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목적어 현상과 비문성 지도 연구

        김연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영어를 제2언어로 습득하는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목적어 생략 현상의 원인을 논의하여 보고, 발달 단계에 따라 중간언어에 미치는 모국어의 영향이 점차 감소하여 목표어의 언어 유형으로 변화해가는 과정을 영목적어(null object) 현상의 변화를 통해 알아보며, EFL환경에서의 언어 입력의 역할을 비문성 정보(negative evidence)의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초등 영어학습자에게 어떠한 언어 입력을 제공하는 것이 제2언어 습득에 효과적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따라 서울시 C초등학교의 6학년 영어학습자 54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반과 통제반을 영어 성취도 수준별로 각각 상.중.하 세 집단으로 나눈 뒤, 두 학급에 입력의 종류를 달리하여 영어의 [-화제 우위] 언어적 특성의 습득을 돕고자 하였다. 실험반에게는 언어 간 차이의 설명, 구체적 조작물, 재조정 입력(recast)을 통한 오류 수정을 통해 비문성 정보를 제공했고, 통제반에게는 자연 입력만을 강화된 입력으로 제공하였다. 문법성 판단 평가, 자유 작문, 유도 발화 기법을 사용하여 사전평가를 실시하고 실험수업 후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영목적어 현상이 모국어의 [+화제 우위] 언어 유형의 전이로 일어나는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6학년 영어학습자들의 문법성 판단 평가와 발화 자료 및 쓰기 자료에서 나타나는 영목적어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영목적어 현상은 모국어의 [+화제 우위] 관련 매개변인이 목표어의 [-화제 우위] 특성으로 습득되어 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국어의 전이 현상임이 관찰되었다. 즉, 담화 상에서 그 지시 대상이 해석되는 문장의 요소인 영목적어를 목표어의 문장 구성에 전이하여 목표어의 [-화제 우위] 특성에 맞지 않는 문장을 생성하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제2언어 습득의 초기에는 모국어의 유형이 중간언어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습득이 진행될수록 점차 목표어의 유형으로 중간언어가 발달되어 가는가를 영목적어 현상의 변화를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발화 자료와 문법성 판단 평가에서 나타나는 영목적어 현상의 수용도가 성취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는 제2언어 습득에서 점진적인 목표어의 유형 습득이 일어나는 것임을 말해준다. 셋째, 언어 입력에 있어서 자연 입력과 비문성 정보가 목표어 습득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 오는 지 비교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EFL로서 영어를 배우는 초등학생들에게 어떠한 언어 입력이 효율적인가를 고찰해 보았다. 실험 수업 후 평가를 통하여 밝혀진 것은 비문성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반의 영목적어 현상 감소가 통제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월했다는 것이다. 이는 ESL환경과 입력의 양과 형태가 다른 EFL환경에서 제2언어 교수의 방향이 어떻게 재조정되어가야 하는지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EFL환경에서 효과적인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언어 간 차이를 고려한 정제된 입력이 제공되어야 하며, 중간언어의 발달이 정체되지 않고 목표어의 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자연 입력과 비문성 정보의 안배가 교육 내용의 구성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experimental study are to examine why Korean Elementary EFL learners use null objects so often where objects should be overt in English, to observe the change of L1 effect on L2 acquisition in using null objects among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 groups and to investigate negative evidence is more effective than positive evidence to reduce the phenomenon of null objects among them. To achieve these goa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of two 6th grade classes. The two classes were chosen randomly and each class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high, medium, low) and they were given different input type. Positive evidence on the verb-direct object relation was given to the control class and negative evidence (comprehensible explanation about language differences on topic related construction, easy operating materials for sentence construction and providing recast as a way of error correction) with positive evidence was given to the experiment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ull objects phenomenon was investigated through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a guided speaking test and a free writing test. Null objects are bound to null topic and they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discourse in Korean. As a result, L1 feature of [+topic-prominence] affects the acceptance of the null objects phenomenon in the sentence which needs overt direct object in English. It was found that transferring [+topic-prominence] feature influences English L2 acquisition of Korean elementary learners so they often use null objects in speaking and writing of English which are not permitted in the target language. Second, the typology of L1 affects strongly to construction of inter-language in the beginning of L2 acquisition, as developing L2 proficiency the subjects adapt to L2 typology progressively. Lower level group's rate of using null objects is far greater than that of the higher level group’s. The differences of using null objects among the three proficiency level groups appeared to be an outcome of the acquiring the feature [-topic-prominence] of target language. Finally, instruction was conducted to compare input type. Negative evidence is provided to the experiment class with positive evidence, but the only positive evidence is provided to the control class. From the result of the post-test, it is found that the decrease rate of using null o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tests was much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negative evidence can provide effective role to Korean elementary learners of English in the acquisition of L2 features in the EFL contexts. The following points can be mentioned for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We need to provide designed input for Korean students with consideration of structural feature differences between two languages. And the input has to be consists of positive evidence as well as negative evidence in order to learn L2 English effectively.

