidental space. The most important point can say first of all that is space set through lively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inhabitants in architectural space practical use plan of town-block office b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organization. Image of town-block office which change forward may change to culture welfare facilities of local resident by not only business space that take charge administration business to now but service space for local resident and take charge local community culture Gusimjeom's role. Big merchant popular center fielder of this research can speak that utilize to space for inhabitants forward and is high do the Iyongga. In reply operation stay space of do that for practical use of service space that can offer to inhabitants efficiently through program etc.. more than diversified access may be possible, and in reply is considered that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 한국 중앙부처 재조직화의 정합성에 관한 연구 : 정권별 과(課) 단위 변화를 중심으로

        이윤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South Korea’s government performs government reorganization due to the change of the president every 5 years. Although the departments’ reorganizations occur very often, there is not much known about the changes occur in intra-organizational structure.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supplement this fact. The research’s ultimate purpose is deciding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which occurs regularly as the government changes, is fitting to the purpose of reorganization rather than just simple integration. The discovery of government reorganization from the Young-sam Kim administration to the Myung-Bak Lee administration, is following example. First,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sets the goal of the elimination of sectionalism, the unity among ministries’ functions, and the efficiency of operating organization. However, through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process, there have been similar occurrences of simple integrations in most cases. Before reorganization, there have been rare occurrences of exchanges among office-bureau and divisions belong to different ministries. This means the only effect that can be discovered is elimination of the repeated support organization. Therefore, I can discover the lack of the Institutional Congruence through the disagreement of the suggested goal and intra-organizational structure. Second, there have been occurrence of unification on office-bureau level and convergence on divisional level in related field (ex. IT Technology+ Industry), similar industry(ex. Agriculture + seafood) and same policy field(ex. the Ocean). It means in future, there should be analysis of total possibilities of the function of ministries prior to implication of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Third, time does not have a big meaning in frequent government reorganization. The bureaucrats know the possibilities of the unification, division, and transfer of ministry organization that occur every 5 years, they maintain the exclusive domain centered by core function of the ministry. Therefore, even time goes as the unification status, they refuse to unify and exchange with other function. Through the descriptive analysis so far, we can suggest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evaluation of analysis of office-bureau level and division level can be varied due to government reform or government reorganization. I might miss the side effect of simple integration among ministries if I evaluate the government reform and government reorganization through the whole size of organization and the rated capacity. If there is not an exchange among ministries and functions, then government reorganization is just a symbolic meaning contains side effect. Second, in Korean government reorganization, most people have experienced the occurrence of simple integration. This part means the purpose and reality of the government reorganization is short of containing institutional Congruence. Therefore, in case of need, there should be the partial functional adjustment among the ministries. Big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should require careful analysis that contains advantage and disadvantage, and impetuous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might cost in a big way for both bureaucrats and the whole nation. Status quo might be the one of distracter. 한국 행정환경의 결정 요인 중에는 헌법규정인 ‘대통령 단임제’에 근거해 5년 주기로 부처급단위의 재조직화가 이루어지지만 조직의 내부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최근 각 정권이 바뀔 때마다 관례화되고 있는 중앙 행정기구의 재조직화가 기계적 재배치 수준을 넘어 개편 목적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빈번한 조직개편 과정에서 부처급 조직 내부 변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했기 때문에 다수 정부에 걸쳐 탐색적․묘사적 분석을 주된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재조직화(통합과 분리)과정에서 명칭 변경을 겪은 중앙부처 수준의 행정기구를 분석대상으로, 분석수준은 부처급 중앙행정기구의 내부조직을 구성하는 실국(室局) 및 과(課) 단위까지로 설정하였다. 분석 시기 선정은 김영삼 정부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분석시기로 하였다. 