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나는 if-조건문의 사용양상 비교

        김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난 if-조건문의 사용양상을 비교하여 if-조건문의 사용에 있어 원어민들과 대조가 되는 한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If-조건문의 사용양상 중에서도 특히 조건절과 결과절의 동사구 형태면에서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이 어떻게 다른지에 초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를 분석하여 빈출하는 오류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코퍼스 기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은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비교하였을 때 조건절과 결과절에 쓰인 동사구 형태면에서 어떠한 분포상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에 나타난 (준)법조동사의 쓰임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한국인의 if-조건문 오류 중 어떤 유형의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로서 원어민 코퍼스는 International Corpus of English(ICE)-USA를,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는 TOEFL11-Korean을 선정하였다. 두 개의 코퍼스에서 if가 포함된 문장을 추출한 후 if가 조건의 종속접속사로 쓰인 문장만을 추렸다. 한 코퍼스 당 500개의 if-조건문을 확보한 뒤 문장별로 조건절·결과절 동사구의 자질-시제, 상, 태, 극성 및 (준)법조동사 사용 여부와 형태, 서법성-을 코딩하였으며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의 경우 오류 분석을 병행하였다. 모든 문장의 코딩을 완료한 후 두 집단의 if-조건문을 동사구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별 빈도 및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후 두 집단의 if-조건문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 사이에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1) 원어민들이 결과절이 아닌 조건절에 (준)법조동사를 사용한 조건문이나 결과절이 명령문 형태인 조건문 등 다양한 구조의 조건문을 고르게 사용한 것과 달리 한국인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조건문 분류인 영조건문, 제1조건문, 제2조건문, 제3조건문의 정형화된 구조들을 주로 사용하고 여타 구조들은 적게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은 구조적 다양성 면에서 다소 제한적임을 발견하였다. 2) 조건문 내 (준)법조동사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인 학습자들은 특정 서법조동사에 대한 편중이 더욱 강하였으며 원어민들과 동일한 서법조동사를 사용한 때에도 하나의 서법성에 치우친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에서는 can과 will에 대한 편중이 나타났으며 can은 역동적 서법성의 의미로, will은 인식적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였던 반면, 원어민 집단은 would와 will에의 편중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더욱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하나의 서법조동사를 다양한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 중 가장 빈출한 오류는 시제 관련 오류였으며 그중에서도 비현실적 조건문의 시제 역전환(back-shift) 관련 오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져 한국인 학습자들이 if-조건문을 습득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역전환된 시제가 가상성(hypotheticality)을 표현하는 언어적 장치임을 이해하는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 영어조건문 연구와 교육적 함의

        김정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조건문 연구를 조건문의 분류, 의미해석 및 추론, 사용 및 기능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결과를 조건문의 지도방안에 수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문법적 형태를 중요시 하는 교수방안과, 의미를 중요시하는 교수방안을 통합한 의미중심 형태초점 교수(focus on form) 입장과 맥을 같이 한다. 의미중심 형태교수는 의사소통 기능과 의미를 연결시켜 학습자들이 정확성과 유창성을 동시에 겸비하도록 한다. 먼저 조건문의 분류로는 전통 문법적 분류와 의미 계층적 분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전통학자들의 분류는 직설법적 조건문과 가정법적 조건문의 이분법적 분류라는 한계가 있다. 반면 조건문을 의미계층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했던 Celce-Murcia & Larsen-Freeman(1999)은 조건문의 복잡한 형태를 다양한 패턴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보다 다양한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세분화했다. 이 분류는 조건문 문법지도에서 학습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패턴을 중심으로 영어 조건문의 사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지도방안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조건문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진리조건과 함축에 집중하여 살펴본다. 형식 의미론은 전건과 후건의 진리치에 따라 조건문의 진리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함축이론에서는 대화격률을 지키며 전달되는 함축 의미가 if-절과 다른 접속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진리조건적 방법은 논리언어와 자연언어를 동일시하여 자연언어의 섬세한 의미를 파악하는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맥락과 상황에 맞는 해석을 제공하지 못했다. 그리고 함축이론은 상황과 맥락에 맞는 해석을 시도했지만 조건문의 다양한 사용을 보여주지 못한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건문의 사용 및 기능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는 구어와 문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조건문의 유형을 알아보고, 조건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문두의 if-절이 하는 기능을 살펴본다. 모국어 화자들이 구어와 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건문 유형은 일반적 사실 조건문이며, if-절과 주절에서 동사는 현재시제가 나타나는 구조이다. 주로 문두 위치에 if-절이 나오는 조건문이 자주 사용되는 이유는 담화상에서 화제나 틀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학문적 연구와 교수-학습 사이에 괴리가 있는데, 이는 조건문의 연구-학습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이유는 과거부터 오늘날까지도 조건문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교수-학습은 기존의 내용과 교수방법이 획일화되어 반복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대에 맞게 학문적 연구의 결과를 교수-학습에 적절히 적용시켜 이들 사이의 괴리를 좁힐 필요성이 요구된다. 