      •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Gamified-SLA)' 시스템디자인 평가를 위한 사용성 휴리스틱 가이드라인 연구

        웨이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윈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6

        The concept of gamification originated from the digital media industry, which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gaming elements to non-gaming contexts” to engage users and solve problems”. Gamification has already been successfully used in education, marketing, organizational, health and environmental initiatives to achieve desirable outcomes by influencing user behavior. Interest in applying gamification to education is increasing, given its capacity to capture and sustain students’ attention, which is a prerequisite for students’ succes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gamifi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gamified-SLA) systems emerge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erefore, reliable evaluation methods are required throughout the system design process. While general heuristic guidelines are suitable to evaluate most user interfaces, there is still a need to establish heuristic guidelines for gamified-SLA domains to ensure that their specific usability issues are identified. In this landscape, based on the existing usability heuristic evaluation method proposed by Nielsen and Molich, a renew usability heuristic guidelines was assumed. Starting from usability evaluation, this study proposed a series of usability heuristic guidelines with three separate dimensions: interface usability heuristic, SLA usability heuristic and gamified usability heuristic through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Among them, interface usability heuristic involves the requirement of system performance design according to the ten basic heuristic guidelines proposed by Nielsen and Molich, which includes core elements such as efficiency, effectiveness, ease of use, consistency, and intuitiveness. In view of the SLA usability heuristic, the research outcomes of a number of experts in related fields were sorted out and synthesized to explain how the second language was acquired and its internal key elements: meaning focus, quality, effect, learner fit and emotion. These 5 evaluation indicators cover 9 specific heuristic guidelines. For gamified usability heuristic, seven significant indicators that constitute a game were also obtained through a deeply analyzes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work of game and video game experts: autonomy, goals, rules, challenges, interaction, feedback and enjoyment which including 14 corresponding evaluation heuristic guidelines. After the preliminary evaluation heuristic guidelines are determined, the Delphi method through three rounds of interviews with six experienced experts was conducted. Experts carefully reviewed each evaluation indicators and proposed amendments. As a result, 32 heuristic guidelines with instructive significance were synthesized. Subsequently, the structural questionnaire with 117 responders was carried out for further validating the heuristic guidelines. All the respondents have a working background in HCI or design industries and are familiar with gamifi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ools. This ensured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 this point, the three-layer evaluation heuristic with 31 guidelines were synthesized and confirmed. The first level refers to the three evaluation dimension, the second level is the 17 evaluation indicators within each dimension, and the third level corresponds to the 31 concrete evaluation heuristic guidelines. The last  work  of this  study  is  an application experiment of the evaluation heuristic guidelines  developed in the preceding work. Two of the most reputed gamified-SLA systems in the Chinese application store were evaluated and analyzed. Based on 31 heuristic guidelines, three experts found the usability issues of the two applications after two walkthroughs, and pointed out the severity degree which provides guidance for further application optimization. At the same time, the three experts also confirmed that the newly developed usability heuristic guideline is helpful for quickly and comprehensively discovering the defects of system design, and has the value of popularization and application and will provide scientific guidance for the design of the gamified-SLA system in the future. The novel usability heuristic guidelines are an effective supplement to the existing usability evaluation system. Simultaneously, it is a flexible evaluation method that can be directly used as an auxiliary tool to guide qualitative evaluation work for user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and user observations. The heuristic guideline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ble to identify usability obstacles in specific design aspects. This feedback is especially valuable as it provides precise input for making redesign decisions. Keyword: Gamification, Gamifi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ystem, Usability evaluation, Expert review, Heuristic guidelines 지난 20년간, 정보 기술과 모바일 기기의 발전은 보다 정교하고 현실감있는 사용자 친화 요소 등을 모두 갖춘 인터페이스를 탄생시켰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산업에서 유래된 게이미피케이션의 개념은, ‘게임 요소를 비게임 환경에 활용한다’는 의미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사용자에게 이전에 없던 체험 등을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게이미피케이션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장점은 사용자의 동기와 참여 욕구의 상승인데, 이는 교육의 관점에서 학생의 교육적 성과를 판가름하는 매우 중요한 조건이다. 이와 같은 게이미피케이션의 잠재적 효과는 학생뿐만 아니라 기획자와 언어 교육자에게도 흥미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술적 연구를 통해 제2언어습득 과정에서의 게이미피케이션 기술 응용 및 그 가치를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신체, 심리, 감정을 모두 포괄하는 참여의 유도를 실현하고자 했다. 제2언어습득은 모국어 외 다른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약 3억 명의 인구가 제2언어를 습득하고 있다. 교육 기술 및 네트워크 통신이 발전하면서 컴퓨터 보조 언어학습은 제2언어습득에서 핵심적인 분야가 되었으며, 다양한 학문에서 이를 연구하고 있다. 코로나의 영향을 받아 중국에서 인터넷+교육 기술의 반전이 가속화되었고,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의 동기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하나의 완벽한 게임을 디자인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의 핵심 요소를 추출해 비게임 영역에 활용할 수 있어 더욱 쉽게 게임의 생산성을 재현할 수 있다. 게이미피케이션의 잠재적 효과를 제2언어습득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평가 방법을 필수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이에 닐센(Nielsen)과 몰리쉬(Molich)가 개발한 사용성 휴리스틱을 대다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평가에 적용해오고 있지만, 게이미피케이션의 제2언어습득을 위한 응용 시스템은 일반적인 교육과는 다르다. 따라서 특정 내용 및 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성 휴리스틱에 관한 확장 연구를 통해 특정 사용성 문제를 식별 및 확인하여 디자인 효과를 개선하고 사용자 수요를 만족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핵심적인 연구 목표 세 가지를 설정했다. 첫 번째 목표는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사용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개발된 사용성 가이드라인에 대한 전문가 검증을 진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로 개발된 사용성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 관련 디자인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상술한 연구 목표를 이루었다. 먼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분야의 관련 연구를 상세히 살펴봤으며, 연구 현황 및 미흡한 부분 등을 파악하여 연구 범위를 설정했다. 이후 통합적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제2언어습득 시스템 및 게이미피케이션의 핵심 요소 등 관련 이론을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정리했다. 이를 기반으로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 디자인 평가에 적용할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해당 가이드라인의 유효성 및 합리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세 차례의 델파이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또한, 117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6명의 조사와 인터뷰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등 두 차례의 검증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사용성 전문가 3명을 초청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용성 가이드라인으로 두 개의 기존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의 디자인을 실제 평가 및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상 본 논문은 체계적·통합적 문헌연구, 전문가 검증 및 휴리스틱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디자인 평가를 위한 사용성 휴리스틱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는데,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을 적용한 31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의 개발이다. 이 휴리스틱는 디자인 단계에 따라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는,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31가지 문항으로 구성된 더욱 직관적인 사용성 체크리스트를 도출한 것이다. 해당 체크리스트로 사용성 전문가는 시스템 디자인의 사용성 문제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상술한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은 3단계 평가 모델로 요약할 수 있다. 1단계는 평가 차원, 2단계는 평가 지표, 3단계는 평가 세칙이다. 이러한 평가 모형은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 디자인의 통합형 모델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전통적인 인터페이스의 사용성뿐만 아니라 제2언어습득 및 게이미피케이션 관련 요구사항을 포함한다. 따라서 재설계 의사 결정을 위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의의로서, 구축한 사용성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은 기존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해당 휴리스틱 평가 가이드라인은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 디자인에서 전문가가 사용성 장애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일종의 유연한 평가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혹은 보조 도구로써 포커스 그룹 인터뷰, 사용자 관찰 등 평가 및 테스트를 돕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설계 방안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드백은 특히 유의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게이미피케이션, 게임화한 제2언어습득 시스템, 사용성 평가, 전문가 평가, 휴리스틱 가이드라인

