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조명디자인 연구 : 뮤지컬 <비커밍 맘>을 중심으로

        문동민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컴퓨터의 발전은 전반적인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컴퓨터를 활용한 작업이 보편화 되고 있다. 무대조명 분야에서는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조명디자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컴퓨터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 중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조명디자인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효율성을 알아보고 결과물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다양하게 발전해온 많은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고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 중에서 조명디자인에 활용하는 데 있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되는 프로그램인 위지위그(WYSIWYG)를 사용하여 뮤지컬 <비커밍 맘>의 조명디자인을 진행하고 위지위그를 통해 얻은 결과물과 실제 공연 사진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위지위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과 위지위그를 활용한 조명디자인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얻어진 결과물은 실제 공연사진과 비교해봤을 때 다소 조명의 색감의 차이가 생기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매우 흡사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조명디자인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 번째, 하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명디자인과 관련된 여러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두 번째, 프로그램을 통해서 얻어낸 결과물을 토대로 연출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세 번째,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문제점들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네 번째,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조명 프로그래밍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좋은 품질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다섯 번째,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리허설시간을 확보하여 공연의 품질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 다섯 가지의 효과들로 시간적, 금전적인 절약을 가져올 수 있고 이는 극장에서 부족한 준비시간을 보충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전체적인 공연의 품질을 올리는 데 이바지한다.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는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조명디자인에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것이 더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앞으로 무대조명 분야에서 이러한 조명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조명 디자이너가 더욱 많아지고, 보편화하면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has influenced the overall industrial field, and work using computers has become common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various computer softwares that can be used in the lighting design proces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of lighting design and analyze the results by usi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among various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For this study, we will learn about many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that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and use WYSIWYG, the most efficient program to use in lighting design amo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to conduct the lighting design of the musical <Becoming Mom>, And I would like to comp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WYSIWYG with actual performance photos. In this process, the method of using WYSIWYG and the lighting design process using WYSIWYG were described in detai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btained by using the software was able to obtain a result that is very similar to the actual performance picture,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color of the lighting. In addi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when lighting design is performed using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First, through a single program, several tasks related to lighting design can be handled at once. Seco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director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gram. Third, through simulation, technical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field can be identified in advance. Fourth, it is possible to obtain good quality results by spending sufficient time in lighting programming without being limited in time and space. Fifth,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 time in the field, so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rehearsal time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The above five effects can bring both time and money savings, which helps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by making up for the lack of preparation time at the venue.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is evolving day by day, and accordingly, application of computer application software to lighting design is no longer a special case, but is becoming more common. In the future,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more lighting designers are using this lighting visualization softwar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Korean performing arts will be further improved by universalization.

      • 한지 투과특성을 활용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신은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LED조명은 고효율성, 반영구적 수명, 안전성, 친환경 요소를 갖춘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휘도와 낮은 연색성, 차가운 느낌이라는 빛의 질적인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어 실내조명으로의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LED조명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해결 방안을 한지의 특성을 이용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한지를 활용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는 현재 LED조명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연구, 분석하고 한지를 활용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문헌자료와 간행물을 통한 문헌연구와 한지 투과특성에 관한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LED조명의 개념 및 특징,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 결과 현재 LED조명은 고휘도, 낮은 연색성과 같은 빛의 질적 문제, 조명기구의 비효율성, 소재 특성에 따른 디자인적 한계, 획일적인 디자인 등의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LED조명의 문제점들을 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한지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지를 선정하여 한지 