물론 연구 결과를 지도방안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학습 단계별, 학습목적별 차이를 고려한 섬세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wofold: It examines studies of English conditionals in the aspects of their types, meanings, and uses; It further seeks teaching implications from them. This method of seeking teaching implications from the academic research on linguistic constructions is related to the methodology of focus on form approach, which integrates communicative function with linguistic forms within the context of meaning. With regard to the types of Conditionals, traditional scholars take the binary position, dividing them into indicative conditionals and subjunctive conditionals. On the other hand, Celce-Murcia and Larsen-Freeman (1999) classify conditional sentences regard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the various patterns, which can specify their meaning and function clearly. Their refined classifications provide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conditionals’ construction to non-native speakers. Among research on the meaning of conditionals, truth-conditional studies and implicature related studies are prominent. The truth values of the conditionals are determined by the if-clause’s truth values. Also, the implicatures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f-clauses and other conjunctions. However, the truth-conditional method fails to catch the meaning of the natural language in detail because it applies logic to the language. Thus, conditionals cannot be interpreted appropriately reflecting the context and situation. The implicature theory attempts to reflect the context and situation of the conditionals when interpreting them. Regarding the meaning or interpretation of conditionals, rather than truth conditional semantics, implicature theory provides a substantial explanation for non-native students. Lastly, examining the usage and the function of conditionals, it has been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conditionals in spoken and written texts are generic factual conditionals, which have present tense verbs both in an if-clause and a main clause. Another main finding is that if-clauses, when positioned before the main clause, have a role of presenting the topic of the preceding sentences or the frame of the following sentences. Those facts about the use and the function of conditionals enable non-native speakers to acquire competence with English conditionals. There has been a huge gap between academic studies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s. This can be the result of their different speed of changes. Academic studies are still actively discussed and studied, whereas teaching ­ learning methods have been relatively fixed and standardized until now. What should we do about this problem? We need to narrow the gap by applying successful academic studies into the teaching ­ learning area. Applying the new findings in the types, meanings and uses of conditionals to teaching can benefit students in mastering authentic use of conditionals.

      • 한국어 조건문 반사실성 해석의 과거시제와 내포 그리고 전제 효과 : 행동 및 신경생리학적 실험 연구

        김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조건문에 드러나는 반사실성은 조건문 전건의 명제가 사실이 아니라고 믿는 화자의 태도를 드러낸다. 반사실적 해석을 도출시키는 전략으로 조건문에 명시적인 언어학적 단서가 표시되는데, 언어보편적으로 과거시제형태소라는 형식적 특성이 나타난다(Iatridou, 2000). Iatridou(2000)는 과거시제형태소를 미명세 된 배제 자질(underspecified exclusion feature)로 분석하고, 이것이 현실 세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적용되면 반사실성 해석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영어의 과거 완료 시제 조건문이 사실 조건문으로 해석 가능한 현상에 대해, 도출된 반사실성이 함축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취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와 달리, Ippolito(2013)는 그러한 현상이 조건문 형식과 의미의 비대칭성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전건 명제의 전제 충족 여부에 따른 조건문의 형태적 제약을 제시하였다. 즉, 전건 명제의 전제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 조건문의 표면형은 반드시 과거 완료형 가정법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한국어의 조건문에서도 과거시제형태소 표기가 반사실성 해석에 기여하는 것으로 논의되었다(Han, 2006, 박유경 외, 2018). Ippolito(2013)의 분석이 한국어 화자의 직관과 일치한다면, 조건문의 전제 충족 여부에 따라 전건의 시제에 제약이 나타날 것이다. 한편, 한국어 조건문의 반사실성 해석은 위의 두 이론에서 언급된 과거시제형태소와 전제 효과뿐만 아니라, 전건의 내포 효과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한국어의 조건문에는 전건과 후건을 결합시키는 연결사가 반드시 표기되어야 한다. 무표적 연결사인 ‘-면’과 내포성을 가지는 ‘-다면’은 많은 경우 자유롭게 교체되어 사용되지만, 분포와 의미에 차이가 있다. ‘-다면’은 선행연구에서 가정성을 드러내는 가정적 조건 표지로 논의되어 왔으며, 비가정적인 총칭적 조건문, 직시적 조건문, 시간적 조건문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반사실 조건문의 시제와 전제 문제, 내포 효과를 중심으로 세 가지 요소가 반사실 조건문의 형식과 의미에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문장판단실험인 실험 1과 EEG 방법론이 적용된 실험 2에서는 조건문 전건의 과거시제형태소와 내포효과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반사실성 해석에 기여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3에서는 문장판단실험을 통해 전제충족여부에 따른 전건의 시제 제약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어 조건문에서 전건의 과거시제형태소와 내포성이 조건문의 반사실성 해석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요소임이 드러났다. 