      • 구성주의에 기초한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 책략에 관한 연구 : Vygotsky의 가설을 중심으로

        김병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5

        최근의 외국어 교육분야는 인지주의 심리학에 근거를 둔 구성주의 학습론의 등장으로 어린이의 제2언어 습득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자를 교육의 중심적 자리에 위치하게 하는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학습의 방법, 학습의 내용에 있어서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제 2언어 습득의 책략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을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Vygotsky의 언어습득 가설은 동일성가설에 근거한 제 2언어 습득이론들과 많은 부분에서 상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제 2언어 습득에도 모국어 습득과 마찬가지로 Vygotsky의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Vygotsky의 이론을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의 책략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에 있어서 습득자는 주체적으로 행동하며, 동료를 의지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최대한 활용하는 구성주의적인 원리가 적용된다. 둘째,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가 지식을 구성 할 수 있도록 돕는 협력자이다. 셋째, 어린이의 제 2언 습득 책략의 특징은 의미가 중심이 되는 언어 습득이다. 유의미한 환경에서 의사소통의 중재 도구로 사용되는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상황성이 강조되어야 하며 '사회적 맥락'을 언어 습득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보아야 한다. 이것은 구성주의 언어 습득 이론이 습득의 결과보다는 '상호 심리적'형태가 '내부 심리적'인 과정으로 전환되는 습득의 과정을 중시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 책략은 기존의 강의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되면서 학습자들간의 상호 협력이 강조될 뿐 아니라 학습자의 자율성과 독립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책략은 사회적 교류를 통한 언어 발달이 사고의 발달을 이끈다는 Vygotsky 이론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 책략에 있어서 습득자와 교사, 그리고 습득의 내용과 습득 책략은 긴밀히 연결되어져 있으며 이것은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가 사회적 맥락과 인간적 교류를 강조한데서 기인된다고 볼 수 있다. Recently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appeared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so a study on children's second language aquisition is causing the change of paradigm. Constructivism focusing on the learners for education requires the learner's focused-on second language aquisition strategy in the role of learners and educators, and learning method and contents. This papers examines the children'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n the basis of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vism by Vygotsky. In the process, the language aquisition hypothesis by Vygotsky proved to be almost interdependent with second language aquisition theory based on the identity hypothesis. On the basis of these, we found it possible that the theory of Vygotsky could be applied to the second language aquisition like mother language aquisition. After applying Vygotsky's theory to the children's second language aquisition strategy, we could ge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case of children'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onstructivism principle is applied that learners would act as the subject, rely on their co-worker, and try to make use of his knowledge. Second, the role of the educator for children'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s the assistant who helps learners expand their knowledge. Third,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s second language aquisition strategy is the meaning focused-on language acquisition. To learn the language as intermediate tools for communication, circumstances of knowledge should be emphasized on and 'social context' considered as essential factor.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language acquisition theory of constructivism would focus on the process of acquisition changing mutual psychic form into innate psychic form rather than its result. Fourth, in the strategy of children'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while the previous lecture focused-on education changing into the learning focused-on education, self-control and independence of learners are being considered important. This strategy can be said about the practice of Vygotsky theory that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through social interchange leads to the development of thought. In the strategy of children'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earners and educators, and learning method and strategy are closely related, and it can be said that it results from the emphasis on social context and human interaction by Vygotsky's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 Null-Subjekte im Erst- und Zweitspracherwerb des Deutschen: Eine vergleichende Untersuchung im Rahmen der Prinzipien- und Parametertheorie : Hong,upyong