투과특성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한지를 투과한 LED조명 빛의 질 적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에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각각의 한지를 평가한 후 한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먼저 2장, 3장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 요구조건을 정의 한 결과 모듈 방식이라는 컨셉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모듈방식은 단일모듈 개체를 여러 개 조합하여 완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조명기구를 제작하기 때문에 실용적이며 다양한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기본모듈의 디자인은 정삼각뿔의 심플한 형태이나 입체감이 뛰어나 자유로운 빛 연출이 가능하며 종이 소재이기 때문에 누구나 용이하게 조명기구를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LED조명기구의 유리, 아크릴과 같은 딱딱하고 고정적인 소재에서 벗어나 한지 소재의 유연함으로 보다 더 쉽게 다양한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지 LED조명기구는 LED조명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해결 할 수 있었으며, 모듈 방식의 디자인 컨셉과 소재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적용으로 LED조명기구 디자인에 있어 긍정적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으며, 나아가 LED조명의 실내도입을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판매공간의 조명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Fashion shop을 중심으로

        이은실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상품자체 보다 상품의 브랜드가 주는 이미지를 선호하며 무엇을 산다는 단순 행위의 차원보다 그 상품의 구매과정을 즐기면서 자신의 이미지를 찾으려 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개성적 life style에 따라 현대 판매공간의 디자인은 매장의 전문화, 브랜드화, 그리고 매장의 테마화, 전시화, 영상 매체의 활용등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기업 홍보 이미지 전시로 상품뿐 아니라 이미지 판매를 중심으로 시각적 극대화를 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각 전달매체인 조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보다 전문적인 조명계획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조명의 질이라는 것은 고가의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얻는 것이 아니고 빛의 효과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으로서 광색, 빛의 분포, 광원의 종류, 광원의 위치, 각도 등에 의한 빛의 효과로 매장의 상품과 공간을 잘 표현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단순히 조명기구의 형태, 조도, 색 등 물리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상품이나 공간, 고객에 대해 조명이 어떤 작용을 할까라는 관점으로 검토되어져야만 한다. 전문적인 조명디자이너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 현실에서 실내공간의 조명디자인은 거의 실내디자이너가 책임을 맡고 있다. 그러나 실내 디자이너는 너무나 많은 것들을 코디네이션하는 직종으로 빛의 디자인이나 조명계획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조명 디자인이나 조명계획을 말미의 부분적 설계작업으로 Lighting has become a key element in the design of a shop. But success in this direction demands that the designer keep pace with any important changes affecting the future of the shop and store business. There is the constantly-changing shop formula, which reflects an ever-changing society and its shopping behaviour. Then there are the trends in the design of shop interiors as new ideas are developed by interior designers.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among shop owners of the importance of using lighting as a major tool in attracting customers and increasing sales. Together with their architects, interior designers, they are seeking that particular ambience that will attract the specific target group they have in mind. Every shop-lighting system has to help in the performance of a number of functions. It has to attract customers toward the shop, draw the attention of the customer to the articles on sale, create a buying mood and stimulate buying, and promote safe movement in and around the shop for customers and staff. But perhaps most important of all, it has to help in presenting the merchandise in the most attractive way possible whilst creating the appropriate lighting environment. Retail is a very demanding and at the same time fast-moving world, and as a consequence, so is the art of shop lighting. Not only has the shape of the luminaires employed changed over the years, so too has the function of shop lighting. In the eighties and nineties, lighting designs were based first and foremost on the illumination of the merchandise - Light the product. In response to a changing shopping behaviour, today's lighting concepts are built up from a combination of merchandise and space illumination. This last, space illumination, is designed to create an ambience that is in keeping with the shop image - Light the shop ambience. This again means that the interior design of the space and the chosen lighting solutions should be in balance with each other and so in line with the shop's sales strategy. In the future, the starting point for lighting design will not be merely the merchandise and the image needed. The shoppers themselves and their interactions will also have to be taken much more into consideration - Light the people. Lighting will then have to be seen as a tool that has a dominant role in the total process of retailing - Light the process. It is clear that in the future the right balance of these four functions will become the basis of new lighting concepts. The current trends in shop lighting design are illustrated and the merits of lighting control are emphasised. Lighting control will play a more dominant role in the future. Theoretically speaking, there are four lighting parameters that can be controlled: lighting level, light colour, beam direction, and beam width, although the last two examples are still in the research phase. The control of lighting provides answers to four very important needs shop owners have, namely: to provide flexibility, to create different working modes, to create dynamic or special lighting effects, and to save energy. Since there are few professional lighting designer in Korea, most of the interior designers should be directly involved with the lighting design. Interior designers should think about lighting as early as possible in their design process, for lighting should be an integral part of the interior decor, and not something that is planned separately. However interior designers deal with lots of things and thier work load is too onerous. lighting design has been treated as a a kind of burdensome process. In this research, I tried to make a proposal about the lighting design process which is applicable to interior design process, when interior designers design any commercial space. Especially it is based on the design of specific light that comes from the natural light.