특히, 조건문의 반사실성 의미에 주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소는 전건의 과거시제형태소 표기 여부이며, 전건의 내포성은 과거시제형태소와 함께 결합하여 더 강한 반사실성 해석을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조건문 전건의 과거시제형태소는 일반적으로 수의적인 표기가 가능하지만, 전건의 전제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건시와 무관하게 과거시제형태소를 표기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ppolito(2013)의 분석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어 조건문 연구에서 개별적 대상으로 분리되어 다루어져 온 전건의 시제와 내포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더불어, 전제충족여부에 따른 조건문 전건의 형태 제약을 검증함과 함께 이론중심 논의가 이루어졌던 한국어 조건문 연구에 실험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이 표상하는 조건문의 반사실성 해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다. The counterfactuality that shows up in conditionals reveals the speaker’s attitude to believe that the proposition of the conditional’s antecedent is false. Conditionals display an overt linguistic cue as a strategy to derive a counterfactual interpretation, which is shown to be past tense morphology cross-linguistically(Iatridou, 2000). Iatridou(2000) analyzed past tense morpheme as an underspecified exclusion feature, and explained that the counterfactual interpretation appears when it is applied to exclude the actual world. Furthermore, regarding the phenomenon on how the English past perfect conditionals can be interpreted as factual conditionals, Iatridou(2000) argued that the derived counterfactual interpretation could be cancelled because it is the conventional implicature. However, Ippolito(2013) stated that such a phenomenon appeared due to the asymmetry between conditional form and meaning, and that the conditional’s morphological constraints depended on whether or not the presupposition is satisfied in the antecedent. In other words, if the presupposition is not satisfied, the surface form must be in the form of past perfect subjunctive conditionals. Past tense morphology have also been discussed to contribute to the counterfactual interpretation in Korean counterfactuals(Han, 2006, 박유경 외, 2018). If the interpretation of Ippolito(2013) aligns with a Korean speaker’s intuition, restrictions on the tense of the antecedent will depend on whether or not the conditionals’ presupposition has been satisfied. The counterfactual interpretation of Korean conditionals depend not only on the previously mentioned past tense morphology or presupposition effect, but also on the embedding effect of the antecedent. In Korean conditionals, there must be a connective betwee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t. In this study, semantic difference between ‘-myen’ which is a non-targeted connective and ‘-tamyen’ which holds the embeddedness of the antecedent is discussed. ‘-tamyen’ has been treated as a hypothetical conditional marker, and is not accepted in a generic conditional, deictic conditional, or temporal conditional(이정민, 1980; 박승윤, 1988; 윤평현, 2005; 박유경 2015.) This study researched how three factors-the tense and presupposition, and embedding effect of counterfactual conditionals- effect the conditionals’ form and meaning. A sentence judgment task was done for Experiment 1 and an EEG method was implemented for Experiment 2 to test how the conditional antecedent’s past tense morpheme and embedding effect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how it affected the counterfactual interpretation. Experiment 3 was done to see the tense restraints of antecedents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presupposition has been satisfied through a sentence judgment task. For the results, in Korean conditionals, the antecedent’s past tense morphology and embeddedness were found to be two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counterfactual meaning of conditionals. The antecedent’s past tense morpheme proved to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counterfactual meaning, while the antecedent’s embeddedness showed a stronger influence in interpretation of counterfactuals when joined with past tense morpheme. Marking the past tense morpheme in the antecedent of Korean conditionals is generally voluntary, but when the antecedent’s presupposition is not satisfied, marking past tense morpheme was seen to be more acceptable regardless of the dietic time. These results align with the interpretations of Ippolito(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 study took an integrated approach to tenses and embedding effect of the antecedent, which have been researched individually in Korean conditionals. Furthermore, alongside identifying the tense restriction depending on the presupposition satisfaction, this study took an experimental approach to Korean conditionals regarding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native Korean speakers interpret counterfactual meaning in conditionals.