        Hong,upyong Heinrich - Heine - Univ. Dusseldorf 1994 해외박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어린이의 1차언어습득과 성인의 2차언어습득이 동일한 언어습득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문제의 규명을 위해 원리-매개변항이론 (Prinzipien- und Parametertheorie)의 틀 내에서 독일의 어린이가 독일어를 습득하는 과정과 한국인(성인)이 독일어를 2차언어로 습득하는 과정에서의 공주어 (Null-Subjekte) 현상을 비교연구하고 있다. 연구의 주안점은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독일어의 1차언어습득에 나타나는 공주어현상에 대한 기왕의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원리-매개변항이론의 가설에 부합하는 새로운 심리언어학적 방법으로서 문장쌍비교실험 (Satzpaarvergleichs- experiment; sentence-matching experiment)의 가능성을 보인다. 세째, 2차언어습득에서는 1차언어습득에서와는 달리 매개변항값의 고정이 일어나지 않음을 보인다. 이 주장은 한국인이 독일어를 2차언어로 습득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공주어현상은 원리-매개변항이론의 가설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본 연구에서의 언어실험 결과에 의거하고 있다. 즉 2차언어습득에서 보편문법의 역할을 가장 설득력있게 입증하는 증거는 매개변항값의 재고정에 수반되는 여러 문법적 특징들의 동시적 습득에서 찾을 수 있다는 입장에서, 한국인이 독일어를 습득하는 경우 독일의 어린이가 독일어를 1차언어로 습득하는 경우에서와는 달리 동사어미체계와 공주어 현상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보임으로써, 2차언어습득은 보편문법의 도움에 의존하는 과정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린다.