      • 실내 LED 조명기구 특성에 따른 형태적 요인과 CMF에 관한 연구 : 테이블 조명기구를 중심으로

        이정민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21세기 LED 의 발명으로 조명은 새로운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 점차 LED 조명이 인식되고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마침내 정부에서는 LED 조명기구 설치를 의무화하였고 이를 통해 본격적인 시장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명기구는 광원의 변화를 이루면서 공학을 기반으로 한 기술 중심의 제품으로 발전을 이어왔는데 차세대 광원인 LED 가 적용되며 다양한 시스템과 결합이 가능해지면서 융합 제품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조명기구가 다양한 환경과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좀 더 편리한 방법으로 적용 되어가는 현상이며 수용되어지는 방식의 변화이다. 소비자들의 구매 기준이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측면에서 감성적이고 가치적인 측면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감성적이고 가치적 측면은 외관디자인에 대한 형태적인 측면과 CMF 라는 디자인 전문요소들이 포함되는 통합된 영역이며 이는 제조를 통해 생산되는 제품들의 가치를 결정짓는 핵심요소이다. 본 연구는 실내 LED 조명기구들 중에서 전자제품 군과 유사한 구조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이나 작업환경에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테이블 조명기구를 중심으로 특성에 따른 형태적인 요인과 CMF 와 관계되는 요인들에 대해 다루었다. 실내 LED 테이블 조명기구 디자인 특성에서 형태적 요인으로는 조명의 배광과 관련되는 광학 영역의 기술적 측면과 LED 조명기구를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물리적 상호 작용을 다룬 시스템적 측면, 조명의 설치 방법과 관계되는 공간적 측면, 마지막으로 실내 환경 및 공간에서 오브제로서의 장식적 측면들에 대해 다루면서 CMF 와 관계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실내 LED 조명기구의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학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조명분야가 디자인과의 융합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도시 상징조형물의 조명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국 내몽골 적봉시 신도시를 중심으로

        소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도시의 상징조형물은 그 지역의 랜드마크로서 사람들이 기다리며 모이는 장소의 중심이 되기도 하고 표적이 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조명을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모습과 의미를 사람들에게 전달 할 수 있어야하며 이것은 야간에 그 주변에 상징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사람들에게 방향감과 시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문제는 기존의 대부분 상징조형물 조명디자인이 정적이고 단조로운 표현 중심이어서 강력한 상징적 표현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현대인에게 있어 조명은 필수적인 요소를 넘어 조명을 적극적으로 즐기는 대상으로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는 단지 지능적인 개념의 조명에서 한 단계 나아가 사람들의 감성을 움직여 생활을 좀 더 윤택하게 만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징 조명이 있는 공간에 묻혀 지내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개념의 조명은 생활의 작은 변화를 통해 디자인을 느낄 수 있는 하나의 도구가 될 것이다. 상징조형물은 지역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특별한 기능을 하고 있다. 야간에도 도시 이미지를 잘 표현하고, 도시가 원하는 메시지를 잘 전달 하면서도 시각적 관점에서 도시와 잘 어우러지는 아름다움 뿐 아니라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매력적인 상징조형물 조명디자인이 필요 하다. 본 논문은 도시이미지와 상징조형물 조명디자인에 대한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병행하여 최근 만들어지고 있는 여러 나라의 상징조형물 조명디자인의 경향을 파악하고, 중국 내몽골 적봉시 옥룡광장의 상징조형물 조명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적봉시에서 출토된 ’중화제1용’ 옥기의 모양에서 도출하여 적봉시 ’용문화’를 테마로 하는 문화광장의 상징조형물로 제안하였다. LED광섬유조명 시스템을 채택 하여 연동적인 조명디자인을 제안을 하였다. 정지되어 있는 조형물에 연동적인 빛의 스토리를 구성하여 동정 융합으로 상징조형물이 현대적 표현이 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것처럼, 통일된 조형물 조명으로 LED조명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지능적으로 켜고 끄는 등 시대와 지역 조명위치에 따른 다양한 연동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생동감 있는 조명 색채의 변화로 상징조형물의 강력한 상징성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 상징조형물의 조명연출은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여, 하나의 정지된 조명표현이 아니라 시간, 계절, 이벤트 등 다양한 표현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 조명 프로그램을 활용한 조명디자인 교육 : - Augment3d를 중심으로 -

        최동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1