      • 조건문의 의미 해석 방법

        정효영 전남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조건문의 의미 해석 방법 정 효 영 전남대학교대학원 영어학과 (지도교수 : 조영순) (국문초록) 일상 생활에 흔히 사용되는 조건문, 특히 if 조건문은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왔다. 전통적으로 주로 전건과 후건의 진리값에 기초하여 조건문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를 구분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조건문의 의미를 해석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그 세 가지 방식에는 실질 조건문 해석법(material conditional analysis), 내포 해석법(intensional analysis), 그리고 최근에는 진리치보다는 조건부 확률이라는 개념을 활용한 조건부 확률 해석법(conditional probability analysis)이 있다. 조건문의 의미를 해석할 때에 전건이 참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다. 왜냐하면, 전건이 참일 경우에는 후건이 참일 경우에 조건문이 참이 되고, 후건이 거짓일 경우에 조건문이 거짓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전건이 참인 경우는 이러한 논리적인 해석 방식과 우리들의 언어적 직관이 모순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건문의 전건이 거짓이거나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한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문제가 되는 조건문에는 전건과 후건이 거짓인 조건문, 부활절 토끼 조건문(Easter Bunny Sentences), 가정법 조건문, 그리고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한 전건을 가진 조건문 등이 있다. 실질 조건문 해석법은 추론 과정상의 몇몇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고 언어직관에 위배되는 설명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실질 조건문 해석법은 전건이 거짓이지만, 전체 조건문이 참이 되는 조건문이나 부활절 토끼 조건문을 다루는 데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가정법 조건문을 다룰 수 없고 이루어질 가능성이 희박한 조건문과 그렇지 않은 조건문을 구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실질 조건문 해석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Grice (1967)와 Jackson (1987)은 함축의 개념을 더하여 조건문의 의미 해석을 시도한다. Grice는 전건과 후건 사이에 인과관계나 추론관계가 있어야 조건문의 주장 가능성이 있는 반면에 Jackson은 전건이 확고부동해야 주장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Grice와 Jackson의 방식 역시 부활절 토끼 조건문과 가능성이 희박한 전건을 가진 조건문의 주장 가능성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내포적 해석법은 전건이 참이 되는 가능세계를 만들어서 그 가능세계에서 후건의 진리값이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조건문의 진리값이 결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내포적 해석 방식은 현실 세계 하나만을 고려한 기존의 방식과 달리 가정법 조건문을 설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장점이 있다. Stalnaker와 Kratzer의 방식으로는 전건과 후건이 거짓인 조건문은 다룰 수 있지만 부활절 토끼 조건문은 설명할 수가 없다. 또한 가정법 조건문과 직설법 조건문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없거나 혹은 타당성이 부족하다. 조건부 확률 해석법은 최근에 대두되기 시작한 방식으로 조건문의 진리값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조건부 확률에 기초해 조건문의 의미를 분석한다. 조건부 확률 해석법을 이용한 학자로는 Edgington과 Jackson이 있다. Jackson은 조건문의 사용을 설명하는 데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고 Edgington은 조건문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조건부 확률을 적용한 점이 구별된다. Jackson은 전건의 거짓이 명확한 조건문은 다룰 수 있지만, 부활절 토끼 조건문, 가정법 조건문을 다룰 수 없다. 그리고 실현 가능성과 관련된 조건문은 차이는 예측할 수 있으나 설명의 타당성은 부족하다. Edgington은 전건이 참일 경우에 실질 조건문 해석법을 인정하면서 확률을 함께 이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전건이 거짓일 경우에는 해답을 제시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Edgington의 이론으로 다룰 수 있는 조건문은 가능성에 관련된 조건문이다.