      • 아동의 제2언어습득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분석

        조선경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9710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einige Aspekte des natu¨rlichen Zweitsprachenerwerbs an Hand von englisch-deutschem Datenmaterial. Mit natu¨rlichem zweitsprachenerwerb bezeichnen wir den Erwerb einer zweiten Sprache unter natu¨rlichen Bedingungen, d. h. ohne Einsatz formaler Lehrverfahren. In Abschnitt 2 vermitteln wir einer U¨berblick u¨ber die Phasen der kindlichen Sprachentwicklung. Zuna¨chst ko¨nnen wir die Phasen der kindlichen Sprachentwicklung zweierlei verteilen : Die vorsprachliche Phase und sprachliche Phase. In der vorsprachliche Phase erscheinen Schreien, Geburt und Geste. In der sprachliche Phase treten vor allem 3 Strukturtypen auf:Einworta¨ußerungen, Zweiworta¨ ußerungen und Drei-und Mehrworta¨ußerungen. Man kann wohlgorb sagen, daß die moisten Kinder irgendwann zwischen 1;0 und 1;8 Finworta¨ußerungen pro duzieren, zwischen 1 ; 6 und 2 ; 3 zu Zweiworta¨ßerungen u¨bergehen, zwishchen 2;0 und 4;0 Drei-und Mehrworta¨ußerungen produzieren. In Abschnitt 3 vermitteln wir einen U¨berblick den Erwerb von Satzstrukturen in der Anfangsphasen im natu¨rlichen Zweitsprachenerwerb. Kennzeichendes Merkmal der ersten Entwicklungsphasen im natu¨rlichen Zweitsprachenerwerb ist die Tatsache, daß die Kinder schwerpunktma¨ßig zuna¨chst Aquationalstrukturen ausbauen. Die zentrale Stellung des A¨quationalsatzes in der fru¨hen Erwerbsphase zeigt sich vol allem auf zwei Ebenen. Einerseits stellt der Aquationalsatz innerhalb eines recht pra¨zis bestimmbaren Entwicklungsabschnittes die erste produktiv erworbene Satzstruktur dar, d. h. Hilfsverb-und Vollverbsa¨tze treten erst ab einem spa¨teren Zeitpunkt auf. Anderseits la¨ßt sich bei den a¨quationalen Strukturen erstmals eine deutliche Entwicklungssequenz beobachten. Die Kinder beginnen zuna¨ chst mit einige wenigen strukturtypen und bauen in der Folgezeit diese durch Erwerb weiterer Konstituenten aus. Auf Grund der Dominanz der a¨quationalen Strukturen bezeichnen wir den zeitraum bis zum Auftreten von Hilfsverb-und Vollverbsa¨tzen als Aquationalphase. Fassen wir diese Beobachtungen zusammen, so stellt sich vor allem : Wa¨hrend die L1 Erwerb von Beginn an eine Fu¨lle verschiedener semanto-syntaktischen Strukturen produzieren, entwickeln die L2 Erwerber zuna¨chst fast ausschießlich einen einzigen satztyp, den Aquationalsatz, und erwerben erst in folgeziet-in chronologisch recht genau differenziebarer Weise-weitere Satzstrukturen. Nach Ablauf der A¨quationalphase verlagert sich der Schwerpunkt des Erwerb sprozesses zuna¨chst vor allem auf den Ausbau der verbalen Gruppen. Der erwerb der verschiedenen Verbalstrukturen ero¨ffnet den Kindern einen weiferen Satztyp, na¨mlich die Struktur S+V+(O). Die hie den Kindern in dem verschiedenen Entwicklungsphasen auftretenden Außerungen lassen sich auf folgende Strukturtypen des Modells zuru¨ckfu¨hren : 1. die einfache verbale Gruppe a) die VG wild durch ein Vollverb manifestiert. b) die VG wird durch ein Hilfverb manifestiert. 2. die komplexe verbale Gruppe Die VG wird durch ein Vollverb plus einem odor mehreren Hilfsverben manifestiert. In Abschnitt 5 haben wir die Ergebnisse der Vorhandenen empirsichen Untersuchungen anhand konkreter Beispiele analysiert. Forschungen zum Erwerb der Morphologie einer Fremdsprache sind lange durch den stand der Erstsprachenerwerbsforschung, von allem durch Brown(1973), bestimmt worden. Brown Schloß in seine Untersuchung 14 grammatische Morpheme ein. Browns Untersuchungstyp wurde erstmalig von Heidi Dulay und Marina Burt in gro¨ßerem Umfange auf den Zweitsprachenerwerb u¨bertragen. Dulay & Burt konzentrierten sich weitgehend auf die gleichen grammatischen Morpheme, die auch Brown beim L1-Erwerb untersucht hatte. Im Laufe ihrer Untersuchungen wurde die zahl jedoch auf 9 standardmorpheme reduziert. Bei Kindern erfolgt der zweitsprachliche Erwerb der Negation in a¨hnlicher Weise wie der Erwerb der Negation in der Muttersprache. Aus den Untersuchungen von Wode(1977) und Felix(1982) zum Erwerb des S_(1)-S_(2) deutschen kindern ergeben sich jeweils fu¨nf Entwicklungsstadien : ① Holophrastische Negation ② Satzexterne Negation+X, d. h. nein+Pra¨dikat ③ Satzinterne Negation X+Neg+Y, Subj+nein+Pra¨dikat ④ nicht+infinites Hauptverb, nicht+finites Hauptverb ⑤ finites Hauptverb+nicht. Fu¨r Bereich der Interrogation ist es sinnvoll, zwei Typen von Flagon zu unterscheiden die Alternativfragen(Ja/Nein-Fagen) und die Imformationsfragen(W-Fragen/Wh-Flagon). Die Interrogation ist in vielerlei Hinsicht ein weitaus komplexerer Bereich als Negation. Durch diese Erkenntnis ist bemerkenswert, daß alle L2 Erwerber den Erwerbsprozeß fu¨r eine bestimmte Satzstruktur vorantreiben, die eindeutig eine Konstruktion des Erwachsenenmodells widerspiegelt. Daraus ergibt sich, daß der L2 Erwerber nicht etwa Wo¨rter bzw. Morpheme nach seinen eigenen, modellunabha¨ngigen Regeln zu syntaktischen Konstruktionen verbindet, sondern aus der Gesamtzahl der durch das Modell vorgegebenen Satzstrukturen zuna¨chst einen Typus auswa¨hlt, na¨hmlich den Aquationalsatz. Im weiteren Verlauf des sprachlichen Entwicklungsprozesses eignet sich der L2 Erwerber dann sukzessiv weitere Satztypen des Modells an.