또한, 분석에 있어 ‘재조직화 직전(T0), 재조직화 시점(T1), 재조직화가 일어난 정부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T2), 재조직화가 일어난 다음 정부 시기(T3~T4)’의 시간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과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 부처급 행정기구의 재조직화 시행 전 ‘부처할거주의 축소’, 부처 간 기능 융합, 조직운영의 효율성과 같은 개편 목적을 공식적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실국 및 과 수준까지 포함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개편 목적과 조직 내부구조의 변화 간 정합성은 대단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사례에서 실국 수준의 통합이나 과 수준의 융합과 같은 부처 통합에 따른 교류는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조직 개편 측면에서 부처의 중복지원 조직(기획조정실, 감사관, 정책보좌관 및 관련 담당관) 축소․폐지 이외에는 조직 통합이나 분리에 따른 순수효과가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둘째, 재조직화 유형에 따라 내부 구조 변화에서 약간 다른 모습이 발견된다. 유사기능 중심의 ‘흡수통합’에서 다른 통합 유형에 비해 실국 수준의 통합 및 과 수준의 융합이 일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향후 정부조직 개편에 있어 기능 유형분류를 통해 결합가능성(기능, 조직문화 등)에 대한 사전 분석 및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재조직화 과정에서 시간은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0~T4까지 설정 후 정권이 바뀐 후 조직 내부 변화를 분석하였다. 2개의 정권(10년)에 걸쳐 하나의 행정기구로 있더라도 내부 실국 및 과 수준의 교류는 점증이 아닌 일정한 방향성이 없는 불규칙적 변화를 보였다. 이는 관료사회에서 통합 기간에 따라 하나로 인식하는 기제보다는 5년 단위로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조직 개편이 더 큰 의미로 다가 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권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영삼 정부의 조직 개편은 시기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김영삼 정부를 종합하면 1차 개편은 기계적 결합을 통한 상징적 의미의 축소, 2차 개편은 표면상 축소 지향적 재조직화가 이루어지지만 내부적으로는 고위직 축소 최소화 및 정보통신부의 과 수준의 융합, 4차 개편은 신설 부처의 종합정책 담당 조직 구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김대중 정부는 1차 개편의 외교통상부를 제외하고는 효율성과 거리가 먼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재정경제원 분리의 경우 오히려 조직 규모가 일부 증가하며 재조직화 설계의 부작용으로 1년이라는 단기간에 분리된 행정기구(예산청, 기획예산위원회)의 통합이 이루어진다. 내무부와 총무부의 통합은 성격이 다른 이질적 기능의 기계적 통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화체육부의 공보처(언론매체)기능의 흡수통합은 ‘공보처→공보실’ 축소의 결과물로 평가할 수 있어 효율성과 합리성에 근거한 통합으로 보기 힘들다. 2차 개편에서도 중앙인사위원회와 행정자치부 인사국의 공존, 국정홍보처 신설 과정에서 기존 ‘공보처→공보실’축소효과의 반감 등 조직의 효율성 추구와는 거리가 멀다. 3차 개편에서 여성부 신설은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대통령령)’ 제 15조(국과 부의 설치)에 어긋나는 정치적 목적의 결과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명박 정부는 ‘유능하고 작은 정부, 국민을 섬기는 실용정부’를 조직 개편 목표로 제시하고 대부처주의와 대국체제를 적용한 것이 큰 특징이다. 재조직화 유형으로 흡수통합과 복합통합이 다수 나타나고 있다. 유사 및 중복 기능에 대한 검토 결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과수준의 융합이 전 정권들보다 많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대국체제 운영을 위해 국장급 ‘관’을 다수 설치하여 활용한다. 유사 및 중복기능 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국장급 ‘관’ 설치를 통해 고위직 축소의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 연구를 통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국 및 과 수준의 분석을 통해 기존 정부개혁 또는 재조직화의 평가를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다. 전체 조직 및 정원 규모가 축소되더라도 통합된 부처 조직 다수가 기계적 결합에 머물러 있다면 정부 개편은 부작용을 동반한 상징적 의미에 불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부처 수준의 통합은 실국 및 과 수준에서 기계적 통합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했다. 이 부분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 효과성 추구가 진정한 목적이라면 Top-Down식 부처 통합이 아닌 부처 간 ‘① 과 수준→② 실국 수준→③ 부처수준’의 Bottom–Up 방식의 기능조정에 대해서도 우선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 강화를 위한 지방행정조직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최기홍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자치제도 실시 이후 한국의 지방행정은 참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권위적이고 폐쇄적인 중앙집권적 행정에서 분권화․개방화된 주민자치 행정으로 점차 변화되었으며, 또한 행정의 변화 못지 않게 지역주민의 자치의식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지방자치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지방행정기관의 조직을 확보하기 위한 실천방안의 탐색이다. 과거의 행정조직으로는 급변하는 행정수요에 대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지역주민을 위한 능동적인 행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지방자치단체 중 광역자치단체의 조직개편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민선자치제 이후로 정하고 특히 민선 3기(2002. 7. 1~2006. 6. 30)와 민선 4기(2006. 7. 1~2010. 6. 30)의 조직개편 방향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이론적 검토를 기초로 하여 민선 자치제도 이후 이루어진 경기도 조직개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 및 조직담당부서 실무자와의 현실감 있는 면담도 병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지향해야 할 조직개편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자치조직권을 통한 자율적 조직개편이다. 지역적 특성에 알맞은 지방행정구조가 마련되고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보장될 때만이 지방행정이 그 본래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행정환경에 탄력적이고 문제지향형 조직개편이 되어야 한다. 급변하는 행정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행정조직이 구조적으로 적응적․기동적․유기적이어야 하며 보다 고차원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구비하여야 한다. 셋째, 학습조직의 조기 구축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관련 부문간 경쟁이 보다 폭넓게 이루어지게 되어 효율적인 시스템에 의한 학습능력 배양이 필요하게 되었다. 넷째, 사전예방적 위기관리조직의 확대․신설이다. 그 동안 주로 재해관련 부서에서 설치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거의 모든 지방행정조직에서 사전예방적 조직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독립사업소 조직의 기능강화 추진이다. 실천방안으로 인력운영의 합리화, 업무의 명확한 구분 및 대폭적인 권한의 위임, 사업소장에 대한 독립성의 보장, 책임경영제도의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주요 정책결정 직위의 전문직 임용이다. 