      • 실생활 스크립트를 통한 조건문 지도

        이경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학의 정리나 정의는 대부분 조건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학생들은 조건문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현행 수학 교육과정에서는 조건문의 진릿값을 가르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은 조건문으로 표현된 수학의 정리나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 선행 연구들에서 조건문의 지도에 대한 중요성은 언급되어 왔지만 구체적인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조건문 지도의 어려움을 확인하고 그 개선을 위한 대안을 탐색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조건문의 수학적 구조를 분석하여 조건문 지도의 어려움을 보이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조건문의 진릿값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이변수함수의 합성함수로 조건문의 진릿값을 주는 복잡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실제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조건문의 진릿값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건문의 진릿값은 이전 교육 과정에서 지도된 적이 있으나 실생활과 결부되지 못했기 때문에 어렵게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었다. 3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진리표만 형식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이후 5차 교육과정부터 학습자 부담 경감 차원에서 그 내용이 삭제되었다. 그러나 실생활 맥락을 바탕으로 조건문의 진릿값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해 본 결과, 초등학생들도 조건문의 진릿값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생활 스크립트를 통한 조건문의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생활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조건문을 분석하여 그 속에 포함된 시점 변수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조건문의 실생활 스크립트를 제작하였다. 교수실험 결과, 학생들은 실생활 스크립트를 통하여 조건문의 진릿값을 쉽게 이해하였다. Conditionals are used in most of mathematical definitions and theorems. This point can be a standalone justification for teaching students the truth values of conditionals. In fact, for this reason, the truth values of conditionals were taught during the 3rd and 4th Educational Curriculum era in Korea. At that time, a formal approach to introducing truth values of propositions by truth tables was taken. However, the materials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lated to judging truth values of mathematical propositions by using the formal logic have been deleted later, which was apparently justified by 'easing the heavy burden on learners. Without knowing how to judge whether or not proposition are true, students must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mathematical definitions and theore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ditionals. The survey results clearly show that most of students have problems in determining truth value of conditionals correctly. While many author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teach conditionals, they failed to propose any specific plan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formal approach to teach them. In this study, we take a new viewpoint on cause for the difficulty in implementing students the truth values of conditionals and suggest a plan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this thesis, we show that assigning the truth values to conditionals is the complex structure of composition of functions involving ones of two variable, and then claim that this complex structure is an obstacle for teaching conditionals by the truth table. On the other hand, by the survey results, it turned out that even elementary students know the truth values of conditionals in the real-life context. Based on this observation, we propose a teaching plan for conditionals through Real-life Scripts. While analyzing conditionals in real-life context in order to design Real-life Scripts, we have discovered the time-variables hidden in antecedents and consequents of conditionals. The discovery of the time-variable contributed to writing Real-life Scripts so that the truth values of conditionals in the scripts naturally and accurately reflect those by the truth-table. The teaching experiment performed by our research team shows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nderstood the truth values easily through Real-life Scripts and went further to figure out the truth values of mathematical statements without difficulty.

      • 한국어 조건문의 전제 투사 연구

        문서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고는 한국어 조건문의 전제 투사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전제 투사 조건을 새롭게 정리하는 데 목적을 두며 전제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조건문 분류 체계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조건문이 표상하는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건성과 가정성을 구분해야 한다. 어떤 명제가 기술하는 사건이 현실 세계에 비추어 참이라는 화자의 강한 믿음이 있을 때는 가정성의 의미가 표상되지 못하지만, 사건이 거짓이라고 믿거나 진리치를 판단하기가 불확실하다는 태도가 존재할 경우에는 비가정성의 의미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성 및 비가정성의 성격은 두 사건 사이의 인과적인 연결 관계를 드러내는 조건성과 분명히 분별되어야 한다. 3장에서는 본고의 전제 투사 조건을 보이고 이 조건이 조건문들에서 관찰되는 전제 투사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다. 조건문의 전제 투사를 이해하려는 논의는 반드시 명제에 대해 담화 참여자들이 가지는 믿음의 성격을, 달리 말해 ‘가정성’이 표상되는지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후건의 전제가 투사 문제의 대상이 되면, 가정적인 후건 전제는 투사되지 못하지만 비가정적인 전제는 투사된다. 전건에서 유발된 전제는 전제 자체가 가정적이든 비가정적이든 상관없이 항상 전체 문장으로 투사되는데, 이는 전건의 전제가 조건의 영향권 안에 속하기 때문이다. 조건이 되는 명제는 담화 참여자들이 이미 알고 있었던 정보로 인식되므로 전건 전제는 비가정성을 획득하고, 비가정적인 전제는 투사가 허가된다. 4장에서는 조건문 분류 체계를 제시한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한다. 이들은 전건의 기능에 치중하여 조건문 분류 체계를 제시했고 전제 및 전제와 관련된 언어 현상들을 고찰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제 투사 문제와 관련해서 정돈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리고 가정적인 조건문과 비가정적인 조건문을 형식적으로 정밀하게 구분하지 않는 영어의 조건문들을 위주로 하여 조건문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했기 때문에, 전건 내용의 실현성에 대하여 화자가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조건 연결어미와 같은 언어 표지들로 명시화하는 한국어 같은 언어의 특징이 배제되었다. 