      •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발달 연구 : 처리가능성 이론에 기반하여

        왕흠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95

        본고는 L2 한국어 문법의 발달 패턴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문법 발달 패턴에 대한 연구에서 문법 구조 사용의 정확성이 타당한 습득 기준이 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개별적인 문법 항목에 초점을 맞추는 것만으로는 중간언어 문법의 전반적인 발달 패턴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최근 20년 간 SLA 영역에서 중요한 이론으로 부각되고 있는 처리가능성 이론(Processability Theory: PT)을 사용하였다. PT는 언어 처리 및 산출에 대한 이론이자 중간언어 발달 이론인데 PT를 통해서 보편적인 중간언어 발달 단계를 위계화하여 L2 학습자가 각 단계에서 처리하고 산출할 수 있는 언어 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 PT는 중간언어 발달 패턴에 대한 강한 예측력과 설명력을 갖는 이론이자 모든 언어의 L2 습득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에서 PT를 통해 L2 한국어 문법의 발달 패턴을 연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제3장에서는 확장 버전 PT에 기반하여 L2 한국어의 문법 발달을 ‘문법 구조 발달, 논항 구조 발달, 정보 구조 발달’로 나누어 위계화하였다. 이 세 처리가능성 계층은 각각 ‘레마 → 범주적 절차 → 구 절차 → 문장 절차 → 종속절 절차’의 5가지 단계, ‘레마 → 디폴트 매핑 → 디폴트 매핑과 추가 논항 → 비디폴트 매핑(피동문) → 비디폴트 복잡한 매핑(사동문)’의 5가지 단계, ‘레마 → TOPSUBJOV → TOPADJSOV → TOPOBJSV’의 4가지 단계로 가정되었다. 또한 어휘기능문법으로 한국어의 형태론과 통사론을 분석하며, 학습자가 이 세 처리가능성 계층의 각 단계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언어 구조를 예측하기도 하였다. 둘째, 제4장에서는 실제적인 학습자 언어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가 예측된 세 처리가능성 계층에 따라 한국어 문법 구조, 논항 구조 그리고 정보 구조를 발달시키는지 검증하였다.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원시 구어 말뭉치를 활용하되 그것에 포함된 3,141개의 샘플 중 37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창발’, 곧 문법 구조의 첫 번째 체계적인 사용을 습득의 기준으로 삼았는데, 필수적 맥락에서 다양한 결합으로 두 번 이상 사용한 구조를 창발한 구조, 곧 이미 습득한 문법 구조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37명이 각각 이미 습득한 구조와 미습득한 구조를 반영한 ‘분포적 분석’을 실시하고 문법 구조, 논항 구조 그리고 정보 구조의 발달 패턴이 함축적 척도(implicational scaling)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L2 한국어 문법 발달에서 문법 구조, 논항 구조 그리고 정보 구조의 발달이 모두 예측된 처리가능성 계층에 맞춰 발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세 처리가능성 계층 중 학습자가 한 단계의 구조를 습득한 것은 그것보다 낮은 모든 단계의 구조를 습득한 것임을 함축하며, 문법·논항·정보 구조의 발달이 함축적 척도에 부합한 것이다. 세 처리가능성 계층은 함축적 척도의 Cscal이 100%로 나타났으며, 풍부도가 각각 82.16%, 62.16%, 72.43%로 나타났다. 즉, 이 세 처리가능성 계층의 함축적 척도에 어긋난 오류가 없으나, 데이터 부족 때문에 습득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다소 존재한 것이다. 특히 논항·정보 구조 발달의 경우 ‘필수적 맥락’을 규명하기 어렵고 대부분의 학습자가 피동문과 사동문을 산출하지 않았으므로 학습자의 해당 단계 습득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는 논항·정보 구조 발달 처리가능성 계층의 낮은 풍부도를 초래하였는데, 이것의 원인으로는 이 언어 구조들의 ‘처리의 복잡성’과 ‘필수적이지 않은 강한 화용론적 성격’을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PT라는 중요한 중간언어 발달 이론을 한국어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문법 발달 패턴을 비교적 전반적이고 정교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적인 학습자 언어 자료에서 나타난 발달 패턴이 향후의 한국어 교수·학습 그리고 한국어 교재 편찬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최초로 한국어에 PT를 적용해 본 것은 PT의 유형론적 타당성에 대한 논의에도 기여한다고 하겠다.