        과학기술의 발전 중 하나가 눈에 보이지 않는 이미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만들었다. 현재 조명디자인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완성할 수 있다. 하지만 무대조명 분야에서는 다른 분야들에 비해 시뮬레이션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는 시뮬레이션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반면, 무대조명 분야에서는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조명디자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조명디자인 교육을 위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다. 이러한 이유로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조명디자인 교육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조명디자인 교육을 경성대학교 연극전공 공연제작 실습 교육생들에게 진행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조명 시뮬레이션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시뮬레이션이 무엇인지 일상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이 교육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들로 의료, 교육, 공연예술 분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명디자인 교육에 사용할 조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선정하기 위해 WYSIWYG, CAPTURE, MA 3D, Augment3d 등 네 종류의 조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근거로 Augment3d를 조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여 조명디자인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 과정으로는 크게 조명기초 교육, 조명디자인 교육, 공연제작 실습으로 나누었다. 조명기초 교육에서는 조명의 기능과 빛의 특성을 교육하였으며, 조명디자인 교육에서는 무대 공간을 설명하고 조명디자인을 실습하였다. 공연제작 실습에서는 앞서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공연제작 실습에 조명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조명디자인 교육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조명 시뮬레이션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해 본 결과, 조명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에도 한계점은 있었다. 조명 시뮬레이션은 어디까지나 시뮬레이션이다. 조명 시뮬레이션으로 완성된 조명디자인을 실제 무대에서의 조명디자인 결과물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장실습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 많은 공연 관련 학과가 있으나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하는 곳은 극히 드물다. 교육을 진행할 강사 또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가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이 활성화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그리하여 조명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 중국의 조명디자인 전문회사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령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중국 도시발전이 가속화하면서 도시 야간경관이미지도 도시 현대 문명건설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각 지방정부도 도시경관조명건설을 추진하고 도시이미지향상을 정부행정계획으로 내세웠다. 이에 이어 중국조명업계도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 연구목적은 중국 13개 조명디자인 전문회사 실적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중국 조명디자인 전문회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12개 조명디자인 전문회사에서 조사와 분석결과 현재 중국 조명디자인회사에는 지역성, 인원구성, 기관조직성, 민간성 등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조명디자인회사에도 부동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예술성과 과학성 대표로 각기 자신만의 색깔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조명디자인 전문회사가 이렇게 신속한 발전을 가져온 만큼 그 문제점도 모면 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1) 조명디자이너의 수준이 전문수준이 아니다. 10년 좌우의 경험을 지닌 설계 매니저 이외에 기본상 다른 분야에서 전업해온 디자이너들이다. 때문에 전문디자이너가 적다. 2) 중국에는 현재 완전한 교육시스템이 없다. 회사 디자이너들이 전문적으로 연수받고 심사를 거쳐 조명디자인 업계에 종사할 교육시스템이 부족하다. 3) 조명디자인 회사의 디자이너학력과 수준이 불일치하다 보니 설계과정에서 창의성이 부족하고 해외 작품을 카페 하는 경우가 많고 우수작품은 상대적으로 적다. 현재 중국조명디자인업계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정부, 기업, 개인업주 등 모두가 조명디자인에 대해 많은 관심을 돌리고 있다. 중국조명디자인업계도 아직 초기단계에 처해 있지만 일정한 실력과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조명디자인도 순 기술적 측면에서 벗어나 예술적, 효능적, 생태적인 설계이념으로 진화하기 시작했다. 계획, 설계, 시공, 관리, 등 각 부분에서 세밀하게 착수하고 "인성" 근본으로 과학, 예술, 에너지 절감, 생태적 등. 원칙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조명예술을 창조하고 도시와 건축의 아름다움을 그려내고 있다. 이로 하여 중국의 조명경관업계가 지속적인 발전과 글로벌시대를 만들어갔고 있다.

