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인분석과 구조적 모형에 기초한 헬기조종교육생 비행훈련성과와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박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3455

        본 논문은 먼저 헬기조종사 양성교육을 받는 조종교육생들이 비행훈련을 실시함에 있어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비행훈련성과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동시에 모든 군 교육이 전쟁에서의 승리를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어 이를 위한 조종교육생들의 충성과 헌신 또한 절실히 요구됨에 따라 과연 어떠한 교육훈련 특성이 군에 대한 조직몰입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헬기조종사 양성교육 비행훈련성과 영향요인 분석’과 ‘헬기조종교육생 조직몰입 영향요인 분석’이라는 2개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연구를 위해 개인의 인지적 및 비인지적 특성과 교육만족, 교관신뢰, 조직몰입 설문결과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된 영향요인을 도출 및 정의하였고, 이에 대한 기초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구조적 모형을 추정하였다. 비행훈련성과와 조직몰입 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최초 표본은 육군항공학교 헬기조종사 양성 교육과정을 수료한 조종교육생 300여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불충분한 설문응답을 제외한 최종 28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첫 번째 주제는 군 교육기관의 특성상 제한된 기간 내 요구되는 조종사 훈련수준 달성을 위해 어떠한 요인들이 비행훈련의 교육성과를 향상시키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교육성과는 교육생 개인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과 일반적으로 조종사에게 요구되는 공간·지각능력 등을 포함한 인지적 능력과 일관된 심리적 경향, 즉 태도, 성격, 인성을 포괄하는 개인의 비인지적 능력은 교육훈련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조종교육생의 어떠한 개인적 특성들이 비행교육을 보다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종교육생의 영어구술능력(언어능력)과 비행적성평가결과(공간·지각능력)를 개인의 인지적 능력 변수로, 개인의 비인지적 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요인점수)을 추출한 결과를 개인의 비인지적 능력 변수로, 비행평가 결과를 비행훈련성과 변수로 설정하여 비행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추정 결과 조종사에게 요구되는 공간·지각능력은 훈련초기부터 전 단계에 걸쳐 훈련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속되는 비행훈련을 통한 점진적인 능력의 향상도 이루어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훈련 간 조종교육생은 심리적 압박을 겪게 되는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계획한 일에 차질이 생기면 다각적인 해결책 강구보다는 단편적 노력을 일관되게 수행하려는 노력의 일관성 특성이 클수록 비행훈련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조종석이라는 폐쇄된 공간 안에서의 교관과 학생 1:1 교육환경과 지속적인 비행훈련의 시행착오가 조종교육생의 심리적 위축과 좌절로 이어질 수 있으며, 비행술 습득에 있어서 단편적 비행이론에 근거한 일관된 노력, 즉 반복적인 시행착오에서 벗어나 바람, 무게, 균형 등 매 훈련 시 마다 다양하게 변화하는 비행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조종술 습득의 다각적인 접근시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두 번째 주제는 교육과정을 통해 조종교육생들에게 조직에 대한 동일시, 충성심, 애착심과 같은 일체감을 형성하는 조직몰입에 궁극적 목적을 두고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조직몰입이 헬기조종사 양성 교육과정 조종교육생도 국가방위라는 군의 목표완수에 기여하기 위해 충성과 절대적 헌신이 요구되며, 육군의 구성원으로서 장차 자신의 직무와 조직에 애정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분석을 위해 헬기조종사 양성교육 조종교육생의 교육훈련 특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확인하는 설문결과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육만족(교육내용·방법, 교육환경)과 교관신뢰 등 주요 요인을 도출하여 변수로 정의하였다. 특히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경로분석과 직·간접 효과분석을 위해 SUR(Seeming Unrelated Regression)모형과 매개모형(Mediation Model)을 활용하여 각 변수 간의 상호 인과관계 분석을 위한 구조적 모형(SEM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추정하고 조종교육생의 조직몰입에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몰입에 있어서 개인의 비인지적 특성 중 자신감(자기효능감), 학습활용성, 자기계발창의성이 높은 조종교육생이 조직몰입 또한 높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한 조종술 습득에 국한된 교관 주도의 교육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장기적인 교육효과 측면에서 교육생 주도의 상황해결식 교육방법 적용과 임무수행 간 경험할 수 있는 많은 도전에 대한 교육생 스스로의 해결책 강구를 통해 조직과의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조종교육생의 교육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특히 교관신뢰와 교육방법/내용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교관신뢰는 헬기조종사 양성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비행기술을 전수하는 비행전문가로서 뿐만 아니라 조종사로서 갖추어야 할 올바른 가치관과 인성 함양을 위한 멘토의 역할도 병행하기 때문에 헬기조종사 양성 교육과정에 있어서 조직몰입이라는 목표달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최대의 헬기(회전익)조종사 양성 교육기관의 교육훈련 결과를 바탕으로 조종교육생의 비행훈련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조종교육생의 개인적 특성 및 학습활동 성향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법 적용을 통해 비행훈련성과 증진과 향후 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헬기조종사 양성 교육체계를 바탕으로 조직몰입에 대한 구조적 모형 추정을 통해 조종교육생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훈련 특성 중 교관의 역할이 교육만족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이러한 연구가 군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국가방위에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