      • La adquisicion del espanol como segunda lengua por los hablantes de coreano : el articulo en los nominales deverbales

        양성혜 Universidad Autonoma de Madrid 2001 해외박사

        RANK : 249695

        본 논문은 제 2언어(L2)로서 스페인어를 습득한 한국어화자들의 중간언어(Interlengua)에 관한 연구로 특히 관사 습득에 초점을 맞추었다. 스페인어 관사는 스페인어 초,중급 학습자뿐만 아니라 고급 학자들 역시 어려움을 겪는 범주이다. 또한, 여러 구문 중에서도 보충어구를 포함한 명사구, 즉, 명사구 두 개가 “de”로 연결된 ”SN de SN”와 같은 구조에서 한국어화자들은 더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첫째, 스페인어 관사 용법을 통사, 의미, 화용론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관사 사용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는 스페인어 명사구 구문 연구를 심화하여, 핵명사의 성질에 따라 동사파생명사구와 비동사파생명사구로 분류하였고, 다양한 동사파생명사구내 핵명사구(Nucleo nominal)와 보충명사구(Complemento nominal)가 논항구조(Estructura Agrumental)의 지배를 받는지에 따라 나타나는 관사 용법의 규칙성을 찾아내고, 그 이유를 규명하였다. 둘째, 한국어에서 스페인어 관사의 각 용법에 대한 대체범주를 분류하고, 한국어와 스페인어간의 지시체계를 비교하였으며, 보다 깊이 들어가, 보충어를 지니는 한국어 파생명사구내 한정사의 사용을 스페인어와 비교하므로서, 양언어간의 상이성을 체계화하여, 한국어 화자들이 스페인어 관사를 습드하는데 겪는 어려움의 이유를 비교 연구를 통하여 가정해보았다. 셋째, 양언어의 비교 연구 결과 도출한 가정에 비추어,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20명의 스페인에 4년 이상 거주한 스페인어 고급수준의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관사 용법에 관한《문법성 판단실험(juicios de gramaticalidad)》과 《번역실험(traduccion)》등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실험에 앞서 일반적인 개인의 능숙도를 차별화하기 위하여 DELE superior 시험의 《문법과 어휘 부문》을 실시하여 순위화하였다. 이 실험들의 결과는 한국어 화자의 관사 용법 습득은 문법과 어휘 등 제 2언어에 대한 학습자의 일반적 수준과는 전혀 무관함을 보여주었으나, 관사에 관한 두가지 실험 결과는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일련의 통일성 있는 특징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관사 용법에 관련하여 한국인 화자는 관사 용법을 결정 짓는 다음의 세 가지 형질들을 연관짖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스페인어 명사 의미적 형질에 따른 분류 체계(특히 [±contable 가산]) 2- 스페인어 관사 자체가 내포하는 문맥에 따른 추상적 형질들([±definido 한정],[±especifio 특정], [±especifico 특정], [±numero 수], 등). 3- 논항구조(EA)에 관련된 스페인어 파생동사명사구의 양태적 형질([±한정 delimitado]) 즉, 관사의 어려가지 형태가 나타내는 의미, 화용적인 추상적 형질과 스페인어 명사의 종류, 그리고 명사구 전체가 내포하는 양태적 국면까지 동시에 연관지어 어떤 관사 형태를 쓸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한국어화자에게 관사는 모국어(L1)에 부재하는 범주이며, 스페인어와 다른 모국어 명사 분류 체계가 학습자 인식구조 내에서 간섭(Interferencia)으로 작용하는데다가 명사구의 양태적 특질은 모국어에서 표면적으로 실현되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스페인어 학습자들에게 관사는 매우 습득하기 어려운 범주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문법 교육 이론(gramatica pedagogica)》에 입각하여 스페인어 관사 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안을 제시하였다. 크게 직접 교수법과 간접 교수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직접 교수법은 교수 내용에 초점을 ��上解� 간접교수법은 연습문제를 이용한 관사 교수 방법으로 형태통사적 관점에 입각하여, 관사 용법 습득과 동시에 명사 단어 암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모델을 간략하나마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학습자의 관사 습득의 난점은 제1언어(L1)와 제2언어(L2)간의 화용적, 의AL적, 양태적 형질의 다양한 표출의 상이함에 귀결된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페인어 문법 중 관사에 대한 교수 방향은 이러한 관사 관련 다양한 형질들의 동시 작용을 한국인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즉 관사 용법 체계의 내재화를 돕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 The Effects of Age, Environmental and Socio-affective Factors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김상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4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 상황에서 제2언어습득에 미치는 학습자의 나이, 환경적 요인, 그리고 사회정의적 요인의 영향을 밝히는데 밝히고, 나아가 한국 공교육에 유의한 원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는 아래의 질문과 함께 수행되었다. 첫째, 제2언어의 문법 습득과 관련하여 연령과 관련된 영향이 존재하는가? 둘째, 영어권에서의 체류 경험 여부가 제2언어의 문법 습득에 어던 영향을 끼치는가? 셋째, 환경적 요소나 사회-정의적 변인이 제2언어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3개의 고등학교에서 157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 기초한 결과는 제2언어습득에 있어 민감 시기가 존재한다는 가설에 대한 입증 근거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 점수는 참여자의 영어권 도착 나이 차이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대신 1년 이상 영어권에 거주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제2언어습득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영어권 거주기간, 영어권으로부터 한국으로 돌아온 기간 등 환경적 요인이 제2언어 습득에 주요한 연관성이 있었다. 한편, 사회적 요인은 환경적 요인보다 더욱 중요하였다. 가족의 수입이나 부모의 교육 정도에 따라 참여자의 문법 성적은 달라졌다. Key word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ritical period, Socio-affective factor, Environmental Factors, Foreign Language Contexts, Grammar Judgment Test The main goal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age, environmental factors and socio-affective factor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and provide some principles for public English education in Korea. With these fundamental goals, I conducted a survey which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age-related effect on learning the grammar of a second language? Second, what influence does previous experience of staying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have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ird, can environmental and socio-affective variables, separately or together, expla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7 participants from three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 results of this survey could not provide evidence to support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The performance in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did not correlated to ages of arrival at English speaking countries. Instead,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of staying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is more significant to SLA.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years of stay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and number of years after departure from English speaking countries are important as well. Moreover, social factors such as family income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re even strongly correlated to better performance in English grammar. Key word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ritical period, Socio-affective factor, Environmental Factors, Foreign Language Contexts, Grammar Judgment Test