주요 정책결정 직위에 대한 개방형 임용 제도를 통하여 한시적으로 자치단체장과 보조를 맞출 수 있는 전문직 임용이 필요하다. 일곱째,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조직개편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행정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체계의 개편이 추진되어야 한다. 여덟째, 고객 지향적 조직개편이다.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개편은 수요자 중심의 체제로 지방행정조직을 개편하는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어야 한다. 아홉째, 대국대과제 조직개편방안이다. 행정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개편방식으로써 불필요한 인원 및 절차를 감소시켜 행정업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열째, 정보화 담당부서의 기능보강이다. 일반 업무 담당자가 효율적 업무처리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전산시스템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열한째, 혁신적 팀제도의 도입이다. 팀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직원의 전문화, 권한의 대폭적 위임, 지위와 직급의 분리 운영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 결국, 성공적인 조직개편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 주민의 정치적 공감대 속에서 중․장기적 목표를 설정하고, 자치조직권에 기초한 투명하고 적극적인 조직개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작은 정부를 내세운 이명박 정부 초기라는 현실적 제한과 경기도 조직운영실태 중심의 내재적 한계 하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경기도지방공무원의 인식조사를 통해 대안을 도출한 것이므로 타 지방자치단체의 현실과 일부 다를 수 있다. 아무쪼록 본 연구의 부족한 점과 문제점에 대하여는 겸허하게 비판을 수용하며, 유사 논제에 대한 후학의 심도 있는 연구를 기대해 본다.

      • 정부 기능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 이명박 정부의 정부조직개편을 중심으로

        이명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정부조직개편은 정부조직의 구조를 재편하고, 정부조직의 기능을 재구성한다. 정부조직개편은 그 의도가 기능에서 비롯되었던 그렇지 않던, 결과적으로 정부 기능의 연결구조를 변경시킨다. 이 연구는 정부의 조직과 기능의 연결과 배분을 살펴보고, 조직과 기능의 연결이 정부조직개편을 전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 변화는 의도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정부의 기능을 조직에 소속된 하나의 요소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기능은 기능수행의 단위에 따라서 위계적으로 범위와 역할이 구성되는 하나의 체계(system)이기 때문에, 조직의 통합과 분화과정 안에서 별도의 통합과 분화, 연계와 분리의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능 변화의 과정을 조직의 변화과정과 분리하여, 기능 간의 연결구조를 확인하였다. 기능의 변화를 계층 상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능의 기본 단위 자체가 변화하는 통합과 분화 예를 들면,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통합하여 ‘과학’ 기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 계층의 수평 상에서 기본단위가 유지된 채 상호작용만을 형성하는 연계와 분리 과정 예를 들면,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연계시키는 경우, 기능수행업무가 함께 이루어지지만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이라는 기본 단위는 그대로 유지된다. 으로 구분하고, 이명박 정부의 정부조직개편을 통해 나타난 정부 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정부의 기능을 주로 개체주의적으로 다루어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기능이 개체적으로 가지는 자원의 확보나 규모 이외에도, 다른 어떤 기능과 연결되어있는가 혹은 전체의 기능 연결구조 안에서의 어떤 연결과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가라는 구조적인 요소가 기능의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정부조직의 구성을 통한 기능 배분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이 구조가 정부의 조직개편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부 기능은 정부조직이 가지는 현실지향적인 활동지표이자 고유의 역할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기능분류보다 실제로 정부조직에서 업무에 반영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능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정부조직과 기능의 연계를 네트워크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이명박 정부의 기본적인 기능 수행단위와 기능체계는 노무현 정부와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2008년 조직개편에서 나타난 기능의 변화에서 통합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기능의 연계라는 차원에서는 개편을 통해 여러 기능들이 연계성을 강화하였다. 노무현 정부의 경우, 정부 기능은 국가관리 기능군, 경제관련 기능군으로 기능 결속집단이 나뉘어있었고, 국가관리 기능군 안에서도 사회복지, 사회안전 등의 하위 기능군, 경제관련 기능 안에서도 사회 인프라와 산업 등 하위 기능군으로 연계가 이루어져있었다. 연계의 수 자체는 적지만 기능 중심의 연계였고, 기능별로 연계가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고 보여진다. 이명박 정부의 경우 연계의 수 자체는 개편 이전보다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계를 복합적으로 확장하였기 때문에 구조적 가능성을 열어두었다고 볼 수 있다. 구조적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은 가용할 자원과 기능이 많다는 의미이므로 기능의 특성에 맞게 잘 활용한다면 집행 여하에 따라서는 높은 성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다만 이명박 정부에서는 연결구조에서 배제된 고립 기능 또한 이전 정부보다 다소 증가하여, 일부 기능들이 확장된 가능성을 독점하였으며 연계의 분포가 기능별로 불평등하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기능 간의 보유연계가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중간수준의 연계를 보유한 기능들이 다수를 형성하고 있었다면, 이명박 정부에서는 양극화가 다소 강화된 기능 구조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능의 특성과 관련하여서는,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모두 환경, 노동 등 경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나 정치적으로는 갈등관계에 있는 기능들을 네트워크에서 배제시켜, 이들 두 기능이 고립 노드로 유지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조직구성과 조직개편이 기능의 특성을 고려한 기능중심의 연결을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기능의 위계와 변화과정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기능의 연결구조와 변화를 실증적으로 가시화하여 보여주었다. 특히 SNA를 정부조직과 기능에 적용하여 정부조직개편의 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공헌을 하고 있다. 정부조직개편을 기능 중심으로 분석하고,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조직개편과 기능의 연결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능 중심의 개편에서 필요한 분석방법과 정책대안을 제공하고 있다.

      • 政府組織改編에 따른 公務員 士氣에 관한 硏究