      • LED 조명디자인을 위한 Toolkit 개발에 관한 연구

        윤이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LED가 조명에 도입되면서 조명디자인에 새로운 시도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 조명 기구를 만들어 판매하는 제조업에서 LED라는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를 다루는 첨단 산업으로 변모해 나가고 있지만 새로운 LED 광원이 도입된 이래로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 중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 왔다. 초기에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제품의 시장 보급이 지연되었으며, 이 후에는 수많은 연구, 개발 비용이 무색할 정도로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한 급속한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었다. 제품 측면에서도 초기에는 기존 광원에 비해 낮은 광효율과 발열로 인한 수명이 문제시 되었으며, 점차 높은 광품질의 요구로 인해 연색성, 플리커 문제, ICT기술 접목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 시스템이 대두되었다. 이제 LED 조명이라는 제품을 디자인한다고 하면 심미적인 외형디자인뿐만 아니라 광학기술이 수반된 제품의 성능이나, 기능, 활용의 측면까지 고려되어야 한다. 이는 기존의 빛의 양적인 면과 기구의 외형적인 부분만을 처리하는 조명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시장의 빠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비지니스적인 요인이나, 소비자의 잠재 니즈 파악, 다분야 구성원들 간의 긴밀한 협업까지 고려한 새로운 조명디자인 접근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조명디자인에 활용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LED 조명디자인 프로세스를 4개의 큰 주기로 구조화하고 각 주기에 활용할 수 있는 ‘LED 조명디자인 Toolkit’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업계 실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긴밀한 In-depth 조사를 통해 LED 조명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였고 각 주기별 필요한 조명디자인 요소와 그에 따른 세부 작업내용을 파악하여 LED 조명디자인 캔버스 Toolkit과 체크리스트 Toolkit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Toolkit을 전문가를 통해 평가하도록 하여 장·단점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LED 조명디자인 Toolkit은 앞서 말한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과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시장 및 가속화되는 제품 개발 주기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품 개발과정 중의 문제해결이나 소비자 및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QFD 방법론이나 체크리스트 기법, 비즈니스 캔버스 등은 현재 이미 많은 기업들이 실무에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LED 조명디자인 Toolkit은 조명이라는 제품의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ICT기술 접목으로 인해 타 분야와의 융합이 필수적인 조명디자인 분야에 대응하기 위해서 적합한 방 법론들을 LED 조명디자인에 맞게 활용, 보완한 Toolkit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LED 조명디자인 Toolkit은 전문가 평가를 통해서 그 유효성을 평가 받았으며 현 실무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실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중점으로 개발한 것이기에 실무에 활용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규명하려고 하는 새로운 조명디자인 프로세스와 Toolkit 역시 조명디자인의 발전에 미약한 도움이라도 되기를 기대하며, 기업적인 측면에서도 현재의 빠른 시장 변화 속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제작하는 데에 활용됨으로써 기업의 적극적인 제품 개발 활동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호텔 로비공간의 조명디자인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최성훈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사회 문화적, 기술적, 경제적 요인들이 급변하는 요즘 복합 상업공간인 호텔 또한 변화·성장하고 있다.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의 삶의 질과 의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급증한 외국인 관광객의 수로 인해 각 호텔들은 차별화된 컨셉의 서비스와 공간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호텔의 공간 중에서 로비는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이 경험하는 처음이자 마지막 공간이며 그 호텔 전체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공간이다. 로비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특히 조명은 건축적 컨셉과 마감, 그리고 가구 및 기타 요소를 돋보이게 하고 로비공간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호텔 로비공간의 개성화와 시각적 차별화를 위해, 호텔 로비공간의 조명디자인 목적에 따른 조명디자인 표현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호텔 로비공간의 조명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동일 등급 호텔을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전문 서적을 통해 조명디자인 표현요소를 구분하여 조사도구의 항목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정리·분석 하였다. 그 자료를 토대로 호텔 로비공간의 조명디자인 목적에 대한 선호도와 조명디자인 표현요소의 중요도에 대해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였고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호텔 로비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특히 조명은 로비공간에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기능 또한 단순한 조도 확보만이 아닌, 공간의 분위기 형성, 마감재의 강조를 통한 강렬한 느낌 전달, 가변적이고 독창적인 공간이미지 창출, 아이덴티티 확보 등 기능 및 역할이 다양해지고 있다. 호텔 로비공간의 조명디자인 표현요소를 ‘예술·자연채광, 월워셔, 기구, 조도, 강조, 특화’의 키워드를 통해 유형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 조명디자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자연채광’의 조명디자인 계획에 있어서, 호텔 로비공간의 전면을 유리마감 처리하여 자연채광을 적극적으로 유입하며 이때 커튼이나 롤 블라인드를 통해서 유입량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로비공간의 벽면에 평면적 예술품이나 입체적 오브제를 강조하는 갤러리 조명의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월워셔’의 조명디자인 계획에 있어서, 로비공간의 시각적 개방감과 인지를 높이고 벽체의 재질과 입체감 등 수직면을 강조하는 월워셔 조명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동일한 중요도 평가를 받은 ‘기구’와 ‘조도’의 조명디자인 계획에 있어서, 조명기구를 사용한 소파와 테이블과 같은 가구의 조도확보, 복도 및 통로의 조도확보와 동선 유도, 프론트 데스크 작업면 조도 확보는 조명 계획의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계획이지만 소홀히 할 수 없는 조명디자인 요소이다. 