따라서 조건문에 대한 후속 연구들에서는 조건과 매우 밀접한 전제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조건문 분류 체계를 세울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뒤 앞으로 남은 연구 과제를 밝히며 논의를 갈무리한다. This study aims to organize a new set of presupposition projection conditions that can explain the problem of presupposition projection in Korean conditionals and argues for a classification scheme for conditionals that actively reflects the features of presupposition.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ditional sentence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conditionality’ and ‘hypotheticality’. Hypothetical meaning is not conveyed when there is a speaker's strong belief that the event described by a proposition is true in light of the real world, but non-hypothetical meaning is conveyed when there is a belief that the event is false or an attitude of uncertainty about its truth. The nature of these ‘hypotheticality’ and ‘non-hypotheticality’ mus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conditionality’, which reveals a causal connection between two events. Chapter 3 presents presuppositional projection conditions and show that they help u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presuppositional projection observed in conditionals. Any discussion of understanding presupposition projection in conditional sentences must take into account the nature of the beliefs that discourse participants have about the propositions, in other words, whether hypotheticality is expressed. When a consequent’s presupposition is subject to a projection problem, the consequent’s hypothetical presupposition is not projected, but the non-hypothetical presupposition is projected. A presupposition triggered by an antecedent is always projected to a full sentence, regardless of whether the presupposition itself is hypothetical or non-hypothetical, because the presupposition of the consequen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ondition. Since the proposition being conditioned is recognized as information that the discourse participants already knew, the presupposition of the consequent acquires non-hypotheticality, and then the non-hypothetical presupposition projects. Chapter 4 points out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that have proposed a classification scheme for conditionals. They focus on the function of the antecedent and do not examine the linguistic phenomena related to the presupposition and the presupposition itself, so they cannot provide a neat explanation about the presupposition projection problem. Furthermore, they focus on the conditional sentences of English. English do not make an apparent distinction between hypothetical and non-hypothetical conditionals, so previous discussions excluded the features of languages such as Korean, which use linguistic markers like conditional connectives to express how the speaker evaluates the realization of the presupposition’s content.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cheme for conditional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features of presuppositions, which is very conceptually related to conditions. Chapter 5 summarizes the above discussions and concludes by identifying future research issues.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조건문 분석 : 기능과 쓰임을 중심으로

        허수지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의 쓰임을 기능적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조건문에 대한 영어 모국어 화자들의 실제적 쓰임과 차이를 검토하여 효과적인 조건문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기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첫째,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의 유형들은 어떠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 둘째, 코퍼스에 나타난 영어 모국어 화자들의 사용과 비교하여 영어 교과서 조건문들의 화용적(pragmatic) 쓰임은 어떠한가? 셋째, 조건문의 기능적 분석을 통한 조건문 지도의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고등학교 영어, 영어Ⅰ교과서 중 3종 총 6권을 대상으로 조건문을 추출하여 의미 유형과 기능, 쓰임에 따라 분류하였다. 다음으 로 코퍼스에 나타난 실제 영어 모국어 화자들의 조건문 사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조건문의 수는 총 244이며, 세분화하기 위하여 문어체 와 구어체, 문두와 문미 위치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구어체와 문어체 조건문의 문두, 문미적 분포는 유사한 수치를 보인다. 둘째, 조건문을 의미 유형에 따라 분류한 결과, 일반적 사실 조건문(generic factual) 유형은 Brown 코퍼스와 교과서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인다. 그러나 실제 사용보다 교과서에서 일반적 사실 조건문이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조건문을 기능에 따라 분류한 결과, 전체 조건문 244개 중 불확실성 (uncertainty)의 기능을 하는 조건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조언 (giving advice)의 기능이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났다. 반대로 공손(politeness), 평 가(evaluation)의 기능은 가장 적게 나타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은 단순한 형식에 비해 다 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들은 영어 조건문의 다양한 기능 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건문의 다양한 유 형과 기능을 균형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에 활용 가능한 충분한 보충 자료 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EFL 학 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간접 경험의 자료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look at the use of English conditional sentences from a functional aspects. Two studies are adopted to be used for our analysis: C & F(1999) and Yule(1998). By using these criteria, the analyses have done: analysis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and comparison betwee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and Brown corpus. Based on this,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use and differences of conditional sentences us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effective conditional sentences guidan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linguistic functions do the different types of conditional sentenc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perform? Second, compared to the use of English native speakers shown in corpus, what are the pragmatic functions of conditionals in English textbooks?