        박병태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blic servants society in Korea has experienced much change since the ruling of the People's government. At the beginning of taking over the power, the government faced with economic crisis and restructuring took place in not only private sectors but also in public sectors. In conformity with the global trend of pursuing a small government, the government restructured the organization, adjusted its function and reduced the manpower. The purpose of restructuring government organization can be found largely in the achievement of political effectiveness and in the solution of administrative problems. The former is to lead political change and the latter is to cure the administrative problems. Although the People's government's 1st and 2nd restructuring of government organization was to have political effectiveness and to cure administrative problems, the reform couldn't be executed steadily, and consequently these aims couldn't get sympathy and support from the public servants who are the actual people who are responsible to perform the administrative reform exposing only the problems of having ineffectiveness.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what influenced to the public servants morale after the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and also what should be supplemented to enhance their morale.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details of restructur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especially, I reviewed what change took place in the personnel management in relation with the morale. To know the change of morale of the public servants influenced by the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actual proof research was performed and tried to find out the way how to change and enhance their morale. The analysing factor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eneral matters in relation with morale, economic factor,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 factors, and personnel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ctual proof research, the motives of joining as a public servant were ; the job is guaranteed, job is socially recognized by the people and they pointed out that the main factor of morale as wage after the employment. Regarding the restructuring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ey reacted negatively on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change of work volume and the fairness of restructuring. This fact reflected the unfair dismissing, delayed promotion, wage (freezing wage increase, incentives) etc. In the meantime, they pointed out the realistic wage, transparent promotion and job transfer, senior's democratic leadership as the way of enhancing the morale. In relation with the economic fact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wage is very low and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incentive system, they reacted that it will help enhancing their morale and it will settle down at early stage if the reasonable standard is being set forth. At the same time, they request the adequate level of wage by setting realistic level of basic wage. With regard to the social factor, in most points such as guaranteeing the job, reliable relationship among superiors and inferiors, and colleagues, participating degree in the decision making of plans and their discretion, enhancing the stable feeling, they felt uneasy in job keeping, lack of reliable personal relationship, lack of recognition of personal ability, achievement evaluation, participation and poor discretion and they expected their pride and agreeable job condition. In relation with the personnel management, they reacted negatively on the early retirement of public servants, open employment system and potentiality of promotion. They took the respecting tradition of employee's working number of years, scholastic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of which province or hometown they are from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o the promotion and job transfer. They consider the way of enhancing the morale can be found from the adequate wage level and fairness of promotion. In the meantime, the factors of enhancing the morale of public servants requested by them are expansion of scope of economic consideration, improvement of poor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of unfair personnel management, strategic consideration on guaranteeing the job, enforcing public servants basic right of working etc. In result, enhancing the morale of public servants has the meaning of inducing the able manpower to devote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the improving plan reflected with public servants opinion should be arranged. And it is judged that now is the right time to prepare the new alternative plan in relation with expanding basic laborers right as they will pay more and more attention on it in proportion to the progress of democra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