넷째, ‘강조’의 조명디자인 계획에 있어서, 접근성이 중요한 프론트 데스크의 시인성을 높이는 간접조명과 작업면의 조도 확보를 위한 펜던트 조명은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특화’의 조명디자인 계획에 있어서, 중요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모든 조명디자인 표현요소 중에서 가장 시각적 차별화를 줄 수 있는 부분이기에 간과해서는 안되며, 효과적인 조명 연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와 앞으로의 호텔 로비공간의 조명디자인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좀 더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개발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with changes of social, technical, and economical elements, a hotel that is a complex commercial space is being changed and developed. Life quality and consciousness of customers who use hotels are improved, and because of sharply raised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each hotel is required to suggest services and space of distinctive concepts. Among the various space in a hotel, a lobby is the first and final space the customers experience, and it is the core space that could show the hotel’s general image and perform complex functions. Among elements to form the lobby space, especially lighting is a key role to make constructional concept, completion, furniture, and other elements look better and decide atmosphere of the lobby space. So,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methods of the lighting design by analyzing lighting design expressive elements as following lighting design purposes in order for individuality and visual distinction of hotel’s lobby spa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same grade hotel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s research subjects, and it classified lighting design expressive elements through prior studies and specialized publications and then this study utilized the classified elements as items of a survey tool. Based on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field investigations and it arranged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data, this study surveyed experts about preference for the lighting design purpose in a hotel lobby space and importance of the lighting design expressive elements. This study utilized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and arrange the results, and from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could have conclusions as follows. Among the elements to compose a hotel lobby space,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lighting is rising continuously in the lobby space and its roles and functions are getting various as not only just securing luminance but also making atmosphere of space, conveying intense feeling to point out finishes, creating variable and distinctive spatial images, and securing identity. This study classified types of the lighting design expressive elements of a hotel lobby space by using keywords such as ‘aesthetic day lighting, wall washer, instrument, luminance, emphasis, and specialization’, and the methods of lighting design of each type are as follows. First, in a plan of the lighting design of ‘aesthetic day lighting’, a front of the hotel lobby space is covered by glass so that it accepts the day lighting actively and at that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amount of the daylight by using curtains or roll blinds. Also, a gallery lighting plan is needed to emphasize flat art works or three-dimensional objects at wall surfaces of the lobby space. Second, in a plan of the lighting design of ‘wall wash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wall washer could raise visual openness and consciousness of the lobby space and emphasize vertical planes such as quality of the walls and three-dimensional effects. Third, in lighting design plans of ‘instrument’ and ‘luminance’, assessed as the same importance, it is the most basic and general plan in the lighting design to secure luminance of furniture such as sofas and tables with lighting, to secure luminance and induce movements in corridors and passages, and to secure luminance on work surfaces of front desks, but they are lighting design elements that should not be neglected. Fourth, in a lighting design plan of ‘emphasis’, it is very important that visibility of a front desk should be raised by using indirect lighting and luminance of work surfaces should be secured by using pendant lighting. Finally, in a lighting design plan of ‘specialization’, its importance is the lowest among the lighting design expressive elements but it could not be neglected because it could produce the most visually distinct effects, and continuous researches are required in order to direct effective lighting. Through this study and various studies on the lighting design in a hotel lobby space, researches to get more systematic and quantitative data for the improvements should be continued.