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eaching through functional analysis of conditional sentences? To carry out the study, the conditional sentences shown in High School English and High School English I textboo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mantic types and function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t was compared to the use of conditional sentences by native English spea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ditional sentences presented in the textbook totaled 244, and to subdivide them, they were divided into written and colloquial, sentence-initial and sentence-final positions. As a result, distribution of the written, colloquial and sentence-initial, sentence-final conditionals shows similar figures.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nditional sentences according to its semantic types, general factual conditionals type i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both colloquial and written conditionals. Comparing this to Brown corpus of Hwang(1979), who studied the use of native speakers, the general factual conditionals type is biased against other types. Third, as a result of classifying conditional sentenc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the largest number of conditional sentences were presented that function as uncertainty. As a result, the conditional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perform various functions even if its simple forms. So, teachers need to be familiar with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English conditional sentences in advance and use them in their classes. In addition, sufficient supplemental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for use in classes so that the various types and functions of conditional sentences can be learned in a balanced manner. This will not only fulfill learners' needs, but will also help EFL learners with materials of indirect experience for successful learning.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 연구 : 분포,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이정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thesis analyzes the conditional sentenc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erms of their distribution, structure and their semantic types,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those of native English speakers. It is motivated by the observation that sentences token in a textbook plays an instrumental role as students are first exposed to the sentence examples presented in a textbook and take them as cannonical not only in classroom activities but also in self-study courses they may take later on. Those sentence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such a setting as Korea where textbooks are the main source of students' exposure to English because the target language is taught as a foreign language rather than as a second language in Korea. In short, this thesis aims to evaluate the authenticity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s a study methodology, this thesis adopts Ford and Thompson(1986), Celce-Murcia and Larsen-Freeman(1999) and Hwang(1979). Ford and Thompson's methodology is used in comparing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conditional clauses with respect to their position, e.g., in front of the sentence or at the end of the sentence. Celce-Murcia and Larsen-Freeman's semantic hierarchy is used to analyze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conditional clauses and the main clauses. Hwang's structural classification is adopted in analyzing the structural pattern of conditional clauses. The results show that textbook samples are similar to native speaker samples in their distributional pattern, namely that a greater number of sentence-initial conditional clauses were found than sentence-final conditionals, with minor numeric rati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tructural patterns of textbook samples also matched those of native tokens, indicating that the textbook materials are authentic in this respect. Semantic types of textbook samples showed a great difference from the native speaker samples. 본 논문은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과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들의 조건문 사용에 있어 분포, 구조와 의미유형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교과서는 교실 수업에 주교재로 사용되어질 뿐 만 아니라 학생 스스로 학습할 때도 주요 학습 자료로 사용되어 진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가 외국어로 사용되어지는 환경에서 교과서는 학생들이 영어를 접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이다. 따라서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문장들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국어 화자들이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조건문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 모국어 자료와 같이 조건문이 제시되어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교과서가 교재의 진정성(authenticity)을 가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을 의미적 계층 관계(Celce-Murcia and Larsen-Freeman, 1999)에 따라 분류하였고 다음으로 조건절이 문두 또는 문미에 분포하는 비율(Ford and Thompson, 1986)을 살펴보았다. 또한 조건문의 구조와 의미유형을 모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조건문 빈도 순위(Hwang, 1979)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2, 3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건절의 분포에서 문두 조건절이 더 많이 분포하는 모국어 자료와 마찬가지로 교과서에서도 문두 조건절은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하지만 문두와 문미 조건절의 분포비율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조건문의 구조유형에서 교과서에 나타난 조건문은 모국어 자료에 나타난 빈도 순위와 거의 일치하고 있어 교재의 진정성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건문의 의미유형에서 모국어 자료와 교과서가 빈도 순위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