      • 국내 조종사 양성 전문교육기관 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연구

        김욱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439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부속서 1(항공종사자 면허)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과 1983년 제정된 ‘Manual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viation Training Centres(ICAO Doc 9401-AN/921) 그리고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ICAO Doc 9841.)를 근거로 운영되는 항공종사자 양성 교육제도로서 항공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는 항공종사자를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우수한 인력을 항공산업 분야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이다. 우리나라는 1986년에 최초로 한국항공대학교가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을 지정받았고 그 이후 항공운항학과가 설치된 일부 대학교들이 지정받아 전문교육기관 제도를 통해 조종사를 양성해왔다. 2017년 10월에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관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서만 비행훈련이 가능하도록 항공안전법 48조(전문교육기관의 지정 등)가 개정되어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받지 않은 대학교 소속 비행교육원과 사설 비행교육원 전체가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이 일원화된 전문교육기관 제도로 운영됨에 따라 교육 체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교육 및 실기교육에 관련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전문교육기관 제도가 잘 정착된 국가인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와 인접 국가인 일본과 중국과 동남아 국가를 연구 대상에 포함하여 전문교육기관 현황과 국가별 법·규정,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수료 및 취득 조건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 제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해당 분야 종사자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전문교육기관 법·규정 및 운영과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조종사 양성 훈련제도를 전문교육기관에서만 가능하도록 법·규정이 개정됨에 따라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교육생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 따른 훈련을 진행할 수 없어 훈련에 따른 제한사항이 대두되고 있어 이를 해소할 방안이 필요하다. 두 번째, 전문교육기관 운영과 관련된 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와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상호 의사소통을 강화하여 전문교육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불필요한 규제를 확인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상호 노력해야 한다. 세 번째, 과도한 학과교육 시간에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은 자가용 및 사업용 조종사 학과교육 시간이 다른 국가에 비해 많은 교육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에 따른 필요한 학과교육 시간을 분석하여 현행 학과교육 시간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의 비행경험과 관련된 사항으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마다 동승비행시간, 기장 또는 단독비행시간으로 구분되어 실기교육의 융통성을 저해하고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표준 및 권고 사항에서 요구하는 특정 비행경험을 충족하는 경우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을 취득할 수 있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9개 국가의 전문교육기관 제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 및 실기교육 등을 비교‧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is an pilo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of ICAO Annex 1 and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ICAO. Doc 9841). The purpose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ATO) is to supply excellent Airmen to the aviation industry through a relatively systematic training system for airmen who are expected to be insuffici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In Korea, Korea Aerospace University was designated as the firs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to pilots Training in 1986, and universities with Flight operation(Aeronautical Science) departments have been designated by the state since then to pilots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system. In October 2017, Article 48 of the Aviation Safety Act (designated as a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was revised to allow flight training only in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 entire university flight Training center and private flight Training center were designated as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this study, as the pilot training center is operated as a unified Approved Training system, it is relatively specialized in order to deriv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related to the Training system and Aviation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for obtaining pilot certificates. Including countries with well-established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Canada, and Australia, as well as neighboring countries Japan and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current statu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nd pilots i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with the pilot training system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in Korea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for completion and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Airmen in the Aviation industry field to derive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As the laws and regulation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have been revised to allow the pilot training system only a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pilot training center and trainees cannot conduct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i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Mutual efforts shall be made to identify and resolve unnecessary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by strengthening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pilot training centers. Third, as an improvement related to excessive knowledge class hours, Korea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require more knowledge class hours for private and commercial pilot courses than in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knowledge class hours by analyzing the knowledge hours required for aviation knowledge of trainees according to pilot certificates. Fourth, it is related to the flight experience of the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and it is divided into dual flight time, captain, or solo flight time for each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hindering the flexibility of practical training. Amendments are needed to ensure that pilot certificates are obtained from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ions when specific flight experiences are met as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f the flight experience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s satisfied, improvements are needed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from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improvements and suggested solutions for the first tim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nine countries and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