      • 韓國人日本語学習者의 連体格助詞 「の」誤用類型에 대한 研究 : 名詞句의 分析을 중심으로

        김활란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3

        본 연구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오용의 형태와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연체격조사「の」를 포함한 N명사구의 세분화된 분류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점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첫째, 한국어 연체격조사「의」와 일본어 연체격조사「の」가 유사하게 쓰이는 경우와 상이하게 쓰이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명사와 후행명사의 어종이나 그 의미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오용의 경우를 일본어의 특징으로 보거나, 모든 오용의 경우를 언어전이에 의한 것으로 일괄적으로 결론 내리는 것도 힘들다. 따라서, 한국어의 연체격조사「의」와 일본어의 연체격조사「の」의 유사한 쓰임과 상이한 쓰임에 따라 오용의 정도와 그 원인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고 명사구를 이루는 선행명사와 후행명사의 관계를 명사의 출신별, 의미관계별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둘째로, 필자의 직?간접적인 경험에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게 N명사구에서「の」의 오용이 イ?ナ형용사에 나타나는「の」의 오용보다 많을 것이라는 예상을 하였다. 이러한 예상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명사를 수식하는 각 품사에 대한 「の」의 오용조사의 결과를 재검토하였다. 본 연구 조사 결과, N명사구에서 연체격조사「の」의 오용이 각 분류 항목별로 모어(한국어)의 영향에 의한 언어전이로 해석이 가능한 항목과 언어전이의 가능성과 함께 일본어(제2언어)의 특징에 의한 오용으로 해석이 가능한 항목이 공존함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1언어(한국어)와 제2언어(일본어)가 유사한 문법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제2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문법 요소에 대해 오용의 원인을 모어의 영향에 기인한다든지, 혹은 제2언어의 특징에 기인한다고 하는 어느 한 가지 해석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세분화된 항목에 대한 원인과 그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토대로 일본어를 모어로 하고, 한국어를 제2언어로 학습하는 일본인한국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연체격조사「의」의 사용에 대한 세분화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제2언어습득(한국어)에 있어 제1언어(일본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과제로 남기고 싶다. This thesis analyzes the types and the cause of grammatical misuse of Japanese which Japanese language learners among Koreans easily commit, by the method of detailed categorizing N-noun phrases including「の」which is noun-linking prepositional word. This paper focuses on the examination on the two aspects. The first, it's a logical leap to conclude in a lump that all types of misuse a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nguage or language transition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 of the grammatical types or the meanings of preceding noun and following noun despite that there are cases that「의」,a prepositional word in Korean language, and「の」, a noun-linking prepositional word in Japanese word, are used both similarly and differently.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on the relations of preceding and following nouns in noun phrase by categorizing the origin and meaning relation of the nouns on the assumption that the types and the cause of misuse of「의」, prepositional word in Korean, and「の」, noun-linking prepositional word in Japanese, are connected with the similar or different usage of those two words. The second, according to the direct/indirect experience of the writer, misuse of「の」happens more in N-noun phrase than in adjective「イ?ナ」among Korean Japanese language learners. Thus the writer reexamined the previous study on the misuse of 「の」used for each part of speech which modifies nouns. By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writer could conclude that the types and the cause of the misuse of noun-linking prepositional word「の」in N-noun phrase can be analyzed both due to the language transition which is influenced by mother tongue(Korean language) in each category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nguage(the second language). The conclusion like this suggests that one need to analyze the causes of detailed categories of misuse rather than logically jump on the one conclusion that when one learns the second language, the cause of misuse of a certain grammatical element is caused by solely on the influence of mother tongu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language despite that the mother tongue(Korean) and the second language(Japanese) have similar grammatical elements. Furthermore, the writer wants to leave it as assignment for others to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Japanese)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Korean) by detailed examination and analysis on the use of prepositional word「의」, for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have Japanese language as mother tongues and learn Korean language as the second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