      • 아파트 옥외 공간의 어메니티(Amenity) 향상을 위한 조명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주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소득수준 증대로 건강과 환경 등 도시민들의 삶의 질과 어메니티 수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쾌적한 환경과 미관을 갖춘 도시 만들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세계 주요 도시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기존 도시를 인간적인 공간, 실제적으로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공공의 삶이 밀집되어 있는 아파트 옥외공간에도 적용되어가고 있는데, 아파트 옥외공간의 계획에 있어 야간 이용 역시 현대인의 행태 임에도 불구하고 주간 이용에 관한 계획이 주를 이루고 있어, 주간활동에 비하여 야간활동의 어메니티는 만족할 수 없는 수준에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디자인을 대상지 현황 분석과 선호도 설문 분석을 통하여 현재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디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아파트 옥외공간의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조명디자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2장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하여 어메니티에 대하여 고찰하여, 어메니티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를 야간조명환경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의 아파트 옥외공간을 선정하고,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에 대한 선행연구와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 관련 지침과 규정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1차 대상지의 선정 배경 및 개요와 대상지의 현황 분석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어메니티 선호도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현장조사를 통해 알아본 기존의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디자인은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조명디자인으로 되어 있었고, 조도는 국내외의 조명기준에 못 미치는 아파트가 더 많았으며, 유지 관리가 부족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설문분석 결과에서 선호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아파트 옥외공간 조명디자인의 어메니티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조도, 즉 공간의 밝기였다. 아파트의 보행공간과 휴게공간은 전반적으로 조도가 높은 공간이 선호도가 높은 흐름을 보였지만, 조도가 낮더라도 조명연출방식의 변화를 주어 공간의 분위기를 달리 해주는 것이 어메니티 선호도에 더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졌다. 놀이공간과 운동공간도 조도가 높을수록 선호도가 높아졌고, 운동공간의 경우 조명연출방식을 달리하여도 어메니티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장에서는 3장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차 현장조사와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차 현장조사를 통해 아파트 옥외공간의 조명연출방식의 종류를 알아보았고, 이를 통해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설문조사에서는 조명디자인의 특성을 보기위해 어메니티 선호도와 함께 경관형용사를 사용한 어휘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기존의 아파트들에서는 흔하지 않은 프로젝션 조명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보행공간과 휴게공간 모두 선호도가 높은 조명연출방식에서 ‘개성있는’과 ‘아름다운’이 강한 느낌을 보이고 있었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으로 아파트 옥외공간별 조명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먼저 보행공간은 프로젝션을 이용한 조명이나 수목조명, 지중매입조명 등 기존의 아파트에서 흔히 사용되지 않는 조명연출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휴게공간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빛의 변화를 주는 시퀀스적 조명연출방식이나 계절이나 시간의 변화에 맞추어진 조명시나리오를 통한 조명연출방식과 같은 다양한 조명연출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놀이공간은 폴 조명이나 볼라드 조명과 같이 단순한 조명연출방식을 사용하되 공간의 밝기를 충분히 밝게 해주어야 한다. 운동공간은 놀이공간과 같이 폴 조명과 같은 단순한 조명연출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하기에 알맞은 조도와 휘도로 공간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